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782A - 작업물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물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782A
KR20190025782A KR1020170111734A KR20170111734A KR20190025782A KR 20190025782 A KR20190025782 A KR 20190025782A KR 1020170111734 A KR1020170111734 A KR 1020170111734A KR 20170111734 A KR20170111734 A KR 20170111734A KR 20190025782 A KR20190025782 A KR 2019002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work
gripping
clamping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서
Original Assignee
구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서 filed Critical 구경서
Priority to KR102017011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5782A/ko
Priority to PCT/KR2018/005775 priority patent/WO2018216980A1/ko
Publication of KR2019002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24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clamping or contracting means acting transversely on the handle or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물이 삽입되는 작업물본체; 상기 작업물본체에 결합되고, 파지물이 삽입되는 파지물본체; 상기 작업물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본체에 삽입된 작업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물본체에는 상기 작업물이 삽입되기 위한 작업물삽입홈, 및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삽입되는 작업물제한홈이 형성된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물 클램핑장치{Apparatus for Clamping Working Device}
본 발명은 붓, 칼, 스크래퍼 등과 같은 작업물 및 막대기와 같은 파지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자동차, 선박 등을 도색하는 작업, 벽에 벽지를 붙이는 작업, 페인트나 광택제 등을 벗겨내는 작업 등에는 붓, 칼, 스크래퍼 등과 같은 작업물이 이용된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높은 천장, 틈새 등과 같이 손이 닿는 범위를 벗어난 이탈범위에 위치하는 곳에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막대기 등과 같은 파지물에 상기 작업물을 연결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끈, 철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작업물을 파지물에 묶어서 고정시킨 후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종래에는 작업물을 파지물에 묶는 고정부재가 느슨해지면, 파지물에 대해 작업물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물을 정확한 작업위치에 위치시킬 수 없으므로,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종래에는 고정부재가 느슨해지거나 끊어지면, 작업물이 파지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작업을 중단하고 작업물을 파지물에 다시 고정시킨 후 작업을 재개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을 더 연장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파지물에 연결된 작업물이 움직임에 따라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물 클램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물이 파지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는 작업물 클램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는 작업물이 삽입되는 작업물본체; 상기 작업물본체에 결합되고, 파지물이 삽입되는 파지물본체; 상기 작업물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본체에 삽입된 작업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에는 상기 작업물이 삽입되기 위한 작업물삽입홈, 및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삽입되는 작업물제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물을 파지물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파지물로부터 작업물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물을 파지물에 재결합시키는 과정을 생략시켜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작업물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가압부 및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삽입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인출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연결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작업물이 결합되어서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제1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제1패드부가 가압면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접촉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걸림부 및 가공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체결부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틸팅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이물질제거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제2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톱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I-I선을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파지물본체에 대해 작업물본체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상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회전부재 및 파지물회전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평면도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회전돌출부재 및 회전삽입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연결홈이 제1단변면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Ⅱ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작업물톱니부가 타면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Ⅲ-Ⅲ을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파지물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고정삽입공 및 고정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 26의 Ⅳ-Ⅳ를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고정와셔 및 파지물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26의 Ⅳ-Ⅳ를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서 제한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 26의 Ⅳ-Ⅳ를 기준으로 한 개략적인 부분확대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작업물제한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작업물제한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안전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건축물, 자동차, 선박 등을 도색하는 작업, 벽에 벽지를 붙이는 작업, 페인트나 광택제 등을 벗겨내는 작업 등에 이용되는 붓, 칼, 스크래퍼 등과 같은 작업물(100)을 막대기 등과 같은 파지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물(100)이 삽입되는 작업물본체(2), 파지물(미도시)이 삽입되는 파지물본체(3),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4), 및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보다 직경이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높은 천장, 틈새 등과 같이 작업자의 손이 닿는 범위를 벗어난 이탈범위에 위치하는 곳에 도색작업, 벽지작업, 페인트나 광택제를 벗겨내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일측에 작업물(100)을 결합시키고 타측에 파지물을 결합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이탈범위에 위치하는 곳에 대한 작업들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상기 작업물(1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 또는 작업물본체(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삽입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고, 상기 체결부(4)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100)의 일측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작업물(100)의 타측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은 상기 가압부(5)와 상기 작업물본체(2)의 사이에 위치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에 비해 직경이 크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접촉면적이 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에는 기둥, 막대기 등과 같은 파지물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은 상기 파지물본체(3)에 형성된 파지물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체결부(4)가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에 비해 상기 가압부(3)가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에 대한 상기 가압부(3)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작업물(100)에 대한 상기 가압부(3)의 가압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파지물에 연결된 작업물(1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가압부(3)가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작업물본체(2)로부터 상기 작업물(1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로부터 작업물(1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재결합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작업물본체(2), 상기 파지물본체(3), 상기 체결부(4), 및 상기 