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293A -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 Google Patents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293A
KR20190029293A KR1020170116680A KR20170116680A KR20190029293A KR 20190029293 A KR20190029293 A KR 20190029293A KR 1020170116680 A KR1020170116680 A KR 1020170116680A KR 20170116680 A KR20170116680 A KR 20170116680A KR 20190029293 A KR20190029293 A KR 2019002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quid crystal
handle
control unit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259B1 (ko
Inventor
김재홍
박영은
정성훈
김영선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2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기존의 창호 손잡이의 외형 및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하여, 기존 건물의 창호에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창호 손잡이 부분의 조작으로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제어 장치로 제어하지 않는 스마트 윈도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는, 열고 닫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결합하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전지부;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에 따라 투명도가 가변되는 액정패널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을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태양전지부와 상기 액정패널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 변화에 의해 통과하는 전기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SMART WINDOW FOR PERFORMING LOCKING AND OPERATING}
본 발명은 잠금기능과 동작기능 동시 수행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창호 손잡이의 외형 및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하여, 기존 건물의 창호에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창호 손잡이 부분의 조작으로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제어 장치로 제어하지 않는 스마트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DSSC 기술은 햇빛을 받으면 전자를 방출하는 특정 염료와 전해질을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두 장의 투명 전도성 전극 사이에 나노입자로 구성된 다공질, TiO2 표면, 흡착된 염료, 백금 박막, 두 전극 사이에 채워진 전해질을 포함하고 있다.
DSSC는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에너지 변환 효율과 낮은 제조 단가로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컬러 및 투명한 특성으로 건물 외장 BIPV용 태양전지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DSSC는 가격경쟁력, 가볍고 높은 광투과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창문을 형성하여, 창문에 전기를 인가하는 경우, 창문의 액정표시장치가 작동되어 외부 빛의 차단을 수행하는 방식의 창호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창문의 액정표시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데, 복잡한 구성으로 기존 건물의 창호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8448호(발명의 명칭: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자동차 자동 선팅 변색유리)에서는, 태양광 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차 유리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햇빛을 차단하는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자동차 자동 선팅 변색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844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건물의 창호의 변경으로 스마트 윈도우(EC Window, Electrochrominc Window)를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창문의 잠금 기능과 스마트 윈도우의 투명도 제어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열고 닫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결합하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전지부;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에 따라 투명도가 가변되는 액정패널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을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태양전지부와 상기 액정패널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 변화에 의해 통과하는 전기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액정패널부로 전달되는 전기량이 제어되어 상기 액정패널부의 투명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정전압인 충전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제어부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에너지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제어부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와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조도가 가변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스위치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부의 투명도가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스위치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의 조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 상기 걸림부가 직선 운동하여 상기 제2프레임부의 홈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프레임부와 결합하여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복수 개의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부는 액정 글라스 또는 액정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의 창호 손잡이의 외형 및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하여, 기존 건물의 창호에 즉시 적용 가능하여, 스마트 윈도우의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의 창호 손잡이 부분의 조작으로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제어 장치로 제어하지 않는 편리성이 있고, 별도의 제어 장치를 분실할 위험도 없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자가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및 제어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및 제어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 및 제어부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의 작동에 따른 액정패널부의 변화에 대한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윈도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200) 및 제어부(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200) 및 제어부(100)에 대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200) 및 제어부(100)에 대한 우측면도이다.
도 1에서, 점선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전기 배선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는, 열고 닫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프레임부(810); 제1프레임부(810)와 결합하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820); 제1프레임부(810)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전지부(400); 제1프레임부(810)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태양전지부(400)에서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에 따라 투명도가 가변되는 액정패널부(30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을 하는 손잡이(200); 및, 손잡이(200)와 결합하고, 제1프레임부(810)의 측단부에 결합되며, 태양전지부(400)와 상기 액정패널부(300)의 사이에 연결되고, 손잡이(200)의 회전각 변화에 의해 통과하는 전기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100);를 포함하고,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부터 액정패널부(300)로 전달되는 전기량이 제어되어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가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부(810)의 닫는 기능 수행 시, 손잡이(200)의 조작으로 제어부(100)가 걸림부(120)에 의해 제2프레임부(820)와 결합하여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810) 또는 제2프레임부(82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양전지부(400)는, 외부의 태양광 또는 실내광을 수집하는데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가 설치되는 공간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하여 노출되고, 제1프레임부(81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제1프레임부(81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부(400)는 제1프레임부(810)에 부착되어 결합하거나 일체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부(400)는 복수 개의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배열을 하여 하나의 태양전지 그룹을 형성하고, 이러한 태양전지 그룹이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태양전지부(40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연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태양전지 그룹은 연결될 수 있다.
