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39A -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39A
KR20190029139A KR1020170116329A KR20170116329A KR20190029139A KR 20190029139 A KR20190029139 A KR 20190029139A KR 1020170116329 A KR1020170116329 A KR 1020170116329A KR 20170116329 A KR20170116329 A KR 20170116329A KR 20190029139 A KR20190029139 A KR 20190029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pipe
tension
fixing bracket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621B1 (ko
Inventor
이성용
Original Assignee
화일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일산기(주) filed Critical 화일산기(주)
Priority to KR102017011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이 소개된다.
본 발명의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파이프 판넬; 상기 파이프 판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장력 조절부; 상기 장력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 형성된 파이프 롤러; 상기 파이프 롤러 및 장력 조절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 전달된 텐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 롤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하는 텐션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장력 조절부에 텐션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Expanded contact area type conveyor belt system with tension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와의 접촉 면적이 확장된 것은 물론, 컨베이어 벨트와 파이프 롤러 사이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운송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어 있으며, 제철소에서는 광석, 코크스, 석탄 및 기타 부원료를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테일 풀리(T) 및 헤드 풀리(H)가 각각 양 끝단에 설치되고, 이러한 테일 풀리(T) 및 헤드 풀리(H)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원료 또는 부원료를 운송하는 벨트(V)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통상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로딩 슈트(S)를 통하여 공급된 원료 또는 부원료를 캐리어부(C)의 벨트(V)에 적재하고, 운송하여 트리퍼(P)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빈(미도시)에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로딩 슈트(S) 하부에는 스커트 보드(B)가 설치되어 로딩 슈트(S) 하단부와 벨트(V)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벨트(V)에서 운송물이 낙하하거나,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캐리어부(C)의 벨트(V)는 캐리어 롤러(CR)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바, 트리퍼(P)에서 원료 또는 부원료를 저장빈에 공급한 뒤, 헤드 풀리(H), 스넙 풀리(N), 테이크업 풀리(U) 및 밴드 풀리(D)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여 리턴부(R)에 이르게 된다.
리턴부(R)에서는 벨트(V)가 리턴 롤러(RR)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데, 벨트(V)는 테일 풀리(T)에서 다시 방향이 전환되어 캐리어부(C)의 벨트(V)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벨트(V) 주행 중에 벨트(V)에 적재된 원료 또는 부원료가 낙하하거나, 비산하여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트(V)를 파이프 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주행시키는 기술이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V)는 곡선 또는 급경사 라인 등 운송물의 낙하 또는 비산 가능성이 큰 라인에서 주로 사용되는바, 중공의 파이프 판넬의 내주면에 서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 개의 파이프 롤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파이프 형상을 띈 채 주행하게 된다.
즉, 중공의 파이프 판넬 내주면에 설치된 파이프 롤러는 파이프 판넬에 고정 설치된 지지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 형상의 벨트(V)를 주행 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판넬은 벨트(V)의 주행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설치되고, 이러한 파이프 판넬에는 복수 개의 지지 브라켓 및 파이프 롤러가 설치되는바, 벨트(V)는 파이프 롤러에 의해 가이드 되는데, 파이프 형상의 벨트(V)는 파이프 롤러와 접촉하면서 주행하게 되므로, 접촉 면적이 매우 좁아 벨트(V)의 특정 부위에 피로도가 집중되는 것은 물론, 벨트(V)가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지 못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파이프 형상의 벨트(V) 내부에 적재되는 원료 또는 부원료의 중량에 따라 벨트(V)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텐션이 원주 방향으로 달리 형성됨으로써, 벨트(V)의 둘레 방향으로 파이프 롤러와의 마찰 정도가 상이해지며, 이는 벨트(V)의 둘레 방향으로 마모량이 상이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벨트(V)의 둘레 방향 마모량이 상이해지면, 벨트(V) 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개소에서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종 부품의 고장 내지 파손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물론, 벨트(V)가 파손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60517 A(2012.06.1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와 파이프 롤러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고, 컨베이어 벨트에 접촉하는 파이프 롤러의 텐션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파이프 판넬; 상기 파이프 판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장력 조절부; 상기 장력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 형성된 파이프 롤러; 상기 파이프 롤러 및 장력 조절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 전달된 텐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 롤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하는 텐션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장력 조절부에 텐션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파이프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탄성체;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승강 플레이트를 매개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신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승강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 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그 