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70A - 자석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자석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70A
KR20190027570A KR1020170114508A KR20170114508A KR20190027570A KR 20190027570 A KR20190027570 A KR 20190027570A KR 1020170114508 A KR1020170114508 A KR 1020170114508A KR 20170114508 A KR20170114508 A KR 20170114508A KR 20190027570 A KR20190027570 A KR 20190027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ox
block toy
block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8830B1 (ko
Inventor
채홍우
Original Assignee
채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홍우 filed Critical 채홍우
Priority to KR102017011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8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이 내재(內在)된 블록 완구로서, 복수 개의 블록 완구를 자석의 자력으로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되,
종래 자석 블록 완구는, 내재된 자석의 N극 및 S극이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방향 외에는 극 간에 밀어내는 성질에 의해 부착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는, 내재된 자석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에 제한없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석 블록 완구{MAGNETIC BLOCK TOY}
본 발명은 자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이 내재(內在)된 블록 완구로서, 복수 개의 블록 완구를 자석의 자력으로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되,
종래 자석 블록 완구는, 내재된 자석의 N극 및 S극이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방향 외에는 극 간에 밀어내는 성질에 의해 부착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는, 내재된 자석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에 제한없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 및 아동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 중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블록을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완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블록 완구는 유아 및 아동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유아 및 아동의 창작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두뇌활동과 지능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블록 완구에 있어서 자석을 이용한다면, 블록 완구의 개별모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한편, 복수 개의 블록 완구의 탈부착시 유아 및 아동이 손으로 느끼는 감각에 새로움을 줄 수 있고, 자석에 대해 놀이로 학습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자석을 이용하는 자석 블록 완구는 N극과 S극 간의 당기는 성질과 밀어내는 성질을 학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완구로서 제대로 된 기능을 하려면 기본적으로 조립 및 분해, 즉 부착 및 탈착이 쉽게 가능해야 한다.
만일, 자석의 원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는 유아 및 아동이 완구를 가지고 노는 경우, 블록 완구의 개별모듈 간에 부착이 원활하지 않고, 자석의 극성 성질에 의해 원하는 개별모듈끼리 부착하려 해도 밀어내고 다른 개별모듈끼리 부착된다면, 유아 및 아동의 입장에서는 놀이에 혼란이 있을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흥미를 쉽게 잃어버릴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자석을 이용하는 자석 블록 완구에 사용되는 자석은, 이의 극성을 현재의 기술수단으로는 해결할 방안이 없는 등의 문제로 인해 사실상 모든 방향으로의 탈부착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자석이 자유회전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록 완구의 개별모듈 간에 탈부착이 어느 방향으로든 쉽도록 하는 자석 블록 완구를 제안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자석 블록 완구에 대하여 다음의 사항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자석이 자유회전하면서 완구몸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완구를 험하게 다루는 유아 및 아동의 경우, 자석이 완구몸체와 지속적으로 충돌한다면, 완구몸체 또는 자석의 파손이 우려되고, 완구몸체가 파손되어, 자유회전되도록 특별히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석이 외부로 빠져 나온다면, 유아 및 아동의 경우에는 자석을 입에 물거나 삼킬 위험이 있다.
유아 및 아동의 입장에서는 모든 물체를 삼키는 것이 위험하나, 특히 자석은 전지와 같이 특히 삼키면 위험한 물질로 분류되고 있기도 하다.
둘째, 자석이 자유회전하면서 완구몸체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음과 손 느낌 등의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감각에 민감한 유아 및 아동의 경우에는 완구로부터 겁에 질릴 가능성이 있다.
셋째, 위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되, 자석이 자유회전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자석 블록 완구에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575호에는 자석 블록완구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석이 설치되는 블록과 블록을 접속시켜 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되, 시각적인 교육 효과를 높여 아동의 흥미를 더욱 높이도록 하는 자석 블록완구를 제공한다. 이 자석 블록완구는 종래기술과 달리 블록 내에 내부 공간(13)을 형성하고, 이 내부 공간(13)에 추가적인 교구(16)를 넣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스(12)에 수용되는 교구(16)를 통해 시각적인 교육 효과를 갖도록 한다.