액정패널부(300)는 액정 글라스 또는 액정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 글라스 또는 액정 필름에는 인가되는 전기에 따라 온/오프되는 액정이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패널부(300)가 액정 필름을 구비하는 경우, 유리에 액정 필름이 부착되어 액정패널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액정패널부(300)에 전기를 온 시키면 액정 분자의 배열이 규칙적으로 됨으로써 빛이 투과하여 투명하게 되고, 액정패널부(300)에 전기를 오프 시키면 액정 분자의 배열이 불규칙하게 됨으로써 빛이 산란되고 투과하지 못하여 불투명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패널부(300)에 공급되는 전기량이 변하면 배열이 규칙적인 액정 분자와 배열이 불규칙적인 액정 분자의 비율이 변하여,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가 가변할 수 있다.
액정패널부(300)를 빛이 완전히 투과하는 경우에 투명도가 100%라고 하고, 액정패널부(300)를 빛이 완전히 투과하지 않는 경우에 투명도가 0%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0)에는 가변저항기(미도시)가 구비되고, 손잡이(200)가 가변저항기와 결합하여, 손잡이(200)의 회전에 의해 가변저항기의 저항이 변하고, 이에 따라, 태양전지부(400)에서 생성되어 제어부(100)를 통과하고 액정패널부(300) 또는 조명부(700)로 전달되는 전기량이 가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손잡이(200)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회전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회전센서는 손잡이(200)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가변저항기에 전달할 수 있고, 가변저항기는 손잡이(200)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전기량을 통과시켜, 제어부(100)를 통과하는 전기량이 가변할 수 있다.
태양전지부(400)에 연결되고, 태양전지부(40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정전압인 충전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전압제어부(600)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를 제어부(100)로 전달하는 에너지저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저장부(500)는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일 수 있다.
정전압제어부(600)는 정전압 소자인 레귤레이터(regulator)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너지저장부(500)를 형성하는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CASE, Flywheel, 리튬 배터리, NAS전지 및 Lead-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에너지저장부(500)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전압제어부(600) 또는 에너지저장부(500)는, 제1프레임부(8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전기 배선도 제1프레임부(810)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의 각 구성의 연결 관계는 하기와 같다. 여기서, 각각의 라인은 전기 배선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00)와 에너지저장부(500)가 제1라인(910)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부(100)가 에너지저장부(500)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태양전지부(400)와 에너지저장부(500)는 제2-1라인(921) 및 제2-2라인(922)에 의해 연결되며, 제2-1라인(921)의 중간에 정전압제어부(600)가 위치하여, 태양전지부(400)와 에너지저장부(500) 사이에 정전압제어부(60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태양전지부(400)에서 생성된 전기는 제2-1라인(921)을 따라 흘러 정전압제어부(600)를 거친 후 에너지저장부(5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와 액정패널부(300)는 제3-1라인(931), 제3-2라인(932) 및 제3-3라인(933)에 의해 연결되며, 제3-1라인(931)과 제3-2라인(932)에 의해 제어부(100)로부터 액정패널부(300)로 전기가 전달되므로, 액정패널부(300)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구분되어, 상단부와 하단부가 별도로 전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에는 다이얼(미도시)이 구비되어, 다이얼로 액정패널부(300)의 상단부 또는 액정패널부(300)의 하단부를 선택하여, 액정패널부(300)의 상단부 또는 액정패널부(300)의 하단부에 대한 전기량을 제어하여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얼을 돌려, 전기 연결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액정패널부(300)의 상단부 또는 액정패널부(300)의 하단부를 선택하여 어느 한 부위에 전기를 전달하거나, 또는, 액정패널부(300)의 상단부 또는 액정패널부(300)의 하단부 모두에 전기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와 조명부(700)는 제4-1라인(941) 및 제4-2라인(942)에 의해 연결되며, 에너지저장부(500)로부터 제1라인(910)을 거쳐 제어부(100)로 전달된 전기가 조명부(7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로부터 액정패널부(300) 또는 조명부(700)로 전기가 전달될 때, 전기량이 제어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810)와 결합하고,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조도가 가변되는 조명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700)는 LED조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LED조명을 이용하는 경우, 감성조명이 구현 가능하고, RGB제어 또는 색온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제어부스위치(110)를 구비하고, 제어부스위치(110)의 누름 상태에서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가 제어되고, 제어부스위치(110)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손잡이(200)의 조작에 의해 조명부(700)의 조도가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으로 제어부스위치(110)를 눌렀다가 떼면 제어부스위치(110)의 누름 상태는 유지되고, 다시 제어부스위치(110)를 누르면 누름 해제 상태로 될 수 있다.