가압부(5)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작업물본체(2)는 작업물(100)이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업물은 붓, 칼, 스크래퍼 등일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상기 작업물(1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상기 작업물(100)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측에는 상기 작업물(100)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업물(100)이 붓일 경우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붓의 손잡이 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측에는 붓의 털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는 상기 작업물(100)이 삽입될 수 있으면, 원기둥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 등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상기 파지물본체(3) 및 상기 체결부(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상기 작업물(100)이 삽입되기 위한 작업물삽입홈(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상기 작업물(10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어 상기 작업물(10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는 제1단변면(21), 제1장변면(22), 제2장변면(23), 일면(24) 및 타면(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변면(21), 상기 제1장변면(22), 상기 제2장변면(23), 상기 일면(24) 및 상기 타면(25)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파지물(미도시)이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물은 기둥, 막대기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물체일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볼트결합, 접착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작업물본체(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상기 작업물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후술할 회전부를 통해서 상기 작업물본체(2)에 간접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본체(3)에 상기 파지물이 결합되면, 작업자는 상기 파지물을 잡고 상기 이탈범위에 위치하는 곳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은 상기 파지물본체(3)의 비어 있는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상기 파지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지물의 직경 또는 크기와 동일한 직경 또는 크기로 형성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본체(3)에 상기 파지물이 삽입되면, 상기 파지물본체(3)는 상기 파지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재질 등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되는 체결부(4) 및 가압부(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체결부(4) 및 상기 가압부(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후술할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와 상기 체결부(4)가 결합되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4)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체결부(4)는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3에 도시됨) 또는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 도 3에 도시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체결부(4)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체결부(4)가 상기 작업물본체(2)로부터 이격되는 이격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작업자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작업자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작업자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4)에는 상기 가압부(5)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틸팅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홈(41)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회전하면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전체적으로 종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되어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5)는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가압부(5)의 직경(L2)은 상기 체결부(4)의 직경(L1)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보다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접촉면적이 크면,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체결부(4)가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100)에 대한 가압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은 직경이 상기 체결부(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체결부(4)가 회전하여도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된 경우, 상기 체결부(4)의 회전에도 상기 가압부(5)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에 스크래치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단변면(21, 도 5에 도시됨)은 단변이 형성된 면이다. 상기 단변은 상기 작업물본체(2)를 구성하는 변 중 하나로, 길이가 짧은 변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단변면(21)은 상기 작업물본체(2)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물본체(3)가 결합되는 작업물본체(2)의 면과 반대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단변면(21)에는 작업물삽입홈(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변면(22, 도 5에 도시됨)은 장변이 형성된 면이다. 상기 장변은 상기 작업물본체(2)를 구성하는 변 중 하나로, 상기 단변에 비해 긴 길이를 갖는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장변면(22)은 상기 제1단변면(21) 및 상기 일면(24) 각각에 대해 수직한 면이다. 상기 제1장변면(22)에는 작업물삽입홈(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변면(23, 도 6에 도시됨)은 상기 제1장변면(22)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면이다. 상기 제2장변면(23)은 상기 제1장변면(2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장변면(23)과 상기 제1장변면(22) 사이에는 상기 제1단변면(21)과 상기 일면(24)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장변면(23)과 상기 제1장변면(22) 사이에는 작업물삽입홈(6)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일면(24, 도 6에 도시됨)은 상기 제1단변면(21), 상기 제1장변면(22) 및 상기 제2장변면(23) 각각에 대해 수직한 면이다. 상기 일면(24)에는 후술할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체결부(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면(25, 도 7에 도시됨)은 상기 일면(24)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면이다. 상기 타면(25)은 상기 일면(24)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면(25)과 상기 일면(24) 사이에는 상기 제1단변면(21), 상기 제1장변면(22), 상기 제2장변면(23) 및 작업물삽입홈(6)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타면(25)에는 후술할 가공홀 및 이물질제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물삽입홈(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작업물(100)이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작업물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작업물본체(2)의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제1단변면(21) 및 상기 제1장변면(22)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이 상기 제1단변면(21)에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제1단변면(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이 상기 제1장변면(22)에 형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제1장변면(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제1단변면(21) 및 상기 제1장변면(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삽입홈(6)은 상기 제1단변면(21) 및 상기 제1장변면(2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을 통해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시키거나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물인출홈(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인출홈(7)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의 일부를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업물인출홈(7)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인출홈(7)은 상기 제2장변면(2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작업물삽입홈(6)을 통해 삽입된 작업물(100)은 일부가 상기 작업물인출홈(7)을 통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의 길이가 상기 작업물본체(2)의 길이보다 길 경우, 상기 작업물인출홈(7)을 통해 상기 작업물(100)의 일부를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의 길이에 제한없이 상기 작업물(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가 상기 체결부(4)를 2개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체결부(4)를 3개 또는 그 이상 포함하여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가 상기 체결부(4)를 3개 포함할 경우, 상기 체결부(4)들 중 가운데 위치한 체결부(4)에 결합된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가압부(5)가 접촉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100)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부(4)를 