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556A -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556A
KR20190027556A KR1020170114484A KR20170114484A KR20190027556A KR 20190027556 A KR20190027556 A KR 20190027556A KR 1020170114484 A KR1020170114484 A KR 1020170114484A KR 20170114484 A KR20170114484 A KR 20170114484A KR 20190027556 A KR20190027556 A KR 2019002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ntroller
unlock
do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425B1 (ko
Inventor
김석민
정명선
조하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충전포트 록킹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충전리셉터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플러그와, 커버 및 충전플러그를 선택적으로 록 및 언록하는 록 엑츄에이터를 가진 충전포트;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및 언록작동을 제어하는 록 제어기(lock controller); 상기 록 제어기에 도어 록신호 및 도어 언록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door lock/unlock controller); 및 상기 록 제어기에 록신호 및 언록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충전제어기(charge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커버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 및 상기 충전제어기와 연동하여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및 언록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LOCKING APPARATUS FOR CHARGING POR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충전포트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따라 충전플러그의 록/언록 및 커버의 록/언록을 제어할 수 있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에너지절약과 환경오염 최소화의 대상으로 친환경 자동차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내연기관으로 구성된 자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바이오디젤 자동차, 전기자동차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고, 배터리가 모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자동차는 BEV(Battery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V), HEV(Hybrid E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V(Hybrid EV)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두 종류의 동력을 조합한 자동차로서,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고연비, 고효율을 실현한 것이 특징이다. PHEV(Plug-in Hybrid EV)는 HEV의 배터리를 외부에서 충전해서 쓸 수 있도록 설계한 자동차이며, BEV(Electric Vehicle)는 배터리와 전기모터로만 구동되는 자동차이다.
HEV, PHEV 및 BEV 자동차는 공통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차량구동에 활용하게 되는데, HEV는 전기에너지를 차량 내에서 전기에너지를 발전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PHEV와 BEV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PHEV, BEV와 같은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를 가지고, 충전포트는 차량의 휠에 인접한부분 또는 차량의 전방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다.
충전포트는 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charge receptacle)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충전리셉터클은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를 향해 노출된다. 충전리셉터클에는 충전 플러그(charger plug)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충전 플러그는 충전시시스템에 충전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커버는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 및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커버를 록/언록하는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cover lock actuator)가 장착된다.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는 차량 도어의 록/언록에 연동하여 커버를 록/언록하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 도어가 록되면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는 커버를 록하고, 차량 도어가 언록되면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는 커버를 언록한다. 이에 따라 충전포트의 커버는 차량 도어의 록/언록에 따라 개폐된다.
충전리셉터클에는 충전 플러그(charge plug)를 록/언록하는 충전용 록 엑츄에이터(charging lock actuator)가 장착된다. 충전용 록 엑츄에이터는 충전제어기에 의해 충전 플러그를 록/언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충전제어기가 록신호를 발생하면 충전 플러그를 록하고, 충전제어기가 언록신호를 발생하면 충전 플러그를 언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충전포트의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는 차량 도어의 록/언록에 연동하지만, 충전용 록 엑츄에이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충전용 록 엑츄에이터는 커버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작동하므로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의 고장 내지 오작동 등으로 인해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의 록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충전플러그를 충전리셉터클에 연결하거나 커버를 폐쇄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요컨대, 종래의 충전포트는 충전용 록 엑츄에이터에 의한 충전플러그의 록/언록과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에 의한 커버의 록/언록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충전플러그를 충전리셉터클에 연결하지 못하거나 커버의 개폐불량 등을 초래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충전포트는 커버용 록 엑츄에이터 및 충전용 록 엑츄에이터를 개별적으로 가짐에 따라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일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충전포트의 개방 내지 폐쇄 상태에 따라 충전플러그의 록/언록 및 커버의 록/언록을 제어함으로써 충전플러그의 연결 내지 커버의 개폐 등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충전포트 록킹장치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충전리셉터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플러그와, 커버 및 충전플러그를 록 또는 언록하는 록 엑츄에이터를 가진 충전포트;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는 록 제어기(lock controller);
상기 록 제어기에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door lock/unlock controller); 및
