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639A -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 Google Patents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639A
KR20190028639A KR1020187029178A KR20187029178A KR20190028639A KR 20190028639 A KR20190028639 A KR 20190028639A KR 1020187029178 A KR1020187029178 A KR 1020187029178A KR 20187029178 A KR20187029178 A KR 20187029178A KR 20190028639 A KR20190028639 A KR 2019002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apsule
acid
sodium
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741B1 (ko
Inventor
에케하르트 브리쉬
볼프강 브리쉬
베게러 요르그 폰
Original Assignee
아테니온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테니온 아게 filed Critical 아테니온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2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61K47/69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using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61P29/02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without antiinflammat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abet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On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그러한 음료 제조 캡슐의 사용을 위해 구성된 음료 분배 시스템 및 그러한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난용성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가 이들 물질의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 새로운 제형으로 전달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본 발명은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그러한 음료 제조 캡슐의 사용을 위해 구성된 음료 분배 시스템 및 그러한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 건강에 대해 잠재적으로 유익한 효과가 시험관 내 실험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물질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중 많은 것들의 사용은 최신 기술에서 공지되어있는 적용 형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빈약한 생체 이용률에 의해 심각하게 제한되어왔다. 약리학에서, 생체 이용률은, 전신 순환계에서 최종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요망되는 약리학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변경되지 않은 약물의 투여된 투여량의 부분을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다. 이 빈약한 생체 이용률은 종종 빈약한 수용성, 각각 투여될 활성제의 친유성 성질에 기인한다. 이런 이유로, 표준 제형을 사용할 때 식이 보충제로서의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로서 그러한 물질의 사용은 제 기능을 못한다.
가용화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그러한 물질의 가용성 및 많은 경우에서 또한 그들의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매질 내 물질의 가용성은 제3의 물질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증가된다. 이들 제3의 물질은 가용화제(solubilizer)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로서 나타내어지고, 물질은 예를 들어 가용화될 물질과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킬레이트제에 대한 예시는 소듐 벤조에이트 및 소듐 살리실레이트이다. 가용화제(solubilizer) 작용의 또 다른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물의 클러스터 구조를 방해하는 것에 의한, 용매의 용해능의 증가이다. 그러한 구조 장벽제에 대한 예시는 글리세롤 (글리세린) 및 마크로골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이다.
제3 가용화 메커니즘은 미셀 및 리포솜 응용 기술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그들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본 명세서에서 전달되기 위한 물질은 계면 활성제 분자의 구형 응집체 내에 둘러싸여있다. 이들 분자는 극성 머리 그룹 및 긴 비극성 사슬 ("꼬리") 을 특징으로 한다. 수성 매질 내로 주어질 때 이들 분자는, 주변 매질을 향해 극성 머리 그룹 및 구체의 내부를 향해 비극성 사슬을 배향시키는 것에 의해 구형 구조로 응집하는 것에 의해 결합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 구체가 그러한 양친매성 분자의 오로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때, 그들은 미셀로서 나타내어진다. 양친매성 분자의 성질 및 반응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층으로 구체를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층은 구체의 외부 층 내부에 형성되고, 이 제2 층의 비극성 그룹은 외부 층의 비극성 그룹을 향해 배향되고, 및 극성 머리 그룹은 구체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다. 그러한 응집체는 리포솜으로서 나타내어진다. 리포솜의 구조에서 리포솜은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과 유사하다. 종종 세포막으로부터 공지되어있는 성분과 같은 동일한 또는 구조적으로 관련된 성분이 리포솜을 위해 사용되고, 그러므로 유사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드러낸다. 또한 적어도 두 리포솜 구체가 서로 상에 형성되는 다-층 리포솜이 있고, 따라서 다중구형 응집체를 형성한다. 친유성 매질 내에 주어질 때, 이들 물질은, 친유성 사슬이 용액 매질을 향해 배향되고 그에 따라 다른 층이 배열되는 역상 구형 구조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구형 구조 내부에 물질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오랜 시간 동안 공지되어있다. 그러한 로딩된 구체의 상이한 용도, 그 중에서도 친유성 물질의 적용을 위한 및/또는 둘러싸여있는 물질의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것을 위한 제형으로서의 용도가 본 업계에서 기술되어있다. 미셀에서, 둘러싸여있는 비극성 물질은, 양친매성 분자의 비극성 사슬이 배향되는 구체의 내부 공간 내에 집중된다. 리포솜에서, 하지만, 구체의 내부 공간은 수성, 각각 친수성 매질이다. 이것은 친수성 분자를 포장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수난용성, 각각의 친유성 분자는 주로 리포솜 층의 친유성 구조 사이에 모인다.
실험적 약동학 측정으로부터, 위장관 내의 유기체로부터, 특히 장내 융모로부터 비교적 높은 정도로 미셀 뿐만 아니라 리포솜이 흡수된다는 것이 공지되어있다. 따라서 상이한 생리적 및 비-생리적 메커니즘을 통해 일정 백분율의 둘러싸여있는 물질이 방출되는 전신 혈류 내로, 그러한 구형 응집체 내에 포장된 물질이, 훨씬 더욱 높은 정도로 흡수된다. 따라서 이 물질은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고 유기체에서 물질의 작용을 행사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물질은 세포막을 통해 세포의 내부로 수송될 수 있다. 세포막에 대한 수송, 각각의 흡수율은 각각의 물질에 대한, 다양한 요소 가령 분자 크기, 친유성의 정도 및 세포막 내부의 적합한 수송체 분자의 존재에 따른 내인성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친유성 물질은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의 친유성 성질 때문에 세포막 상에서 더욱 용이하게 수송된다. 리포솜으로부터, 함입에 의해 세포막과 융합할 수 있고, 따라서 둘러싸여있는 물질을 세포기질 내로 상당한 정도로 전달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있다. 특정한 세포 유형, 특히 식세포 가령 대식세포, 단핵구 및 호중구는 바람직하게는 대사 소화를 겪을 수 있고 따라서 둘러싸여있는 물질을 이들 세포로 전달하는 리포솜을 섭취한다.
리포솜 적용은 약제 및 약리학에서 폭넓게 논의되어왔고 그들의 제조를 위한 많은 정교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사용은 매우 일반적이지는 않다. 한 가지 이유는 비교적 높은 제조 비용이고, 또 다른 이유는 가능한 불리한 부작용이다. 특히, 비경구적으로 적용될 때, 리포솜은 간, 비장 및/또는 골수에 축적될 위험이 있다. 이 문제는 경구 제형에서 드물게 발생한다.
자가-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 (SEDDS)은 친유성 화합물을 가용화하기 위한 또 다른 접근법이다. 그들은 오일, 계면 활성제, 용매 및 선택적으로 조용매의 등방성 혼합물이다. 사용된 요소에 따라, 요소는 수성 희석 및 선택적으로 심하지 않은 교반 하에 가용화물 또는 안정한 수중유 (o/w)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가용화 기술은, 시클로덱스트린 가령 α-, β- 또는 γ-시클로덱스트린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가령 2-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메틸-β-시클로덱스트린 또는 트리메틸-β-시클로덱스트린과 가용화될 물질의 포접 복합체 형성이다. 전형적으로, 시클로덱스트린은 거대 고리를 형성하는 6 내지 8 1,4-연결된 α-D-글루코피라노시드로 구성된다. 따라서 수용성 환상체 구조(각각 원추형 또는 양동이형)의 내부에 소수성 물질 수용할 수 있는 수용성 환상체 구조가 발생한다. 내부 공간은, 수성 환경과 접촉하는 외부보다 상당히 더 적게 친수성이다. 시클로덱스트린은 효소 처리에 의해 녹말로부터 제조된다. 그들은 분산에 의해 가용화될 화합물로 로딩된다. 화합물은, 가용화되기 위해, pH 또는 온도 변화에 의해, 특정한 조성물에 따라, 이들 복합체가 물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후 방출될 수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은, 식이 보충제 (예를 들어 Wacker Chemie, Germany에 의한 카바막스®) 또는 약제 전달 (예를 들어 디클로페낙 (EP 0 658 347 A2) 또는 클래리스로마이신 (Allsopp, (2013), Development of a soluble macrolide formu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tential benefits in chronic rhinosinusitis, MPhil Thesis, University of Queensland) 으로 사용된다. 가용화될 화합물의 재결정화가 일정 최종 농도 이상으로 발생한다면, 유화제 가령 폴리소르베이트 (예를 들어 Tween® 20; EP 1 609 481 A1)를 부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용화된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에 대한 예시가 US 2013/150396 A1, EP 2468111 A1 및 US 2003/091627 A1 에서 공개되어있다.
그러한 가용화물을 희석제와 혼합하는 것은 종종 수월하지 않다. 특히 혼합하는 것에 시간이 걸리거나, 또는 최종 음료를 교반하는 것(stirring) 또는 최종 음료의 교반(agitation)이 요구될 때, 종종 번거롭고 지치게 한다고 여겨진다. 주요한 문제는, 가용화물이 종종 용기 벽에 달라붙고 따라서 추가적인 수단 없이 희석제 내로 각각의 용기 (예를 들어 사쉐(sachet), 앰플 등) 로부터 부분적으로만 방출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주요한 문제는, 특히 음료가 의료진에 의해 제조되지 않고 소비자 또는 환자 자신에 의해 제조될 때, 그러한 절차가 드러난다. 소비자는 빠른 제조 방법 및 용이한 취급을 강력하게 선호한다. 예를 들어, 앰플을 직접 여는 것은, 오늘날 비교적 안전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비자 및 환자에게 강한 정서적 장애물이다. 약물의 경우에서 이것은 종종 빈약한 환자 순응도로 이어져 결과적인 문제의 유발을 초래할 수 있다. 추가로, 혼합하는 절차는 종종 불충분하고, 난용성 음료 및/또는 불균일한 음료를 야기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가용화 공정이 가용화물 (또는 다른 농축물)의 불완전한 용해에 의해 야기된 얼룩말 효과 또는 스트라이핑이라고 불리는 현상으로 종종 이어지는 것이다. 그러한 음료는 섭취에 특히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문제를 극복하는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용화된 물질의 새로운, 각각의 대체 제형에 대한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용화될 필요가 있는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를 위한 소비자 친화적이고 다루기 쉽고 안전한 액체 경구 제형을 제공하는 것은 본 특허 출원의 과제이다.
놀랍게도, 그러한 가용화물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이 이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 활성제 및/또는 식이 보충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물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약제학적 활성제 및/또는 식이 보충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물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가용화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난용성 물질 또는 추출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미셀, 리포솜, 자가-유화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화 기술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가-유화의 경우에서, EP 16001941.0 에서 공개된 기술이 바람직하다.
용어 "가용화물"의 혼란스럽고 심지어 모순되는 정의가 본 업계에서 발견될 수 있다. 그 어떤 애매모호함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가용화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것과 같은 가용화될 물질의 조성물 및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이다. 용매 또는 희석제의 추가적인 부가는 이 용어에 의해 포괄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예를 들어 전술된 가용화 기술 중 하나에 의해, 첫 번째로 제조되고,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 내로 충전된다.
미셀, 리포솜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기술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각각의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분자 복합체, 및 이들 각각의 복합체에서 가용화된 적어도 하나의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를 특징으로 한다.
자가-유화 기술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물질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가용화를 특징으로 하고, 따라서 분자는 용액 내에서 가용화 이후 완전히 독립적인 독립체로서 행동하고 브라운 운동의 분포 및 열역학적 법칙을 실질적으로 겪는 거의 완벽한 용액이 된다. 이 용액은 희석제 (예를 들어 물)와의 혼합물과 상이하다. 상기 용액 (가용화물)은 제2 단계에서 희석제 내에 용해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그러한 가용화물은 각각의 약제학적 활성제 및/또는 식이 보충제를 높은 농도로 함유하는 투명한 용액이다. 그러한 가용화물이 희석제 내에 희석될 때, 각각의 약제학적 활성제 및/또는 식이 보충제 각각의 농도는 부가된 희석제의 양에 따라 줄어든다.
일반적으로, 가용화물은 희석 없는 섭취를 위해 의도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할된 가용화물은 적은 밀리리터의 부피로 간주한다.
본 특허 출원의 범위에서 용어 "가용화 응집체" 또는 "가용화 에센스"는 "가용화물" 과 동의어로 사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현탁액 (콜로이드성 현탁액) 으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 용어 현탁액은, 머잖아 퇴적을 겪을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비균질 혼합물을 정의한다. 또한 에멀젼과 상이하고, 대개 비혼화성인 두 액체의 혼합물로서 정의된다.
물질의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완전한 가용화가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또한 농축물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 농축물은 화합물, 각각 희석제 없는 화합물의 조성물이다. 농축물을 희석제 내로 방출할 시, 농축물은 완전히 희석제 내에 용해되거나 희석제와 함께 현탁액 또는 에멀젼을 형성한다. 농축물은, 물 또는 수용액 내에 본질적으로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 및/또는 용매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음료 제조 캡슐에서 농축물의 사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용어 가용화물은, 완성된 용액, 각각 흡수되도록 마실 수 있는 액체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완성된 용액은, 소비자, 각각 환자에 의한 섭취를 위해 준비된 음료, 각각 유체 제형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을 희석제,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내에 희석되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본 출원의 범위에서 희석제는 희석하는 물질 (희석제(dilutant), 희석제(thinner))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의 일부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희석제는, 소비자 또는 환자에 의한 섭취를 위해 준비된 음료에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이 희석된 완성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을 통한 음료 분배기에 의해 유도되는 유체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상기 희석제는, 음료 분배기에 의해 제공된 물 또는 수용액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음료 제조 캡슐의 제조 공정 동안 부가된 희석제의 부피는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의 여러 가지 부피이다 (예를 들어 500 ml 물 내에 희석된 5 ml 가용화물).
본 특허 출원의 범위에서 용어 "가용화물"은 오로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 내에 포장될 또는 이미 포장된 가용화물을 나타낸다. 음료 분배기의 물 공급으로부터의 물이 음료 제조 캡슐로 진입한 이후 및 음료 용기 내부에서 "완성된 용액" 으로 희석되기 이전의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유체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 일시적인 유체는 본 특허 출원의 범위에서 "임시 유체" 로서 나타내어져야 한다. 임시 유체는 가용화물과 상이하다.
