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80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80A
KR20190029180A KR1020170116427A KR20170116427A KR20190029180A KR 20190029180 A KR20190029180 A KR 20190029180A KR 1020170116427 A KR1020170116427 A KR 1020170116427A KR 20170116427 A KR20170116427 A KR 20170116427A KR 20190029180 A KR20190029180 A KR 2019002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guide pane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택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9180A/ko
Publication of KR2019002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25
    • G02F2001/133328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커버 보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제1 가이드 패널 및 제2 가이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패널은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패널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제2 가이드 패널은 상기 패널 지지부의 배면을 내측에서 감싸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의 측면을 감싸는 스토퍼,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서 감싸는 리브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이 액정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 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의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 (Back Light Unit, BLU)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나뉘어진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액정표시패널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시트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도광판의 일측에 빛을 조사하고 도광판이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하여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패널의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확산판을 통해 확산된 빛을 액정표시패널에 조사한다.
액정표시패널(PNL)과 백라이트 유닛은, 이들을 고정하는 케이스 부재들과 함께 조립되어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로 구현된다. 케이스 부재는 가이드 패널(Guide panel), 커버 보텀(Cover bottom), 케이스 탑(Case 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된 액정 모듈은 리어 커버(rear cover)나, 미들 프레임(middle frame)과 같은 세트 부품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액정표시장치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많은 구조물들로 구성됨에 따라 경량화, 박형화(또는, 슬림화) 설계가 어려우며,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응용되기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관화된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외관화된 가이드 패널의 색상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빛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가이드 패널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보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패널은 제1 가이드 패널 및 제2 가이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패널은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패널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제2 가이드 패널은 상기 패널 지지부의 배면을 내측에서 감싸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의 측면을 감싸는 스토퍼,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서 감싸는 리브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관화 되는 가이드 패널의 외관을 설계자의 필요 및 디자인상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분야의 표시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중 가이드 패널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관화 되는 가이드 패널의 외관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빛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이 개선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의 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Ⅰ-Ⅰ'로 절취한 것으로 제1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Ⅱ-Ⅱ'로 절취한 것으로, 제2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를 Ⅲ-Ⅲ'로 절취한 것으로, 제3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의 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Ⅳ-Ⅳ'로 절취한 것으로, 제4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R 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PNL), 액정표시패널(PNL)의 아래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PNL)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USUB), 하부 기판(LSUB), 및 상부 기판(USUB)과 하부 기판(LSUB)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층은 다양한 액정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PNL)의 전면(前面) 및/또는 배면(背面)에는 편광 필름(UP, LP)이 구비될 수 있다. 편광 필름(UP, LP)은 액정표시패널(PNL)의 전면 및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성분들 중 특정 방향의 성분들만을 통과시킨다.
대향 배치된 하부 기판(LSUB)과 상부 기판(USUB)의 측면을 보호하고 빛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기판(LSUB)과 상부 기판(USUB)의 측면을 덮는 실링제(RE)가 도포(side sealing)될 수 있다. 실링용 레진(resin)은 Oligomer, Monomer, Photo-initiator, Additives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패널(PNL)의 아래에 구비되어, 액정표시패널(PNL)의 배면에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미도시) 및 도광판(LGP), 및 적어도 하나의 광학 시트(OPS)를 포함한다. 광원으로부터 도광판(LGP)의 입광면으로 공급된 빛은, 면광원 형태로 변환되어 도광판(LGP)의 전면(前面)으로 방출되고, 도광판(LGP)의 위에 위치하는 광학 시트(OPS)를 통과하면서 액정표시패널(PNL)의 배면으로 균일하게 조사된다.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 EEFL) 등의 램프 중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도광판(LGP)의 적어도 일 측면(또는, 입광면)과 대향하여 도광판(LGP)의 측면에 빛을 조사한다. 도광판(LGP)은 투명한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 PMMA)로 성형되는 판재로서, 점광원이나 선광원 형태의 빛을 면광원 형태의 빛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OPS)들은 1 매 이상의 프리즘(prism) 시트와 1 매 이상의 확산(diffuser) 시트를 포함하여 도광판(LGP)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하고 액정표시패널(PNL)의 광입사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빛의 진행경로를 굴절시킨다.