상기 록 제어기에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충전제어기(charge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커버의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수시된 신호에 의해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 제어기에는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릴레이와,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릴레이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도어릴레이에는 도어를 록 또는 언록하는 도어 록 엑츄에이터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도어릴레이는 상기 도어 록 엑츄에이터에 도어 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록 릴레이 및 상기 도어 록 엑츄에이터에 도어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언록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릴레이에는 상기 록 엑츄에이터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충전릴레이는 상기 록 엑츄에이터에 록신호를 출력하는 록 릴레이 및 상기 록 엑츄에이터에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언록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 제어기는 커버가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도어릴레이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과 동시에,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 제어기는 커버가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충전제어기로부터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충전리셉터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플러그와, 커버 및 충전플러그를 록 또는 언록하는 록 엑츄에이터를 가진 충전포트;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는 록 제어기(lock controller);
상기 록 제어기에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door lock/unlock controller); 및
상기 록 제어기에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충전제어기(charge controller);를 포함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커버의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도어 록신호/도어 언록신호 및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록신호/언록신호에 의해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개방상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한 상태이고, 상기 폐쇄상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커버가 폐쇄상태이면,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록 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록 제어기가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록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언록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록 제어기는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을 재시도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이면,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록 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록 제어기가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록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언록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록 제어기는 록 엑츄에이터의 언록작동을 재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충전포트의 개방 내지 폐쇄 상태에 따라 충전플러그의 록/언록 및 커버의 록/언록을 제어함으로써 충전플러그 및 충전어셉터클의 연결 내지 커버의 개폐 등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페일 세이프티 로직에 의해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를 언록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커버의 폐쇄, 충전플러그 및 충전리셉터클의 전기적 연결 등이 불가능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충전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의 충전포트가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록 엑츄에이터의 록핀이 록위치에 위치한다.
도 3은 차량의 충전포트가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록 엑츄에이터의 록핀이 언록위치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포트 록킹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커버의 폐쇄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 및 커버에 대한 페일 세이프티 기능을 수행하는 로직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S5-1단계에 따른 록작동의 재시도(RETRY) 및 도 6의 S28-1단계에 따른 록작동의 재시도(RETRY)에 대한 구체적인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5의 S9-1단계에 따른 언록작동의 재시도(RETRY) 및 도 6의 S27-1단계에 따른 언록작동의 재시도(RETRY)에 대한 구체적인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에너지에 의해 차량을 구동하는 BEV(Battery Electric Vehicle), HEV(Hybrid EV), PHEV(Plug-in Hybrid EV) 등과 같은 전기자동차는 배터리(18, 도 4 참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포트(10)를 포함하고, 충전포트(10)는 차량의 휠에 인접한 부분 또는 차량의 전면부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포트(10)는 개구(12)를 가진 하우징(11)과, 하우징(11)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13, charge receptacle)과,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폐하는 커버(14)와, 충전리셉터클(1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플러그(15, charge plug)와, 커버(14) 및 충전플러그(15)를 선택적으로 록 또는 언록하는 록 엑츄에이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전기자동차의 외부공간을 향하는 개구(12)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은 차량의 휠에 인접한 부분 또는 차량의 전방 측에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충전리셉터클(13)은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충전리셉터클(13)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통해 외부공간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충전리셉터클(13)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컨택트(one or more electrical contacts)를 가질 수 있다. 충전리셉터클(13)의 전기적 컨택트들에는 충전플러그(15, 도 4 참조)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충전플러그(15)는 케이블을 통해 충전시스템(charge system, 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충전시스템은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리셉터클(13)에는 배터리(18)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에,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되면 전기가 충전시스템의 파워서플라이로부터 충전플러그(15) 및 충전리셉터클(13)을 통해 배터리(18)로 공급됨으로써 배터리(18)가 충전될 수 있다.
