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449A - 봉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봉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449A
KR20190029449A KR1020180105523A KR20180105523A KR20190029449A KR 20190029449 A KR20190029449 A KR 20190029449A KR 1020180105523 A KR1020180105523 A KR 1020180105523A KR 20180105523 A KR20180105523 A KR 20180105523A KR 20190029449 A KR20190029449 A KR 20190029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ganic electronic
weight
parts
encap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228B1 (ko
Inventor
이승민
김소영
양세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90029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15Thre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유기전자장치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봉지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여 유기전자장치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고,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대량 생산에서의 조명 등 광원 노출 시 경시 변화가 적으며 이에 따라 공정성이 우수한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봉지용 조성물 {ENCAPSULATION COMPOSITION}
본 출원은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및 상기 유기전자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자장치(OED; organic electronic device)는 정공 및 전자를 이용하여 전하의 교류를 발생하는 유기 재료층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광전지 장치(photovoltaic device), 정류기(rectifier),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장치 중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doe)는 기존 광원에 비하여, 전력 소모량이 적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표시장치 또는 조명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또한, OLED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여, 각종 휴대용 기기, 모니터, 노트북 및 TV에 걸친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OLED의 상용화 및 용도 확대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문제점은 내구성 문제이다. OLED에 포함된 유기재료 및 금속 전극 등은 수분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매우 쉽게 산화된다. 따라서, OLED를 포함하는 제품은 환경적 요인에 크게 민감하다. 이에 따라 OLED 등과 같은 유기전자장치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산소 또는 수분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접착성 캡슐화 조성물 필름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올레핀계 수지인 PIB(polyisobutylene)을 기반으로 한 점착제로 가공성이 좋지 않고, 고온 고습 조건에서 신뢰성이 좋지 않다.
한국 공개 특허 제2008-0088606호
본 출원은 외부로부터 유기전자장치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봉지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여 유기전자장치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고,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대량 생산에서의 조명 등 광원 노출 시 경시 변화가 적으며 이에 따라 공정성이 우수한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은 봉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OLED 등과 같은 유기전자장치를 봉지 또는 캡슐화하는 것에 적용되는 봉지재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유기전자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봉지 또는 캡슐화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이 캡슐화에 적용된 후에는 유기전자장치의 주연부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기전자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정공 및 전자를 이용하여 전하의 교류를 발생하는 유기재료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물품 또는 장치를 의미하며, 그 예로는, 광전지 장치, 정류기, 트랜스미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전자장치는 OLE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내지 30 중량부, 7.2 내지 28 중량부, 7.3 내지 26 중량부, 7.5 내지 24 중량부 또는 7.6 내지 2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용어 「중량부」는 각 성분 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올레핀계 수지와 함께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고온 고습에서의 내열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수분 차단성 및 광 노출에 대한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봉지용 조성물은 반응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투습도가 50 g/m2·day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유기전자장치를 봉지 또는 캡슐화하는데 적용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투습도 범위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습도가 50 g/m2·day 이하인 수지」란, 상기 수지를 5 내지 100 ㎛ 중 어느 한 두께의 수지층으로 형성된 필름 형태로 제조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측정한 투습도(Water Vapor Transmission Rate)가 50 g/m2·day 이하로 측정되는 수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투습도는, 100℉ 및 100%의 상대 습도 하에서 측정되며, 50 g/m2·day 이하, 40 g/m2·day 이하, 30 g/m2·day 이하, 20 g/m2·day 이하 또는 10 g/m2·day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투습도는 낮을수록 우수한 수분 차단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0 g/m2·day 또는 0.1 g/m2·day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예시적인 올레핀계 수지는 단량체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며, 혼합물은 적어도 탄소수 4 내지 7의 이소올레핀 단량체 성분 또는 멀티올레핀 단량체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이소올레핀은, 예를 들어, 전체 단량체 중량으로 70 내지 100 중량%, 또는 85 내지 99.5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멀티올레핀 유도 성분은 0.5 내지 30 중량%, 0.5 내지 15 중량%, 또는 0.5 내지 8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이소올레핀은, 예를 들어, 이소부틸렌, 2-메틸-1-부텐, 3-메틸-1-부텐, 2-메틸-2-부텐, 1-부텐, 2-부텐, 메틸 비닐 에테르, 인덴, 비닐트리메틸실란, 헥센, 또는 4-메틸-1-펜텐이 예시될 수 있다. 