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799A - 가상 피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피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799A
KR20190029799A KR1020170096895A KR20170096895A KR20190029799A KR 20190029799 A KR20190029799 A KR 20190029799A KR 1020170096895 A KR1020170096895 A KR 1020170096895A KR 20170096895 A KR20170096895 A KR 20170096895A KR 20190029799 A KR20190029799 A KR 2019002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virtual
data
fitting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예진
장민수
김신교
윤상연
박수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9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799A/ko
Publication of KR2019002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05Tree description, e.g. octree, quadtre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되거나 입력된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가상신체에 의류 데이터를 피팅할 수 있는 가상 피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로딩하는 데이터 로딩부, 가상신체에 형성된 신체 특징점에 의류 데이터에 형성된 의류 특징점을 매칭시키는 특징점 매칭부, 상기 의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의류 데이터의 외형을 수정하여 가상신체에 피팅하는 피팅 연산부, 및 의류의 외부 라인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하여 피팅 정도를 나타내는 피팅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피팅 시스템{VIRTUAL FITTING SYSTEM}
본 발명은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상신체에 의류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인은 현재 유행하는 패션 및 자신에게 맞는 패션을 찾기 위한 정보 획득 수단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인해 인터넷에서는 다양한 쇼핑몰들이 생겨났으며, 이 중에서 가장 각광받는 분야 중의 하나가 의류 및 이를 포함한 패션 상품몰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패션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시간적, 공간적 자유를 십분 활용하여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육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여 이용한다.
사용자가 패션 상품몰의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게시된 상품의 이미지에 관심이 있는 경우 이를 선택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매 방식은 패션 상품의 경우, 이미지에서 좋게 보이던 상품이 실제로 수령했을 때 이미지와 다른 느낌을 받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반송, 반품 등이 발생되어 몰 운영자, 제품 생산자 및 구매자에게 시간적, 금전적 손해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 인터넷을 통한 패션 정보 제공 방법이 있다. 인터넷을 통한 패션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품과 체형을 합성하여 보여주는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가상의 모델을 만들어 의류 상품 즉, 의상, 안경, 신발, 모자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미리 입혀봄으로써 코디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의 코디 서비스 제공은 실물이 아닌 사이버 공간 상에서 가상의 모델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몸에 실제로 의류, 모자 등의 패션 제품을 걸쳤을 때 자신의 취향, 신체 특성, 피부, 헤어 색깔과의 전체적인 조화가 정확하게 맞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구입 후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여 반품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게다가 소비자는 오프라인의 백화점이나 쇼핑몰을 찾아가서 의류를 몸에 걸쳐본 후 현장에서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판단하지 못하고 구입한 후 집에 와서 입어 보거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 보면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많아서 의류를 반품 또는 교환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입어보고 패션 제품을 사서도 반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인터넷 상에서 구입한 패션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가 훨씬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당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온라인 상에서의 쇼핑 제공 서비스가 소비자 입장에서 신뢰도와 만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73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2-019410호
본 발명은 저장되거나 입력된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가상신체에 의류 데이터를 피팅할 수 있는 가상 피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은, 사용자의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로딩하는 데이터 로딩부, 가상신체에 형성된 신체 특징점에 의류 데이터에 형성된 의류 특징점을 매칭시키는 특징점 매칭부, 상기 의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의류 데이터의 외형을 수정하여 가상신체에 피팅하는 피팅 연산부, 및 의류의 외부 라인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하여 피팅 정도를 나타내는 피팅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 표시부는 의류 특징점들을 연결하여 의류의 외부 라인을 생성하고 표시하며, 가상신체의 외부라인을 함께 표시하는 라인 표시 모듈, 의류의 외부 라인 상에 복수의 의류 특징점들을 표시하고,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에 신체 특징점들을 표시하는 특징점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 표시부는 신체 특징점과 상기 신체 특징점에 대응되는 의류 특징점의 간격을 연산하여 표시하는 간격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신체 데이터는 복수의 신체 포인트로 이루어진 신체 점군과 가상신체의 특징점에 위치하는 신체 특징점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 데이터는 복수의 의류 포인트로 이루어진 의류 점군과 의류의 특징점에 위치하는 의류 특징점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 연산부는 의류의 치수가 신체 치수보다 큰 경우 의류 포인트들의 간격을 제어하여 주름을 형성하는 처짐 형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팅 연산부는 상기 피팅 연산부는 의류의 치수가 신체 치수보다 작은 경우 의류 포인트들의 간격을 제어하여 의류를 확장시키는 확장 연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은 의류의 외부 라인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의류와 가상신체의 피팅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에 의하여 상의 의류가 피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에 의하여 하의 의류가 피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에 의하여 상의 의류가 피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에 의하여 하의 의류가 피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200)은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상신체에 의류 데이터를 합성하여 표시한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상 피팅 시스템(200)은 데이터 로딩부(210), 특징점 매칭부(220), 피팅 연산부(230), 및 피팅 표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로딩부(210)는 사용자의 가상신체 데이터(D3)와 의류 데이터(D4)를 로딩한다. 데이터 로딩부(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 데이터(D4)를 로딩하고, 서버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가상신체 데이터(D3)를 로딩할 수 있다.