또한, 기존 플라스틱 내에 삽입시키는 볼 블록(70)이 자성체가 직접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자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자석을 사용하여도 블록들을 조립하여 조형물을 만드는데 문제가 없도록 하여 자석의 비용부담을 줄여 자석 블록완구를 구성하는 요소의 원가를 낮추어 제조 가능하도록 한다.
다른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125호에는 자석 블록완구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자석이 설치되는 블록과 블록을 접속시켜 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되, 각도를 조절하여 블록과 블록을 접속시키도록 하는 자석 블록완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자석 블록완구는 자석(1)이 설치되는 블록과 블록을 접속시켜 원하는 조형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하되, 각도를 조절하여 블록과 블록을 접속시키도록 제1 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블록을 접속시키기 위한 자석(1)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몸체(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는 어느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는 절개홈(40)과, 이 절개홈(40)에 삽입되어 회동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다른 하나의 몸체에 설치되는 삽입 바(50)에 의해 상호 각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자석 블록완구는 하나의 블록이 두 종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두 종류의 몸체가 절개홈과 삽입 바의 구조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의 양방향으로 상호 각운동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연결기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블록과 블록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어 종래 별도의 연결기구를 사용하는 블록완구와 달리 아동이 안전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연결기구의 분실로 인한 블록완구의 미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2개의 기술은, 자석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모든 방향의 개별블록 간 탈부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만, 이를 다소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878호에는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가 기재되어 있는데, 해당 기술은 자석을 구 형태로 구성하여 다방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자석은 결국 극성으로 분리되고, 극성이 다르면 밀어내는 성질이 있으므로, 같은 극성끼리는 절대 결합이 안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원리와는 상이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석이 고정설치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에 관련하여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7978호에는 입체형 자석완구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표면에 용기체 장착홈이 형성된 입체블록, 상기 용기체 장착홈에 장착되고 내부에 자석수용공간을 갖는 용기체 및 상기 자석수용공간에 수용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입체형 자석완구의 제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고, 다양한 형상의 입체형 자석완구를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기술은 자석을 자유회전하도록 하는 점에서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기술과 원리는 유사하다 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인이 고려해야 할 점으로 제안한 것들을 극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석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기술에 관련하여서는 아래와 같이 다양한 기술들이 이미 공개된 바 있으나, 해당 기술들은 자석의 자유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특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마찬가지로 상술된 본 출원인이 제안한 고려 점들을 극복할 수 없는 것이다.
해당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23호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26호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28호의 블록형 자석놀이완구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713호의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과, 등록특허공보 제10-0841960호의 결합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블록완구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474호의 자석 블록 완구가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기술과 상이점이 존재하며, 특히 각각 등록을 위해 특징점을 달리하고 있으므로 주요 참증이 될 수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2575호(2014.10.20.)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125호(2010.12.2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878호(2016.03.16.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7978호(2007.06.29.)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23호(2013.09.06.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26호(2013.09.06.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828호(2013.09.06.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713호(2008.12.05.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841960호(2008.06.27.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8474호(2010.12.31.)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이 내재(內在)된 블록 완구로서, 복수 개의 블록 완구를 자석의 자력으로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되, 내재된 자석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에 제한없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 블록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내재된 자석의 N극 및 S극이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방향 외에는 극 간에 밀어내는 성질에 의해 부착될 수 없었던 종래의 자석을 이용한 블록 완구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사방으로 뻗도록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바(bar); 및 상기 바(bar)의 끝단에 형성된 자석박스(20);를 포함하는 자석 블록 완구(10)에 있어서,
상기 자석 블록 완구(10)는 내부에 자석이 내재되고, 상기 자석은 자석 블록 완구(10) 내에서 자유회전되되,
상기 자석 블록 완구(10)가 복수 개 구성되어 연속 부착되는 경우,
(a)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 각각이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각각에 포함된 자석박스(20)끼리 1:1 또는 1:n으로 부착되어,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가 상호 간에 직선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부착하거나,
(b)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가 상호 간에 다른 방향을 갖도록 부착되거나,
(d) 상기 (a)와 (b)의 부착 형태가 결합된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박스(20)는 이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속부(20a)를 포함하되, 상기 단속부(20a) 각각은 자석(M)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자석박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상기 자석(M)이 자석박스(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석(M)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박스(20)는 복수 개의 구성면(21)이 결합되어 형성된 박스로서, 그 내부에는 가이드(22)가 위치되고, 상기 구성면(2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22)가 안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탄력 홈(21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2)에는 이동부(2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23)는 복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이동부(23)는 이동부 간격조절 부재(26)로 인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가이드 홈(22a)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부(23)에는 일단이 자석수용망(25)에 연결된 연결줄(24)이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자석수용망(25)에는 자석(M)이 수용되어, 상기 자석(M)이 자석수용망(25) 내에서 자유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의 구성에 의하면,
(a)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를 부착 또는 탈착함으로써, 사용자(특히, 유아 및 아동)의 호기심 유발과 지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완구로 사용이 가능하다.
