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37A -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37A
KR20190029137A KR1020170116321A KR20170116321A KR20190029137A KR 20190029137 A KR20190029137 A KR 20190029137A KR 1020170116321 A KR1020170116321 A KR 1020170116321A KR 20170116321 A KR20170116321 A KR 20170116321A KR 20190029137 A KR20190029137 A KR 20190029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belt
frame
rotating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958B1 (ko
Inventor
이성용
Original Assignee
화일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일산기(주) filed Critical 화일산기(주)
Priority to KR1020170116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9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에 결합된 벨트 클리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Belt cleaner apparatus with position change function}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협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벨트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운송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어 있으며, 제철소에서는 광석, 코크스, 석탄 및 기타 부원료를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테일 풀리(T) 및 헤드 풀리(H)가 각각 양 끝단에 설치되고, 이러한 테일 풀리(T) 및 헤드 풀리(H)에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면서 원료 또는 부원료를 운송하는 벨트(V)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통상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로딩 슈트(S)를 통하여 공급된 원료 또는 부원료를 캐리어부(C)의 벨트(V)에 적재하고, 운송하여 트리퍼(P) 하부에 위치하는 저장빈(미도시)에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로딩 슈트(S) 하부에는 스커트 보드(B)가 설치되어 로딩 슈트(S) 하단부와 벨트(V) 사이의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벨트(V)에서 운송물이 낙하하거나, 분진이 주변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캐리어부(C)의 벨트(V)는 캐리어 롤러(CR)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바, 트리퍼(P)에서 원료 또는 부원료를 저장빈에 공급한 뒤, 헤드 풀리(H), 스넙 풀리(N), 테이크업 풀리(U) 및 밴드 풀리(D)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여 리턴부(R)에 이르게 된다.
리턴부(R)에서는 벨트(V)가 리턴 롤러(RR)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하는데, 벨트(V)는 테일 풀리(T)에서 다시 방향이 전환되어 캐리어부(C)의 벨트(V)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 또는 테일부 측에는 벨트(V)에 협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벨트 클리너(C)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벨트 클리너(C)는 벨트(V)의 상부 또는 벨트(V)의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벨트 클리너(C)를 설치하기 위해서 고정 프레임(F)이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 프레임(100)에 벨트 클리너(400)를 복수 개의 볼트(B)로 고정하여 벨트 클리너(400)의 헤드가 벨트(V) 표면에 근접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이러한 종래 벨트 클리너(C)는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벨트(V)의 위치별 표면 상태가 상이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되는 벨트 클리너(C)는 벨트(V)의 폭 방향으로 벨트(V)가 평평한 상태임을 상정하여 설치, 작동되는 것으로, 캐리어 롤러 또는 리턴 롤러에 인접한 장소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단점도 존재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6-0022602 A(2006.10.17)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 상태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 폭 방향으로 벨트 클리너를 회동시켜 컨베이어 벨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에 결합된 벨트 클리너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장 플랜지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장 플랜지에 내장되는 중공의 회전 베어링; 상기 회전 베어링에 그 일면이 접촉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 클리너가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 상기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베어링 및 연장 플랜지를 관통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 및 회전 베어링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이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과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벨트 클리너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 방향과 마주보는 면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벨트 클리너의 저면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에 고착된 이물질의 상태 및 위치에 따라 벨트 클리너의 위치를 컨베이어 벨트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컨베이어 벨트의 표면 상태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 폭 방향으로 벨트 클리너를 회동시켜 컨베이어 벨트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벨트 클리너 장치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는 고정 프레임(100), 고정부(200), 회동부(300) 및 벨트 클리너(40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00)은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100)은 컨베이어 벨트(V)가 리턴되는 벨트 풀리(P)의 앞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컨베이어 벨트(V) 상에 컨베이어 벨트(V)와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바, 도 5에서는 본 발명이 컨베이어 벨트(V)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작업 환경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본 발명의 설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고정부(200)는 고정 프레임(100)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V)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의 위치에 따라 고정부(200)를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후술하는 벨트 클리너(4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이물질이 고착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센서부로부터 이물질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미도시) 및 제어부의 작동 신호에 따라 고정부(2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회동부(300)는 고정부(200)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회동부(300)를 고정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 사용하다가, 컨베이어 벨트(V) 표면의 상태에 따라 고정부(200)에 대하여 회전시킨 후, 재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회동부(300)의 회전에 의해 벨트 클리너(400)의 저면은 컨베이어 벨트(V) 표면의 상태, 컨베이어 벨트(V)의 중앙부 또는 가장자리부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컨베이어 벨트(V) 표면에 접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200)는 이동 프레임(210), 고정 부재(220), 연장 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동 프레임(210)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중공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고정 프레임(10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고정 부재(220)는 이동 프레임(210)을 관통하여 이동 프레임(210)을 고정 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벨트 클리너(4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벨트 클리너(40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고, 벨트 클리너(4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동 프레임(21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바, 고정 부재(220)는 이동 프레임(210)을 고정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연장 플랜지(230)는 이동 프레임(210)의 하단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 플랜지(230)에는 후술하는 회전 베어링(310)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홈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회전바(3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회전 베어링(310)이 내장되는 공간에는 홀이 형성된다.