커버(14)는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는 위치 및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커버(14)는 록돌기(16, lock protrusion)를 가질 수 있고, 록돌기(16)에는 록홀(16a, lock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록 엑츄에이터(20)는 록위치(LP, Lock Position) 및 언록위치(UP, Unlock Position) 사이로 이동가능한 록핀(21, Lock pin)을 가질 수 있다. 록위치(LP)는 커버(14) 및 충전플러그(15)를 선택적으로 록하는 위치일 수 있고, 언록위치(UP)는 커버(14) 및 충전플러그(15)를 선택적으로 언록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면 록핀(21)이 록돌기(16)의 록홀(16a)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하면 록핀(21)이 록돌기(16)의 록홀(16a)에서 분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고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면 록핀(21)이 충전플러그(15)의 결합홈(15a)에 결합된다.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고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하면 록핀(21)이 충전플러그(15)의 결합홈(15a)에 분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포트 록킹장치는 충전포트(10)의 록 엑츄에이터(20)에 접속된 록 제어기(30, lock controller)와,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40, door lock/unlock controller)와,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는 충전제어기(50, charge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및 언록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록핀(21)이 록위치(LP, Lock Position) 및 언록위치(UP, Unlock Position)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록 제어기(30)에는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릴레이(31, door relay) 및 충전 록신호 또는 충전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릴레이(32, charge relay)가 접속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커버(14)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를 센싱하는 제1센서(17)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센서(17)는 접촉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센서(17)는 록 제어기(30)에 접속될 수 있고, 제1센서(17)에 의해 센싱된 커버(14)의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가 록 제어기(30)에 전송됨으로써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릴레이(31)는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접속될 수 있고, 도어 록 엑츄에이터(35)는 도어를 록 또는 언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릴레이(31)는 도어 록신호를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출력하는 도어 록 릴레이(31a, door lock relay) 및 도어 언록신호를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출력하는 도어 언록 릴레이(31b, door unlock relay)를 가질 수 있다.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 릴레이(31a)를 작동시키면 도어 록신호가 도어 록 엑츄에이터(35)로 전송될 수 있고, 록 제어기(30)가 도어 언록 릴레이(31b)를 작동시키면 도어 언록신호가 도어 록 엑츄에이터(35)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 록신호가 도어 록 릴레이(31a)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되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의 록작동에 의해 도어가 록될 수 있고, 도어 언록신호가 도어 언록 릴레이(31a)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되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의 언록작동에 의해 도어가 언록될 수 있다.
충전릴레이(32)에는 록 엑츄에이터(20)가 접속될 수 있고, 록 엑츄에이터(20)는 충전플러그(15) 또는 커버(14)를 록 또는 언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릴레이(32)는 록 엑츄에이터(20)에 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록 릴레이(32a) 및 록 엑츄에이터(20)에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가질 수 있다. 록 제어기(30)가 충전 록 릴레이(32a)를 작동시키면 록신호가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될 수 있고, 록 제어기(30)가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작동시키면 언록신호가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될 수 있다. 록신호가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고, 이에 커버(14) 또는 충전플러그(15)가 록될 수 있다. 언록 신호가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하고, 이에 커버(14) 또는 충전플러그(15)가 언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록 제어기(30)는 커버(14)의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충전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록 제어기(30)는 커버(14)의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된 도어 록신호/도어언록신호 또는 충전 제어기(50)로부터 수신된 록신호/언록신호에 따라 충전릴레이(32)를 통해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함으로써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할 때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된 도어 록신호(door lock signal)를 도어릴레이(31)의 도어 록 릴레이(31a)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함과 동시에 록 신호(lock signal)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할 때,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된 도어 언록신호(door unlock signal)를 도어릴레이(31)의 도어 언록 릴레이(31b)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함과 동시에 언록신호(unlock signal)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는 차량의 ECU 등에 접속될 수 있고, 이에 차량의 ECU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도어의 록/언록을 결정할 수 있다.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는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록/언록 제어기(40)가 도어 록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신호를 도어릴레이(31)의 도어 록 릴레이(31a)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도어 록 엑츄에이터(35)가 록작동함으로써 도어가 록될 수 있다.(locked) 도어 록/언록 제어기(40)가 도어 언록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언록신호를 도어릴레이(31)의 도어 언록 릴레이(31b)를 통해 도어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도어 록 엑츄에이터(35)가 언록작동함으로써 도어가 언록될 수 있다.(unlocked)
충전리셉터클(13)에는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센터클(13)에 연결되거나 분리된 상태를 센싱하는 제2센서(19)가 장착될 수 있고, 제2센서(19)는 충전제어기(50)에 접속될 수 있다.
