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016A -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 Google Patents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016A
KR20190030016A KR1020170117208A KR20170117208A KR20190030016A KR 20190030016 A KR20190030016 A KR 20190030016A KR 1020170117208 A KR1020170117208 A KR 1020170117208A KR 20170117208 A KR20170117208 A KR 20170117208A KR 20190030016 A KR20190030016 A KR 20190030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attery
washer
battery case
gasket
ca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435B1 (ko
Inventor
신항수
김도균
정상석
이병국
이병구
민건우
김찬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1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35B1/ko
Priority to PCT/KR2018/010740 priority patent/WO2019054765A1/ko
Priority to CN201880013674.1A priority patent/CN110352511B/zh
Priority to US16/489,602 priority patent/US11063318B2/en
Priority to JP2019546849A priority patent/JP6780217B2/ja
Priority to EP18857031.1A priority patent/EP3584853B1/en
Publication of KR2019003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41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01M2/022
    • H01M2/046
    • H01M2/06
    • H01M2/08
    • H01M2/1016
    • H01M2/1241
    • H01M2/3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된 형태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케이스;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위치하는 캡 어셈블리; 및
상기 캡 어셈블리와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 간의 절연성을 담보하기 위해 안전벤트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고,
상기 캡 어셈블리는, 전지의 내압 상승시 파열되면서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벤트, 상기 안전벤트의 상부에 탑재되고, 가스 배출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안전벤트의 하단에 부착되고 전지의 내압 상승시 전류를 단전시키는 전류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전지케이스의 개방된 상면 외주부 상에 위치하면서 캡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와셔와 결합되는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no Beading Part}
본 발명은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젤리-롤형 전극조립체가 수납되고,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와 캡 어셈블리 간의 절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안전벤트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가스켓이 상기 캡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와셔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비딩부의 생략과 대응되는 만큼 용량이 증가한 전지셀에 대한 것이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 및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딩부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셀 상단부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전지(100)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30)를 원통형 캔(101)의 수납부에 수납하고, 원통형 캔(101) 내에 전극조립체(130)가 완전히 침지되도록 수납부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에, 원통형 캔의 개방 상단에 캡 어셈블리(110)를 탑재하여 제작한다.
캡 어셈블리(110)는 양극 탭(131)과 접속되며, 원통형 캔의 클림핑부와 비딩부(120)의 상부 내면에 장착되는 기밀유지용 가스켓(105) 내부에 상단 캡(102)과 내부 압력 강하용 안전벤트(103)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 캡(102)은 중앙이 상향 돌출되어 있어서 외부 회로와의 접속에 의한 양극 단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돌출부 주변을 따라 캔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관통구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통형 캔에 비딩부를 형성하게 되면 캔의 높이가 작아져 용량이 감소하게 되며, 비딩 공정 시에 캔의 높이 또는 지름이 변경되면 비딩 조건을 변경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은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을 개시하나, 캡 어셈블리를 원통형 캔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된 후 캡 어셈블리의 외주변이 전지 캔에 용접되는 구조인 바 캡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에서 캡 어셈블리 내지 전지 캔이 손상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는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을 개시하나, 캡 어셈블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원통형 캔의 내면에 돌출부 내지 지지 구조가 형성된 전지셀을 개시하는 바, 전지케이스와 캡 어셈블리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스켓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용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 전지셀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젤리-롤형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원통형 캔 내부에서 사공간을 최소화 하고, 캡 어셈블리가 손상되지 않고 전지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6-00885858 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7-0080866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가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수납되고, 캡 어셈블리와 원통형 전지케이스 간의 절연성을 담보하기 위한 가스켓이 안전벤트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캡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와셔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비딩부가 생략된 부분만큼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수납할 수 있는 원통형 전지케이스 내부의 공간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조립체 수납부의 크기가 증가되는 만큼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은,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된 형태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케이스;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위치하는 캡 어셈블리; 및
상기 캡 어셈블리와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 간의 절연성을 담보하기 위해 안전벤트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고,
상기 캡 어셈블리는, 전지의 내압 상승시 파열되면서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벤트, 상기 안전벤트의 상부에 탑재되고, 가스 배출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안전벤트의 하단에 부착되고 전지의 내압 상승시 전류를 단전시키는 전류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전지케이스의 개방된 상면 외주부 상에 위치하면서 캡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와셔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전지셀은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류를 차단하고 내압을 해소하기 위한 CID(Current Interruptive Device) 및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시 전지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등을 포함하는 탑 캡이 원통형 캔의 개방 상단에 결합하여 원통형 전지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원통형 캔에 대한 탑 캡의 결합을 위하여, 원통형 캔의 상단 부위를 소정의 폭만큼 내측으로 만입한 후 그 위에 탑 캡을 탑재하고 다시 탑 캡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절곡한 비딩부를 형성하는데, 비딩부에 의한 탑 캡의 결합은 원통형 캔의 소재인 금속의 소성 변형과 높은 기계적 강도에 의해 달성되므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딩부로 