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161B1 -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161B1
KR101938161B1 KR1020170096869A KR20170096869A KR101938161B1 KR 101938161 B1 KR101938161 B1 KR 101938161B1 KR 1020170096869 A KR1020170096869 A KR 1020170096869A KR 20170096869 A KR20170096869 A KR 20170096869A KR 101938161 B1 KR101938161 B1 KR 10193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mensional
module
clothing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연
이동찬
배인규
박용수
박수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이언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9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56Particle system, point based geometry or ren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점군 데이터로 이루어진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스캔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캔 데이터 입력부,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의 부위를 판별하고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추출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통합하여 3차원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통합부, 및 통합된 의류 데이터에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로딩하는 점군 로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3-DIMENSION CLOTHING DATA CREATING SYSTEM}
본 발명은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으로 이루어진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인은 현재 유행하는 패션 및 자신에게 맞는 패션을 찾기 위한 정보 획득 수단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이러한 흐름으로 인해 인터넷에서는 다양한 쇼핑몰들이 생겨났으며, 이 중에서 가장 각광받는 분야 중의 하나가 의류 및 이를 포함한 패션 상품몰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패션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제공하는 시간적, 공간적 자유를 십분 활용하여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육체적인 노력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여 이용한다.
사용자가 패션 상품몰의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게시된 상품의 이미지에 관심이 있는 경우 이를 선택하여 상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매 방식은 패션 상품의 경우, 이미지에서 좋게 보이던 상품이 실제로 수령했을 때 이미지와 다른 느낌을 받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반송, 반품 등이 발생되어 몰 운영자, 제품 생산자 및 구매자에게 시간적, 금전적 손해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 인터넷을 통한 패션 정보 제공 방법이 있다. 인터넷을 통한 패션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품과 체형을 합성하여 보여주는 코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가상의 모델을 만들어 의류 상품 즉, 의상, 안경, 신발, 모자 등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에서 자신이 선택한 상품을 미리 입혀봄으로써 코디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인터넷 상의 코디 서비스 제공은 실물이 아닌 사이버 공간 상에서 가상의 모델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몸에 실제로 의류, 모자 등의 패션 제품을 걸쳤을 때 자신의 취향, 신체 특성, 피부, 헤어 색깔과의 전체적인 조화가 정확하게 맞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구입 후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여 반품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게다가 소비자는 오프라인의 백화점이나 쇼핑몰을 찾아가서 의류를 몸에 걸쳐본 후 현장에서 자신에게 어울리는지 판단하지 못하고 구입한 후 집에 와서 입어 보거나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 보면 자신에게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도 많아서 의류를 반품 또는 교환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입어보고 패션 제품을 사서도 반품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인터넷 상에서 구입한 패션 제품의 경우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가 훨씬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당연한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온라인 상에서의 쇼핑 제공 서비스가 소비자 입장에서 신뢰도와 만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733호 한국공개특허 제2012-019410호