(b) 자석의 방향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부착이 가능함으로써, 특히 자석의 기본 이해가 부족한 유아 및 아동으로 하여금 쉽게 부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 또한, 자석의 자유 회전이 더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자석이 회전되면서 다른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자석과 다른 구조물의 보호에 가장 최적화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가 조립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가 실제로 결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에 형성된 가이드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와 자석수용망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자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석이 내재(內在)된 블록 완구로서, 복수 개의 블록 완구를 자석의 자력으로 부착 또는 탈착할 수 있되,
종래 자석 블록 완구는, 내재된 자석의 N극 및 S극이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방향 외에는 극 간에 밀어내는 성질에 의해 부착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는, 내재된 자석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에 제한없이 어느 방향으로든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사람의 형상을 갖는 것(a)과 'X'자 형상을 갖는 것(b)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 1은 본 발명의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한 일예에 따른 형태를 나타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어느 특정 형태를 갖되, 도 1과 같이 일측에 자석이 수용될 수 있는 자석박스(20)가 연결되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이때, 자석박스(20)에 수용되는 자석은 도 6와 같이 봉 자석(M, Magn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 자석은 자석박스(20) 내에서 이동이 자유롭도록 하는데 용이하기 때문에 채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자석의 자유 이동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자석이라면 다른 것으로 대체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10)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10)는, 자석 블록 완구(10)의 대부분 형태를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사방(四方)으로 뻗도록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바(bar)와, 상기 바(bar)의 끝단에 형성된 자석박스(20)로 구성된다.
몸체는, 상술된 바와 같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바(bar)는 몸체로부터 사방으로 3개 이상 돌출되는 막대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고, 이 각각의 바(bar)의 끝단에 자석이 수용될 수 있는 자석박스(20)가 구성되면 충분하다.
특히, 바(bar)의 경우에는 자석박스(20)가 형성된 끝단 또는 끝단에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가 절곡되어 꺽이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자석박스(20) 내에 자석수용망(25)에 수용된 자석이 자석수용망(25)의 파손 등에 의해 자석수용망(25)을 이탈하더라도, 자석이 해당 자석박스(20)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자석이 자석박스(20)를 이탈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하다가 다른 자석박스에 수용된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다른 자석박스 부근으로 이동된다면, 해당 다른 자석박스에 수용된 자석의 자력에 영향을 주어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자석수용망(25)이 파손되어 자석이 자석수용망(25)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자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회전도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도 1의 (a)와 같이 사람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자석박스(2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바(bar)의 위치가 절곡되되, 반대측 면 역시 상기 바(bar)의 절곡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되거나 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석이 자석박스(20)를 벗어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석박스(20) 내에 수용된 자석은 내부가 빈 상태의 자석박스(20) 내에 내재(內在) 되도록 함으로써, 자석박스(20)에 인접하는 다른 자석박스 또는 자력을 갖는 물체(자석 등)가 위치하는 경우, 2개의 자석끼리 달라붙을 수 있도록 자석이 자유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자석박스(20) 내의 공간은 자석보다 크게 형성되어 자석이 자유롭게 이동 및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가 결합되는 일예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가 조립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가 실제로 결합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a에 따르면,
자석 블록 완구(10)는 전, 후, 좌, 우, 상 및 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가 부착 또는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2b에 따르면,
자석 블록 완구(10)는, 복수 개가 일직선상으로 부착될 수도 있으며, 상호 수직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아울러, 2개의 자석 블록 완구(10, 12)가 수직방향으로 부착된 경우, 상측에 구비된 총 4개의 자석박스(20)를 기준으로, 접촉된 2개의 자석박스(20) 사이에, 다른 자석 블록 완구(10n)의 하측에 구비된 자석박스(20)가 인접하여도 상기 다른 자석 블록 완구(10n)의 하측에 구비된 자석박스(20) 내에 내재된 자석이 자유회전함으로써,
상기 자석의 극(예를 들어, N극)이 2개의 자석 블록 완구(10, 12)의 상측에 구비된 자석박스(20) 내에 내재된 자석의 극(예를 들어, S극)과 상반되는 극이 되도록 되어 부착 가능하게 된다.
