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287A -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287A
KR20190024287A KR1020170111129A KR20170111129A KR20190024287A KR 20190024287 A KR20190024287 A KR 20190024287A KR 1020170111129 A KR1020170111129 A KR 1020170111129A KR 20170111129 A KR20170111129 A KR 20170111129A KR 20190024287 A KR20190024287 A KR 20190024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layer
layer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희원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17011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4287A/en
Publication of KR2019002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2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2Protection against overvoltage, e.g. fuses, shu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9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of epitaxial layers by a deposition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09Diodes
    • H01L29/66121Multilayer diodes, e.g. PNPN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3Discrete devices, e.g. 3 terminal devices
    • H01L2924/1301Thyristor
    • H01L2924/13017Shockley diode - Unidirectional trigger and switching devic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having a lower clamping voltage/capacitance and a higher peak pulse current in a chip scale packag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or example,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includes: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e type;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e type formed on the substrate; a first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e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a pair of second buried layers of a second conductive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a third buried layer of a first conductive type formed on the first buried layer; a fourth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e type formed on the third buried layer; at least one trench source region of a first conductive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uried layers; a pair of first conductive regions of a first conductive typ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uried layer in the epitaxial layer; and a pair of second conductive regions of a second conductive typ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in the epitaxial layer.

Description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이용한 양방향 로우 클램핑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using a choke diode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동작 원리 및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peration principle and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are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G)과 부하(RLOAD) 사이에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예를 들면, 바리스터, 타이리스터, 다이오드(정류/제너))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일측은 접지(GND)에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TVS (for example, varistor, thyristor, diode (rectifier / zener))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a power source V G and a load R LOAD , And one side of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ground (GN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부하(RLOAD)에서 요구되는 전압 이상의 과도 전압이 입력될 경우, 이 과도 전압에 의한 과도 전류(ITV)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를 통하여 접지(GND)쪽으로 흐르고, 클램핑되어 안정화된 저전압만이 부하(RLOAD)에 인가됨으로써, 그 부하(RLOAD)가 과도 전압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With this arrangement, when an excessive voltage exceeding the voltage required by the load R LOAD is input, the transient current I TV caused by the transient voltage flows toward the ground GND via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TVS , by applying a low voltage is clamped to stabilize only the load (R lOAD), the load (R lOAD) is protected from excess voltage.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에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에 PN 순방향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함에 있어, 전극의 하부에 트렌치 소스 영역을 삽입하고, 일측에 웰 영역을 더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더 낮은 클램핑 전압 및 캐패시턴스(Vc)와 더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양방향 로우 클램핑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chottky diode structure of a PNPN structure is formed in a chip scale package and a PN forward diode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structure, a trench source region is inser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having a lower clamping voltage and capacitance (Vc) and a higher peak pulse current (Ipp) than the conventional one, thereby forming a well region on one side.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매립층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2 매립층;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3 매립층; 상기 제 3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4 매립층;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매립층의 일측에 다수의 제 1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트렌치에 각각 증착된 제 1 도전형의 트렌치 소스 영역; 상기 에피텍셜층에서 상기 제 1 매립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에피텍셜층에서 상기 제 1 매립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한다.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ed on top of the substrate; A first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A second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the second buried layer being formed on the epitaxial layer; A third buried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ed on the first buried layer; A fourth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on the third buried layer; A trench source region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trench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and each is deposited on the first trench; A pair of first conductivity typ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in the epitaxial layer; And a pair of second conductivity typ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in the epitaxial layer.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의 일측인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에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이 형성된다.And a well region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on one side of the trench source region,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re formed in the well region.

상기 에피텍셜층의 상부로부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제 2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트렌치에 절연막이 증착되어, 상기 제 1 매립층, 제 2 매립층, 트렌치 소스 영역 및 웰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수평 방향에서 격리시킨다.A second trench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epitaxial layer to the substrate and an insulating film is deposited on the second trench so th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ried layer, the second buried layer, the trench source region, .

상기 제 4 매립층은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연결된다.The fourth buried layer is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s through an electrode formed on the upper part.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은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 2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연결된다.The trench source region is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through an upper electrode.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한다.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form a diode structure.

상기 제 1 매립층은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를 통해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과 연결된다.The first buried layer is connected to the trench source region through the substrate.

상기 제 4 매립층, 제 3 매립층, 제 1 매립층 및 서브스트레이트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한다.The fourth buried layer, the third buried layer, the first buried layer and the substrate form a Shockley diode structure.

