KR20190030053A -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053A
KR20190030053A KR1020170117287A KR20170117287A KR20190030053A KR 20190030053 A KR20190030053 A KR 20190030053A KR 1020170117287 A KR1020170117287 A KR 1020170117287A KR 20170117287 A KR20170117287 A KR 20170117287A KR 20190030053 A KR20190030053 A KR 20190030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advertisement
main body
wireless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현
김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주식회사 일성베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주식회사 일성베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11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0053A/ko
Priority to PCT/KR2018/009467 priority patent/WO2019054653A1/ko
Publication of KR2019003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5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additional energy repeaters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7/025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제공이 가능하고 광고가 끝나면 복합 멀티탭에 구비된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칩을 통해 모바일폰(10)을 광고 제공 서버(20)로 연결하고, 서버(20)는 모바일폰(10)에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가 끝나면 서버(20)는 운영자 모바일폰(10)에 복합 멀티탭(100)의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자 모바일폰(10)은 와이파이 공유기(30)를 통해 복합 멀티탭(100)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탭(100)은 전원연결부(111)와 체결부(112)를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220V 충전을 제어하도록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부(12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USB 충전을 제어하도록 USB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USB커넥터부(13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무선충전을 제어하도록 무선충전기(141)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무선충전커넥터부(140);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어 무선공유기와의 통신 및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Wire/wireless chargers system of mobile possible advertisement}
본 발명은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 광고 제공이 가능하고 광고가 끝나면 복합 멀티탭에 구비된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다양한 전자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제품들에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벽체에 매입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에 다수의 전자제품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멀티탭을 꽂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가 위치한 책상 아래에는 컴퓨터 본체, 모니터, 스피커, 통신모뎀, 프린터 등의 플러그가 멀티탭의 각 콘센트(플러그 삽입부)에 꽂아져 사용되고 있으며, TV선반 등의 가구 뒤에도 TV, DVD플레이어, 선풍기, 온풍기 등의 플러그가 멀티탭의 각 콘센트에 꽂아져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상기한 멀티탭에는 해당 전자제품에 전원을 개별적으로 공급 및 차단 가능하도록 스위치가 부설되어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탭은 다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연결시켜서 여러 개의 플러그를 동시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구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콘센트의 개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사무실이나 가정에 많은 수의 콘센트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상으로도 효율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실내규모를 감안하여 적절한 수 또는 최소한의 개수의 매입형 콘센트를 구비하고, 필요한 경우에 멀티탭을 콘센트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근래 들어 스마트폰, 무선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인터넷 연결, 게임, 각종 정보의 제공, 모바일 쇼핑, 광고 제공 등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한편, 무선 전력 제어 기술은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그리드, 지능형 전력 제어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무선 통신모듈의 가격으로 인하여 제품 가격이 매우 높아졌고, 제품의 무게도 증가하여 설치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080967호에는 각각의 매체에서 서비스하는 컨텐츠를 다른 매체 상에 송출해주는 크로스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매체 상호 간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토대로 매체의 영향력에 따라 광고 송출 비중을 조절해주고, 특정 매체에 광고 송출을 희망하는 경우가 많을 때에, 해당 매체에 광고 송출량을 조절하는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50484호에는 광고업체의 광고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노출시켜 광고 게재 효과가 높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광고 제공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광고 제공 장치는 USB 충전과 무선충전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USB 충전기 및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15-0080967호(공개일자 : 2015.07.13) 특허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3-0050484호(공개일자 : 2013.05.