인해 전지케이스의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바, 전지의 용량이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과 같이,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면 상에 위치하는 와셔와 캡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와셔에 부착된 상태로 캡 어셈블리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캡 어셈블리의 고정을 위한 비딩부를 전지케이스에서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딩부가 생략된 전지케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딩부의 형성을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비딩부의 형성을 위해 전지셀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비딩부의 형성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캡 플레이트의 상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가스켓이 불필요한 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스켓은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 내지 안전벤트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생략된 비딩부의 높이만큼 젤리-롤형 전극조립체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해당 부피에 대응되는 만큼 용량이 증가된 원통형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가스켓은 열가소성 접착층을 통해 상기 와셔와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는 바, 상기 와셔의 하면에 상기 열가소성 접착층을 부가하고 상기 가스켓을 위치시킨 후 열가소성 접착층을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가스켓과 와셔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접착층은, 전지셀의 정상적인 사용 온도에서는 용융되지 않으면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로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열가소성 접착층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실리콘(Silicon)계 수지, 에폭시(epoxy)계 수지, 폴리에스터(Polyester),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수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케톤(Polyketone, PK), 플루오르폴리머(fluoropolymer, FP),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oride, PVDF),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 PPA),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 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변성 폴리프로필렌(PP-modified),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PE-UHMW),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PE-HD)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PE-LD)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캡 어셈블리 자체를 원통형 전지케이스 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지 않는 바, 상기 캡 어셈블리는 가스켓과 함께 와셔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캡 어셈블리와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개방된 상면 외주부 상에 위치하는 바, 상기 와셔는 정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 내측으로 이동할 수 없는 크기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상기 와셔의 외경이 전지케이스의 외경보다 큰 경우에는 전지케이스의 상단부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 와셔의 외경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캡 어셈블리의 외경은 상기 와셔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 어셈블리의 중심과 상기 와셔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캡 어셈블리와 와셔가 결합될 수 있는 바, 상기 와셔의 외주변은 상기 캡 어셈블리의 외주변 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어셈블리의 외주변 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와셔의 하면 외주변은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상면에 걸쳐지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상면과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지케이스와 와셔 간의 용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셔는 전지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류 차단 부재의 하면 외주부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변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된 단차부, 상기 단차부 상부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평행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안전벤트의 하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주변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며 상기 안전벤트의 외주변 및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과 결합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3 결합부의 상부 외주변으로서 상기 와셔와 결합되는 제 4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은 캡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류 차단 부재의 하면 일부를 지지하면서, 안전벤트의 외주변 및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안전벤트가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가스켓은 전류 차단 부재의 하면 일부를 지지면서 안전벤트의 외주변을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셔는, 상기 가스켓 및 캡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바, 상기 와셔와 캡 어셈블리 간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와셔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 일부를 덮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셔는 상기 가스켓의 제 4 결합부 및 캡 플레이트의 일부와 결합하면서, 상기 가스켓 및 캡 플레이트가 와셔에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와 캡 어셈블리 하단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단차부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케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딩부가 존재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전류 차단 부재와 결합하는 전극 탭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생략된 비딩부의 높이만큼 전극조립체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바, 상기 전극조립체와 캡 어셈블리 하단면 간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팩은 고온 안전성 및 긴 사이클 특성과 높은 레이트 특성 등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의 상세한 예로는,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device),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device),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은,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케이스 및 캡 플레이트의 상면을 감싸지 않는 구조의 가스켓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는 원통형 전지케이스 내부 공간이 증가될 수 있는 바, 고용량의 원통형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딩부를 형성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딩부 생산 과정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비용 증가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딩부가 형성된 원통형 전지셀 상단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캡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원통형 전지셀 상단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캡 어셈블리(210)는 전지 캔 내부의 압력 상승시 파열되면서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벤트(203), 안전벤트(203)의 상부에 탑재되는 캡 플레이트(202) 및 안전벤트(203)의 하단에 부착되고 전지 캔의 내압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부재(204)를 포함한다.
