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534A - 입체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534A
KR20190025534A KR1020187023555A KR20187023555A KR20190025534A KR 20190025534 A KR20190025534 A KR 20190025534A KR 1020187023555 A KR1020187023555 A KR 1020187023555A KR 20187023555 A KR20187023555 A KR 20187023555A KR 20190025534 A KR20190025534 A KR 2019002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mage
information
image display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리 타케치
나오히로 야스카와
와타루 타케히
타쿠미 지마
Original Assignee
게이트박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40709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6349B2/ja
Application filed by 게이트박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게이트박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53Display arrangements
    • G01S7/52057Cathode ray tube displays
    • G01S7/52068Stereoscopic displays; Three-dimensional displays; Pseudo 3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4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giving the observer of a single two-dimensional [2D] image a perception of dep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표시 대상을, 더 입체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는 실체물처럼 표시한다.
일부 또는 전부가 소정의 투광성 부재로 구성된 케이스 2와, 케이스 2의 내부에 입설한 투과 필름 3과, 소정의 영상을 투과 필름 3에 표시 가능하게 출력하는 프로젝터 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장치
본 발명은,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나 실재의 인물 등의 영상을 입체적으로 비출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투명한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한 투명한 필름 등에 영상을 투영하는 것으로, 캐릭터 등의 영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비출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원하는 표시 대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투명한 바람막이(風防) 내에 불투명한 스크린을 마련하고, 이러한 스크린에 이차원 화상을 표시하면서 고속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 대상을 입체적으로 표시시키는 입체 화상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불투명한 상자체 내에 상단부보다 하단부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를 둔 투명 판을 마련하고, 이러한 투명 판을 투과하는 배경의 입체 영상과, 이러한 투명 판에 의해 반사되는 표시 대상의 반사 영상을 겹쳐서 시인시키는 것으로, 표시 대상을 배경상에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 2001-197524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15-31808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입체 화상 표시장치는, 잔상 효과를 이용하여 표시 대상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실체물로서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크린이 투명하지 않기 때문에, 투명하면 보이게 되는 표시 대상의 주위의 배경을 스크린을 통하여 시인할 수 없다.
이렇게 하면, 표시 대상과 배경과의 관계에 있어서, 깊이 있는 느낌이나 운동 시차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입체감을 얻을 수 있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영상 표시장치는, 상자체 내에 현실 공간의 배경과는 다른 배경인 입체 오브젝트를 형성하여, 그 배경 화상과의 관계에서 표시 대상의 입체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 대상이 유저와 같은 공간에 존재한다는 일체적인 입체감에 부족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3차원의 분리된 공간 내에 캐릭터 등의 표시 대상을 소정의 방법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표시 대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는 실체물과 같이 인식시킬 수 있는 영상 표시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일부 또는 전부가 투광성 부재로 구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입설한 투광성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부재와, 소정의 영상을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에 있어서 표시 가능하게 출력하는 영상 출력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대상을 더 입체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는 실체물처럼 표시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 (i)는 미러 부착부의 평면도이고, (ii)는 미러 부착부를 상방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탑재되는 기기이고, (i)는 상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기기, (ii)는 주부(柱部)에 설치되는 기기, (iii)는 하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기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사 영상의 광로도이다.
[도 10]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사 영상의 광로도이다.
[도 1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사 영상의 광로도이다.
[도 1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6]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의 투명의 케이스 2와, 그 케이스 2의 내부에 거의 수직으로 입설한 투과 필름(본 발명의 평평한 형상의 부재) 3과, 캐릭터나 인물(이하, 캐릭터 등이라고 함)의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본 발명의 영상 출력 수단) 4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이러한 기본 구성에 반사 미러 5 등의 부품이나 기기를 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있어서,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된 영상은, 반사 미러 5에 의한 반사를 통해 투과 필름 3에 투영되고, 유저는 이렇게 투과 필름 3에 투영된 영상을 투명한 케이스 2를 통해 볼 수 있다.
케이스 2는 일부 또는 전부가 투광성 부재로 구성된 케이스이며, 예를 들면, 아크릴 판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 2는 2개의 투명한 반원 기둥 모양의 케이스 부재 2a, 2b를, 2개의 지주 23에 끼워 넣는 것으로 전체가 투명한 일체의 원통체를 형성하고 있다.
단, 미리 성형된 원통체를 케이스 2에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탄성 또는 가요성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재나 막재를 반원 기둥 모양으로 만곡시켜, 이것을 지주 23에 끼워 넣는 것으로 형성한 원통체를 케이스 2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통형의 케이스 2를 이용하는 것으로, 좌우의 어느 각도로부터에서도 투과 필름 3에 투영되는 영상을 적절히 시인할 수 있다.
덧붙여, 지주 23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케이스 2의 거의 전부를 투명하게 할 수 있다. 단, 지주 23은, 불투명이거나 반투명일수도 있다.
케이스 2의 정면측 상부에는, 케이스 2의 표면을 따라 만곡시킨 띠모양의 불투명한 차폐부 25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케이스 2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반사 미러 5는 차폐부 25의 후방에 있기 때문에, 숨겨져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 2의 상저면(上底面)에 해당하는 원형부에는, 차광 도료의 도포 등, 차광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투과 필름 3에 실내의 조명 등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투과 필름 3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 쉬워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2의 배면측 상부(케이스 부재 2b의 상부)는 개구를 형성하고 있어, 반사 미러 5로부터의 영상광이 케이스 부재 2b를 통하지 않고, 직접 투과 필름 3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케이스 2는, 투명한 부재뿐만 아니라, 유백색과 같은 반투명한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 2의 내부에는, 투과 필름 3이 마련되고 있고, 또한, 케이스 2의 상방, 하방, 배면측에는, 후술될 상부 수용부 21, 하부 수용부 22, 주부 6이 마련되어 있다.
투과 필름 3은, 본 발명의 "투광성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제11 실시형태이며, 소정의 영상이 투영되는 투명한 스크린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의 투과 필름 3은 직사각형이며, 이것이 케이스 2 내부의 중앙 부근에서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입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과 필름 3은 대좌 221의 양단에 입설된 2개의 지주 23에 의해 지지를 받고, 이것에 의해, 표면이 정면측(배면측)을 향하면서 대좌 221의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덧붙여, 투과 필름 3 대신에, 투명의 판재, 반투명의 판재나 막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 수용부 22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상자체이며, 프로젝터 4의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제어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 보드 701 및 그 외의 기기(도 5 (iii) 참조)를 장착하는 스페이스를 가진다.
하부 수용부 22에는, 착탈 가능한 하부 커버 222가 마련되고, 장착하는 것으로 내부를 숨길 수 있고, 탈거하는 것으로 내부의 기기의 메인터넌스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부 수용부 22의 상면의 대좌 221에는 투과 필름 3의 입설 위치의 좌우의 단부에 지주 23을 입설하고 있다.
투과 필름 3이나 케이스 부재 2a, 2b는, 이 지주 23에 의해 지지를 받는 것으로 대좌 221 상에 일체적으로 입설된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의 케이스 2가 대좌 22 1상에 입설되고, 투과 필름 3은 측부가 케이스 2의 내측으로 내접하면서, 하부(하단)가 대좌 221의 상면(표면)을 따르도록 마련된다.
