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081A - 단조품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단조품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081A
KR20190025081A KR1020170108526A KR20170108526A KR20190025081A KR 20190025081 A KR20190025081 A KR 20190025081A KR 1020170108526 A KR1020170108526 A KR 1020170108526A KR 20170108526 A KR20170108526 A KR 20170108526A KR 20190025081 A KR20190025081 A KR 20190025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plant
factory
forging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욱
장희상
이진모
김남용
이채훈
주병돈
허상현
윤선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웅
Priority to KR1020170108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5081A/ko
Publication of KR2019002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02Hybrid process, e.g. forging following c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00Preparing metal stock or similar ancillary operations prior, during or post forging, e.g. heating or cooling
    • B21J1/06Heating or cooling methods 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forging or press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8Accessories for handling work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단조품의 생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단조품의 생산방법는: 제1공장에서 잉곳을 생산하는 단계와, 제1공장에서 생산된 잉곳을 제2공장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제2공장으로 이송된 잉곳을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로에서 가열된 잉곳을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조품의 생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ORGED STEEL PRODUCT}
본 발명은 단조품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공장에서 생상된 열괴의 잉곳을 단조공장으로 이송시키므로 잉곳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단조품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 풍력, 화학 용기에 사용되는 단조용 잉곳(INGOT)은 일정 형상의 주형 내에 용강을 채운 상태에서 응고시켜 제조된다. 주형은 내부에 제조되는 잉곳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내부에 용강이 채워지는 것이다.
종래에는 단조용 잉곳을 생산한 후 냉각된 잉곳을 단조 공장으로 이송하므로 단조를 위해 잉곳을 재가열할 때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16639호(2014.02.10 공개, 발명의 명칭: 잉곳용 주조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강공장에서 생상된 열괴의 잉곳을 단조공장으로 이송시키므로 잉곳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단조품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조품의 생산방법은: 제1공장에서 잉곳을 생산하는 단계와, 제1공장에서 생산된 잉곳을 제2공장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제2공장으로 이송된 잉곳을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가열로에서 가열된 잉곳을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공장은 단조 대상의 재질로 잉곳을 생산하는 제강공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공장은 가열로에서 가열된 잉곳을 단조 가공하는 단조공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공장에서 제2공장으로 이동할 때, 잉곳은 내화물을 구비한 운송차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로의 가열조건은, 운송차에 이송되기 전에 측정된 잉곳의 단면온도와, 운송차에 이송된 이후에 측정된 잉곳의 단면온도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조품의 생산방법은, 제1공장인 제강공장에서 생상된 열괴의 잉곳을 제2공장인 단조공장으로 이송시키므로, 잉곳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의 생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장에서 제2공장으로 잉곳이 운반되는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의 생산방법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의 생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공장에서 제2공장으로 잉곳이 운반되는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조품의 생산방법(1)은, 제1공장(10)에서 잉곳(ingot)(20)을 생산하는 단계(S10)와, 제1공장(10)에서 생산된 잉곳(20)을 제2공장(40)으로 이송하는 단계(S20)와, 제2공장(40)으로 이송된 잉곳(20)을 가열로(50)에서 가열하는 단계(S30) 및 가열로(50)에서 가열된 잉곳(20)을 단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1공장(10)에서 잉곳(20)을 생산하는 잉곳생산단계(S10)에서, 제1공장(10)은 단조 대상의 재질로 잉곳(20)을 생산하는 제강공장이다.
잉곳(20)은 금속 또는 합금을 한번 녹인 다음 주형(鑄型)에 흘려넣어 굳힌 것이다. 잉곳케이스라고 하는 비교적 간단한 모양의 주형을 쓰며 주괴(鑄塊)라고도 한다.
철강의 생산공정에서 전로(轉爐)·평로(平爐)·전기로 등에서 얻어진 용강(鎔鋼)을 주형에 부어 냉각하면 강괴(鋼塊)가 된다. 이것을 조괴공정(造塊工程)이라 한다. 잉곳(20)은 소성가공을 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되며, 알맞은 형상의 크기로 쇳물을 부어넣어서 냉각시키므로 목적한 형상을 만든다.
제강공장인 제1공장(10)에서 생산된 잉곳(20)은 냉각되기 전에 바로 제2공장(40)으로 이송된다.
잉곳생산단계(S10) 이후에 제1공장(10)에서 생산된 잉곳(20)을 제2공장(40)으로 이송하는 잉곳이송단계(S20)를 갖는다. 제1공장(10)에서 제2공장(40)으로 이동할 때, 잉곳(20)은 내화물을 구비한 운송차(30)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진다.
운송차(30)는 고온의 잉곳(20)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내화물을 구비한 특수차량이며, 잉곳(2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구속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잉곳(20)과 마주하는 곳에는 내화물이 설치되므로 고온의 잉곳(20)에 의해 운송차(30)가 손상됨을 방지한다.
잉곳이송단계(S20) 이후에 제2공장(40)으로 이송된 잉곳(20)을 가열로(50)에서 가열하는 잉곳가열단계(S30)를 갖는다. 제2공장(40)은 가열로(50)에서 가열된 잉곳(20)을 단조 가공하는 단조공장이며, 제2공장(40)의 내측에는 잉곳(2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로(50)도 구비된다.
제1공장(10)에서 생산된 잉곳(20)은 고온 상태이며, 뜨거운 덩어리인 열괴(熱塊)의 잉곳(20)은 운송차(30)를 통해 제2공장(40)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제2공장(40)에 도착한 잉곳(20)을 재가열하기 위한 에너지는 냉각된 잉곳(20)을 재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대비 적게 사용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50)의 가열조건은, 운송차(30)에 이송되기 전에 측정된 잉곳(20)의 단면온도와, 운송차(30)에 이송된 이후에 측정된 잉곳(20)의 단면온도를 바탕으로 설정된다. 광선의 조사로 잉곳(20)의 외측 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잉곳(20)의 단면온도를 산출한다.
잉곳가열단계(S30) 이후에 가열로(50)에서 가열된 잉곳(20)을 단조하는 단조단계(S40)를 갖는다. 단조는 금속 재료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압력을 가하여 목적한 형태로 만드는 작업이다. 이러한 단조는 펴기, 업세팅, 전단, 넓히기, 벤딩, 펀칭, 절단 등이 있다. 가열로(50)에서 가열된 잉곳(20)은 단조단계(S40)를 거치면서 단조품으로 성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공장(10)인 제강공장에서 생상된 열괴의 잉곳(20)이 완전히 냉각되기 전에 제2공장(40)인 단조공장으로 이송되므로, 잉곳(20)의 재가열에 소요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단조품의 생산방법
S10: 잉곳생산단계 S20: 잉곳이송단계
S30: 잉곳가열단계 S40: 단조단계
10: 제1공장 20: 잉곳
30: 운송차 40: 제2공장
50: 가열로