멀티올레핀은 탄소수 4 내지 14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소프렌, 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미르센, 6,6-디메틸-풀벤, 헥사디엔, 시클로펜타디엔, 또는 피페릴렌이 예시될 수 있다. 다른 중합가능한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과 디클로로스티렌이 또한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올레핀계 수지는 이소부틸렌계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소부틸렌계 올레핀계 수지 또는 중합체는 이소부틸렌으로부터 70 몰% 이상의 반복 단위와 하나 이상의 다른 중합가능한 단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수지 또는 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올레핀계 수지는 부틸 고무 또는 분지된 부틸형 고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올레핀계 수지는 불포화 부틸 고무 예컨대 올레핀 또는 이소올레핀과 멀티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봉지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이소부틸렌-코-이소프렌),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스티렌-코-부타디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유용한 올레핀계 수지는 본 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여기서 올레핀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저분자량의 폴리이소부틸렌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올레핀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g/mol 이하. 9만 g/mol 이하 또는 7만 g/mol 이하이고, 하한은 500 g/mol 이상, 1,000 g/mol 이상, 10,000 g/mol 이상 또는 55,000 g/mol 이상 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범위로, 올레핀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제어함으로써, 도포 및 캡슐화 공정에 적합한 봉지용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봉지용 조성물은 액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후술하는 유기전자장치의 측면 봉지 도포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에 포함되는 반응성 관능기는 극성 관능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전술한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후술하는 반응성 희석제와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산무수물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옥사졸린기, 옥세탄기, 시아네이트기, 페놀기, 하이드라지드기, 또는 아미드기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올레핀계 수지의 예시로는, 석신산 무수물 변성 폴리이소부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액상 폴리이소프렌, 에폭시 변성 폴리이소프렌, 히드록실기 변성 액상 폴리이소프렌 또는 알릴 변성 액상 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올레핀계 수지가 전술한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후술하는 반응성 희석제와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수분 차단성, 취급성 등의 물성을 갖는 봉지용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2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1개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올레핀계 수지가 갖는 고온 고습에서의 낮은 내열 내구성을 보완하면서 낮은 세기의 광 노출 시 경시 변화를 줄여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g/mol 내지 5만 g/mol, 600 g/mol 내지 4만 g/mol, 700 g/mol 내지 3만 g/mol, 800 g/mol 내지 2만 g/mol 또는 900 g/mol 내지 15,000 g/mol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의 범위를 갖는 올리고머를 포함함으로써, 목적하는 측면 봉지재로서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관능기는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아미드기 등과 같은 열경화 가능한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혹은 우레탄기, 에폭사이드(epoxide)기, 고리형 에테르(cyclic ether)기, 설파이드(sulfide)기, 아세탈(acetal)기 또는 락톤(lactone)기 등과 같은 전자기파의 조사에 의해 경화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알리파틱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60 중량부, 10 내지 50중량부, 12 내지 48 중량부, 13 내지 44 중량부 또는 14 내지 4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기존의 올레핀계 수지가 갖는 고온 고습에서의 낮은 내열 내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반응성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g/mol 미만, 450 g/mol 미만, 300 g/mol 미만, 350 g/mol 미만 또는 300 g/mol 미만일 수 있다.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0 g/mol 이상 또는 50 g/mol 이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함으로써,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된 기판 상에 봉지재를 도포함에 있어서, 우수한 도포 특성 및 공정성을 구현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반응성 희석제가 포함됨에 따라, 봉지용 조성물을 무용제 타입으로 제공하여, 소자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25℃의 온도, 5%의 스트레인 및 1Hz의 진동수에서 측정한 점도가 500cP 이하 또는 50cP 내지 300cP의 범위 일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점도 범위를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함으로써, 봉지용 조성물을 유기전자소자의 주연부에 도포함에 있어서,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또는 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단관능성 아크릴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올레핀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올레핀계 수지와 구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 방향족 또는 지방족; 또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2개 이상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에폭시 당량이 50 g/eq 내지 350 g/eq 또는 100 g/eq 내지 300 g/eq인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반응성 희석제로서 분자 구조 내에 환형 