도광판(LGP) 아래에는, 도광판(LGP)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액정표시패널(PNL)로 입사되는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반사 시트(REF)가 배치된다. 반사 시트(REF)는 커버 보텀(CB)에 접착될 수 있다. 도광판(LGP)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도광판(LGP)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액정표시패널(PNL)로 입사되는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측면 반사시트(REFS)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PNL)과 백라이트 유닛은 커버 보텀(CB) 및 가이드 패널(GP)과 같은 케이스 부재에 의해 함께 조립되어 액정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로 구현된다.
커버 보텀(CB)은 그 단면이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ㄴ"자 형태로 성형된다. 커버 보텀(CB)은 수평부(HP) 및 수직부(VP)를 포함한다. 수평부(HP)는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과 대향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수직부(VP)는 수평부(HP)로부터 연장되어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과 대향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수직부(VP)는 수평부(HP)의 일단으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수직부(VP)는 수평부(HP)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수평부(HP)의 연장 방향은 제1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수직부(VP)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평부(HP)와 수직부(VP)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에는, 광원, 도광판(LGP), 적어도 하나의 광학 시트(OPS) 등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수용된다.
커버 보텀(CB)은, 구동회로 및 광원으로부터의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높은 열 전도율과 고강성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보텀(CB)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스테인레스(SUS), 갈바륨(SGLC), 알루미늄도금강판(일명 ALCOSTA), 주석도금강판(SPTE) 등과 같은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판에는 열전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고전도율 소재가 코팅될 수 있다.
가이드 패널(GP)은 제1 가이드 패널(GP1)과 제2 가이드 패널(GP2)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패널(GP1)은 외관화 되는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외관 색상의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가이드 패널(GP)이 외관화 되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가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분야의 표시 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외관화되는 가이드 패널(GP)의 색상 변화의 자유도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색상은, 설계자의 필요 및 디자인상의 요구에 대한 반영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색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외관화 되는 제1 가이드 패널(GP1)이 블랙 색상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제1 가이드 패널(GP1)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빛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량으로 인지되어 제품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1 가이드 패널(GP1)에 체결되되, 제1 가이드 패널(GP1)의 내측에 구비되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가이드 패널(GP2)을 더 구비한다.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전술한 빛샘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색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 패널(GP1)은 그 단면이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갖는 "ㄱ"자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패널(GP1)은 패널 지지부(B1)와 연장부(B2)를 포함한다. 패널 지지부(B1)는 액정표시패널(PNL)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액정표시패널(PNL)의 가장자리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패널 지지부(B1)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B2)는 패널 지지부(B1)로부터 연장되어, 커버 보텀(CB)의 외측에서 커버 보텀(CB)의 수직부(VP)를 감싸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연장부(B2)는 패널 지지부(B1)의 일단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 패널(GP2)은 바디(BD), 스토퍼(STP), 및 리브(Rb)를 포함한다. 바디(BD)는 패널 지지부(B1)의 내측에서 패널 지지부(B1)의 배면을 감싸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디(BD)는 패널 지지부(B1)와 함께 액정표시패널(PNL)과 광학 시트(OPS) 사이에 구비되어, 액정표시패널(PNL)과 광학 시트(OPS)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스토퍼(STP)는 바디(BD)의 일단으로부터 패널 지지부(B1)의 측면을 감싸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2 가이드 패널(GP2)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빛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패널 지지부(B1)의 배면 및 측면을 완전히 감싸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경로를 제2 가이드 패널(GP2)의 바디(BD) 및 스토퍼(STP)를 통해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가이드 패널(GP2)의 패널 지지부(B1)를 통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리브(Rb)는 바디(BD)의 일단으로부터 수직부(VP)의 내측면 중 일부를 감싸도록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Rb)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빛이 수직부(VP)의 일단과 바디(BD)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부(VP)의 일단과 바디(BD) 사이의 유격(또는, 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경로를 제2 가이드 패널(GP2)의 리브(Rb) 및 커버 보텀(CB)의 수직부(VP)를 통해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연장부(B2)를 통한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와 같이 금형(mold)으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계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그 기능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은 상호 체결되어,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의 상호 체결 구조는 대응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가이드 패널(GP)이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화 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별도의 세트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종래 구비되던 리어 커버(rear cover)나, 미들 프레임(middle frame)과 같은 별도의 세트 부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외관화 되는 부분은,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연장부(B2)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박형화, 경량화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와 달리 세트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공정 추가에 따른, 공정 시간, 공정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공정 불량을 저감할 수 있어 공정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액정표시패널(PNL)과 제1 가이드 패널(GP1)은 접착층(LSA)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접착층(LSA)은 액정표시패널(PNL)의 가장자리와 제1 가이드 패널(GP1)의 패널 지지부(B1) 사이에 개재된다. 