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7179A -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7179A
KR20080017179A KR1020060078998A KR20060078998A KR20080017179A KR 20080017179 A KR20080017179 A KR 20080017179A KR 1020060078998 A KR1020060078998 A KR 1020060078998A KR 20060078998 A KR20060078998 A KR 20060078998A KR 20080017179 A KR20080017179 A KR 20080017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measurement
value
sampl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카주 카와모토
타츠오 오카노
타다시 타쿠치
미노루 네기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타바 에레쿠토로니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타바 에레쿠토로니크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타바 에레쿠토로니크스
Priority to KR102006007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7179A/ko
Publication of KR20080017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6Calibrating gas analys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 또는 간이한 순서로,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낼 수 있는 냄새 측정방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종래의 냄새 측정방법에 대신하여,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준비하고, 복수의 측정 샘플마다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質)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며, 복수의 상기 검량선 가운데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냄새, 냄새측정, 냄새평가, 냄새지수, 냄새강도, 냄새의 질

Description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Unit for measurement of odor and Method of measurement of odor and Recording media which store the program for measurement of od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센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센서의 감응특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검량선의 산포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출력의 벡터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의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검량선의 산포 그래프 #1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검량선의 산포 그래프 #2 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의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의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고,
  도 15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강도값-악취성분의 농도 관계그래프이고,
  도 16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강도값-악취지수 관계그래프이고,
  도 17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의 질값-악취성분의 농도 관계그래프이고,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를 이용하는 시스템도이다.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H   측정공간
 F11  출력값 취입기능
 F12  기억기능
 F13  검량선 선택기능
 F14  냄새평가값 도출기능
 F15  측정결과 출력기능
 F21  출력값 취입기능
 F22  냄새강도값 도출기능
 F23  냄새의 질값 도출기능
 F24  기억기능
 F25  검량선 선택기능
 F26  냄새평가값 도출기능
 F27  측정결과 출력기능
 S10  냄새센서 준비공정
 S11  출력값 취입공정
 S12  기억공정
 S13  검량선 선택기능
 S14  냄새평가값 도출공정
 S15  측정결과 출력공정
 S20  냄새센서 준비공정
 S21  출력값 취입공정
 S22  냄새강도값 도출공정
 S23  냄새의 질값 도출공정
 S24  기억공정
 S25  검량선 선택공정
 S26  냄새평가값 도출공정
 S27  측정결과 출력공정
 P   검량선
 Q   가상선
10   냄새 측정장치
 20   PC
 100  냄새센서
 100a  냄새센서 A
 100b  냄새센서 B
 101  감응부
 102  히터
 103  스위칭 소자
 104  부하 저항
 105  전원
 106  히터가열펄스
 107  냄새 측정출력
 200  기체 공급수단
 210  기체 도입수단
 211  시료흡입관
 212  시료밸브
 213  시료도입관
 300  무취가스 공급수단
 310  무취가스 생성수단
 320  무취가스 도입수단
 400  측정챔버(chamber)
 500  기체 배출수단
 501  기체 배출관
 502  배출밸브
 503  기체 배출관
 504  기체 배출펌프
 505  기체 배출관
 600  데이터 처리부
 601  주제어부
 602  펄스 발생부
 603  측정시간 설정타이머
 604  인터페이스부
 605  A/D 변환부
 606  데이터 기억부
 607  데이터 연산부
 608  표시부
본 발명은, 기체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과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특히 측정한 냄새의 강도와 질을 나타내는 순서와 그 구성에 특징이 있는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과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기체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측정장치에는, 냄새센서의 형식에 따라 여러가지 형식의 장치가 있다.
 냄새센서의 형식에는 금속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냄새센서, 합성피막과 수정진동자를 조합한 냄새센서,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냄새센서 등이 있다.
 모두 측정대상의 기체에 포함되는 냄새물질이 감응부에 부착되어, 냄새센서의 물리적 특성이나 화학적 특성이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는 것에 주목하여, 냄새를 측정한다.
 냄새는, 냄새의 강도와 냄새의 종류로 특정된다. 기체의 냄새의 강도와 냄새의 종류란, 특정의 기체의 냄새를 영점으로 하여 표현된다.
 냄새의 종류는 냄새의 질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의 기체는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정도의 약한 냄새를 가지는 공기(이하, 무취공기라고 부른다.)이다.
 대개 무취공기는 활성탄을 통과시킨 공기 또는 표준공기이다.
 표준공기는, 질소와 산소를 공기와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는 인공 공기이다.
예를 들면, 금속산화물 반도체 냄새센서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금속산화물 반도체는 금속산화물을 소재로 한 것인데, 예를 들면 산화주석 또는 산화아연에 적절한 산화 촉매를 혼입한 n형 반도체이다. 산화 촉매의 종류나 작동온도, 다공질 소결구조의 가는 구멍 지름 등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각종의 냄새에 대해 원하는 감응특성을 가지는 냄새센서를 얻을 수 있다.
기체에 포함되는 냄새 물질의 대부분은, 휘발성의 환원성 물질이다.
이 기체의 냄새를 냄새센서로 측정하려면, 이하의 순서로 실시한다.
초기상태는, 표준공기 등의 무취공기를 냄새센서의 감응부에 공급한다. 무취공기에 포함되는 산소가 냄새센서의 감응부의 표면을 산화시켜, 그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내부의 전자를 빼앗는다.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내부에서의 전자가 부족하므로, 금속산화물 반도체는 전기전도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전기저항값이 높아진다.
 냄새물질이 냄새센서의 감응부에 부착하면, 냄새물질이 감응부의 표면의 산소에 전자를 공급하므로, 산소가 빼앗고 있던 전자가 금속산화물 반도체에 돌아와서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내부에서의 전자가 증가해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전기저항값이 낮아진다.
 이 전기전도도 또는 전기저항값의 변동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정량화함으로써, 냄새 측정장치로서 이용한다.
예를 들면, 냄새 측정장치는 냄새센서의 감응부가 노출하고 있는 측정공간을 갖추고 있다. 냄새 측정장치는, 대기와 함께 냄새물질을 에어 펌프로 도관을 통해 흡인하여, 측정 챔버(chamber)의 측정공간으로 이끈다. 냄새 물질을 포함한 기체가 냄새센서의 감응부에 공급되어, 상술한 대로 전자의 이동이 생기므로, 냄새센서로 냄새를 감지할 수가 있다. 냄새센서의 출력을 획득한 후, 냄새 물질을 포함한 가스를 측정공간으로부터 배출한다.
이와 같게 해서 얻은 출력값은, 반드시 종래부터 이용하고 있는 냄새의 강도를 나타내는 냄새 평가값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냄새 측정기로 얻은 결과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냄새센서의 출력값을 냄새평가값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냄새평가값은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정의된 값이다.
 예를 들면, 냄새평가값은 악취농도, 악취지수 또는 냄새성분의 농도 등이다.
 악취농도나 악취지수는 관능시험에 의하여 악취의 강도를 수치화한 것이다.
 악취농도는 악취가 무취의 공기에 확산되어 엷게 되어 있어도 여전히 감지 가능한지를 결정하는 척도이다. 악취를 무취공기로 몇배 희석하면 냄새가 나지 않게 되는지를 관능시험에 의해 결정한다. 악취를 무취의 청정한 공기로 희석하여, 냄새를 느끼지 않게 되었을 때의 희석 배율을 가지고 악취 농도로 한다. 악취농도 1000의 악취란 그 악취를 1000배에 희석했을 때에, 대부분의 사람이 냄새를 느끼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방법으로는 ASTM 주사기법, 올팩트미터법, 센토미터법 등이 있지만, 일본에서는 3점 비교식 취대(臭袋)법이 많은 지방자치체에서 사용된다.
 악취지수는 악취농도를 변환한 척도이며, 아래의 식에서 구해진다.
  악취지수=10×lоg(악취농도)
 악취지수는 인간의 후각의 감각량에 대응하는 척도이다.
 일본에서는 악취에 관련하는 법률, 조례 등에서 악취농도, 악취지수를 냄새의 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냄새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냄새센서의 출력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미리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그 상관관계는 개개의 측정대상 고유의 것임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측정대상마다 상관관계를 알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미리 측정대상을 측정 샘플로 하여 냄새센서로 냄새를 측정해서 출력값을 출력하고, 한편 정해진 순서에 따라 냄새 평가값을 도출한다. 얻어진 출력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선(線)을 검량선으로서 보존한다.
검량선은 냄새센서의 출력값과 냄새평가값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검량선은 출력값과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산포 그래프에서 선으로 나타내진다.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순서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단계 1:미리 측정대상에 관해서 얻어진 검량선을 준비한다.
단계 2:측정대상의 냄새를 냄새센서로 측정한다.
단계 3:냄새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평가값으로 환산한다.
단계 4:얻어진 냄새 평가값을 표시한다.
종래에는, 측정대상이 바뀔 때마다 검량선을 작성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새로운 측정대상을 측정할 때에 측정대상 고유의 검량선을 작성했다.
한편, 발명자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을 수치화하는 수법을 창안하였다.
냄새의 질이란, 방향성 악취(예를 들면, 마늘냄새), 식물성 악취(예를 들면, 목재냄새), 흙냄새, 곰팡이 냄새, 어패류 냄새, 약품성 악취, 금속성 악취, 부패성 악취, 불쾌한 냄새 등이다.
발명자는, 냄새의 질을 수치화한 것을 냄새의 질값이라고 이름 붙였다.
발명자는, 측정대상이 동일하면 냄새의 강도가 변화해도 냄새의 질값은 변화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으로부터, 복수의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이 다르면 냄새의 질값이 다르고, 복수의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이 근사하면 냄새의 질값의 차이가 작다는 것이 예측되었다.
<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3-42988호
  특허문헌 2 :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74494호 >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상기에 기재된 지식을 기본으로 하여 고안된 것으로, 간이한 구성 또는 간이한 순서로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는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과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가지는 냄새 측정장치용 데이터 처리부에,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인 샘플 출력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인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기능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기능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 평가값을 이끌어내는 냄새평가값 도출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냄새센서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기억기능이 복수의 측정 샘플마다 상기 샘플 출력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한다. 검량선 선택기능이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냄새평가값 도출기능이,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낸다. 그 결과,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을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해 얻은 상기 샘플 출력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진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해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어, 복수의 측정 샘플을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해 상기 샘플 출력값을 출력하고,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를 구하며, 상기 샘플 출력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검량선을 근사적으로 얻는다. 그 결과,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간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상기 검량선 선택기능이, 냄새의 질을 분류한 N개의 냄새 그룹에, 상기 냄새 그룹에 속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할당하고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키며,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키고,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그 결과, 복수의 냄새 그룹 중에서 대상물질의 냄새의 질이 속하는 냄새 그룹을 선택하면, 냄새 측정장치는 냄새평가값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장치를,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와 상기에 기재된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내장한 데이터 처리부를 갖춘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냄새센서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에 기재된 기능을 실현하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어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가지는 냄새 측정장치용 데이터 처리부에,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대략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내는 냄새 강도값 도출기능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比)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내는 냄새의 질값 도출기능과,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강도값인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의 질값인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기능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샘플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기능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냄새평가값 도출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냄새센서 A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한다. 냄새센서 B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한다. 냄새강도값 도출기능이,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대략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낸다. 냄새의 질값 도출기능이,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낸다. 기억기능이, 복수의 측정 샘플마다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한다. 검량선 선택기능이,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샘플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냄새평가값 도출기능이,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낸다. 상기 냄새강도값과 냄새의 강도에 상관관계가 있고, 상기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그 결과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냄새강도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다르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서 다르고, 그 결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이 냄새의 질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상기 검량선 선택수단이, 상기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당해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하고 N개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한 상기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상기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하고, 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당해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된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한다. N개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한 상기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그 결과, 측정대상으로부터 직접 도출되는 검량선이 없는 경우에도,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상기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해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진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해 복수의 측정 샘 플을 만들어, 복수의 측정 샘플로부터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을 구하고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를 구하여,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를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검량선을 근사적으로 얻는다. 그 결과,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간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상기 검량선 선택기능이,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기본으로 하여 상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상기 검량선으로 선택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추출한다. 추출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기본으로 하여 상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 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상기 검량선으로 선택한다. 그 결과, 미리 기록된 복수의 검량선으로부터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과 상기 냄새의 질값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다 적절한 검량선을 계산에 의해 만들 수 있어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장치를,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와 상기에 기재된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내장한 데이터 처리부를 갖춘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냄새센서 A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한다. 냄새센서 B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부가 상기에 기재된 기능을 실현하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냄새강도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방법을,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준비하는 냄새센서 준비공정과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를 측정한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인 샘플 출력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인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공정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 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공정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평가값 도출공정을 갖추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냄새센서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복수의 측정 샘플마다 상기 샘플 출력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한다.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한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낸다. 그 결과,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을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해 얻은 상기 샘플 출력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지는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해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고, 복수의 측정 샘플을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하여 상기 샘플 출력값을 구하며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구해서 상기 샘플 출력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검량선을 근사적으로 얻는다. 그 결과,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간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상기 검량선 선택공정이, 냄새의 질을 분류한 N개의 냄새 그룹에 상기 냄새 그룹에 속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할당하고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켜,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키고,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그 결과, 복수의 냄새 그룹 중에서 대상물질의 냄새의 질이 속하는 냄새 그룹을 선택하면, 냄새 측정장치는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방법을,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준비하는 냄새센서 준비공정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내는 냄새강도값 도출공정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도출하는 냄새의 질값 도출공정과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강도값인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의 질값인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공정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공정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냄새평가값 도출공정을 갖추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냄새센서 A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한다. 냄새센서 B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도출한다.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도출한다. 복수의 측정 샘플마다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한다. 복수의 상기 검 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도출한다. 상기 냄새강도값과 냄새의 강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고, 상기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그 결과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냄새강도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다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다르다. 그 결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이 냄새의 질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상기 검량선 선택공정이, 상기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당해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하고 N개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상기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상기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하 고, 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당해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한다. N개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상기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그 결과 측정대상으로부터 직접 도출된 검량선이 없는 경우에도,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상기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강도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지는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해서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고, 복수의 측정 샘플로부터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을 구하며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를 구하여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를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검량선을 근사적으로 얻는다. 그 결과,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간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상기 검량선 선택공정이,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기초로 하여 상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상기 검량선으로 선택한다.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추출한다. 추출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기초로 하여 상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상기 검량선으로 선택한다. 그 결과, 미리 기록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으로부터 상기 샘플냄새의 질값과 상기 냄새의 질값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계산에 의해 만들 수가 있고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에 대하여,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장치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센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센서의 감응특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검량선의 산포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냄새 측정장치가 측정챔버(chamber)를 갖추는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는 1개의 냄새센서를 갖춘다.
 
