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135A -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 Google Patents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135A
KR20190029135A KR1020170116307A KR20170116307A KR20190029135A KR 20190029135 A KR20190029135 A KR 20190029135A KR 1020170116307 A KR1020170116307 A KR 1020170116307A KR 20170116307 A KR20170116307 A KR 20170116307A KR 20190029135 A KR20190029135 A KR 2019002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attached
goggles
protrusion
de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502B1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윈비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비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윈비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502B1/ko
Priority to CN201780096766.6A priority patent/CN111343881A/zh
Priority to PCT/KR2017/011629 priority patent/WO2019054552A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502B1/ko
Priority to US16/816,004 priority patent/US2020020550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185Securing goggles or spectacles on helmet shell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의 일측에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식 고글이 탈부착됨으로써, 헬멧 및 고글을 동시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주행 중 고글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구성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A detachable multifunctional goggle for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헬멧의 일측에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식 고글이 탈부착됨으로써, 헬멧 및 고글을 동시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주행 중 고글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구성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수단 또는 운송수단뿐만 아니라, 운동 및 레저활동을 목적으로 자전거를 타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 관련 용품의 개발 및 소비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자전거 관련 용품 중 빼놓을 수 없는 용품 중의 하나인 헬멧(Helmet) 및 고글(Goggle)은 자전거 및 모터사이클과 같은 2륜차를 운전할 때 운전자가 머리 및 눈의 안전을 위해서 착용하는 보호 장비로서, 헬멧의 경우, 근래에는, 도로에서 2륜차를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도로교통 관련 법령이나 법규에 의거하여 헬멧을 착용할 것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이러한 헬멧 및 고글의 소비 증가에 따라, 각양각색의 디자인 및 특징을 가진 다양한 헬멧 및 고글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으나, 헬멧의 경우,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본 목적에 충실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운전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목적 외에 다른 목적 및 특징을 갖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고글의 경우에도, 디자인이 변형된 제품 외에 실용적인 목적 및 특징을 가진 제품의 개발이 미약한 실정이었다.
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1701호(스포츠용 헬멧)와 같이, 헬멧에 고글을 결합시켜 헬멧을 착용하는 것만으로 고글을 함께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헬멧이 개발되긴 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헬멧에 고글을 부착시킨 구조로서, 헬멧에 부착된 고글의 위치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헬멧에 부착된 상태의 고글을 분리해내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운전자가 헬멧에 부착된 고글을 착용한 상태로 주행하는 도중, 터널과 같은 어두운 장소로 갑작스럽게 진입하게 되는 경우, 고글로 인해 시야가 방해되어 주행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고글을 벗기 위해서는 주행을 멈추거나, 주행 중 한손으로 고글을 벗어야만 하므로, 주행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헬멧의 일측에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식 고글이 탈부착됨으로써, 헬멧 및 고글을 동시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주행 중 고글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구성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대한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17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의 일측에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식 고글이 탈부착됨으로써, 헬멧 및 고글을 동시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주행 중 고글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구성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헬멧의 전면 또는 후면에 주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등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주행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헬멧의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주행 경로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후면에 위치하는 후발대가 선발대의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선발대의 주행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헬멧의 일측에 카메라, 마이크 및 블루투스 스피커 등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속품 탈부착을 통해 주행 중 촬영, 전화 통화 및 음악 감상을 가능하도록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GPS 모듈을 통해 헬멧을 착용한 사용자가 현재 위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은, 헬멧의 전방에 부착되며,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마운트와, 상기 마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돌기에 체결되는 제1 결속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곽에는 다수의 제2 결속구멍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헬멧 결속부가 일정한 각도의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는 결속수단과, 상기 마운트에 결합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되,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돌기, 푸쉬(Push)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 고정해제버튼 및 상기 제1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일측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결합되고,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레일과, 일측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조립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 조립구멍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푸쉬(Push)에 기초하여 상기 걸림홈에 체결된 상기 걸림돌기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체결해제버튼이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고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글이 끼움 결합되는 고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글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글 결합부는,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돌기, 푸쉬(Push)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고정해제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은,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각도조절수단과 결합되는 상기 레일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외곽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면에 점등식 