본 발명은 3차원 점군 데이터로 이루어진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스캔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캔 데이터 입력부,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의 부위를 판별하고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추출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통합하여 3차원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통합부, 및 통합된 의류 데이터에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로딩하는 점군 로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통합된 의류 데이터에서 의류의 길이 및 넓이를 연산하는 치수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수신된 의류 데이터가 2차원 데이터인지 3차원 데이터인지 판별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과,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의 부위를 판별하는 부분 판별 모듈과 분류된 데이터들에서 데이터들의 조합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추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합부는 의류의 전면에 배치된 부분과 의류의 후면의 부분을 분리하는 분리 모듈, 의류의 측면 형상을 도출하고,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들을 분리하는 측면 도출 모듈, 전면, 측면, 후면을 구성하는 부분들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군 로딩부는 복수의 제1 포인트를 생성하는 제1 점군 로딩 모듈과 복수의 제2 포인트를 생성하는 제2 점군 로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인트는 상기 제2 포인트 보다 더 큰 넓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서버에 저장된 의류 디자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점군 데이터로 이루어진 3차원 의류 데이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3차원 의류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의하여 3차원 의류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은 스캔 데이터 입력부(310), 데이터 추출부(320), 데이터 통합부(330), 점군 로딩부(340), 치수 연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300)은 가상신체(virtual body)에 피팅될 수 있는 3차원으로 이루어진 의류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캔 데이터 입력부(310)는 스캐너(C1)에 의하여 촬영된 의류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스캐너(C1)를 이용하여 의류(D3)를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전송하면 스캔 데이터 입력부(310)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
스캐너(C1)는 2D 카메라 또는 3D 카메라, 3D 스캐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마트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의류를 촬영하고 저장하면 스캔 데이터 입력부(310)가 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만 스캐너가 3D 스캐너로 이루어지면 옷을 마네킹 또는 옷걸이에 걸친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의류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320)는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의 부위를 판별하고 필요한 부분을 추출한다. 데이터 추출부(320)는 데이터 분류 모듈(321), 부분 판별 모듈(322), 추출 모듈(323)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분류 모듈(321)은 수신된 의류 데이터가 2차원 데이터인지 3차원 데이터인지 판별한다. 수신된 의류 데이터는 2차원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차원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의류 중에 상의 어깨 부분 또는 3차원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3차원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부분 판별 모듈(322)은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의 부위를 판별한다. 수신된 의류 데이터는 의류 전체에 대한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부분 데이터일 수도 있는 바, 부분 판별 모듈(322)은 수신된 의류 데이터가 의류의 어떠한 부분에 관한 데이터인지 판별한다.
추출 모듈(323)은 분류된 데이터들에서 데이터들의 조합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한다. 추출 모듈(323)은 3차원 데이터와 결합 가능한 2차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결합 가능한 2차원 데이터들을 추출할 수도 있다.
데이터 통합부(330)는 추출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통합한다. 데이터 통합부(330)는 추출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3차원 의류 데이터(D4)를 완성한다.
데이터 통합부(330)는 분리 모듈(331), 측면 도출 모듈(332), 결합 모듈(333)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모듈(331)은 의류의 전면에 배치된 부분과 의류의 후면의 부분을 분리한다.
측면 도출 모듈(332)은 의류의 측면 형상을 도출하고,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을 분리한다. 결합 모듈(333)은 전면, 측면, 후면을 구성하는 부분들을 결합하여 3차원 의류 데이터(D4)를 완성한다.
점군 로딩부(340)는 호출된 의류 디자인 데이터에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표시한다. 점군 로딩부(340)는 제1 점군 로딩 모듈(341), 제2 점군 로딩 모듈(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군 로딩 모듈(341)은 복수의 제1 포인트를 생성하며, 제2 점군 로딩 모듈(342)은 복수의 제2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포인트는 제1 포인트 보다 더 큰 넓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포인트는 단일 좌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포인트는 범위를 갖는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포인트의 넓이는 상기 제1 포인트의 넓이의 2배 내지 10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넓이가 서로 다른 포인트들을 의류 데이터 상에 형성하면, 보다 용이하게 의류에 형성된 포인트와 가상신체에 형성된 포인트들을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점군 로딩부(340)는 제2 포인트를 의류 데이터의 내측에 배치하고, 제1 포인트를 상기 제1 포인트들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팅에서 중요한 부분은 의류의 테두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바, 테두리 부분에는 작은 제1 포인트들을 배치하여 자세히 표할 수 있으며, 의류의 내측 부분에는 넓이가 큰 제2 포인트들을 배치하여 보다 용이하게 피팅을 구현할 수 있다.