처음에는, 냄새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냄새 측정장치(10)는 기체의 냄새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냄새센서(100)와 기체 공급수단(200)과 무취가스 공급수단(300)과 측정챔버(400)와 기체 배출수단(500)과 데이터 처리부(600)로 구성된다.
 
냄새센서(100)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센서이다.
냄새센서(100)는, 기체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감응부(101)를 가진다. 감응부(101)는, 예를 들면 금속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된다. 냄새물질이 감응부에 부착하면, 감응부의 전기적 특정(特定)이 냄새물질의 양과 종류에 따라 변화한다.
도 3은, 냄새센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냄새센서(100)는 감응부(101)와 히터(102)와 스위칭 소자(103)와 부하저항(104)과 전원(105)으로 구성된다.
 
감응부(101)는, 기체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감응부(101)는, 예를 들면 촉매가 첨가된 금속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소재의 종류, 촉매의 종류, 구조 등에 따라 냄새를 구성하는 냄새 분자에 대한 감도에 큰 차이가 생긴다.
감응부(101)는, 후술하는 측정챔버(400)에 노출된다.
히터(102)는 감응부(101)를 가열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백금박막이 있다.
감응부(101)와 히터(102)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히터(102)는 통전 되어 발열하고, 감응부(101)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감응부(101)가 금속산화물 반도체인 경우, 소정의 온도는 약 400℃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감응부(101)가 주위 온도 변화나 수분의 존재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적게 되어, 냄새센서의 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감응부(101)에 부착한 냄새 분자를 세정공기로 세정,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히터(102)는 펄스전류가 인가되어, 발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 소자(103)는 히터(102)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자소자이다. 스위칭 소자(103)는, 펄스상(狀)의 히터가열펄스(106)가 입력되어 히터(102)에 펄스상의 전류를 공급한다.
히터가열펄스(106)는, 입력저항을 개입시켜 스위칭 소자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하저항(104)은 감응부(101)에 직렬 접속된 저항회로이다. 부하저항(104)은 저항소자로 구성된 회로이어도 좋고, 저항소자와 콘덴서가 병렬 접속된 회로이어도 좋다.
 
