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140B1 - 연결봉 자석블록 - Google Patents

연결봉 자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140B1
KR101696140B1 KR1020160041295A KR20160041295A KR101696140B1 KR 101696140 B1 KR101696140 B1 KR 101696140B1 KR 1020160041295 A KR1020160041295 A KR 1020160041295A KR 20160041295 A KR20160041295 A KR 20160041295A KR 101696140 B1 KR101696140 B1 KR 101696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tube
main tube
horizontal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호 filed Critical 고영호
Priority to KR102016004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들을 외부로 전혀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표면에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석에 유아들의 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자석을 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에 관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전방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후방은 후방판으로 막혀 있는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 내부에 후방판의 전면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의 전방이 개방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내부 후방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과; 상기 수평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고, 전방에는 둘레가 확장된 확장부가 구비되며, 확장부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방되는 자석 장착홈이 형성되는 수평 삽입축과; 상기 자석 장착홈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과; 상기 개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수평 삽입축의 자석 장착홈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봉 자석블록{Connecting rod magnet block}
본 발명은 연결봉 자석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석들을 외부로 전혀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표면에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석에 유아들의 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자석을 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석 블록은 미취학 유아들이나 아동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 도구이다. 그리고, 자석블록은 삼각기둥 내지 정육면체 등 여러 가지 모양의 블록을 이용해 블록 쌓기, 퍼즐 맞추기 등을 수행하면서 놀 경우 심신의 발달과 아울러, 능동적인 사고발달 및 집중도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석블록은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36839호의 "자석 놀이 완구"(이하, "종래의 자석 놀이 완구"라 합니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자석 놀이 완구는 금속구와, 금속 막대의 양단에 자석이 형성된 스틱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틱이 갖는 자력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결합 하여 원하는 형상의 구조물이나 모형을 만드는 자석 놀이 완구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금속막대는 파이프(pipe)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는 6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석 놀이 완구는 스틱의 외부에 자석이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아동들이 자석에 혀를 대는 경우가 빈번하여 유아들이 갖고 놀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석 놀이 완구는 스틱에 충격을 주게 되면, 자석이 외부로 이탈되어 유아들이 자석을 삼키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석 놀이 완구는 스틱을 금속막대로 구성함으로써, 아동들이 갖고 놀다가 다른 친구에게 스틱을 던지게 되면 다른 친구가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50395호의 "자석 부착식 다면체 조립완구"(2014.10.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들을 외부로 전혀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표면에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석에 유아들의 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자석을 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관의 외주면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아들이 본체관을 잡고 놀이를 할 경우에 미끄러져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관의 상,하부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다수의 보강 삽입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함으로써, 본체관을 던지거나 다른 물건으로 치는 등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본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방판을 접착재도 더 부착함으로써 아이들이 전방판을 분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관의 내부 둘레에 이격 완충 공간부를 더 형성함으로써, 아동들이 본체관을 갖고 놀다가 다른 친구에게 본체관을 던질 경우에도 본체관의 둘레가 이격 완충 공간부를 통해 완충됨에 따라 본체관을 맞은 다른 친구가 상처를 입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전방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후방은 후방판으로 막혀 있는 본체관과; 상기 본체관 내부에 후방판의 전면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의 전방이 개방되는 수평관과; 상기 수평관의 내부 후방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과; 상기 수평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고, 전방에는 둘레가 확장된 확장부가 구비되며, 확장부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방되는 자석 장착홈이 형성되는 수평 삽입축과; 상기 자석 장착홈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과; 상기 개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수평 삽입축의 자석 장착홈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관의 외주면의 둘레에는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본체관의 내주면의 상,하부와 양측에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본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관의 상,하부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다수의 보강 삽입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의 후방의 상,하부와 양측에는 각각의 두 개씩 형성된 보강 삽입돌출부에 삽입되는 삽입 조립돌기가 더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보강 삽입돌출부의 후방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의 