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모바일 광고 제공이 가능하고 광고가 끝나면 복합 멀티탭에 구비된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USB 충전기와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칩을 통해 모바일폰을 광고 제공 서버로 연결하고, 서버는 모바일폰에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가 끝나면 서버는 운영자 모바일폰에 복합 멀티탭의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자 모바일폰은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해 복합 멀티탭의 충전을 제어하고,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서버제어와 원격으로 유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복합 멀티탭의 본체에 전원연결부와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220V 충전을 제어하도록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USB 충전을 제어하도록 USB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USB커넥터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에 무선충전을 제어하도록 무선충전기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무선충전커넥터부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무선공유기와의 통신 및 콘센트부, USB커넥터부, 무선충전커넥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무선공유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모듈, 상기 와이파이모듈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상기 전원연결부와 콘센트부 및 USB커넥터부와 무선충전커넥터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릴레이모듈,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와 릴레이모듈 및 USB커넥터부와 무선충전커넥터부에 연결되는 파워모듈, 상기 전원연결부와 연결되어 AC 220V를 DC 9~12V로 변환하여 파워모듈에 공급하는 아답터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는 체결링을 나사결합으로 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칩을 통해 모바일폰을 광고 제공 서버로 연결하고, 서버는 모바일폰에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가 끝나면 서버는 운영자 모바일폰에 복합 멀티탭의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자 모바일폰은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해 복합 멀티탭의 해당 충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서버를 활용한 광고 제공이 가능하고 광고가 끝나면 복합 멀티탭의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모바일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탭에 와이파이 기능뿐만 아니라 USB 충전과 무선충전 기능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USB 충전기와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멀티탭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칩을 통해 모바일폰(10)을 광고 제공 서버(20)로 연결하고, 서버(20)는 모바일폰(10)에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가 끝나면 서버(20)는 운영자 모바일폰(10)에 복합 멀티탭(100)의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자 모바일폰(10)은 와이파이 공유기(30)를 통해 복합 멀티탭(100)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탭(100)은 전원연결부(111)와 체결부(112)를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220V 충전을 제어하도록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부(12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USB 충전을 제어하도록 USB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USB커넥터부(13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무선충전을 제어하도록 무선충전기(141)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무선충전커넥터부(140);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어 무선공유기와의 통신 및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광고 제공이 가능하고 광고가 끝나면 복합 멀티탭에 구비된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모바일폰(10), 서버(20), 와이파이 공유기(30) 및 멀티탭(100)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20)는 광고주가 등록한 광고를 가져와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광고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서버(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폰(10)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잠금 어플리케이션, 은행 어플리케이션, 카드사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20)는 모바일폰(10)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 경우 모바일폰(10)으로 광고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광고가 끝나면 서버(20)는 운영자 모바일폰(10)에 복합 멀티탭(100)의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며, 운영자 모바일폰(10)은 와이파이 공유기(30)를 통해 복합 멀티탭(100)의 해당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와이파이 공유기(30)는 인터넷 공유기, 라우터(router)라고도 하며, 원래는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장치'를 말하는데, 흔히 상위의 소수 라인의 인터넷 접속능력을 하위의 여러 단말에 공유시키는 장치로서 활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멀티탭(100)은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서버제어가 가능하고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100)은 본체(110),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 및 제어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멀티탭(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10)에는 전원연결부(111)와 체결부(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111)에는 220V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용 플러그가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체결부(112)에는 체결링(113)이 나사결합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110)의 체결부(112)에는 수나사(112a)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113)에는 수나사(112a)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암나사(11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12)와 체결링(113)을 이용하면 본체(110)를 책상이나 가구 등 적당한 장소에 체결부(112)가 끼워지도록 구멍을 형성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콘센트부(120)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전원연결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콘센트부(120)에는 220V 충전을 