구조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환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환족 에폭시 수지는 올레핀계 수지 또는 반응성 희석제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상분리 없이 경화되어 조성물의 균일한 가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은 알리파틱 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다이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글라이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다이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글라이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네오펜틸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 상기 옥세탄기 화합물은 옥세탄 관능기를 갖는 한 그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TOAGOSEI사의 OXT-221, CHOX, OX-SC, OXT101, OXT121, OXT221 또는 OXT212, 또는 ETERNACOLL사의 EHO, OXBP, OXTP 또는 OXMA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폴리부타디엔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8-옥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2-도데세인디올(dodecanedio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디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반응성 희석제는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12 내지 48 중량부, 13 내지 44중량부 또는 14 내지 42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봉지용 조성물의 도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이 상기 반응성 희석제를 포함하여, 올레핀계 수지,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반응성 희석제를 함께 포함할 경우, 상기 각 성분은 각각 45 내지 75 중량부, 8 내지 21 중량부, 3 내지 15 중량부 및 1 내지 21 중량부; 또는 48 내지 72 중량부, 9 내지 20.5 중량부, 4 내지 12 중량부 및 8 내지 20.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각 성분을 상기 비율과 같이 배합함으로써, 본 출원에서 목적하고자 하는 봉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무기 필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후술하는 수분 흡착제와는 별도로, 봉지용 조성물의 요변성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필러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칼슘, 알루미나 또는 탈크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필러 및 유기 바인더와의 결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필러로서 유기 물질로 표면 처리된 제품을 사용하거나, 추가적으로 커플링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28 중량부, 또는 3 중량부 내지 23 중량부의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무기 필러의 함량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봉지 구조 형상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봉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의 BET 표면적은 35 내지 500m2/g, 40 내지 400m2/g, 50 내지 300m2/g 또는 60 내지 200m2/g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비표면적은 BET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튜브에 상기 무기 필러 1g의 시료를 첨가하여 -195℃에서 전처리 없이 ASAP2020 (Micromeritics, 미국)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동일 샘플에 대하여 3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은 무기 필러의 비표면적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본 출원에서 목적하는 봉지 구조 형상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한 봉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는 열경화제 또는 광경화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제는,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반응성 희석제에 포함되는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종류가 선택 및 사용될 수 있으며, 1 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경우, 경화제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에폭시 경화제로서, 예를 들면, 아민 경화제, 이미다졸 경화제, 페놀 경화제, 인 경화제 또는 산무수물 경화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제로는, 상온에서 고상이고, 융점 또는 분해 온도가 80℃ 이상인 이미다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메틸 이미다졸, 2-헵타데실 이미다졸, 2-페닐 이미다졸, 2-페닐-4-메틸 이미다졸 또는 1-시아노에틸-2-페닐 이미다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경화제는 이미다졸-이소시아눌산 부가물, 아민-에폭시 부가물, 삼불화 붕소-아민 착체 또는 캡슐화 이미다졸 등의 잠재성 열경화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봉지용 조성물의 경화 공정에서 광 조사가 먼저 진행되어 초기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경화제는 광 조사 후 본경화 단계에서 잠재성 경화제로서 완전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조성, 예를 들면, 수지의 종류나 비율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90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 비율은, 올레핀계 수지,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반응성 희석제의 관능기의 종류 및 비율, 또는 구현하고자 하는 가교 밀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봉지용 조성물은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제로서, 예를 들면, 양이온 개시제 또는 광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개시제로는 양이온 광중합 개시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오늄 염(onium salt) 또는 유기금속염(organometallic salt) 계열의 이온화 양이온 개시제 또는 유기 실란 또는 잠재성 황산(latent sulfonic acid) 계열이나 비이온화 양이온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오늄염 계열의 개시제로는, 디아릴이오도늄 염(diaryliodonium salt), 트리아릴술포늄 염(triarylsulfonium salt) 또는 아릴디아조늄 염(aryldiazonium salt)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유기금속 염 계열의 개시제로는 철 아렌(iron arene)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유기 실란 계열의 개시제로는, o-니트릴벤질 트리아릴 실리 에테르(o-nitrobenzyl triaryl silyl ether), 트리아릴 실리 퍼옥시드(triaryl silyl peroxide) 또는 아실 실란(acyl silane)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잠재성 황산 계열의 개시제로는 α-설포닐옥시 케톤 또는 α-히드록시메틸벤조인 설포네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라디칼 개시제는 광라디칼 개시제일 수 있다.