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000A -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000A
KR20190027000A KR1020170112553A KR20170112553A KR20190027000A KR 20190027000 A KR20190027000 A KR 20190027000A KR 1020170112553 A KR1020170112553 A KR 1020170112553A KR 20170112553 A KR20170112553 A KR 20170112553A KR 20190027000 A KR20190027000 A KR 20190027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ld
cover body
actua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종
Original Assignee
박갑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종 filed Critical 박갑종
Priority to KR102017011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000A/ko
Publication of KR2019002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54Mould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 B29L2031/7472Lampsh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천정 등에 고정 설치되는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 커버체의 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갖는 성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코어에 의해 커버체의 상부에 천정 하부면을 향하는 확장돌출부가 성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코어는 슬라이딩코어와 함께 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커버체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형태의 조명등용 커버체를 생산함에 있어 커버체의 상부에 확장돌출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확장돌출부에 의해 천정 하부면과의 간격이 최소화되므로 점등시 천정 하부면에서의 암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암부 자체가 은폐되는 것이고, 커버체가 천정 하부면에 밀착 설치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천정에 대한 밀착 설치 효과는 물론 조명 본체가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용 커버체를 대량으로 고속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Lighting cover molding device}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천정 등에 고정 설치되는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하여 조명등용 커버체의 상부에 천정 하부면으로 근접되게 하는 확장돌출부가 성형되도록 함에 따라 커버체와 천정 간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암부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밀착 설치 효과를 연출하여 더욱 미려한 상태로 조명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용 커버체는 내부의 광원을 보호하고 상기 광원에 의한 점등 빛이 확산되도록 함에 따라 눈부심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내 전체에 고른 조도를 갖고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조명등용 커버체는 다양한 디자인으로의 사출 성형이 가능한 것으로 조명등에 대한 전체적인 미려함을 연출하는 동시에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고, 아크릴 수지 혹은 유리 등으로 제작하여 고유의 질감을 통해 다양한 장식성을 연출할 수 있는 것으로, 보편적으로는 유백색의 반투명 아크릴 수지를 주로 이용한다.
상기의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는 투명성이 좋은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빛 특히 자외선을 보통 유리보다 쉽게 통과시키는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이고,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내광성이 양호하며 폴리스티렌과 달리 가열하고 구부리는 등 세공이 용이한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내후성과 전기 절연성 및 내수성이 매우 뛰어나고 유리 무게의 절반밖에 되지 않으므로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난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어 이와 같은 아크릴 수지는 조명등의 커버체는 물론 각종 조명기구의 투광성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크릴 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커버체는 통상적으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실내를 향하는 저면부(101)와, 상기 직각 혹은 곡면으로 된 측면부(102) 또는 테두리부 및 천정을 향하는 상면부(10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상면부(103)의 중앙에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조명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장착연결부(1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커버체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로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아크릴 수지판(200)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진 하부금형(210)과, 상기 아크릴 수지판(200)의 상측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상부금형(2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의 하부금형(210)은 가열수단 및 고온의 열기를 토출시키는 온풍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상부금형(220)에는 미세한 흡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금형(210)에 대하여 상부금형(220)을 형합시킨 상태에서, 하부금형(210)으로부터 고온의 열기를 토출시키고 상부금형(220)으로부터 금형 내부의 공기를 흡입 및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아크릴 수지판(200)은 상부금형(220)의 내부 형상을 따라 변형 및 성형되도록 한 블로우 몰딩 성형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명등용 커버체의 성형장치는 등록특허 제10-0227694호와 같이 내부가 밀폐되어 기밀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챔버 내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니플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몸체와 