접착층(LSA)은 액정표시패널(PNL)과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상호 움직임을 구속, 제한하는 기능 및, 제공되는 외력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LSA)은 액정표시패널(PNL)의 가장자리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광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차광 부재로써 기능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접착층(LSA)은 특정 섹션에서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 모두와 직접 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가이드 패널(GP1)과 제2 가이드 패널(GP2)을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스토퍼(STP)는 접착층(LSA)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2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LS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접착층(LSA)이 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착층(LSA)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연장부(B2)는 접착층(LSA)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2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LS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접착층(LSA)이 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착층(LSA)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PNL)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스 탑(case top)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하여 액정표시패널(PNL)의 가장자리를 감쌀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스 탑에 의해 액정표시패널(PNL)의 가장자리가 차폐됨에 따라 생기는 베젤 영역(bezel area)을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경량화, 박형화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면서도, 극한 네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탑과 같은 추가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정 추가에 따른 공정 시간, 공정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공정 불량을 저감할 수 있어 공정 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의 체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의 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Ⅰ-Ⅰ'로 절취한 것으로 제1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를 Ⅱ-Ⅱ'로 절취한 것으로, 제2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를 Ⅲ-Ⅲ'로 절취한 것으로, 제3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은,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액정표시패널의 상/하/좌/우 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정의된 제1 섹션(SE1), 제2 섹션(SE2), 제3 섹션(SE3)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호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섹션(SE1), 제2 섹션(SE2), 제3 섹션(SE3)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섹션(SE1)에서,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연장부(B2)는 제1 그루브(G1)를 포함한다. 제1 그루브(G1)는 제1 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마련되며, 내측으로 개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패널(GP1)은 외관화 되기 때문에, 제1 그루브(G1)가 연장부(B2)를 완전히 관통하는 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그루브(G1)가 외부에서 인지됨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심미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그루브(G1)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등 제품 신뢰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그루브(G1)는 연장부(B2)의 일부 두께만이 제거되어 마련된 홈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섹션(SE1)에서,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제1 그루브(G1)에 인입되는 체결부(LC1)를 포함한다. 체결부(LC1)는 바디(BD)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패널 지지부(B1)와 수직부(VP)의 일단 사이, 및 서로 대향하는 연장부(B2)와 수직부(VP)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즉, 체결부(LC1)는 제2 가이드 패널(GP2)과 수직부(VP) 사이에 개재되어, 수직부(VP)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체결부(LC1)는, 바디(BD)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패널 지지부(B1)와 수직부(VP)의 일단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부분(PO1), 및 제1 부분(PO1)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는 연장부(B2)와 수직부(VP)의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부분(PO2)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커버 보텀(CB)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되어 상호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섹션(SE1)에서, 체결부(LC1)의 제2 부분(PO2)은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1 그루브(G1)에 인입된다. 제2 부분(PO2)은 제1 그루브(G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PO2)이 제1 그루브(G1)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부분(PO2)이 커버 보텀(CB)의 수직부(VP)와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연장부(B2)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1 섹션(SE1)에서, 커버 보텀(CB)의 수직부(VP)의 일단은 제2 가이드 패널(GP2)의 리브(Rb)와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과 제2 부분(PO2)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인입된다. 커버 보텀(CB)의 수직부(VP)가 제2 가이드 패널(GP2)의 리브(Rb) 및 제2 부분(PO2)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보텀(CB)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체결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의 상호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섹션(SE2)에서, 커버 보텀(CB)은 후크(HK)를 포함한다. 