캡 어셈블리(210)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가스켓(205)은 열가소성 접착층(221)을 통해 와셔(211)와 결합되어 있고, 열가소성 접착층(221)은 와셔(211)의 외주변으로부터 일정 거리(D)만큼 내측으로 이격된 부분에 부가되어 있는 바, 와셔(211)의 외경은 가스켓(205)의 외경보다 크고, 와셔(211)의 중심점과 가스켓(205)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가스켓(205)은 전류 차단 부재(204)의 하면 외주부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205a), 상기 제 1 결합부(205a)의 외주변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된 단차부(205b), 상기 단차부(205b)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평행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안전벤트(203)의 하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205c), 상기 제 2 결합부(205c)의 외주변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며 상기 안전벤트(203)의 외주변을 감싸는 캡 플레이트(202)의 외주변과 결합되는 제 3 결합부(205d), 및 상기 제 3 결합부(205d)의 상부 외주변으로서 상기 와셔(211)와 결합되는 제 4 결합부((205e)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는, 안전벤트가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을 감싸는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제 3 결합부(205d)는 안전벤트의 외주변 및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과 결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캡 어셈블리가 원통형 전지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의 일부분의 수직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와셔(211)는 열가소성 접착층(221)을 통해 가스켓(205)의 제 4 결합부 및 캡 플레이트(202)를 감싸는 구조의 안전벤트(203)의 일부분과 결합된 상태로 원통형 전지케이스(201)의 개방된 상면 외주부 상에 위치한다.
또는, 도 3과 달리, 안전벤트(203)가 캡 플레이트(202)를 둘러싸는 구조가 아닌 경우에는, 와셔(211)는 열가소성 접착층(221)을 통해 가스켓(205)의 제 4 결합부 및 캡 플레이트(202)의 일부분과 결합된 상태로 원통형 전지케이스(201)의 개방된 상면 외주부상에 위치한다.
와셔(211)의 외경은 전지케이스(201)의 외경과 동일하고, 와셔(211)에서 열가소성 접착층(221)이 부가되지 않은 하면의 외주변(211a)은 전지케이스(201)의 외주부 상면(201a)과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전지케이스(201)는 전지케이스(101)와 달리 비딩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인 바, 전극조립체(230)의 크기를 비딩부가 있는 경우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극조립체와 캡 어셈블리의 하단에 위치하는 전류차단부재와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고, 가스켓(205)의 단차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은 비딩부가 생략된 전지케이스를 사용하고, 캡 어셈블리의 고정을 위하여 캡 어셈블리와 가스켓 상에 열가소성 접착층을 개재하여 와셔와 결합하여 캡 어셈블리를 전지케이스와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생략된 비딩부의 높이만큼 전극조립체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고용량의 원통형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200 : 원통형 전지셀
101, 201 : 원통형 전지케이스
102, 202 : 탑 플레이트
103, 203 : 안전벤트
104, 204 : 전류차단부재
105, 205 : 가스켓
205a : 가스켓의 제 1 결합부
205b : 가스켓의 단차부
205c : 가스켓의 제 2 결합부
20d : 가스켓의 제 3 결합부
205e : 가스켓의 제 4 결합부
110, 210 : 캡 어셈블리
130, 230 : 전극조립체
131 : 양극 탭
201a :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상면
211 : 와셔
211a : 와서의 하면 외주변
221 : 열가소성 접착층
D : 와셔의 외주변과 열가소성 접착층 외주변 간의 거리

Claims (12)

  1.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권취된 형태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케이스;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위치하는 캡 어셈블리; 및
    상기 캡 어셈블리와 상기 원통형 전지케이스 간의 절연성을 담보하기 위해 안전벤트의 외주변과 하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고,
    상기 캡 어셈블리는, 전지의 내압 상승시 파열되면서 가스를 배출하는 안전벤트, 상기 안전벤트의 상부에 탑재되고, 가스 배출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안전벤트의 하단에 부착되고 전지의 내압 상승시 전류를 단전시키는 전류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은, 전지케이스의 개방된 상면 외주부 상에 위치하면서 캡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와셔와 결합되는 원통형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열가소성 접착층을 통해 상기 와셔와 결합되는 원통형 전지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접착층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실리콘(Silicon)계 수지, 에폭시(epoxy)계 수지, 폴리에스터(Polyester),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수지,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케톤(Polyketone, PK), 플루오르폴리머(fluoropolymer, FP),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프탈아미드(Polyphthalamide, PPA),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PCT),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alate, 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변성 폴리프로필렌(PP-modified), 초고분자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PE-UHMW),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PE-HD)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PE-LD)인 원통형 전지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는 가스켓과 함께 와셔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에 수납되는 원통형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외경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경과 동일한 원통형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하면 외주변은 전지케이스의 외주부 상면과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원통형 전지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전지케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원통형 전지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전류 차단 부재의 하면 외주부와 결합하는 제 1 결합부,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변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된 단차부, 상기 단차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평행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안전벤트의 하면과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상기 제 2 결합부의 외주변에서 수직으로 상향 절곡되며 상기 안전벤트의 외주변 및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과 결합되는 제 3 결합부, 및 상기 제 3 결합부의 상부 외주변으로서 상기 와셔와 결합되는 제 4 결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원통형 전지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외주변 일부를 덮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 전지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상기 가스켓의 제 4 결합부 및 캡 플레이트의 일부와 결합하는 원통형 전지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와 캡 어셈블리 하단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단차부의 높이보다 작은 원통형 전지셀.