Claims (5)

  1. 제1공장에서 잉곳을 생산하는 단계;
    상기 제1공장에서 생산된 상기 잉곳을 제2공장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공장으로 이송된 상기 잉곳을 가열로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로에서 가열된 상기 잉곳을 단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의 생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장은 단조 대상의 재질로 상기 잉곳을 생산하는 제강공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의 생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장은 상기 가열로에서 가열된 상기 잉곳을 단조 가공하는 단조공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의 생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장에서 상기 제2공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잉곳은 내화물을 구비한 운송차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의 생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의 가열조건은, 상기 운송차에 이송되기 전에 측정된 상기 잉곳의 단면온도와, 상기 운송차에 이송된 이후에 측정된 상기 잉곳의 단면온도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조품의 생산방법.
KR1020170108526A 2017-08-28 2017-08-28 단조품의 생산방법 KR20190025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26A KR20190025081A (ko) 2017-08-28 2017-08-28 단조품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526A KR20190025081A (ko) 2017-08-28 2017-08-28 단조품의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081A true KR20190025081A (ko) 2019-03-11

Family

ID=6575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526A KR20190025081A (ko) 2017-08-28 2017-08-28 단조품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50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5125A (zh) * 2020-09-30 2020-12-08 江苏永茂普隆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锻件的精确锻造工艺
KR102207021B1 (ko) 2019-07-16 2021-01-26 (주)홍일티에스엠 단조 제조 공정용 에어링
CN114367615A (zh) * 2022-01-18 2022-04-19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s32760超级双相不锈钢钢锭的锻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021B1 (ko) 2019-07-16 2021-01-26 (주)홍일티에스엠 단조 제조 공정용 에어링
CN112045125A (zh) * 2020-09-30 2020-12-08 江苏永茂普隆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锻件的精确锻造工艺
CN114367615A (zh) * 2022-01-18 2022-04-19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s32760超级双相不锈钢钢锭的锻造方法
CN114367615B (zh) * 2022-01-18 2023-07-14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s32760超级双相不锈钢钢锭的锻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23197B (zh) 一种利用铸坯辗扩成形大型环件的方法
KR20190025081A (ko) 단조품의 생산방법
JP6388084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ライン
CN104046921B (zh) 超大截面贝氏体预硬化塑胶模具钢及其制备方法
CN104607580A (zh) 一种超大规格铝合金矩形环的锻造成型工艺
CN105525157A (zh) 一种铝合金汽车轮毂铸造工艺
CN102886643A (zh) 一种汽车用滑动叉的制造方法
CN102134685A (zh) 制造用于汽车部件的金属成型构件的方法
CN102407297A (zh) 制造铝合金复合圆锭坯的方法
JP5237573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シートおよび成形部材の各製造方法
CN101774006A (zh) 一种液态金属铸锻成型用四柱立式液压装备
CN112605353A (zh) 一种超大型立式连铸坯及生产方法、锻件及生产方法
CN203791594U (zh) 用于金属的连铸成型加工设备
JPH01192423A (ja) 金属体の曲げ方法
Lozares et al. Thixo lateral forging of a commercial automotive spindle from LTT45 steel grade
CN102886661A (zh) 一种汽车后桥主动螺伞齿轮锻件锻造方法
Kim et al. Feasibility of using continuously cast round bloom as a substitute to cast ingot in the manufacture of heavy forgings
US10065228B2 (en) Collapsible spacer and spacing method for forming
KR101779173B1 (ko) 1 쇼트 용해 다이캐스팅 주조방법
CN104624989A (zh) 用于金属的连铸成型加工设备和方法
CN206763832U (zh) 一种长尺寸轴管内腔精锻成型模具
CN103978169A (zh) 一种带有铜冷却壁的铸铁模
CN110280703B (zh) 一种旋转锻造应变诱发式半固态流变成形生产线
KR20180023396A (ko)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모듈 제조 방법
CN109570415A (zh) 一种汽车轮毂的锻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