반면, 종래 자석 블록 완구(10)를 보면, 자석이 블록 내에 내재되되 고정되는 구성을 갖음으로써, 자석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부착하고자 하는 블록 간의 극이 동일하다면 부착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10)는 복수 개 간에 어느 방향으로든지 결합이 가능한데, 이는 도 2c를 통해 객관적인 입증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자석 블록 완구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에 따른 본 발명의 자석 블록 완구의 자석박스(20)를 보면,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절단된 형태의 자석박스(20)의 단면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자석박스(20)의 내측면 중, 어느 마주하는 양면에는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지는 2쌍의 단속부(20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단속부(20a)는 자석(M)이 자석박스(20) 내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석(M)의 회전을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자석의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되, 자석박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자석(M)의 회전을 쉽게 하는 것은, 자석박스(20)의 모서리가 각져 있으므로 자석(M)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석(M)의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면에 자석(M)이 닿으면서 회전이 쉽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1쌍의 단속부(20a)가 자석(M)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자석박스(2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다른 1쌍의 단속부(20a)가 자석(M)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자석박스(2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의 단속부(20a)는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고, 하측의 단속부(20a)는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의 자석박스(20) 외의 형상은 상기에서 공통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자석(M)이 자석박스(20) 내에서 자유회전됨에 따라 마모 또는 파손 등의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되, 자석의 자유회전을 더 쉽게 하도록 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제안한다.
실시예 2. 충돌과 소음이 저감된 자석 블록 완구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르면, 자석박스(20)는 복수 개의 구성면(21)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박스(20)가 사각형태이기 때문에, 4개의 구성면(21)을 갖도록 하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면, 다만 자석박스(20) 내부에 가이드(22)가 구성될 수 있다면, 자석박스(20)는 삼각 또는 오각 이상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구성면(21)의 개수 역시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구성면(21)의 내측면으로는 탄력 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성면(21)는 이중 구조로서, 외측면은 자석박스(20)를 제외한 나머지 자석 블록 완구(10)의 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은 플렉시블한 유연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탄력 홈(21a)은 내측면의 플렉시블한 재질에 형성되어, 가이드(22)를 안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22)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구성면(21)은 전체가, 자석박스(20)를 제외한 나머지 자석 블록 완구(10)의 몸체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탄력 홈(21a)을 홈 형태로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이드(22)의 탄력 지지를 위하여 전자와 같이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탄력 지지가 가능하게 되면,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가 부착될 때 발생되는 소정의 충돌이 가이드(2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이드(22)의 자리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22)는 자석박스(20)의 내측에 구성되어, 복수 개의 구성면(21)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서, 링의 형상으로 구성되되 내경에 '
Figure pat00001
'의 형태를 갖는 가이드 홈(2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홈(22a)에는 이동부(23)가 결합되어, 가이드 홈(22a)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에 형성된 가이드의 단면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따른 이동부(23)는, 가이드 홈(22a)에 수용되는 이동몸체(23a)와, 상기 이동몸체(23a)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가이드 홈(22a)으로 부터 노출되도록 구성된 고정몸체(23b)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몸체(23b)에는 연결줄(24)이 연결되기 위한 고정홀(23c)이 형성되는데,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6를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석 블록 완구에서 자석박스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와 자석수용망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에 따르면,
이동부(23)는 2개로 구성되어, 상호 일직성상으로 마주보도록 가이드 홈(22a)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2개의 이동부(23) 사이에는 가이드(22)의 가이드 홈(22a)을 따라 굴곡지어 연장된 이동부 간격조절 부재(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부 간격조절 부재(26)는 2개의 이동부(23)가 항상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홈(2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2개의 이동부(23) 사이에는 자석수용망(25)이 구성되는데, 이 자석수용망(25)은 자석(M)을 수용하는 망으로 구성된다.