본 출원의 범위에서 용어 "가용화제( solubilizing agent)"는,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를 가용화하고 그래서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가 그 결과로 수용액 내에 용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에 부가되는 임의의 화학적 물질에 관한 것이다. 용어 "가용화제(solubilizer)"는 동의어로 사용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 내 대체 용어에서, "제1 액체"는 "가용화물"을, "제2 액체"는 "임시 유체"를, "제3 액체"는 "완성된 용액"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범위에서 용어 "약제"는 사람 및 수의학적 약제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한 가용화물의 가장 큰 이점은 작은 부피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용화물은 환자- 또는 소비자 친화적인 단위로, 또는 낮은 비용에서 운송될 수 있는 가용화된 물질의 비교적 많은 양으로 용이하게 분할될 수 있다. 완성된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성 매질 (예를 들어 수돗물 또는 미네랄 워터) 내 가용화물의 희석은 의료진, 환자 또는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의 또 다른 주요한 이점은 산화-민감성, 광 (UV 조사 포함)- 민감성, 열-민감성 및/또는 수분-민감성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의 포장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약제학적 활성제 또는 식이 보충제가 산화 과정에 민감성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체예에서 가용화 공정 및/또는 이와 같이 제조된 가용화물을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 내로 충전하는 것은 차폐 가스 하에서 수행된다. 적합한 차폐 가스는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질소, 헬륨 및 아르곤이다. 이산화탄소 및 질소가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활성제 및/또는 식이 보충제의 가용화물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 내로 진공 하에서 포장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산화 과정을 피하기 위하여 분배 캡의 적어도 하나의 충전 가능한 챔버로부터 산소가 제거된다.
그러한 가용화 기술에 의해 제조된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의 가용화물 및 완성된 용액은 장기간 안정성을 드러내야 하고 그래서 합리적인 저장 기간을 제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용화물 및 완성된 용액은 생산자, 판매자에게 및 최종적으로 또한 고객 또는 환자에게 매우 매력적이지 않다. 그러한 장기간 안정성은 많은 가용화물과 함께, 특히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제형에서 달성하기에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용기 또는 음료 제조 캡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완성된 용액은,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매우 양호한 장기간 안정성을 보여준다.
음료 제조 캡슐은 일회용 커피 제조에서 주로 공지되어있다. 기본 형태가 네슬레의 세미날 특허 EP 0 512 468 B1에서 공개된다. 본 명세서에서, 캡슐 (카트리지) 은, 캡슐 내부에서 제조되고 이후 압력 하에서 추출되고 음료 용기 내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커피, 차 또는 초콜렛 분말 또는 임의의 다른 탈수된 식용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공개된다. 그러한 캡슐은 바닥 및 원추대형 (절단 원추형) 측벽, 바닥에 반대되는 컵의 기저부 보다 직경이 더욱 큰 원형 립 (플랜지) 및 상기 립의 주변부에 용접된 커버를 갖는 컵을 포함한다. 이 커버는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른 얇은 금속 호일, 단- 또는 다-층 플라스틱, 판지, 종이 및 그의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재료가 상기 컵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컵 및 커버 재료는 산소 및 수분에 대해 불침투성이다. 이 커버는 사용자에 의해 찢어 열리도록 의도되지 않지만 오로지 음료의 추출을 시작할 때 상기 커버에 적용된 추출 유체의 압력 하에서 수득되도록 의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컵은 20 내지100 μm의 두께를 갖는다.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μm 의 두께를 갖는다. 합성 또는 다-층 재료를 사용할 때 각각의 층의 두께는 이들 경계 내부에 머무르기 위해 대응하여 합산된다. 바람직하게는, 캡슐 자체는 25 내지 60 mm의 직경 및 바람직하게는 10 내지25 mm의 높이 (바닥 및 커버 사이 거리)를 갖는다. 바람직한 플라스틱 재료는 EVOH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PVDC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P (폴리프로필렌), PE (폴리에틸렌), PA (폴리아미드) 또는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기능화된 플라스틱 재료 가령 예를 들어 SiO2 로부터의 고-성능 장벽층을 갖는 금속화된 PET 또는 PET이다.
네스텍은 또한 음료 제조 캡슐을 공개했고 여기서 냉수를 이용하여 음료의 제조가 수행될 수 있고, 음료 제조 캡슐은 커피, 차 또는 초콜렛 등, 선택적으로 그들에 따른 비타민 또는 미네랄을 함유할 수 있거나 (WO 2011/042356 A1) 포말성 또는 크림이 있는 인스턴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우유 성분을 갖는 음료 제조 캡슐이다 (EP 1 985 213 A1).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의 사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수난용성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가 음료 제조 캡슐에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공개되지 않는다.
그 이후로 음료 제조 캡슐이 추가로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네슬레의 (돌체 구스토, 네스프레소, 네스프레소 베르투오라인, 스페셜 티), 라바자 (에스프레소 포인트 에스프레소 포인트 MAXI, 블루, A 모디오 미오, 브리타 유어스), 비알레티 (비알레티 디바), 치보, 켄코 싱글스, 크라프트 (타시모, T-디스크), 커페아, 보데커 브류드, 카피타 (카피탈리), 델타 카페 (델타 Q), 이탈리안 ESE (이지 서빙 에스프레소 포드), 마스 (플라비아 베버라지 시스템), 투토에스프레소, 하우스브란트 트리에스테, 폴저스, 일리 (아이퍼에스프레소), 큐리그 (그린 마운틴 커피 로스터스), 알도 에스프레시 (K-피), 사라 리 (센세오), 스타벅스 (베리시모) 의 커피 캡슐을 바람직하게는, 하지만 배타적이지 않게 사용하는 단일-제공 온음료 시스템이 존재하고; 캡슐-기반 시스템 가령 에시오, PHSI (인터퓨어), 워터로직 (이노웨이브), 베르텍스 (참), 마스 (플라비아)가 특히 상업적 목적으로 계획되었고; 예를 들어 옴니프리오, 프로모 워터, 베비즈, 에시오, 브리타 (유어스), 큐리그의 냉음료를 위한 캡슐-기반 시스템이 시장에 소개되었다.
모든 이들 캡슐 (카트리지, 포드)의 기본 구조 및 작업 방식은, 세부 사항에 차이가 존재하지만, 유사하다. 예를 들어, 또한 컵의 바닥은 유연한 호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업계에서, 커버 및/또는 바닥 호일은 막, 칸막이, 필름 또는 밀봉 호일로 또한 지칭된다.
압력에 의해, 뿐만 아니라 음료 분배 기계에 연결된 절삭 도구, 각각 펀치에 의해 컵의 커버 및/또는 바닥이 천공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충제의 일시적으로 및/또는 공간적으로 조절된 방출, 또는 한 번의 완전한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막, 칸막이, 필름 또는 밀봉 호일을 통해 개구가 발생한다. 그러한 절삭 도구 (천공기)는 WO 92/07775 A1에서 공개되고, 여기서 이 천공기는 날카로운 팁을 갖는 중공 실린더이고 루멘을 통해 주조용수가 캡슐 내로 적용된다.
본 업계로부터 삽입구를 갖는 캡슐이 알려져 있고 여기서 이 삽입구는, 예를 들어 추가 조각으로서, 주로 플라스틱으로부터 또는 컵과의 단위로서 하부 바닥 (컵의 바닥)에 배열되고, 여기서 캡슐 내부에 압력의 적용 시 하부 호일, 각각 컵의 바닥을 천공하기 위하여 이 삽입구의 스파이크는 호일에 대항하여 밀리고 따라서 커피가 컵, 각각 용기 내 이들 천공 구멍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출구 튜브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참조 WO 92/07775 A1). 몇몇 캡슐 구체예에서 하부 호일, 각각 컵의 바닥 또는 밀봉 부재는 음료 분배 기계의 대응하는 압력 면에 대해 가압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스파이크 등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이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밀봉 부재는 탄력이 있어야, 각각 탄성이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천공은 외부로부터 발생한다 (참조 WO 2006/045536).
이 캡슐 형태의 변형이 WO 2004/087529 A1에서 공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삽입구는 오리피스를 갖는 끝벽으로서 인식되고, 이 삽입구는 플라스틱 케이스의 일부이고 밑에 있는 용기로부터 커피 분말과 캡슐 내부를 분리한다. 제조된 음료는 퍼콜레이터와 같은 이들 오리피스를 통해 가압된다.
WO 2005/018395 A1에서 삽입구를 갖는 캡슐은 밑에 있는 분배 챔버로부터 커피 분말과 챔버를 또한 분리한다고 기술된다. 가변적으로 적용된 압력 (총 1.2 및 8 bar 사이에서), 상부 호일의 두께 (커버) 및 특정한 톱니 구조, 각각 퍼콜레이터 삽입구 돌출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조되는 기포의 양은, 선택된 캡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푸치노를 위한 커피-함유 캡슐 및 우유 분말-함유 캡슐을 위해 상이한 작동 매개변수 및/또는 삽입구가 선택된다. 하부 용기로부터의 출구는 개구부와 함께 제공되고 컵의 바닥에 배치된 배플(baffle)을 통해 조절될 수 있고, 따라서 제조된 음료의 하부 용기로부터의 유출을 느리게 한다.
본 업계의 또 다른 캡슐에서, 유입된 가압수를 커피 분말과 캡슐 내부에서 더욱 잘 혼합하는 것에 영향을 줄 커버 (호일) 하부 표면에 묶인 분배 장치가 있다. 이 장치는 캡슐의 바닥 (기저부)에 묶인 검사 장치와 조합될 수 있다. 캡슐 내로 가압수의 유입구 및/또는 이와 같이 제조된 음료의 출구는 이들 분배 및/또는 검사 장치를 통해 영향을 받는다. 그들은 액체가 흐를 몇몇 개구부 (구멍)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이들 개구부는 필터로서 작용하는 직물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참조 US 2006/0236871).
WO 2005/080223 A1 에서 캡슐로부터 제조된 음료의 출구 면적을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캡슐이 공개된다. 바람직한 수단은 경첩이다. 그들은 분배 단계 동안 이 하부 벽에 진동 운동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WO 2005/092160 A1 및 EP 2343247 A1 은 중공 실린더 형태의 분배기 수단이 캡슐의 커버를 천공하는 몰드 캐스팅 캡슐을 공개하고, 이는 가압수가 커피 분말-충전된 컵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제조된 음료는 컵의 바닥에 몰딩된 중공 융기부를 통해 빠져나올 때까지 컵 내부를 막아야 한다. 상기 융기부의 루멘을 통한 흐름 이후, 컵의 바닥 내 하부 호일을 유체 압력을 통해 천공한다. 따라서 가압수 및 음료 분말의 개선된 혼합, 각각 제조된 음료의 증가된 균질성은 효과적이어야 한다.
절삭 도구는 펀치, 스탬프, 블레이드, 나이프, 커팅 디스크, 가위, 분쇄 커터, 드릴, 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으로 또는 경사진 각도로 절삭될 재료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이것은 금속, 의료용 스테인레스강, 합금, 경질 플라스틱, 유리, 세라믹, 다이아몬드, 질화 붕소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막, 칸막이, 필름 또는 밀봉 호일은 전체 또는 구획-, 각각 부분-별로 펀칭, 피어싱 또는 절단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절삭 도구는 캡슐의 선결된 약한 지점을 통해 절삭 또는 펀칭할 수 있다. 그러한 약한 지점은 몰드 캐스팅 동안 자동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막, 칸막이, 필름 또는 밀봉 호일은 선-천공되고, 따라서 상기 절삭 도구를 작동시킬 때 조절된 절삭 라인을 가능하게 하고, 각각 촉진시킨다.
이 적어도 하나의 막, 칸막이, 필름 또는 밀봉 호일은 금속 (가령 알루미늄 호일, 주석 호일, 은 호일, 금 호일, 구리 호일), 중합체 (가령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셀로판,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가령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젖산,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가령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히드록시발레레이트 및 폴리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아미드 1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녹말 혼합물, 파라필름), 종이 (가령 편지지, 롤링 종이, 바나나 종이, 방수 종이, 양피지 종이, 납지, 왁스 종이, 판지, 포장지), 고무 마개 물질 (가령 현재의 약전 내에 공표된 물질) 또는 전술된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합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개선된 호일의 이점은 음료 제조 캡슐의 함량을 산소, 수분, 광, UV 조사 및/또는 열로부터 더욱 잘 격리시키는 것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금속 호일의 두께는 20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μ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μm 이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금속 호일의 최고 인장 강도는 20 - 220 N/mm2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160 N/mm2 사이,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125 N/mm2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 95 N/mm2 사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중합체-기반 호일의 두께는 100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μ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μm 이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중합체-기반 호일의 최고 인장 강도는 20 - 300 N/mm2 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250 N/mm2 사이,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200 N/mm2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 180 N/mm2 사이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이의 두께는 200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μ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 μm 이하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이의 파열 강도는 100 - 700 KPa 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500 KPa 사이,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400 Kpa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250 - 300 KPa 사이이다.
특히 단단한-밀봉 호일을 필요로 하는 구체예에 대해(예를 들어 산화-민감성 보충제 가령 비타민 C로의 산소 유입을 배제하기 위해), 금속 호일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재료 사용의 한 가지 문제는 사용 후, 특히 환경 내 분해이다. 대부분의 이들 재료는 자연 상태 하에서 매우 빈약한 분해성이고 수 년 간 환경 부하에 기여할 수 있다. 더욱이, 대부분의 플라스틱-기반 재료는 석유로부터 파생된다. 플라스틱-기반 재료의 제조에 필요한 자원 부족 및 전력 소비에 비추어 이것은 항상 요망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비-독성 생분해성 물질이 사용된다. 더욱이, 비-독성 생분해성 물질의 에너지 균형이 더욱 유리하다. 그러한 바람직한 호일 재료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젖산, 폴리-3-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히드록시발레레이트, 폴리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 폴리아미드 11, 녹말 혼합물이다.