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경화 속도 및 황변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 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라디칼 개시제의 함량은, 라디칼 광경화성 화합물의 관능기의 종류 및 비율, 또는 구현하고자 하는 가교 밀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광라디칼 개시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또는 6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라디칼 개시제를 상기 함량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봉지용 조성물에 적절한 가교구조를 도입하여, 고온에서의 유동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개시제는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를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양이온 개시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4 중량부, 0.3 내지 2중량부 또는 0.5 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 4 내지 13중량부, 5 내지 12 중량부, 6 내지 11중량부 또는 7 내지 1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라디칼 개시제 함량은 양이온 개시제 함량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출원은 상기 함량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봉지용 조성물 내의 적정 가교 구조를 구현하여 고온 고습에서의 내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또한, 수분 흡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수분 흡착제」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반응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습기를 흡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성분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수분 반응성 흡착제 또는 물리적 흡착제를 의미하며, 그 혼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수분 반응성 흡착제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의 내부로 유입된 습기, 수분 또는 산소 등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수분 또는 습기를 흡착한다. 상기 물리적 흡착제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로 침투하는 수분 또는 습기의 이동 경로를 길게 하여 그 침투를 억제할 수 있고,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의 매트릭스 구조 및 수분 반응성 흡착제 등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분 및 습기에 대한 차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분 흡착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분 반응성 흡착제의 경우, 금속산화물, 금속염 또는 오산화인(P2O5)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물리적 흡착제의 경우, 제올라이트, 지르코니아 또는 몬모릴로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금속산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리튬(Li2O), 산화나트륨(Na2O),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들 수 있고, 금속염의 예로는, 황산리튬(Li2SO4),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코발트(CoSO4), 황산갈륨(Ga2(SO4)3), 황산티탄(Ti(SO4)2) 또는 황산니켈(NiSO4) 등과 같은 황산염,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스트론튬(SrCl2), 염화이트륨(YCl3), 염화구리(CuCl2), 불화세슘(CsF), 불화탄탈륨(TaF5), 불화니오븀(NbF5), 브롬화리튬(LiBr), 브롬화칼슘(CaBr2), 브롬화세슘(CeBr3), 브롬화셀레늄(SeBr4), 브롬화바나듐(VBr3), 브롬화마그네슘(MgBr2), 요오드화바륨(BaI2) 또는 요오드화마그네슘(MgI2) 등과 같은 금속할로겐화물; 또는 과염소산바륨(Ba(ClO4)2) 또는 과염소산마그네슘(Mg(ClO4)2) 등과 같은 금속염소산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금속산화물 등과 같은 수분 흡착제를 적절히 가공한 상태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흡착제의 분쇄 공정이 필요할 수 있고, 수분 흡착제의 분쇄에는, 3롤 밀, 비드 밀 또는 볼 밀 등의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수분 흡착제를,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5 내지 90 중량부, 5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또는 10 내지 5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봉지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수분 흡착제의 함량을 5 중량부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봉지용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이 우수한 수분 및 습기 차단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분 흡착제의 함량을 100 중량부 이하로 제어하여, 박막의 봉지 구조를 형성할 경우, 우수한 수분 차단 특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상온, 예를 들어, 약 25℃에서 액상일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봉지용 조성물은 무용제 타입의 액상일 수 있다.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유기전자소자를 봉지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유기전자소자의 측면을 봉지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봉지용 조성물이 상온에서 액상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유기전자소자의 측면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소자를 봉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유기전자소자의 측면을 실링함에 있어서 액상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종래에는 도포 후 조성물의 유동성이 높아서 목적하는 캡슐화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출원은 목적하는 위치에 도포된 봉지용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여 가경화를 진행시킴으로써, 유동성이 제어된 후 본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도포된 봉지용 조성물을 목적하는 캡슐화 형상으로 본경화 전까지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출원은 봉지용 조성물이 전술한 특정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이중 경화 방식을 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봉지용 조성물이 도포된 이후에 고온에서의 유동 제어가 가능하다.