연결줄(24)은 고정홀(23c)을 관통하여 자석수용망(25)에 연결되는 줄로서, 구체적으로 연결줄(24)은 2개의 이동부(23)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이동부(23)의 고정홀(23c)을 통과한 연결줄(24)은 자석수용망(25)의 측방향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해당 고정홀(23c)과 직선상에 가장 인접한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6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연결줄(24)의 일단은 자석수용망(25)의 하나의 측방향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방향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이동부(23)의 고정홀(23c)을 통과한 연결줄(24)은 연결줄이 연결되지 않은 측방향에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해당 고정홀(23c)과 직선상에 가장 인접한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6를 기준으로 하면, 다른 하나의 연결줄(24)의 일단은 자석수용망(25)의 다른 하나의 측방형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하방향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석수용망(25)은 통상의 망 재질이기 때문에 오므려지기 쉽지만,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자석수용망(25)이 항상 내부에 위치한 자석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석수용망(25)에 내재된 자석(M)은, 다른 자석 블록 완구(10n)의 자석과 부착될 때, 해당 자석 블록 완구(10n)의 방향으로 극성에 이끌려 움직일 수 있어야 하므로, 연결줄(24)의 재질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것을 채용한다.
따라서, 자석수용망(25)이 이동부(25)에 연결줄(24)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되, 다른 자석 블록 완구(10n)와 부착되려는 방향으로 자석수용망(25)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술된 이동이 제한된다면 자석 간의 자력 발생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부착하고자 하는 자석 블록 완구 간에 부착이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자석(M)은 자석수용망(25) 내에서 자유롭게 제한받지 않고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자석수용망(25)을 고정하는 이동부(23)가 가이드(22)의 가이드 홈(22a)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자석(M)이 부착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 기동성(機動性)이 더욱 향상된 자석 블록 완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과 상관없는 다른 구조로서, 만약 자석수용망(25)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프레임 구조를 채용한다면, 내부에 위치한 자석이 회전하면서 부딪혀 마모와 파손의 방지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되며, 프레임의 강도 한계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되고, 더불어 자석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조가 자석의 자유 회전 및 자석과 다른 구조물의 보호에 가장 최적화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자석 블록 완구
20 : 자석박스
20a : 단속부
21 : 구성면
21a : 탄력 홈
22 : 가이드
22a : 가이드 홈
23 : 이동부
23a : 이동몸체
23b : 고정몸체
23c : 고정홀
24 : 연결줄
25 : 자석수용망
26 : 이동부 간격조절 부재
M : 자석

Claims (3)

  1.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사방으로 뻗도록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바(bar); 및
    상기 바(bar)의 끝단에 형성된 자석박스(20);를 포함하는 자석 블록 완구(10)에 있어서,
    상기 자석 블록 완구(10)는,
    내부에 자석이 내재되고, 상기 자석은 자석 블록 완구(10) 내에서 자유회전되되,
    상기 자석 블록 완구(10)가 복수 개 구성되어 연속 부착되는 경우,
    (a)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 각각이 전, 후, 좌, 우, 상 또는 하 방향으로 각각에 포함된 자석박스(20)끼리 1:1 또는 1:n으로 부착되어,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가 상호 간에 직선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부착하거나,
    (b) 복수 개의 자석 블록 완구(10)가 상호 간에 다른 방향을 갖도록 부착되거나,
    (d) 상기 (a)와 (b)의 부착 형태가 결합된 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블록 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박스(20)는,
    이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속부(20a)를 포함하되,
    상기 단속부(20a) 각각은,
    자석(M)을 기준으로 반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자석박스(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상기 자석(M)이 자석박스(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자석(M)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블록 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박스(20)는,
    복수 개의 구성면(21)이 결합되어 형성된 박스로서,
    그 내부에는 가이드(22)가 위치되고,
    상기 구성면(21)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22)가 안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탄력 홈(21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2)에는 이동부(2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23)는 복수 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이동부(23)는 이동부 간격조절 부재(26)로 인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가이드 홈(22a)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부(23)에는 일단이 자석수용망(25)에 연결된 연결줄(24)이 관통되어 연결되고,
    상기 자석수용망(25)에는 자석(M)이 수용되어, 상기 자석(M)이 자석수용망(25) 내에서 자유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블록 완구.