가상신체 데이터(D3)는 복수의 신체 포인트로 이루어진 신체 점군과 가상신체의 특징 부분에 위치하는 신체 특징점(P1)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체 특징점(P1)은 신체 사이즈와 부합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상신체의 외곽을 이루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 신체 특징점(P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상신체 데이터(D3)는 3차원으로 이루어진 점군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상신체 데이터(D3)는 스캐너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3차원 점군 데이터로 변환된 상태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의류 데이터(D4)는 복수의 의류 포인트로 이루어진 의류 점군과 의류의 특징 부분에 위치하는 의류 특징점(P2)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특징점(P2)은 신체 사이즈와 부합되는 의류의 특징을 나타내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의류의 외곽을 이루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 의류 특징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의류 데이터(D4)는 3차원으로 이루어진 점군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의류 데이터(D4)는 스캔된 데이터 또는 디자인 데이터가 3차원 점군 데이터로 변환된 상태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특징점 매칭부(220)는 가상신체에 형성된 신체 특징점(P1)에 의류 데이터(D4)에 형성된 의류 특징점(P2)을 매칭시킨다. 특징점 매칭부(220)는 신체 특징점(P1)에 대응되는 의류 특징점(P2)을 탐색하고, 각각의 의류 특징점(P2)의 위치를 지정하여 배치한다.
이를 위해서 특징점 매칭부(220)는 기준점 매칭 모듈(221), 특징점 비교 모듈(222), 특징점 배치 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점 매칭 모듈(221)은 신체 특징점 중 어느 하나를 신체 기준점으로 지정하고, 신체 기준점으로 지정된 신체 특징점(P1)에 대응하는 의류 특징점(P2)을 의류 기준점으로 지정하여 매칭시킨다. 기준점 매칭 모듈(221)은 신체 기준점과 의류 기준점을 동일한 위치에 배치한다.
기준점은 의류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하지 않는 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점은 의류를 기준으로 제일 상단 중앙에 위치한 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징점 비교 모듈(222)은 신체 기준점과 다른 신체 특징점(P1) 사이의 간격과 의류 기준점과 다른 의류 특징점(P2) 사이의 간격을 비교한다. 특징점 비교 모듈(222)은 각 신체 특징점(P1)에 대응되는 의류 특징점(P2)이 신체 특징점(P1)에서 어떻게 배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 기준점을 중심으로 특징점들의 간격 차이를 연산한다.
특징점 배치 모듈(223)은 신체 특징점(P1)과의 대응되는 의류 특징점(P2)의 간격 차이를 고려하여 의류 특징점들(P2)의 위치를 연산하여 의류 특징점들(P2)을 가상신체 상에 배치한다. 의류가 가상신체보다 큰 경우, 의류 특징점들(P2)은 가상신체의 대응되는 신체 특징점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피팅 연산부(230)는 의류 특징점(P2)의 위치를 기준으로 의류 데이터의 외형을 수정하여 가상신체에 피팅한다. 피팅 연산부(230)는 특징점에 따라 의류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수정한다. 피팅 연산부(230)는 처짐 형성 모듈(231)과 확장 연산 모듈(232)을 포함할 수 있다.
처짐 형성 모듈(231)은 의류의 치수가 신체 치수보다 큰 경우 의류 포인트들의 간격을 제어하여 주름을 형성한다. 처짐 형성 모듈(231)은 중력에 의하여 의류가 처지는 효과를 부여한다. 의류가 사용자의 신체보다 큰 경우에는 폭방향으로 의류를 모두 확장시킬 수 없으며, 주름이 생성되어야만 정확한 피팅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처짐 형성 모듈(231)은 사전에 의류에 처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확장 연산 모듈(232)은 의류의 치수가 신체 치수보다 작은 경우 의류 포인트들의 간격을 제어하여 의류를 확장시킨다. 확장 연산 모듈(232)은 입력된 의류의 속성을 고려하여 의류 포인트들의 이동 가능한 거리를 설정하고, 의류가 사용자의 신체보다 작은 경우, 이동 가능한 거리를 설정하여 의류의 타이트함을 표시할 수 있다. 확장 연산 모듈(232)은 의류 포인트들의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가상신체의 크기가 더 큰 경우에는 오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피팅 표시부(240)는 의류의 외부 라인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하여 피팅 정도를 나타낸다. 피팅 표시부(240)는 의류의 외부 라인 뿐만 아니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피팅 표시부(240)는 라인 표시 모듈(241), 특징점 표시 모듈(242), 및 간격 표시 모듈(243)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 표시 모듈(241)은 의류 특징점들(P2)을 연결하여 의류의 외부 라인을 생성한다. 또한 라인 표시 모듈(241)은 의류의 외부 라인과 함께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한다.