회전시켜서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가압부(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물연결홈(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제1장변면(22)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제1장변면(22)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제1장변면(22)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서 상기 제1단변면(21)을 향하는 쪽이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타측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서 상기 파지물본체(3)를 향하는 쪽이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은 상기 가압부(5)에 접촉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이 형성된 상기 작업물본체(2)는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작업물(100)이 회전될 수 있으면 사각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연결홈(8)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연결홈(8)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작게 형성시킨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회전되는 회전각도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 뿐만 아니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은 천장에 대해서도 페인트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제1패드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도록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패드부(9)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압부(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부(9)는 원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패드부(9)는 직경이 상기 가압부(5)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4)에 의해 상기 가압부(5)가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어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제1패드부(9)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가압부(5)에 비해 마찰계수가 더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패드부(9)는 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가압부(5)에 비해 마찰계수가 큰 상기 제1패드부(9)를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시켜 가압시킴으로써,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시키는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을 작업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가압부(5)의 가압면(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게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면(51)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상기 가압부(5)의 면이다.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가압면(51)과 상기 체결부(4)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가압부(5)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1패드부(9)는 도 9에 도시된 제1패드부(9)에 비해 상기 가압부(5)에서 상기 작업물(100)을 향하는 방향. 즉,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패드부(9)는 상기 가압면(51)과 함께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가압면(51)과 상기 제1패드부(9)를 함께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시켜서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압부(5)만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시키는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돌출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0)는 원반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는 직경(L3, 도 11에 도시됨)이 상기 가압부(5)의 직경(L2)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0)는 상기 가압부(5)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는 볼트결합, 접착결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돌출부(10)가 상기 가압부(5)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가압부(5)만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가압부(5)만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시키는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돌출부(10)는 상기 가압부(5)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작업물(100)에 대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10)는 고무,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걸림부(11), 삽입공(12) 및 가공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체결부(4)로부터 상기 가압부(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가압부(5)가 갖는 관통공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된 가압부(5)가 상기 체결부(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부(4)의 일단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4)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체결부(4)가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한 체결부(4)에 상기 가압부(5)가 결합된 후에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2)은 상기 체결부(4)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공(12)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2)은 상기 일면(2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2)에 상기 체결부(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2)이 위치하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삽입공(12)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공홀(13)은 상기 걸림부(11)를 가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공홀(13)은 상기 일면(24)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되는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홀(13)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타면(25)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공홀(13)은 상기 삽입공(12)에 중첩되도록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공홀(13)과 상기 삽입공(12)은 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자가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에서 상기 가공홀(13)을 통해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된 체결부(4)를 가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공은 리베팅(Rivet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부(4)로부터 상기 가압부(5)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다른 가공법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에서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체결부(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4)를 가공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걸림부(11)에 대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가공홀(13)은 상기 체결부(4)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너트부재(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4)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너트부재(14)는 상기 일면(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4)는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4)는 상기 일면(24)에 결합되어서 상기 체결부(4)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4)는 상기 작업물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너트부재(14)는 상기 작업물본체(2)를 형성하는 금형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금형에 주물을 부어 굳힘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를 형성한 후에 상기 너트부재(14)를 삽입시키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4)는 체결공(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4)는 상기 체결공(141)이 상기 가공홀(13)에 중첩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41)은 상기 체결부(4)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공(141)은 상기 너트부재(1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41)은 상기 체결부(4)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141)이 형성되는 상기 너트부재(14)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체결공(14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4)는 상기 체결공(141)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압부(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체결부(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5)를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어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5)를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는 