KR1020170114508A 2017-09-07 2017-09-07 자석 블록 완구 KR10196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08A KR101968830B1 (ko) 2017-09-07 2017-09-07 자석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08A KR101968830B1 (ko) 2017-09-07 2017-09-07 자석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70A true KR20190027570A (ko) 2019-03-15
KR101968830B1 KR101968830B1 (ko) 2019-08-13

Family

ID=6576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08A KR101968830B1 (ko) 2017-09-07 2017-09-07 자석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211A1 (ko) * 2022-05-12 2023-11-16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978A (ko)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입체형 자석완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841960B1 (ko) 2007-04-02 2008-06-27 김종성 결합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블록완구
KR200442713Y1 (ko) 2006-12-04 2008-12-05 김동완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
KR20100135125A (ko) 2009-06-16 2010-12-24 정두보 자석 블록완구
KR20100138474A (ko) 2009-06-25 2010-12-31 장철신 자석 블록 완구
KR200468823Y1 (ko)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8Y1 (ko)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6Y1 (ko)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130005436U (ko) * 2012-03-07 2013-09-17 이석호 균형잡는 학습완구
KR20140122575A (ko) 2013-04-10 2014-10-20 정두보 자석 블록완구
KR200479878Y1 (ko) 2014-12-19 2016-03-16 최소영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KR101673471B1 (ko) * 2016-04-08 2016-11-07 김영미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기구
KR20170070329A (ko) * 2015-12-11 2017-06-22 채홍우 장난감 블록완구
CN107096240A (zh) * 2017-05-31 2017-08-29 张洋 磁性积木结构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978A (ko)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입체형 자석완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442713Y1 (ko) 2006-12-04 2008-12-05 김동완 블록완구용 고정핀 및 회전자석
KR100841960B1 (ko) 2007-04-02 2008-06-27 김종성 결합시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블록완구
KR20100135125A (ko) 2009-06-16 2010-12-24 정두보 자석 블록완구
KR20100138474A (ko) 2009-06-25 2010-12-31 장철신 자석 블록 완구
KR200468828Y1 (ko)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3Y1 (ko)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0468826Y1 (ko) 2011-06-21 2013-09-06 최소영 블록형 자석놀이완구
KR20130005436U (ko) * 2012-03-07 2013-09-17 이석호 균형잡는 학습완구
KR20140122575A (ko) 2013-04-10 2014-10-20 정두보 자석 블록완구
KR200479878Y1 (ko) 2014-12-19 2016-03-16 최소영 블록 지지대를 갖는 블록완구
KR20170070329A (ko) * 2015-12-11 2017-06-22 채홍우 장난감 블록완구
KR101673471B1 (ko) * 2016-04-08 2016-11-07 김영미 조립식 완구용 자석 장착기구
CN107096240A (zh) * 2017-05-31 2017-08-29 张洋 磁性积木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211A1 (ko) * 2022-05-12 2023-11-16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8830B1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43838T3 (es) Juguete de construcción robusto y versátil
JP3991235B2 (ja) 回転型磁石結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立式玩具
US20100120322A1 (en) Set of blocks for construction game
US9457288B2 (en) Magnetic block toy
WO2007130504A2 (en) Organic magnetic construction module
KR100524154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101130247B1 (ko) 조립식 자석패널 완구
WO2006095940A1 (en) Panel structure for magnetic toys
KR20190027570A (ko) 자석 블록 완구
KR101783296B1 (ko) 조립식 완구
CN209967687U (zh) 一种任意拼接磁模块积木
KR10104768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091551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0546070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WO2006051419A2 (en) Magnetic toy
KR10102896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100987575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200380938Y1 (ko) 유희용 완구의 입체패널
KR20170094746A (ko) 자석블록완구
KR101696140B1 (ko) 연결봉 자석블록
KR1007404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JPH031423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