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247A - 스마트 블란인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블란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247A
KR20120092247A KR1020110012159A KR20110012159A KR20120092247A KR 20120092247 A KR20120092247 A KR 20120092247A KR 1020110012159 A KR1020110012159 A KR 1020110012159A KR 20110012159 A KR20110012159 A KR 20110012159A KR 20120092247 A KR20120092247 A KR 2012009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mart glass
glass
blind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승우
Original Assignee
마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승우 filed Critical 마승우
Priority to KR102011001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2247A/ko
Publication of KR2012009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lind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독립되게 제어되고 일정 간격으로 만들어진 섹터를 갖는 전기변색소자로 만들어진 스마트창과, 상기 창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창의 섹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개별적 스위치가 있는 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블란인드{Smart Blinds}
본 발명은 스마트유리를 응용하여 만든 스마트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유리에 사용하는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evice : ECD)의 하나인 액정패널(LCP : Liquid Crystal Panel)에 등간격으로 다 수개 섹터를 만들고, 그 섹터들을 전기적으로 독립된 조작이 가능케 하여 블라인드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스마트 블라인드는 스마트유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유리는 현재 여러 가지 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유리의 동작원리 다양한 박막재료의 개발과 더불어 액정물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것으로, 재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지만 특히 대표적으로 폴리머분산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 PDLC)과 액정패널(LCP : Liquid Crystal Panel)을 이용한 스마트유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머분산액정을 이용한 스마트유리는 그 자체는 투명하지만 서로 용해되지 않고 굴절율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액체를 강제적으로 혼합할 경우에 전체가 백색의 불투명한 크림 상이 된다는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이는 혼합된 상태의 각각의 액체가 불투명하게 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두 액체의 굴절율이 서로 다름으로 인해 빛이 이들의 계면에서 산란되는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또, 상기 액정패널(LCP : Liquid Crystal Panel)은 액정의 광학적 이방 특성을 이용한 화상표시장치로서, 전압의 인가상태에 따라 분극 특성을 보이는 액정에 빛을 조사하게 되면 전압인가에 따른 액정의 배향상태에 따라 통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스마트유리를 만드는 것이다.
그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주변에 구비되어 액정패널에 신호를 인가하여 제어하는 구동회로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유리는 인가된 전압의 상태에 따라 유리 전체를 빛이 투과하거나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 투과량을 조정하여 명암을 달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리 전체를 조정하기 때문에 블라인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유리의 상단, 하단, 중앙부분 또는 좌.우 일부분을 제어하여 실내환경 상황에 맞추어 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쾌적하지 못한 실내환경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시선 또는 실내에서 불필요한 외부의 상황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쾌적한 실내환경 제공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시선 또는 실내에서 불필요한 외부의 상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스마트 블라인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으로 독립되게 제어되고 일정 간격으로 만들어진 섹터를 갖는 전기변색소자로 만들어진 스마트유리과, 상기 유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유리의 섹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개별적 스위치가 있는 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의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유리의 표면에 부착된 투명 텃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로 인하여 실내환경 상황에 따라 유리의 상단, 하단, 중앙부분 또는 좌.우 일부분을 포함한 전체를 조정할 수 있어 더욱더 쾌적한 실내환경조성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시선 또는 실내에서 불필요한 외부의 상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에 사용하는 스마트유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의 섹터에 전기를 전체적으로 인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의 섹터에 전기를 부분적으로 인가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의 섹터에 전기를 전체적으로 차단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블라인드(1)는
전기변색소자의 하나인 액정패널로 형성된 스마트유리(2)이 있다.
상기 스마트유리(2)은 사각의 창문틀(4)에 의하여 외주연이 지지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태에서 창틀(미도시)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창문틀(4)내에는 충전용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6)와 상기 스마트유리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가 내설되어 있다.
또, 상기 창문틀(4)에는 햇빛이나 외부의 전등 빛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만들어주는 솔라셀(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유리(2)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등 간격의 일정한 폭으로 다수 개의 섹터(2a)를 갖는다. 그 섹터(a)는 전기적으로 독립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섹터(2a)와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고, 그 섹터(2a)에 투과되는 빛을 0%에서 100%에 가깝게 차단 또는 통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섹터(2a)를 조작하는 스위치는 상기 창틀(4)에 개별적으로 그 섹터 (2a)의 수량 이상의 갯 수가 서로 밀착설치된 텃치스위치(3)이다.
상기 텃치스위치(3)는 상기 창틀(4)이 아닌 상기 스마트유리(2)에 투명하게 접착고정된 텃치스크린(미도시)으로도 만들어 진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b는 지지프레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 블라인드(1)는 상기 도 3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에 설치한 후 상기 텃치스위치(3)를 조작하여 전원을 상기 섹터(a)에 인가하면 빛의 투과를 100%에 가깝게 막는 검은색 섹터(2a-b)가 되고, 전원을 차단하면 빛이 100%에 가깝게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섹터(2a-w)가 된다.
상기와 같이 텃치스위치(3)를 조작하여 상기 섹터(2a) 전체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검은색 섹터(2a-b)로 변할 수 있게 하거나 투명 섹터(2a-w)로 변화시킨다. 또는 상기 섹터(2a)를 선택적으로 검은색 섹터(2a-b)나 투명 섹터(2a-w)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1 : 스마트 블라인드 2 : 스마트유리
2a : 섹터 3 : 텃치스위치
4 : 창틀 5 : 쏠라셀
6 : 전원공급부