상기 작업물(100)이 회전되거나 상기 작업물본체(2)로부터 상기 작업물(100)이 이격되도록 상기 작업물(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너트부재(14)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4)를 상기 작업물본체(2)에 체결시킴으로써,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작업물본체(2)에 상기 체결부(4)가 체결되는 경우에 비해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틸팅홈(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홈(41)은 상기 체결부(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틸팅홈(41)은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된 가압부(5)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부(4)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의 내측은 상기 체결부(4)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5)는 상기 틸팅홈(41)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의 관통공은 상기 틸팅홈(41)에 위치된 체결부(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홈(41)은 상기 가압부(5)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5)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틸팅홈(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4)에 결합된 결합부분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가압부(5)가 접촉되는 작업물(100)의 표면이 평면, 경사면, 곡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작업물(100)에 용이하게 접촉되어 상기 작업물(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이물질제거홀(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홀(15)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물질은 먼지,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100)을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파편, 작업 간에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는 페인트, 광택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홀(15)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홀(15)은 상기 타면(25)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상기 작업물본체(2)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면 상기 제1단변면(21), 상기 제1장변면(22), 상기 제2장변면(23) 및 상기 일면(2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상기 이물질제거홀(15)을 통해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물본체(2) 내부에 있는 이물질로 인해 페인트 작업이 이루어지는 천장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제2패드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타면(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면(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작업물(100)이 삽입되면 상기 작업물(100)의 타측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100)의 일측은 상기 타측에 반대되는 쪽이다. 상기 작업물(100)의 일측은 상기 체결부(4)에 의해 상기 가압부(5)가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부(5)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전체적으로 직방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지지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타면(25)에 비해 마찰계수가 더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패드부(16)는 고무 또는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타면(25)에 비해 마찰계수가 큰 상기 제2패드부(16)를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타면(25)에 상기 작업물(100)을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패드부(16)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돌출패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패드부재는 상기 제2패드부(1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패드부재는 상기 제2패드부(16)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패드부재는 상기 제2패드부(16)로부터 상기 일면(24) 쪽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패드부(16)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패드부재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100)에는 상기 돌출패드부재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은 상기 돌출패드부재가 없는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패드부재는 복수개가 상기 제2패드부(16)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물톱니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도록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평면으로 형성된 타면(25)에 비해 마찰계수가 큰 톱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타면(25)에서 상기 일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타면(25)에서 상기 일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타면(25)에 홈을 파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작업물본체(2)를 형성하는 금형에 상기 톱니형태를 형성시켜서 상기 작업물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타면(25)에 작업물톱니부(17)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타면(25)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마찰계수를 크게 하여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회전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8)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대해 상기 작업물본체(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부(18)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대해 상기 파지물본체(3)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18)는 상기 작업물본체(2)와 상기 파지물본체(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와 상기 파지물본체(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본체(2)는 상기 회전부(18)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본체(2)와 상기 파지물본체(3)가 이루는 각도는 작아지거나 커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18)는 작업물회전부재(181), 파지물회전부재(182), 작업물회전너트(183), 파지물회전너트(184) 및 회전체결부재(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일측이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일측이 상기 제1단변면(21)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작업물본체(2)의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볼트결합, 접착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타측이 상기 회전체결부재(185)에 의해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전체적으로 원반과 직방체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서 직방체로 형성된 쪽이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서 원반형태로 형성된 쪽이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상기 작업물본체(2)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는 회전돌출부재(18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대해 상기 작업물본체(2)가 회전되는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접촉되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의 내면에서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의 내면에서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위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가 갖는 회전삽입홈(18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가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와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삽입홈(18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는 복수개가 원반형태로 형성된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 내면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삽입홈(1821)도 복수개가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본체(3)에 대해 상기 작업물본체(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은 회전되기 전에 삽입되었던 회전삽입홈(1821)들이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된 회전삽입홈(1821)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에 대해 상기 작업물본체(2)가 상기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은 회전되기 전에 삽입되었던 회전삽입홈(1821)들에 다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일측이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일측이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가 결합된 작업물본체(2)의 면에 대해 대향되게 배치된 상기 파지물본체(3)의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볼트결합, 접착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타측이 상기 회전체결부재(185)에 의해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전체적으로 원반과 직방체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서 직방체로 형성된 쪽이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서 