충전제어기(50)는 제2센서(19)에 의해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되거나 분리된 상태를 센싱하고, 이렇게 센싱된 충전플러그(15)의 연결상태 또는 분리상태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언록을 결정할 수 있다. 충전제어기(50)는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록제어기(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제어기(50)가 록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신호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할 수 있고, 충전제어기(50)가 언록 신호를 록 제어기(30)에 전송하면 록 제어기(30)는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도어릴레이(31)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함과 더불어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컨대,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의 록작동/언록작동,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언록작동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 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릴레이(31)의 도어 록 릴레이(31a)를 통해 도어 록신호를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함과 더불어 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4)의 폐쇄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 신호에 대응하여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커버(14)의 록돌기(16)에 결합됨으로써 커버(14)가 록될 수 있다(locked).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릴레이(31)의 도어 언록 릴레이(31b)를 통해 도어 언록 신호를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에 전송함과 더불어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14)의 폐쇄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도어 언록 신호에 대응하여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커버(14)의 록돌기(16)에서 분리됨으로써 커버(14)가 언록될 수 있다(unlock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신호/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신호/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컨대,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상태에서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신호/언록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언록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와 무관하게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받은 도어 록신호/도어 언록신호에 의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의 록작동/ 언록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도어를 록/언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 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를 개방하고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의 록 신호에 대응하여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충전플러그(15)의 록홈(15a)에 결합됨으로써 충전플러그(15)가 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로부터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언록 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를 개방하고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의 언록 신호에 대응하여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충전플러그(15)의 록홈(15a)에서 분리됨으로써 충전플러그(15)가 언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1센서(17)가 충전포트(10)의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상태인지 폐쇄한 상태인지를 센싱하고, 이러한 제1센서(17)의 센싱에 의해 록 제어기(30)는 커버(14)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판단한다(S1).
상술한 S1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커버(14)의 폐쇄상태를 판단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한다(S2).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3).
상술한 S3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다(S4).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4)의 폐쇄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한 도어 록신호를 도어릴레이(31)의 도어 록 릴레이(31a)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로 전송함과 더불어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한다. 이때,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이므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커버(14)의 록돌기(16)에 결합됨으로써 커버(14)가 록될 수 있다.
상술한 S3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가 언록작동한다(S8).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4)의 폐쇄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수신한 도어 록신호를 도어릴레이(31)의 도어 언록 릴레이(31b)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35)로 전송함과 더불어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언록 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한다. 이때,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이므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커버(14)의 록돌기(16)에 분리됨으로써 커버(14)가 언록될(unlocked) 수 있다.
상술한 S4단계에서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5).
S5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록 엑츄에이터(20)이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에 인가되는 전류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1설정레벨에 해당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1설정레벨에 해당하지 않으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설정레벨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할 때 록 엑츄에이터(20)에서 검출(피드백)되는 전류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S5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을 재시도(RETRY)한다(S5-1).
상술한 S1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커버(14)의 개방상태를 판단하면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수신한다(S6).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한다(S7).
상술한 S7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충전제어기(50)로부터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가 언록작동한다(S8).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4)의 개방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충전제어기(50)로부터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한다. 이때,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고,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되면 도 4와 같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충전플러그(15)의 록홈(15a)에서 분리됨으로써 충전플러그(15)가 언록될 수 있다.
상술한 S7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다(S4).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14)의 개방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충전제어기(50)로부터 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충전제어기(50)로부터 수신한 록신호를 충전릴레이(32)의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한다. 이때,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고,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충전플러그(15)의 록홈(15a)에 결합됨으로써 충전플러그(15)가 록될 수 있다.
상술한 S8단계에서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9).