대좌 221은, 케이스 2 내에 표시되는 캐릭터 등을 가상적으로 재치하는 받침대로서도 기능한다. 즉, 대좌 221은 인형이나 모형을 전시 가능하게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베이스 기재처럼 보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할 미러 부착부 51에 의해 반사 미러 5의 각도나 방향을 조정하는 것으로, 투과 필름 3의 하단에, 캐릭터 등의 발끝을 일치시켜 표시시키도록 하고 있다(도 1, 도 7 참조).
이렇게 하는 것으로, 캐릭터 등이 대좌 221의 위에 실제로 서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또한, 대좌 221은 소정의 시인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대좌 221의 표면에 모양이나 착색을 가하거나, 형상에 특징을 부여하는 것으로, 대좌 221의 존재가 눈에 띄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대좌 221은 아크릴 판의 표면에 레이저 가공 등에 의해, 소위 마방진의 모양을 따르는 도랑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대좌 221은 아크릴 판의 하부에게 복수의 연출용 LED 706(본 발명의 발광 수단)를 분산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대좌 221의 전면에 연출용 LED 706으로부터의 광이 골고루 미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대좌 221의 표면에 있어서, 투과 필름 3을 넘는 각각의 영역이 강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투과 필름 3에 투영된 캐릭터 등의 전후에서 대좌 221의 존재를 보다 강조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캐릭터 등이 대좌 221의 위에 제대로 착지하여 서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상부 수용부 21은 영상 출력을 실시하는 프로젝터 4 등의 기기(도 5(i) 참조)를 장착하는 스페이스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수용부 21은 주부 6의 상부에 연결된 사다리 형상의 상부 기기 부착부 211을 마련하고 있고, 이러한 상부 기기 부착부 211의 하면에 프로젝터 4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기기 부착부 211은, 도 2나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주부 6과의 연결부 213에서 정면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 상부 기기 부착부 211에 장착된 프로젝터 4도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 4를 비스듬히 장착하는 것으로, 영상의 출력 방향이 해당 프로젝터 4의 배면측 하방에서 위치되는 반사 미러 5를 향하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 상부 기기 부착부 211은, 주부 6과의 연결에 있어서, 볼트 등의 축 부재를 이용하고 축지되고, 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위치까지 회동되어 너트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프로젝터 4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에 의해 영상의 출력을 상하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부 수용부 21에는, 착탈 가능한 상부 커버 212가 마련되어 있어, 상부 기기 부착부 211이나 프로젝터 4 등의 기기를 숨길 수 있고, 탈거하는 것으로 내부의 기기의 메인터넌스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프로젝터 4는 캐릭터 등의 영상의 출력을 실시하는 영상 출력 수단이다.
이런 종류의 프로젝터 4는, 보통, 소위 스크린에 대해 직접 영상을 투사하는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미러 5를 통해 간접적으로 스크린(투과 필름 3)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 4는 케이스 2의 배면측에 이간하여 입설되어 있는 주부 6의 상부의 반사 미러 5에 출력 영상이 향하도록, 상부 수용부 21에 있어서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프로젝터의 사양에는, 초점거리(이하, 허용 투사 거리라고 하는)과 투사 비(이하, 허용 투사 각도라고 함)가 있다.
허용 투사 거리는, 화상 사이즈에 대응하여 필요한 투사 거리(프로젝터로부터 스크린에 도달하는 광로의 거리)이다. 실제의 투사 거리가 허용 투사 거리에 만족되지 않으면 초점이 맞지 않고 영상을 선명하게 비출 수 없다.
허용 투사 각도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광로와 스크린과의 각도의 허용치이다. 실제의 투사 각도가 허용 투사 각도에 만족되지 않으면, 화상의 일그러짐이 커지게 되고, 또한, 화상의 양단에서 광량이 다르게 되어, 화상이 희미해지는 등 화질이 저하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 4는, 비교적 허용 투사 거리가 짧고, 허용 투사 각도가 작은 사양의 것을 이용하며, 또한, 반사 미러 5를 이용하는 것으로, 프로젝터 4와 스크린(즉, 투과 필름 3)을 컴팩트하게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 프로젝터 4는 후술할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허용 투사 거리가 더 짧고 허용 투사 각도가 작은 사양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투사 거리가 보다 짧게 되고, 또한, 투사 각도가 더 작아도 상관 없게 되기 때문에, 장치 본체를 한층 더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반사 미러 5를 통하지 않고, 직접 스크린을 투사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장치 전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주부 6은 하부 수용부 22의 최배부에 입설된 기둥 모양의 부재이며, 케이스 2의 배면측에 케이스 2와는 이간하여 입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부 6을 케이스 2의 배면측에 마련하는 것으로, 투과 필름 3에 실내의 조명 등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막고, 투과 필름 3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주부 6에는 반사 미러 5나 각종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도 2, 도 3, 도 5 (ii) 등 참조).
반사 미러 5는, 주부 6의 상부에서 경면(鏡面)이 거의 수직(즉, 투과 필름 3의 면과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 4로부터 배면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출력된 소정의 입사각의 영상광을 이것과 동일한 각도(반사각)로 반사하여, 그 반사광에 의해 영상을 투과 필름 3에 투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투과 필름 3에 있어서의 영상의 상부와 하부의 투사 거리의 거리 차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투과 필름 3에 투영되는 영상의 희미해짐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반사 미러 5는,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나타낸 미러 부착부 51(조정 수단)에 의해, 적절한 각도나 방향으로 조정된 상태로 장착되고 있다.
도 4 (i)는, 미러 부착부의 평면도이고, 도 4 (ii)는, 미러 부착부를 상방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나타낸 것처럼, 미러 부착부 51은, 반사 미러 5를 보관 유지하는 플레이트 511과, 플레이트 511의 배면측에서 고정되어 장착된 3개의 전나사 513과, 플레이트 511과 대향하여, 전나사 513을 관통공을 삽입한 상태에서 주부 6에 고정되는 베이스 512와, 베이스 512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배면측에 돌출된 전나사 513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 514와, 플레이트 511과 베이스 512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부세력(付勢力)을 가하는 용수철 515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미러 부착부 51에 의하면, 임의의 너트 514를 시계방향에 돌리면 전나사 513에 대한 나선 결합이 진행된다. 그러면, 베이스 512는 주부 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나사 513이 고정되고 있는 플레이트 511의 부분이 베이스 512에 가까워진다.
한편, 임의의 너트 514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전나사 513에 대한 나선 결합을 느슨하게 하면, 전나사 513이 고정되고 있는 플레이트 511의 부분이 베이스 512로부터 멀어진다.
이 때문에, 이러한 방법에 의해, 미러 부착부 51에 장착된 반사 미러 5의 각도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러 부착부 51에 의하면, 반사 미러 5의 반사에 의해 투과 필름 3에 투영되는 영상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프로젝터 4에서 출력된 영상광은, 반사 미러 5에 의해 반사되고, 그 반사된 영상광은 정면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고, 케이스 부재 2b의 개구를 통과하여, 케이스 2의 내부에 마련된 투과 필름 3을 배면측에서 투사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 2를 통하여 투과 필름 3에 투영된 캐릭터 등의 영상을 보면, 캐릭터 등이 보다 입체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는 실체물처럼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인 효과를 상주하는 이유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투명한 케이스 2의 내부에 투명한 필름(투과 필름 3)를 마련하여, 이러한 투명한 필름에 영상을 투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있어서는, 유저는 투명한 케이스 2를 통해 투명한 필름에 표시되는 캐릭터 등을 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유저는, 케이스 2로 분리된 것으로 제한된 케이스 2 내라고 하는 공간에서, 그 3D 환경, 즉, 세로(높이)·가로·깊이를 인식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히, 그 공간 내에 표시되는 캐릭터 등과 케이스 2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깊이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캐릭터 등 자체도 3D로(입체적으로) 보인다는 시각 효과(3D 환경 효과)를 상주한다.