전원(105)이 감응부(101)와 히터(102)로 전류를 공급한다.
냄새측정 출력(107)이, 감응부(101)와 부하저항(104)의 접속점으로부터 출력한다.
휘발성의 환원성 화학물질인 냄새물질이 감응부(101)에 부착하면, 감응부(101)의 산소에 전자를 공급한다. 감응부(101)의 전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감응부의 전기전도도가 높아진다.
복수의 냄새센서(100)의 냄새측정 출력 Vcc를 모니터하면, 냄새물질의 양과 종류를 측정할 수가 있다.
기체 공급수단(200)은, 기체를 감응부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측정챔버(400)가 냄새 측정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기체 공급수단(200)은 기체 도입수단(210)으로 구성된다.
기체 도입수단(210)은 기체를 측정 공간 H에 도입하는 수단이며, 시료흡입관(211)과 시료밸브(212)와 시료도입관(213)으로 구성된다.
시료흡입관(211)은 외부와 시료밸브(212)를 연통(連通)하는 배관이다. 배관은 냄새물질이 부착하기 어려운 소재(예를 들면, PTFE제의 튜브)로 되어있다.
시료밸브(212)는 개폐 가능한 밸브이다. 예를 들어, 시료밸브(212)는 전기신호의 온(ON) 또는 오프(OFF) 신호에 따라 통로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시료도입관(213)은 시료밸브(212)와 측정챔버(400)를 연통하는 배관이다.
따라서, 온 신호를 시료밸브(212)에 주면 시료밸브(212)가 열린 상태가 되어 외부로부터 시료를 측정공간 H에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오프 신호를 시료밸브(212)에 주면 시료밸브(212)가 닫힌 상태가 되어 외부로부터 시료를 측정공간 H에 도입할 수 없게 된다.
무취가스 공급수단(300)은 무취가스를 감응부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측정챔버가 냄새 측정장치에 설치되는 경우, 무취가스 공급수단(300)은 무취가스 생성수단(310)과 무취가스 도입수단(320)으로 구성된다.
무취가스 생성수단(310)은 무취가스를 생성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활성탄이 충전된 케이스이다.
무취가스 도입수단(320)은 세정흡입관(321)과 세정밸브(322)와 세정도입관(323)으로 구성된다.
세정흡입관(321)은 무취가스 생성수단(310)과 세정밸브(322)를 연통하는 배관이다. 
세정밸브(322)는 개폐 가능한 밸브이다. 예를 들어, 세정밸브(322)는 전기신호의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통로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세정도입관(323)은 세정밸브(322)와 측정챔버(400)를 연통하는 배관이다.
따라서, 온 신호를 세정밸브(322)에 주면 세정밸브(322)가 열린 상태가 되어 무취가스를 측정공간 H에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오프 신호를 세정밸브(322)에 주면 세정밸브(322)가 닫힌 상태가 되어 무취가스를 측정공간 H에 도입할 수 없게 된다.
 
측정챔버(400)는 밀폐 가능한 측정공간 H를 가지는 용기형상의 장치이다. 냄새센서(100)의 감응부(101)가 측정공간 H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냄새물질이 섞인 기체를 측정공간 H에 도입하면, 기체가 감응부에 공급되어 냄새물질이 감응부에 부착한다.
 
기체배출수단(500)은 측정챔버(400)로부터 기체를 배출하는 장치이며, 기체배출관(501, 503, 505)과 배출밸브(502)와 기체배출펌프(504)로 구성된다.
기체배출관(501)은 측정챔버(400)와 배출밸브(502)를 연통하는 배관이다.
배출밸브(502)는 개폐 가능한 밸브이다. 예를 들면, 배출밸브(502)는 전기신호의 온 또는 오프 신호에 따라 통로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할 수 있다.
기체배출관(503)은 배출밸브(502)와 기체배출펌프(504)의 입구를 연통하는 배관이다.
기체배출펌프(504)는 측정공간 H로부터 기체를 배출하는 펌프이다. 예를 들 면, 펌프는 팬, 블로어, 다이어프램 펌프 등이다.
기체배출관(505)은 기체배출펌프(504)의 출구와 외부를 연통하는 배관이다.
따라서, 배출밸브(502)에 온 신호를 주어 기체배출펌프(504)를 구동하면, 측정공간 H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데이터 처리부(600)는 냄새센서(100), 기체공급수단(200), 무취가스 공급수단(300) 및 기체배출수단(500)을 제어하여, 기체의 냄새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데이터 처리부(600)는 주제어부(601), 펄스발생부(602), 측정시간 설정타이머(603), 인터페이스부(604), A/D변환부(605), 데이터 기억부(606), 데이터 연산부(607) 및 표시부(608)로 구성된다.
주제어부(601)는 내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여, 펄스발생부(602)와 측정시간 설정타이머(603)와 인터페이스부(604)와 A/D변환부(605)와 데이터 기억부(606)와 데이터 연산부(607)와 표시부(608)를 제어한다.
펄스발생부(602)는 소정의 주기와 펄스수를 가지는 펄스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냄새센서(100)의 스위칭 소자(103)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소정의 주기와 펄스수는 히터(102)의 가열온도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측정시간 설정타이머(603)는 주제어부(601)에 측정을 위한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604)는 주제어부(601)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고, 외부로부터의 신호 또는 데이터를 주제어부(601)에 받아들이기 위한 입출력부이다. 인터페이스부(604)는 예를 들면, 외부의 PC에 연결된다. 냄새센서(100) 냄새 측정출력의 시간변화의 데이터, 냄새의 강도와 냄새의 종류의 측정결과는 인터페이스부(604)를 개입시켜 외부의 PC(20)에 전송된다.
A/D변환부(605)는 냄새센서(100)로부터의 냄새 측정출력을 소정의 타이밍에 받아들이고, 이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주제어부(601)에 보낸다.
데이터 기억부(606)는 주제어부(601)로부터의 지정에 따라, 냄새 측정출력을 기억하는 기기이다.
데이터 연산부(607)는 데이터 기억부(606)에 기록된 냄새측정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 기억부(606)에 보존한다.
표시부(608)는 데이터 기록부(606)에 기록된 냄새평가값 및 냄새의 질을 필요에 따라 표시하는 기기이다. 표시부(608)는 냄새의 강도와 냄새의 종류를 시계열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이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데이터 처리부(600)에 내장된다.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 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 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가지는 냄새 측정장치용 데이터 처리부에, 출력값 취입기능(F11)과 기록기능(F12)과 검량선 선택기능(F13)과 냄새평가값 도출기능(F14)과 측정결과 출력기능(F15)을 실현시킨다.
 
냄새평가값은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정의된 값이다.
예를 들면, 냄새평가값은 냄새물질 농도이다. 냄새물질 농도는 측정대상의 냄새성분의 농도(ppm)이다.
 
예를 들면, 냄새평가값은 악취농도이다. 악취농도는 악취를 무취의 정상적인 공기로 희석하여 냄새를 느끼지 않게 되었을 때의 희석 배율의 값이다. 측정법으로서는 3점 비교식 취대법, ASTM 주사기법, 올팩트미터법, 센토미터법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냄새평가값은 악취지수이다. 악취지수는 악취농도를 아래와 같이 변환한 값이다.
악취지수=10×lоg(악취농도)
예를 들면, 냄새평가값은 악취강도이다. 악취강도는 악취의 감각적 강도를 나타내는 기준값이다. 4 단계, 5 단계, 6 단계, 7 단계, 8 단계 등으로 나타낸다. 6 단계 악취강도 표시법에서는, 아래와 같이 수치화한다.
 0 무취
 1 겨우 감지할 수 있는 냄새
 2 무슨 냄새인지를 아는 약한 냄새
 3 편하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
 4 강한 냄새
 5 강렬한 냄새
출력값 취입기능(F11)은 냄새센서(100)을 구동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시켜 출력값을 획득하는 기능이다.
측정챔버(400)에 무취가스(무취공기)를 도입한다.
냄새센서(100)을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Vz를 획득한다.
측정챔버(400)에 측정대상을 도입한다.
냄새센서(100)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V0를 획득한다.
냄새 측정출력 V0를 냄새 측정출력 Vz를 이용하여 영점보정한다.
즉, 이하의 계산을 한다.
  V=V0-Vz
 V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이다.
출력값 V는 측정대상이 무취일 때 0이 되며, 냄새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큰 값이 된다.
기록기능(F12)은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능이다.
샘플 출력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를 측정한 냄새센서의 출력값이다.
샘플 냄새평가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이다.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샘플 냄새의 질은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이다. 인간의 후각에 의하여 냄새의 질을 판정한다.
냄새의 질은 어떤 냄새인가 하는 언어표현으로 나타내어진다.
데이터 기록부(606)가 복수의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기억한다.
 