본 출원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에는 상술한 구성 외에도 전술한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은 소포제, 커플링제, 점착 부여제, 자외선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을 목적하는 물성에 따라 적정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봉지용 조성물은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소포제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의 도포 공정에서, 탈포 특성을 구현하여, 신뢰성 있는 봉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요구하는 봉지용 조성물의 물성을 만족하는 한, 소포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점착제 조성물 또는 접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유기전자소가 형성된 기판과 소자 위의 커버 기판을 부착하는 구조용 접착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예시적인 봉지용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1]
V/V0 ≤ 1.4
상기 일반식 1에서 V는 상기 봉지용 조성물에 대해 395nm의 파장 및 100mW/cm2의 세기로 100mJ/cm2의 광을 조사한 후의 점도이고, V0는 상기 광을 조사하기 전의 상기 봉지용 조성물의 점도이며, 상기 점도는 25℃의 온도, 5%의 스트레인 및 1Hz의 진동수에서 측정한 점도이다.
본 출원은 상기 광조사 전후의 점도 차이를 조절함에 따라, 봉지용 조성물의 대량 생산에서 낮은 세기의 조명에 의한 조성물의 경시 변화를 억제하고, 이에 따라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V/V0는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0.8 내지 1.3 또는 0.95 내지 1.1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유기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유기전자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1); 상기 기판(21) 상에 형성된 유기전자소자(23); 및 상기 기판(21)의 주연부 상에 상기 유기전자소자(23)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1)을 포함하는 측면 봉지층(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유기전자장치는 유기전자소자(23)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봉지층(1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봉지층 및 측면 봉지층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동일」이란 실질적 동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일 평면에서 실질적 동일이란 두께 방향으로 ±5㎛ 또는 ±1㎛ 이내의 오차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전면 봉지층이 소자의 상부면을 봉지할 수 있고,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도 함께 봉지할 수 있다. 측면 봉지층은 소자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유기전자소자의 측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봉지층이 소자의 상부면 및 측면과 직접 접촉하도록 봉지될 수 있다. 즉, 측면 봉지층은 소자와 접촉하지 않으면서, 유기전자장치의 평면도에서, 기판의 주연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연부」란, 둘레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한다. 즉, 상기에서 기판의 주연부는 기판에서 둘레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봉지층을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면 봉지층은 봉지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봉지 수지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옥시알킬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전면 봉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전면 봉지층은 소자와 직접 접촉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수분 흡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소량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봉지층은 봉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20 중량부의 수분 흡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기판 상에 형성된 반사 전극층, 상기 반사 전극층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상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유기전자소자(23)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유기전자장치는 전면 발광(top emission)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면 발광(bottom emission)형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전자소자는 상기 한 쌍의 전극(반사 전극층 및 투명 전극층) 및 유기층을 보호하는 보호막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패시베이션 막이라고 지칭할 수 있으며,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유기전자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부에 유기전자소자(23)가 형성된 기판(21)의 주연부 상에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1)을 상기 유기전자소자(23)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용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는 전술한 측면 봉지층(10)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을 상기 유기전자소자(23)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또는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봉지용 조성물은 광 조사 1단계만을 통해 경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경화하는 단계 및 본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경화하는 단계는 광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본경화하는 단계는 광을 조사하는 것 또는 열을 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기전자소자(23)가 형성된 기판(21)은, 예를 들어, 글라스 또는 필름과 같은 기판(21) 상에 진공 증착 또는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반사 전극 또는 투명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 전극 상에 유기재료층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재료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주입층 및/또는 전자 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유기재료층 상에 제 2 전극을 추가로 형성한다. 