또 다른 문제는 호일을 절삭 또는 펀칭할 때 호일의 작은 파편이 용기 내의 액체 내로 들어가고 따라서 소비자에 의해 흡수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종종 완전히 피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한 호일 (커버) 파편의 건강 위험에 관한 장기간의 연구는 없지만, a) 사용 시 파편의 최소량만을 발생시키는 압력 메커니즘 또는 절삭 도구를 사용하는 것, b) 유기체, 위산 또는 장관 내 호기성 또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 비교적 빠르게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물질의 사용 (상기 참조), 또는 c) 장내 관을 통해 변경되지 않고 통과되고, 유기체 내에 축적되지 않는 생체 적합성 재료에 의해, 그러한 위험을 피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확실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생체 적합성 호일 재료에 대한 바람직한 예시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막, 칸막이, 필름 또는 밀봉 호일 및 압력 적용 모드, 각각 절삭 도구의 조합은, 파편이 사실상 음료 제조 캡슐, 각각 제조된 음료 내로 들어가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모든 이들 음료 제조 캡슐은 음료 분배 시스템에 맞도록 구성된다. 많은 경우에서, 생산자는 오로지 이 특정한 조합만이 함께 작동하는 방식으로 캡슐 및 분배 기계를 조정한다. 이 배타적인 상용성은 음료 제조 캡슐의 특정한 크기 및 형태에 의해, 및 반면에 음료 제조 캡슐이 알맞아야 하는 수용부에 관한 음료 분배 기계의 해당하는 특정한 배열에 의해 및/또는 음료 제조 캡슐이 삽입되는 및/또는 메커니즘을 분배 또는 제조하는 것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준비될 맞는 위치로 가져오는 삽입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된다. 하지만, 몇몇 주요 국가 내의 특허 보호 종결 및 해당하는 반-독점 법원 판결 때문에, 음료 제조 캡슐 또는 브랜드 기계 또는 캡슐과 호환되는 음료 분배 기계 단독을 제조하는 점점 더 많은 경쟁자가 시장에 있다.
WO 2016/046621 A2는 음료 제조 캡슐 및 각각의 음료 분배 시스템을 공개하고 여기서 식이 보충제는 음료 제조 캡슐 내 담체 분말 가령 커피, 차 또는 초콜렛과 혼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오로지 수용성 식이 보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수난용성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의 용도는 공개되지 않았다.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는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조성물의 일부가 아니다.
또한, 종종 정교한 추가 특징을 갖는 음료 제조 캡슐을 수용하기 쉬운 광범위하고 다양한 음료 분배 기계가 있다. 그러한 음료 분배 기계의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캡슐로부터의 성분을 갖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용기.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 액체는 수돗물, 탄산 수돗물, 미네랄 워터, 탄산 미네랄 워터 및 탈이온수로부터 선택된다. 그러한 용기에 대한 대체는 요구에 따른 영구적인 액체 공급, 예를 들어 호스 또는 잠금 조인트를 통해 음료 분배 기계에 연결된 표준 수도관이고;
선택적으로, 액체 저장 용기, 또는 이 목적을 위한 특별한 구획 (용기 또는 튜브)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액체를 탄산화하기 위한 수단. 그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호스 또는 튜브를 통해 상기 용기 또는 구획에 연결되고 음료 분배 시스템을 사용할 때 자동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가압된 CO2 카트리지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이 용기 내부의, 그렇지 않으면 추가 구획에서 액체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 이 수단은 보일러, 가열 코일, 가열 파이프, 액체 가열기, 수중 히터, 열 교환기, 써모블록, 카트리지 히터, 마이크로파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가열 장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은 운영자에 의해 또는 상호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끌 수 있고;
가압된 액체를 음료 제조 캡슐 내로 주입하기 위한 수단. 이 수단은 종종, 액체를 음료 제조 캡슐 상에 집중시키기 위한 주입 침입부와 함께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주입 헤드로서 실현된다. 몇몇 구체예에서 이것은 주입 바늘일 수 있다;
상기 용기 또는 영구적인 액체 공급으로부터 액체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 이 수단은 용기로부터 주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물 순환을 포함한다. 물 순환에서, 물 펌프에 의하여 압력 하에서 물이 수송된다. 이 펌프는 연동 펌프, 피스톤 펌프, 칸막이 펌프 또는 본 업계로부터 공지되어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펌프 시스템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면, 증기 공급 순환. 증기 공급 순환은 용기로부터 증기 발생기로 물을 수송하기 위한 제2 물 펌프를 포함한다. 물 순환 및 증기 공급 순환은 대개 주입하기 위한 수단의 상류에 위치한 교점에 모인다. 전송 밸브가 제공된다. 전송 밸브는 주입하기 위한 수단과의 연결부 내로 물 또는 증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의 이 연결부 하류에서 단일 유체가 물 및 증기로부터 발생한다. 이 밸브 (예를 들어 3 방향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 세라믹 밸브, 절연 또는 막 밸브 또는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밸브일 수 있고;
공동, 각각 음료 제조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3 차원 리세스(recess);
음료 제조 캡슐이 삽입되고 공동 내부의 주입 헤드 하에 배치된 홀더일 수 있다. 이 홀더는 상기 공동의 후벽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거나, 다시 재삽입되기 이전에 음료 제조 캡슐을 세척하기 위해 또는 수용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이 홀더는 음료 제조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의 간단한 리세스(recess)를 갖는 부품일 수 있거나, 동일한 또는 상이한 함량의 음료 제조 캡슐을 해당하는 수까지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리세스(recess)를 갖는 리볼버디스크-형태의 부품일 수 있고, 각각의 그의 캡슐은 주입 헤드 하에서 운영자에 의해 또는 제어 메커니즘에 의해 기계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음료 또는 저장 용기 가령 유리, 컵 등 내로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 제조된 음료 흐름 내보내기 위한 배출 수단. 이 배출 수단은, 중력에 의하여 음료 흐름을 만드는 출구 가령 튜브 또는 호스와 조합된, 수집 수단 가령 음료 제조 캡슐의 하부 아래의 깔때기-형태의 부품일 수 있고;
제2 공동, 각각, 제조된 음료가 음료 또는 저장 용기 내로 배출 수단을 통해 흐를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 음료 또는 저장 용기일 수 있는, 배출 수단 아래의 제2의 3차원 리세스(recess). 이 제2 공동은 종종 제1 공동의 확장이다.
이들 부품 사이의 적합한 튜브 및/또는 호스뿐만 아니라 필요한 모터 및 제어 장치가 본 발명의 용도에 적합한 음료 분배 기계 내에 또한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음료 제조 캡슐 및/또는 음료 분배 기계의 모든 열거된 구체예는, 기능적으로 일치하는 한, 제한 없이 서로 중에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음료 제조 캡슐 시스템 및/또는 특정한 음료 분배 기계를 언급하거나 이를 제한하지 않지만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모든 이들 시스템과 호환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국제적으로 수용된 BCS (생물약제학적 분류 시스템)는 약물 물질을 네 부류로 분류한다: 분류 1 (높은 가용성 - 높은 투과성), 분류 2 (낮은 가용성 - 높은 투과성), 분류 3 (높은 가용성 - 낮은 투과성 및 분류 4 (낮은 가용성 - 낮은 투과성).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용성은 FDA 생동시험면제 요구를 받는 가장 높은 투여 강도에 관한 것이다 ( https ://www.fda.gov/OHRMS/DOCKETS/98fr/3657gd3.pdf , as of March 7th, 2017). 가장 높은 투여 강도는 50 ml 이하의 1 - 7.5 의 범위 pH 이상인 수성 매질 내에서 가용성일 때, 약물은 고도의 가용성으로서 분류된다. 대응하여, 그런 방식으로 가용화될 수 없는 약물 물질은 난 가용성 (= 고도의 가용성이 아님)으로서 분류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과성은 장막 (점막)을 통한 사람에서의 약물의 흡수 규모에 관한 것이다. 규명된 정의에 따라, 경구 투여된 투여량의 90% 이상이 위장관 내에서 재흡수된다면 약물은 매우 투과성으로서 분류된다. 대응하여, 90% 이하의 흡수율을 갖는 약물은 낮은 투과성으로서 분류된다.
따라서 가용성 및 투과성은 내인성 물질 성질이다. 하지만, 흡수 및 생체 이용률은 적합한 조치에 의해 개선될 수 있는 약동학 매개변수를 기술한다. 흡수가 위장관에서 흡수된 경구 적용된 물질의 양의 부분에 관한 것이지만, 물질의 생체 이용률은 흡수 뿐만 아니라 혈액 내 단백질 결합 및 약동학 매개변수 가령 1차 통과 대사에 달려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빈약한 가용성을 갖는 약제는 가용화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빈약한 투과성을 갖는 약제는 가용화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빈약한 가용성 뿐만 아니라 빈약한 투과성을 갖는 약제는 가용화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류 4 화합물).
분류 4 약제에 대한 예시는, 제한되지 않고, 다음이다: 아세트아미노펜 (파라세타몰), 아시클로버, 아자티오프린, 아지트로마이신, 칼시트리올, 카리소프로돌, 세프디니르, 세픽심, 세프록심 아세틸, 세팔렉신, 클로로티아지드, 클로르탈리돈, 클래리스로마이신, 시클로스포린, 댑손, 덱사메타손, 드로나비놀, 두타스테리드, 푸로세미드, 글리피짓, 그리세오풀빈,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인디나비르 설페이트, 이스라디핀, 리네졸리드, 로페라미드, 메벤다졸, 머캅토퓨린, 메살라민, 메틸프레드니솔론, 모다피닐, 나부메톤, 넬피나비어 메실레이트, 노렐게스트로민, 니스타틴, 옥스카르바제핀, 옥시코돈 HCl, 프로게스테론, 피리메타민, 리토나비르, 스피로노락톤, 설파메톡사졸, 트리메소프림, 탈라다필.
식이 보충제에 대해, 용어 생체 이용률은 경미하게 상이하게 사용된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식이 보충제는 경구로 소비된다. 따라서 이 용어는 흡수된 섭취 투여량의 양 또는 부분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라 빈약한 생체 이용률을 갖는 식이 보충제가 가용화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들의 생체 이용률은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빈약한 생체 이용률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있는 식이 보충제로서 사용된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에 대한 예시는, 제한되지 않고 다음이다: 플라본, 플라보놀, 플라본-3-올, 플라보논, 플라보노이드, 레스베라트롤, 강황, 커큐민, 커큐미노이드, 데메톡시커큐민, 비스데메톡시커큐민, bis-o-데메틸 커큐민, 퀘르세틴, 엘라그 산, 나린게닌, 베툴린, 베툴린 산, 엽산 (폴레이트), 유비퀴논 (Q10, 코엔자임 Q), 글루타티온, 에이코사펜타엔 산 (EPA), 도코사헥사에노산 (DHA), 우리딘, 크로뮴 디클로라이드, L-카르니틴, 우르솔릭 산, 카테킨, 에피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 (EGC),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G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ECG), 폴리페놀, 베르베린, 멜라토닌, 폴리다틴, 이소플라본, 지용성 비타민 A (레티놀, 레티날), D, E (토코페롤), F, K, α- 및 β-케토-보스웰 산, L-트립토판, 5-히드록시트립토판, L-글리신, 이노시톨, β-카로틴, 토코트리에놀,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레시틴, 루테인, 루테올린, 리코펜, 제아크산틴, β-크립토크산틴, 붉은 클로버, 쏘팔메토 지질 추출물, -3 지방산, 스테로이드성 테르펜, 비-스테로이드성 테르펜, 테르페노이드; 사포닌, 사포제닌, 디오스게닌, 디오스코레아 종( Dioscorea spec.) 추출물, 디오스코레아 빌로사 ( Dioscorea villosa ) 추출물, 프로토다이오신, 트리불루스 테레스트리스(Tribulus terrestris ) 추출물, 에센셜 오일, 하이페리신, 잔토리졸, 피로갈롤, 제니스테인, 우고닌, 모린, 캠퍼롤, 바코파 몬네리 ( Bacopa monneri) 추출물, 바코핀, 바코사이드 A, 바코사이드 A3, 바코사이드 B, 잔토리졸, 인삼 추출물, 징코 빌로바(Gingko biloba ) 추출물, 피크노제놀, 캡사이신, 루비아 콜디폴리아(Rubia cordifolia ) 추출물, 로센니아 이에르미스(Lawsennia iermis ) 추출물, 알로에 베라(Aloe vera) 추출물, 피페린, α-리포 산, 브로멜린, 프롤리진, 크로신, 크로세틴, 바이오페린, 아세로라, 프로안토시아니딘, 안토시아니딘, 안토시아닌 실리비닌의 아글리콘, 실리마린, 진저롤, 세라마이드, 이소프렌, 프레놀, 이소발레르 산, 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유칼립톨, 리모넨, 피넨, 파메실 피로포스페이트, 아르테미시닌, 비사보롤, 제라닐제라닐 피로포스페이트, 피톨, 탁솔, 포스콜린, 아피디콜린, 스쿠알렌, 라노스테롤, 오일, 가령 상어 또는 다른 연골어류 오일, 베지터블 오일, 또는 오일 로부터 아마란스 씨, 쌀, 밀 배아 또는 올리브; 스쿠알렌, 레티노이드, 타닌, 신남 산, 리그닌 뿐만 아니라 피토스테롤 가령 β-시토스테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α-시토스테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γ-시토스테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마이리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스티그마스테롤올리에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β-시토스테롤 올리에이트 에스테르, β-시토스테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β-시토스테롤 리놀리에이트 에스테르, α-시토스테롤 올리에이트 에스테르, γ-시토스테롤 올리에이트 에스테르, β-시토스테롤 마이리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β-시토스테롤 리시놀리에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라우레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리시놀리에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올리에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리놀리에이트 에스테르, 스티그마스테롤리놀리에이트 에스테르, 스티그마스테롤라우레이트 에스테르, 스티그마스테롤카프레이트 에스테르, α-시토스테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γ-시토스테롤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α-시토스테롤 마이리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γ-시토스테롤 팔미테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리시놀리에이트 에스테르, 스티그마스테롤리시놀리에이트 에스테르, 캄페스테롤 리시놀리에이트 에스테르, β-시토스테롤, α-시토스테롤, γ-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스티그마스테롤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강장 식물 가령 엘레우테로코커스 센티코서스(Eleutherococcus senticosus) (가시오갈피(Siberian ginseng), 가시오갈피(eleuthero), 가시오갈피(ciwujia)), 로디올라 로세아(Rhodiola rosea ) (바위솔), 스키산드라 넨시스 ( Schisandra chinensis ) (오미자), 파낙스 진셍 ( Panax ginseng) (인삼), 지노스템마 펜타필룸 ( Gynostemma pentaphyllum) (지아우결런), 모린다 시트리폴리아(Morinda citrifolia ) (노니, 인도 오디), 렌티눌라 에도데스(Lentinula edodes ) (표고버섯), 가노더마 종(Ganoderma spec.) (영지(reishi), 영지(lingzhi) 버섯) 가령 가노더마 루시둠(Ganoderma lucidum ), 가노더마 츠가에 ( Ganoderma tsugae ) 및 가노더마 시추아넨스 (Ganoderma sichuanense ), 그리폴라 프론도사 ( Grifola frondosa ) (마이다케 버섯, 잎새버섯), 아가리쿠스 종(Agaricus spec.) (아몬드 버섯) 가령 아가리쿠스 서브루페센스(Agaricus subrufescens ) 및 아가리쿠스 블라제이 무릴(Agaricus blazei Murill ), 위타니아 솜니페라(Withania somnifera ) (아슈와간다, 꽈리), 오키뭄 테누이플로룸(Ocimum tenuiflorum ) (툴시, 홀리 바질), 레피둠 메예니(Lepidum meyenii ) (마카), 안드로그라피스 파니쿨라타 ( Andrographis paniculata) (칼메흐),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마리화나), 타베부이아 임페티기노사(Tabebuia impetiginosa ) (라파초),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우스(astragalus membranaceus) (황기, 트라가칸트) 로부터의 추출물.