냄새의 질은 원취(原臭)가 아직 해명되어 있지 않고 분류도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내가 많은 악취」 「썩은 것 같은 악취」 「꽃과 같은 냄새」 등 「무엇무엇과 같은 냄새」와 같은 언어표현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악취의 냄새의 질은 아래와 같이 분류되고 있다.
  방향성 악취(멜론냄새, 제비꽃냄새, 마늘냄새, 오이냄새 등)
  식물성 악취(조류냄새, 푸른풀냄새, 목재냄새, 해조냄새 등)
  흙냄새, 곰팡이냄새(흙냄새, 누마자와냄새, 곰팡이냄새 등)
  어패류 냄새(생선냄새, 간유냄새, 대합냄새 등)
  약품성 악취(페놀냄새, 타르냄새, 기름냄새, 유지냄새, 파라핀냄새, 황화수소냄새, 염소냄새, 클로로 페놀 냄새 등)
  금속성 악취(철분냄새, 금속냄새 등)
  부패성 악취(주방쓰레기 냄새, 하수 냄새, 돼지우리 냄새, 부패냄새 등)
  불쾌한 냄새(생선냄새, 돼지우리 냄새, 부패냄새 등이 강렬해진 불쾌한 냄새)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을 냄새센서로 측정해 얻은 샘플 출력값과 복수의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진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든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을 측정하여 샘플 출력값을 얻는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이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샘플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구해진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서 가지는 측정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절선(折線)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으로부터 최소 이승법에 의해 구해진 곡 선이어도 좋다. 곡선은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 또는 N차 함수이어도 좋다.
데이터 기록부(606)가 이 검량선을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검량선을 지수함수로 나타내는 경우,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Vs = Ks * eμx
여기서, Vs는 출력값이다. Ks는 계수 1이다. μ는 계수 2이다. x는 냄새평가값이다. 예를 들면, 냄새평가값은 냄새지수 또는 냄새성분의 농도이다.
검량선을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로 근사하면, 지수함수의 계수 Ks,μ를 정하는 것만으로 검량선을 정의할 수 있고, 또 지수곡선이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에 잘 일치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검량선을 다룰 수 있다.
또, 계수 Ks,μ를 정하는 것만으로 검량선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기억부가 적은 용량으로 많은 검량선을 기억할 수 있다.
측정대상이 다르면, 계수 Ks,μ의 값이 다르다.
 
검량선 선택기능(F13)은 복수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 한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하는 기능이다.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을 특정한다. 예를 들면, 인간의 후각에 의해 냄새의 질을 특정한다. 또는, 측정대상의 특징으로부터 경험적으로 냄새의 질을 특정한다.
특정된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을 기억된 것인지로부터 선택한다.
선택된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냄새의 질을 분류한 N개의 냄새 그룹에, 냄새 그룹에 속하는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할당하고 N개의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냄새 그룹을 선택시켜, 선택된 냄새 그룹에 할당된 검량선을 선택해도 좋다.
예를 들면, 냄새 그룹은 「무엇무엇과 같은 냄새」와 같이 언어표현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냄새 그룹명은 방향성 악취, 식물성 악취, 흙냄새, 곰팡이냄새, 어패류냄새, 약품성 악취, 금속성 악취, 부패성 악취, 불쾌한 냄새 등이다.
예를 들면, 냄새 그룹은 냄새성분 물질의 명칭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냄새성분의 명칭은 「메틸멜캅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초산에틸」, 「톨루엔」, 「암모니아」등이다.
예를 들면, 냄새 그룹은 냄새의 질을 대표하는 냄새를 가진 측정대상을 연상하는 용어로 표시되어도 좋다. 측정대상을 연상하는 용어는 「지하 저수조」 「인쇄공장 입구」「인쇄공장 출구」 「도장공장 입구」 「도장공장 출구」 「육(肉) 처리장 입구」 「육(肉) 처리장 중간」 「부엌 쓰레기」 「활성탄 탈취기」 「농업 배수」 「플라스마 탈취기」등이다.
 
데이터 기록부(606)는 복수의 검량선을 복수의 냄새 그룹으로 분류하여 기억한다.
데이터 처리부는, 냄새측정기를 조작하는 조작원에게 냄새 그룹을 선택시킨다.
조작원은 측정대상의 냄새가 속하는 냄새 그룹을 특정한다.
데이터 처리부(600)는 특정된 냄새 그룹에 할당된 검량선을 선택한다.
 
냄새평가값 도출기능(F14)은 선택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센서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기능이다.
냄새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낸다.
예를 들면,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센서의 출력값(전압)으로부터 냄새성분의 농도(ppm) 또는 악취지수를 이끌어낸다.
측정결과 출력기능(F15)은 도출된 냄새평가값을 표시하는 기능이다.
표시부(608)에, 구해진 냄새평가값을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를, 도면을 기초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출력의 벡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검량선의 산포 그래프 # 1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검량선의 산포 그래프 # 2이다.
이하에서는, 냄새 측정장치가 측정챔버를 갖추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냄새센서를 구비한다.
 
냄새평가값의 설명은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에서의 설명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일단, 냄새 측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냄새 측정장치(10)는 기체의 냄새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냄새센서(100)와 기체 공급수단(200)과 무취가스 공급수단(300)과 측정챔버(400)와 기체 배출수단(500)과 데이터 처리부(600)로 구성된다.
 
기체 공급수단(200)과 무취가스 공급수단(300)과 측정챔버(400)와 기체 배출수단(500)과 데이터 처리부(600)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냄새 측정장치의 그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는, 전기적 특성과 냄새물질의 양과 종류와의 상관관계가 다른, 복수의 냄새센서를 가진다.
예를 들면, 냄새센서(100)는 냄새센서 A(100a)와 냄새센서 B(100b)로 구성된다.
 
냄새센서 A(100a)의 감응특성과 냄새센서 B(100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달라도 좋다.
예를 들면, 냄새센서 A(100a)는 분자량이 큰 냄새물질에 대해서 전기적 특성의 변동이 크고, 냄새센서 B(100b)는 분자량이 작은 냄새물질에 대해서 전기적 특성의 변동이 크다.
 
예를 들면, 냄새센서 A(100a)의 감응부(101)는 분자량이 비교적 크고 휘발성이 낮은 중질계의 냄새 분자에 대해서 높은 감도를 가진다. 중질계의 냄새 분자의 대표예는 불포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이다.
예를 들면, 냄새센서 B(100b)의 감응부(101)는 분자량이 비교적 작고 휘발성이 높은 경질계의 냄새 분자에 대해서 높은 감도를 가진다. 경질계의 냄새 분자의 대표예는 알코올이다.
냄새센서 A(100a), 냄새센서 B(100b)의 냄새 측정출력의 조합으로부터, 냄새물질의 양과 냄새물질의 종류를 특정할 수가 있다.
 