제 2 전극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그런 뒤, 상기 기판(21)의 주연부 상에 상기 유기전자소자(23)를 측면 커버하도록 전술한 측면 봉지층(10)을 적용한다. 이때, 상기 측면 봉지층(10)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기판(21)의 측면에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디스펜서 도포 등의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전자소자의(23)의 전면을 봉지하는 전면 봉지층(11)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봉지층(11)을 형성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정 적하 주입(One Drop Fill)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기전자장치를 봉지하는 전면 또는 측면 봉지층에 대해 경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화 공정(본경화)은 예를 들면, 가열 챔버 또는 UV 챔버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 가지 모두에서 진행될 수 있다. 본경화 시의 조건은 유기전자장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술한 봉지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상기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여 가교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광을 조사하는 것은 UV-A영역대의 파장범위를 갖는 광을 0.3 내지 6 J/cm2의 광량 또는 0.5 내지 4 J/cm2의 광량으로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의 조사를 통해 가경화함으로써 기본이 될 수 있는 봉지 구조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광 조사 후에 가경화된 봉지용 조성물을 본경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경화는 40℃ 내지 200℃, 50℃ 내지 150℃ 또는 70℃ 내지 120℃의 온도로 1 시간 내지 24시간, 1시간 내지 20시간, 1시간 내지 10시간 또는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 경화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경화는 UV-A영역대의 파장범위를 갖는 광을 0.3 내지 6 J/cm2의 광량 또는 0.5 내지 4 J/cm2의 광량으로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을 가하는 단계 또는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통해, 봉지용 조성물은 본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외부로부터 유기전자장치로 유입되는 수분 또는 산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봉지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여 유기전자장치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고,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구조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대량 생산에서의 조명 등 광원 노출 시 경시 변화가 적으며 이에 따라 공정성이 우수한 봉지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유기전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올레핀계 수지로서 산무수물변성 폴리이소부틸렌 수지 (BASF사, Mn 1000g/mol, Glissopal SA, 이하, PIBSA) 및 폴리이소부틸렌(BASF사의 B14, Mw=60,000 g/mol, 이하 PIB)를 사용하였다. 2관능(다관능) 아크릴 올리고머로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Sartomer, CN110, Mw 870 g/mol)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Sartomer, CN9013, Mw 19,500 g/mol)를 사용하였고, 단관능 아크릴 올리고머로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Sartomer, CN131, Mw 810 g/mol) 및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Sartomer, CN3108, Mw 8700 g/mol)를 사용하였다. 반응성 희석제로서, 지환족 에폭시 수지 (Daicel사, Celloxide 2021P, 에폭시 당량 130g/eq, 점도 250cPs, Mw: 270g/mol, 이하, C2021P), 옥세탄 화합물 (TOAGOSEI사의 OXT-212, Mw: 228.4g/mol)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Mw 226.3 g/mol)를 사용하였다. 무기 필러로서, Fumed 실리카(Aerosil, Evonik, R805, 입자크기 10~20nm, BET = 150m2/g)를 사용하였고, 수분 흡착제로서, 칼슘옥사이드 (CaO, Aldrich)를 사용하였다. 광개시제로서, 광양이온 개시제(San-apro, CPI-101A) 및 라디칼 개시제(BASF, Irgacure 819, 이하, Irg819)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 조성에 대해서,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 용기에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용기를 Planetary mixer (구라보, KK-250s)를 이용하여 균일한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올레핀계 수지 PIBSA 65 70 50 65 65 65 60 72 -
PIB - - - - - - 60
다관능 올리고머 CN110 15 - - 22 15 20 10 - -
CN9013 - 10 20 - - 10 15
단관능 올리고머 CN131 5 - - 5 - 20 5 -
CN3108 - 10 10 8 - - - 10
반응성 희석제 C2021P 15 - 10 10 22 10 10 10 -
OXT-212 - 10 10 - - 3 15
HDDA - - - 5 5 - - -
무기필러 R805 5 8 10 5 5 5 5 8 -
수분 흡착제 CaO 25 25 25 25 25 25 25 25 25
개시제 CPI-101A 0.5 0.5 0.5 0.5 0.5 0.5 0.5 0.5 0.5
Irg819 5 5 5 5 5 5 5 5 5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물성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1. 점도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봉지용 조성물의 점도를 TA사 점도계로서 ARES G2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된 봉지용 조성물에 대해서, 25℃의 온도, 0.3mm의 Cell gap 및 5%의 스트레인 조건에서, 8mm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frequency sweep로 측정하여 1Hz에서의 점도 값을 측정하였다.
2. UV 노출 안정성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봉지용 조성물 용액을, Soda-Lime 글래스에 코팅바를 이용하여 200㎛ 두께로 도포한 후, LED 395nm 광원을 이용하여 100mW/cm2의 세기로 100mJ/cm2의 광을 조사하였다. 이후, 25℃의 온도, 0.3mm의 Cell gap 및 5%의 스트레인 조건에서, 8mm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frequency sweep로 측정하여 1Hz에서의 점도 값을 측정하였다(TA사의 ARES-G2).
상기 광 조사 전의 점도를 V0로 하고, 광 조사 후의 점도를 V로 하여 하기 일반식 1에 대입하여 1.4 이하인 경우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분류하였다.