후크(HK)는 제1 가이드 패널(GP1)의 연장부(B2)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후크(HK)는 체결부(LC1)의 제2 부분(PO2)을 관통하여, 연장부(B2)에 형성된 제1 그루브(G1)에 인입된다. 이를 위하여, 제2 부분(PO2)에는 후크(HK)가 인입될 수 있는 제2 그루브(G2)가 형성된다. 후크(HK)는 제2 그루브(G2) 내에서, 제2 그루브(G2)에 의해 마련된 제2 부분(PO2)의 단턱과 제1 그루브(G1)에 의해 마련된 연장부(B2)의 단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후크(HK)의 수는 제2 그루브(G2)의 수와 대응된다. 커버 보텀(CB)의 후크(HK)가 제1 그루브(G1) 및 제2 그루브(G2)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보텀(CB),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부(VP)의 일단이 리브(Rb)와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 및 제2 부분(PO2)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가이드 패널(GP2)과 커버 보텀(CB)의 움직임이 상호 제한될 수 있다. 다만, 공간의 제약에 의해 리브(Rb)가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지 못하는 경우, 수직부(VP)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수직부(VP)의 일단으로부터 더 돌출되는 제1 돌기(PD1)를 형성하고, 제1 돌기(PD1)가 수용될 수 있는 제3 그루브(G3)를 제2 가이드 패널(GP2)에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보텀(CB)은 제1 돌기(PD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PD1)는 수직부(VP)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바디(BD) 및/또는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바디(BD) 및/또는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은 수직부(VP)의 제1 돌기(PD1)가 인입되는 제3 그루브(G3)를 포함한다. 제3 그루브(G3)는, 바디(BD) 및/또는 체결부(LC1)가 제2 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내측으로 개방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디(BD) 및/또는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을 완전히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돌기(PD1)의 수는 제3 그루브(G3)의 수와 대응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리브(Rb)의 길이에 구애됨이 없이, 수직부(VP)의 일단 특히 제1 돌기(PD1)가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제2 가이드 패널(GP2)과 커버 보텀(CB)을 더욱 견고히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제1 돌기(PD1)와 제3 그루브(G3)가 제2 섹션(SE2)에만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체결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의 상호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가이드 패널(GP1), 제2 가이드 패널(GP2), 및 커버 보텀(CB)을 더욱 견고히 체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체결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제2 돌기(P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기(PD2)는 바디(BD) 및/또는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가이드 패널(GP1)의 패널 지지부(B1)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패널 지지부(B1)는 제2 돌기(PD2)가 인입되는 제4 그루브(G4)를 포함한다. 제4 그루브(G4)는 패널 지지부(B1)가 제2 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내측으로 개방되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패널 지지부(B1)의 제1 부분(PO1)을 완전히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돌기(PD2)의 수는 제4 그루브(G4)의 수와 대응된다. 제2 돌기(PD2)는 제4 그루브(G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기(PD2)가 제4 그루브(G4)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더욱 제한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패널(GP1)과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접착층(LSA)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 패널(GP2)은 바디(BD) 및/또는 체결부(LC1)의 제1 부분(PO1)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기(PD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가이드 패널(GP1)의 패널 지지부(B1)는 제2 돌기(PD2)가 인입되는 제4 그루브(G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PD2)는 홀 형태를 갖는 제4 그루브(G4)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돌기(PD2)의 일단은 패널 지지부(B1)의 상부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접착층(LSA)은 패널 지지부(B1)의 전면(前面)과 돌출된 제2 돌기(PD2)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층(LSA)의 일면은 패널 지지부(B1)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와, 돌출된 제2 돌기(PD2)의 전면에 각각 직접 접착되어, 제1 가이드 패널(GP1)과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움직임을 구속 및 제한할 수 있다. 접착층(LSA)은 빛샘 경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제4 그루브(G4)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관화 되는 가이드 패널(GP)의 외관을 설계자의 필요 및 디자인상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분야의 표시기기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중 가이드 패널(GP)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관화 되는 가이드 패널(GP)의 외관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면서도 빛샘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신뢰성이 개선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보조 체결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의 체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Ⅳ-Ⅳ'로 절취한 것으로, 제4 섹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R 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액정표시패널의 상/하/좌/우 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정의된 제4 섹션(SE4)에서,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보조 체결 구조로 체결되어, 상호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4 섹션(SE4)이 정의되는 액정표시패널의 일 면은, 전술한 제1 섹션(SE1), 제2 섹션(SE2), 제3 섹션(SE3)이 위치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일 면과 다른 일 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섹션(SE4)에서,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제3 돌기(P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기(PD3)는 바디(BD)로부터 연장되며 제1 가이드 패널(GP1)의 패널 지지부(B1)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대응하여, 패널 지지부(B1)는 제3 돌기(PD3)가 인입되는 제5 그루브(G5)를 포함한다. 제3 돌기(PD3)는 제5 그루브(G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 돌기(PD3)가 제5 그루브(G5)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1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더욱 제한될 수 있다.