일단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평면에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은 상기 스프링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저면부에 내장된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저면부에 함침되어 상기 로드셀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형성하는 상기 파이프 판넬의 각각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 상기 장력 조절부, 상기 파이프 롤러 및 상기 센서부가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방사상으로 설치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 롤러의 텐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방사상으로 설치된 상기 파이프 롤러의 텐션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롤러는, 원통 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단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과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첫째, 파이프 롤러와 컨베이어 벨트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컨베이어 벨트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파이프 롤러의 압하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파이프 롤러와 컨베이어 벨트 간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의 위치별 마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파이프 형상 컨베이어 벨트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먼지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V), 파이프 판넬(100), 고정 브라켓(200), 장력 조절부(300), 파이프 롤러(400), 센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V)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파이프 판넬(100)의 가이드 홀(100a)을 통과한다. 이러한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V)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리턴부 측에 주로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원료 및 부원료 잔유물, 부착광 등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이프 판넬(100)은 중앙에 가이드 홀(100a)이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V)를 주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파이프 판넬(100)은 컨베이어 벨트(V) 주행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00)은 파이프 판넬(1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200)은 후술하는 장력 조절부(30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내부에는 후술하는 센서부(500)가 내장될 수도 있으며, 센서부(500)가 내장되는 경우에는 장력 조절부(300)와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하단에 센서부(500)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센서부(500)는 컨베이어 벨트(V)와 접촉하는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을 감지하여 제어부(600)에 실시간으로 압하력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600)는 센서부(5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장력 조절부(3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장력 조절부(300)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파이프 롤러(400)가 컨베이어 벨트(V)에 가하는 압하력을 조절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센서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기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에는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V)의 원주 방향 섹션별 최적 압하력에 관한 정보, 컨베이어 벨트(V)에 적재된 원료의 중량에 따른 최적 압하력에 관한 정보, 파이프 롤러(400)와 컨베이어 벨트(V) 사이의 마찰력에 관한 정보, 컨베이어 벨트(V)의 속도와 압하력에 관한 정보, 후술하는 피스톤(344)의 신축 길이에 따른 스프링(332) 상수,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과의 관계 등이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센서부(500)에서 입력되는 정보 및 상술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가동되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V)에 대한 파이프 롤러(400)의 최적 압하력을 연산하고, 이러한 최적 압하력이 구현될 있도록 장력 조절부(3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장력 조절부(300)는 고정 브라켓(200) 및 파이프 롤러(400)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한다.
파이프 롤러(400)이 컨베이어 벨트(V)에 대한 압하력은, 장력 조절부(300)를 통하여 고정 브라켓(200)으로 전달되고, 센서부(500)는 고정 브라켓(200)으로 전달된 압하력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그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600)에서는 장력 조절부(300)에 승강 관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장력 조절부(300)의 텐션을 조절함과 동시에,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롤러(400)와 컨베이어 벨트(V)의 외주면은 점 접촉되고, 원료 및 부원료의 무게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V)의 끝단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이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V) 끝단이 손상되거나, 먼지 등이 비산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요부인 파이프 롤러(400)는 컨베이어 벨트(V)와 원주 방향으로 따라 선접촉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이 컨베이어 벨트(V)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 형성되며, 파이프 롤러(400)의 외주면과 컨베이어 벨트(V) 외주면이 안정적으로 충분하게 접촉한 상태에서 상술한 장력 조절부(300)가 작동하게 되므로, 상술한 들뜸 현상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밀폐화 수준이 개선되어 먼지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요부인 장력 조절부(300)는, 승강 플레이트(310), 지지 브라켓(320), 탄성체(330), 신축 수단(340)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310)는 고정 브라켓(200)의 하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그 평면이 고정 브라켓(200)의 저면을 바라볼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승강 플레이트(310)의 양측단에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320)이 승강 플레이트(3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지지 브라켓(320)에는 상술한 파이프 롤러(40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 플레이트(310)의 평면 및 고정 브라켓(200)의 저면은 탄성체(330)를 매개로 연결됨과 동시에, 신축 수단(340)에 의해 연결된다.