일체로 하부금형이 고착되어 있고, 하부금형의 원주상에 오링이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중간금형이 위치하되 하부금형과 금형몸체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흡입공 다수 개를 형성시키고 위치하되, 하부금형과 절곡부와 정면부의 중간 1/3 및 2/3지점에도 흡입공을 형성시켜 조명등용 커버 제조용 금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블로우 성형하되 블로우잉 함과 동시에 금형내의 공기를 흡입공을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미리 연화된 판상수지원료가 금형 절곡부 및 요철부에 먼저 블로우 성형 되고 나머지부분이 나중에 성형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두께의 조명등용 커버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조명등용 커버 제조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실용신안 제20-0255886호와 같이 상부금형과 중간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구성된 전등갓의 압형 제조금형에 있어서, 하부금형의 가장자리에 실링을 형성하여 중간금형과의 상하 밀착성으로 기밀성을 높게 유지하고, 중간금형의 수직형 실링을 장착하여 좌우 밀착으로 기밀성을 더 높게 유지하며, 실링이 형성된 하부금형의 외주위에는 복수개의 받침핀을 스프링으로 설치하여 받침핀에 의하여 중간금형이 약간 들린 상태에서 접촉 동작하여 실링의 마찰 마모를 억제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실링의 사용수명이 그만큼 연장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실링에 의한 금형의 기밀성이 높게 되어 합성수지 판 소재의 압형 굴곡이 확실한 고품질의 전등갓을 다량으로 압형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전등갓 제조금형의 기밀장치가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483971호의 경우 전등갓이 균일한 두께로 성형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등갓 성형 시 불량(터짐)이 발생하거나 취약한 부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빛의 투과율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경제적으로 전등갓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등갓 성형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를 통해 만들어지는 조명등용 커버체는 모두 동일한 디자인으로만 제작되는 것으로 기존의 커버체 성형장치는 상기 조명등용 커버체를 보다 빠르고 쉽게 혹은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며 생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커버체가 갖고 있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통상의 커버체를 천정에 고정된 상태의 조명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커버체의 상부면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천정 하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실내측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기존의 커버체는 상단에 장착연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장착연결부를 이용하여 고정본체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상기의 장착연결부의 높이에 해당되는 간격만큼 천정 하부면과 커버체 상부면 간의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천정 하부면과 커버체 간의 간격으로 인해 기존의 조명등은 천정에 밀착 설치되지 못하고 실내측으로 내려온 형태를 연출하기 때문에 조명등의 설치부 주변에는 그늘진 암부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고, 실내 커버체의 상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쌓이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며, 천정 하부면과의 밀착감있는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27694호 (1999.08.05.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55886호 (2001.11.19.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83971호 (2005. 04. 08.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조명등 커버체의 측부를 성형하기 위한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갖는 성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승강코어에 의해 커버체의 상부에 천정 하부면을 향하는 확장돌출부가 성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코어는 슬라이딩코어와 함께 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커버체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상기의 커버체로 인해 천정 하부면과의 간격이 최소화되므로 암부 발생의 억제는 물론 더욱 미려한 설치 상태가 연출되도록 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치본체에는 가열수단 및 온풍수단이 구비된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측으로부터 상,하 승강되는 상부금형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사이에 투입되는 커버소재가 이들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에 의한 블로우 몰딩 성형 방식에 의해 조명등용 커버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의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슬라이딩코어를 장착하고, 상기 슬라이딩코어의 상측에는 상부금형의 저면에 밀착되게 한 승강코어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승강코어의 내측에는 돌출성형홈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의 돌출성형홈은 상부금형의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성형홈과 연속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및 승강코어에 의해 성형된 커버체의 상측에는 천정하부면을 향하는 확장돌출부가 상향 돌출 형태로 성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 및 형태의 조명등용 커버체를 생산함에 있어 커버체의 상부에 확장돌출부가 일체로 성형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확장돌출부에 의해 천정 하부면과의 간격이 최소화되므로 점등시 천정 하부면에서의 암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은 물론 암부 자체가 은폐되는 것이고, 커버체가 천정 하부면에 밀착 설치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천정에 대한 밀착 설치 효과는 물론 조명 본체가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용 커버체를 대량으로 고속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조명등용 커버체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커버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조명등용 커버체를 이용한 천정등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작동 설명도로서,