제어부스위치(110)의 누름 상태에서는, 제어부(100)와 액정패널부(300)가 연결되고, 제1라인(910)을 통해 전달된 전기가 제어부(100)와 제3-1라인(931) 또는 제3-2라인(9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액정패널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스위치(110)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는, 제어부(100)와 조명부(700)가 연결되고, 제1라인(910)을 통해 전달된 전기가 제어부(100)와 제4-1라인(94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조명부(7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걸림부(120)를 구비하고, 손잡이(20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 걸림부(120)가 직선 운동하여 제2프레임부(820)의 홈에 인입됨으로써 제어부(100)가 제2프레임부(820)와 결합하여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3과 같이, 손잡이(200)의 끝단이 상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인 경우,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180도이며, 이와 반대로, 손잡이(200)의 끝단이 하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인 경우,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0도일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손잡이(200)가 90도 회전한 경우, 걸림부(120)가 우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제2프레임부(820)의 홈에 인입되고, 이에 의해 걸림부(120)가 제2프레임부(820)의 홈에 걸려 잠금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200)가 90도 회전한 경우 잠금 기능이 수행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잠금 기능이 수행되는 손잡이(200)의 회전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잠금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손잡이(200)의 조작과 상관 없이 걸림부(120)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직선 운동시켜, 별도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 구성에 의해, 기존의 창호 손잡이의 외형 및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하여, 기존 건물의 창호에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창호 손잡이 부분의 조작으로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제어 장치로 제어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의 작동에 따른 액정패널부의 변화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0도인 상태에서는, 걸림부(120)가 우측으로 위치하여 잠금 상태이고,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는 0%일 수 있다.
손잡이(200)를 회전시켜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45도인 경우, 액정패널부(300)의 변색이 수행되고,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는 25%일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회전시켜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90도인 경우, 걸림부(120)가 좌측으로 직선 운동하여 잠금 해제 상태로 되고, 액정패널부(300)의 변색이 수행되며,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는 50%일 수 있다.
손잡이(200)를 회전시켜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135도인 경우, 액정패널부(300)의 변색이 수행되고,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는 75%일 수 있다.
도 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회전시켜 손잡이(200)의 회전각이 180도인 경우, 액정패널부(300)의 변색이 수행되고,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는 10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의 작동은 일 실시 예이며, 손잡이(200)의 회전각에 따른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 잠금 기능 또는 잠금 해제 기능이 수행되는 손잡이(200)의 회전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부(700)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이 손잡이(200)의 회전각에 따라 조도가 가변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윈도우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제어부(100)에는 무선 송신기가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200)의 회전각에 대한 정보와 이와 관련된 액정패널부(300)의 투명도 및 조명부(700)의 조도의 정보를 중앙서버에 전달하여, 복수 개의 스마트 윈도우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처리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어부 110 : 제어부스위치
120 : 걸림부 200 : 손잡이
300 : 액정패널부 400 : 태양전지부
500 : 에너지저장부 600 : 정전압제어부
700 : 조명부 810 : 제1프레임부
820 : 제2프레임부 910 : 제1라인
921 : 제2-1라인 922 : 제2-2라인
931 : 제3-1라인 932 : 제3-2라인
933 : 제3-3라인 941 : 제4-1라인
942 : 제4-2라인

Claims (12)

  1. 열고 닫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와 결합하고,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프레임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하고,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집하는 태양전지부;
    상기 제1프레임부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되어 인가되는 전기량에 따라 투명도가 가변되는 액정패널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을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결합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의 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태양전지부와 상기 액정패널부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 변화에 의해 통과하는 전기량을 가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액정패널부로 전달되는 전기량이 제어되어 상기 액정패널부의 투명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정전압인 충전전압으로 변환하는 정전압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제어부로부터 전기를 전달 받아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에너지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제어부 