탄성체(330)는 스프링(332)을 포함할 수 있고, 신축 수단(340)은 실린더(342) 및 피스톤(3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 브라켓(200)의 저면 및 승강 플레이트(310)의 평면 중앙부에 단수 개의 스프링(332)을 설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스프링(332)은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스프링(332)을 설치하는 경우,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이 센서부(500)에 내장된 로드셀(510)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스프링(33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 쌍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센서부(500)의 로드셀(510)이 고정 브라켓의 저면부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스프링(332)으로 전달되는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이 스프링(332)을 통하여 로드셀(510)에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프링(332) 상단은 고정 브라켓(200)에 형성된 링 형상의 홀을 통하여 로드셀(510)에 접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342)는 고정 브라켓(200)의 저면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피스톤(344)은 실린더(342) 및 승강 브라켓()의 평면에 그 양단이 결합된다. 실린더(342) 및 피스톤(344)을 포함하는 신축 수단(340)은 가스식,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실린더(342) 및 피스톤(344)을 포함하는 신축 수단(340)은 상술한 스프링(33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제어부(600)의 신호에 따라 신축되면서, 승강 플레이트(310)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바, 승강 플레이트(310)의 승강에 따라 스프링(332)의 텐션이 조절되며, 지지 브라켓(320)에 결합된 파이프 롤러(400)도 함께 승강하면서,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V)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파이프 판넬(100)에 형성된 가이드 홀(100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홀(100a)의 형상을 정육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가이드 홀(100a)의 각각의 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 브라켓(200), 장력 조절부(300), 파이프 롤러(400) 및 센서부(500)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였다.
즉, 전체적으로 고정 브라켓(200), 장력 조절부(300), 파이프 롤러(400) 및 센서부(500)를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V)의 원주 방향에 위치하는 각각의 개소에서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200), 장력 조절부(300), 파이프 롤러(400) 및 센서부(500)는 파이프 판넬(100)의 정면 또는 배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으며, 파이프 판넬(100)의 정면 및 배면에 일정 각도 이격시켜 복수 개를 설치하되, 서로 엇갈리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파이프 판넬(100)의 정면에는 그 상단부, 좌하단부, 우하단부에 상술한 구성들을 설치하고, 파이프 판넬(100)의 배면에는 하단부, 좌상단부, 우상단부에 상술한 구성들을 설치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V)를 더 원활하게 가이드 하면서도, 컨베이어 벨트(V)의 원주 방향 압하력을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500)는 가이드 홀(100a)이 형성된 파이프 판넬(100)의 내주면의 각 변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센서부(500)에서 측정된 각각의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 스프링(332)의 텐션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600)에서는 각각의 센서부(500)로부터 전달받은 컨베이어 벨트(V)의 원주 방향 압하력 또는 스프링(332)의 텐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각각의 개소에 설치된 신축 수단(340)에 개별적인 작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각각의 개소에서의 압하력 내지 텐션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롤러(400)는 컨베이어 벨트(V)와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컨베이어 벨트(V)의 둘레 방향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 롤러(400)를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V)와 선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파이프 롤러(400)는 원통 형상의 중앙부(410)와, 이러한 중앙부(410)의 일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1연장부(420)와, 중앙부(410)의 타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2연장부(430)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V)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따르면, 파이프 롤러(400)와 컨베이어 벨트(V)의 접촉 면적이 확장되어 컨베이어 벨트(V)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고, 파이프 롤러(400)의 압하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파이프 롤러(400)와 컨베이어 벨트(V) 간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V)의 위치별 마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 형상 컨베이어 벨트(V)의 끝단에서 발생하는 들뜸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먼지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파이프 판넬 100a : 가이드 홀
200 : 고정 브라켓 300 : 장력 조절부
310 : 승강 플레이트 320 : 지지 브라켓
330 : 탄성체 332 : 스프링
340 : 신축 수단 342 : 실린더
344 : 피스톤 400 : 파이프 롤러
410 : 중앙부 420 : 제1연장부
430 : 제2연장부 500 : 센서부
510 : 로드셀 600 : 제어부
V : 컨베이어 벨트

Claims (8)

  1. 파이프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중앙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파이프 판넬;
    상기 파이프 판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그 일단이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장력 조절부;
    상기 장력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확장될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굴곡 형성된 파이프 롤러;