[일반식 1]
V / V0 ≤ 1.4
3. 내열성 및 내습성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제조한 봉지용 조성물 용액을, 0.7T Soda-Lime 글래스에 코팅바를 이용하여, 200㎛의 층으로 도포하였다. 그 후, 동일한 글래스로 합착하여 샘플을 제조하고, 상기 봉지용 조성물에 UV-A영역대의 파장범위를 갖는 광(메탈할라이드 램프)을 3 J/cm2의 광량으로 조사한 후, 100℃ 오븐에서 3시간 동안 열을 가하였다. 그 후, 샘플을 85℃ 및 85% 상대습도의 항온 항습 챔버에서 약 1000 시간 유지하였다.
내열성의 측정은 도포 영역 내부 및 측면에 변화가 전혀 없는 경우 O, 도포 영역 내부에 빈공간(void)이 발생한 경우 X로 표시하였다.
내습성의 측정은 수분침투가 된 영역의 들뜸이 전혀 없는 경우 O, 수분 침투 부위로 인해 글래스로부터 들 뜬 경우 △, 수분 침투 부위로 인해 글래스가 박리되는 경우 X로 표시하였다.
4. 수분 차단성
100mm x 100mm 크기의 글라스 기판 상에 칼슘을 5mm x 5mm의 크기 및 100nm의 두께로 증착하고, 상기 칼슘을 제외한 테두리부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봉지용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상기 도포된 상태에서, 100mm x 100mm 크기의 커버 글라스로 합착 후, 메탈 할라이드 광원을 이용하여 3J/cm2의 광량으로 UV 조사한 뒤, 100℃ 오븐에서 1시간 동안 열을 가하였다. 상기 얻어진 시편들을 85℃ 및 85% 상대습도의 항온 항습 챔버에서 관찰하여 수분 침투로 인한 산화 반응에 의하여 칼슘이 투명해지기 시작한 시점을 관찰한다. 투명화 시작시간이 850시간 이상인 경우 O, 투명화 시작시간이 850시간 미만, 500시간 이상인 경우 △, 투명화 시작시간이 500시간 미만인 경우 X로 표시하였다.
점도 UV 노출 안정성 내습성/내열성 수분 차단성
실시예 1 240,000 cP 1.06 O/O O
실시예 2 275,000 cP 1.04 O/O O
실시예 3 260,000 cP 1.09 O/O O
실시예 4 320,000 cP 1.37 △/O O
실시예 5 180,000 cP 1.07 △/O
비교예 1 235,000 cP 1.45 O/O O
비교예 2 267,000 cP 1.06 O/O X
비교예 3 270,000 cP 1.05 O/X O
비교예 4 480,000 cP 1.09 X/X X
1: 봉지용 조성물
10: 측면 봉지층
11: 전면 봉지층
21: 기판
22: 커버 기판
23: 유기전자소자

Claims (2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올레핀계 수지,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를 포함하고, 상기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상기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g/mol 이하인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성 관능기는 산무수물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옥사졸린기, 옥세탄기, 시아네이트기, 페놀기, 하이드라지드기 또는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또는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g/mol 내지 5만 g/mol의 범위 내인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g/mol 미만인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는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또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9. 제 6 항에 있어서, 반응성 희석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필러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무기 필러는 BET 비표면적이 35 m2/g 내지 500 m2/g의 범위 내에 있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무기 필러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개시제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개시제는 양이온 개시제 또는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개시제는 양이온 개시제 및 라디칼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 개시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7. 제 16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제는 화학 반응성 흡착제 또는 물리적 흡착제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8. 제 6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수지, 다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단관능성 아크릴 올리고머 및 반응성 희석제는 각각 45 내지 75 중량부, 8 내지 21 중량부, 3 내지 15 중량부 및 1 내지 2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
    [일반식 1]
    V / V0 ≤ 1.4
    상기 일반식 1에서 V는 상기 봉지용 조성물에 대해 395nm의 파장 및 100mW/cm2의 세기로 100mJ/cm2의 광을 조사한 후의 점도이고, V0는 상기 광을 조사하기 전의 상기 봉지용 조성물의 점도이며, 상기 점도는 25℃의 온도, 5%의 스트레인 및 1Hz의 진동수에서 측정한 점도이다.