즉, 캐릭터 등의 안쪽에 투명한 케이스 2를 시인하는 것으로, 폐공간 내에서 캐릭터 등과 그 안쪽측의 구분이 함께 시인되게 되어, 그 결과, 동일한 공간에 있어서의 캐릭터 등과 투명한 케이스 2와의 깊이감에 기초하여 캐릭터 등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된다.
이것에 대해, 만일 케이스 2가 없고, 주위에 아무것도 없는 개방된 공간 내에서, 투명한 필름에 투영되는 캐릭터 등의 영상을 본 경우에는, 주위의 공간이 세로·가로의 인식이 강해지는 한편, 깊이의 인식은 약해진다.
그러면, 이러한 개방된 환경에서 투명한 필름에 투영되는 캐릭터 등의 영상을 보더라도, 필름의 존재감이 증가할 뿐이며 깊이감을 느끼기 어렵게 되므로, 전술한 것과 같은 입체적인 시각 효과를 상주할 수 없다.
또한, 투명한 케이스 2를 통하여 투명한 필름을 본 경우, 투명한 필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이것은, 케이스 2에 투과 필름 3이 내접되어 있는 것으로, 투과 필름 3의 좌우의 단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에서 기인한다.
또한, 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전방의 물질을 통하고 후방을 보면, 해당 후방의 물질을 인식하기가 어려워진다.
이것을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적용시키면, 예를 들면, 케이스 2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케이스 2(케이스 부재 2a)의 후방에 있는 투과 필름 3은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이렇게 하면, 평면 형상의 투과 필름 3의 존재가 인식되지 않게 되어, 그 투과 필름 3에 투영되는 캐릭터는, 평면이 아닌 입체물이 부유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도, 케이스 2가 없는 경우보다 케이스 2가 있는 편이 캐릭터 등의 영상을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투과 필름 3의 하방(하단)에서 대좌 221을 마련하여, 캐릭터 등의 발끝을 투과 필름 3의 하단에 일치시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마치 캐릭터 등이 대좌 221의 위에 서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 캐릭터 등이 마치 질량이 있는 입체물처럼 착각될 수 있다.
특히, 대좌 221은, 표면이 시인하기 쉽도록 모양 등을 형성하고 있는 한편, 투과 필름 3을 넘는 정면측의 영역과 배면측의 영역의 쌍방에서 연출용 LED 706을 배치하여 발광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캐릭터 등 앞뒤에 대좌 221이 있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고, 나아가, 캐릭터 등이 대좌 221에 제대로 착지한 상태에서 서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좌 221과의 관계에 의해서도, 투명한 케이스 2 내의 투과 필름 3에 투영되는 캐릭터 등을 실체가 있는 입체물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투과 필름 3에 대해서는, 배면측 상부에서 마련한 반사 미러 5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투영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어, 영상광의 일부가 투과 필름 3을 투과하여, 대좌 221 상에 광의 그림자로서 비춰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그림자가 시인되는 것에 의해서도, 표시 대상을 따라 입체적으로 시인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상주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탑재되는 기기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 (i)는, 상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기기, 도 5 (ii)는, 주부에 설치되는 기기, 도 5 (iii)는, 하부 수용부에 설치되는 기기의 모식도이다.
[하부 수용부의 설치 기기]
도 5 (iii)에서 나타낸 것처럼, 하부 수용부 22에는, 제어 보드 701, 사람 감지 센서 702, 적외선 LED 703, 마이크 704, 스피커 705, 연출용 LED 706, 적외선 수광부 707, 스테이터스 LED 708, 기동 버튼 709, USB 허브 710 외에, Wi-Fi(등록상표) 모듈이나 Bluetooth(등록상표) 모듈 등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 보드 701은, CPU, ROM, RAM, HDMI(등록상표) 포트, LAN 포트, USB 포트, 각종 입출력 포트 등이 탑재된 하나 또는 복수의 제어칩이 탑재되어, 각종 센서 등으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음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출력 동작을 소정의 기기에서 실행시킨다.
사람 감지 센서 702는, 적외선의 변화량을 검지하고 사람의 소재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정면측의 좌우에서 마련되어 있다.
적외선 LED 703은 좌우에서 각각 마련되어, 소위 적외선 리모콘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외선을 주위에 출력하는 것으로, 텔레비전이나 청소기 등 외부의 기기의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마이크 704는 좌우에서 각각 마련되어, 유저로부터 발하는 음성을 입력한다.
스피커 705는 정면측에서 마련되어, 음성이나 음악 등의 소리 정보를, 증폭기를 통해 출력한다.
연출용 LED 706은 대좌 221에 있어서의 발광 수단이다.
적외선 수광부 707은 정면측에서 마련되어, 텔레비전이나 조명기구의 리모콘으로부터, 그 리모콘으로 이용되는 리모콘 조작에 관한 적외선 정보를 수신한다.
스테이터스 LED 708은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의 상태(예를 들면, 전원 온, 슬립 중, 에러 발생, 통신 중 등)를 나타내는 알림 수단이고, 특정의 점멸 패턴이나 발광 색 등에 의해 각종 상태를 식별 가능하게 알린다.
기동 버튼 709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의 본체의 전원의 온/오프를 실시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다.
USB 허브 710은, USB 기기를 복수 접속하기 위한 허브이다.
Wi-Fi(등록상표) 모듈은, USB 허브에 접속된 와이어리스 LAN 모듈이며, 액세스 포인트로서 와이어리스 LAN 부속 장치에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거나, 와이어리스 LAN 부속 장치로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Bluetooth(등록상표) 모듈은, 소정 규격에 대응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주변기기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주부의 설치 기기]
도 5 (ii)에서 나타낸 것처럼, 주부 6에는, 전술한 반사 미러 5에 더하여, 온습도 센서 711, 진동 센서 712, 소음 센서 713이 마련되어 있다.
온습도 센서 711은,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이러한 측정치를 입력한다.
진동 센서 712는 진동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예를 들면, 피에조 진동 센서에 대응한다. 진동 센서 712에 의해 검출되는 진동으로서는, 지진과 같은 큰 흔들림 외에도, 발소리나 도어의 열고 닫음을 식별 가능한 비교적 작은 진동이 있다.
소음 센서 713은, 실내의 환경음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소음 센서 713에 의해 검출되는 환경음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 음량에 기초하여 판별되는 유저의 생활음(텔레비전의 소리를 포함한다), 근처의 환경음, 소음이 있다.
[상부 수용부의 설치 기기]
도 5 (iii)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부 수용부 21에는, 프로젝터 4, 적외선 LED 703, 광 센서(조도 센서) 721 및 카메라 722가 마련되어 있다.
프로젝터 4는, 전술한 것처럼, 반사 미러 5를 통해 투과 필름 3에 영상을 투사한다.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에는, 예를 들면, 여러가지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각 캐릭터나 실재의 인물, 물품 등의 2D 영상이나 3D 영상이 있다.
적외선 LED 703은 좌우에서 각각 마련되며, 상부 수용부 21에 마련되고 있는 것과 동일하게 적외선 리모콘으로서 기능한다.