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170117208A 2017-09-13 2017-09-13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KR102263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08A KR102263435B1 (ko) 2017-09-13 2017-09-13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PCT/KR2018/010740 WO2019054765A1 (ko) 2017-09-13 2018-09-13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CN201880013674.1A CN110352511B (zh) 2017-09-13 2018-09-13 不具有卷边部的圆柱形电池单元
US16/489,602 US11063318B2 (en) 2017-09-13 2018-09-13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no beading part
JP2019546849A JP6780217B2 (ja) 2017-09-13 2018-09-13 ビーディング部が省略された円筒形電池セル
EP18857031.1A EP3584853B1 (en) 2017-09-13 2018-09-13 Cylindrical battery cell having no bead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208A KR102263435B1 (ko) 2017-09-13 2017-09-13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016A true KR20190030016A (ko) 2019-03-21
KR102263435B1 KR102263435B1 (ko) 2021-06-11

Family

ID=6572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208A KR102263435B1 (ko) 2017-09-13 2017-09-13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63318B2 (ko)
EP (1) EP3584853B1 (ko)
JP (1) JP6780217B2 (ko)
KR (1) KR102263435B1 (ko)
CN (1) CN110352511B (ko)
WO (1) WO2019054765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58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82143A1 (ko) * 2021-02-23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이차전지 제조방법,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50270A1 (ko) * 2021-05-27 2022-12-01 삼성에스디아이(주) 원통형 이차전지
WO2023055088A1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55091A1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원통형 배터리 셀 제조 방법
WO2023075523A1 (ko)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자동차 및 집전판
WO2023075520A1 (ko)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집전판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30111853A (ko) * 2022-01-19 2023-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593B1 (ko) * 2019-06-18 2023-1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홈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US20230246302A1 (en) * 2021-01-19 2023-08-0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13270669A (zh) * 2021-06-17 2021-08-17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电极盖板及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866A (ko)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에 의해 탑 캡이 결합된 원통형 전지
KR20120047114A (ko) *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US20130216870A1 (en) * 2010-12-07 2013-08-22 Lg Chem,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60085858A (ko) 2013-12-11 2016-07-18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담배 제조 봉형물에 둘레방향 슬릿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2178A (en) * 1971-07-30 1975-11-25 Union Carbide Corp Alkaline battery seal and protective coating comprising a fatty acidamide
US4256815A (en) * 1980-01-21 1981-03-17 Union Carbide Corporation Seals for electrochemical cells
JPH08180849A (ja) 1994-12-22 1996-07-12 Fuji Elelctrochem Co Ltd 電気化学素子の防爆構造
US6322921B1 (en) * 1996-07-09 2001-11-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sealing plate assembly therefor
EP0973212B1 (en) * 1997-03-19 2002-06-12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Nonaqueous thin battery
AU2843500A (en) * 1998-12-15 2000-07-03 Electric Fuel Limited Structure for a prism-shaped metal-air battery cell with features to prevent electrolyte leakage and to maintain connectivity between an air cathode and a casing element
TW504854B (en) * 1999-08-27 2002-10-01 Toshiba Battery Flat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4028700B2 (ja) 2001-08-07 2007-12-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ルカリ乾電池
US20050112462A1 (en) * 2003-11-21 2005-05-26 Marple Jack W. High discharge capacity lithium battery
KR100449762B1 (ko) * 2002-09-05 2004-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4567374B2 (ja) * 2003-08-28 2010-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777763A3 (en) * 2005-10-21 2007-1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lkaline battery
EP2102926A4 (en) * 2006-12-05 2011-01-05 Moon Seung Ja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06883B1 (ko) * 2006-12-23 2011-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흡입성 와셔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
KR100947989B1 (ko) * 2007-11-06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8147999B2 (en) * 2008-06-11 2012-04-03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losure assembly with low vapor transmission for electrochemical cell
KR20200124769A (ko) 2009-11-20 2020-11-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트랜지스터