개개의 냄새센서 A와 냄새센서 B의 구조는, 제1실시예의 냄새 측정장치에서 설명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냄새센서(100a, 100b)의 냄새 측정출력 Vcc 를 모니터하면, 냄새물질의 양과 종류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하에 그 원리를 설명한다.
악취 및 향기는 일반적으로 단독의 화학물질로 존재하는 것은 보기 드물다. 여러가지의 단독 화학물질이 혼합한 복합적 냄새가 인간의 후각에 자극을 준다. 이 때문에, 인간의 후각에 부여된 감각량과 냄새 측정장치의 출력값 사이의 상관관계는 지극히 복잡한 모습이 된다.
냄새센서의 소자로서 이용하는 금속산화물 반도체는, 양호한 내구성과 후각 사이에 양호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 형식의 냄새센서의 감응특성은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지고 여러 종류의 냄새물질에 반응한다. 또, 촉매와 온도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을 제어하고 다공질인 물리적 형상에 의한 분자량 선택성을 조정하여, 감응특성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냄새물질에 대해서 감응선택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황화수소 등의 유황 화합물, 암모니아, 알코올 등의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것,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기를 가지는 것, 초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 트리니트로아민 등의 아미노기를 가지는 것, 초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결 합을 가지는 것, 톨루엔·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에, 분류가능한 특징적인 감응특성을 가지는 센서 소자를 제작할 수가 있다.
따라서, 냄새센서 소자의 조합과 그 각각의 출력값을 각 종류에 조합한 계산에 의해 냄새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 2개의 냄새센서의 냄새 측정출력 Vcc 를 이용하여 냄새의 강도와 냄새의 종류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출력의 벡터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A0는, 냄새센서(100a)의 출력값 Vcc이다.
Az는, 냄새센서(100a)의 교정값 Vcc이다.
B0는, 냄새센서(100b)의 출력값 Vcc이다.
Bz는, 냄새센서(100b)의 교정값 Vcc이다.
출력값 A0, B0는, 가스를 감응부에 공급했을 때의 냄새 측정출력 Vcc이다.
교정값 Az, Bz는, 무취공기를 감응부에 공급했을 때의 냄새 측정출력 Vcc이다.
벡터도는 중질계에 감도가 높은 냄새센서 A(100a)의 출력값 Vcc를 교정값 Vcc로 교정한 값(A0-Az)을 X축의 요소로 하고, 경질계에 감도가 높은 냄새센서 B(100b)의 출력값 Vcc를 교정값 Vcc로 교정한 값(B0-Bz)을 Y축의 요소로 했을 때에 얻을 수 있는 벡터를 표시한 직교좌표계이다. 이 벡터를 냄새벡터라고 호칭한다.
도 9는, 경질계의 냄새성분이 중질계의 냄새성분보다 많은 냄새 1을 나타내는 냄새벡터와 중질계의 냄새성분이 경질계의 냄새성분보다 많은 냄새 2를 나타내는 냄새벡터를 가리키고 있다.
이 벡터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냄새벡터의 길이를 「냄새강도값」이라고 부르고, 냄새벡터의 기울기 또는 방향을 수치화한 값을 "냄새의 종류"를 나타내는 「냄새의 질값」이라고 부른다.
이 「냄새강도값」과 냄새의 강도 사이의 상관관계와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종류에 대한 상관관계가, 인간의 감도에 근사하고 있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600)를 상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데이터 처리부(600)의 개념도이다.
데이터 처리부(600)의 구성은, 냄새센서 A(100a)와 냄새센서 B(100b)에 대응하여 복수의 A/D변환부(605)를 갖추는 것과, 데이터 처리부에 내장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이 다른 것 외에는 같으므로 다른 점만 설명한다.
A/D변환부(605)는 냄새센서 A(100a)와 냄새센서 B(100b)로부터의 냄새 측정출력을 소정의 타이밍에 획득하고, 이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해서 디지털 데이터 를 주제어부(601)에 보낸다.
데이터 기억부(606)는, 주제어부(601)로부터의 지정에 따라 냄새 측정출력을 기억하는 기기이다.
데이터 연산부(607)는, 데이터 기억부(606)에 기록된 냄새측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술한 냄새벡터를 연산하여 데이터 기억부(606)에 보존한다.
표시부(608)는 데이터 기억부(606)에 기록된 냄새의 강도 및 냄새의 종류를 필요에 따라 표시하는 기기이다. 표시부(608)는 측정대상의 냄새에 대응하는 냄새벡터를 표시하여, 냄새벡터의 길이와 기울기로부터 각각의 냄새의 강도와 냄새의 종류를 시계열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이,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데이터 처리부(600)에 내장된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가지는 냄새 측정장치용 데이터 처리부에, 출력값 취입기능(F21)과 냄새강도값 도출기능(F22)과 냄새의 질값 도출기능(F23)과 기록기능(F24)과 검량선 선택기능(F25)과 냄새평가값 도출기능(F26)과 측정결과 출력기능(F27)을 실현시킨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이 실현되는 기능을 상술한다.
출력값 취입기능(F21)은 냄새센서 A(100a)와 냄새센서 B(100b)를 구동하여, 출력값 A와 출력값 B를 획득하는 기능이다.
측정챔버에 무취가스(무취공기)를 도입한다.
냄새센서 A(100a)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Az 를 획득한다.
냄새센서 B(100b)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Bz 를 획득한다.
측정챔버(400)에 측정대상을 도입한다.
냄새센서 A(100a)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A0를 획득한다.
냄새센서 B(100b)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B0를 획득한다.
냄새 측정출력 A0, B0를 냄새 측정출력 Az, Bz 를 이용하여 영점보정한다.
즉, 이하의 계산을 한다.
 Va=A0-Az
 Vb=B0-Bz
 Va, Vb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이다.
출력값 V는 측정대상이 무취일 때 0이 되어, 냄새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큰 값이 된다.
 
냄새강도값 도출기능(F22)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내는 기능이다.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의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대략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이다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 양쪽 모두의 증감경향에 대략 일치하여 증감해도 좋다.
예를 들면, 출력값 A가 증가하면 냄새강도값이 증가하고, 출력값 A가 감소하면 냄새강도값이 감소한다. 또한 출력값 B가 증가하면 냄새강도값이 증가하고, 출력값 B가 감소하면 냄새강도값이 감소한다.
 
예를 들면,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A의 제곱과 출력값 B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이어도 좋다.
즉,
Figure 112006059475617-PAT00001
 
예를 들면,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의 곱이어도 좋다.
즉,
    냄새강도값=Va×Vb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 중 한쪽의 증감경향에 대략 일치하여 증 감해도 좋다.
출력값 A가 증가하면 냄새강도값이 증가하고, 출력값 A가 감소하면 냄새강도값이 감소한다.
예를 들면,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A이어도 좋다.
즉,
    냄새강도값=Va
출력값 B가 증가하면 냄새강도값이 증가하고, 출력값 B가 감소하면 냄새강도값가 감소한다.
예를 들면, 냄새강도값은 출력값 B이어도 좋다.
즉,
    냄새강도값=Vb
 
냄새의 질값 도출기능(F23)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내는 기능이다. 냄새의 질값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이다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은 출력값 A를 출력값 B로 나눈 값이다.
즉,
    냄새의 질값=출력값 A/출력값 B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은 출력값 B를 출력값 A로 나눈 값이다.
즉,
    냄새의 질값=출력값 B/출력값 A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은 아래의 각도θ이다.
    tanθ=출력값 A/출력값 B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은 아래의 각도θ이다.
    tanθ=출력값 B/출력값 A
 
기억기능(F24)은,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샘플 냄새강도값과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능이다.
샘플 냄새강도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강도값이다.
샘플 냄새평가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이다.
샘플 냄새의 질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값이다.
데이터 기록부(606)가 복수의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기 억한다.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샘플 냄새강도값과 복수의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진 샘플 냄새 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든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을 측정하여 출력값 A와 출력값 B를 측정한다.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샘플 냄새강도값과 샘플 냄새의 질값을 도출한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이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샘플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구해진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서 가지는 측정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절선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으로부터 최소 이승법에 의해 구해진 곡선이어도 좋다. 곡선은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 또는 N차 함수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2점의 측정점을 묶는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이어도 좋다.
데이터 기억부(606)가 이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검량선이, 냄새 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로 나타내어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S= Ks * eμx
여기서, S는 냄새강도값이다. Ks는 계수 1이다. μ는 계수 2이다. x는 냄새평가값이다. 예를 들면, 냄새 평가값은 냄새지수 또는 냄새성분의 농도이다.
검량선을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로 근사하면, 지수함수의 계수 Ks,μ를 정하는 것만으로 검량선을 정의할 수 있고 또 지수 곡선이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에 잘 일치하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검량선을 다룰 수 있다.
또, 계수 Ks,μ를 정하는 것만으로 검량선을 결정할 수 있다.
샘플 냄새의 질값이 다르면, 계수 Ks,μ의 값이 다르다.
 
