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263A -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263A
KR20190027263A KR1020170114106A KR20170114106A KR20190027263A KR 20190027263 A KR20190027263 A KR 20190027263A KR 1020170114106 A KR1020170114106 A KR 1020170114106A KR 20170114106 A KR20170114106 A KR 20170114106A KR 20190027263 A KR20190027263 A KR 20190027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rincipal component
unknown
principal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972B1 (ko
Inventor
이익재
강창익
양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Priority to KR102017011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CCOMPUTATIONAL CHEMISTRY; CHEMOINFORMATICS; COMPUTATIONAL MATERIALS SCIENCE
    • G16C20/00Chemoinformatics, i.e.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f physicochemical or structural data of chemical particles, elements, compounds or mixtures
    • G16C20/10Analysis or design of chemical reactions, syntheses o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에서 취득한 샘플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에 따라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는 주성분 좌표 및 상기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그룹에 속하는지 판별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설정된 주성분들에 대응하는 주성분 설정 좌표에 대한 상관도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주성분들 중 상기 미지성분 좌표에 대응하는 특정 주성분을 결정하고,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응하는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제거를 위한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산출한 희석배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ODOR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료에서 측정된 샘플 데이터로 시료의 악취 종류 및 악취 종류에 따른 희석배수를 결정하기 용이한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 향상으로 감각공해인 악취에 대한 관심과 민원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악취현황 파악을 위한 악취농도 산출방법이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사항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악취, 냄새가 단일성분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한 가지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복합성분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악취 및 냄새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란 쉽지 않은 과제이며, 가스의 농도 단위인 ppm, ppb 등의 절대량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악취/냄새 시료는 시료를 채취하거나 이동하는 과정 중에 쉽게 변질이 일어날 수 있어, 시료를 현장에서 분석하는 방법의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나 종래의 무취공기를 준비해야하는 과정이나 희석하는 과정 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시료가스 채취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희석하는 과정은 악취분석요원이 수작업으로 진행해야하는 단점과 자동희석장치는 단계별 희석배율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한계성은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료에서 측정된 샘플 데이터로 시료의 악취 종류 및 악취 종류에 따른 희석배수를 결정하기 용이한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은, 시료에서 취득한 샘플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에 따라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는 주성분 좌표 및 상기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그룹에 속하는지 판별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설정된 주성분들에 대응하는 주성분 설정 좌표에 대한 상관도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주성분들 중 상기 미지성분 좌표에 대응하는 특정 주성분을 결정하고,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응하는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제거를 위한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산출한 희석배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성분들은, Indoor, Toluene, H2S, NH3, Methyl Mercaptan, Tri-methylamine, Acetic Acid 및 Formalin 일 수 있다.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단계의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그룹에 속하는지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상기 주성분 설정 좌표 사이에 상기 상관도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인 경우, 상기 주성분 그룹의 중심 좌표와 상기 미지성분 좌표 사이의 거리에 대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이고,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인 경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거리를 가지는지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분석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1개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서로 포함되면,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한 통계 좌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부합되는지 여부를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희석배수 출력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에 따라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매칭되는 상기 특정 주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악취 종류에 따라 상기 시료의 희석 배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시료에서 측정한 샘플 데이터에 따라 시료에서 발생된 악취 종류에 따라 희석 배수를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악취의 종류 및 시료의 처리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상관도분석부의 동작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S230) 단계를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S250) 단계를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측정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냄새 측정 장치(100)는 전자코(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코(110)는 시료에서 풍기는 냄새, 즉 악취 종류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코(110)는 악취 종류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이루어진 샘플 데이터(sdata)를 출력하기 위하여 어레이 형태로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악취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샘플 데이터(sdata)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료에서 풍기는 악취 종류 및 상기 시료의 악취원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악취 종류 및 상기 악취원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외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어부(130)는 주성분분석부(131), 판별분석부(133), 상관도분석부(135), 주성분 결정부(137) 및 처리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주성분분석부(131)는 전자코(110)에서 출력된 샘플 데이터(sdata)를 주성분 분석(Princpal Component analysis: PCA)에 따라 주성분 그룹을 셩성하는 주성분 좌표 및 상기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주성분분석부(131)는 다양한 변수, 즉 샘플 데이터(sdata)에 대해 분석하는 소위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malysis)으로 많은 샘플 데이터(sdata)로부터 주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주성분 분석은 차원축소(dimension reduction)을 위한 것으로, 주성분은 많은 변수들을 설염하는 주된(principal) 성분을 의미하며, technical한 관점에서 변수들의 변동(variation)을 말한다.