KR101093924B1 (ko) * 2010-01-11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02754250B (zh) * 2010-02-19 2015-12-0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硬币形锂二次电池
KR101310731B1 (ko) 2010-03-22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KR101293208B1 (ko) 2010-03-22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캡 조립체
KR101184403B1 (ko) 2010-10-21 2012-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20052586A (ko)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142622B1 (ko) * 2010-11-19 2012-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54174B1 (ko) 2011-03-08 2013-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전지
CN103650199B (zh) * 2011-07-13 2016-03-02 株式会社Lg化学 圆筒形二次电池
KR101326069B1 (ko) * 2011-12-26 2013-1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EP2800162B1 (en) * 2012-02-24 2015-09-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ylindrical alkaline storage battery
EP2690687A1 (de) * 2012-07-26 2014-01-29 VARTA Microbattery GmbH Knopfzelle mit Anodenwickel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514827B1 (ko) 2013-02-26 2015-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6329A (ko) 2013-02-26 2014-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US10147967B2 (en) * 2014-07-24 2018-12-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ylindrical battery
KR101889592B1 (ko) 2015-01-16 2018-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딩부를 포함하지 않는 원통형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47477B1 (ko) * 2015-07-21 2019-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형 이차전지
JP6861367B2 (ja) * 2015-08-31 2021-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2112692B1 (ko) 2015-11-30 2020-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인 셀
KR102093386B1 (ko) * 2016-06-22 2020-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전류 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866A (ko) 2006-02-09 2007-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에 의해 탑 캡이 결합된 원통형 전지
KR20120047114A (ko) *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US20130216870A1 (en) * 2010-12-07 2013-08-22 Lg Chem, Ltd.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60085858A (ko) 2013-12-11 2016-07-18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담배 제조 봉형물에 둘레방향 슬릿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858A2 (ko) 2021-01-19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EP4044334A2 (en) 2021-01-19 2022-08-1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with current collector,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uch battery
DE202022002775U1 (de) 2021-01-19 2023-05-1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ie mit Stromabnehmer, Batteriepack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Batterie
DE202022002791U1 (de) 2021-01-19 2023-06-28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ie, Batteriepack und Fahrzeug damit
WO2022182143A1 (ko) * 2021-02-23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이차전지 제조방법,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50270A1 (ko) * 2021-05-27 2022-12-01 삼성에스디아이(주) 원통형 이차전지
WO2023055088A1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조립체,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3055091A1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원통형 배터리 셀 제조 방법
WO2023075523A1 (ko)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 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및 자동차 및 집전판
WO2023075520A1 (ko)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집전판을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30111853A (ko) * 2022-01-19 2023-07-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4853A1 (en) 2019-12-25
US20190386272A1 (en) 2019-12-19
CN110352511A (zh) 2019-10-18
JP2020509546A (ja) 2020-03-26
CN110352511B (zh) 2022-04-19
JP6780217B2 (ja) 2020-11-04
US11063318B2 (en) 2021-07-13
EP3584853A4 (en) 2020-05-06
WO2019054765A1 (ko) 2019-03-21
KR102263435B1 (ko) 2021-06-11
EP3584853B1 (en)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0016A (ko)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US7842416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cap assembly
US7192671B2 (en) Battery having nonconductive core
JP7094953B2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90173073A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356490B (zh) 可再充电电池和包括可再充电电池的电池模块
KR101326069B1 (ko)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
US20140038031A1 (en) Cap assembl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pack
JP2014036020A (ja) 二次電池
KR20150137841A (ko) 단위전지모듈, 전지모듈과 전지팩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7005075A (ja) 組電池
KR101152471B1 (ko) 배터리 팩
CN110612629B (zh) 包括焊接杆的圆柱形二次电池
KR102464006B1 (ko) 2개 이상의 권취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1302B1 (ko) 이차 전지
CN115312877A (zh) 二次电池
KR101563680B1 (ko) 이차 전지
CN107808982B (zh) 二次电池
US20230343988A1 (en) Button-type secondary battery
JP7376003B2 (ja) 柔軟な入力部を備えた円筒型二次電池
US20230395956A1 (en)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battery pack and vehicle
CN219017867U (zh) 电极组件、圆筒形电池
CN219457681U (zh) 二次电池
US20230344089A1 (en) Electric power storage module
JP2023549158A (ja) 二次電池、電池パック、および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