제어하도록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콘센트부(120)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10)에 2개가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110)에 2개 이상의 콘센트부(1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콘센트부(120)에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끼워서 연결하면 220V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USB커넥터부(130)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USB커넥터부(130)에는 USB 충전을 제어하도록 USB의 플러그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에는 USB커넥터부(130)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USB커넥터부(130)에 USB의 플러그를 끼워서 연결하면 USB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커넥터부(140)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는 무선충전을 제어하도록 무선충전기(141)의 플러그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본체(110)에는 무선충전커넥터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는 무선충전기(141)의 플러그가 연결되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무선충전기(141)에 모바일(10)을 안치한 상태에서 무선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본체(110)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부(150)는 무선공유기와의 통신 및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무선공유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모듈(151), 상기 와이파이모듈(151)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152), 상기 전원연결부(111)와 콘센트부(120) 및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연결되어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릴레이모듈(153),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52)와 릴레이모듈(153) 및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연결되는 파워모듈(154), 상기 전원연결부(111)와 연결되어 AC 220V를 DC 9~12V로 변환하여 파워모듈(154)에 공급하는 아답터(1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파이모듈(151)은 와이파이 무선공유기(3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와이파이모듈(151)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1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공유기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와이파이모듈(151)은 무선 통신으로 외부 와이파이 공유기(30)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와이파이 공유기(30)의 얼라이브 신호를 모바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제어 신호를 와이파이모듈(151)이 수신한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52)는 와이파이모듈(151)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이크로컨트롤러(152)는 와이파이모듈(15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신호를 기지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처리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52)는 와이파이모듈(151)의 초기 설정과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러한 마이크로컨트롤러(152)는 기기 등의 조작이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유닛으로 집적 회로(IC) 또는 소형 컴퓨터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52)는 주변장치들을 센싱 및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타이머/카운터, 통신포트 내장 및 인터럽트 처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52)는 소형 제품이며, 무게가 가볍고, 부품비, 제작비, 개발비 등이 많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다.
상기 릴레이모듈(153)은 전원연결부(111)와 콘센트부(120) 및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연결되어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릴레이모듈(153)은 모바일폰(1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릴레이모듈(153)은 전원연결부(111)로부터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끊거나 연결하는)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콘센트부(120)에는 AC 220V의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는 DC 5V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릴레이모듈(153)을 '오프'상태로 제어하면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플러그가 각각 접속되어 있어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각각 접속된 플러그를 직접 뺄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릴레이모듈(153)을 '온'상태로 제어하면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각각 접속된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일 예로 예컨대 외출해 있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집에 들어오기 전에 보일러나 에어컨을 작동시켜 집안을 미리 난방 또는 냉방 시키므로 집에 들어왔을 때 쾌적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파워모듈(154)은 마이크로컨트롤러(152)와 릴레이모듈(153) 및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파워모듈(154)은 마이크로컨트롤러(152), 릴레이모듈(153),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아답터(155)는 전원연결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아답터(155)는 AC 220V를 DC 9~12V로 변환하여 파워모듈(154)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칩을 통해 모바일폰(10)을 광고 제공 서버(20)로 연결하고, 서버(20)는 모바일폰(10)에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가 끝나면 서버(20)는 운영자 모바일폰(10)에 복합 멀티탭(100)의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자 모바일폰(10)은 와이파이 공유기(30)를 통해 복합 멀티탭(100)의 해당 충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서버(20)를 활용한 광고 제공이 가능하고 광고가 끝나면 복합 멀티탭(100)의 USB 충전과 무선충전 및 220V 충전을 모바일폰(10)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탭(100)에 와이파이 기능뿐만 아니라 USB 충전과 무선충전 기능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USB 충전기와 무선충전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모바일폰 20 : 서버