도 7은 하부금형 상에 아크릴시트를 안치시킨 작업 준비 상태도
도 8은 상부금형의 하강 상태도
도 9는 블로워 몰딩에 의한 커버체 성형 상태도
도 10은 슬라이딩코어 후퇴 작동 상태도
도 11은 승강코어 하강 작동 상태도
도 12는 슬라이딩코어 및 승강코어의 후퇴 상태도
도 13은 커버체 취출 및 상부금형 상승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장치에 의한 커버체가 작용된 천정등 설치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버체 성형장치는 하부금형(10)이 상부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장치본체(A)와, 상기 장치본체(A)의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복수 개의 가이드관(a)(a')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상부금형(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의 상부금형(20) 하측으로는 좌,우로 분할 배치된 슬라이딩코어(40)(40')와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의 내측에 좌,우 분할 배치된 승강코어(50)(50')에 의해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치본체(A)의 내부에는 통상적인 블로우 몰딩 성형장치와 같이 열풍공급장치 및 가열장치 등이 내장되어 상기 하부금형(10)을 가열시킴과 동시에 고온의 열기를 토출시켜 하부금형(10) 상에 올려지는 아크릴 소재 등으로 된 커버소재(30)를 가열시켜 유연화시키는 것이고, 유연 상태의 커버소재(30) 하측으로부터 고온의 공기를 토출시켜 상부금형(20)의 커버성형홈(21)의 형상에 따라 커버소재가 밀착 성형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금형(20)은 전기한 바와 같이 하향 개방 형태로 된 커버성형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금형(20)의 저면에 밀착되는 승강코어(50)(50')에는 상기 커버성형홈(21)으로부터 연속되는 형태의 돌출성형홈(5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커버성형홈(21)과 돌출성형홈(51)(51')에 의해 만들어지는 커버체(31)에는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측에 천정하부면을 향하는 확장돌출부(32)가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관(a)(a')의 선단에는 고정판(60)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판(60)의 중앙부에는 제1엑츄에이터(22)가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1엑츄에이터(22)의 작동으로 인해 상부금형(20)이 고정판(60)의 하부에서 상,하로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60)의 양측부에는 제2엑츄에이터(23)가 하향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엑츄에이터(23)에는 내측에 상부금형(20)이 수용되도록 한 상부안내판(7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제2엑츄에이터(23)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부안내판(70) 역시 상,하로 승강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상부안내판(70)의 저면에는 전기한 승강코어(50)(50')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상부안내판(7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수직 결합되어 있는 제3엑츄에이터(24)(24')에는 상기 승강코어(50)(5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엑츄에이터(24)(24')가 작동되면 상기의 승강코어(50)(50')는 상부금형(20)의 저면에 밀착되거나 상부금형(2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는 형태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승강코어(50)(50') 하측에는 전기한 슬라이딩코어(40)(40')가 밀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슬라이딩코어(40)(40')는 일측 끝단에 장착되어 있는 제4엑츄에이터(25)(25')에 의해 횡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유동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의 하부에 밀착 형성되어 있는 하부안내판(80)은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의 횡방향 유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하부안내판(80)은 제4엑츄에이터(25)(25')의 작동으로 인해 슬라이딩코어(40)(40')가 후퇴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면 슬라이딩코어(40)(40')와 함께 후퇴 이동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안내판(80)이 유동함에 동시에 상기의 승강코어(50)(50') 역시 유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하부안내판(80)에는 슬롯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공(81)의 내측으로는 슬라이딩코어(40)(4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걸림핀(41)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는 걸림핀(41)이 슬롯공(81)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딩코어(40)(40')만 단독으로 유동되는 것이고, 걸림핀(41)이 슬롯공(81)의 끝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코어(40)(40')와 함께 하부안내판(80)이 함께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안내판(80)의 양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승강코어(50)(50')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한 안내돌출구(8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코어(50)(50')의 측부에는 상기 안내돌출구(82)의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한 간섭돌부(52)(5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승강코어(50)(50')는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시에는 하부안내판(80)과 전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하부안내판(80)이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는 안내돌출구(82) 및 간섭돌부(52)(52')에 의해 하부안내판(80)과 승강코어(50)(50')가 