원반형태로 형성된 쪽이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상기 파지물본체(3)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는 회전삽입홈(18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삽입홈(1821)은 상기 파지물본체(3)에 대해 상기 작업물본체(2)가 회전되는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삽입홈(1821)은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접촉되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의 내면에서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삽입홈(1821)은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의 내면에서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삽입홈(1821)은 위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삽입홈(1821)에는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삽입홈(1821)은 복수개가 원반형태로 형성된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 내면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삽입홈(1821)들은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와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가 결합되면,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은 각각 상기 회전삽입홈(1821)들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을 상기 회전삽입홈(1821)들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을 다른 위치에 있는 상기 회전삽입홈(1821)들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와 상기 파지물본체(3)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를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삽입되도록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의 원반형태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은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돌출부재(1811)들은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가 체결될 수 있는 작업물회전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체결공이 위치되는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에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는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를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에 체결시킬 수 있으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를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삽입되도록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의 원반형태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삽입홈(1821)들은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삽입홈(1821)들은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가 체결될 수 있는 파지물회전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체결공이 위치되는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는 상기 회전체결부재(185)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파지물회전체결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는 강성을 위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를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에 체결시킬 수 있으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 및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 및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 및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와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체결공에 삽입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파지물회전체결공에 삽입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에서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 방향으로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 및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 순차적으로 각각 체결될 수 있으나,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와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를 결합시킬 수 있으면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에서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 방향으로 상기 파지물회전너트(184) 및 상기 작업물회전너트(183)에 순차적으로 각각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비형태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회전부(18)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물본체(2) 및 상기 파지물본체(3)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작업물(100)과 상기 파지물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천장이나 틈새에 대해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가 결합되는 작업물본체(2)의 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회전부재(181)가 결합되는 작업물본체(2)의 면은 상기 작업물본체(2)에서 상기 파지물본체(3) 방향으로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가 상기 회전체결부재(185)의 손잡이에 간섭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가 결합되는 파지물본체(3)의 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회전부재(182)가 결합되는 파지물본체(3)의 면은 상기 파지물본체(3)에서 상기 작업물본체(2) 방향으로 향할수록 크기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가 상기 회전체결부재(185)의 손잡이에 간섭되는 것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회전체결부재(185)를 회전시켜서 상기 작업물본체(2)와 상기 파지물본체(3)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이 상기 제1단변면(21)에 형성될 경우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단변면(2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은 상기 작업물연결홈(8)을 통해 상기 제1장변면(22)이나 상기 제2장변면(23) 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제1단변면(21)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제1단변면(21)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타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은 상기 제1단변면(21)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이 상기 제1단변면(21)에 형성될 경우,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서 상기 제1장변면(22)을 향하는 쪽이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타측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서 상기 제2장변면(23)을 향하는 쪽이다.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과 타측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은 상기 가압부(5)에 접촉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연결홈(8)이 형성된 상기 작업물본체(2)는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작업물(100)이 회전될 수 있으면 사각형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연결홈(8)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회전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연결홈(8)의 크기를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작게 형성시킨 경우에 비해,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회전되는 회전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회전시킨 후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천장 뿐만 아니라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은 천장에 대해서도 페인트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이 상기 제1단변면(21)에 형성될 경우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에 접촉되도록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평면으로 형성된 타면(25)에 비해 마찰계수가 큰 톱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타면(25)에서 상기 일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타면(25)에서 상기 일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타면(25)에 홈을 파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작업물본체(2)를 형성하는 금형에 상기 작업물톱니부(17)를 형성시켜서 상기 작업물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타면(25)에 상기 작업물톱니부(17)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타면(25)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마찰계수를 크게 하여 상기 작업물본체(2)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작업물(100)을 상기 작업물본체(2)에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파지물고정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19)는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물고정부(19)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19)는 상기 파지물본체(3)가 갖는 공간에 파지물이 삽입되면,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고정부(19)가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파지물본체(3)로부터 상기 