    상기 파이프 롤러 및 장력 조절부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으로 전달된 텐션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 롤러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전달하는 텐션에 관한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장력 조절부에 텐션 조절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하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파이프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탄성체;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승강 플레이트를 매개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동력을 제공하는 신축 수단;을 포함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 브라켓과 승강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 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그 일단은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평면에 결합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은 상기 스프링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저면부에 내장된 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상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저면부에 함침되어 상기 로드셀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을 형성하는 상기 파이프 판넬의 각각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 상기 장력 조절부, 상기 파이프 롤러 및 상기 센서부가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사상으로 설치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 롤러의 텐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방사상으로 설치된 상기 파이프 롤러의 텐션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롤러는,
    원통 형상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양단에서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각각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외주면과 선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1020170116329A 2017-09-12 2017-09-12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KR10202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29A KR102025621B1 (ko) 2017-09-12 2017-09-12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29A KR102025621B1 (ko) 2017-09-12 2017-09-12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39A true KR20190029139A (ko) 2019-03-20
KR102025621B1 KR102025621B1 (ko) 2019-09-27

Family

ID=6603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329A KR102025621B1 (ko) 2017-09-12 2017-09-12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9181A (zh) * 2020-12-02 2021-04-02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管子下料平台滚轮架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3617U (ko) * 1986-05-13 1987-11-21
JPH05238524A (ja) * 1992-02-28 1993-09-17 Nisshin Steel Co Ltd パイプ状ベルトの捩れ防止方法
JP2000118657A (ja) * 1998-10-13 2000-04-25 Kawasaki Steel Corp パイプコンベア用のローリング抑制装置
KR20120060517A (ko) 2010-12-02 2012-06-12 한국중부발전(주) 파이프형 컨베이어벨트 편심 방지장치
JP2012153481A (ja) * 2011-01-26 2012-08-16 Bridgestone Corp パイプコンベヤ
KR101354629B1 (ko) * 2013-09-23 2014-01-22 이종화 파이프 컨베이어의 롤러 브라켓 가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3617U (ko) * 1986-05-13 1987-11-21
JPH05238524A (ja) * 1992-02-28 1993-09-17 Nisshin Steel Co Ltd パイプ状ベルトの捩れ防止方法
JP2000118657A (ja) * 1998-10-13 2000-04-25 Kawasaki Steel Corp パイプコンベア用のローリング抑制装置
KR20120060517A (ko) 2010-12-02 2012-06-12 한국중부발전(주) 파이프형 컨베이어벨트 편심 방지장치
JP2012153481A (ja) * 2011-01-26 2012-08-16 Bridgestone Corp パイプコンベヤ
KR101354629B1 (ko) * 2013-09-23 2014-01-22 이종화 파이프 컨베이어의 롤러 브라켓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9181A (zh) * 2020-12-02 2021-04-02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管子下料平台滚轮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621B1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6463B (zh) 双传感器链条断裂检测器
CN101934920B (zh) 可在主闸端延伸的铠装工作面输送带
US9988217B2 (en) Conveyor belt wear monitoring system
CN102295134B (zh) 轨道吊挂型输送机
CN201825508U (zh) 刮板输送机
CN1262824C (zh) 计量式链条输送机
GB2154528A (en) Tensioning device for chain-driven plant
KR20190029139A (ko) 장력 조절 기능을 갖는 접촉 면적 확장형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
CN202245041U (zh) 轨道吊挂型输送机
CN113697391B (zh) 自适应顺槽带式输送机工况的张紧力调控系统及方法
CA1221937A (en) Pocket elevator
GB2187427A (en) Mine haulage method and apparatus
US4842130A (en) Belt bender
CN102009831A (zh) 一种大倾角带式输送机
KR20120121547A (ko)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
CN107685973A (zh) 新型深槽型带式输送机
CN105417006A (zh) 悬臂式液压升降皮带双向输送机
EP0172027A1 (en) Belt guidance arrangement for conveyor system
CN211643698U (zh) 一种橡胶轮胎分级工艺输送机
AU2017279723B2 (en) Sensor assembly for a chain conveyor background
US6193055B1 (en) Conveyor belt support
CN217376315U (zh) 一种煤矿用胶带输送机中部卸载装置
CN218369982U (zh) 一种煤矿自动化输送机
CN210654808U (zh) 一种用于伸缩带式输送机的传动装置
CA1218622A (en) Belt conveyor unloa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