예를들어, 주성분분석부(131)는 샘플 데이터(sdata)가 2개의 변수인 경우, 좌표평면(가로축 및 세로축), 즉 2개의 축에 대한 좌표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주성분분석부(131)는 고차원의 변수로 이루어진 샘플 데이터(sdata)를 소수 몇 개의 주성분으로 요약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성분 좌표 및 미지성분 좌표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성분분석부(131)는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서로 연관 가능성이 있는 고차원 공간의 표본들을 선형 연관성이 없는 저차원 공간의 표본으로 변환하기 직교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주성분분석부(131)는 주성분 좌표로 형성된 주성분 그룹 및 상기 주성분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를 형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판별분석부(133)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1개인 경우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상기 주성분 그룹의 중심 좌표 사이의 거리에 대한 분석 데이터(data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일 수 있으며, 1개의 주성분 그룹의 중심 좌표가 복수 개의 미지성분 좌표가 존재할 때, 복수 개의 미지성분 좌표 중 중심 좌표에 가까운지 여부에 따라 주성분 그룹으로 미지성분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판별분석부(133)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인 경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거리를 가지는지 분석한 분석 데이터(data2)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접한 거리는 마할라노비스 거리(Mahalanobis distance)이며, 평균과의 거리가 표준편차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또한, 판별분석부(133)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이고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서로 포함되면,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한 통계 좌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부합되는지 여부를 분석한 분석 데이터(data3)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판별분석부(133)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보다 많은 수인 경우 및 2개보다 많은 수에 미지성분 좌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설명에 따라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상관도분석부(135)는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설정된 주성분들에 대한 주성분 설정 좌표와의 상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성분들은 Indoor, Toluene, H2S, NH3, Methyl Mercaptan, Tri-methylamine, Acetic Acid 및 Formalin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성분들은 악취의 종류, 예를들어 Acetic Acid가 식초 냄새, ri-methylamine가 생선썩는 냄새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관도분석부(135)는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상기 주성분 설정 좌표 각각의 상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상관도분석부의 동작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관도분석부(135)는 주성분들, 예를 들면 Indoor, Toluene, H2S, NH3, Methyl Mercaptan, Tri-methylamine, Acetic Acid 및 Formalin 각각에 대한 주성분 설정 좌표에 대응하는 기본값들과 샘플 데이터(sdata), 즉 주성분들에 대응하여 시료에서 취득한 주성분 좌표에 대한 측정값들 및 미지성분 좌표에 대한 미지성분값(unkown)을 이용하여, 상기 주성분들과 상기 미지성분 좌표 사이의 상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관도분석부(135)는 샘플 데이터(sdata)에서 상기 미지성분 좌표, 즉 미지성분(unkown)이 주성분들 중 어느 것에 가까운지 대응하는 상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주성분 결정부(137)는 판별분석부(133)에서 분석한 분석 데이터(data1 or data2 or data3) 및 상관도분석부(135)에서 분석한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미지성분 좌표에 대응하는 주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성분 결정부(137)는 분석 데이터(data1 or data2 or data3) 및 상관도분석부(135)에서 분석한 상관도가 주성분들, 즉 Indoor, Toluene, H2S, NH3, Methyl Mercaptan, Tri-methylamine, Acetic Acid 및 Formalin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근접한지 확인하고, 주성분들 중 근접한 하나를 특정 주성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139)는 주성분 결정부(137)에서 결정한 특정 주성분 및 주성분 그룹에 대응하는 주성분에 따라 시료의 악취 종류를 결정하며, 상기 악취 종류에 따라 공기 회석 관능법에 준한 희석배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처리부(139)는 상기 악취 종류에 따라 시료의 악취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악취원, 예를 들면 폐수처리, 하수처리, 음식물 쓰레기 및 생활악취 등에 대응하여 설정된 희석배수에 특정 주성분을 추가하여 결과적으로 희석배수 및 악취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139)는 악취 종류 및 악취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상관도 출력 단계를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및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특정 주성분 및 희석배수 단계를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냄새 측정 장치(미도시)는 시료에서 취득한 샘플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에 따라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는 주성분 좌표 및 상기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S210).