동시에 횡방향 유동하는 결합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안내판(80)의 안내돌출구(82) 선단은 전기한 상부안내판(70)의 측단면에 계지되도록 함에 따라 결국 상기의 하부안내판(80)은 상부안내판(70)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횡방향으로의 유동만 가능한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엑츄에이터(22)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20)이 승강되는 것이고, 제2엑츄에이터(23)에 의해서는 상부안내판(70) 및 승강코어(50)(50')와 슬라이딩코어(40)(40')가 동시에 승강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며, 제3엑츄에이터(24)(24')에 의해서는 승강코어(50)(50')에 대한 단독으로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고, 제4엑츄에이터(25)(25')에 의해서는 슬라이딩코어(40)(40')와 승강코어(50)(50') 및 하부안내판(80)의 순차 횡방향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커버체 성형장치에 대한 작동 및 성형 순서를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도시와 같이 가열상태인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아크릴 판재 등으로 된 커버소재(30)를 올려놓은 후, 도 8의 도시와 같이 제1엑츄에이터(22) 및 제2엑츄에이터(23)를 작동시켜 상부금형(20)과 슬라이딩코어(40)(40') 및 승강코어(50)(5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금형(20)의 커버성형홈(21)과 승강코어(50)(50')의 돌출성형홈(51)(51')은 상부금형(20)과 승강코어(50)(50')의 상호 면접으로 인해 연속된 상태인 것이고, 승강코어(50)(50') 하측의 슬라이딩코어(40)(40')는 하부금형(10) 상측의 커버소재(30)를 가압하는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엑츄에이터(22)와 제2엑츄에이터(23)는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한 경우 제2엑츄에이터(23)의 선행 하강 후 제1엑츄에이터(22)에 의한 상부금형(20)의 후행 하강이 이루어져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하 금형의 상호 형합 상태에서 하부금형(10)으로부터 고온의 공기를 토출시키게 되면 연화 상태의 커버소재(30)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승강코어(50)(50')의 내측 형상 및 상부금형(20)의 커버성형홈(21)의 형상에 따라 내벽에 밀착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버체(31)이 성형이 이루어지면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제4엑츄에이터(25)(25')를 작동시켜 슬라이딩코어(40)(40')를 후퇴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가 후퇴하여 승강코어(50)(50')의 하측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순간 센서수단 등을 이용하여 제3엑츄에이터(24)(24')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며, 제3엑츄에이터(24)(24')의 작동으로 인해 승강코어(50)(50')는 도 11의 도시와 같이 슬라이딩코어(40)(40')가 위치하고 있던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어, 상기 승강코어(50)(50')가 하강됨에 따라 승강코어(50)(50')의 돌출성형홈(51)(51')에 의해 성형되어 있던 커버체(31)의 확장돌출부(32)는 상기 돌출성형홈(51)(5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고, 상호 분리에 의해 상기의 승강코어(50)(50')는 커버체(31)와의 간섭없이 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4엑츄에이터(25)(25')의 계속적인 작동으로 인해 슬라이딩코어(40)(40')의 걸림핀(41)과 하부안내판(80)의 슬롯공(81)이 간섭되면서 하부안내판(80)이 후퇴하게 되는 것이고, 도 12의 도시와 같이 하부안내판(80)의 후퇴와 동시에 승강코어(50)(50') 역시 후퇴하면서 성형된 커버체(31)의 하부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엑츄에이터(22) 및 제2엑츄에이터(23)의 작동을 통해 상부금형(20) 및 슬라이딩코어(40)(40')와 승강코어(50)(50')를 상승시키게 되면 도 13의 도시와 같이 성형 상태의 커버체(31)는 이들 금형 및 코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서 하부금형(10)의 상부로 낙하되거나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금형 및 코어로부터 분리 및 취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금형 및 코어에 의한 유기적인 작동 구조를 통해 커버체(31)를 생산한 후 하강 상태인 승강코어(50)(50')는 제3엑츄에이터(24)(24')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2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다시 승강될 것이고, 후퇴되었던 슬라이딩코어(40)(40') 역시 제4엑츄에이터(25)(25')에 의해 전진하여 본래의 위치 및 형태로 복귀되면서 새로운 커버체(31)를 생산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생산된 커버체(31)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커버체(31)의 상측에 천정하부면을 향하는 확장돌출부(32)가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기 확장돌출부(32)에 의해 커버체(31)와 천정하부면 간의 간격을 제거하는 동시에 기존의 조명본체가 노출되는 것을 은폐시킬 수 있는 것이고, 커버체(31)와 천정 간의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조명등의 외장 및 설치 상태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커버체 성형장치 및 성형금형으로는 상기의 확장돌출부(32)를 성형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본 발명의 성형장치를 통해 상기 확장돌출부(32)를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커버체(31)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 : 장치본체
a,a' : 가이드관
10 : 하부금형
20 : 상부금형 21 : 커버성형홈
22 : 제1엑츄에이터 23 : 제2엑츄에이터
24,24' : 제3엑츄에이터 25,25' : 제4엑츄에이터
30 : 커버소재 31 : 커버체
32 : 확장돌출부
40,40' : 슬라이딩코어 41 : 걸림핀
50,50' : 승강코어 51,51' : 돌출성형홈
52,52' : 간섭돌부
60 : 고정판
70 : 상부안내판
80 : 하부안내판 81 : 슬롯공
82 : 안내돌출구

Claims (4)