S9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에 인가되는 전류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2설정레벨에 해당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2설정레벨에 해당하지 않으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설정레벨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할 때 록 엑츄에이터(20)에서 검출(피드백)되는 전류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S9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을 재시도(RETRY)한다(S9-1).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하고 도어 및 커버(14)가 언록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록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고, 이에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여 커버(14)를 록할 수 있다. 이때,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는 도중에 의도하지 않게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할 때,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함에 따라 록핀(21)이 돌출하고, 이렇게 돌출된 록핀(21)으로 인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하거나 충전플러그(15)가 충전리셉터클(13)에 연결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커버(14)의 폐쇄가 불가능하고, 또한 록 제어기(30)가 도어의 록작동/언록작동과 연동하여 록 엑츄에이터(20)를 제어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도중에 의도치 않게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할 경우,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여 돌출하는 것에 의해 커버(14)의 폐쇄, 충전플러그(15) 및 충전리셉터클(13)의 전기적 연결 등이 불가능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 및 커버(14)에 대한 페일세이프티 기능(fail safety func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커버의 폐쇄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 및 커버(14)의 페일세이프티 로직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록 제어기(30)는 제1센서(17)에 의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1),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것으로 판단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한다(S22).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신호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3), 록 제어기(30)가 도어 록/언록 제어기(40)로부터 도어 록 신호를 수신하면 록 제어기(30)는 도어 록신호에 대응하여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하고, 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가 록 작동한다(S24).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도중에, 록 제어기(30)는 커버(14)의 개방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25).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하는 도중에, 록 제어기(30)는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25단계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도중에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한 것으로 판단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을 즉시 중지하고,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를 언록작동시킨다(S26).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완전히 이동하기 전에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20)로 전송함으로써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중지되고, 록 엑츄에이터(20)가 언록작동한다. 이에 따라,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로 이동함으로써 록핀(21)이 돌출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S26단계에서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27).
S27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에 인가되는 전류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2설정레벨에 해당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2설정레벨에 해당하지 않으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설정레벨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할 때 록 엑츄에이터(20)에서 검출(피드백)되는 전류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S27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을 재시도(RETRY)한다(S27-1).
상술한 S25단계에서,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도중에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28).
S28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록 엑츄에이터(20)이 록작동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에 인가되는 전류의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1설정레벨에 해당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전류의 레벨이 제1설정레벨에 해당하지 않으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설정레벨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에 위치할 때 록 엑츄에이터(20)에서 검출(피드백)되는 전류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S28단계에서, 록 제어기(30)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록 제어기(30)는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을 재시도(RETRY)한다(S28-1).
상술한 페일세이프티 로직에 의해,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록 엑츄에이터(20)가 록작동하는 도중에 커버(14)가 하우징(11)의 개구(12)를 개방하면 록 엑츄에이터(20)의 록핀(21)이 록위치(LP)로 이동함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커버(14)의 개방 시에는 록 엑츄에이터(20)가 언록상태(즉, 록핀(21)이 언록위치(UP)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커버(14)의 폐쇄, 충전플러그(15) 및 충전리셉터클(13)의 전기적 연결 등이 불가능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상술한 도 5의 S5-1단계에 따른 록작동의 재시도(RETRY) 및 도 6의 S28-1단계에 따른 록작동의 재시도(RETRY)에 대한 구체적인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록 제어기(30)가 록신호를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함으로써 록 엑츄에이터(20)는 록 작동시간(predetermined lock operation time period) 동안에 록작동한다(S31). 예컨대, 록 작동시간은 1초일 수 있으며, 록 작동시간은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록 제어기(30)는 설정된 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록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32).
S32단계에서, 설정된 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작동시킨다(S33). 이에 언록신호가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되고, 록 엑츄에이터(20)는 설정된 언록 작동시간(predetermined unlock operation time peroid) 동안에 언록작동한다. 예컨대, 언록 작동시간은 1초일 수 있으며, 언록 작동시간은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록 제어기(30)는 설정된 언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34).
이러한 모니터링 도중에, 언록 작동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즉시 록 제어기(30)는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비작동시키고 충전 록 릴레이(32a)를 작동시키고(S35), 이에 S32단계가 반복된다.
또한, 언록 작동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비작동시키고 충전 록 릴레이(32a)를 작동시키고(S35), 이에 S32단계가 반복된다.
S32단계에서, 설정된 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록 릴레이(32a)를 비작동시킨다(S36).
도 8은 상술한 도 5의 S9-1단계에 따른 언록작동의 재시도(RETRY) 및 도 6의 S27-1단계에 따른 언록작동의 재시도(RETRY)에 대한 구체적인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록 제어기(30)가 언록신호를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함으로써 록 엑츄에이터(20)는 설정된 언록 작동시간(predetermined unlock operation time period) 동안에 언록작동한다(S41). 예컨대, 언록 작동시간은 1초일 수 있으며, 언록 작동시간은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록 제어기(30)는 설정된 언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S42).