또는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저장부는 에너지 스토리지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와 결합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조도가 가변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부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스위치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액정패널부의 투명도가 제어되고, 상기 제어부스위치의 누름 해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조명부의 조도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 상기 걸림부가 직선 운동하여 상기 제2프레임부의 홈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프레임부와 결합하여 잠금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부는 복수 개의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부는 액정 글라스 또는 액정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윈도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제조되는 스마트 윈도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170116680A 2017-09-12 2017-09-12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KR10198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680A KR101980259B1 (ko) 2017-09-12 2017-09-12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680A KR101980259B1 (ko) 2017-09-12 2017-09-12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293A true KR20190029293A (ko) 2019-03-20
KR101980259B1 KR101980259B1 (ko) 2019-05-20

Family

ID=6603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680A KR101980259B1 (ko) 2017-09-12 2017-09-12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34B1 (ko) * 2022-06-03 2023-04-28 주식회사 경연 부착형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749A (ja) * 1998-08-03 2000-02-22 Ekuseru Light Kk 障子戸
JP3073026U (ja) * 2000-05-08 2000-11-14 文章 黄 遮光装置
JP2004012818A (ja) * 2002-06-06 2004-01-15 Junzo Shimada 液晶ブラインド付き透明パネル
KR20120092247A (ko) * 2011-02-11 2012-08-21 마승우 스마트 블란인드
KR20150003271A (ko) * 2012-04-17 2015-01-08 뷰, 인크.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디바이스들에서의 천이들 제어
KR20150088448A (ko) 2014-01-24 2015-08-0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자동차 자동 선팅 변색유리
KR20160011303A (ko) * 2014-07-21 2016-02-01 오병윤 전류제어에 의해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3026B2 (ja) 1990-12-05 2000-08-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749A (ja) * 1998-08-03 2000-02-22 Ekuseru Light Kk 障子戸
JP3073026U (ja) * 2000-05-08 2000-11-14 文章 黄 遮光装置
JP2004012818A (ja) * 2002-06-06 2004-01-15 Junzo Shimada 液晶ブラインド付き透明パネル
KR20120092247A (ko) * 2011-02-11 2012-08-21 마승우 스마트 블란인드
KR20150003271A (ko) * 2012-04-17 2015-01-08 뷰, 인크. 광학적으로 전환가능한 디바이스들에서의 천이들 제어
KR20150088448A (ko) 2014-01-24 2015-08-0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판을 이용한 자동차 자동 선팅 변색유리
KR20160011303A (ko) * 2014-07-21 2016-02-01 오병윤 전류제어에 의해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액정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34B1 (ko) * 2022-06-03 2023-04-28 주식회사 경연 부착형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259B1 (ko) 201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ray et al. Electrically controllable light trapping for self-powered switchable solar windows
Lampert Towards large-area photovoltaic nanocells: experiences learned from smart window technology
CN108291424A (zh) 用于光学可切换装置的控制器
CN109060126A (zh) 多传感器
Wu et al. Fast-switching photovoltachromic cells with tunable transmittance
CN207008255U (zh) 多功能阵列式电致变色窗户
CN101317128A (zh) 发电显示装置
Gong et al. Self-driven infrared electrochromic device with tunable optical and thermal management
Ding et al. Novel prussian white@ MnO2-based inorganic electrochromic energy storage devices with integrated flexibility, multicolor, and long life
CN205450829U (zh) 自发电智能玻璃
WO2023024491A1 (zh) 车窗玻璃、车门和汽车
Kou et al. Multi-functional electrochromic energy storage smart window powered by CZTSSe solar cell for intelligent managing solar radiation of building
Ma et al. Dual-function self-powered electrochromic batteries with energy storage and display enabled by potential difference
CN103762085A (zh) 集成染料敏化太阳能电池自驱动电致变色器件的制备方法
KR101980259B1 (ko)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CN106886115B (zh) 一种还原性金属/聚苯胺电致变色电池及其制备方法
CN107167942A (zh) 彩膜基板、显示装置和显示方法
Ma et al. Solar light management enabled by dual-responsive smart window
CN206992765U (zh) 一种可折叠式多功能太阳能电源
AU2016305495B2 (en) An enhanced power window assembly
CN111969703B (zh) 用户侧移动折叠追日光储系统、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206461558U (zh) 一种具有自发电功能的智能通讯基站
CN114165154A (zh) 一种智能型光伏百叶窗防盗报警装置
CN218759479U (zh) 一种用于光伏建筑一体化的低辐射调光发电玻璃
CN221039729U (zh) 一种具有自供电功能的变色真空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