제4 섹션(SE4)에서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제3 돌기(PD3)는 돌기 헤드(head)(P1)와 돌기 네크(neck)(P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헤드(P1)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제3 돌기(PD3)의 다른 영역 대비 넓은 면적을 갖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기 네크(P2)는 돌기 헤드(P1)와 바디(BD)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기 헤드(P1)는 돌기 네크(P2) 보다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넓은 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돌기 헤드(P1)의 단면은 제1 폭(D1)을 가질 수 있고, 돌기 네크(P2)의 단면은 제1 폭(D1) 보다 좁은 제2 폭(D2)을 갖는 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5 그루브(G5)는 제3 돌기(PD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3 돌기(PD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제5 그루브(G5)는 돌기 헤드(P1)가 수용되는 헤드홀(HH) 및 돌기 네크(P2)가 수용되는 네크홀(NH)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홀(HH)과 네크홀(NH)은 각각 돌기 헤드(P1)와 돌기 네크(P2)의 면적에 대응되는 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네크홀(NH)은 헤드홀(HH) 보다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좁은 면적을 갖는다.
제3 돌기(PD3)의 돌기 헤드(P1)는 제5 그루브(G5)의 네크홀(NH)에 최초 끼움 결합되어 헤드홀(HH)에 최종 안착된다. 매우 강한 외력을 의도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한, 끼움 결합된 제3 돌기(PD3) 헤드는, 돌기 헤드(P1)의 면적 대비 좁은 홀 면적을 갖는 네크홀(NH)을 통해 이탈될 수 없다. 이와 같이 제3 돌기(PD3)가 제5 그루브(G5)에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가이드 패널(GP1)과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제2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패널(GP1)과 제2 가이드 패널(GP2)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보조 체결 구조를 더 포함함으로써,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제1 가이드 패널(GP1) 및 제2 가이드 패널(GP2)의 상호 움직임이 제한되기 때문에,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PNL : 액정표시패널 OPS : 광학 시트
LGP : 도광판 GP : 가이드 패널
GP1 : 제1 가이드 패널 B1 : 패널 지지부
B2 : 연장부 GP2 : 제2 가이드 패널
BD : 바디 STP : 스토퍼
Rb : 리브 CB : 커버 보텀
HP : 수평부 VP : 수직부

Claims (10)

  1. 액정표시패널,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가이드 패널과 커버 보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보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패널 지지부, 및 상기 패널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연장부를 갖는 제1 가이드 패널; 및
    상기 패널 지지부의 배면을 내측에서 감싸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패널 지지부의 측면을 감싸는 스토퍼,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직부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에서 감싸는 리브를 갖는 제2 가이드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패널은,
    블랙 색상인, 액정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정의된 제1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섹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마련된 제1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패널은,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수직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그루브에 인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기 일면에 정의된 제2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섹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연장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제2 그루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그루브에 인입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돌기가 인입되는 제3 그루브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기 일면에 정의된 제3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패널은,
    상기 제3 섹션에서,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패널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2 돌기가 인입되는 제4 그루브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일면은,
    상기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4 그루브를 관통하여 노출된 제2 돌기 각각에 직접 접촉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접착층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더 돌출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접착층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더 돌출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상기 일면과 이웃하거나 대향하는 타면에 정의된 제4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패널은,
    상기 제4 섹션에서,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패널 지지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3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3 돌기가 인입되는 제5 그루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돌기는,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다른 영역 대비 넓은 면적을 갖는 돌기 헤드, 및
    상기 바디와 상기 돌기 헤드를 연결하며,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돌기 헤드 보다 좁은 면적을 갖는 돌기 네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5 그루브는,
    상기 돌기 헤드에 대응하는 홀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기 헤드를 수용하는 헤드홀; 및
    상기 돌기 네크에 대응하는 홀 면적을 갖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기 네크를 수용하는 네크홀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70116427A 2017-09-12 2017-09-12 액정표시장치 KR20190029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27A KR20190029180A (ko) 2017-09-12 2017-09-12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427A KR20190029180A (ko) 2017-09-12 2017-09-12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80A true KR20190029180A (ko) 2019-03-20

Family

ID=6603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427A KR20190029180A (ko) 2017-09-12 2017-09-12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9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591A1 (ko) * 2019-10-15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5591A1 (ko) * 2019-10-15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31040A (ko) * 2019-10-15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123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2028115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211131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5002017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US20090040430A1 (en) Backlight module with bezel having protrusions there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same
US8998476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ing device
US20140204275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CN116583780A (zh) 一种显示装置
US20120262634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233964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135528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79566A (ko) 액정표시장치
CN113947995B (zh) 一种显示装置
KR101974608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9002918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50316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3705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69645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07980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가지는 액정 표시 모듈
WO201211154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690324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0044297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CN213338267U (zh) 一种显示装置
KR1026717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187849B2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