적합한 방법에 의하여 가용화될 시 수난용성 약제학적 활성제 또는 식이 보충제가 개선된 흡수 및/또는 생체 이용률을 달성한다는 것이 경험적으로 공지되어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의 가용화물이 상기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의 흡수 및/또는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선택된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는 전술된 가용화 기술에 의하여 가용화되었고, 이들 물질의 가용화물을 만들었다 (실시예 1 내지 10 참조).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물질이 식이 보충제라면, β-카로틴, 멜라토닌, 엽산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또는, 물질이 약제학적 활성제라면, 푸로세미드, 아세트아미노펜, 글리피짓 및 클래리스로마이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부터 가용화물을 제조하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은 몇몇 약제 (의약품) 또는 식이 보충제가 본질적으로 쓴맛 또는 불쾌한 맛을 갖는다는 것이다. 약제의 경우에서 이것은 환자 순응도를 심각하게 손상시킬 수 있다, 식이 보충제의 경우에서 그러한 맛은 심각한 상업화 장애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물질을 가두는 것에 의해, 이 쓴맛 또는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는 것을 현저하게 도울 수 있다. 미셀, 리포솜 또는 자가-유화 가용화물은 중립적인 맛을 갖고, 시클로덱스트린-기반 가용화물은 약간 단맛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약제 또는 식이 보충제의 쓴맛 또는 불쾌한 맛이 미셀, 리포솜, 자가-유화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화 기술에 의해 제조된 가용화물에 의해 마스킹되는 약제 또는 식이 보충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물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경구 제형으로 약제를 필요로 하는 동물에게 쓴맛 또는 불쾌한 맛 수의학적 약물을 투여할 때, 수의학적 약제에서 특히 유용하다.
쓴맛 또는 불쾌한 맛을 갖는 약제의 예시는, 아세트아미노펜, 알부테롤, 아미노구아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아미노필린, 아미트리프틸린, 아목시실린 트리하이드레이트, 앰피실린, 암로디핀 베실레이트, 아스피린, 아지트로마이신, 바르비투레이트, 베르베린 클로라이드, 카페인,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판토테네이트, 세팔로스포린, 세티리진, 클로람페니콜, 클로르디아제폭사이드, 클로로퀸, 클로르페니라민, 클로르프로마진, 시메티딘, 시프로플록사신, 클래리스로마이신, 코데인, 데메롤, 덱스트로메트로판, 디기톡신, 디곡신, 딜티아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펜히드라민, 디페닐히단토인, 독사조신 메실레이트, 독실아민 숙시네이트, 엘레트립탄, 에녹사신, 에피네프린, 에리스로마이신, 에틸에프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티니딘, 파모티딘, 플루코나졸, 글리피짓, 구아이페네신, 이부프로펜, 인데록사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도카인, 로모틸, 로라타딘, 루피티딘, 마그네슘 옥사이드, 메클리진, 메타콜린, 모르핀, 네오스티그민, 니펜티딘, 니페로티딘, 니자티딘, 오플록사신, 파라세타몰, 페플록사신, 페니실린, 페노바르비탈, 페노티아진, 페닐부타존, 페닐프로판올아민, 피페미드 산, 피르부테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피록시캄, 프레드니솔론, 프로프라놀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슈도에페드린, 피리돈카르복실 산 항균제, 라니티딘, 록사티딘, 살리실 산, 설트랄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실데나필, 스피로노락톤, 설박탐 소듐, 설폰아미드, 설포티딘, 설피린, 설타미실린 토실레이트, 테니답, 테르페나딘, 테오필린, 트리메소프림, 투바티딘, 발데콕시브, 잘티딘, 및 조니사미드에 제한되지 않고 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가용화물은 상기 맛이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에 의해 마스킹될 수 있는 쓴맛 또는 불쾌한 맛을 갖는 BCS 분류 4 약제를 음료 제조 캡슐 내에 함유한다. 적합한 예시는 아세트아미노펜 (파라세타몰), 아지트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글리피짓 및 트리메소프림을 포함한다.
많은 식이 보충제는 또한 쓴맛 또는 불쾌한 맛, 특히 많은 식물 화학물질 가령 알칼로이드, 타닌, 페놀계 또는 폴리페놀계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본 글루코시드, 글루코시놀레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쿠쿠르비타신, 산소화된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터펜을 갖는다.
추가적인 양상은 몇몇 가용화물은 음료 제조 캡슐의 내부 벽에 어느 정도로 달라붙을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캡슐 중 하나로부터 음료를 제조할 때 100% 방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가용화될 약물 및 사용된 가용화 기술 뿐만 아니라 음료 제조 캡슐의 재료 및 특정한 형태의 조합에 주로 달려있다. 이 문제는 음료 제조 캡슐의 내부 벽 상에 비-점착성 코팅 필름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극복되거나 적어도 폭넓게 완화될 수 있다. 이 비-점착성 코팅 필름은 불활성이고, 생체 적합해야 하고 뜨거운 음료에 대한 일반적인 제조 온도에서 분해 또는 분리되면 안된다 (내열성). 그러한 비-점착성 코팅 필름에 대한 유용한 예시는 테플론 가령 PTFE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FEP (플루오르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PFA (퍼플루오로알콕시) 및 ETFE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양극 산화 알루미늄 및 실리콘이다.
그러한 비-점착성 코팅 필름을 음료 제조 캡슐의 내부 벽 상에 적용하기 위한 적합한 기술은 양극 산화, 딥 스피닝, 음극 딥 페인팅, 나노코팅, 습식 페인팅, 분말 코팅, 징크 열 확산, 중합체 코팅, 열 분무, 드럼 분무, 진공 코팅, 크롬 대체물 및 플라스마 퇴적을 포함한다. 정밀한 공정 매개변수를 최적화하는 것은 본 업계의 숙련가의 지식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캡슐의 내부 표면이 비-점착성 코팅 필름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덮이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약제 또는 식이 보충제의 전술된 가용화물의 단독 또는 조합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 내에서, 다음에서 제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부형제 및/또는 첨가제와 조합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은 예를 들어 비타민 C (L-아스코르브 산, 소듐 L-아스코르베이트, 칼슘 L-아스코르베이트, 포타슘 L-아스코르베이트, L-아스코르빌 6-팔미테이트), 비타민 A (레티놀,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베타-카로틴), 비타민 D (콜레알시페롤, 에르고알시페롤), 비타민 E (D-알파-토코페롤, DL-알파-토코페롤, D-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DL-알파-토코페릴 아세테이트, D-알파-토코페릴 숙시네이트), 비타민 K (필로퀴논), 비타민 B1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아민 모노니트레이트),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소듐 리보플라빈 5'-포스페이트), 니아신 (니코틴 산, 니코티나미드), 판토텐 산 (칼슘 D-판토테네이트, 소듐 D-판토테네이트, D-판테놀), 비타민 B6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피리독신 5'-포스페이트), 엽산 (프테로일 모노글루타민 산), 비타민 B12 (시아노코발라민, 하이드록소코발라민), 비오틴 (D-비오틴)이다.
포함될 적합한 미네랄은 예를 들어 칼슘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클로라이드, 시트르 산 칼슘 염, 칼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칼슘 락테이트, 오르소-인 산 칼슘 염,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시트르 산 마그네슘 염,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마그네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오르소-인 산 마그네슘 염, 마그네슘 락테이트,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설페이트), 철 (철 카보네이트, 철 시트레이트, 철 암모늄 시트레이트, 철 글루코네이트, 철 푸마레이트, 철 소듐 디포스페이트, 철 락테이트, 철 설페이트, 철 디포스페이트, 제2철 사카레이트, 원소 철), 구리 (구리 카보네이트, 구리 시트레이트, 구리 글루코네이트, 구리 설페이트, 구리 리신 복합체), 요오드 (소듐 아이오다이드, 소듐 아이오데이트, 포타슘 아이오다이드, 포타슘 아이오데이트), 징크 (징크 아세테이트, 징크 클로라이드, 징크 시트레이트, 징크 글루코네이트, 징크 락테이트, 징크 옥사이드, 징크 카보네이트, 징크 설페이트), 망간 (망간 카보네이트, 망간 클로라이드, 망간 시트레이트, 망간 글루코네이트, 망간 글리세로포스페이트, 망간 설페이트), 소듐 (소듐 비카보네이트,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소듐 시트레이트, 소듐 글루코네이트, 소듐 락테이트,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오르소-인 산 소듐 염), 포타슘 (포타슘 비카보네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포타슘 클로라이드, 포타슘 시트레이트,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포타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포타슘 락테이트,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오르소-인 산 포타슘 염), 셀레늄 (소듐 셀레나이트, 소듐 하이드로겐 셀레나이트, 소듐 셀레나이트), 크롬 (크롬-(III)-클로라이드, 크롬-(III)-설페이트), 몰리브데넘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몰리브데넘 (VI), 소듐 몰리브데이트 (몰리브데넘 (VI)), 플루오린 (소듐 플루오라이드, 포타슘 플루오라이드), 클로린, 인광체이다.
미량 원소는 유기체에 의해 성장, 발달 및 생리학을 위해, 예를 들어 공-효소로서 매우 작은 양에서 요구되는 식이 미네랄이다. 그들 중 몇몇은 사실상 유기체에서 충분한 양으로 항상 존재하고, 다른 것들은 그것을 필요로 하는 사람 내에서 대체되어야 한다. 그들은 크롬, 코발트, 철, 요오드, 구리, 망간, 몰리브데넘, 셀레늄, 징크, 플루오라이드, 실리콘, 비소, 니켈, 루비듐, 주석, 바나듐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들은 순수한 원소로서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미네랄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각성제는 종종 및 세계적으로 음료 내에서 사용된다. 세계 보건 기구 (WHO)에 따라 이 용어는 신경 활동을 증가, 촉진 또는 개선시키는 임의의 종류의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이들 물질은 종종 향정신적 효과를 갖는다. 가장 인기있는 각성제는 크산틴 가령 카페인, 테오필린 및 테오브로민을 포함한다. 구아라나는 예를 들어 전술된 크산틴을 함유한다. 추가로 인기있는 각성제는 니코틴, 각각 니코틴 산이다. 하지만, 많은 나라에서 법에 의해 금지된, 가까운 미래에 금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또는 보건 당국의 엄격한 규제를 받아 의사의 처방전이 필요한 각성제의 광범위한 그룹이 있다. 이것은 그들의 잠재적인 의존성 및 소비자 건강에 대한 다른 위험, 운행 중 주의력 결핍 등, 또는 사회 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때문이다. 따라서 그룹은 암페타민 및 그의 유도체, 의 그룹 피페라진 유도체, 코카인 및 기면증 및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 장애 (ADHD) 의 치료를 위한 약물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 그룹 물질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카페인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항산화제는 젖산, 아스코르브 산, 소듐 아스코르베이트, 칼슘 아스코르베이트, 포타슘 아스코르베이트, 아스코르브 산의 지방산 에스테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토코페롤, 알파-토코페롤, 감마-토코페롤, 델타-토코페롤, 프로필 갈레이트, 옥틸 갈레이트, 도데실 갈레이트, 에틸 갈레이트, 구아야크 레진, 에리소르브 산, 소듐 에리소르베이트, 에리소르빈 산, 소듐 에리소르빈, tert-부틸하이드로퀴논,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모노-, 디-, 트리소듐 포스페이트, 모노-, 디-, 트리포타슘 포스페이트, 아녹소머, 에톡시퀸, 포타슘 락테이트, 제1주석 클로라이드, 소듐 티오설페이트, 4-헥실레조르시놀, 글루코오스 산화 효소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산성도 조절제는 아세트 산, 포타슘 아세테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디아세테이트, 칼슘 아세테이트, 카본 디옥사이드, 말 산, 푸마르 산, 소듐 락테이트, 포타슘 락테이트, 칼슘 락테이트, 암모늄 락테이트, 마그네슘 락테이트, 시트르 산, 모노-, 디-, 트리소듐 시트레이트, 모노-, 디-, 트리포타슘 시트레이트, 모노-, 디-, 트리칼슘 시트레이트, 타르타르 산, 모노-, 디소듐 타르트레이트, 모노-, 디포타슘 타르트레이트, 소듐 포타슘 타르트레이트, 오르소-인 산, 레시틴 시트레이트, 마그네슘 시트레이트, 암모늄 말레이트, 소듐 말레이트, 소듐 하이드로겐 말레이트, 칼슘 말레이트, 칼슘 하이드로겐 말레이트, 아디프 산, 소듐 아디페이트, 포타슘 아디페이트, 암모늄 아디페이트, 숙신 산, 소듐 푸마레이트, 포타슘 푸마레이트, 칼슘 푸마레이트, 암모늄 푸마레이트, 1,4-헵토노락톤, 트리암모늄 시트레이트, 암모늄 제2철 시트레이트,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포타슘 비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암모늄 비카보네이트,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비카보네이트, 제1철 카보네이트, 암모늄 설페이트,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 알루미늄 암모늄 설페이트,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글루콘 산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산성화제는 산을 제조하거나 산이 되는 무기 화학 약품이다. 적합한 예시는 다음과 같다: 암모늄 클로라이드, 칼슘 클로라이드.