특징점 표시 모듈(242)은 의류의 외부 라인 상에 복수의 의류 특징점들(P2)을 표시한다. 또한, 특징점 표시 모듈(242)은 의류 특징점들(P2)과 함께 신체 특징점들(P1)을 표시한다.
간격 표시 모듈(243)은 신체 특징점(P1)과 이러한 신체 특징점(P1)에 대응되는 의류 특징점(P2)의 간격을 연산하여 표시한다. 간격 표시 모듈(243)은 특징점이 사용자의 터치 또는 클릭으로 선택될 때, 특징점들 사이의 간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의 외부 라인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의류와 가상신체의 피팅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0: 가상 피팅 시스템
210: 데이터 로딩부
220: 특징점 매칭부
221: 기준점 매칭 모듈
222: 특징점 비교 모듈
223: 특징점 배치 모듈
230: 피팅 연산부
231: 처짐 형성 모듈
232: 확장 연산 모듈
240: 피팅 표시부
241: 라인 표시 모듈
242: 특징점 표시 모듈
243: 간격 표시 모듈
D3: 가상신체데이터
D4: 의류 데이터
P1: 신체 특징점
P2: 의류 특징점

Claims (5)

  1.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상신체에 의류 데이터를 합성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가상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로딩하는 데이터 로딩부;
    가상신체에 형성된 신체 특징점에 의류 데이터에 형성된 의류 특징점을 매칭시키는 특징점 매칭부;
    상기 의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의류 데이터의 외형을 수정하여 가상신체에 피팅하는 피팅 연산부; 및
    의류의 외부 라인과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을 함께 표시하여 피팅 정도를 나타내는 피팅 표시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표시부는 의류 특징점들을 연결하여 의류의 외부 라인을 생성하고 표시하며, 가상신체의 외부라인을 함께 표시하는 라인 표시 모듈, 의류의 외부 라인 상에 복수의 의류 특징점들을 표시하고, 가상신체의 외부 라인에 신체 특징점들을 표시하는 특징점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표시부는 신체 특징점과 상기 신체 특징점에 대응되는 의류 특징점의 간격을 연산하여 표시하는 간격 표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신체 데이터는 복수의 신체 포인트로 이루어진 신체 점군과 가상신체의 특징점에 위치하는 신체 특징점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 데이터는 복수의 의류 포인트로 이루어진 의류 점군과 의류의 특징점에 위치하는 의류 특징점을 포함하며,
    상기 피팅 연산부는 의류의 치수가 신체 치수보다 큰 경우 의류 포인트들의 간격을 제어하여 주름을 형성하는 처짐 형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 연산부는 의류의 치수가 신체 치수보다 작은 경우 의류 포인트들의 간격을 제어하여 의류를 확장시키는 확장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피팅 시스템.
KR1020170096895A 2017-07-31 2017-07-31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29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95A KR20190029799A (ko) 2017-07-31 2017-07-31 가상 피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95A KR20190029799A (ko) 2017-07-31 2017-07-31 가상 피팅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162A Division KR20190082685A (ko) 2019-05-22 2019-05-22 가상 피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799A true KR20190029799A (ko) 2019-03-21

Family

ID=6603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95A KR20190029799A (ko) 2017-07-31 2017-07-31 가상 피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79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733A (ko)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 디자인을 지원하는 아바타 기반 의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20019410A (ko) 2010-08-24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 기반 바이오메트릭 시스템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733A (ko)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사용자 고유 디자인을 지원하는 아바타 기반 의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20019410A (ko) 2010-08-24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 기반 바이오메트릭 시스템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1649B1 (ko) 신체 데이터와 의류 데이터를 조합한 3d 합성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시스템
Zhao et al. Big data and digital design models for fashion design
KR101765184B1 (ko) 온라인 쇼핑몰 제품의 심미감 비교정보 제공방법
KR20200067511A (ko)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KR20200015925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14561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14253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82685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29799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000030624A (ko) 패션 잡화 전용 사이버 몰 및 그 구성 방법
KR20190123255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30202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28826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101995277B1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KR102042551B1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1938161B1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20190028827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14257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102042549B1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20190030239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200008983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20190014245A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KR20010093913A (ko) 인터넷을 이용한 코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3174A (ko) 3차원 캐릭터를 이용한 맞춤 시스템
KR20190014560A (ko) 가상 피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