또는 점멸식으로 발광하는 방향 지시등이 부착된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지시등 부착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상기 지시등 부착부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에는, 각각 두 개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헬멧에 부착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되, 접착성을 갖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일측에 부속품이 체결되는 부속품 체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은, 일측에 내장되며, 위성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멧의 일측에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접히도록 구성된 접이식 고글이 탈부착됨으로써, 헬멧 및 고글을 동시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며, 주행 중 고글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구성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헬멧의 전면 또는 후면에 주행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지시등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주행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헬멧의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주행 경로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후면에 위치하는 후발대가 선발대의 방향 지시등을 확인하여 용이하게 선발대의 주행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헬멧의 일측에 카메라, 마이크 및 블루투스 스피커 등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부속품 탈부착을 통해 주행 중 촬영, 전화 통화 및 음악 감상이 가능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GPS 모듈을 통해 헬멧을 착용한 사용자가 현재 위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각도조절수단 및 각도조절수단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레일이 회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레일 및 브라켓의 결합모습 및 이동 후 결합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고글 결합부 및 고글 결합부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의 부속품 체결수단의 모습 및 부속품 체결수단에 체결 가능한 부속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이 단말기와 연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푸쉬(Pshu)"는 명세서에 기재된 버튼(button)의 "온(On)/오프(Off)"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온(On) 상태의 버튼이 푸쉬되는 경우, 해당 버튼은 오프(Off)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의 구성 및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은 마운트(110), 결속수단(120), 각도조절수단(130), 레일(140), 브라켓(150), 고글(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로서 GPS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마운트(110)는 일측이 헬멧(10)의 전방에 부착될 수 있으며, 타측에 결속수단(120) 및 각도조절수단(130)이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헬멧(10)에 부착되는 마운트(110)의 일면에는 일반적으로 표면이 곡면상으로 이루어지는 헬멧(10)에 마운트(1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충격흡수부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111)의 일면에는 마운트(110)가 헬멧(10)의 전방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부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은 마운트(110)를 후술되는 결속수단(120)에 의해 헬멧(10)에 부착되되, 접착부재(111a)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써, 자전거 및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마운트(110)가 헬멧(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운트(110)의 일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속돌기(11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돌기(110a)를 통해 상기 결속수단(1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속돌기(110a)의 일단은 구부러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결속수단(120)은,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을 헬멧(10)에 결속시키는 것으로서, 마운트(110)의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결합부(121) 및 상기 결합부(121)의 외각에 일정한 각도의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헬멧 결속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21)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돌기(110a)에 체결되는 제1 결속구멍(1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속구멍(121a)이 상기 결속돌기(110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속수단(120)이 마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속구멍(121a)의 일측에는 구부러진 상기 결속돌기(110a)의 일단이 걸리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또한, 헬멧 결속부(122)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돌기(110a)에 체결되는 제2 결속구멍(12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헬멧 결속부(122)가 헬멧(10)의 바람구멍을 통과한 후, 상기 결속돌기(110a)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속수단(120)이 헬멧(10) 및 마운트(1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헬멧 결속부(122)는 플렉시블(Flexible)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결속수단(120)은 외곽으로 연장 형성되는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지시등 부착부(123)에는 빛을 발광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방향 지시등(124)(예를 들어, LED 램프)이 부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시등 부착부(123)에 부착된 방향 지시등(124) 중 어느 하나의 방향 지시등(124)이 사용자의 제어에 기초하여 점등 또는 점멸됨으로써, 외부에서 사용자의 주행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시등 부착부(123)에는 부착되는 방향 지시등(124)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에는 상기 방향 지시등(124)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아울러 여기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되는 위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각각의 지시등 부착부(123)는 헬멧(20)의 겉 테두리를 감싼 후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23a) 및 결합구멍(123b)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면, 방향 지시등(124)은 하나의 지시등 부착부(123)에 두 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방향 지시등(124)은 지시등 부착부(123)의 후방 측 및 전방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향 지시등(124)이 헬멧(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야간 시 운전자의 주행 방향을 전방의 위치 및 후방의 위치에서 모두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지시등 부착부(123)에 부착되는 방향 지시등(124)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상기 방향 지시등(124)이 부착되는 위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각도조절수단(1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의 각도조절수단(130)은 외측면에 다수의 힌지돌기(131a)가 형성된 힌지(131)에 의해 마운트(110)에 결합되어, 힌지(131)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수단(130)의 일측에는 힌지돌기(131a)가 체결되어, 각도가 조절된 각도조절수단(130)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수단(130)의 일측에는 힌지돌기(131a)를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1 고정돌기(132)가 아닌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고정돌기(132)를 예로 들어, 각도조절수단(130)이 다수의 힌지돌기(131a) 및 제1 고정돌기(132)의 체결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을 설명한 것임에 유의한다.