파지물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파지물이 파지물본체(3)로부터 이격되어서 파지물을 파지물본체(3)에 재결합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물이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에 대한 정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19)는 고정삽입공(191), 고정너트(192) 및 파지물고정부재(1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은 상기 파지물본체(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은 상기 파지물본체(3)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파지물본체(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의 내부는 상기 파지물이 삽입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된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본체(3)의 타측에 결합된 고정너트(19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상기 파지물본체(3)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은 후술할 고정와셔(194)가 삽입될 경우,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의 직경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삽입공(191)은 상기 삽입공(12)들과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삽입되어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본체(3)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삽입공(191)과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체결 시 회전되지 않도록 중공의 팔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너트(192)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본체(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너트(192)는 상기 파지물본체(3)를 성형하는 금형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금형에 주물을 부어 굳힘으로써, 상기 파지물본체(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본체(3)를 형성한 후에 상기 고정너트(192)를 삽입시키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192)는 너트공(1921) 및 나사산(19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공(1921)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너트공(1921)은 상기 고정너트(19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공(1921)은 상기 고정삽입공(191)과 중첩되도록 상기 고정너트(19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된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너트공(19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너트공(1921)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1922)은 상기 너트공(1921)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너트(19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1922)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갖는 나사산이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나사산(1922)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상기 고정너트(192)로부터 쉽게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너트(192)로부터 상기 너트공(192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삽입된 파지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너트(19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이 갖는 연결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공은 상기 파지물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파지물이 삽입되면, 상기 고정삽입공(191) 및 상기 연결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고정너트(19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이 상기 파지물본체(3)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된 후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너트공(19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너트공(19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작업자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너트(19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작업자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제2방향(S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너트(19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너트(192)에 체결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너트(192)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파지물체결부재(1931), 파지물지지부재(1932) 및 파지물고정헤드(19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고하면,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상기 고정너트(192)에 체결된다.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의 일측 끝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상기 고정너트(192)가 갖는 나사산(1922)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상기 너트공(1021)에 삽입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나사산(1922)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나사산(192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상기 파지물본체(3)가 갖는 두께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파지물본체(3)의 두께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본체(3)의 두께는 상기 고정너트(192)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직경이 상기 너트공(192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는 상기 너트공(1921)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너트(192)에 체결되면, 상기 고정너트(192)에 지지되어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일측이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에 결합된다.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타측이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와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상기 파지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상기 파지물이 갖는 연결공에 삽입되면, 대부분이 상기 연결공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상기 파지물본체(3)가 갖는 공간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서 상기 파지물을 지지할 수 있으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공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는 상기 고정삽입공(191) 또는 후술할 고정와셔(194)가 갖는 와셔공(194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상기 파지물본체(3) 또는 고정와셔(194)에 지지되어 상기 파지물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의 직경은 상기 고정삽입공(191)의 직경 또는 상기 와셔공(194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는 상기 파지물본체(3) 또는 상기 고정와셔(194)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작업 간에 발생하는 진동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는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에 결합된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는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를 기준으로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와 반대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는 접착결합, 용접결합 등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 및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는 전체적으로 팔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33)는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 및 상기 파지물체결부재(193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는 제한면(19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19331, 도 29에 도시됨)은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가 상기 파지물본체(3)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한면(19331)은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의 일면은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에서 상기 파지물본체(3)에 가깝게 위치한 면이다. 