상기 에피텍셜층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제 4 매립층, 트렌치 소스 영역,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의 각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더 포함한다.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epitaxial layer and exposing portions of the fourth buried layer, the trench source region,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상기 에피텍셜층은 상기 제 1 매립층 및 제 2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1 에피텍셜층, 상기 제 1 에피텍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2 에피텍셜층, 상기 제 2 에피텍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3 에피텍셜층을 포함한다.Wherein the epitaxial layer comprises a first epitaxial layer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ried layers are formed, a second epitaxial layer formed on the first epitaxial layer and on which the third buried layer is formed, And a third epitaxial layer formed on the top of the texial layer and on which the fourth buried layer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은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과 제 2 매립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일측에 다수의 제 1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트렌치에 각각 제 1 도전형의 트렌치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제 1 도전형의 제 3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상기 제 3 매립층의 상부에 제 2 도전형의 제 4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제 1 매립층의 양측에서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fabricat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eparing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ing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substrate; Forming a first buried layer and a second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on the epitaxial layer;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trenches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and forming trench source region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trenches, respectively; Forming a third buried layer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Forming a fourth buried layer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on the third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And forming a first conductive typ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의 일측인 상기 에피텍셜층에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에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한다.Further comprising forming a well region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in the epitaxial layer on one side of the trench source region,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well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

상기 에피텍셜층의 상부로부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제 2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트렌치에 절연막을 증착하여, 상기 제 1 매립층, 제 2 매립층, 트렌치 소스 영역 및 웰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수평 방향에서 격리시킨다.Forming a second trench from the top of the epitaxial layer to the substrate and depositing an insulating film on the second trench so th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ried layer, the second buried layer, the trench source region, .

상기 제 4 매립층의 상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한쌍의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상기 제 4 매립층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nd forming an electrode on the fourth buried layer to connect one of the pair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s to the fourth buried layer.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의 상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한쌍의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nd forming an electrode on top of the trench source region to connect the trench source region to one of the pair of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본 발명은 칩 스케일 패키지(Chip Scale Package)에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에 PN 순방향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함에 있어, 전극의 하부에 트렌치 소스 영역을 삽입하고, 일측에 웰 영역을 더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더 낮은 클램핑 전압 및 캐패시턴스(Vc)와 더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양방향 로우 클램핑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chottky diode structure of a PNPN structure is formed in a chip scale package, and a PN forward diode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structure. A trench source region is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having a lower clamping voltage and capacitance (Vc) and a higher peak pulse current (Ipp) than conventional one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o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구조에 대해 등가 회로를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general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O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of a structure of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o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O are cross-sectional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은 서브스트레이트 준비 단계(S1), 제 1 에피텍셜층 형성 단계(S2), 제 1 매립층 형성 단계(S3), 제 2 매립층 형성 단계(S4), 제 2 에피텍셜층 형성 단계(S5), 제 3 매립층 형성 단계(S6), 제 3 에피텍셜층 형성 단계(S7), 제 4 매립층 형성 단계(S8), 트렌치 소스 영역 형성 단계(S9),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형성 단계(S10), 웰 영역 형성 단계(S11), 제 1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2), 제 2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3), 절연막(컨택) 형성 단계(S14), 전극 형성 단계(S1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각 단계들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o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a method for fabricating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preparing step S1, a first epitaxial layer forming step S2, a first buried layer forming step S3, The second epitaxial layer forming step S5, the third buried layer forming step S6, the third epitaxial layer forming step S7, the fourth buried layer forming step S8, the trench source forming step S6,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forming step S9, the trench isolation forming step S10, the well region forming step S11,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forming step S12,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forming step S13, A step S14, and an electrode formation step S15. Hereinafter, the steps of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O.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스트레이트 준비 단계(S1)에서 제1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110)가 준비된다.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일례로, 진성 반도체에 5족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등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주입되어 형성된 N++형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고농도라 함은 후술할 에피텍셜층(120)의 불순물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도가 크다는 의미이다. 한편, 제1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진성 반도체에 3족 원소인 갈륨(Ga), 인듐(In) 또는 붕소(B)등의 불순물이 고농도로 주입된 P형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가 N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A, in the substrate preparation step S1, a substrate 110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is prepared. The substrate 110 is in the form of a plate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substrate 110 may be, for example, an N + + type semiconductor substrate formed by implanting an impurity such as arsenic (As), phosphorus (P), or antimony (Sb), which is a Group 5 element, into the intrinsic semiconductor at high concentration. Here, the high concentration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impurity concentration of the epitaxial layer 12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110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a P-type in which impurity such as gallium (Ga), indium (In), or boron (B), which is a group III element, is implanted into the intrinsic semiconductor at high concentra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ubstrate 110 is N-type.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에피텍셜층 형성 단계(S2)에서 제 1 에피텍셜층(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600~2000℃의 고온에서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상면에 SiH4등의 가스와 5가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 등이 포함된 가스를 저농도로 함께 흘려줌으로써,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의 표면에 N형의 제 1 에피텍셜층(120)이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B,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first epitaxial layer forming step S2. For example, at a high temperature of 600 to 2,000 ° C., a gas containing SiH 4 gas and a pentavalent element such as arsenic (As), phosphorus (P), or antimony (Sb) The N-type first epitaxial layer 120 may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by flowing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together.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매립층 형성 단계(S3)에서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2도전형의 제 1 매립층(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매립층(130)은 제 1 에피텍셜층(120)의 상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매립층(130)은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가 형성될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매립층(130)은 상기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의 구조에서 P+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C, a first buried layer 130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substrate 110 in the first buried layer forming step S3. Here, the first buried layer 130 is formed to have a certain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toward the inside. In addition, the first buried layer 13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where a Shockley diode having a PNPN structure is to be formed, for example,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substrate 110. Accordingly, the first buried layer 130 may include a P + type region in the structure of the Shockley Diode (Shockley Diode).