또한, 각도조절수단(130)은 사용자의 푸쉬(Push)에 기초하여 힌지돌기(131a)에 체결된 제1 고정돌기(132)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 고정해제버튼(133)과, 제1 고정해제버튼(133)의 푸쉬(Push)에 기초하여 힌지돌기(131a) 및 제1 고정돌기(132)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각도가 조절된 각도조절수단(130)의 각도를 본래의 각도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돌기(131a)에 체결된 제1 고정돌기(132)는 제1 고정해제버튼(133)이 푸쉬(Push)되는 경우, 푸쉬(Push)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됨으로써, 힌지돌기(131a)로부터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힌지돌기(131a)로부터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힌지돌기(131a) 및 제1 고정돌기(132)의 체결상태에 의해 눌려있던 제1 탄성부재(134)가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각도조절수단(130)의 각도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의 각도로 복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레일(140)은 일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에 상기 각도조절수단(130)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수단(1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레일(140)은 각도조절수단(130)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의 경우, 운전자가 고글(160)을 사용하지 않을 때, 고글(160)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용이하게 보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레일(140)과 결합되는 각도조절수단(130)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130a)가 형성될 수 있고, 각도조절수단(130)과 결합되는 레일(140)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14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돌기(130a) 및 회전방지홈(140a)이 체결됨으로써, 레일(140)이 각도조절수단(130)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레일(140)의 일면에는 후술되는 레일 조립구멍(15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걸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걸림홈(141)이 형성되는 위치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브라켓(150)은 상기 레일(140)이 삽입되는 레일 조립구멍(151)을 통해 상기 레일(14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되는 고글 결합부(152)를 통해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의 고글(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레일 조립구멍(15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141)에 체결되는 걸림돌기(15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돌기(151a)가 다수의 걸림홈(14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14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라켓(150)이 레일(14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브라켓(150)을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레일(140)의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레일(140)의 우측으로 이동된 브라켓(150)이 걸림홈(141) 및 걸림돌기(151a)에 의해 고정되며, 그로 인해, 고글(160)이 우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운전자는 고글(16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150)에는 푸쉬(Push)에 기초하여 걸림홈(141)에 고정된 걸림돌기(151a)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는 체결해제버튼(15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체결해제버튼(151b)을 푸쉬(Push)한 상태로 상기 브라켓(150)을 이동시켜 걸림돌기(151a)를 다수의 걸림홈(14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141)에 체결시킴으로써, 브라켓(15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레일(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측에 고글(160)이 결합된 고글 결합부(152)는 외측면에 다수의 힌지돌기(131a)가 형성된 힌지(131)에 의해 브라켓(150)과 결합됨으로써, 힌지(131)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글 결합부(152)의 일측에는 힌지돌기(131a)가 체결되어, 각도가 조절된 고글 결합부(152)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돌기(152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고글 결합부(152)의 일측에는 힌지돌기(131a)를 체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2 고정돌기(152a)가 아닌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제2 고정돌기(152a)를 예로 들어, 고글 결합부(152)가 다수의 힌지돌기(131a) 및 제2 고정돌기(152a)의 체결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음을 설명한 것임에 유의한다.