종종 약제학적 활성 물질 또는 식이 보충제는 염으로서 제공된다. 약제학적 활성 물질에 대해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은 각각의 약전 내에 열거되어있다. 따라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양이온성 염으로서 각각의 소듐, 포타슘, 칼슘, 리튬, 마그네슘 염, 음이온성 염으로서 각각의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시트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p-아미노살리실레이트, 말레이트, 푸마레이트, 숙시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말레이트, 설포네이트, 포스포네이트, 퍼클로레이트, 니트레이트, 포르메이트, 프로피오네이트, 글루코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히드록시 말레이트, 피루베이트, 페닐 아세테이트, 벤조에이트, p-아미노벤조에이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디니트로벤조에이트, 클로르벤조에이트, 메실레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니트라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에틸렌 설포네이트, 토실레이트, 나프틸 설포네이트, 4-아미노-베실레이트, 캄퍼설포네이트, 알지네이트, 카프레이트, 히푸레이트, 펙티네이트, 프탈레이트, 퀴네이트, 만델레이트, o-메틸 만델레이트, 하이드로겐 베실레이트, 피크레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D-o-톨루일 타르트레이트, 타르트로네이트, 베실레이트, 알파-메틸 벤조에이트, (o, m, p-)메틸 벤조에이트, 나프틸아민 설포네이트, 신나메이트, 아크릴레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이소부티레이트, 페닐 부티레이트, 헵타노에이트, 자일릴 설포네이트, 아디페이트, 아스파테이트, 비설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퍼레이트, 도데실설페이트, 라우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릴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 2-히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니코티네이트, 올리에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퍼설페이트, 3-페닐 프로피오네이트, 피발레이트, 스테아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를 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염은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이 보충제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용어 "약제학적 부형제"는 약제학적 활성제와 함께 약제학적 제제에 부가된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그들은 제제의 부피를 늘리는 것, 요망되는 약동학 성질 또는 제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에서 유익하게 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형제의 유리한 부류는 접착방지제, 충전제, 향미제, 착색제, 윤활제, 보존제, 감미료, 담체, 가용화제, 완충제, 보존제, 유백제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담체 약제학적 활성제에 부가하는 것이 유리하거나, 각각 의무적일 수 있다.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모든 담체 및 그의 조합이 적격이다. 고체 제형에서 담체는 예를 들어 식물성 및 동물성 지방, 왁스, 파라핀, 녹말,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탤컴, 징크 옥사이드일 수 있다. 액체 제형 및 에멀젼에 대해 적합한 담체는 예를 들어 용매 (가령 음료 분배기에 의해 공급되는 물),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 유화제 가령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 글리콜,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유,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액은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용어 결합제는 분말을 결합시키거나 서로 접착시켜, 과립 형성을 통해 응집되도록 하는 물질에 관한 것이다. 결합제는 제제의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결합제는 제공된 충전제의 응집력을 증가시킨다.
적합한 결합제는 밀, 옥수수, 쌀 또는 감자로부터의 녹말, 젤라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당류 가령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베타-락토오스, 옥수수로부터의 감미료, 천연 및 합성 검 가령 아카시아, 트라가칸트 또는 암모늄 칼슘 알지네이트, 소듐 알지네이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왁스 및 다른 것이다. 조성물 내 결합제의 백분율은 1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0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 - 6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몇몇 구체예에서, 제조된 음료가 용해될 때 몇몇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그러한 효과는 액체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 따라서 기포의 형성을 촉진하거나, 기포의 유착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액체의 콜로이드성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발포제의 부가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는 기포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적합한 예시는 미네랄 오일, 퀼라야 추출물,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그렇지 않으면, 몇몇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은 제조 시 경미하게 거품이 나타날 수 있다. 기포는 요망되는 적용을 방해하지는 않지만, 약물의 경우에서 환자 순응도 또는 식이 보충제의 경우에서 상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약제학적 또는 영양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발포제 (소포제(defoamer))를 가용화물에 부가하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예시는 식이 보충제로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실리콘 오일 또는 약제학적으로 시메치콘이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영양학적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항발포제가 적어도 하나의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에 부가된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윤활제는, 각각의 보충제의 베이킹을 예방하고 과립의 흐름 특징을 개선하고 그래서 흐름을 부드럽고 일정하게 만드는 재료이다.
적합한 윤활제는 실리콘 디옥사이드 및 탤컴을 포함한다. 조성물 내 윤활제의 양은 0.01 및 10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0.1 및 7 중량%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및 5 중량%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및 2 중량% 사이로 달라질 수 있다.
착색제는 음료, 각각 제형의 조성물에 착색을 부여하는 부형제이다. 이들 부형제는 식품 착색제일 수 있다. 착색제는 적합한 흡수 수단 가령 지점토 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에서 흡수될 수 있다. 착색제의 양은 조성물의 0.01 및 10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0.05 및 6 중량%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및 4 중량%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및 1 중량% 사이로 달라질 수 있다.
적합한 식품 착색제는 커큐민, 리보플라빈, 리보플라빈-5'-포스페이트, 타르트라진, 알칸닌, 퀴놀리온 옐로우 WS, 패스트 옐로우 AB, 리보플라빈-5'-소듐 포스페이트, 옐로우 2G, 선셋 옐로우 FCF, 오렌지 GGN, 코치닐, 카르민 산, 시트러스 레드 2, 카르모이신, 아마란스, 폰세우 4R, 폰세우 SX, 폰세우 6R, 에리트로신, 레드 2G, 알루라 레드 AC, 인다스렌 블루 RS, 특허 블루 V, 인디고 카민, 브릴리언트 블루 FCF, 엽록소 및 클로로필린, 엽록소 및 클로로필린의 구리 복합체, 그린 S, 패스트 그린 FCF, 플레인 카라멜, 가성 설파이트 카라멜, 암모니아 카라멜, 설파이트 암모니아 카라멜, 블랙 PN, 카본 블랙, 베지터블 카본, 브라운 FK, 브라운 HT,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감마-카로틴, 아나토, 빅신, 노르빅신, 파프리카 올레오레진, 캡산틴, 캡소루빈, 리코펜, 베타-아포-8'-카로티날, 베타-아포-8'-카로틴 산의 에틸 에스테르, 플라보크산틴, 루테인, 크립토크산틴, 루비크산틴, 비올라크산틴, 로도크산틴, 칸타크산틴, 제아크산틴, 시트라나크산틴, 아스타크산틴, 베타닌, 안토시아닌, 사프란,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산화철, 수산화철, 알루미늄, 은, 금, 피그먼트 루빈, 타닌, 오르세인, 글루콘산철, 젖산철이다.
향미 촉진제는 식품 및 음료에 폭넓게 사용된다. 적합한 예시는 글루탐 산, 모노소듐 글루타메이트, 모노포타슘 글루타메이트, 칼슘 디글루타메이트, 모노암모늄 글루타메이트, 마그네슘 디글루타메이트, 구아닐 산, 소듐 구아닐레이트, 디소듐 구아닐레이트, 디포타슘 구아닐레이트, 칼슘 구아닐레이트, 이노신 산, 디소듐 이노시네이트, 디포타슘 이노시네이트, 칼슘 이노시네이트, 칼슘 5'-리보뉴클레오티드, 디소듐 5'-리보뉴클레오티드, 글리신, 소듐 글리시네이트, 징크 아세테이트, 벤조검, 타우마틴, 글리시리진,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글리세릴 모노아세테이트, 글리세릴 디아세테이트이다.
더욱이, 완충 용액은 액체 제제에, 특히 약제학적 액체 제제에 바람직하다. 용어, 특히 수용액의, 완충제, 완충제 시스템 및 완충 용액은, 산 또는 염기의 부가에 의한, 또는 용매를 이용한 희석에 의한 pH 변화에 저항하기 위한 시스템의 능력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완충제 시스템은 포르메이트, 락테이트, 벤조 산, 옥살레이트, 푸마레이트, 아닐린, 아세테이트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글루타메이트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제, 숙시네이트, 피리딘, 프탈레이트, 히스티딘, MES (2-(N-모르폴리노) 에탄술폰 산, 말레 산, 카코딜레이트 (디메틸 아르세네이트), 탄산, ADA (N-(2-아세트아미도)이미노 디아세트 산, PIPES (4-피페라진-bis-에탄술폰 산), BIS-트리스 프로판 (1,3-bis[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미놀] 프로판), 에틸렌 디아민, ACES (2-[(아미노-2-옥소에틸)아미노]에탄술폰 산), 이미다졸, MOPS (3-(N-모르피노)-프로판술폰 산, 디에틸 말론 산, TES (2-[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미노에탄술폰 산, HEPES (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술폰 산) 뿐만 아니라 3.8 및 7.7 사이의 pKa를 갖는 다른 완충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탄산 완충제 가령 아세테이트 완충제 및 디카르복실 산 완충제 가령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및 프탈레이트 뿐만 아니라 트리카르복실 산 완충제 가령 시트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추가적인 그룹은 무기 완충제 가령 설페이트 하이드록사이드, 보레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옥살레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이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또 다른 그룹은 질소-함유 완충제 가령 이미다졸, 디에틸렌 디아민 및 피페라진이다. 게다가 술폰 산 완충제 가령 TES, HEPES, ACES, PIPES, [(2-히드록시-1,1-bis-(히드록시메틸)에틸)아미노]-1-프로판술폰 산 (TAPS), 4-(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1-프로판술폰 산 (EEPS), 4-모르폴리노-프로판술폰 산 (MOPS) 및 N,N-bis-(2-히드록시에틸)-2-아미노에탄술폰 산 (BES)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완충제의 또 다른 그룹은 글리신,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N,N-bis-(2-히드록시에틸)글리신 및 N-[2-히드록시-1,1-bis(히드록시메틸)에틸]글리신 (트리신)이다. 아미노산 완충제 가령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아스파테이트, 글루타메이트,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4-히드록시 프롤린, N,N,N-트리메틸리신, 3-메틸 히스티딘, 5-히드록시-리신, o-포스포세린, 감마-카복시글루타메이트, [엡실론]-N-아세틸 리신, [오메가]-N-메틸 아르기닌, 시트룰린, 오르니틴 및 그들의 유도체가 또한 바람직하다.
액체 제형 또는 보충제를 위한 보존제가 요구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보존제는 소르브 산, 포타슘 소르베이트, 소듐 소르베이트, 칼슘 소르베이트, 메틸 파라벤, 에틸 파라벤, 메틸 에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벤조 산, 소듐 벤조에이트, 포타슘 벤조에이트, 칼슘 벤조에이트, 헵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에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소듐 프로필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질 알코올,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페닐에틸 알코올, 크레졸,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클로로부탄올, 티오메르살 (소듐 2-(에틸수은티오) 벤조 산), 설퍼 디옥사이드, 소듐 설파이트, 소듐 바이설파이트, 소듐 메타바이설파이트, 포타슘 메타바이설파이트, 포타슘 설파이트, 칼슘 설파이트, 칼슘 하이드로겐 설파이트, 포타슘 하이드로겐 설파이트, 바이페닐, 오르소페닐 페놀, 소듐 오르소페닐 페놀, 티아벤다졸, 니신, 나타마이신, 포름 산, 소듐 포르메이트, 칼슘 포르메이트, 헥사민, 포름알데히드, 디메틸 디카보네이트, 포타슘 니트라이트, 소듐 니트라이트, 소듐 니트레이트, 포타슘 니트레이트, 아세트 산, 포타슘 아세테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디아세테이트, 칼슘 아세테이트, 암모늄 아세테이트, 디하이드로아세트 산, 소듐 디하이드로아세테이트, 젖산, 프로피온 산, 소듐 프로피오네이트, 칼슘 프로피오네이트, 포타슘 프로피오네이트, 붕산, 소듐 테트라보레이트, 카본 디옥사이드, 말 산, 푸마르 산, 리소자임, 구리-(II)-설페이트, 클로린, 클로린 디옥사이드 및 본 업계의 숙련가에게 공지되어있는 다른 적합한 물질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부가적인 유화제는 예를 들어 다음의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음이온성 유화제 왁스, 세틸 알코올,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르 산, 올레 산,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피마자유 및/또는 경화된 피마자유에 대한 2 내지 60 mol 에틸렌 옥사이드의 부가 생성물, 양모납 오일 (라놀린),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텐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텐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텐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텐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텐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메타타르타르 산, 칼슘 타르트레이트, 알긴 산, 소듐 알지네이트, 포타슘 알지네이트, 암모늄 알지네이트, 칼슘 알지네이트, 프로판-1,2-디올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가공된 유케마 해초, 로커스트 콩 검, 트라가칸트, 아카시아 검, 카라야 검, 젤란 검, 검 가티, 글루코만난, 펙틴, 아미드화된 펙틴, 암모늄 포스파타이드, 브롬화된 베지터블 오일, 수크로오스 아세테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우드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디소듐 포스페이트, 트리소듐 디포스페이트, 테트라소듐 디포스페이트, 디칼슘 디포스페이트, 칼슘 디하이드로겐 디포스페이트, 소듐 트리포스페이트, 펜타포타슘 트리포스페이트, 소듐 폴리포스페이트, 소듐 칼슘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베타-시클로덱스트린, 분말형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에틸 메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크로스카르멜로오스, 효소로 가수분해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아세트 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젖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시트르 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타르타르 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모노- 및 디아세틸 타르타르 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의 혼합된 아세트 산 및 타르타르 산 에스테르, 숙시닐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 지방산의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수크로글리세라이드, 지방산의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지방산의 프로판-1,2-디올 에스테르,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글리세롤 및 프로판-1의 젖산화된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의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와 상호작용을 하는 열로 산화된 대두 오일, 디옥틸 소듐 설포숙시네이트, 소듐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 칼슘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 스테아릴 타르트레이트, 스테아릴 시트레이트, 소듐 스테아로일푸마레이트, 칼슘 스테아로일푸마레이트, 스테아릴 타르트레이트, 스테아릴 시트레이트, 소듐 스테아로일푸마레이트, 칼슘 스테아로일푸마레이트,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에톡실화된 모노- 및 디글리세라이드, 메틸 글루코시드-코코넛 오일 에스테르,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칼슘 소듐 폴리포스페이트, 칼슘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콜 산, 콜린 염, 이전분 글리세롤, 녹말 소듐 옥테닐 숙시네이트, 아세틸화된 산화된 녹말.