이러한 제 1 매립층(130)은 제 1 에피텍셜층(120)의 상면에 1차로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등의 절연막(미도시)을 제 1 매립층(130)이 형성될 이외의 영역에 형성한 후, 3족 원소인 갈륨(Ga), 인듐(In) 또는 붕소(B)등의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 하거나 또는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P+형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buried layer 130 may be formed by forming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such as a silicon oxide film or a nitrogen oxide fil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in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first buried layer 130 is formed Impurity such as gallium (Ga), indium (In) or boron (B) as a Group III element can be directly ion-implanted or a thermal diffusion process can be performed to form P + type.

한편, 서브스트레이트(110)의 하면에는 하면 절연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절연막은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언도프트 폴리 실리콘(undoped poly silicon), PSG(Phospho-Silicate-Glass), BPSG(Boro-Phosphor-Silicate-Glass) 또는 이들의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면 절연막은 고농도의 제 1 도전형 서브스트레이트(110)의 오토도핑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a bottom insulating film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he insulating film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 oxide film, a nitrogen oxide film, undoped polysilicon, Phospho-Silicate-Glass (PSG), Borophosphoric Silicate-Glass (BPS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sulating layer prevents auto-doping of the first conductive type substrate 110 having a high concentration.

이어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매립층 형성 단계(S4)에서 상기 제 1 매립층(130)의 외측에 P형의 제 2 매립층(15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매립층(150)은 제 1 매립층(130)을 중심으로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매립층(150)은 제 1 매립층(130)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매립층(130)의 우측에 하기할 트렌치 소스 영역이 형성된다.3D, a second P type buried layer 150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buried layer 130 in the second buried layer forming step S4. Here, the second buried layer 15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D, the second buried layer 150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130. Here, a trench source region to be described below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130.

상기 제 2 매립층(150)은 상기 제 1 매립층(130)과 동일하게 3족 원소를 직접 이온 주입하거나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매립층(150)은 상기 제 1 매립층(130)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P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uried layer 150 may be formed by directly ion-implanting a Group III element or performing a thermal diffusion process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uried layer 130. In addition, the second buried layer 150 may be formed in a relatively low P-type than the first buried layer 130.

또한, 도 3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2 에피텍셜층 형성 단계(S5)에서 상기 제 1 에피텍셜층(120)의 상부에 제 2 에피텍셜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에피텍셜층(160)은 상기 제 1 매립층(130) 및 제 2 매립층(150)을 커버하도록 그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에피텍셜층(160)은 상기 제 1 에피텍셜층(120)과 동일하게 SiH4등의 가스와 5가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 등이 포함된 가스를 저농도로 함께 흘려줌으로써, 상기 제 1 에피텍셜층(120)의 표면에 N형의 제 2 에피텍셜층(160)이 증착되도록 할 수 있다. 3E, a second epitaxial layer 16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in the second epitaxial layer formation step S5.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may be formed on the first buried layer 130 and the second buried layer 150 to cover the first buried layer 130 and the second buried layer 150.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a gas such as SiH 4 and a pentavalent element such as arsenic (As), phosphorus (P), or antimony (Sb)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An N-type second epitaxial layer 160 may be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by flowing the contained gases at a low concentration.

도 3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3 매립층 형성 단계(S6)에서 상기 제 1 매립층(130)의 상부에 N+형의 제 3 매립층(17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매립층(170)은 상기 제 2 에피텍셜층(160)에 대해 5족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하거나 열확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매립층(170)은 쇼클리 다이오드의 구조에서 N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매립층(150)으 상부인 제 2 에피텍셜층(160)에 추가적인 제 1 도전형의 매립층(17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매립층(171)은 제 3 매립층(170)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 농도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F, the N + -type third buried layer 170 is formed on the first buried layer 130 in the third buried layer forming step S6. The third buried layer 170 may be formed by directly ion implanting 5-group impurities into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or by thermal diffusion. In addition, the third buried layer 170 may form an N layer in the structure of the choke diode. Here, an additional first conductive type buried layer 171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uried layer 15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Here, the buried layer 171 may be formed at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as compared with the third buried layer 170.