또한, 고글 결합부(152)는 사용자의 푸쉬(Push)에 기초하여 힌지돌기(131a)에 체결된 제2 고정돌기(152a)의 체결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고정해제버튼(152b)과, 제2 고정해제버튼(152b)의 푸쉬(Push)에 기초하여 힌지돌기(131a) 및 제2 고정돌기(152a)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각도가 조절된 고글 결합부(152)의 각도를 본래의 각도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부재(15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돌기(131a)에 체결된 제2 고정돌기(152a)는 제2 고정해제버튼(152b)이 푸쉬(Push)되는 경우, 푸쉬(Push)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됨으로써, 힌지돌기(131a)로부터 체결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힌지돌기(131a)로부터 체결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힌지돌기(131a) 및 제2 고정돌기(152b)의 체결상태에 의해 눌려있던 제2 탄성부재(152c)가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고글 결합부(152)의 각도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의 각도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 고정해제버튼(133)이나, 제2 고정해제버튼(152b)을 푸쉬(Push)하는 것만으로 착용되어 있던 고글(160)을 손쉽게 벗을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150)의 일측에는 부속품(30)이 체결되는 부속품 체결수단(15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속품(30)이란 카메라, 블루투스 스피커, 블루투스 마이크 및 플래시라이트(Flashligh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한편, 부속품 체결수단(153)의 일측에는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부속품 결속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속품 결속부(미도시)는 부속품(20)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과하거나, 부속품(20)을 둘러싼 후, 상기 부속품 체결수단(153)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부속품(20)이 부속품 체결수단(1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의 경우, 브라켓(150)을 이용하여 부속품(20)을 체결시킬 수 있음으로써, 부속품(20)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을 보다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속품(20)으로 카메라를 브라켓(150)에 체결시키는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주행 장면을 손쉽게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으며, 부속품(20)으로 블루투스 스피커 및 블루투스 마이크를 체결시키는 경우, 운전자는 주행 중, 음악 감상 및 전화 통화를 할 수도 있게 된다. 다만, 이때, 전술한 예는 본 발명의 효과적인 측면의 설명을 돕기 위한 예시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체결수단(153)의 사용 목적 및 효과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은 그 구성요소로서, GPS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PS 모듈(170)은 마운트(110), 레일(140) 및 브라켓(15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공간에 내장될 수 있고,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의 외측에 부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GPS 모듈(170)이 설치되는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은 GPS 모듈(170)을 이용하여 단말(30)과 연동될 수 있되, GPS 신호를 이용하는 네비게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을 사용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현재 위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단말(30)은 특정 기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GPS 신호의 이용이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기기로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100)은 제1 고정해제버튼(133)이나, 제2 고정해제버튼(152b)을 푸쉬(Push)하는 것만으로 착용되어 있던 고글(160)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헬멧 및 고글을 동시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되, 주행 중 고글을 손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하며, GPS 모듈(170)을 포함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자신의 현재 위치, 이동 경로 및 이동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행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헬멧
20: 부속품
30: 단말
100: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110: 마운트
110a: 결속돌기
111: 충격흡수부재
111a: 접착부재
120: 결속수단
121: 결합부
121a: 제1 결속구멍
122: 헬멧 결속부
122a: 제2 결속구멍
123: 지시등 부착부
123a: 결합돌기
123b: 결합구멍
124: 방향 지시등
130: 각도조절수단
130a: 회전방지돌기
131: 제1 고정돌기
132: 제1 고정해제버튼
133: 제1 탄성부재
140: 레일
140a: 회전방지홈
141: 걸림홈
150: 브라켓
151: 레일 조립구멍
151a: 걸림돌기
151b: 체결해제버튼
152: 고글 결합부
152a: 제2 고정돌기
152b: 제2 고정해제버튼
152c: 제2 탄성부재
153: 부속품 체결수단
160: 고글
170: GPS 모듈

Claims (10)

  1. 헬멧의 전방에 부착되며,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속돌기가 형성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는 상기 결속돌기에 체결되는 제1 결속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외곽에는 다수의 제2 결속구멍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헬멧 결속부가 일정한 각도의 간격을 두고 연장 형성되는 결속수단;
    상기 마운트에 결합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되,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돌기, 푸쉬(Push)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 고정해제버튼 및 상기 제1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각도조절수단;
    일측이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결합되고,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레일;
    일측에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조립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 조립구멍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돌기 및 푸쉬(Push)에 기초하여 상기 걸림홈에 체결된 상기 걸림돌기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키는 체결해제버튼이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고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글이 끼움 결합되는 고글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글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글 결합부는,