글리세린 모노올리에이트 및 스테아르 산이 바람직하다.
안정제는 원치 않는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는 물질이다. 안정제는 실제 유화제가 아니지만 에멀젼, 각각 가용화물의 안정성에 또한 기여할 수 있다. 안정제에 대한 적합한 예시는 옥시스테아린, 크산탄 검, 우무, 귀리 검, 구아 검, 타라 검, 폴리옥시에텐 스테아레이트, 아스파탐-아세설팜 염,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파파인, 브로멜린, 피신, 인베르타아제, 폴리덱스트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폴리피롤리돈,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말티톨, 말티톨 시럽이다.
부가적인 표면-활성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 (가용화제(solubilizer))로서 적합한 것은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스테르, 폴리에틸 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시클로덱스트린 가령 α- 및 β-시클로덱스트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가령 솔루톨 HS 15 ( BASF, PEG 660-15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로부터의 마크로골-15-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옥시스테아르 산 트리글리세라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 (음이온성) 글리세릴 모노올리에이트 등이다.
적합한 방향족 및 향미제는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모든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각각의 특징적인 냄새를 갖는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의 휘발성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추출물은 증기 증류에 의해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예시는 다음이다: 에센셜 오일, 각각 세이지, 정향, 카모마일, 아니스, 스타아니스, 타임, 티트리, 페퍼민트, 민트 오일, 멘톨, 시네올, 유칼립투스 오일, 망고, 무화과, 라벤더 오일, 카모마일 꽃, 솔잎, 사이프러스, 오렌지, 로즈우드, 자두, 커런트, 체리, 자작나무 잎, 계피, 라임, 자몽, 귤, 향나무, 쥐오줌풀, 레몬밤, 레몬그라스, 팔마로사, 크랜베리, 석류, 로즈마리, 생강, 파인애플, 구아바, 에키네이셔, 아이비 잎 추출물, 블루베리, 카키, 멜론 등 또는 그의 혼합물로부터의 방향족 물질, 뿐만 아니라 멘톨, 페퍼민트 및 스타아니스 오일 또는 멘톨 및 체리 향미의 혼합물.
이들 방향족 또는 향미제는, 총 조성물에 관해 0.0001 내지 10 중량% (특히 조성물 내),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4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 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적용- 또는 단일 경우-관련되어, 상이한 양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합한 감미료는 만니톨, 글리세롤, 아세설팜 포타슘, 아스파탐, 시클라메이트, 이소말트, 이소말티톨, 사카린 및 사카린의 소듐, 포타슘 및 칼슘 염, 수크랄로오스, 알리탐, 타우마틴, 글리시리진,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스테비올 글리코시드, 네오탐, 아스파탐-아세설팜 염, 말티톨, 말티톨 시럽, 락티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등장화제는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특히 소듐 클로라이드 및 포타슘 클로라이드, 당류 가령 글루코오스 또는 락토오스, 당 알코올 가령 만니톨 및 소르비톨, 시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보레이트 및 그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증점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폴리덱스트로오스, 개질된 녹말, 알칼리 개질된 녹말, 표백 녹말, 산화된 녹말, 효소-처리된 녹말, 모노녹말 포스페이트, 소듐 트리메타포스페이트 또는 인산 옥시클로라이드로 에스테르화된 이전분 포스페이트, 포스페이트 이전분 포스페이트, 아세틸화된 이전분 포스페이트, 무수아세트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녹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로 에스테르화된 녹말 아세테이트, 아세틸화된 이전분 아디페이트, 아세틸화된 이전분 글리세롤, 이전분 글리세린, 히드록시 프로필 녹말, 히드록시 프로필 이전분 글리세린, 히드록시 프로필 이전분 포스페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이전분 글리세롤, 녹말 소듐 옥테닐 숙시네이트, 아세틸화된 산화된 녹말,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충전제는 활성제의 최소량을 다루기 위하여 약물에 부가되는 비활성 물질이다. 충전제는 가용화 공정에서 유용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에 대한 예시는 만니톨, 호화(pre-gelatinized) 녹말, 녹말, 미정질 셀룰로오스, 분말형 셀룰로오스, 규화 미정질 셀룰로오스, 이염기성 칼슘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레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크산툼 검, 아라비아 검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이다.
유백제는, 요망된다면, 마실 수 있는 액체를 투명하게 만드는 물질이다. 유백제는 용액, 대부분의 경우에서 본 명세서에서 물과 실질적으로 상이한 굴절 지수를 가져야 한다. 동시에 유백제는 조성물의 다른 요소에 불활성이어야 한다. 적합한 예시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탤크, 칼슘 카보네이트, 베헨 산, 세틸 알코올, 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용화물의 본 발명의 사용이 좌절되지 않거나, 원치 않는 약리학적 작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각각의 국가 법률을 위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전술된 부형제 및 부형제의 부류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으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 또한, 약제 제형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가용화물이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활성제를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 10 제조 지시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표준 크기 음료 제조 캡슐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항상 필요하지는 않다. 종종 현저히 더 적은 부피를 갖는 캡슐은 본 발명에 따른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의 가용화물에 대해 요구된 부피를 수용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주로 사용되는 음료 제조 캡슐의 치수는 높이에서 17 mm (타시모 표준 크기, 라바쪼 아모도 미오) 및 35.3 mm (하이퍼에스프레소 시스템) 사이, 직경에서 (fit) 30 mm (네스프레소) 및 63.3 mm (타시모 큰 크기) 사이, 부가적으로 플랜지에 대해 2 mm 및 8.5 mm 사이 및 플랜지의 두께에 대해 1 mm 및 3.9 mm 사이의 범위이다.
따라서 작은 부피 음료 제조 캡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출원의 부가적인 과제이다. 작은 부피 음료 제조 캡슐은 공간을 더 적게 차지하고, 상업적 규모 상에서 수송 및 저장에서 가장 큰 이점이 있고, 더 적은 재료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캡슐은 더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더 나은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훨씬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캡슐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그러한 캡슐은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소형 캡슐로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이들 소형 캡슐에 대한 유용한 치수는 다음과 같다:
높이: 5 mm 내지 12 mm, 바람직하게는 6 mm 내지 1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8 mm 내지 10 mm;
직경: 5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0 mm.
실행 가능성, 공정 안전성 및 재료 안전성의 이유로, 플랜지의 치수 및 플랜지의 두께는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언급된 음료 제조에서와 같이 동일하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캡슐은, 직경 5 mm 내지 25 mm 및 높이 5 mm 내지 12 mm 를 갖는 소형 캡슐인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캡슐은,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물로 충전된, 직경 5 mm 내지 25 mm 및 높이 5 mm 내지 12 mm 를 갖는 소형 캡슐인 음료 제조 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음료의 제조를 위해, 직경 5 mm 내지 25 mm 및 높이 5 mm 내지 12 mm 를 갖는 소형 캡슐의 사용에, 특히, 음료의 제조를 위해,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물로 충전된, 직경 5 mm 내지 25 mm 및 높이 5 mm 내지 12 mm 를 갖는 소형 캡슐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소형 캡슐은 단 캡슐 또는 예를 들어 천공 부분 (기포) 에 의해 분리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9개, 10개 또는 12개 캡슐의 그룹으로 서로 연결된 것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표준 음료 제조 캡슐을 위한 본 출원 내에 언급된 모든 설명 및 개질 또한 이들 소형 캡슐을 나타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들 소형 캡슐, 특히 음료 제조 캡슐 홀더, 튜빙, 노즐 직경 및 공정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대해 음료 분배기 자체에서 임의의 개질이 필요할 경우, 이들 개질은 그러한 음료 분배기의 구조에 익숙한 본 업계의 숙련가의 지식의 영역 내에 있다.
본 출원은,
a)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기,
b)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 및
c) 음료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을 또한 공개한다.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제조된 음료가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 음료 용기 내로 방출될 때 발포되는 것을 피하거나 적어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그렇게 함으로써 원치 않는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이것은 약물의 경우에서 환자 순응도 또는 식이 보충제의 경우에서 상업적 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포 요소 가령 WO 2004/087529 A1 또는 WO 2005/018395 A1 (상기 참조) 로부터 공지되어있는 퍼콜레이터-와 같은 삽입물은, 특히 가용화물이 경미하게 점성일 때, 주로 물-기반 음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의 가용화물에 대해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았다.
캡슐로부터 용기 내로 향하는 도중 음료가 흐름 제한 요소를 통과하게 놔두는 것에 의해 그러한 발포가 확실하게 회피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한 흐름 제한 요소는, 방출 튜브 또는 깔때기 (그러한 방출 튜브 또는 깔때기를 갖는 음료 제조 기계의 경우에서) 내로 또는 상으로 또는 음료 제조 캡슐의 바닥 내로 또는 상으로 첨부될 수 있다. 유용한 흐름 제한 요소는 튜브의 루멘에서 나사 (왼 또는 오른 나사), 내부 튜브 또는 하단 튜브에서 오리피스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 (중앙 리세스(recess)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 음료의 흐름의 방향에 수직, 또는 단순히 튜브 내부 또는 하단 튜브에서 노즐 (말단 테이퍼 노즐)을 포함한다. 모든 이들 제한 요소는 임의의 적합한 불활성 및 내열 재료 (100°C 까지) 가령 적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강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선택된 재료는 튜브 또는 깔때기의, 또는 음료 제조 캡슐의 재료와 일치해야한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의료용 스테인레스강에서의 구체예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흐름 제한 요소의 요구되는 치수를 찾는 것 및 방출 튜브 또는 깔때기 또는 음료 제조 캡슐의 바닥 내로 또는 상으로 흐름 제한 요소를 확실하게 장착하는 방법은 본 업계의 숙련가의 지식 안에 포함된다 (참조 실시예 4 및 6).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음료 분배기 및/또는 상기 음료 제조 캡슐은 상기 음료 용기 내로 상기 음료의 출구에 대한 튜브 또는 노즐, 흐름 제한 장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또는 노즐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 흐름 제한 요소는 나사, 오리피스 플레이트 또는 말단 테이퍼 노즐이다.
본 업계로부터 몇몇 음료 제조 캡슐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는 회전 테이블 (리볼버 디스크) 를 갖춘 음료 분배 기계가 알려져 있다. 이 테이블의 간단한 회전에 의해 음료의 제조를 위한 올바른 위치 내로 새로운 음료 제조 캡슐을 가져온다. 그러한 회전 테이블은, 특히 가령 카페에서 또는 회사에서 음료 제조의 높은 처리량이 있다면, 또는 음료가 제조되기 위해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 상이한 함량으로 선택될 수 있다면, 로딩 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발명의 그러한 회전 테이블은, 리세스(recess) 직경 선택된 소형 캡슐의 직경에 단순히 개질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소형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소형 캡슐 수용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캡슐 홀더 또는 음료 제조 캡슐 회전 테이블를 갖춘 또는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의 음료 분배기 내에 수용되고, 음료 제조 캡슐을 수용하는 것을 위한 다수의 리세스(recess)를 갖고, 여기서 상기 리세스(recess)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크기의 음료 제조 캡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캡슐은 이들 리세스(recess)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테이블 또는 리볼버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업계로부터 공지되어있는 정교한 음료 분배기는 어떤 음료 제조 캡슐이 다음에 제조되어야 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것은 제조될 음료가 몇몇 상이한 크기 및/또는 맛의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경우에서 특히 유용하다. 사용자는,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것과 같이, 컴퓨터-조절 디스플레이를 통해 바람직한 음료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음료 제조 캡슐 유형은, 적합한 위치에 배치된 음료 분배 시스템의 적합한 바코드 판독 단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각각의 음료 제조 캡슐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쇄된 기계-판독 가능한 바코드를 통해 음료 분배기에 의해 인식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표면 위에 드러내기 위해 바코드(들)를 변환하거나, 선-선택된 가능한 종류의 목록의 올바른 쪽에 램프를 비춘다. 사용자는 선호하는 맛 또는 크기를 찾을 때까지 회전 테이블이 다음 위치로 회전하도록 또한 명령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RFID 칩 기술을 사용하여 동일한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RFID 칩은 각각의 음료 제조 캡슐 내로 또는 상으로 부착되고, 음료 분배기의 RFID 판독 단위에 의해 제공에서 각각의 종류의 음료 제조 캡슐은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판독되고 사용자에게 드러날 수 있다. 그러한 음료 제조 캡슐 식별 시스템은 가용화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캡슐, 특히 소형 캡슐에 대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또한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음료 제조 캡슐이 외부 캡슐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위에 기계-판독 가능한 바코드 또는 외부 캡슐 표면 중 적어도 하나 안에 또는 위에 RFID 칩을 이용하여 제공되고, 음료 분배기는 대응하는 바코드 또는 RFID 칩 판독기를 이용하여 제공되고, 상기 바코드 또는 상기 RFID 칩은 이 음료 제조 캡슐 내에 함유된 가용화물 및 상기 음료 제조 캡슐의 크기에 대해 특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용화물에서의 약제학적 활성제의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이 병원과 같은 고-처리량 시설에서 사용될 때, 칩 판독기는 환자를 위해 부가적인 안전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음료 분배기는 상기 바코드 또는 RFID 칩으로부터 판독되는 정보에 따른 디폴트에 의해 음료 분배기의 가변적인 작동 매개변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 캡슐을 제공하는 것;
b) 상기 음료 분배기 내에 상기 캡슐을 배치하는 것,
c) 음료 분배기의 노즐 아래에 편리한 크기의 음료 용기를 배치하는 것; 및
d) 음료 분배 시스템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것.