광 센서(조도 센서) 721은, 밝기(조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카메라 722는, 전방에 마련되어,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상 수단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각 기기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제어부 71, 입력부 72, 출력부 73, 조작부 74, 기억부 75 및 통신부 76을 구비한다.
입력부 72는, 각종 센서에 의해 검출된 여러가지 정보의 입력을 실시하는 입력 수단이다.
입력부 72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사람 감지 센서 702가 사람을 검지했을 때에 사람 감지 센서 702로부터 출력되는 식별 정보, 마이크 704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온습도 센서 711에 의해 검출되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의 정보, 진동 센서 712가 검출한 진동의 크기나 변화를 식별 가능한 정보, 소음 센서 713을 통해 입력된 음량 정보, 광 센서 721을 통해 입력된 조도 정보, 카메라 722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동영상의 정보 등이 있다.
출력부 73은, 소정의 명령에 기초하여 신호나 정보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수단이다.
출력부 73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나 정보에는, 예를 들면, 적외선 LED 703에서 출력되는 외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 스피커 705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정보, 연출용 LED 706에서 발광되는 광,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등이 있다.
조작부 74는, 유저에 의한 조작 수단이며,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응한다.
조작부 74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작에는, 예를 들면, 기동 버튼 709에 의한 장치 본체의 전원의 온/오프 등이 있다.
기억부 75는, 예를 들면, 제어부 71을 구성하는 RAM이나, EEPROM이나 플래쉬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이 가지는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이다.
기억부 75에 기억되는 데이터에는, 텔레비전이나 조명기구 등의 외부 기기의 리모콘에 관한 리모콘 정보, 캘린더 사이트에서 등록한 캘린더 정보, 유저의 속성 정보, 장치 본체나 각 기기의 속성 정보, 센서로부터 입력한 정보, 캐릭터 등의 이름의 문자열 등의 식별 정보 등에 연관된 캐릭터 등의 영상이나 음성의 정보, 음악 정보 등이 있다.
기억부 75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는, 후술하는 각종 제어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외에, 음성인식 프로그램이나 인공지능 프로그램 등이 있다.
통신부 76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외부의 기기 사이에서 쌍방향 또는 일방향의 데이터 통신 처리를 실시하는 통신 수단이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 접속된 기기 사이에서, LAN 포트에 접속된 LAN 케이블이나 Wi-Fi(등록상표) 모듈에 기초한 무선을 통해,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통신부 76에 의해 수신 가능한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날씨 정보 사이트에서 수신 가능한 날씨 정보, 캘린더 사이트에 등록한 캘린더 정보 등의 인터넷을 통해 취득 가능한 정보가 있다.
제어부 71은,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 71은 본체 장치의 기동시에 날씨 정보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그 날의 날씨 정보를 취득하여 기억부 75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 71은 유저의 스케줄이 등록되어 있는 캘린더 사이트에 정기적으로 액세스하여,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최신의 캘린더 정보를 기억부 75에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이나 조명 등의 외부 기기의 리모콘으로부터 해당 외부 기기에 관한 리모콘 정보(적외선 정보)를 적외선 수광부 707에 의해 수신하도록 하고 기억부 75에서 기억(학습)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리모콘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적외선 정보를 적외선 LED 703에서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71은, 출력 제어 수단으로서 동작하는 것으로,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출력 수단에 의한 영상을 포함하는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음성에 관한 동작]
제어부 71은,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환경 정보를 입력했을 때에, 환경 정보와 연관된 소정의 캐릭터 등에 관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출력시키는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마이크 704에 향하여 캐릭터 등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이름에 대응하는 캐릭터 등의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71은, 마이크 704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음성인식 프로그램에 의해 문자열에 변환하고, 미리 이러한 문자열에 연관되어 있는 캐릭터 등의 영상 데이터를 기억부 75에서 꺼내어,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된 캐릭터 등의 영상은, 반사 미러 5를 통해 투과 필름 3에 투영된다(도 1 참조).
이 때문에, 유저는, 원하는 때에,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호출할 수 있고, 이러한 캐릭터 등을 더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는 투명한 케이스 2 내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캐릭터 등에 향하여 말을 건네면, 마치 그 캐릭터 등이, 유저가 말을 건 것에 따른 행동을 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말을 거는 것에 의해 "오늘의 날씨는?"이라고 말하는 음성이 마이크 704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 71은 이것을 문자열에 변환하여, 미리 이러한 문자열에 연관되어 있는 오늘의 날씨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맑음")를 기억부 75에서 꺼내고, 스피커 705로부터 소정의 음성을 출력시킨다. 예를 들면, 표시되고 있는 캐릭터 등의 소리로, "오늘의 날씨는 맑아요."라고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가 말을 거는 것에 의해 "다녀오겠습니다", "다녀왔어요", "잘자요"와 같은 음성이 마이크 704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 71은 이것을 문자열로 변환하여, 미리 이러한 문자열에 연관되어 있는 "어서오세요", "다녀오셨어요", "안녕히 주무세요"의 음성 데이터를 기억부 75에서 꺼내어,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하는 것과 동시에, 미리 이러한 문자열에 연관되어 있는 캐릭터 등의 제스처 영상을 기억부 75에서 꺼내어,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한다.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된 캐릭터 등의 영상은, 반사 미러 5를 통해 투과 필름 3에 투영된다.
이것에 의해, 캐릭터 등을 단지 입체적으로 표시시킬 뿐만 아니라, 대화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일한 공간에 있는 캐릭터 등과 함께 생활을 하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유저에게 줄 수 있다.
또한, 음성 입력에 따라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기 꺼"나 "안녕히 주무십시오"의 음성이 마이크 704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 71은 미리 이러한 문자열에 연관되어 기억부 75에 기억되고 있는 조명의 소등에 관한 리모콘 정보를 기억부 75에서 꺼내어, 대응하는 적외선 정보를 적외선 LED 703에서 발신시킨다.
이것에 의해, 실내의 조명을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어서 오세요"나 "안녕"에 따라 조명을 점등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음성 입력과, 사람 감지 센서 702에 의한 사람의 검지를 조합한 제어 동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저가 말을 거는 것에 의해 "다녀오겠습니다"의 음성을 마이크 704로부터 입력하면, 제어부 71은, 이러한 음성에 의해 얻어지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감시 모드로 이행한다. 덧붙여, 캐릭터 등에 의한 "다녀오세요"에 대응하여 감시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감시 모드는, 유저가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모드이다.
이 때문에, 감시 모드는, 유저가 말을 거는 것에 의한 "다녀왔습니다"의 음성을 입력하여, 이러한 음성에 의해 얻어지는 문자열을 검출하면 해제될 수 있다. 덧붙여, 캐릭터 등에 의한 "어서오세요"에 대응하여 감시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감시 모드 중에, 예를 들면, 사람 감지 센서 702에 의해 사람이 검지되면, 제어부 71은, 이것을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것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경보음이나 경고 메시지를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하기도 하고, 통신부 76을 통해 미리 등록한 수신지에 소정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어부 71은 카메라 722로 실내를 촬영시키고, 기억부 75에 화상을 기억하거나, 통신부 76을 통해 미리 등록한 수신지에 화상을 송신할 수 있다.
덧붙여, 감시 모드 내에 사람 감지 센서 702에 의해 사람이 검지된 후, 곧바로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을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일정시간 내에 감시 모드의 해제가 없는 경우에 이상으로 판단하여 알림을 실시할 수 있다.