후방판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후방 보강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의 상기 개방부의 상부 둘레에는 조립 함몰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의 둘레는 상기 조립 함몰홈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의 상기 수평관의 외주면과 본체관의 내주면의 사이와 상기 확장부의 외측 둘레와 본체관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이격 완충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은 합성 수지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석들을 외부로 전혀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표면에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석에 유아들의 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자석을 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관의 외주면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부를 형성함에 따라, 유아들이 본체관을 잡고 놀이를 할 경우에 미끄러져 놓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아들이 갖고 놀 경우에는 수취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관의 상,하부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다수의 보강 삽입돌출부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함에 따라, 본체관을 던지거나 다른 물건으로 치 등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본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판을 접착제로 더 부착함으로써 아이들이 전방판을 분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이 확보된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관의 내부 둘레에 이격 완충 공간부를 더 형성함에 따라, 아동들이 본체관을 갖고 놀다가 다른 친구에게 본체관을 던질 경우에도 본체관의 둘레가 이격 완충 공간부를 통해 완충됨에 따라 본체관을 맞은 다른 친구가 상처를 입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이 개방된 본체관(1)과, 상기 본체관(1) 내부에 형성되는 수평관(2)과, 상기 수평관(2)의 내부 후방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M)과, 상기 수평관(2)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고 전방에 자석 장착홈(32)이 형성되는 수평 삽입축(3)과, 상기 자석 장착홈(32)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M)과, 상기 개방부(11)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수평 삽입축(3)의 자석 장착홈(32)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판(4)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관(1)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전방에는 개방부(11)가 형성되며, 후방은 후방판(12)으로 막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관(1)의 외주면의 둘레에는 유아들이 본체관(1)을 잡고 놀이를 할 경우에 미끄러져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의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13)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관(1)의 내주면의 상,하부와 양측에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본체관(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관(1)의 상,하부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다수의 보강 삽입돌출부(14)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관(1)의 상,하부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다수의 보강 삽입돌출부(14)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함에 따라, 본체관(1)을 던지거나 다른 물건으로 치 등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본체관(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전방판(4)의 후방의 상,하부와 양측에는 전방판(4)을 보다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각각의 두 개씩 형성된 보강 삽입돌출부(14)에 삽입되는 삽입 조립돌기(4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관(2)은 본체관(1) 내부에 후방판(12)의 전면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의 전방이 개방되는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수평 삽입축(3)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관(2)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고, 전방에는 둘레가 확장된 확장부(31)가 구비되며, 확장부(31)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방되는 자석 장착홈(32)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관(2)의 외주면과 본체관(1)의 내주면의 사이와 상기 확장부(31)의 외측 둘레와 본체관(1)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이격 완충 공간부(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관(1)은 충격을 좀 더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합성 수지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관(1)의 내부 둘레에 이격 완충 공간부(5)를 더 형성함에 따라, 아동들이 본체관(1)을 갖고 놀다가 다른 친구에게 본체관(1)을 던질 경우에도 본체관(1)의 둘레가 이격 완충 공간부(5)를 통해 완충됨에 따라 본체관(1)을 맞은 다른 친구가 상처를 입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전방판(4)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11)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수평 삽입축(3)의 자석 장착홈(32)의 전방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관(1)의 개방부(11)의 상부 둘레에는 조립 함몰홈(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4)의 둘레는 아이들이 전방판(4)을 분해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 함몰홈(111)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봉 자석블록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자석블록 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하여 다양한 자석블록들의 조합체를 만들 수 있고, 또한, 회전되는 바퀴 자석블록의 회전 중심축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유아나 아동이 자석블록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석(M)들을 외부로 전혀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표면에서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석(M)에 유아들의 혀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들이 자석(M)을 삼키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연결봉 자석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본체관
11 : 개방부
111 : 조립 함몰홈
12 : 후방판
13 : 미끄럼 방지돌기
14 : 보강 삽입돌출부
15 : 후방 보강리브
2 : 수평관
3 : 수평 삽입축
31 : 확장부
32 : 자석 장착홈
4 : 전방판
41 : 삽입 조립돌기
5 : 이격 완충 공간부
M : 자석