도 3g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3 에피텍셜층 형성 단계(S7)에서 상기 제 2 에피텍셜층(160)의 상부에 제 3 에피텍셜층(18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에피텍셜층(180)은 상기 제 2 에피텍셜층(160)과 마찬가지로 SiH4등의 가스와 5가 원소인 비소(As), 인(P) 또는 안티몬(Sb) 등이 포함된 가스를 저농도로 함께 흘려줌으로써, N+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G, a third epitaxial layer 180 is formed on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in the third epitaxial layer formation step S7. Like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may include a gas including SiH 4 gas and arsenic (As), phosphorus (P), or antimony (Sb) To the N + -type impurity region.

이후 도 3h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4 매립층 형성 단계(S8)에서 상기 제 3 매립층(170)의 상부에 P+형의 제 4 매립층(190)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매립층(190)은 상기 제 1 매립층(130)과 동일하게 3족 원소인 갈륨(Ga), 인듐(In) 또는 붕소(B)등의 불순물을 직접 이온주입 하거나 또는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P+형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4 매립층(190), 제 3 매립층(17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순차적으로 PNPN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는 전후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함께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양방향성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낮은 클램핑 전압 및 캐패시턴스(Vc)와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전압(Vc)은 5A의 전류를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 기존 12V에 비해 낮아진 5V로 측정되었기 때문에(다르게 설명하면, 1pF -> 0.5pF), 기존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부터도 부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에서 피크 펄스 전류(Ipp)는 기존 5A에서 8A로 증가였음을 확인하였다.3H, a P + type fourth buried layer 190 is formed on the third buried layer 170 in the fourth buried layer forming step S8. The fourth buried layer 190 may be formed by directly implanting an impurity such as gallium (Ga), indium (In) or boron (B), which is a group III ele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buried layer 130, , And P + type. Accordingly, the fourth buried layer 190, the third buried layer 170, the first buried layer 130, and the substrate 110 can sequentially form a PNPN structur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Shockley diode (Shockley Diode) Can be formed. Such a Shockley diode structure can be connected in series with forward and reverse forward diod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bidirectional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TVS) structure with low capacitance.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having a clamping voltage and capacitance (Vc) and a high peak pulse current (Ipp) which are lower than those of the prior art. For example, the clamping voltage (Vc) is measured at 5A, which is lower than the conventional 12V (measured 1pF -> 0.5pF). As a result, the clamping voltage . ≪ / RTI >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eak pulse current Ipp in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as increased from 8A to 5A.

이어서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 형성 단계(S9)에서 제 3 에피텍셜층(180), 제 2 에피텍셜층(160), 제 1 에피텍셜층(12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일정 깊이로 다수의 트렌치가 형성되고, 트렌치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트렌치 소스 영역(140)이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트렌치 소스 영역(140)은 PNPN 구조(즉, 제 4 매립층(190), 제 3 매립층(17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에 의해 형성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와 일측의 제 2 매립층(150)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된다.3I,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and the substrate 110 (FIG. 3C) are formed in the trench source region forming step S9 A plurality of trench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o the trenches, and the first conductive impurities are implanted into the trenches to form the trench source regions 140. [ In particular, such a trench source region 140 has a PNPN structure (i.e., a Shockley diode structure formed by the fourth buried layer 190, the third buried layer 170, the first buried layer 130, and the substrate 110) The first and second buried layers 150 and 150 are formed.

일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 3 에피텍셜층(180), 제 2 에피텍셜층(160), 제 1 에피텍셜층(12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일정 깊이로 다수의 트렌치가 딥 에칭 공정 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트렌치에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예를 들면, POCl₃, H₃PO₄등)이 고온에서 증착 및 확산되고, 이후 빈 공극에 폴리 실리콘이 채워짐으로써, 제 1 도전 형의 트렌치 소스 영역(140)이 형성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and not limitation, a number of trenches may be formed in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the second epitaxial layer 160, the first epitaxial layer 120, and the substrate 110 at a certain depth, Or a laser ablation process, and impurities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for example, POCl3, H₃PO4, etc.) are deposited and diffused at a high temperature in the thus formed trench, and then the vacancies are filled with polysilicon A trench source region 140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may be formed.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POCl₃ 도핑은 크게 1 단계인 선증착(Predeposition)과 2 단계인 850℃ 이상의 고온에서 불순물을 실리콘 속으로 밀어 넣는(drive-in) 확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선증착 과정에서는 810℃ 정도의 온도에서 기 형성된 트렌치의 표면에 POCl₃를 주입시킨다. 이 과정에서 트렌치의 표면에 P₂O5 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확산 과정에서는 820℃ 내지 860℃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하여 P₂O5 층의 P를 트렌치의 표면 즉, Si 속으로 확산시킴으로써, 제 1 도전형(즉, N 타입)의 트렌치 소스 영역(1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POCl₃ 도핑 시 도핑 깊이는 대략 0.5μm 범위로 형성되므로, 트렌치의 나머지 공극에는 진성 폴리 실리콘이 채워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lthough not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POCl3 doping includes predeposition, which is largely a first stage, and diffusion-process, which drives the impurities into silicon at a high temperature of 850 DEG C or higher, can do. In the line deposition process, POCl 3 is implanted into the surface of the preformed trench at a temperature of about 810 ° C. In this process, a P 2 O 5 oxide film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ench. In the subsequent diffusion process,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about 820 ° C. to 860 ° C. to diffuse the P of the P₂O 5 layer into the surface of the trench, ie, Si, whereby the first conductive type (ie, N type) trench source region 140 . Here, the POCl3 doping results in a doping depth of approximately 0.5 mu m, so that the remaining pores of the trench can be filled with intrinsic polysilicon.