회동부(300)는 연장 플랜지(230)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이러한 회동부(300)는, 회전 베어링(310), 회전 프레임(320), 결합 브라켓(330), 회전바(340) 및 스토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 베어링(310)은 연장 플랜지(230)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프레임(320)은 그 상단부 일면이 회전 베어링(310)에 접하며, 회전바(340)는 회전 프레임(320) 및 회전 베어링(310)에 관통 결합된다. 즉, 회전바(340)의 회전에 따라 회전 프레임(320) 및 회전 베어링(310) 역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 프레임(320)의 하단부에는 결합 브라켓(330)이 연장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 브라켓(330)에는 상술한 벨트 클리너(400)가 결합된다. 벨트 클리너(400)를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 결합 브라켓(330)은 회전 프레임(320)을 사이에 두고 회전 프레임(320)의 하단부에 한 쌍의 플랜지를 아래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도 있는바,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벨트 클리너(400)를 삽입한 후, 볼트(B)를 이용하여 벨트 클리너(400)를 결합 브라켓(33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스토퍼(350)는 회전 프레임(3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바(340)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회전바(340)의 회동을 방지함으로써, 회전바(34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프레임(320)의 회동 역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바(340)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 슬롯(340a)이 형성되고, 스토퍼(350)는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이 회전바(340)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됨으로써, 회전바(34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회전 프레임(320)을 회전시킬 때에는 스토퍼(350)를 회전 방지 슬롯(340a)으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고, 회전 프레임(320)을 고정시킬 때에는 스토퍼(350)를 회전 방지 슬롯(340a)에 슬라이딩 결합시킴으로써, 회전바(34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바, 회전바(340)에 형성된 회전 방지 슬롯(340a)이 스토퍼(350)의 양 단에 걸리면서 회전바(34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컨베이어 벨트(V) 표면의 상태, 컨베이어 벨트(V)의 중앙부 및 가장자리부의 굴곡 상태 등에 따라 회전 프레임(320)을 회전시킴으로써, 컨베이어 벨트(V)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벨트 클리너(400)는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V)의 표면에서 고착 해제된 이물질을 컨베이어 벨트(V) 가장자리 및 컨베이어 벨트(V) 주변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고정부(200), 회동부(300) 및 벨트 클리너(400)는 고정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벨트 클리너(400)는 컨베이어 벨트(V)의 주행 방향과 마주보는 면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로 인해 컨베이어 벨트(V)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부로 이물질이 유도될 수 있으며, 이물질을 컨베이어 벨트(V)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V)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벨트 클리너(400)의 저면은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는바, 컨베이어 벨트(V)가 "∪" 형상으로 형성되는 위치에서도 벨트 클리너(400)는 컨베이어 벨트(V) 표면의 중앙부, 가장자리부 모두와 접촉하면서 컨베이어 벨트(V)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벨트 클리너(400)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더라도, 컨베이어 벨트(V)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위치에서 회전 프레임(320)을 회전시켜 벨트 클리너(400)를 컨베이어 벨트(V) 표면과 접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V) 상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컨베이어 벨트(V)가 리턴되는 부분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벨트 클리너(400)는 컨베이어 벨트(V) 표면과 맞닿게 위치하고, 컨베이어 벨트(V)가 주행하면서 그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은 벨트 클리너(400)에 의해 제거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벨트 클리너(400)를 컨베이어 벨트(V)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동시켜 컨베이어 벨트(V)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고정 프레임 200 : 고정부
210 : 이동 프레임 220 : 고정 부재
230 : 연장 플랜지 300 : 회동부
310 : 회전 베어링 320 : 회전 프레임
330 : 결합 브라켓 340 : 회전바
340a : 회전 방지 슬롯 350 : 스토퍼
400 : 벨트 클리너 B : 볼트
V : 컨베이어 벨트 P : 벨트 풀리

Claims (7)