검량선 선택기능(F25)은, 복수의 검량선 P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한다.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특정한다.
특정된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샘플 냄새의 질값을 데이터 기억부(606)에 기억된 검량선 중에서 선택한다.
선택된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한다.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하고, 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하고 N개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검량선을 선택해도 좋다.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한다.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을 θ로 표시하는 경우, 90도의 수치폭을 30도 단위에 3 분할한다.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한다.
예를 들면, 0~30도의 분할 수치폭에 샘플 냄새의 질값이 15도로 측정된 측정 샘플로부터 얻어진 검량선을 할당한다. 30도~60도의 분할 수치폭에 샘플냄새의 질값이 45도로 측정된 측정 샘플로부터 얻어진 검량선을 할당한다. 60도~90도의 분할 수치폭에 샘플 냄새의 질값이 75도로 측정된 측정 샘플로부터 얻어진 검량선을 할당한다.
N개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포함한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이 40도이었을 경우, 30도~60도의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검량선을 선택한다.
검량선 선택기능(F25)이, 복수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검량선을 기본으로 하여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검량선으로 선택해도 좋다.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낸다.
복수의 검량선 속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보다 작은 가장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값을 찾아낸다. 또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보다 큰 가장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값을 찾아낸다.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2개의 검량선과 2개의 샘플 냄새의 질값로부터, 내삽법에 의해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최적인 가상선을 생성하고 그 가상선을 검량선으로 선택한다.
복수의 검량선 속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보다 작은 또는 큰 가장 근사한 2개의 샘플 냄새의 질값을 찾아낸다.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2개의 검량선과 2개의 샘플 냄새의 질값으로부터, 외부삽입법에 의해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최적인 가상선을 생성하고 그 가상선을 검량선으로 선택한다.
도 11은 샘플 냄새의 질값이 30도인 측정 샘플로부터 얻어진 검량선 P와 샘플 냄새의 질값이 40도인 측정 샘플로부터 얻어진 검량선 P로부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 하여 내삽법에 의해 냄새의 질값이 35도인 가상선 Q를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냄새평가값 도출기능(F26)은, 선택된 검량선 P를 이용해 측정대상의 냄새강 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기능이다.
냄새센서 A의 출력값 A와 냄새센서 B의 출력값 B로부터 냄새강도값을 도출한다.
냄새강도값으로부터 선택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강도값으로부터 냄새성분의 농도(ppm) 또는 악취지수를 도출한다.
측정결과 출력기능(F27)은 도출한 냄새평가값을 표시한다.
표시부(608)에, 구해진 냄새평가값을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을,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제1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냄새센서 준비공정(S10)과 출력값 취입공정(S11)과 기억공정(S12)과 검량선 선택공정(S13)과 냄새평가값 도출공정(S14)과 측정결과 출력공정(S15)으로 구성된다.
 
(냄새센서 준비공정)
냄새센서 준비공정(S10)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냄새센서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출력값 취입공정)
출력값 취입공정(S11)은, 냄새센서에 의해 측정대상을 측정하여 출력값을 획득하는 공정이다.
냄새센서(100)의 감응부에 무취가스(무취공기)를 접촉시킨다.
냄새센서(100)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Vz 를 획득한다.
냄새센서(100)의 감응부에 측정대상을 접촉시킨다.
냄새센서(100)을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V0 를 획득한다.
냄새 측정출력 V0 를 냄새 측정출력 Vz 를 이용하여 영점보정한다.
즉, 이하의 계산을 한다.
  V=V0-Vz
V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이다.
출력값 V는 측정 대상이 무취일 때 0이 되고, 냄새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큰 값이 된다.
 
(기억공정)
기억공정은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 각각에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공정이다.
샘플 출력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를 측정한 냄새센서의 출력값이다.
샘플 냄새평가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이다.
샘플 냄새질은,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이다.
냄새의 질은, 어떤 냄새인가이다.
복수의 샘플 냄새의 질 각각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기억한다. 
냄새의 질에 대한 설명은, 냄새 측정장치에서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해서 얻은 샘플 출력값과 복수의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진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해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든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을 측정하여 샘플 출력값을 얻는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이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샘플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구해진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서 가지는 측정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절선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으로부터 최소 이승법에 의해 구해진 곡선이어도 좋다. 곡선은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 또는 N차함수이어도 좋다.
 
(검량선 선택공정)
검량선 선택공정(S13)은, 복수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하는 공정이다.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을 특정한다.
특정된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을 기억된 것인지로부터 선택한다.
선택된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냄새의 질을 분류한 N개의 냄새 그룹에, 냄새 그룹에 속하는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할당하고 N개의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냄새 그룹을 선택시켜, 선택된 냄새 그룹에 할당된 검량선을 선택하여도 좋다.
냄새 그룹에 대한 설명은, 냄새 측정장치에서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냄새평가값 도출공정)
평가값 도출공정(S14)은, 선택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한 냄새센서의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공정이다.
냄새센서의 출력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도출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센서의 출력값(전압)으로부터, 냄새성분의 농도(ppm) 또는 악취지수를 이끌어낸다.
 
(측정결과 출력공정)
측정결과 출력공정(S15)은 측정한 냄새평가값을 출력하는 공정이다.
구해진 냄새평가값을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을,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의 순서도이다.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방법은,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냄새 측정방법은, 냄새센서 준비공정(S20)과 출력값 취입공정(S21)과 냄새강도값 도출공정(S22)과 냄새의 질값 도출공정(S23)과 기억공정(S24)과 검량선 선택공정(S25)과 냄새평가값 도출공정(S26)과 측정결과 출력공정(S27)으로 구성된다.
 
(냄새센서 준비공정)
냄새센서 준비공정(S20)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준비하는 공정이다.
냄새센서 A는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여,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한다.
냄새센서 B는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여,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한다.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차이가 나도 좋다.
 
(출력값 취입공정)
출력값 취입공정(S21)은 측정대상을 냄새센서 A로 측정해 출력값 A를 획득하고, 측정대상을 냄새센서 B로 측정해 출력값 B를 획득하는 공정이다.
측정챔버에 무취가스(무취공기)를 도입한다.
냄새센서 A(100a)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Az를 획득한다.
냄새센서 B(100b)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Bz를 획득한다.
측정챔버(400)에 측정대상을 도입한다.
냄새센서 A(100a)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A0를 획득한다.
냄새센서 B(100b)를 구동하여, 냄새 측정출력 B0를 획득한다.
냄새 측정출력 A0, B0를 냄새 측정출력 Az, Bz 를 이용하여 영점보정한다.
즉, 아래의 계산을 한다.
  Va=A0-Az
  Vb=B0-Bz
Va, Vb는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이다.
출력값 Va, Vb는 측정대상이 무취일 때 0이 되고, 냄새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큰 값이 된다.
 
(냄새강도값 도출공정)
냄새강도값 도출공정(S22)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내는 공정이다.
출력값 A가 증가하면 냄새강도값이 증가하고, 출력값 A가 감소하면 냄새강도값이 감소한다.
출력값 B가 증가하면 냄새강도값이 증가하고, 출력값 B가 감소하면 냄새강도값이 감소한다.
냄새강도값에 대한 설명은, 제2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에서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냄새의 질값 도출공정)
냄새의 질값 도출공정(S23)은,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내는 공정이다.
냄새의 질값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에서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기억공정)
기억공정(S24)은,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샘플마다 샘플 냄새강도값과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공정이다.
샘플 냄새강도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강도값이다.
샘플 냄새평가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이다.
샘플 냄새의 질값은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값이다.
데이터 기록부(606)가 복수의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기억한다.
검량선이,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냄새강도값과 복수의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진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진 것이어도 좋다.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든다.
복수의 측정 샘플 각각을 측정하여 출력값 A와 출력값 B를 측정한다.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샘플 냄새강도값과 샘플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낸다.
복수의 측정 샘플의 각각으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샘플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구해진 샘플 출력값과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서 가지는 측정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절선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검량선이 복수의 측정점으로부터 최소 이승법에 의해 구해진 곡선이어도 좋다. 곡선은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 또는 N차 함수이어도 좋다.
이 검량선을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검량선을 지수함수로 나타내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검량선 선택공정)
검량선 선택공정(S25)은, 복수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하는 공정이다.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특정한다.
특정된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샘플 냄새의 질값을 데이터 기억부(606)에 기억된 것으로부터 선택한다.
선택된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하여 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샘플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하고 N개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검량선을 선택해도 좋다.
N분할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에서의 설명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검량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검량선을 기본으로 하여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검량선으로 선택해도 좋다.
검량선을 생성하는 순서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것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냄새평가값 도출공정)
냄새평가값 도출공정(S26)은, 선택된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를 이끌어내는 공정이다.
냄새센서 A의 출력값 A와 냄새센서 B의 출력값 B로부터 냄새강도값을 도출한 다.
냄새강도값으로부터 선택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평가값을 구한다.
예를 들면,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강도값으로부터 냄새성분의 농도(ppm) 또는 악취지수를 도출한다.
(측정결과 출력공정)
측정결과 출력공정(S27)은 도출된 냄새평가값을 표시한다.
구해진 냄새평가값을 그래프 또는 수치로 표시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의 운용방법을,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냄새 측정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1) 검량선 데이터의 취득
검량선을 얻기 위하여, 목적으로 하는 냄새를 냄새 측정장치로 실측한다.
냄새 측정장치로 측정한 값을, 냄새 측정장치(10)와의 통신 프로그램을 구비한 PC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단말장치(20)에 전송한다.
(2) 검량선 데이터의 작성
단말장치(20)에서는, 실측값과 실측값을 기본으로 유추되는 값을 검량선의 데이터로서 생성한다.
생성하는 데이터는, 냄새 측정장치로 측정하여 얻은 냄새강도값을 기본으로 유추된다.
생성한 데이터에, 냄새 측정장치로 측정하여 얻은 냄새의 질값의 데이터를 부가한다.
생성한 데이터는, 원 냄새와 소정의 희석율로 희석된 것을 무취라고 판단될 때까지 희석함으로써 얻은 최저 2점의 측정점을 포함한다.
「냄새 명칭」 「희석 배율」 「냄새강도값」 「냄새의 질값」 「악취지수」를 생성된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것들을 집계한 것을 냄새지수 데이터라고 부른다.
냄새지수 데이터는 「측정일」, 「데이터 작성일」의 데이터를 부가하여 냄새데이터 파일로서 단말장치에 기록된다.
 