Claims (6)

  1.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어 전방에는 개방부(11)가 형성되며, 후방은 후방판(12)으로 막혀 있는 본체관(1)과; 상기 본체관(1) 내부에 후방판(12)의 전면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의 전방이 개방되는 수평관(2)과; 상기 수평관(2)의 내부 후방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M)과; 상기 수평관(2)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고, 전방에는 둘레가 확장된 확장부(31)가 구비되며, 확장부(31)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방되는 자석 장착홈(32)이 형성되는 수평 삽입축(3)과; 상기 자석 장착홈(32)에 자극이 반전되게 뒤집어짐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자석(M)과; 상기 개방부(11)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수평 삽입축(3)의 자석 장착홈(32)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판(4);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관(1)의 외주면의 둘레에는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13)가 더 형성되며,
    상기 본체관(1)의 내주면의 상,하부와 양측에는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본체관(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관(1)의 상,하부와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다수의 보강 삽입돌출부(14)가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4)의 후방의 상,하부와 양측에는 각각의 두 개씩 형성된 보강 삽입돌출부(14)에 삽입되는 삽입 조립돌기(41)가 더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보강 삽입돌출부(14)의 후방의 내측에는 상기 본체관(1)의 후방판(12)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후방 보강리브(1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1)의 상부 둘레에는 조립 함몰홈(11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전방판(4)의 둘레는 상기 조립 함몰홈(111)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2)의 외주면과 본체관(1)의 내주면의 사이와 상기 확장부(31)의 외측 둘레와 본체관(1)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이격 완충 공간부(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관(1)은 합성 수지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봉 자석블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41295A 2016-04-04 2016-04-04 연결봉 자석블록 KR10169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295A KR101696140B1 (ko) 2016-04-04 2016-04-04 연결봉 자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295A KR101696140B1 (ko) 2016-04-04 2016-04-04 연결봉 자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140B1 true KR101696140B1 (ko) 2017-01-12

Family

ID=5781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295A KR101696140B1 (ko) 2016-04-04 2016-04-04 연결봉 자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263A (ko) 2017-04-19 2018-10-29 고영호 연결봉 자석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30Y1 (ko) * 2005-09-23 2005-12-19 윤봉석 회전 가능한 자석이 결합된 스틱형 자석완구
KR20090046429A (ko) * 2007-11-06 2009-05-11 송경운 회전형 자석의 장착구조
KR20100134916A (ko) * 2009-06-16 2010-12-24 지연경 자석을 이용한 퍼즐블록
KR101450395B1 (ko) 2012-09-06 2014-10-14 조은님 자석 부착식 다면체 조립완구
KR20150001414U (ko) * 2013-10-02 2015-04-10 국민서관주식회사 조립식 자석블록 완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030Y1 (ko) * 2005-09-23 2005-12-19 윤봉석 회전 가능한 자석이 결합된 스틱형 자석완구
KR20090046429A (ko) * 2007-11-06 2009-05-11 송경운 회전형 자석의 장착구조
KR20100134916A (ko) * 2009-06-16 2010-12-24 지연경 자석을 이용한 퍼즐블록
KR101450395B1 (ko) 2012-09-06 2014-10-14 조은님 자석 부착식 다면체 조립완구
KR20150001414U (ko) * 2013-10-02 2015-04-10 국민서관주식회사 조립식 자석블록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263A (ko) 2017-04-19 2018-10-29 고영호 연결봉 자석블록
KR101983054B1 (ko) * 2017-04-19 2019-05-29 고영호 연결봉 자석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1235B2 (ja) 回転型磁石結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組立式玩具
KR101308201B1 (ko) 벽돌블럭 완구
KR101695597B1 (ko) 완구용 블록
JPWO2006059527A1 (ja) 多面体遊具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US20120270464A1 (en) Toy blocks for children
JP2016131875A (ja) 磁石ブロック玩具
KR101696140B1 (ko) 연결봉 자석블록
US3583091A (en) Manual spinning toy
KR101783296B1 (ko) 조립식 완구
KR200495487Y1 (ko) 놀이용 이음블럭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036721B1 (ko) 유아용 자석블록
US3837115A (en) Noisemaking amusement device
CN102711937A (zh) 手持玩具
KR20130045988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384492B1 (ko) 유아 학습용 블록
KR20190006666A (ko) 한글 교육과 놀이가 가능한 블록
KR1011460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KR102174925B1 (ko) 유아 학습용 블럭
KR20130092686A (ko) 유아용 블록완구
KR101626253B1 (ko) 조립식 led 블록 완구
KR20190027570A (ko) 자석 블록 완구
KR100894166B1 (ko) 자석결합부재를 이용한 조합식 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