  1.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결합된 회동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에 결합된 벨트 클리너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 중공의 연장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장 플랜지에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장 플랜지에 내장되는 중공의 회전 베어링;
    상기 회전 베어링에 그 일면이 접촉되어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벨트 클리너가 결합되는 결합 브라켓;
    상기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베어링 및 연장 플랜지를 관통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 및 회전 베어링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바; 및
    상기 회전 프레임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그 양단이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서 돌출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과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벨트 클리너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벨트 클리너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 방향과 마주보는 면이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벨트 클리너의 저면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KR1020170116321A 2017-09-12 2017-09-12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KR101985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21A KR101985958B1 (ko) 2017-09-12 2017-09-12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21A KR101985958B1 (ko) 2017-09-12 2017-09-12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37A true KR20190029137A (ko) 2019-03-20
KR101985958B1 KR101985958B1 (ko) 2019-06-04

Family

ID=6603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321A KR101985958B1 (ko) 2017-09-12 2017-09-12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67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간격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벨트 클리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351B2 (ja) * 1996-10-02 2003-10-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タッカ用地上コンベアの水切装置
KR100524490B1 (ko) * 2002-08-22 2005-10-28 주식회사 포스코 좌우 이동이 가능한 곡선 벨트 클리너
KR20060022602A (ko) 2004-09-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351B2 (ja) * 1996-10-02 2003-10-1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タッカ用地上コンベアの水切装置
KR100524490B1 (ko) * 2002-08-22 2005-10-28 주식회사 포스코 좌우 이동이 가능한 곡선 벨트 클리너
KR20060022602A (ko) 2004-09-07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67A (ko) * 2020-02-25 2021-09-02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간격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벨트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958B1 (ko)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3120B1 (en) Roller-belt conveyor with infeed pull-away
CN210365699U (zh) 一种纠偏皮带机
KR101985958B1 (ko) 위치 가변 기능을 갖는 벨트 클리너 장치
CN106429350B (zh) 一种具有箱体自动整理功能的输送机系统
US11046535B2 (en) Storage apparatus for bulk material, in particular wood chips, and a filling method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US9637317B2 (en) Conveyor belt idler systems
KR101628026B1 (ko) 컨베이어의 낙하물 이송장치
KR101295743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803962B1 (ko) 원료 및 부원료 컨베이어용 벨트 뒤집기 방법
KR1015166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US9267374B2 (en) Armored face conveyor
KR102043554B1 (ko) 연속하역기용 낙광 제거장치
CN115626427A (zh) 基于物料运输的可伸缩带式输送机
KR20110114999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20160036428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056222B1 (ko) 마찰 부위 다변화 기능을 갖는 파이프 컨베이어 벨트 장치
KR10164039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벨트 턴오버 장치
JP7058192B2 (ja) 整列搬送装置
JP2008265986A (ja) 物品の仕分装置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CN110626730A (zh) 自动传输装置
TW202031574A (zh) 可自動修正輸送帶偏移的輸送設備
KR20190029141A (ko) 컨베이어 벨트 리턴부용 이물질 제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