(3) 검량선 데이터의 등록
단말장치로 관리되고 있는 냄새지수 데이터를, 냄새 측정장치와의 통신 프로그램을 개입시켜 냄새 측정장치에 송신한다.
송신하는 데이터는, 관리되고 있는 냄새지수 데이터로부터 「냄새 명칭」, 「측정일」, 「데이터 작성일」을 키로서 조작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냄새 측정장치는 수신한 냄새지수 데이터를 보존한다.
냄새 측정장치는 냄새지수 데이터를 추가등록할 수 있다.
냄새 측정장치는 초기 상태로 적절한 냄새지수 데이터를 기억부에 보존한다.
예를 들면, 냄새의 질값은 0~30도의 범위에 있는 것을 1 데이터 기정치(旣定 値)로서 냄새 측정장치에 등록한다. 냄새의 질값은 30~60도의 범위에 있는 것을 1 데이터 기정치로서 냄새 측정장치에 등록한다. 냄새의 질값은 60~90도의 범위에 있는 것을 1 데이터 기정치로서 냄새 측정장치에 등록한다.
 
(4) 검량선 데이터의 반영
냄새 측정장치는, 기억부에 등록되어 있는 냄새지수 데이터 중에서 가장 가까운 냄새의 질값에 관련한 검량선을 선택하여, 측정 중의 냄새강도값으로부터 악취지수를 도출한다.
냄새지수는, 선택한 냄새 데이터의 냄새강도값을 기본으로 해서, 측정 중의 냄새강도값의 바로 상위에 등록된 값과 바로 하위에 등록된 값으로부터 직선내삽법에 의해 비례계산을 행하여 구한다.
측정된 악취지수는 냄새 측정장치의 표시기에 표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검증,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강도값-악취성분의 농도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의 질값-냄새성분의 농도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시예와 관련되는 냄새강도값-악취지수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15는 메틸멜캅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초산에틸, 톨루엔, 암모니아의 대표적인 냄새강도값과 냄새성분의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측정결 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각의 냄새성분에 따라 냄새강도값과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른 것이 판명된다.
이 냄새강도값과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곡선이 검량선이다.
도 16은 2개의 냄새센서를 이용하여 냄새의 질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X축으로 출력값을 취하는 냄새센서 A는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에 민감한 반응특성을 가진다.
Y축으로 출력축을 취하는 냄새센서 B는 황화수소, 암모니아, 알코올, 초산, 아세트알데히드, 아민류, 에스테르류 등에 민감한 반응측정을 가진다.
보정한 0점(무취)을 기점으로 하여 각각의 냄새센서의 출력값인 X, Y축에서의 값의 직교좌표 교점을 종점으로 하는 냄새벡터를 형성할 수 있다.
냄새벡터의 길이가 냄새강도값에 상당하고, 냄새벡터의 기울기가 냄새의 질값에 상당한다.
톨루엔 등의 중질 냄새값은 20도 전후로 낮다.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등은 50도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측정대상을 구성하는 냄새성분의 종류와 그 비율에 따라 냄새벡터의 기울기가 다르므로, 냄새의 질값에 의해 냄새의 질의 판별이 가능하다.
이것으로부터, 복수의 검량선을 기억하여 냄새벡터의 기울기를 판별하는 것 에 의해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가까운 냄새의 질값에 관련하는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각종 복합적 냄새에 대한 냄새강도값과 악취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악취를 내는 시설인 지하 저수조, 인쇄공장, 도장공장, 육(肉) 가공처리장, 부엌쓰레기 처리장, 탈취기, 더러워진 연못, 농업배수 등의 악취를 샘플링하여, 악취강도값과 악취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실측에 의해 구하였다.
시설에 따라, 발생하는 복합적 냄새의 구성 화학물질의 종류와 그 구성비가 다르고, 냄새 측정장치에 의해 얻을 수 있던 냄새강도값과 악취지수의 상관관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냄새 측정장치의 기억부에 검량선을 기억하여, 측정시에 냄새강도값을 악취지수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과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100)를 이용하여, 측정 샘플을 이용해 미리 작성한 출력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을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이용해서, 출력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도출하는 것과 같이 했으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 그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또, 측정대상을 희석해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고, 그 측정 샘플을 측정해 얻은 출력값과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측정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하므로,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그것을 몇 개로 희석하는 것으로써 간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키고, 선택된 냄새 그룹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므로, 복수의 냄새 그룹 중에서 대상 물질의 냄새의 질이 속하는 냄새 그룹을 선택하면, 냄새 측정장치는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 검량선을 냄새평가값을 변수로 하는 지수함수로 근사했으므로, 지수함수의 계수 Ks,μ를 정하는 것만으로 검량선을 정의할 수 있고 또 지수곡선이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에 잘 일치하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검량선을 다룰 수 있다.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이용하여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냄새강도값을 구하고, 출력값 A와 출력값 B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냄새의 질값을 구하여, 측점(測点) 샘플을 이용해 미리 작성한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을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 기억하며,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강도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도출하면 냄새강도값과 냄새의 강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고,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를 도출할 수가 있다.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이용하여 출력값 Va와 출력값 Vb로부터 (Va2+Vb2)의 제곱근으로 나타내지는 냄새강도값을 구하고, tanθ=Vb/Va로 나타내지는 냄새의 질값 θ를 구하여 측점 샘플을 이용해 미리 작성한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을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이용하여, 냄새강도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도출하면 냄새강도값과 냄새의 강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고,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또,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이 다른 측정대상에 따라 다르면,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이 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냄새 의 질값과 냄새의 질이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냄새의 질값을 기본으로 하여 검량선을 선택하면, 측정대상에 적절한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질값의 수치폭을 N분할하여, 그 분할 수치폭에 검량선을 할당하고,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검량선을 이용하므로, 측정대상으로부터 직접 도출된 검량선이 없는 경우에도,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 tanθ=Vb/Va로 나타내지는 냄새의 질값 θ의 수치폭 90도를 N분할하여, 그 분할 수치폭에 검량선을 할당하고,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검량선을 이용하므로, 측정대상으로부터 직접 도출된 검량선이 없는 경우에도,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측정대상을 희석하여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고, 측정 샘플을 측정해 얻은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계측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하므로,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그것을 나누어 몇 개로 희석함으로써, 간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 미리 기록된 복수의 검량선으로부터 냄새의 질값끼리의 차분을 이용하여 보다 적절한 검량선을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한 계산으로 만들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1개 또는 2개의 냄새센서를 이용한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과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냄새센서를 이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과 관련되는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과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은, 그 구성에 의하여 이하의 효과를 가진다.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이용하여 측정 샘플을 이용해 미리 작성한 출력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검량선을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검량선을 이용해, 출력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도출하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결과의 출력값으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또, 측정대상을 희석하여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고, 그 측정 샘플을 측정해서 얻은 출력값과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측정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하므로,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그것을 몇 개로 희석하는 것으로써 간 이하게 새로운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키고,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므로, 복수의 냄새 그룹 중에서 대상물질의 냄새의 질이 속하는 냄새 그룹을 선택하면,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다.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이용하여 출력값 A와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을 일치시키는 냄새강도값을 구하고, 출력값 A와 출력값 B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냄새의 질값을 구하며 측점(測点) 샘플을 이용해 미리 작성한 상기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검량선을 상기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이용해서, 상기 냄새강도값으로부터 냄새평가값을 도출하면, 상기 냄새강도값과 냄새의 강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고, 상기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기 검량선을 이용해 측정결과의 출력값로부터 측정대상의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이 다른 측정대상에 따라 다르면, 상기 냄새의 질값과 냄새의 질이 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또, 상기 냄새의 질값의 수치폭을 N분할하고 그 분할 수치폭에 검량선을 할당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므로, 측정대상으로부터 직접 도출된 상기 검량선이 없는 경우에도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측정대상을 희석해 복수의 측정 샘플을 만들고, 측정 샘플을 측정해 얻은 상기 냄새강도값과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계측점으로부터 근사적으로 검량선을 구하므로, 측정대상의 샘플이 1개 있으면 그것을 나누어 여러 종류로 희석하는 것으로써 간이하게 새로운 상기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또, 미리 기록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으로부터 서로의 냄새의 질값과의 차분을 이용하여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내삽법 또는 외부 삽입법에 의한 계산으로 생성하므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대응하여 측정대상에 있어 보다 적절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 또는 간이한 순서로 냄새평가값을 도출할 수 있는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과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가지는 냄새 측정장치용 데이터 처리부에,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인 샘플 출력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인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기능;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진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기능;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냄새평가값 도출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은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을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해 얻은 상기 샘플 출력값과 복수의 상기 측 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지는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 선택기능은 냄새의 질을 분류한 N개의 냄새 그룹에,