이러한 트렌치 소스 영역(140)에 의해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즉, 제 4 매립층(190), 제 3 매립층(180), 제 1 매립층(15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 및 순방향 다이오드 구조(즉, 도면 중 우측의 제 2 도전형 영역(230) 및 제 1 도전형 영역(220))가 직렬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The trench source region 140 is formed by the shading diode structure (i.e., the fourth buried layer 190, the third buried layer 180, the first buried layer 150, and the substrate 110) and the forward diode structure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230 and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220 on the right side) are connected in series,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230 and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220 in series.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형성 단계(S10)에서 상기 제 3 에피텍셜층(180)의 상면으로부터 트렌치가 형성되고, 이러한 트렌치에 절연막이 채워짐으로써,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0)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0)은 상기 제 3 에피텍셜층(18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다수의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0: 211 내지 218)을 포함할 수 있다.3J, a trench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in the trench isolation forming step (S10). By filling the trench with an insulating film, the trench isolation 210 is implemented . The trench isolation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ench isolations 210: 211 - 218 spac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구체적으로, 제 1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1) 및 제 2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2)은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3 에피텍셜층(180), 제 2 에피텍셜층(160), 제 1 에피텍셜층(120), 제 3 매립층(171), 제 2 매립층(15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부에 있는 제 3 에피텍셜층(180)에 형성되는 다이오드 구조가 독립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trench isolation 211 and the second trench isolation 212 sequentially include a third epitaxial layer 180, a second epitaxial layer 160, a first epitaxial layer 120, The third buried layer 171, and the second buried layer 150 to reach the substrate 110, and may be isolated. Also, the diode structure formed in the upper third epitaxial layer 180 can be made independent.

또한, 제 3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3) 및 제 4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4) 역시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4 매립층(190), 제 3 매립층(170), 제 1 매립층(13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이들 PNPN 구조가 상술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면서, 다른 구조들과 독립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ird trench isolation 213 and the fourth trench isolation 214 are also sequentially passed from the top through the fourth buried layer 190, the third buried layer 170 and the first buried layer 130, 110, so that these PNPN structures can be made independent of other structures while forming the above-described choke diode structure.

또한, 상기 제 5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5) 및 제 6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6) 역시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3 에피텍셜층(180), 제 2 에피텍셜층(160) 및 제 1 에피텍셜층(12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140)을 다른 구조로부터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fth trench isolation 215 and the sixth trench isolation 216 may also include a third epitaxial layer 180, a second epitaxial layer 160, and a first epitaxial layer 120 sequentially from the top. To reach the substrate 110 so that the trench source region 140 is isolated from other structures.

또한, 상기 제 7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7) 및 제 8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8) 역시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3 에피텍셜층(180), 제 2 에피텍셜층(160) 및 제 1 에피텍셜층(120)을 통과하여 상기 서브스트레이트(110)에까지 이르도록 형성되어,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부에 있는 제 3 에피텍셜층(180)에 형성되는 하기할 웰 영역 및 다이오드 구조가 독립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venth trench isolation 217 and the eighth trench isolation 218 may also include a third epitaxial layer 180, a second epitaxial layer 160, and a first epitaxial layer 120 sequentially from the top. And may be formed so as to reach the substrate 110 and be isolated. In addition, the well region and the diode structure to be formed in the upper third epitaxial layer 180 can be made independent.