[적외선 LED에 관한 제어 동작]
적외선 LED 703을 사용한 제어 동작으로서, 이하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71은 타이머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상 시각이 되면, 그 시각 정보에 연관되어 있는 행동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상시(7:00)에 "조명 점등", 취침시(23:00)에 "조명 소등"과 같은 타이머 프로그램을 등록한 경우, 제어부 71은 7:00이 되면, "조명 점등"의 리모콘 정보를 기억부 75에서 꺼내어 대응하는 적외선 정보를 적외선 LED 703로부터 발신시키고, 23:00가 되면 "조명 소등"의 리모콘 정보를 기억부 75에서 꺼내어 대응하는 적외선 정보를 적외선 LED 703로부터 발신시킨다.
이렇게 하면, 소정의 일시에 소정의 기기를 자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밖에도, 온습도 센서 711에 의해 검지되는 온습도에 따라 에어컨 등의 온/오프 제어를 실시하거나, 시간대에 따라 텔레비전의 온/오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광 센서에 관한 제어 동작]
광 센서 721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낮임에도 불구하고, 커텐이 열려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하고, 유저에게 커텐을 열도록 재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출의 시각을 캘린더 정보로서 기억부 75에서 기억하여, 그 시각이 지나도, 광 센서 721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가 소정의 조도에 미치지 않는 경우, 제어부 71은 미리 기억부 75에 기억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커텐 열어요")를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시킨다.
[소음 센서에 관한 제어 동작]
소음 센서 713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 장시간 계속 켜져 있는 것을 유저에게 주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71은 소음 센서 713에 의해 입력된 소리의 음량, 주파수 등에 기초하여, 텔레비전이 켜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그 판단을 한 때에서부터 계시를 개시하여, 그 상태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미리 기억부 75에 기억하고 있는 음성 데이터("텔레비전꺼요")를 꺼내어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에너지 절약에 공헌하는 것과 동시에, 마치 아내로부터 주의 받고 있는 것 같은 감각을 유저에게 줄 수 있다.
[진동 센서에 관한 제어 동작]
진동 센서 712를 이용해, 지진의 검출이나 그 알림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 감지 센서 702에 의해 사람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진동 센서 712에 의해 소정의 크기의 흔들림을 검지한 경우에는, 지진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제어부 71은 소정의 경보음이나 경고 메시지를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시키고, 또는, 통신부 76을 통해 미리 등록한 수신지에 소정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람 감지 센서 702에 의해 사람이 있는 것이 검지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진동 센서 712에 의해 소정의 크기의 흔들림을 검지한 경우에는, 유저 등에 의한 인위적인 행위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을 실시하지 않는다. 덧붙여, 이 경우 예를 들면, 음성 메시지("흔들면 안되!")를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지진과 생활 진동을 정밀도 좋게 구별하면서, 각각 대응한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에 관한 제어 동작]
온습도 센서 711에 대응한 소정의 음성 출력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습도 센서 711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10 °C 미만인 경우, 제어부 71은 소정의 타이밍에 "오늘은 춥네요"라는 음성을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온습도 센서 711에 의해 검출된 습도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소정의 타이밍에 "건조해요! 감기 걸리지 않게"라는 음성을 스피커 705로부터 출력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여러가지의 입출력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온습도나 날씨 정보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우산 가져가는게 좋을 거에요"의 음성을 출력시키거나, 유저로부터의 "무슨 옷을 입을까"의 음성 입력에 대해, 온습도, 날씨 정보, 캘린더 정보 등에 대응하여 추천하는 양복을 표시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의하면, 표시 대상인 캐릭터 등을, 보다 입체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는 실체물처럼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반사 미러 5를 마련하는 것과 동시에,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의 위치나 각도를 최적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기나 부품이 콤팩트하게 일체화된 유닛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소위 종래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는, 후방에 설치한 프로젝터가 스크린을 통하여 유저의 시야에 들어오는 일이 있었지만, 반사 미러 5를 이용하는 것으로, 시야에 프로젝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서는, 유저의 음성이나 각종 환경 정보에 대응한 행동을 캐릭터 등에 의해 실시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마치 실재하는 캐릭터 등과 동일한 공간에 있는 감각을 유저에게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좋아하는 캐릭터 등을 호출할 수 있고, 그 호출한 캐릭터 등과 대화를 포함하여, 동일한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처럼 생각되도록 하는 다양한 출력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점은 외관이 고정된 하드웨어로 구성된 종래의 가정용 로봇과는 크게 다른 것이다.
즉, 종래의 로봇은, 형태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싫증나기 쉽고, 또한, 복수의 유저에게 공용되는 경우, 유저에 따라 가깝게 느껴지지 않아, 커뮤니케이션을 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느껴지는 일이 있었다.
이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의하면, 모든 유저에게 대응하여 보다 친밀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로봇으로서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대해서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투명한 통상의 케이스 2 내에, 투과 필름 3을 마련하고, 이러한 투과 필름 3에 대해,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한 캐릭터 등의 영상을, 반사 미러 5를 통해 투영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된다.
본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는, 장치 전체의 형상이나, 각부(예를 들면, 상부 수용부 21, 하부 수용부 22, 주부 6 등)의 형상이 약간 다르지만, 영상의 투영 방법 등의 기본적인 기구는 공통된다.
케이스 2는, 전부(거의 전부를 포함함)가 투광성 부재로 구성된 케이스이며,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2개의 투명한 반원 기둥 모양의 케이스 부재 2a, 2b를, 2개의 지주 23에 끼워 넣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체인 투명한 원통체를 형성하고 있다.
투과 필름 3은 케이스 2 내부의 중앙 부근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투과 필름 3은, 구체적으로는, 대좌 221의 양단에 입설된 2개의 지주 23에 의해 지지를 받아, 그것에 의해, 대좌 221의 중앙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하부 수용부 22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비교적 높이의 낮은 원통체이며, 제어 보드 701 등의 기기를 장착하는 스페이스를 가진다(도 5 (iii) 참조).
하부 수용부 22는 내부가 시인될 수 없도록, 표면을 불투명한 도료를 도포하거나 하여,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수용부 22는 도시하지 않는 상자부와 뚜껑부에 분리 가능하게 되어, 예를 들면, 상자부 내에 상기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하부 수용부 22의 상면(대좌 221)에는, 투과 필름 3의 입설 위치의 좌우의 단부에 개구부 24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개구부 24에 지주 23의 하단부를 감합시키는 것으로, 지주 23을 대좌 221 상에 입설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주 23에는 투과 필름 3이나 케이스 부재 2a, 2b를 협지 가능한 도랑이 단면시에서 T 자 모양으로 3조(條) 형성되어 있고, 투과 필름 3과 2개의 케이스 부재 2a, 2b를 각 지주 23의 각 도랑에 협지시키는 것으로, 대좌 221 상에 입설한 상태에서 지지를 받도록 한다.
대좌 221에는, 착색이나 모양을 전체에 가하여, 이것에 의해, 대좌 221의 존재가 시인되기 쉽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대좌 221은 검정을 기조로 한 착색을 가함에 있어서, 소위 마방진의 모양의 부분을 따라 백색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투과 필름 3에 서 있는 상태의 캐릭터 등의 영상을 투영한 경우, 투과 필름 3의 하단에 캐릭터 등의 발끝이 일치하도록 투영하면, 캐릭터 등이 대좌 221의 상에 실제로 서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될 수 있다(도 7 참조).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대좌 221은, 마방진의 외주를 따라 복수의 연출용 LED 706을 일정 간격으로 매립하는 것으로, 투과 필름 3을 넘는 각 표면의 영역에서 광이 조사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각 연출용 LED 706을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캐릭터 등 앞뒤에서 대좌 221이 존재함을 보다 강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캐릭터 등이 대좌 221의 위에 제대로 착지하여 서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상부 수용부 21은 하부 수용부 22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되어, 프로젝터 4 등의 기기를 장착하는 스페이스를 가진다(도 5 (i) 참조).