    상기 냄새 그룹에 속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검량선을 할당하고;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켜;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되는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장치로서,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와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내장한 데이터 처리부;
    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1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2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3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8.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가지는 냄새 측정장치용 데이터 처리부에,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일치하 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내는 냄새강도값 도출기능;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내는 냄새의 질값 도출기능;과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강도값인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의 질값인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기능;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기능;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냄새평가값 도출기능;
    을 실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 선택기능은 상기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당해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지는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하고;
    N개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상기 분할 수치폭에 할당된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은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상기 샘플 냄새강도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지는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 선택기능은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지는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기본으로 하여 상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상기 검량선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장치로서,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와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 내장한 데이터 처리부;
    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8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9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10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11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은 제12항에서의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장치.
  19.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방법에 있어서,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냄새센서를 준비하는 냄새센서 준비공정;과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인 샘플 출력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 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의 질인 샘플 냄새의 질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공정;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냄새의 질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공정;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냄새를 측정하는 상기 냄새센서의 상기 출력값에 대응하는 냄새평가값을 이끌어내는 평가값 도출공정;
    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은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을 상기 냄새센서로 측정해 얻은 상기 샘플 출력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지는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 선택공정은 냄새의 질을 분류한 N개의 냄새 그룹에,
    상기 냄새 그룹에 속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검량선을 할당하고;
    N개의 상기 냄새 그룹 중에서 하나의 상기 냄새 그룹을 선택시켜;
    선택된 상기 냄새 그룹에 할당되어지는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2. 측정대상의 냄새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의된 냄새평가값을 결정하기 위한 냄새 측정방법에 있어서,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A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A와 냄새의 강도에 대응하는 출력값 B를 출력하는 냄새센서 B를 준비하는 냄새센서 준비공정;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한쪽 또는 양쪽의 증감경향에 일치하는 증감경향을 가지는 값인 냄새강도값을 이끌어내는 냄새강도값 도출공정;과
    상기 출력값 A와 상기 출력값 B로부터 양쪽 값의 비에 대응하는 값인 냄새의 질값을 이끌어내는 냄새의 질값 도출공정;과
    복수의 측정대상의 샘플인 측정 샘플마다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강도값인 샘플 냄새강도값과 상기 측정 샘플의 냄새평가값인 샘플 냄새평가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검량선을 상기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의 질값인 샘플 냄새의 질값에 각각 관련지어 미리 기억하는 기억공정;과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한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검량선 선택공정;과
    선택된 상기 검량선을 이용하여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강도값에 대응하는 냄 새평가값를 이끌어내는 냄새평가값 도출공정;
    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센서 A의 감응특성과 상기 냄새센서 B의 감응특성이 냄새의 질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 선택공정은 상기 냄새의 질값의 임의의 수치폭을 N분할한 각각의 분할 수치폭에,
    당해 분할 수치폭에 포함되는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지는 N개의 검량선을 각각 할당하고;
    N개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을 포함하는 상기 분할 수치폭에 할당되는 상기 검량선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은 측정대상을 다른 배율로 희석하여 얻은 복수의 측정 샘플의 상기 냄새강도값과 복수의 상기 측정 샘플로부터 정의된 순서에 따라 구해지는 상기 샘플 냄새평가값을 요소로 하는 적어도 2개의 측정점을 기초로 하여 근사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검량선 선택공정은 복수의 상기 검량선 중에서 측정대상의 상기 냄새의 질값에 근사하는 복수의 상기 샘플 냄새의 질값에 관련지어지는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상기 검량선을 기본으로 하여 상기 냄새의 질값을 변수로서 내삽법 또는 외부삽입법에 의해 생성된 가상선을 상기 검량선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 측정방법.
KR1020060078998A 2006-08-21 2006-08-21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KR20080017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98A KR20080017179A (ko) 2006-08-21 2006-08-21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98A KR20080017179A (ko) 2006-08-21 2006-08-21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179A true KR20080017179A (ko) 2008-02-26

Family

ID=3938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998A KR20080017179A (ko) 2006-08-21 2006-08-21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71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535B1 (ko) * 2010-09-07 2012-01-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냄새 인식 방법
KR101234724B1 (ko) * 2010-03-02 2013-02-1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악취측정방법 및 악취측정시스템
KR20190027263A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724B1 (ko) * 2010-03-02 2013-02-1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악취측정방법 및 악취측정시스템
KR101110535B1 (ko) * 2010-09-07 2012-01-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 개의 냄새 인식 방법
KR20190027263A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냄새 측정 장치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lgiorno et al. Odour impact assessment handbook
Bourgeois et al. Use of a chemical sensor array for detecting pollutants in domestic wastewater
Hudson et al. Odour sampling. 2. Comparison of physical an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sampling devices: A review
Di Francesco et al. An electronic nose for odour annoyance assessment
US6439026B2 (en) Odor measuring apparatus
Gostelow et al. Sampling for measurement of odours
US10393763B2 (en) Odor discriminating apparatus
Romain et al. Use of a simple tin oxide sensor array to identify five malodours collected in the field
JPH11500821A (ja) 芳香、臭気物質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応用
Stuetz et al. Sewage odour measurements using a sensory panel and an electronic nose
JP2500338B2 (ja) 能動型化学センシング装置
KR20080017179A (ko) 냄새 측정장치와 냄새 측정방법 및 냄새측정용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JP4820659B2 (ja) 匂い弁別方法と匂い測定方法と匂い弁別プログラムと匂い測定プログラムと匂い弁別装置と匂い測定装置
JP2006317254A (ja) 匂い測定装置と匂い測定方法と匂い測定用プログラム
Nicolas et al. The electronic nose as a warning device of the odour emergence in a compost hall
WO2005103662A1 (en) A detector for detecting molecules conveyed through a gaseous medium
Naddeoa et al. Odour measurement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 by a new prototype of e. Nose: Correlation and comparison study with reference to both European and Japanese approaches
CN1070610C (zh) 环境探测器等效电路,测定气味强度的方法及其探测系统
JP2005147793A (ja) 匂い測定装置
JP4562983B2 (ja) 匂い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Gutiérrez et al. Compost pile monitoring using different approaches: GC–MS, E-nose and dynamic olfactometry
Guz et al. Assessment of batch bioreactor odour nuisance using an e-nose
JP4475971B2 (ja) 匂い測定方法及び匂い測定システム
Tsai et al. Single SnO2 gas sensor as a practical tool for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odor control engineering at food waste composting plants
JP2002174569A (ja) 発生源別臭気のモデル用調合対照ガスとその利用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