치수 연산부(350)는 통합된 데이터에서 의류의 길이 및 넓이를 연산한다. 치수 연산부(350)는 점군 사이의 간격과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류의 각 부분의 치수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용이하게 3차원 의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300: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310: 스캔 데이터 입력부
320: 데이터 추출부
321: 데이터 분류 모듈
322: 부분 판별 모듈
323: 추출 모듈
330: 데이터 통합부
331: 분리 모듈
332: 측면 도출 모듈
333: 결합 모듈
340: 점군 로딩부
341: 제1 점군 로딩 모듈
342: 제2 점군 로딩 모듈
350: 치수 연산부

Claims (5)

  1. 스캔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캔 데이터 입력부;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를 부위별로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추출된 복수의 의류 데이터를 통합하여 3차원 의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통합부; 및
    통합된 의류 데이터에 복수의 포인트로 이루어진 점군을 로딩하는 점군 로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수신된 의류 데이터가 2차원 데이터인지 3차원 데이터인지 판별하는 데이터 분류 모듈과, 수신된 의류 데이터들에서 스캔된 의류의 부위를 판별하는 부분 판별 모듈과 분류된 데이터들에서 데이터들의 취합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는 추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군 로딩부는 복수의 제1 포인트를 생성하는 제1 점군 로딩 모듈과 복수의 제2 포인트를 생성하는 제2 점군 로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인트는 상기 제1 포인트 보다 더 큰 넓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통합된 의류 데이터에서 의류의 길이 및 넓이를 연산하는 치수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합부는 의류의 전면에 배치된 부분과 의류의 후면의 부분을 분리하는 분리 모듈, 의류의 측면 형상을 도출하고,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들을 분리하는 측면 도출 모듈, 전면, 측면, 후면을 구성하는 부분들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5. 삭제
KR1020170096869A 2017-07-31 2017-07-31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10193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69A KR101938161B1 (ko) 2017-07-31 2017-07-31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869A KR101938161B1 (ko) 2017-07-31 2017-07-31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161B1 true KR101938161B1 (ko) 2019-01-15

Family

ID=6503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869A KR101938161B1 (ko) 2017-07-31 2017-07-31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31B1 (ko) * 2021-05-13 2021-10-27 김준현 폐의류를 활용한 의류 리사이클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769A (ja) 2011-09-13 2013-04-04 Brother Ind Ltd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5210670A (ja) * 2014-04-25 2015-11-24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3次元データ表示装置、3次元データ表示方法、及び3次元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KR101826616B1 (ko) 2017-06-16 2018-02-07 강민주 오프라인 검증 기반으로 제공된 의류 제품, 그리고 이를 위한 오프라인 검증 기반 의류 제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1769A (ja) 2011-09-13 2013-04-04 Brother Ind Ltd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5210670A (ja) * 2014-04-25 2015-11-24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3次元データ表示装置、3次元データ表示方法、及び3次元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KR101826616B1 (ko) 2017-06-16 2018-02-07 강민주 오프라인 검증 기반으로 제공된 의류 제품, 그리고 이를 위한 오프라인 검증 기반 의류 제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31B1 (ko) * 2021-05-13 2021-10-27 김준현 폐의류를 활용한 의류 리사이클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7365B (zh) 业务对象信息的图片展示方法及装置
KR101418372B1 (ko) 가상피팅을 이용한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추천 방법
KR20190000397A (ko) 패션 선호도 분석 기법
KR101682769B1 (ko)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CN104933599A (zh) 一种用于网络交易的三维水晶珠宝商城系统
CN103366290A (zh) 一种网络试衣系统
KR20200067511A (ko) 신체 사이즈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 피팅 서비스 시스템
KR20150097903A (ko) 3d 아바타를 이용한 가상 피팅룸 시스템 및 방법
KR101938161B1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Shadrach et al. Smart virtual trial room for apparel industry
Srinivasan et al. Implementation of virtual fitting room using image processing
KR20190014561A (ko) 가상 피팅 시스템
KR102064653B1 (ko) 증강현실 의류 쇼핑을 위한 웨어러블 글래스 및 증강현실 의류 쇼핑 방법
KR20190014253A (ko) 가상 피팅 시스템
Ram et al. A review on virtual reality for 3D virtual trial room
CN106651500B (zh) 基于空间反馈特征的视频图像识别技术和虚拟现实技术的网上购物系统
KR102042551B1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20190014241A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KR101797864B1 (ko) Vr 기기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방법
KR102096016B1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KR20190014246A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CN113609319A (zh) 商品搜索方法、装置和设备
KR20190014248A (ko) 3차원 의류 데이터 생성 시스템
KR20190014245A (ko) 가상신체 구현 시스템
Kubal et al. Augmented reality based online sho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