이어서, 도 3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웰 영역 형성 단계(S11)에서 제 7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7) 및 제 8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8)으로 둘러싸인/격리된 제 3 에피텍셜층(180)에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20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웰 영역(200)의 깊이는 제 3 에피텍셜층(180)의 깊이보다 작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3K, a third epitaxial layer 180 surrounded / isolated by the seventh trench isolation 217 and the eighth trench isolation 218 in the well region formation step S11 is formed. So that the well region 200 of the conductive type is formed. The depth of the well region 200 may be less than the depth of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상기 웰 영역(200)은 제 3 에피텍셜층(180)에 3족 원소를 직접 이온 주입하거나 열확산 공정을 진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웰 영역(200)은 상기 제 3 에피텍셜층(180)과 다른 도전형태를 가지므로, 생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The well region 200 may be formed by directly ion-implanting a Group 3 element into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or by performing a thermal diffusion process. Thus, the well region 200 has a different conductive form from that of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so that a buried-schottky diode structure is not formed.

이후, 도 3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2)에는 상기 제 1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1) 및 제 2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2)의 사이의 제 3 에피텍셜층(180)과, 상기 제 7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7) 및 제 8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8)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200)에 대해 각각 N+형의 제 1 도전형 영역(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도전형 영역(220)은 상기 쇼클리 다이오드의 구조의 전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순방향의 다이오드 구조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31, a third epitaxial layer 180 between the first trench isolation 211 and the second trench isolation 212 is formed in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forming step S12, The N + typ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220 is formed for the well region 200 formed between the first trench isolation 217 and the eighth trench isolation 218, respectively.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20 forms a part of a forward diode structure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tructure of the shockle diode.

또한, 도 3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 형성 단계(S13)에서 상기 제 1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1) 및 제 2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2)의 사이의 제 3 에피텍셜층(180)과, 상기 제 7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7) 및 제 8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8)의 사이에 형성된 웰 영역(200)에 대해 각각 P+형의 제 2 도전형 영역(23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230)은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220)과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이들 도전형 영역(220, 230)의 구조를 통해 다이오드의 구조가 완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M,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between the first trench isolation 211 and the second trench isolation 212 in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forming step S13 Typ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230 are formed for the well region 200 formed between the first trench isolation 217 and the eighth trench isolation 218. The p +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230 is loca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220 and the structure of the diode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nductive type regions 220 and 230.

한편, 이때 제 1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1)의 외곽과 제 8 트렌치 아이솔레이션(218)의 외곽에 각각 제 3 에피텍셜층(180)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제 2 도전형 영역(2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제 2 도전형 영역(26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에서 MOSFET 캐패시턴스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a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26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hird epitaxial layer 18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trench isolation 211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eighth trench isolation 218, respectively . This pair of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260 serves to lower the MOSFET capacitance in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도 3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막(컨택) 형성 단계(S14)에서 상기 구조의 상면에 대해 절연막(240)을 형성하고, 각 절연막(240)에 비아를 형성하여 각 다이오드 또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에 컨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막(240)은 규소 산화막, 질소 산화막, 언도프트 폴리 실리콘(undoped poly silicon), PSG(Phospho-Silicate-Glass), BPSG(Boro-Phosphor-Silicate-Glass) 또는 이들의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3N, an insulating film 2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in the insulating film (contact) forming step S14, a via is formed in each insulating film 240, and each diode or a shockle diode A contact can be formed in the structure. The insulating layer 240 may b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licon oxide layer, a nitrogen oxide layer, undoped polysilicon, phospho-silicate-glass (PSG), borophosphoric-silicate-glass (BPS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3o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형성 단계(S15)에서 상기 절연막(240)을 통해 노출된 제 1 도전형 영역(220), 제 2 도전형 영역(230) 및 제 4 매립층(190) 및 트렌치 소스 영역(140)의 상면에 전극(250)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 중 좌측의 제 1 도전형 영역(220)(즉, 순방향 다이오드)은 제 4 매립층(190)(즉, 쇼클리 다이오드)과 전극(250)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트렌치 소스 영역(140)은 우측의 제 2 도전형 영역(230)(즉, 순방향 다이오드)과 전극(250)을 통해 연결된다. 더불어, 좌측의 제 2 도전형 영역(230)에도 전극(250)이 연결되고, 우측의 제 1 도전형 영역(220)에도 전극(250)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전극(250)에는 도전성 와이어, 도전성 클립 또는 리드프레임 등이 연결될 수 있다.3O,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220,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230, and the fourth buried layer 190 (not shown) expos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240 in the electrode forming step S15 And an electrode 2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ench source region 140. Here,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220 (i.e., a forward diode)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is connected to the fourth buried layer 190 (i.e., a Shockley diode) through the electrode 250, and the trench source region 140 Is connected to the right second conductive region 230 (i. E., A forward diode) through an electrode 250. The electrode 250 is connected to the left second conductive region 230 and the electrode 250 is connected to the right first conductive region 220. The electrode 25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wire, A clip or a lead frame can be connected.

이러한 전극(25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니켈(Ni) 및 금(Au)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순차 스퍼터링 또는 순차 도금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de 250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puttering or sequentially plating a selected one of molybdenum (Mo), aluminum (Al), nickel (Ni), gold (Au), and the like, It does not.