상기 제한면(19331)은 상기 고정삽입공(191) 및 상기 와셔공(1941) 각각이 갖는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면(19331)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되면, 상기 파지물본체(3) 및 상기 고정와셔(194) 중 적어도 한 곳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면(19331)은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가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 쪽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19331)은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파지물본체(3)에 접촉된 상태에서 쉽게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파지물고정헤드(1933)보다 마찰계수가 더 큰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한면(19331)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시키면,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상기 제한면(19331)에 의해 쉽게 회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간에 상기 파지물본체(3)로부터 상기 파지물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로부터 상기 파지물본체(3)가 이격되어서 상기 파지물본체(3)가 작업자 쪽으로 낙하됨에 따라 작업자가 다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고정와셔(19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되어서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후술할 와셔공(194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와셔(19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본체(3)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본체(3)의 타측에 결합된 상기 고정너트(192)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파지물본체(3)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본체(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본체(3)를 성형하는 금형에 미리 설치되고 상기 금형에 주물을 부어 굳힘으로써, 상기 파지물본체(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파지물본체(3)를 형성한 후에 상기 고정와셔(194)를 상기 고정삽입공(191)에 삽입시키는 경우에 비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지물본체(3)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기 고정와셔(194)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파지물본체(3)보다 강도가 더 큰 고정와셔(194)를 이용하여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를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시킴으로써,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파지물본체(3)에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를 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해 상기 파지물본체(3)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와셔(194)는 와셔공(19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셔공(1941, 도 28에 도시됨)은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와셔공(1941)은 상기 파지물본체(3)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와셔(19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셔공(1941)에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파지물본체(3)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상기 와셔공(1941), 상기 연결공 및 상기 너트공(192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와셔(194), 상기 파지물 및 상기 고정너트(192)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와셔공(1941)은 상기 파지물지지부재(193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상기 고정와셔(194)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셔공(1941)에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와셔(194)는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가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와셔공(1941)이 위치하는 상기 파지물본체(3)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지물고정부재(193)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아도 상기 제1방향(F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고정너트(192)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고정와셔(194)가 나사산을 갖는 경우에 비해 상기 파지물을 상기 파지물본체(3)에 결합시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연장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도 8,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작업물제한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에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은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에 삽입됨으로써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이용하여 도색작업, 벽지작업, 페인트나 광택제를 벗겨내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업물(100)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해당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가압부(5)에 대해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에 결합된 체결부(4)에 결합된 경우,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제1장변면(22)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단변면(21)을 통해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제1단변면(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장변면(22)을 통해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는 부분이 원 형태로 형성된 경우, 해당 작업물(100)에서 원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는 부분이 원 형태로 형성된 작업물(100)의 경우에도, 해당 작업물(100)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면,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작업물돌출부재(20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상기 작업물본체(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상기 작업물본체(2)에서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에서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에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이 형성됨에 따른 강도 약화를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를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 도 8에 도시됨)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상기 제1장변면(22)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제1장변면(22)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 및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각각 상기 제1단변면(21)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 및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각각 상기 제1장변면(22) 및 상기 제2장변면(23)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단변면(21)을 통해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상기 제1단변면(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상기 제1단변면(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 및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은, 각각 상기 제1장변면(22)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단변면(21)을 통해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업물돌출부재(201a)는 전체적으로 상기 제1장변면(22) 또는 상기 제1단면면(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반(半)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면, 상기 작업물본체(2)는 작업물지지면(2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에 삽입된 작업물(100, 도 8에 도시됨)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에 삽입된 작업물(100)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을 이용하여 도색작업, 벽지작업, 페인트나 광택제를 벗겨내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업물(100)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해당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작업물본체(2)에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을 형성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작업물본체(2)에 상기 작업물제한홈(201)을 이루는 홈을 가공하는 경우,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작업물본체(2)에 홈을 가공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가압부(5)에 대해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작업물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가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에 결합된 체결부(4)에 결합된 경우,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제1장변면(22)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단변면(21)을 통해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상기 제1단변면(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이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장변면(22)을 통해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100)에서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는 부분이 원 형태로 형성된 경우, 해당 작업물(100)에서 원 형태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작업물지지면(202)에 지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장치(1)는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되는 부분이 원 형태로 형성된 작업물(100)의 경우에도, 해당 작업물(100)이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작업의 정확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 도 30 내지 도 3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안전공(203, 도 3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공(203)은 상기 작업물본체(2)가 갖는 제1단변면(21), 제1장변면(22), 제2장변면(23), 일면(24), 