Claims (5)

  1. 전기적으로 독립되게 제어되고 일정 간격으로 만들어진 섹터를 갖는 전기변색소자로 만들어진 스마트유리와, 그 스마트유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외주연을 지지하는 창틀과, 상기 스마트유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스마트유리의 섹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개별적 스위치가 있는 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의 스위치는 상기 스마트유리의 표면에 부착된 투명 텃치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에 전기를 공급하여 충전하거나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쏠라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유리는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블라인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유리는 폴리머분산액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블라인드.
KR1020110012159A 2011-02-11 2011-02-11 스마트 블란인드 KR20120092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59A KR20120092247A (ko) 2011-02-11 2011-02-11 스마트 블란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159A KR20120092247A (ko) 2011-02-11 2011-02-11 스마트 블란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247A true KR20120092247A (ko) 2012-08-21

Family

ID=4688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159A KR20120092247A (ko) 2011-02-11 2011-02-11 스마트 블란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224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396B1 (ko) * 2014-12-16 2015-05-14 (주)넥스트글라스 전자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1520402B1 (ko) * 2014-12-16 2015-05-21 (주)넥스트글라스 솔라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20160046691A (ko)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스위스 건축물 또는 차량의 창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타입의 스마트 유리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170037072A (ko)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WO2017073864A1 (ko)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스위스 전자 베니션 블라인드
KR200485022Y1 (ko) * 2017-06-13 2017-12-20 (주)에핏라이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
WO2018054162A1 (zh) * 2016-09-22 2018-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和显示面板
KR20190029293A (ko) * 2017-09-12 2019-03-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CN109690396A (zh) * 2016-09-09 2019-04-26 株式会社Lg化学 透射率可变元件
KR20190052646A (ko)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2086293B1 (ko) * 2019-08-08 2020-05-29 주식회사 엠아이티 반려동물 이동용 가방
KR20200077788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디아이코리아 피디엘씨 롤 블라인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691A (ko)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스위스 건축물 또는 차량의 창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타입의 스마트 유리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520402B1 (ko) * 2014-12-16 2015-05-21 (주)넥스트글라스 솔라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101520396B1 (ko) * 2014-12-16 2015-05-14 (주)넥스트글라스 전자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KR20170037072A (ko)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CN108350724A (zh) * 2015-10-29 2018-07-31 株式会社视宇斯 电子百叶窗
WO2017073864A1 (ko)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스위스 전자 베니션 블라인드
JP2019529980A (ja) * 2016-09-09 2019-10-1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透過度可変素子
CN109690396A (zh) * 2016-09-09 2019-04-26 株式会社Lg化学 透射率可变元件
EP3511771A4 (en) * 2016-09-09 2019-09-11 LG Chem, Ltd. PERMEABILITY VARIABLE DEVICE
US10996459B2 (en) 2016-09-09 2021-05-04 Lg Chem, Ltd. Transmittance-variable element
WO2018054162A1 (zh) * 2016-09-22 2018-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和显示面板
KR200485022Y1 (ko) * 2017-06-13 2017-12-20 (주)에핏라이트 터치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폐 필름
KR20190029293A (ko) * 2017-09-12 2019-03-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기능과 동작기능을 갖는 스마트 윈도우
KR20190052646A (ko)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마트 윈도우의 제조 방법
US11035170B2 (en) 2017-11-08 2021-06-15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mart window
KR20200077788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디아이코리아 피디엘씨 롤 블라인드
KR102086293B1 (ko) * 2019-08-08 2020-05-29 주식회사 엠아이티 반려동물 이동용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2247A (ko) 스마트 블란인드
KR102151389B1 (ko) 시야각 전환이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시야각 전환 방법
TWI699576B (zh) 用於調節光穿透之元件
CN105974656B (zh) 一种光学器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520095B2 (en) Light control film, method for driving light control film, light control member, and vehicle
CN105334656B (zh) 一种液晶窗及其控制方法
CN105954901B (zh) 一种显示装置、制作方法和显示方法
BR112016027790B1 (pt) Painel de escurecimento transparente, dispositivo de exibição usado na cabeça de realidade misturada perto do olho e método para uso com camada de dispositivo de partículas suspensas
CN109946868A (zh) 光线方向控制装置及显示装置
US7876400B2 (en) Optical modulation system
CN110618547B (zh)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2736255A (zh) 立体显示装置及应用于立体显示装置的光栅系统
US20210080762A1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9304369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6128269B1 (ja) 調光フィルム
US20220107540A1 (en) Displayed light-adjustment device
KR20110045803A (ko) 액정표시장치
US11112670B2 (en) Light control film, light control system, and light control member
US9551886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liquid crystal small-aperture glasses
KR20040007771A (ko) 액정을 이용한 유리창 광차단장치
CN106125441A (zh) 一种窄视角模式的低驱动电压蓝相液晶显示器
CN113031348B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209821565U (zh) 百叶窗架构膜及显示装置
JP2018159854A (ja) 表示装置
JPH04119320A (ja) 偏光無依存型液晶光変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