S42단계에서, 설정된 언록 작동시간 경과할 때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록 릴레이(32a)를 작동시킨다(S43). 이에 록신호가 충전 록 릴레이(32a)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20)에 전송되고, 록 엑츄에이터(20)는 설정된 록 작동시간(predetermined lock operation time) 동안에 록작동한다. 예컨대, 록 작동시간은 1초일 수 있으며, 록 작동시간은 차량의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록 제어기(30)가 설정된 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한다(S44).
이러한 모니터링 도중에, 설정된 록 작동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그 즉시 록 제어기(30)는 충전 록 릴레이(32a)를 비작동시키고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작동시키고(S45), 이에 S42단계가 반복된다.
또한, 설정된 록 작동시간를 경과할 때까지 록 엑츄에이터(20)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록 릴레이(32a)를 비작동시키고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작동시키고(S45), 이에 S42단계가 반복된다.
S42단계에서, 설정된 언록 작동시간 동안에 록 엑츄에이터(20)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록 제어기(30)는 충전 언록 릴레이(32b)를 비작동시킨다(S46).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충전포트 11: 하우징
12: 개구 13: 충전리셉터클
14: 커버 15: 충전플러그
16: 록돌기 16a: 록홀
17: 제1센서 18: 배터리
20: 록 엑츄에이터 21: 록핀
30: 록 제어기 31: 도어릴레이
31a: 도어 록 릴레이 31b: 도어 언록 릴레이
32: 충전릴레이 32a: 충전 록 릴레이
32b: 충전 언록 릴레이 35: 도어 록 엑츄에이터
40: 도어 록/언록 제어기 50: 충전제어기

Claims (15)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충전리셉터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플러그와, 커버 및 충전플러그를 록 또는 언록하는 록 엑츄에이터를 가진 충전포트;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는 록 제어기(lock controller);
    상기 록 제어기에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door lock/unlock controller); 및
    상기 록 제어기에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충전제어기(charge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커버의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도어 록신호/도어 언록신호 또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록신호/언록신호에 의해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 제어기에는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릴레이와,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릴레이가 접속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릴레이에는 도어를 록 또는 언록하는 도어 록 엑츄에이터가 접속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릴레이는 상기 도어 록 엑츄에이터에 도어 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록 릴레이 및 상기 도어 록 엑츄에이터에 도어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언록 릴레이를 포함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릴레이에는 상기 록 엑츄에이터가 접속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전릴레이는 상기 록 엑츄에이터에 록신호를 출력하는 록 릴레이 및 상기 록 엑츄에이터에 언록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언록 릴레이를 포함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록 제어기는 커버가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도어릴레이를 통해 도어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과 동시에,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 제어기는 커버가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충전제어기로부터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수신하면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충전릴레이를 통해 록 엑츄에이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
  9.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충전리셉터클과, 하우징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충전리셉터클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충전플러그와, 커버 및 충전플러그를 록 또는 언록하는 록 엑츄에이터를 가진 충전포트;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는 록 제어기(lock controller);
    상기 록 제어기에 도어 록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도어 록/언록 제어기(door lock/unlock controller); 및
    상기 록 제어기에 록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전송하는 충전제어기(charge controller);를 포함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커버의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따라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도어 록신호/도어 언록신호 또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록신호/언록신호에 의해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 또는 언록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개방상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개방한 상태이고, 상기 폐쇄상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한 상태인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폐쇄상태이면,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록 신호 또는 도어 언록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록 제어기가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록작동시키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도어 록/언록 제어기로부터 도어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언록작동시키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록 제어기는 록 엑츄에이터의 록작동을 재시도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개방상태이면,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록 신호 또는 언록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록 제어기가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록작동시키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록 제어기는 상기 충전제어기로부터 언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록 제어기는 언록신호를 록 엑츄에이터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록 엑츄에이터를 언록작동시키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록 엑츄에이터의 언록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록 제어기는 록 엑츄에이터의 언록작동을 재시도하는 충전포트 록킹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14484A 2017-09-07 2017-09-07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84A KR102019425B1 (ko) 2017-09-07 2017-09-07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484A KR102019425B1 (ko) 2017-09-07 2017-09-07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56A true KR20190027556A (ko) 2019-03-15