상부 수용부 21은,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자부 21a과 뚜껑부 21b에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자부 21a에 상기 기기를 장착하는 것과 같이 하고 있다.
상자부 21a에는 하부 수용부 22(대좌 221) 상에 입설되는 지주 23의 위치에 대응하는 개구부 24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개구부 24에 지주 23의 상단부를 감합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하부 수용부 22와 상부 수용부 21 사이에 지주 23이 입설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된 2개의 지주 23에 의해 2개의 반원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 2a, 2b와 직사각형의 투과 필름 3이 입설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그 결과, 대좌 221의 위에 원통형의 케이스 2가 입설되고, 케이스 2 내부의 중심에 직사각형의 투과 필름 3이 입설된다(도 7 참조).
상부 수용부 21은, 내부를 시인할 수 없도록, 표면을 불투명한 도료를 도포하거나 하여,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수용부 21은, 예를 들면, 흑색의 소재가 이용되거나, 또는, 흑색의 도료가 도포되어, 광을 통하기가 어렵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상부 수용부 21의 하측에 위치하는 투과 필름 3에 실내의 조명 등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투과 필름 3에 표시되는 영상의 보기 쉬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자부 21a에는, 프로젝터 4가 마련되어 있다. 프로젝터 4는 반사 미러 5의 위치에 맞게 출력 방향이 배면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자부 21a에는 배면측의 저부(底部)에서 절결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수용부 21에 마련한 프로젝터 4로부터 배면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출력된 영상광이 상자부 21a의 저부에 의해 차단되는 일 없이, 반사 미러 5에 도달될 수 있다.
프로젝터 4는 캐릭터 등의 영상의 출력을 실시하는 영상 출력 수단이다.
이런 종류의 프로젝터 4는, 보통, 소위 스크린에 대해 직접 영상을 투사하는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미러 5를 통해 간접적으로 스크린(투과 필름 3)에 영상을 투사하도록 하고 있다.
주부 6은, 케이스 2의 배면측에 장착된 기둥 모양의 부재이며, 반사 미러 5나 각종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도 7, 도 5 (ii) 등 참조).
주부 6의 내부에는 각종 센서에 접속되는 신호선 등이나, 하부 수용부 22 또는 상부 수용부 21에 마련한 기기에 접속되는 신호선 등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배선할 수 있다.
반사 미러 5는 주부 6의 상부에 마련되고,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된 영상광을 반사한다.
반사 미러 5는 직사각형으로 경면이 거의 수직(투과 필름 3과 거의 평행)이 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9에서 나타낸 것처럼, 프로젝터 4에서 출력된 영상광은 배면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반사 미러 5에 도달한다. 반사 미러 5에 의해 반사된 영상광은 정면측 비스듬한 아래 방향으로 진행하여 투과 필름 3을 배면측으로부터 투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형상 등은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투명한 케이스 2를 통하여 투과 필름 3을 보았을 때에, 투과 필름 3에 투영되는 캐릭터 등이 보다 입체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는 실체물처럼 시인될 수 있는 효과를 상주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를 하방에서 배치하고 투과 필름 3에 대해 배면측 하방으로부터 투영하는 것에 비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를 상방에서 배치하고 투과 필름 3에 대해 배면측 상방으로부터 투사한다. 이러한, 투영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본 실시 형태는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주로, 케이스 2와 같은 상부 수용부 21과 하부 수용부 22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수용부 21에서, 정면측과 배면측에 반원통 형상의 케이스 부재 2a, 2b를 마련하고, 그 하단에 반원 형태의 대좌 221을 마련하고 있다.
대좌 221의 배면측에 대응하는 상부 수용부 21의 중앙부는 좌우의 측부가 벽에 의해 차폐되고 있고, 저부와 배면측의 측부는 개구되어 있다. 이 중 저부의 개구는 하부 수용부 22의 내부에 통하고, 배면측의 측부의 개구는 배면측의 투명한 케이스 부재 2b로 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 2의 일부가 투광성 부재로부터 되고, 이 점에 있어서도 전부가 투광성 부재로 구성되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하부 수용부 22의 내부에는, 저부와 배면측의 측부에 반사 미러 5a, 5b를 각각 마련하고, 정면측에 마련된 프로젝터 4는, 비스듬한 아래 방향에 위치하는 반사 미러 5a에 투사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의하면, 도 11에서 나타낸 것처럼, 프로젝터 4로부터 출력된 영상광이 반사 미러 5a에 의한 반사를 거쳐, 다음으로, 반사 미러 5b에 의해 반사되어, 이 반사광이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여 하부 수용부 22와 상부 수용부 21 간의 개구를 통과하여 투과 필름 3을 배면측으로부터 투사한다.
이 때문에,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투명한 케이스 2의 내부에 마련된 투과 필름 3에 투영된 영상이 표시되므로, 전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캐릭터 등의 영상을 입체적으로 시인되도록 하는 효과를 상주한다.
또한, 하부 수용부 22에 있어서의 큰 스페이스에 반사 미러 5를 복수 마련하고, 프로젝터 4로부터 투과 필름 3에 도달하는 투사 거리를 길게 하면서, 투과 필름 3에 대한 투사 각도를 크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실시 형태에 비해, 허용 투사 거리가 비교적 길게 되고, 허용 투사 각도가 비교적 큰 사양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투과 필름 3의 하방에서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를 마련하는 것으로, 이들이 시야에 들어오는 것이 없게 되는 효과도 상주한다.
[다른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전술한 제1~제3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다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투사 영상의 광로도이다.
도 12 (i)~(iv)에서 나타낸 것처럼, 각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함께 원통형의 투명한 케이스 2의 하부에게 대좌 221을 구비하고, 이러한 대좌 221의 중심으로 투과 필름 3을 입설하여 그 상부에 프로젝터 4를 수용한 상부 수용부 21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 (i)에서 나타낸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반사 미러 5를 상부 수용부 21 내부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도 12 (ii)에서 나타낸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반사 미러 5를 상부 수용부 21 내부의 정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미러 5를 케이스 2로부터 떨어진 외부에 마련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미러 5를 케이스 2와 일체적으로 구성된 상부 수용부 21에 두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장치 전체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이 경우, 프로젝터 4로부터 투과 필름 3에 도달하는 투사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져, 투과 필름 3에 대한 투사 각도 또한 예각이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탑재되는 프로젝터 4는 제1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탑재 가능한 프로젝터 4에 비해, 허용 투사 거리가 짧고, 허용 투사 각도가 작은 사양의 프로젝터 4를 이용하는 것이 조건이 된다.
이러한 구성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의하면, 프로젝터 4 및 반사 미러 5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는 상부 수용부 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시야에 들어가는 일은 없다.
또한, 프로젝터 4 및 반사 미러 5 또는 이러한 설치 기구가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기 때문에, 의장성에 우수하다.
또한, 정면측이나 배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에 있어서의 광원 등이 시야에 들어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시인성에 우수하다.