즉, 냄새 측정 장치는 냄새, 즉 악취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어레이로 구성된 전자코 센서로부터 시료에서 유발되는 악취에 대응하는 샘플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때, 냄새 측정 장치는 고차원의 샘플 데이터를 저차원의 주성분 좌표 및 미지성분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분석(Princpal Component analysis: PCA)을 통하여 서로 연관 가능성이 있는 고차원 공간의 표본들을 선형 연관성이 없는 저차원 공간의 표본으로 변환하기 직교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좌표로 형성된 주성분 그룹 및 상기 주성분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를 형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좌표 변환 단계(S210)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그룹에 속하는지 판별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설정된 주성분들에 대한 주성분 설정 좌표와의 상관도를 분석하여 출력할 수 있다(S230).
도 4를 참조하면, 냄새 측정 장치는 좌표 변환 단계(S210)에서 출력된 미지성분 좌표 및 주성분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그룹 및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S231).
확인 단계(S231)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그룹 및 미지성분 좌표가 1개가 아니면, 주성분 그룹이 2개이고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인지 확인할 수 있다(S232).
단계 S232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그룹이 2개이고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이고,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주성분 그룹에 포함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233).
또한,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그룹이 2개 및 미지성분 좌표가 1개가 아닌 경우에는 에러 처리 하는 등의 단계로 넘어 갈 수 있다.
즉, 냄새 측정 장치는 주성분 그룹의 개수 및 미지성분 좌표의 위치에 따라 분석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냄새 측정 장치는 단계 S231에서 출력된 상기 주성분 그룹이 1개인 경우,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상기 주성분 그룹의 중심 좌표 사이의 거리에 대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234).
여기서, 상기 거리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일 수 있다.
즉, 상기 거리는 1개의 주성분 그룹의 중심 좌표가 복수 개의 미지성분 좌표가 존재할 때, 복수 개의 미지성분 좌표 중 중심 좌표에 가까운지 여부에 따라 주성분 그룹으로 미지성분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232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단계 S232의 확인 결과,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인 경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거리를 가지는지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236).
즉, 상기 인접한 거리는 마할라노비스 거리(Mahalanobis distance)이며, 평균과의 거리가 표준편차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단계 S233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단계 S232의 확인 결과,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이고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서로 포함되면,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한 통계 좌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부합되는지 여부를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238).
여기서,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보다 많은 수인 경우 및 2개보다 많은 수에 미지성분 좌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설명에 따라 분석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단계 S231로 리턴하며, 주성분 그룹 및 미지성분 좌표를 일대일로 분석하여 단계 S234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단계 S234, S236, 및 S238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설정된 주성분들에 대한 주성분 설정 좌표와의 상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S240).
즉, 상기 주성분들은 Indoor, Toluene, H2S, NH3, Methyl Mercaptan, Tri-methylamine, Acetic Acid 및 Formalin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성분들은 악취의 성격, 예를들어 Acetic Acid가 식초 냄새, ri-methylamine가 생선썩는 냄새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설정 좌표 각각의 상관도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 S230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분석 데이터 및 상관도를 기반으로 특정 주성분 및 희석 배수를 출력할 수 있다(S250).
도 5를 참조하면, 냄새 측정 장치는 단계 S230에서 출력된 분석 데이터 및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주성분들 중 상기 미지성분 좌표에 대응하는 특정 주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S252).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응하는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S254).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악취 종류가 결정되면, 상기 시료의 악취 제거를 위해 공기희석관능법으로 희석 배수를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S256).