및 타면(25) 중에서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공(203)에는 제한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는 작업자와 상기 작업물본체(2)를 연결하는 것으로, 예컨대 노끈, 와이어, 로프 등일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는 일측이 작업자에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안전공(202)을 통해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작업물본체(2)가 작업자로부터 이격 가능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업물본체(2)는 상기 제한부재가 갖는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작업자로부터 이격 가능하고, 상기 제한부재가 갖는 길이를 초과하여 작업자로부터 이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작업물본체(2)를 놓치는 경우, 상기 안전공(203)에 결합된 제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물본체(2)가 작업자로부터 이격 가능한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작업물본체(2) 및 작업물(100)이 낙하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재는 작업자가 착용한 의복, 공구 등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안정공(203)을 이용하여 묶음을 통해 상기 작업물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공(203)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제1장변면(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공(203)은 상기 제1단변면(21)과 상기 작업물삽입홈(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장변면(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공(203)은 상기 일면(24)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기 타면(25)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장변면(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는 상기 제한부재가 상기 작업물본체(2)의 내부에서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과 상기 가압부(5) 사이의 남는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안전공(203)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안전공(203)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과 상기 파지물본체(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장변면(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안전공(203)은 상기 일면(24)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기 타면(25)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해 더 짧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장변면(2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 도 30 내지 도 3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물 클램핑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본체(2)에는 지지턱(204, 도 3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작업물삽입홈(6)에 삽입된 작업물(100, 도 8에 도시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으로부터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 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04)에는 상기 작업물톱니부(17, 도 32에 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지지턱(204)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지지턱(204)으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부재(171, 도 3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물톱니부(17)는 상기 지지턱(204)에 지지된 작업물(100)에 접촉되어서 상기 톱니부재(171)들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물(100)을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톱니부재(171)들은 상기 지지턱(204)으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어서 끝단이 뾰족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부재(171)들은 상기 작업물본체(2)의 타면(25)에서 상기 작업물본체(2)의 일면(24)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제1장변면(22)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톱니부재(171)들은 상기 제1장변면(22)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제2장변면(2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톱니부재(171)들은 상기 제2장변면(23)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턱(204)은 상기 제1단변면(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톱니부재(171)들은 상기 제1단변면(21)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작업물 클램핑장치
2 : 작업물본체 3 : 파지물본체
4 : 체결부 5 : 가압부
6 : 작업물삽입홈 7 : 작업물인출홈
8 : 작업물연결홈 9 : 제1패드부
10 : 돌출부 11 : 걸림부
12 : 삽입공 13 : 가공홀
14 : 너트부재 15 : 이물질제거홀
16 : 제2패드부 17 : 작업물톱니부
18 : 회전부 19 : 파지물고정부

Claims (6)

  1. 작업물이 삽입되는 작업물본체;
    상기 작업물본체에 결합되고, 파지물이 삽입되는 파지물본체;
    상기 작업물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업물본체에 삽입된 작업물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물본체에는 상기 작업물이 삽입되기 위한 작업물삽입홈, 및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삽입되는 작업물제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본체는 상기 작업물제한홈에 삽입된 작업물이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도록 상기 작업물제한홈에 삽입된 작업물을 지지하는 작업물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클램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제한홈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클램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지지면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클램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본체에는 안전공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공에는 상기 작업물본체가 작업자로부터 이격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클램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에 접촉되는 작업물톱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물본체에는 상기 작업물삽입홈에 삽입된 작업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물톱니부는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톱니부재들은 상기 지지턱으로부터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클램핑장치.
KR1020170111734A 2017-05-25 2017-09-01 작업물 클램핑장치 KR20190025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34A KR20190025782A (ko) 2017-09-01 2017-09-01 작업물 클램핑장치
PCT/KR2018/005775 WO2018216980A1 (ko) 2017-05-25 2018-05-21 작업물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734A KR20190025782A (ko) 2017-09-01 2017-09-01 작업물 클램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456A Division KR102218475B1 (ko) 2019-04-04 2019-04-04 작업물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782A true KR20190025782A (ko) 2019-03-12

Family

ID=6580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734A KR20190025782A (ko) 2017-05-25 2017-09-01 작업물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57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70A (ko) * 2021-12-01 2023-06-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70A (ko) * 2021-12-01 2023-06-08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휠체어 부착 가능한 그림그리기 보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421B1 (ko) 핸드 그라인더용 그라인더 날 고정장치
CN109414798B (zh) 用于工具机的吸尘罩
KR20190060728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KR100915285B1 (ko) 볼트 및 나사 제거장치
US7396196B2 (en) Cutting machining tool
KR20190025782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JP2020062710A (ja) チャック機構、爪装着アダプタ、及び切粉・粉塵防止カバー
KR20190039682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KR20190040152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KR20170024982A (ko) 소도구 날 연마장치
KR20180136608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KR20190039681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KR20180130087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JP2018202586A (ja) 手持ち式研磨工具、及び研磨方法
KR20180130041A (ko) 작업물 클램핑장치
JP6004885B2 (ja) マウントフランジ取り外し治具
KR20110111823A (ko) 연마장치의 연마석 교체기구
KR101541319B1 (ko) 절삭공구 홀더
US3662424A (en) Scraping device
JPH08141921A (ja) ラチェット機構付きソケットレンチ用手回しリング
JP6719138B1 (ja) タイル剥離装置用タイル目地切削装置
JP3414641B2 (ja) チャック
JP4972625B2 (ja) 軸状部材の端部切削工具
SU1621855A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 за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US20170274551A1 (en) Stud no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