본 출원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체예에서 상기 음료의 가용화물은 약제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활성제를 함유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루프 이뇨제 푸로세미드의 가용화물 (BCS 분류 IV 약제)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4.5 g Poloxamer 188 및 1.25 g α-토코페롤을 용융될 때까지 60°C 까지 가열했다. 4.76 ml aqua bidest (25%)을 60°C 까지 가열했고 용융 혼합물을 덮기 위해 사용했다. 겔이 형성될 때까지 대기했다. 제2 용액에서 14.29 ml aqua bidest (75%)를 제공했고 0.2 g 푸로세미드를 교반 하에서 부가했다. 이후 이 제2 용액을 겔에 부가했다 (방법을 위해 WO 2007/104173 A2 참조). 이와 같이 가용화될 화합물을 둘러싸는 안정한 미셀을 형성하기 쉬운 가용화물을 수득했다. 명시된 양의 aqua bidest가 그것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농축물로서가 아니라 가용화물로서 여겨진다. 이 가용화물 (25 ml)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Poloxamer 188 18 wt%
α-토코페롤 5 wt%
푸로세미드 0.8 wt%
aqua bidest 76.2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사용되는 타시모 T 디스크 커피 캡슐 (표준 크기; 63.3 mm 직경, 17.0 mm 높이)을 aqua bidest를 이용하여 철저히 세척했다.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커피 캡슐을 리필하기 위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캡슐을 리필했다. 주입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5 ml의 가용화물을 표준 10 ml 주입기 내에 빨아들였고, 캡슐의 개구를 통해 주입했다. 충전된 캡슐을 Bosch의 타시모 기계 내로 삽입했고, 출구 튜브 아래에 컵을 배치했고 주조를 시작했다. 이것은, 이 약물의 표준 투여량인 40 mg 푸로세미드를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실험을 두 번 반복했다 (n = 3). 매번 슬러 없는 투명한 용액이 발생했다. 두 시간 관찰 기간 동안 실온까지 음료의 냉각 시 화합물은 침전되거나 응집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매우 친유성인 식이 보충제 β-카로틴 (비타민 A의 전구체, 다양한 식물 가령 당근, 호박 등 내에 함유된 테르페노이드)의 가용화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4.5 g Poloxamer 188 및 1.25 g α-토코페롤을 60°C 까지 용융될 때까지, 실시예 1과 같이 가열했다. 4.81 ml aqua bidest (25%)을 60°C까지 가열했고 용융 혼합물을 덮기 위해 사용했다. 겔이 형성될 때까지 대기했다. 제2 용액에서 14.41 ml aqua bidest (75 %)를 제공했고 30 mg β-카로틴을 교반 하에서 부가했다. 이후 이 제2 용액을 겔에 부가했다. 임의의 양의 물에 부가될 때 이와 같이 가용화될 화합물을 둘러싸는 안정한 미셀을 형성하기 쉬운 가용화물을 수득했다. 이 가용화물 (25 ml)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Poloxamer 188 18 wt%
α-토코페롤 5 wt%
β-카로틴 0.12 wt%
aqua bidest 76.88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동일한 유형의 타시모 T 디스크 커피 캡슐을, 실험 1 내에 기술된 것과 같이, 5 ml 각각의 가용화물 및 제조된 음료로 리필했다 (n = 3). 이것은, 이 식이 보충제에 대한 권장 일일 투여량인 6 mg β-카로틴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매번 슬러 없는 투명한 부드러운 오렌지-색의 용액이 발생했다. 두 시간 관찰 기간 동안 실온까지 음료의 냉각 시 화합물은 침전되거나 응집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파라세타몰; BCS 분류 IV 약제)의 가용화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US 2006/0051642 A1에 따라 25 ml 자가-유화 조성물을 발생시켰다. 5 g 아세트아미노펜을 밀봉 가능한 용기 내에 제공한다. 이후 15.7 ml 에틸 올리에이트를 부가하고 용기를 밀봉한다. 용기를 50°C의 온도를 갖는 수조 내에 넣고 모든 고체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부드럽게 흔든다. 용기를 실온까지 냉각한 이후 1 ml 옥탄 산, 3.23 ml 폴리소르베이트 80, 50 mg 의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BHT) 및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 (BHA)의 혼합물, 비 1:1 뿐만 아니라 25 mg 프로필 갈레이트를 순차적으로 부가하고 교반한다. 그 다음 용기를 다시 밀봉하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부드럽게 흔든다. 이 가용화물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아세트아미노펜 20 wt%
에틸 올리에이트 62.8 wt%
옥탄 산 4 wt%
폴리소르베이트 80 12.9 wt%
BHT/BHA 0.2 wt%
프로필 갈레이트 0.1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사용되는 네스카페 돌체 구스토 커피 캡슐 (표준 크기; 48.0 mm 직경, 34.5 mm 높이)을 aqua bidest를 이용하여 철저히 세척했다.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커피 캡슐을 리필하기 위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캡슐을 리필했다. 주입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5 ml의 가용화물을 표준 10 ml 주입기 내에 빨아들였고, 캡슐의 개구를 통해 주입했다. 충전된 캡슐을 Krups의 네스카페 돌체 구스토 호환 기계 (멜로디 3 수동 커피 기계) 내로 삽입했고, 레버를 냉수로 옮기고, 출구 튜브 아래에 컵을 배치했고 주조를 시작했다. 이것은, 이 약물의 강력한 표준 투여량인 1 g 아세트아미노펜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실험을 두 번 반복했다 (n = 3). 매번 눈에 보이는 입자가 없는 용액이 발생했다. 하지만, 약한 슬러가 발생했다 (얼룩말 효과). 두 시간 관찰 기간 동안 화합물은 침전되거나 응집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되지 않았다.
실시예 4:
흐름 제한 요소를 상기 커피 캡슐의 출구 상으로 배치하는 개질과 함께 실험 3을 세 번 반복했다. 그러므로 왼나사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튜브 (1 cm 길이, 4 mm 내부 직경)를 납땜 인두에 의하여 캡슐의 출구 상에 용접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3과 같이 더 이상 슬러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수난용성 식이 보충제 멜라토닌의 가용화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실시예 3에 대응하여, 25 ml 자가-유화 조성물이 발생했다. 25 mg 멜라토닌을 밀봉 가능한 용기 내에 제공한다. 이후 19.63 ml 에틸 올리에이트를 부가하고 용기를 밀봉한다. 용기를 50°C의 온도를 갖는 수조 내에 넣고 모든 고체 물질이 용해될 때까지 부드럽게 흔든다. 용기를 실온까지 냉각한 이후 1.25 ml 옥탄 산, 4.03 ml 폴리소르베이트 80, 50 mg 의 BHT/BHA 혼합물 비 1:1 뿐만 아니라 25 mg 프로필 갈레이트를 순차적으로 부가하고 교반한다. 그 다음 용기를 다시 밀봉하고 투명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부드럽게 흔든다. 이 가용화물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멜라토닌 0.1 wt%
에틸 올리에이트 78.5 wt%
옥탄 산 5 wt%
폴리소르베이트 80 16.1 wt%
BHT/BHA 0.2 wt%
프로필 갈레이트 0.1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동일한 유형의 네스카페 돌체 구스토 커피 캡슐을, 실험 3 내에 기술된 것과 같이, 5 ml 각각의 가용화물 및 제조된 냉음료로 리필했다 (n = 3). 이것은, 이 식이 보충제에 대한 권장 일일 투여량 범위의 최대값인 5 mg 멜라토닌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매번 눈에 보이는 입자가 없는 용액이 발생했다. 하지만, 또한 멜라토닌과 함께 약한 슬러가 발생했다 (얼룩말 효과). 두 시간 관찰 기간 동안 화합물은 침전되거나 응집되거나 또는 재결정화되지 않았다.
실시예 6:
흐름 제한 요소를 상기 커피 캡슐의 출구 상으로 배치하는 개질과 함께 실험 5을 세 번 반복했다. 그러므로 폴리프로필렌 튜브 (1 cm 길이, 4 mm 내부 직경)를 납땜 인두에 의하여 캡슐의 출구 상에 용접했다. 게다가, 흐름 제한을 위하여 천공된 폴리프로필렌 디스크 (중앙 리세스(recess)의 직경: 2 mm)를 튜브의 하단 상에 용접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5와 같이 더 이상 슬러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7:
25 ml 의 설포닐유레아 항-당뇨 약물 글리피짓 (BCS 분류 IV 약제) 의 리포솜-기반 가용화물을 발생시켰다. 인지질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PMC)으로부터 리포솜을 제조했다. 2.5 ml t-부탄올 내에 50 mg DPMC를 용해하는 것 및 혼합물을 37°C 수조 내에서 5 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인지질을 가용화했다. 이후 용액을 광 노출로부터 보호된 단단한 용기 내에 -20°C 에서 저장했다. 50 mg 글리피짓을 500 μl DMSO 내에 용해했고 또한 광 노출로부터 보호된 단단한 용기 내에 -20°C 에서 저장했다. 다음날 용액을 해동했고 2.5 ml 의 DPMC 용액, 500 μl 의 글리피짓 용액 및 22 ml t-부탄올을 철저히 혼합했다 (리포솜 기술 참조 US 2008/0103213 A1). 이 가용화물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글리피짓 0.2 wt%
DPMC 0.2 wt%
DMSO 2.0 wt%
t-부탄올 97.6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사용되는 네스프레소 커피 캡슐 (표준 크기; 30.0 mm 직경, 37.0 mm 높이)을 aqua bidest를 이용하여 철저히 세척했다. 본 업계에서 공지되어있는 커피 캡슐을 리필하기 위한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캡슐을 리필했다. 주입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5 ml의 가용화물을 표준 10 ml 주입기 내에 빨아들였고, 캡슐의 개구를 통해 주입했다. 충전된 캡슐을 네스프레소 이니시아 기계 내로 삽입했다, 컵을 적절하게 배치했고 주조를 시작했다. 이것은, 이 약물의 표준 투여량인 10 mg 글리피짓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실험을 두 번 반복했다 (n = 3). 용액은 투명했고, 경미하게 황색이고 중립적인 허용 가능한 맛을 가졌다.
실시예 8:
실시예 7과 유사하게, 25 ml 의 엽산 (비타민 B9) 의 리포솜-기반 가용화물을 발생시켰다. 인지질 1,2-디미리스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PMC)으로부터 리포솜을 제조했다. 2.5 ml t-부탄올 내에 50 mg DPMC를 용해하는 것 및 혼합물을 37°C 수조 내에서 5 분 동안 가열하는 것에 의해 인지질을 가용화했다. 이후 용액을 광 노출로부터 보호된 단단한 용기 내에 -20°C 에서 저장했다. 2 mg 엽산을 500 μl DMSO 내에 용해했고 또한 광 노출로부터 보호된 단단한 용기 내에 -20°C 에서 저장했다. 다음날 용액을 해동했고 2.5 ml 의 DPMC 용액, 500 μl 의 엽산 용액 및 22 ml t-부탄올을 철저히 혼합했다. 이 가용화물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엽산 0.008 wt%
DPMC 0.2 wt%
DMSO 2.0 wt%
t-부탄올 97.8 wt%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5 ml 의 이 용액을 사용된 네스프레소 커피 캡슐 내에 충전했고, 네스프레소 이니시아 기계에 의하여 음료를 제조했다. 이것은, 이 식이 보충제에 대한 권장 일일 투여량인 400 μg 엽산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실험을 두 번 반복했다 (n = 3). 용액은 투명했고, 경미하게 황색이고 중립적인 허용 가능한 맛을 가졌다.
실시예 9:
항생제 클래리스로마이신 (BCS 분류 IV 약제)의 가용화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10 ml 조성물을 발생시켰다. 첫 번째로, 클래리스로마이신 (2.5 g), β-시클로덱스트린 (70 mg) 및 푸마르 산 (500 mg)을 미분화했고 이후 HPC의 분산액 내에 서로 분산시켰다 (7% w/w). 소량의 시메치콘 에멀젼을 부가하여 분산액을 소포했다. 비-이온성 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30 mg) 및 미분화되지 않은 β-시클로덱스트린 (100 mg) 의 혼합물을 유성 혼합기 내에서 제조했다. 클래리스로마이신 분산을 상기 혼합물에 부가했고 이후 전체 혼합물을 압출기에 통과시켰다. 위에서 얻은 재료를 45°C 에서 건조했다. 건조된 삼출물을 다시 분쇄했다. 이후 상기 분쇄된 삼출물을 6.2 ml aqua bidest 내에 분산시켰다. (방법 참조 US 2003/0091627 A1).