  2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전자소자; 및 상기 기판의 주연부 상에 상기 유기전자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 1 항에 따른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측면 봉지층을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유기전자소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봉지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면 봉지층 및 측면 봉지층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는 유기전자장치.
  22. 상부에 유기전자소자가 형성된 기판의 주연부 상에 제 1 항의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상기 유기전자소자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전자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105523A 2017-09-12 2018-09-04 봉지용 조성물 KR102176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534 2017-09-12
KR20170116534 201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449A true KR20190029449A (ko) 2019-03-20
KR102176228B1 KR102176228B1 (ko) 2020-11-10

Family

ID=6572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523A KR102176228B1 (ko) 2017-09-12 2018-09-04 봉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95314B2 (ko)
EP (1) EP3683264A4 (ko)
JP (1) JP6953064B2 (ko)
KR (1) KR102176228B1 (ko)
CN (1) CN111094429B (ko)
TW (1) TWI691539B (ko)
WO (1) WO20190546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2029B (zh) * 2017-12-18 2023-12-22 株式会社Lg化学 封装组合物
CN113330046A (zh) * 2019-03-26 2021-08-3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树脂组合物及有机el显示元件用周边密封剂
KR102433775B1 (ko) * 2022-01-19 2022-08-19 율촌화학 주식회사 유기전자장치 봉지용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 봉지재 및 봉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606A (ko) 2006-01-24 2008-10-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성 캡슐화 조성물 필름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2014156566A (ja) * 2013-02-18 2014-08-28 Asahi Glass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1742425B1 (ko) * 2015-02-04 2017-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943A (en) * 1998-03-23 2000-03-28 Alvin C. Levy & Associates, Inc. Optical fiber containing a radiation curable primary coating composition
EP1375618A1 (en) 2002-06-19 2004-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adiation-curable, solvent-free and printable precursor of an adhesive
US6887917B2 (en) * 2002-12-30 2005-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S20070092733A1 (en) 2005-10-26 2007-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currently curable hybrid adhesive composition
RU2557614C2 (ru) 2010-02-26 2015-07-27 Интерконтинентал Грейт Брэндс ЛЛС Уф-отверждаемый самоклеющийся материал с низкой липкостью для повторно укупориваемых упаковок
JP2013188924A (ja) 2012-03-13 2013-09-26 Daicel Corp 複合封止体
KR101662889B1 (ko) 2013-07-19 2016-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조성물
KR20150016878A (ko) 2013-08-05 2015-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JP5778303B2 (ja) * 2014-02-28 2015-09-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1481417B1 (ko) * 2014-03-28 2015-01-14 (주)휴넷플러스 가스차단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봉지막 및 유기발광소자
JP5901808B2 (ja) * 2014-08-05 2016-04-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封止用硬化性吸湿性樹脂組成物、封止樹脂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101891729B1 (ko) 2015-01-20 2018-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조성물
CN107592877B (zh) 2015-03-24 2021-04-13 株式会社Lg化学 粘合剂组合物
EP3275958B1 (en) * 2015-03-24 2020-09-30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606A (ko) 2006-01-24 2008-10-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성 캡슐화 조성물 필름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2014156566A (ja) * 2013-02-18 2014-08-28 Asahi Glass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1742425B1 (ko) * 2015-02-04 2017-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4429A (zh) 2020-05-01
US11795314B2 (en) 2023-10-24
EP3683264A1 (en) 2020-07-22
TW201920433A (zh) 2019-06-01
KR102176228B1 (ko) 2020-11-10
US20200270438A1 (en) 2020-08-27
JP6953064B2 (ja) 2021-10-27
CN111094429B (zh) 2022-12-27
WO2019054687A1 (ko) 2019-03-21
TWI691539B (zh) 2020-04-21
JP2020533463A (ja) 2020-11-19
EP3683264A4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186B1 (ko) 접착제 조성물
JP7043112B2 (ja) 接着剤組成物
KR101746333B1 (ko) 접착제 조성물
KR101740184B1 (ko) 접착제 조성물
KR102191609B1 (ko) 접착제 조성물
KR102211091B1 (ko) 유기전자장치
KR101740183B1 (ko) 접착제 조성물
KR102176228B1 (ko) 봉지용 조성물
US11479664B2 (en) Encapsulating composition
KR102320445B1 (ko) 봉지용 조성물
KR102534539B1 (ko) 봉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