상기와 같이 하여, 도면의 좌우측 영역에 형성된 순방향 다이오드의 사이에 쇼클리 다이오드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4 매립층(190), 제 3 매립층(17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는 순차적으로 PNPN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는 좌우측의 순방향 다이오드와 함께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양방향성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낮은 클램핑 전압 및 용량(Vc)과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choke diode can be formed between the forward diode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regions of the drawing. Particularly, the fourth buried layer 190, the third buried layer 170, the first buried layer 130, and the substrate 110 may sequentially form a PNPN structure.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the Shockley diode (Shockley Diode)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Shockley diode structure can be connected in series with left and right forward diod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bidirectional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TVS) structure with low capacitance. Further, it is possible to form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having a clamping voltage and a capacitance (Vc) and a high peak pulse current (Ipp) which are lower than those of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가 서브스트레이트 및 트렌치 구조를 갖는 트렌치 소스 영역을 통해 순방향 다이오드에 연결됨으로써, 클램핑 전압 및 캐패시턴스를 더욱 낮출 수 있고, 또한 피크 펄스 전류는 더욱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우측의 순방향 다이오드는 제 3 에피텍셜층에 비해 다른 도전 형태인 웰 영역을 더 포함함으로써, 기생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rkle diode structure is connected to the forward diode through the trench source region having the substrate and trench structure, thereby further lowering the clamping voltage and capacitance, and further increasing the peak pulse current. Furthermore, the forward diode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further includes a well region, which is a different conductive type compared to the third epitaxial layer, so that the occurrence of the parasitic Shockley diode structure can be suppress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회로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구조에 대해 등가 회로를 함께 표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of a structure of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제 4 매립층(190), 제 3 매립층(170), 제 1 매립층(130) 및 서브스트레이트(110)로 구성된 PNPN 구조의 쇼클리 다이오드(Shockley Diode 또는 DIAC)가 전단의 순방향 다이오드(PN Recti) 및 후단의 순방향 다이오드(PN Recti)와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4 and 5,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NPN (n-type PNPN) structure including a fourth buried layer 190, a third buried layer 170, a first buried layer 130, (Shockley Diode or DIAC) can be connected in series with a forward diode (PN Recti) at the front end and a forward diode (PN Recti) at the rear e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술한 단면 구조가 서로 마주보며 역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cross-sectional structur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viewed in plan.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전체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 들에 각각 병렬로 역방향 다이오드들이 연결된 구조를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양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has a structure in which reverse diode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orward diodes connected in series as a whole, so that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both directions do.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도 전압 억제 소자는 낮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양방향성의 과도 전압 억제 소자(TVS)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기존에 비해 낮은 클램핑 전압과 낮은 캐패시턴스(Vc), 그리고 높은 피크 펄스 전류(Ipp)를 갖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bidirectional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device (TVS) structure having a low capacitance, and has a lower clamping voltage, a lower capacitance Vc, A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having a high peak pulse current Ipp can be 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과도 전압 억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서브스트레이트 120; 제 1 에피텍셜층
130; 제 1 매립층 140; 트렌치 소스 영역
150; 제 2 매립층 160; 제 2 에피텍셜층
170; 제 3 매립층 180; 제 3 에피텍셜층
190; 제 4 매립층 200; 웰 영역
210;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220; 제 1 도전형 영역
230; 제 2 도전형 영역 240; 절연막
250; 전극
110; Substrate 120; The first epitaxial layer
130; A first buried layer 140; Trench source region
150; A second buried layer 160; The second epitaxial layer
170; A third buried layer 180; The third epitaxial layer
190; A fourth embedding layer 200; Well region
210; Trench isolation 220;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230; A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240; Insulating film
250; electrode