30 : 와이파이 공유기 100 : 멀티탭
110 : 본체 111 : 전원연결부
112 : 체결부 113 : 체결링
120 : 콘센트부 130 : USB커넥터부
140 : 무선충전커넥터부 150 : 제어부
151 : 와이파이모듈 152 : 마이크로컨트롤러
153 : 릴레이모듈 154 : 파워모듈
155 : 아답터

Claims (3)

  1. 근거리 통신칩을 통해 모바일폰(10)을 광고 제공 서버(20)로 연결하고, 서버(20)는 모바일폰(10)에 광고를 제공하며, 광고가 끝나면 서버(20)는 운영자 모바일폰(10)에 복합 멀티탭(100)의 충전 작동 정보를 전송하고, 운영자 모바일폰(10)은 와이파이 공유기(30)를 통해 복합 멀티탭(100)의 충전을 제어하고,
    상기 멀티탭(100)은 전원연결부(111)와 체결부(112)를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220V 충전을 제어하도록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콘센트부(12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USB 충전을 제어하도록 USB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USB커넥터부(130);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무선충전을 제어하도록 무선충전기(141)의 플러그가 연결되는 무선충전커넥터부(140);
    상기 본체(110)에 내장되어 무선공유기와의 통신 및 콘센트부(120), USB커넥터부(130), 무선충전커넥터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무선공유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모듈(151), 상기 와이파이모듈(151)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152), 상기 전원연결부(111)와 콘센트부(120) 및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연결되어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는 릴레이모듈(153),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152)와 릴레이모듈(153) 및 USB커넥터부(130)와 무선충전커넥터부(140)에 연결되는 파워모듈(154), 상기 전원연결부(111)와 연결되어 AC 220V를 DC 9~12V로 변환하여 파워모듈(154)에 공급하는 아답터(1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체결부(112)에는 체결링(113)이 나사결합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KR1020170117287A 2017-09-13 2017-09-13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KR20190030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87A KR20190030053A (ko) 2017-09-13 2017-09-13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PCT/KR2018/009467 WO2019054653A1 (ko) 2017-09-13 2018-08-17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87A KR20190030053A (ko) 2017-09-13 2017-09-13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53A true KR20190030053A (ko) 2019-03-21

Family

ID=6572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287A KR20190030053A (ko) 2017-09-13 2017-09-13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30053A (ko)
WO (1) WO201905465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484A (ko) 2011-11-08 2013-05-16 김현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0967A (ko) 2014-01-02 2015-07-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540B1 (ko) * 2013-12-12 2014-08-07 김영락 원격 전원 및 대기전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722480B1 (ja) * 2014-03-20 2015-05-20 株式会社エネゲート 電力割当制御システム
KR101738618B1 (ko) * 2014-05-29 2017-05-22 김상희 멀티 콘센트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1109A (ko) * 2014-07-21 2016-01-29 주식회사 타이드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각적 스마트그리드 유닛과 그 운영방법
KR20170067935A (ko) * 2015-12-08 2017-06-19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두이노 기반의 멀티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484A (ko) 2011-11-08 2013-05-16 김현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0967A (ko) 2014-01-02 2015-07-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653A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1134B2 (en) Remotely controllable electrical sockets with plugged applianc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6744150B2 (en) Outlet strip controlled by PC using low voltage powertap
US10021801B2 (en) Modular electronics system with interfacing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US20140088779A1 (en) Smart power strip and smart home system using the same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CN104009340A (zh) 一种基于网络控制的智能插座
CN106233540A (zh) 具有接口可互换组件的模块化电子系统
KR20060063731A (ko) 대기전력 자동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콘센트
CN106125709A (zh) 一种智能插座及其智能家居系统
CN105119115A (zh) 具有中继功能的供电装置
US20200351547A1 (en) Network video transmitter and receiver display system with auto-adjustable power and remote host wakeup
KR20160011129A (ko) 대기전력 낭비를 차단하는 다기능 멀티텝 콘센트와 그 멀티텝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 방법 및 그 멀티텝 콘센트와 앱프로그램을 이용한 리모트컨트롤 방법
JP4954749B2 (ja) 電源タップと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US9444893B2 (en) Network power control module
KR20190030053A (ko) 모바일 광고가 가능한 유무선충전 시스템
WO2020233445A1 (zh) 一种电源适配器及充电方法
CN104995802B (zh) 通信模块适配器
CN205208463U (zh) 一种落地灯及其用于落地式电气设备的支架
CN204966893U (zh) 具有中继功能的供电装置
CN109283848A (zh) 提醒装置、卷纸盒及智能家居系统
KR20160054917A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멀티탭
KR101149048B1 (ko)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CN109960320A (zh) 一种自带插座的显示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