또한, 도 12 (i) 또는 도 12 (ii) 중 어느 입체 영상 표시장치 1도, 투과 필름 3에 투사된 영상광 중의 일부가 투과 필름 3을 투과하고, 대좌 221 상에 그림자로서 비추어져, 이것에 의해서도, 표시 대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시인시키는 효과를 상주한다.
특히, 도 12 (ii)에서 나타낸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처럼, 투과 필름 3에 대해 상부 정면측에서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배면측에 투과광이 비추어지기 때문에, 보다 자연스러운 그림자에 의한 입체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2 (iii)에서 나타낸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프로젝터 4를 상부 수용부 21 내부의 배면측에 배치하고, 도 12 (iv)에사 나타낸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프로젝터 4를 상부 수용부 21 내부의 정면측에 배치하고 있다.
도 12 (i), (ii)와 비교하면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들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반사 미러 5를 이용하지 않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의하면, 반사 미러 5를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고 쉬운 구성이면서, 도 12 (i), (ii)의 경우와 같이, 의장성이나 시인성에 대해서 뛰어난 효과를 상주한다.
덧붙여, 이러한 경우, 프로젝터 4로부터 투과 필름 3까지의 투사 거리가 더 짧게되고, 투과 필름 3에 대한 투사 각도도 더 예각이 된다.
이 때문에, 허용 투사 거리가 더 짧고, 허용 투사 각도가 작은 사양의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것이 조건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해당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 형태로서는, 장치 전체뿐만 아니라, 장치를 구성하는 각부(상부 수용부 21, 하부 수용부 22, 주부 6, 지주 23 등)의 형상, 위치, 크기, 기구, 디자인 등에 대해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것과 다른 형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수용부 21 및 하부 수용부 22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하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상부 수용부 21처럼 일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고, 제2 실시 형태의 상부 수용부 22 등과 같이 밀폐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내부가 보일 수도 있고, 내부가 보이지 않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2 (i)~(iv)에서는, 상부 수용부 21의 내부에 프로젝터 4와 반사 미러 5의 조합 또는 프로젝터 4만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대해, 하부 수용부 22를 마련하고, 하부 수용부 22의 내부에 프로젝터 4와 반사 미러 5의 조합, 또는, 프로젝터 4만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4를 포함하는 기기의 장착 기구나 장착 위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처럼, 사다리 형상의 부재에 프로젝터 4를 장착하도록 할 수 있고, 제2 실시 형태나 제3 실시 형태처럼, 케이스 내에 기기를 설치할 수 있고,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수용부 21 또는 하부 수용부 22의 어느 한 쪽에 기기를 집약하는 것으로, 다른 쪽의 수용부를 마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주부 6이, 케이스 2에 근접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형태일 수 있고, 케이스 2로부터 더 멀어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반사 미러 5나 센서 등의 기기를 상부 수용부 21이나 하부 수용부 22 등의 다른 구성부에 마련하는 경우, 주부 6을 마련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 2의 형상은, 원통형뿐만 아니라, 각기둥 형상, 구형상, 계란 형상 등, 여하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기둥 형상의 경우, 투과 필름 3에 표시되는 영상을 투명한 케이스 2를 통하고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원통형의 경우와 같이, 입체적인 시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투과 필름 3은 직사각형뿐만 아니라, 여하한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케이스 2의 형상에 맞게, 케이스 2에 내접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좌 221의 형상도 원형뿐만 아니라, 여하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 2의 형태에 맞게,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대좌 221의 모양도, 마방진뿐만 아니라, 여하한 모양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좌 221에 마련되는 발광 수단은, LED 이외의 발광 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대좌 221의 상방에서 대좌 221의 전체를 조사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연출용 LED 706은 대좌 221에 다수 마련하도록 하고 있지만(도 1, 도 7 등 참조), 이것을 하나로 합칠 수 있다.
즉, 대좌 221의 시인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면 반드시, 복수의 연출용 LED 706을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또한, 연출용 LED 706을, 적어도 투과 필름 3을 넘는 정면측의 영역과 배면측의 영역에 1개씩 마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대좌 221의 표면에 있어서, 투과 필름 3을 넘는 각각의 영역을 강하게 인식시키고, 투과 필름 3에 투영된 캐릭터 등의 전 및 후의 대좌 221의 존재를 보다 강조할 수 있으면, 반드시 많은 연출용 LED 706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의 위치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장치 본체의 중간 정도의 높이이거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거나, 투과 필름 3에 투영 가능하게 된다면 어떠한 위치가 될 수 있다.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의 설치 각도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각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반사 미러 5를 거의 수직이 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그로부터 몇 도 또는 그 이상 기울인 형태로 할 수 있고, 프로젝터 4의 설치 각도도 이것에 대응하는 각도로 기울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4의 사양(초점거리, 투사비 등)에도 한정은 없으며, 반사 미러 5의 형태도 원형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은, 반드시, 프로젝터 4의 사양을 만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본체 장치의 크기, 프로젝터 4나 반사 미러 5의 설치 위치 등에 의해, 소정의 초점거리나 투사비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경우, 화질 등의 품질이 낮게 되지만, 본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면, 제한 없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케이스 2의 내부에 액정 패널을 마련하고, 이것에 디지털 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캐릭터 등의 표시 대상 이외의 표시 영역은 배면측의 경치가 비쳐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의 입체 영상 표시장치 1과 같은 효과를 상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있어서는, 투과 필름 3(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주위를 가리는 케이스 부재 2a, 2b는, 전면이 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케이스 부재 2a, 2b는, 그 전면이 투과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있어서는, 투과 필름 3(평평한 형상의 부재)에 영상을 투영하는 구성상 어떻게든 측면측으로부터의 시인성이, 정면측으로부터의 시인성보다 낮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면으로부터 시인하는 경우가, 정면에서 시인하는 경우와 비교해, 캐릭터가 비뚤어져 보여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투영된 캐릭터가 의도하지 않는 형태로 유저에게 시인될 가능성이 있다. 거기서,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있어서는, 도 13~도 15에서 나타낸 것처럼, 투과 필름 3(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측면측에 대응하는 개소의 케이스 부재 2a, 2b를 불투명으로 (도면의 격자 부분 참조) 가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유저에 의해 측면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유저에게는 정면측에서 캐릭터를 시인시킬 수 있다. 즉,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있어서, 유저가 될 수 있도록 그 정면측에서 시인하고 싶어지도록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덧붙여, 도 13~도 15에서는, 저면측으로부터 천면(天面)까지 동일하게, 케이스 부재 2a, 2b의 평평한 형상의 판의 측면측에 대응하는 개소를 비투명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3~도 15의 격자 부분으로 나타나는 범위 전면이 아니라, 예를 들면, 저면측에서 소정 거리(천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까지 비투명으로 하고 거기로부터 상방은 투명으로 할 수도 있다. 혹은, 반대로 (천면측을 불투명하게 하고, 저면측을 투명하게 하는) 가공을, 케이스 부재 2a, 2b에 대해 수행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불투명하게 하는 영역(폭)은, 케이스 부재 2a과 케이스 부재 2b에서 다르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그 경우, 배면측의 케이스 부재 2b의 불투명하게 하는 영역을 케이스 부재 2a의 불투명하게 하는 영역보다 넓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 부재 2a에 있어서의 불투명한 영역은, 정면으로부터의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정도의 영역으로 한다.