    조절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돌기, 푸쉬(Push)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 고정해제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돌기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조절된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결합되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과 결합되는 상기 레일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외곽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면에 점등식 또는 점멸식으로 발광하는 방향 지시등이 부착된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지시등 부착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지시등 부착부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시등 부착부에는,
    각각 두 개의 상기 방향 지시등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헬멧에 부착되는 일면에 형성되는 충격흡수부재; 및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되, 접착성을 갖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일측에 부속품이 체결되는 부속품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은,
    일측에 내장되며, 위성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KR1020170116307A 2017-09-12 2017-09-12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KR10201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07A KR102019502B1 (ko) 2017-09-12 2017-09-12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CN201780096766.6A CN111343881A (zh) 2017-09-12 2017-10-20 可在头盔上进行拆装的多功能护目镜
PCT/KR2017/011629 WO2019054552A1 (ko) 2017-09-12 2017-10-20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US16/816,004 US20200205505A1 (en) 2017-09-12 2020-03-11 Multifunctional goggles detachable from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307A KR102019502B1 (ko) 2017-09-12 2017-09-12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35A true KR20190029135A (ko) 2019-03-20
KR102019502B1 KR102019502B1 (ko) 2019-09-06

Family

ID=6572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307A KR102019502B1 (ko) 2017-09-12 2017-09-12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05505A1 (ko)
KR (1) KR102019502B1 (ko)
CN (1) CN111343881A (ko)
WO (1) WO2019054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2126A1 (en) * 2020-10-15 2022-06-30 Wilcox Industries Corp. Headgear shroud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937A (ja) * 2006-03-20 2007-10-04 Soken:Kk 自動二輪車用ヘルメットおよびヘルメット点灯方法
KR101501701B1 (ko) 2014-07-04 2015-03-12 주식회사 제이텍 스포츠용 헬멧
KR101581353B1 (ko) * 2015-05-22 2016-01-11 전상보 안전 헬멧
KR101589297B1 (ko) * 2015-08-26 2016-01-27 주식회사 아이제스 헬멧 부착형 고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6796A (en) * 1963-10-03 1967-01-25 Edouard Martin Torossian Device for the longitudinal locking of cylindrical rods
US4670912A (en) * 1985-12-12 1987-06-09 Varo, Inc. Adjustable night vision goggle mounting bracket
CA2071172A1 (en) * 1991-06-19 1992-12-20 Clyde R. Porter Linear mechanical lock with one-piece lock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784795B1 (en) * 2003-05-06 2004-08-31 Mar-Bruc, Inc. Brake and signal light system
US7221263B2 (en) * 2003-10-23 2007-05-22 Zero Nine Design, Llc Helmet lighting system
KR200416969Y1 (ko) * 2006-03-09 2006-05-22 흐시에 치우-흐시앙 방향 지시장치를 갖는 안전 헬멧
US8087100B2 (en) * 2007-11-26 2012-01-03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elmet mount for night vision goggles
US9119434B2 (en) * 2008-06-11 2015-09-01 Morning Pride Manufacturing, LLC. Eye prote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937A (ja) * 2006-03-20 2007-10-04 Soken:Kk 自動二輪車用ヘルメットおよびヘルメット点灯方法
KR101501701B1 (ko) 2014-07-04 2015-03-12 주식회사 제이텍 스포츠용 헬멧
KR101581353B1 (ko) * 2015-05-22 2016-01-11 전상보 안전 헬멧
KR101589297B1 (ko) * 2015-08-26 2016-01-27 주식회사 아이제스 헬멧 부착형 고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43881A (zh) 2020-06-26
WO2019054552A1 (ko) 2019-03-21
KR102019502B1 (ko) 2019-09-06
US20200205505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5328A (en) Open vehicle lighting system utilizing detachable vehicle operator helmet mounted light
US9086215B2 (en) Wireless illuminated apparel
US20100289433A1 (en) Clip light
JPH06195029A (ja) 安全表示装置
CA2513478A1 (en) Helmet mounted electroluminescent position indicator
US20130201664A1 (en) Portable LED Lighting Helmet To Illuminate a Cyclist Or A Subject While Riding Or Otherwise in Motion
CA3101171C (en) Multi-functional lighting device integrated with bicycle
KR200489213Y1 (ko)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KR20190029135A (ko) 헬멧에 탈부착이 가능한 다기능 고글
US20050024884A1 (en) Illuminated personal safety device for use by cyclists and joggers
JP2016503366A (ja) レーザービームを備えた自転車用投光装置
KR101277549B1 (ko)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
US20210039734A1 (en) Removable Battery Powered Motorcycle Headlight And Lighting Kit With Same
US7810944B2 (en) Illuminated cap having optical fiber strand and removable pouch
WO2012162729A1 (en) Vehicle passing guide for bicycles
JP2004189127A (ja) 照明装置
JP4489753B2 (ja) 自転車用ヘルメット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KR20090003477U (ko) 경음기가 구비된 자전거용 전조등
JP2017084748A (ja) 自発光式身体装着ベルト
GB2443152A (en) Light emitting direction indicator harness
TWM518662U (zh) 自行車輔助結構
JPH0722389Y2 (ja) 自転車用照明器具
JP2764371B2 (ja) 安全表示装置用発光ユニット
GB2470018A (en) Indicator warning ligh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