Claims (15)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매립층의 일측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2 매립층;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도전형의 제 3 매립층;
상기 제 3 매립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제 4 매립층;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매립층의 일측에 다수의 제 1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트렌치에 각각 증착된 제 1 도전형의 트렌치 소스 영역;
상기 에피텍셜층에서 상기 제 1 매립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에피텍셜층에서 상기 제 1 매립층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ed on top of the substrate;
A first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A second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the second buried layer being formed on the epitaxial layer;
A third buried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ed on the first buried layer;
A fourth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on the third buried layer;
A trench source region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trench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and each is deposited on the first trench;
A pair of first conductivity typ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in the epitaxial layer; And
And a pair of second conductivity typ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in the epitaxial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의 일측인 상기 에피텍셜층에 형성된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웰 영역에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이 형성된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ell region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formed in the epitaxial layer on one side of the trench source region,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re formed in the well reg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텍셜층의 상부로부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제 2 트렌치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트렌치에 절연막이 증착되어, 상기 제 1 매립층, 제 2 매립층, 트렌치 소스 영역 및 웰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수평 방향에서 격리시키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trench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epitaxial layer to the substrate and an insulating film is deposited on the second trench so th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ried layer, the second buried layer, the trench source region, The transient voltage suppressing element isolating the transient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매립층은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연결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buried layer is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first conductive regions through an electrod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은 상부에 형성되는 전극을 통해 상기 한쌍의 제 2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연결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ench source region is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through an upper formed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은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form a diod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립층은 상기 서브스트레이트를 통해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과 연결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uried layer is connected to the trench source region through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매립층, 제 3 매립층, 제 1 매립층 및 서브스트레이트는 쇼클리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buried layer, the third buried layer, the first buried layer and the substrate form a Shockley diod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텍셜층의 상부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제 4 매립층, 트렌치 소스 영역, 제 1 도전형 영역 및 제 2 도전형 영역의 각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sulating film forme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epitaxial layer and exposing portions of the fourth buried layer, the trench source region, th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텍셜층은 상기 제 1 매립층 및 제 2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1 에피텍셜층, 상기 제 1 에피텍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2 에피텍셜층, 상기 제 2 에피텍셜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4 매립층이 형성되는 제 3 에피텍셜층을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pitaxial layer comprises a first epitaxial layer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uried layers are formed, a second epitaxial layer formed on the first epitaxial layer and on which the third buried layer is formed, And a third epitaxial layer formed on the top of the trench layer and on which the fourth buried layer is formed.
제 1 도전형의 서브스트레이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 제 1 도전형의 에피텍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제 2 도전형의 제 1 매립층과 제 2 매립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일측에 다수의 제 1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트렌치에 각각 제 1 도전형의 트렌치 소스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상기 제 1 매립층의 상부에 제 1 도전형의 제 3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상기 제 3 매립층의 상부에 제 2 도전형의 제 4 매립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피텍셜층에 대해 제 1 매립층의 양측에서 제 1 도전형의 제 1 도전형 영역과 제 2 도전형의 제 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Preparing a substrate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Forming an epitaxial layer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substrate;
Forming a first buried layer and a second buried layer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on the epitaxial layer;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trenches on one side of the first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and forming trench source regions of a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trenches, respectively;
Forming a third buried layer of the first conductivity type on the first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Forming a fourth buried layer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on the third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And
And forming a first conductive type first conductive type region and a second conductive type second conductive type reg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buried layer with respect to the epitaxial lay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의 일측인 상기 에피텍셜층에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전형의 웰 영역에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및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을 형성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
12. The method of claim 11,
Forming a well region of a second conductivity type in the epitaxial layer on one side of the trench source region,
And the first conductivity type region and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 are formed in the well region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텍셜층의 상부로부터 상기 서브스트레이트에까지 제 2 트렌치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트렌치에 절연막을 증착하여, 상기 제 1 매립층, 제 2 매립층, 트렌치 소스 영역 및 웰 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을 수평 방향에서 격리시키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a second trench from the top of the epitaxial layer to the substrate and depositing an insulating film on the second trench so th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ried layer, the second buried layer, the trench source region,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매립층의 상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한쌍의 상기 제 1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상기 제 4 매립층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forming an electrode on the fourth buried layer to connect one of the pair of first conductive type regions to the fourth buried lay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의 상부에 전극을 형성하여 한쌍의 상기 제 2 도전형 영역 중 하나와 상기 트렌치 소스 영역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과도 전압 억제 소자의 제조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forming an electrode on the trench source region to connect one of the pair of the second conductivity type regions to the trench source region.
KR1020170111129A 2017-08-31 2017-08-31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242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29A KR20190024287A (en) 2017-08-31 2017-08-31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129A KR20190024287A (en) 2017-08-31 2017-08-31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87A true KR20190024287A (en) 2019-03-08

Family

ID=65801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129A KR20190024287A (en) 2017-08-31 2017-08-31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428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5291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CN205542793U (en) Cascade switch structure
US9019667B2 (en) Protection devic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s
TW201036143A (en) TVS with low capacitance and forward voltage drop with depleted SCR as steering diode
KR20150028607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6252397A (en) There is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emitter efficiency of reduction
EP2827373B1 (en) Protection device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s
KR101686569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31587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598008B2 (en) Stacked ESD clamp with reduced variation in clamp voltage
KR101621145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Integrated Circuit using the Same
US20050151221A1 (en) Semiconductor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KR101779588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55098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24287A (en)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19395B1 (en)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Lateral Type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93673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07207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04182A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15893B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side-diffusion trench plug
KR102103195B1 (en) Bidirectional Low Clamping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Using Trigger Type Schokley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1861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1860B1 (en) Uni-directional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Having Snap-Back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87242B1 (en)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1862B1 (en) Uni-directional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