덧붙여, 케이스 부재 2a, 2b의 일부를 불투명으로 가공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의 측면측의 투광성을 저하시키고, 유저가 정면측에서 시인하고 싶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에 부가하는 수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에도 측면측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수법으로서는, 케이스 부재 2a, 2b에 비투명 가공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착색한 필름을 케이스 부재 2a, 2b를 따라 접착하는 것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혹은, 완전한 투명 상태인 경우보다 시인성이 저하하면 되므로, 예를 들면, 도 13~도 15의 격자 부분으로 나타낸 위치의 케이스 부재 2a, 2b에 어느 정도 투과하는 색으로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혹은, 도 16에서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 내에 칸막이 1601, 1602를 마련하는 구성에 의해 측면측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도 16은,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을 상면에서 본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칸막이 1601, 1602는, 투과 필름 3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고, 각도를 두고 세워질 수도 있으며, 도 16에서는, 각도를 두고 세운 예를 나타내고 있다. 칸막이 1601, 1602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1의 저면 및 천면에 접착하는 것으로 세워질 수 있고, 저면 및 천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칸막이 1601, 1602를 넣기 위한 도랑을 마련하여 세워지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칸막이 1601은, 한 장의 판으로서 구성되며, 사이에 투과 필름 3을 삽입하기 위한 슬릿을 마련한 구조로 할 수 있고, 2장의 판으로부터 완성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칸막이 1602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투과 필름 3(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측면측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정면측의 시야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 좋고, 후배측의 시인성도 저하시키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때, 후배측에 칸막이를 세우고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경우에는, 투과 필름 3으로의 투영의 광축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칸막이 1601, 1602에 있어서는, 정면측에 대해, 경면 가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표시 대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입체 영상 표시장치
2 케이스
21 상부 수용부
22 하부 수용부
221 대좌
23 지주
3 투과 필름(평평한 형상의 부재)
4 프로젝터(영상 출력 수단)
5 반사 미러(반사 수단)
51 미러 부착부(조정 수단)
6 주부
71 제어부(출력 제어 수단)
72 입력부(입력 수단)
73 출력부(출력 수단)
706 연출용 LED(발광 수단)

Claims (8)

  1. 일부 또는 전부가 투광성 부재로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입설한 투광성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부재와,
    소정의 영상을,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에 있어서 표시 가능하게 출력하는 영상 출력 수단
    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하방에서, 소정의 시인성을 가지는 대좌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에는,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를 넘는 각각의 영역에 소정의 발광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수단에 의한 출력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위치를 조정 가능한 소정의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영상의 하단이,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하단을 따라 표시되도록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영상을 반사하는 것으로, 해당 반사된 영상을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에 표시시키는 반사 수단을,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수단과,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출력 수단에 의한 영상을 포함하는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은,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환경 정보를 입력했을 때에, 상기 환경 정보에 연관된 소정의 캐릭터에 관한 영상 정보 및/또는 음성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부이며,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측면에 대응하는 개소를 불투명한 부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상기 평평한 형상의 부재의 측면측으로부터의 시인성을 저해하는 저해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20187023555A 2016-07-15 2017-07-14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900255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0709 2016-07-15
JP2016140709A JP6316349B2 (ja) 2015-07-15 2016-07-15 立体映像表示装置
PCT/JP2017/025807 WO2018012632A1 (ja) 2016-07-15 2017-07-14 立体映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34A true KR20190025534A (ko) 2019-03-11

Family

ID=6095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555A KR20190025534A (ko) 2016-07-15 2017-07-14 입체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42366B2 (ko)
KR (1) KR20190025534A (ko)
CN (1) CN109716760A (ko)
WO (1) WO2018012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29A (ko) 2019-12-12 2021-06-22 김규천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6760A (zh) 2016-07-15 2019-05-03 门箱股份有限公司 立体影像显示装置
JP2020013037A (ja) * 2018-07-19 2020-01-23 Gatebox株式会社 投影装置
JP2021071754A (ja) * 2019-10-29 2021-05-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15242525B (zh) * 2022-07-26 2024-01-30 北京京东方技术开发有限公司 终端设备、终端设备的状态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12082715B2 (en) * 2022-08-23 2024-09-10 Display Your Passion Like a Boss Wall mounting system
US11937711B1 (en) 2022-11-21 2024-03-26 Lawrence Richard Reynolds, Jr. Item display cas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48734A1 (fr) * 1979-02-06 1980-09-05 Nicolas Pierre Ecran rotatif pour la reception d'images optiques, notamment d'images publicitaires
US4943851A (en) * 1989-03-07 1990-07-24 Gold Stake 360 degree viewing system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encircling a rotatable projection screen
JPH09166762A (ja) * 1995-12-14 1997-06-24 Denso Corp 立体表示装置
JPH1020824A (ja) 1996-07-01 1998-01-23 Nobuyuki Takeda 移動映写装置
US6183088B1 (en) * 1998-05-27 2001-02-06 Actuality Systems, Inc.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JP2001197524A (ja) * 2000-01-17 2001-07-19 Minolta Co Ltd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3255876A (ja) 2002-03-05 2003-09-10 Seiko Epson Corp 映像表示装置付き自走車両
US6969174B1 (en) * 2003-03-03 2005-11-29 Sorin Radulescu Apparatus and method for volumetric image reconstruction of volumetric images
US7692605B2 (en) * 2004-06-21 2010-04-06 Che-Chih Tsao Error correction schemes for volumetric 3D displays
JP2007007172A (ja) * 2005-06-30 2007-01-18 Yamaha Corp 遊技機
EP2395769B1 (en) * 2010-06-11 2015-03-04 Nintendo Co., Ltd. Image display program,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8854356B2 (en) * 2010-09-28 2014-10-07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213226B2 (en) * 2011-10-19 2015-1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directional display system
JP2015007734A (ja) 2013-06-26 2015-01-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方法及び表示装置
JP5808777B2 (ja) 2013-08-01 2015-11-10 株式会社バンダイ 映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001212A (ja) * 2014-06-11 2016-0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6316349B2 (ja) 2015-07-15 2018-04-25 Gatebox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CN109716760A (zh) 2016-07-15 2019-05-03 门箱股份有限公司 立体影像显示装置
US10713006B2 (en) * 2016-07-19 2020-07-14 Gatebox Inc. Image display apparatus, topic selection method, topic selection program,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29A (ko) 2019-12-12 2021-06-22 김규천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91405A1 (en) 2019-12-26
US10942366B2 (en) 2021-03-09
WO2018012632A1 (ja) 2018-01-18
CN109716760A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6349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KR20190025534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11854134B2 (en) Information display using electronic diffusers
JP6854859B2 (ja) 照明装置
CN107113949B (zh) 照明装置
EP4350476A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nsors and display devices
JP6824922B2 (ja) 表示装置
US10359161B2 (en) Light environment rendering system, lighting apparatus, light environment rende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13161498A1 (ja) 表示入力装置
JP2012517665A (ja) ランプ
CN110737168A (zh) 投影装置
JP2006145645A (ja) 情報表示装置
JP2014056155A (ja) カメラ装置
KR101784421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미러
JP2015079201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20210027263A (ko)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45883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CN203287674U (zh) 一种佛龛
WO2021075118A1 (ja) 画像表示装置
CN209803512U (zh)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209803509U (zh) 一种背光模组、显示模组及电子设备
JP2007043627A (ja) テレビドアホン子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ドアホン装置
US20090184941A1 (en) Structure of an andio device
KR20160026879A (ko) 2d 이미지 표면에 존재하는 이미지 정보 항목의 공간 깊이 효과를 만드는 기기 및 방법
JP2023051660A (ja) 表示装置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