이 가용화물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클래리스로마이신 25 wt%
β-시클로덱스트린 1.7 wt%
푸마르 산 5 wt%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3 wt%
aqua bidest 62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라바자 블루 커피 캡슐 (표준 크기; 41 mm 직경, 26.6 mm 높이) 을,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2 ml 각각의 가용화물 및 제조된 음료로 리필했다 (n = 3). 음료 분배 기계로서 라바자 LB 951을 사용했다. 이것은, 항생제 요법을 위한 표준 투여량인 500 mg 클래리스로마이신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매번 눈에 보이는 입자가 없는 용액이 발생했다. 많은 마크롤라이드 항생제와 같이, 클래리스로마이신은 쓴맛을 갖는다. 본 제제에서 이 맛은 마스킹되고 음료는 경미하게 단맛을 갖는다.
실시예 10:
식이 보충제로서의 섭취를 위한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퀘르세틴의 가용화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20 ml 조성물을 발생시켰다. 실시예 9와 유사한, 퀘르세틴 (5 g), β-시클로덱스트린 (140 mg) 및 푸마르 산 (1 g)을 첫 번째로 미분화했고 이후 HPC의 분산액 내에 서로 분산시켰다 (7% w/w). 소량의 시메치콘 에멀젼을 부가하여 분산액을 소포했다. 비-이온성 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26 g) 및 미분화되지 않은 β-시클로덱스트린 (200 mg)의 혼합물을 유성 혼합기 내에서 제조했다. 퀘르세틴 분산물을 상기 혼합물에 부가했고 이후 전체 혼합물을 압출기에 통과시켰다. 위에서 얻은 재료를 45°C 에서 건조했다. 건조된 삼출물을 다시 분쇄했다. 이후 상기 건조된 삼출물을 12.4 ml aqua bidest 내에 분산시켰다.
이 가용화물은 대략 다음의 조성물을 가졌다:
퀘르세틴 25 wt%
β-시클로덱스트린 1.7 wt%
푸마르 산 5 wt%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3 wt%
aqua bidest 62 wt%
이 가용화물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음료 제조 캡슐을 리필하는 것에 사용했다. 라바자 블루 커피 캡슐을, 이전에 기술된 것과 같이, 4 ml 각각의 가용화물 및 제조된 음료로 리필했다 (n = 3). 또한 본 명세서에서 라바자 LB 951을 사용했다. 이것은, 권장 일일 투여량인 1 g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음료를 수득했다. 매번 눈에 보이는 입자가 없는 용액이 발생했다. 폴리페놀계 플라보노이드 가령 퀘르세틴에 대한 전형적인 쓴맛을 덮었다. 음료는 경미하게 단맛을 갖는다.

Claims (15)

  1. 약제학적 활성제 및/또는 식이 보충제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용화물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가용화물은 적어도 하나의 수난용성 물질 또는 추출물로부터 제조되는 음료 제조 캡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셀, 리포솜, 자가-유화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 복합체화 기술에 의하여 가용화물이 제조되는 음료 제조 캡슐.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식이 보충제 및/또는 약제학적 활성제의 가용화물이 상기 식이 보충제 또는 약제학적 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의 흡수 및/또는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음료 제조 캡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물질이 식이 보충제라면 β-카로틴, 멜라토닌, 엽산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또는, 물질이 약제학적 활성제라면 푸로세미드, 아세트아미노펜, 글리피짓 및 클래리스로마이신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부터 가용화물을 제조하는 음료 제조 캡슐.
  6.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용화물은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 활성제를 함유하는 음료 제조 캡슐.
  7.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약제 또는 식이 보충제의 쓴맛 또는 불쾌한 맛은 미셀, 리포솜, 자가-유화 또는 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화 기술에 의해 제조된 가용화물에 의해 마스킹되는 음료 제조 캡슐.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소형 캡슐이고, 직경 5 mm 내지 25 mm 및 높이 5 내지 12 mm를 갖는 음료 제조 캡슐.
  9. 다음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a) 음료 제조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 및 분배하기 위한 음료 분배기,
    b) 선행하는 청구항 중 하나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 캡슐, 및
    c) 음료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배기 및/또는 상기 음료 제조 캡슐은 상기 음료 용기 내로 상기 음료의 출구에 대한 튜브 또는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 여기서 튜브 또는 노즐은 흐름 제한 장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제한 장치는 나사, 오리피스 플레이트 또는 말단 테이퍼 노즐인 음료 분배 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분배기는, 제8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소형 캡슐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 캡슐 홀더 또는 음료 제조 캡슐 회전 테이블을 갖춘 또는 수용하도록 구성된 음료 분배 시스템.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 캡슐을 제공하는 것;
    b) 상기 음료 분배기 내에 상기 캡슐을 배치하는 것,
    c) 음료 분배기의 노즐 아래에 편리한 크기의 음료 용기를 배치하는 것; 및
    d) 음료 분배 시스템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것.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음료.
  15. 제14항에 있어서, 약제로 사용하기 위해, 가용화물은 약제학적 활성제를 함유하는 음료.
KR1020187029178A 2016-03-10 2017-03-09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KR102412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000586.4 2016-03-10
EP16000586.4A EP3216443A1 (en) 2016-03-10 2016-03-10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for delivery of a solubilisate
PCT/EP2017/000312 WO2017153047A1 (en) 2016-03-10 2017-03-09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for delivery of a solubilis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39A true KR20190028639A (ko) 2019-03-19
KR102412741B1 KR102412741B1 (ko) 2022-06-23

Family

ID=5552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178A KR102412741B1 (ko) 2016-03-10 2017-03-09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84757A1 (ko)
EP (2) EP3216443A1 (ko)
JP (1) JP6991989B2 (ko)
KR (1) KR102412741B1 (ko)
CN (1) CN109152731A (ko)
WO (1) WO2017153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16443A1 (en) 2016-03-10 2017-09-13 Athenion AG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for delivery of a solubilisate
WO2018232422A1 (en) * 2017-06-14 2018-12-20 Poviva Tea, Llc Microwave processing methods for formulating orally ingestible compositions comprising lipophilic active agents
DK3536637T3 (da) 2018-03-05 2020-12-14 Nootrie Ag Kapsel til fremstilling af en drikkevare
US11266264B2 (en) * 2018-06-21 2022-03-08 Sharkninja Operating Llc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CN109280015A (zh) * 2018-08-17 2019-01-29 无锡凯夫制药有限公司 一种d-泛酸钠合成和手性拆分方法
CN113038840A (zh) * 2018-10-23 2021-06-25 洛伊·巴拉克 用于制备强化饮料的装置
DE202019104734U1 (de) * 2019-08-29 2020-12-01 Aquanova Ag Folsäure-Solubilisat
WO2021177829A1 (en) 2020-03-04 2021-09-10 Liposoma Health B.V. Cartridges containing lipid formulations for health ingredient-containing hot drinks
US20210340390A1 (en) * 2020-04-29 2021-11-04 Phoseon Technology, Inc. Biocompatible ink
CN113292622B (zh) * 2021-05-31 2022-03-29 吉林浩泰健康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从短果茴芹中提取β-谷甾醇的方法及应用
NL2029172B1 (en) * 2021-09-10 2023-03-21 Liposoma Health B V Lipid formul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health ingredient-containing hot drinks
CN113634195B (zh) * 2021-09-16 2024-05-10 上海泰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即溶型颗粒缓冲液及其制备方法
GR1010650B (el) * 2023-01-17 2024-03-12 Ιουλια Κλεωνος Τσετη Φαρμακευτικη συνθεση παρακεταμολης υπο υδατοδιαλυτη μορφη εντος ερμητικα κλειστου δοχειου για παρασκευη ζεστου ροφηματο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3010A (ja) * 1984-05-01 1985-11-19 バイオグラン・ラボラトリ−ズ・ピイ・テイ・ワイ・リミテツド 脂溶性医薬または必須栄養素の透明ミセル化溶液
WO2011042356A1 (en) * 2009-10-05 2011-04-14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beverage powder and apparatus for implemeting the method
US20150201790A1 (en) * 2014-01-17 2015-07-23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cartridge holder with movable outlet
WO2015148027A1 (en) * 2014-03-28 2015-10-01 Güdpod Holdings, Llc System for mixing beverage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5494B (en) 1990-10-31 1995-07-05 Coffea Sa Apparatus and cartridge for preparing a liquid product
AU1505192A (en) 1991-05-10 1992-11-1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ealed cartridge for the prepartion of a beverage
JPH0614746A (ja) * 1992-06-29 1994-01-25 Oomiya Yakugyo Kk 健康飲料
ZA949182B (en) 1993-12-02 1995-07-26 South African Druggists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R2744986B1 (fr) * 1996-02-19 1998-05-07 Alsacienne Aluminium Dispositif d'ouverture d'un recipient a rebord opercule
EP1009383A1 (en) * 1997-09-04 2000-06-21 Biozone Laboratories, Inc. Oral liposomal delivery system
US20030180352A1 (en) * 1999-11-23 2003-09-25 Patel Mahesh V. Solid carriers for improved delivery of active ingredients i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20030091627A1 (en) 2001-10-31 2003-05-15 Vinay Sharma Rate-controlled delivery of macrolides
ITTV20030058A1 (it) 2003-04-02 2004-10-03 Hausbrandt Trieste 1892 S P A Capsula monodose in plastica per caffe' in polvere e simili.
ATE373438T1 (de) 2003-07-23 2007-10-15 Nestec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gabe von getränken mit verschiedener schaummenge aus kapseln
WO2005080223A1 (en) 2004-01-26 2005-09-01 Tuttoespresso S.P.A. A process and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s
US20080103213A1 (en) 2004-03-05 2008-05-0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Liposomal curcumin for treatment of neurofibromatosis
US7836819B2 (en) 2004-03-26 2010-11-23 Illycaffe′ S.p.A. Beverage extraction assembly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contained in a cartridge
ITMI20041245A1 (it) 2004-06-22 2004-09-22 Ibsa Inst Biochimique Sa Composizioni farmaceutiche iniettabnili comprendenti diclofenac sodico e b-ciclodestrina
US7629069B2 (en) 2004-09-09 2009-12-08 Nanodynamics Energy, Inc.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DK1702543T3 (da) 2004-10-25 2008-01-07 Nestec Sa Kapsel med forseglingsmidler
EP1868567A4 (en) * 2005-03-29 2010-09-29 Mcneil Ppc Inc COMPOSITIONS WITH HYDROPHILIC DRUGS IN A HYDROPHOBIC MEDIUM
DE102005016297A1 (de) 2005-04-08 2006-10-12 Tchibo Gmbh Portionskapsel
BRPI0708773B1 (pt) 2006-03-10 2021-10-19 Laboswiss Ag Método para solubilização, dispersão e estabilização de substâncias, produtos manufaturados de acordo com o método, bem como uso dos mesmos
PT1985213E (pt) * 2007-04-24 2010-10-21 Nestec Sa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cremosa à base de leite a partir de uma cápsula e kit para essa preparação
ITMO20070143A1 (it) 2007-04-27 2008-10-28 Massimiliano Pineschi Capsula per contenere dosi di bevande solubili
MX2010008028A (es) * 2008-01-24 2010-09-07 Nestec Sa Capsula que contiene ingredientes nutritivos y metodo de suministro de un liquido nutritivo desde la capsula.
SG181704A1 (en) * 2009-12-16 2012-07-30 Intelligent Coffee Company Llc Pump and appliances containing a pump
US20120157547A1 (en) * 2010-12-21 2012-06-21 Ricardo Montoya-Olvera Compositions and applications of carotenoids of improved absorption and bioavailability
US8609684B2 (en) * 2011-12-12 2013-12-17 PruGen IP Holdings, Inc. Solubilization and bioavailability of acetaminophen
KR101440726B1 (ko) * 2013-04-16 2014-09-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용화제를 포함하는 림프계 약물전달 시스템용 조성물
GB201311912D0 (en) 2013-07-03 2013-08-14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capsules for delivery of functional ingredients
WO2016046621A2 (en) * 2014-09-24 2016-03-31 Ascendo Medienagentur Ag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and beverage preparation unit
EP3216443A1 (en) 2016-03-10 2017-09-13 Athenion AG Beverage preparation capsule for delivery of a solubilis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3010A (ja) * 1984-05-01 1985-11-19 バイオグラン・ラボラトリ−ズ・ピイ・テイ・ワイ・リミテツド 脂溶性医薬または必須栄養素の透明ミセル化溶液
WO2011042356A1 (en) * 2009-10-05 2011-04-14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beverage powder and apparatus for implemeting the method
US20150201790A1 (en) * 2014-01-17 2015-07-23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cartridge holder with movable outlet
WO2015148027A1 (en) * 2014-03-28 2015-10-01 Güdpod Holdings, Llc System for mixing beverages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6225A1 (en) 2019-01-16
EP3216443A1 (en) 2017-09-13
KR102412741B1 (ko) 2022-06-23
CN109152731A (zh) 2019-01-04
WO2017153047A1 (en) 2017-09-14
JP2019512240A (ja) 2019-05-16
US20190084757A1 (en) 2019-03-21
JP6991989B2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741B1 (ko) 가용화물의 전달을 위한 음료 제조 캡슐
CA3062812C (en) Method for solubilizing poorly water-soluble dietary supplements and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EP3609475A1 (en) Dispensing cap containing a solubilisate of a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 or dietary supplement
CN101677588A (zh) 亲脂性生物活性分子制剂
CN105358453A (zh) 用于输送功能性成分的饮料制备胶囊
CA2834968A1 (en) Methods of making liposomes, liposome compositions made by the metho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60101108A1 (en) Printed dosage forms
ES2956507T3 (es) Aceite de krill para la solubilización de suplementos dietéticos e principios farmacéuticos activos poco solubles en agua
Alinezhad et al. Utilization of curcumine and nanocurcumine compounds in cancer therapy
US20140084077A1 (en) Drinking straw coated with vitamins
CN102264366B (zh) 含有芝麻素类和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的组合物
Srinivasan et al. Liposomes for nanodelivery systems in food products
WO2021177829A1 (en) Cartridges containing lipid formulations for health ingredient-containing hot drinks
NL2029172B1 (en) Lipid formul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health ingredient-containing hot drinks
US20220331263A1 (en) Printed Delivery Device Having Supplements
CA3231913A1 (en) Alimentary-related particles, production methods, and production apparatus
Rajendran et al. Metallic Nanoparticles in the Food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