KR102019425B1 KR102019425B1 (ko) 2019-09-06

Family

ID=6576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484A KR102019425B1 (ko) 2017-09-07 2017-09-07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754A (zh) * 2019-03-21 2019-05-17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充电口盖总成结构及其控制方法以及汽车
CN110562332A (zh) * 2019-07-26 2019-12-13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智能化汽车充电口装置
KR20210099414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의 입구 개폐장치
CN113459851A (zh) * 2021-06-30 2021-10-0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充电机器人与车辆识别对接系统及方法
US20220055492A1 (en) * 2019-05-08 2022-02-24 Honda Motor Co., Ltd. Cooperative automotive mobile charging infrastructure
WO2022139266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전기 자동차용 충전구 커버
CN115492474A (zh) * 2022-09-07 2022-12-20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多合一电子锁故障诊断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317B1 (ko) * 2019-10-30 2020-1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전기자동차의 상하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KR20210100889A (ko) 2020-02-07 2021-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4847A (ja) * 2009-05-14 2010-11-25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KR20110035492A (ko) * 2009-09-30 2011-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그 인 충전포트 커버 자동 열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93062A (ja) * 2013-03-28 2014-10-06 Tokai Rika Co Ltd ケーブルロック装置
KR20150044381A (ko) * 2013-10-16 2015-04-24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의 충전구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4847A (ja) * 2009-05-14 2010-11-25 Toyota Motor Corp 電動車両
KR20110035492A (ko) * 2009-09-30 2011-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러그 인 충전포트 커버 자동 열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93062A (ja) * 2013-03-28 2014-10-06 Tokai Rika Co Ltd ケーブルロック装置
KR20150044381A (ko) * 2013-10-16 2015-04-24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의 충전구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754A (zh) * 2019-03-21 2019-05-17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充电口盖总成结构及其控制方法以及汽车
US20220055492A1 (en) * 2019-05-08 2022-02-24 Honda Motor Co., Ltd. Cooperative automotive mobile charging infrastructure
US11945323B2 (en) * 2019-05-08 2024-04-02 Honda Motor Co., Ltd. Cooperative automotive mobile charging infrastructure
CN110562332A (zh) * 2019-07-26 2019-12-13 宁波华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智能化汽车充电口装置
KR20210099414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전기자동차용 충전포트의 입구 개폐장치
WO2022139266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전기 자동차용 충전구 커버
CN113459851A (zh) * 2021-06-30 2021-10-01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充电机器人与车辆识别对接系统及方法
CN115492474A (zh) * 2022-09-07 2022-12-20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多合一电子锁故障诊断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25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7556A (ko) 충전포트 록킹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776521B2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US20210108451A1 (en) Electrical door latch
US8028780B2 (en) Electric vehicle
EP2628621B1 (en)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charger lid
US20150330111A1 (en) Crash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an electronic latch of a motor-vehicle closure device
JP6981237B2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8651875B2 (en) Electromechanical pawl for controlling vehicle charge inlet access
US11358485B2 (en) Vehicle
JP6541713B2 (ja) 車両の電源装置
JP5604449B2 (ja) 自動車用充電装置
JP2010226840A (ja) 車両および充電装置
JP6111500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
JP2012130127A (ja) 電気移動体用充電装置
JP6733311B2 (ja) 車外給電装置
JP2012148598A (ja) 電気自動車
JP5994930B2 (ja) 車両
CN103847709A (zh) 用于阻止车辆同时充电和加注燃料的装置和方法
US20230331080A1 (en) Ope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element
WO2022064065A1 (en) Sliding charging inlet cover
CN106218428A (zh) 车辆的充电控制系统和车辆
GB2540174A (en) A vehicle having a charging system
JP7451302B2 (ja) 充電コネクタ接続判定方法及び充電コネクタ接続判定装置
JP3147203U (ja) 充電スタンド
JP3901598B2 (ja) 電気自動車の外部電力源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