  1. 장치본체(A)에는 가열수단 및 온풍수단이 구비된 하부금형(10)과, 상기 하부금형(10)의 상측으로부터 상,하 승강되는 상부금형(2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의 사이에 투입되는 커버소재(30)가 이들 하부금형(10) 및 상부금형(20)에 의한 블로우 몰딩 성형 방식에 의해 조명등용 커버체(31)로 성형되도록 하는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20)의 하측에는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슬라이딩코어(40)(40')를 장착하고,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의 상측에는 상부금형(20)의 저면에 밀착되게 한 승강코어(50)(5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승강코어(50)(50')의 내측에는 돌출성형홈(51)(5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의 돌출성형홈(51)(51')은 상부금형(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성형홈(21)과 연속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금형(10)과 상부금형(20) 및 승강코어(50)(50')에 의해 성형된 커버체(31)의 상측에는 천정하부면을 향하는 확장돌출부(32)가 상향 돌출 형태로 성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장치본체(A)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관(a)(a')이 수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a)(a')의 선단에는 고정판(60)이 결합 형성되며, 상기 장치본체(A)의 상부에는 하부금형(10)이 안치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60)의 하측에는 제1엑츄에이터(22)에 결합된 상부금형(20)이 위치되게 하되,
    상기 고정판(60)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금형(20)이 내측으로 수용되는 동시에 고정판(60)에 장착된 제2엑츄에이터(23)에 의해 승강되는 상부안내판(70)이 위치되고, 상부안내판(70)의 하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에 장착되는 제3엑츄에이터(24)(24')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의 저면에는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하부안내판(80)이 결합 형성되고, 상기 승강코어(50)(50')에는 상부안내판(70)을 따라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한 제4엑츄에이터(25)(25')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3엑츄에이터(24)(24')에 의한 슬라이딩코어(40)(40')의 후퇴 및 제4엑츄에이터(25)(25')에 의한 승강코어(50)(50')의 하강과 제3엑츄에이터(24)(24')의 지속적인 후퇴 작동으로 인한 슬라이딩코어(40)(40')와 승강코어(50)(50')의 후퇴 작용으로 인해 상기 상부금형(20) 및 승강코어(50)(50') 내의 커버체(31)가 금형 및 코어로부터 분리 및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슬라이딩코어(40)(40')의 저면에는 걸림핀(4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부안내판(80)에는 상기 걸림핀(41)이 수용되게 한 슬롯공(81)을 형성하여, 상기 제3엑츄에이터(24)(24')의 작동시 걸림핀(41)이 슬롯공(8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슬라이딩코어(40)(40')만 유동되고 상기 제3엑츄에이터(24)(24')의 작동시 걸림핀(41)이 슬롯공(81)의 끝단과 간섭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코어(40)(40') 및 하부안내판(80)이 함께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하부안내판(80)의 양측단에는 승강코어(50)(50')의 측단부에 위치하는 안내돌출구(82)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코어(50)(50')의 양측 끝단면에는 상기 안내돌출구(82)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간섭돌부(52)(52')를 돌출 형성하여, 이들 안내돌출구(82)와 간섭돌부(52)(52')의 상호 계지에 의해 상기 승강코어(50)(50')는 상,하로의 자유로운 승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하부안내판(80)의 유동시 승강코어(50)(50')가 함께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KR1020170112553A 2017-09-04 2017-09-04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KR20190027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53A KR20190027000A (ko) 2017-09-04 2017-09-04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553A KR20190027000A (ko) 2017-09-04 2017-09-04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000A true KR20190027000A (ko) 2019-03-14

Family

ID=6575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553A KR20190027000A (ko) 2017-09-04 2017-09-04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0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92B1 (ko) 2022-05-25 2022-11-23 박갑종 블로우 성형에 의한 비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92B1 (ko) 2022-05-25 2022-11-23 박갑종 블로우 성형에 의한 비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94670A1 (zh) 一种ffu led龙骨洁净灯及其加工工艺
CN102192412A (zh) 反射式led照明灯
KR20190027000A (ko) 승강코어 및 슬라이딩코어를 이용한 조명등용 커버체 성형장치
KR100933296B1 (ko) 절곡형 다면체로 된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조명커버
CN104696836A (zh) 一种吹塑led格栅灯
KR100483971B1 (ko) 전등갓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N203477931U (zh) Led灯泡结构
KR100996166B1 (ko) 광확산 폴리카보네이트용 브로아 타입의 사출금형과 사출방법
US3207892A (en) Hollow body exhibiting light effects
KR102253803B1 (ko) 사출 블로우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갓등 제조방법
CN107726068A (zh) 一种可调型户外全彩led贴片灯组及其生产工艺
CN204554576U (zh) 一种吹塑led格栅灯
KR102469092B1 (ko) 블로우 성형에 의한 비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CN207316774U (zh) 光线可调型户外全彩led贴片灯组
KR100800952B1 (ko) 도로 반사경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N219074324U (zh) 一种用于灯具配件生产的压铸模具
KR101852345B1 (ko) 유리 코팅 제작 방법
CN104989973A (zh) 一种led灯管
KR200401996Y1 (ko) 전등갓 성형장치
CN108386741B (zh) 一体化光学灯杯的制作方法及使用该光学灯杯的led灯
CN107701946A (zh) 一种全泡led灯及其制作方法
CN212954841U (zh) 一种基于路灯玻璃灯罩生产用成型装置
CN1842675A (zh) 照明设备
CN213704343U (zh) 一种灯罩成型设备
CN209495210U (zh) 一种便于安装的led洗墙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