즉,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미지성분 좌표에 대응하는 특정 주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들 중 어느 주성분에 대응하는 특정 주성분에 인접한 성분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악취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성분에 따라 고유의 냄새, 즉 악취의 성격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폐수악취, 하수악취, 쓰레기 악취 및 일반 악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후, 냄새 측정 장치는 상기 악취 종류가 결정되면, 악취 종류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제거를 위한 희석 배수를 산출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시료에서 취득한 샘플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에 따라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는 주성분 좌표 및 상기 주성분 그룹을 형성하지 않는 미지성분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그룹에 속하는지 판별 분석하여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설정된 주성분들에 대응하는 주성분 설정 좌표에 대한 상관도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주성분들 중 상기 미지성분 좌표에 대응하는 특정 주성분을 결정하고,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응하는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제거를 위한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산출한 희석배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단계의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상기 주성분 그룹에 속하는지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상기 주성분 설정 좌표 사이에 상기 상관도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인 경우, 상기 주성분 그룹의 중심 좌표와 상기 미지성분 좌표 사이의 거리에 대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이고,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1개인 경우,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거리를 가지는지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데이터 출력 단계는, 상기 주성분 그룹이 2개,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1개 및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서로 포함되면, 2개의 상기 주성분 그룹에 대한 통계 좌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미지성분 좌표가 부합되는지 여부를 분석한 상기 분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배수 출력 단계는,
    상기 분석 데이터 및 상기 상관도에 따라 상기 미지성분 좌표와 매칭되는 상기 특정 주성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성분 및 상기 특정 주성분에 따라 상기 시료의 악취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악취 종류에 따라 상기 시료의 희석 배수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냄새 측정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70114106A 2017-09-06 2017-09-06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88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06A KR101988972B1 (ko) 2017-09-06 2017-09-06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106A KR101988972B1 (ko) 2017-09-06 2017-09-06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263A true KR20190027263A (ko) 2019-03-14
KR101988972B1 KR101988972B1 (ko) 2019-06-13

Family

ID=6575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106A KR101988972B1 (ko) 2017-09-06 2017-09-06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96A (ko) * 2020-12-18 2022-06-27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청주 및 사케의 품질 및 등급 판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447A (ja) * 2002-09-02 2004-03-25 Shimadzu Corp におい測定装置
KR20080017179A (ko) * 2006-08-21 2008-02-26 가부시키가이샤 후타바 에레쿠토로니크스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KR20100068918A (ko) * 2008-12-15 2010-06-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관계수를 이용한 냄새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61773B1 (ko) * 2010-11-04 2011-09-05 안재경 공기희석배수 계산장치 및 그의 계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447A (ja) * 2002-09-02 2004-03-25 Shimadzu Corp におい測定装置
KR20080017179A (ko) * 2006-08-21 2008-02-26 가부시키가이샤 후타바 에레쿠토로니크스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KR20100068918A (ko) * 2008-12-15 2010-06-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관계수를 이용한 냄새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1061773B1 (ko) * 2010-11-04 2011-09-05 안재경 공기희석배수 계산장치 및 그의 계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696A (ko) * 2020-12-18 2022-06-27 롯데칠성음료주식회사 청주 및 사케의 품질 및 등급 판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972B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2720B2 (ja) におい測定装置
US201801202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on of olfactory information capable of calibration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model
CN101470121A (zh) 一种嵌入式仿生嗅觉气味识别方法及装置
JP4951752B2 (ja) 易動度の正規化装置、正規化方法、正規化プログラムおよび自己組織化マップ、並びに、物質の検出方法、検出プログラム、検出ルール生成方法およびデータ構造
KR20220149498A (ko) 분광 정량화를 위한 감소된 오긍정 식별
US11538566B2 (en) Sample analysis with test determination based on identified condition
WO2015151732A1 (ja) 自動分析装置
CN105223240A (zh) 一种利用电子鼻检测蟹新鲜度的方法
KR101510861B1 (ko) 복합 악취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142B1 (ko) 스펙트럼 분석 장치와 방법, 및 혈당 측정 장치
EP1510818A3 (en) Odor discriminating apparatus
CN116985183B (zh) 一种近红外光谱分析仪质量监测管理方法及系统
CN114324218A (zh) 样本纤维蛋白原浓度确定方法、装置、凝血分析仪和介质
KR101988972B1 (ko)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400868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to analyze mass spectra
JP2007248090A (ja) 臨床検査の精度管理システム
EP3968018A1 (en) Sensor for identifying a fluid sample and method for applying a qualification test to such a sensor
KR101886210B1 (ko) 계측기 신뢰성 평가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4013705B2 (ja) におい測定装置
CN115659195B (zh) 一种大气污染在线识别方法
JP2010112709A (ja) におい測定装置
CN114527198A (zh) 聚合物产品气味检测方法、设备和电子鼻系统
US20230280317A1 (en) Data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discriminator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Müller et al. Online scent classification by ion-mobility spectrometry sequences
JP3896928B2 (ja) におい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