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502A -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502A
KR20190023502A KR1020170109364A KR20170109364A KR20190023502A KR 20190023502 A KR20190023502 A KR 20190023502A KR 1020170109364 A KR1020170109364 A KR 1020170109364A KR 20170109364 A KR20170109364 A KR 20170109364A KR 20190023502 A KR20190023502 A KR 20190023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tower
flange
coupl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제
김현오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9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502A/ko
Publication of KR2019002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는: 제1타워 섹션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와, 제1타워 섹션부와 결합되는 제2타워 섹션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TOWER FLANGE DEVICE OF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의 타워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화하는 나셀(nacelle)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풍력발전기의 타워는 외풍, 진동 등 다양한 내부 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대형화되어 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6258호(발명의 명칭:풍력발전기의 타워 제조방법 및 그 타워, 등록일:2017.08.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는: 제1타워 섹션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제1타워 섹션부와 결합되는 제2타워 섹션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제1타워 섹션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2타워 섹션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부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부에서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1결합돌기에서 상기 걸림턱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부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체결홀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2체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홀부와 상기 제2체결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는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와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를 통해 제1타워 섹션부와 제2타워 섹션부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구조적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타워 섹션부와 제2타워 섹션부가 제2플랜지부의 결합돌기와 제1플랜지부의 결합홈부를 통해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및 용접을 통해 2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풍압에 의해 발생되는 제1타워 섹션부와 제2타워 섹션부의 최대응력을 저감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2차적으로 결합할 때 제1타워 섹션부와 제2타워 섹션부가 제2플랜지부의 결합돌기와 제1플랜지부의 결합홈부를 통해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지지하는 별도의 도구가 없이도 용이하게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2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2타워 센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와 제2타워 센셕부가 결합되는 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B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2타워 센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의 제1타워 센셕부와 제2타워 센셕부가 결합되는 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1)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부(100)는 제1타워 섹션부(10)에 구비된다. 제2플랜지부(200)는 제2타워 섹션부(20)에 구비된다. 도 1과 같이,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는 기둥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서로 접촉되면서 배열된다.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는 블레이드(30)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나셀(40)을 지지한다.
제1플랜지부(100)는 링 형상으로 제1타워 섹션부(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부(100)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결합홈부(110)가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200)는 링 형상으로 제2타워 섹션부(2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200)는 결합홈부(11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210)가 구비된다. 즉, 결합돌기(210)는 제2플랜지부(200)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결합홈부(11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도 6, 도 7 참조).
결합홈부(110)에는 걸림턱(111)이 돌출형성되며, 결합돌기(210)는 결합홈부(110)를 따라 회전되어 걸림턱(111)에 걸릴 수 있다(도 8, 도 9 참조). 예를 들어,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돌기(210)를 제1플랜지부(100)의 결합홈부(1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2플랜지부(200)를 시계방향으로(도 8, 도 9 기준) 회전시키면,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돌기(210)가 제1플랜지부(100)의 결합홈부(11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도 8, 도 9 기준) 회전되어 걸림턱(111)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1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제2플랜지부(200)를 반시계방향으로(도 8, 도 9 기준) 회전시키면,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돌기(210)가 제1플랜지부(100)의 결합홈부(110)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도 8, 도 9 기준) 회전되어 걸림턱(111)에 걸리는 것이 해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돌기(210)는 제1결합돌기(211)와 제2결합돌기(211)를 포함한다. 도 7과 같이, 제1결합돌기(211)는 제2플랜지부(200)에서 결합홈부(110)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결합돌기(211)는 제1결합돌기(211)에서 걸림턱(111) 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결합돌기(211)는 결합홈부(110)를 따라 회전되어 걸림턱(111)에 접촉된다. 제2결합돌기(211)가 걸림턱(111)에 접촉됨으로써,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랜지부(100)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120)가 형성된다. 제1체결홀부(120)는 제1플랜지부(100)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홀부(120)는 복수개의 결합홈부(110)를 연결한 가상의 원의 바깥 쪽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홀부(120)가 복수개의 결합홈부(110)를 연결한 가상의 원의 바깥 쪽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결합홈부(110)를 연결한 가상의 원의 안쪽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설계변경할 수 있다.
제2플랜지부(200)에는 제1체결홀부(120)와 마주보는 제2체결홀부(220)가 형성된다. 제2체결홀부(220)는 제2플랜지부(200) 상에서 제1체결홀부(120)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개의 제2체결홀부(220)를 연결한 가상의 원과,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120)를 연결한 가상의 원은 동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부(300)를 이용하여 제1체결홀부(120)와 제2체결홀부(220)를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1)는 체결부(300)를 더 포함한다. 체결부(300)는 제1체결홀부(120)와 제2체결홀부(220)를 관통하여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체결시킨다.
체결부(300)는 체결볼트(310)와 너트(320)를 포함한다. 체결볼트(310)는 외측면에 제1나사산(311)이 형성된다. 너트(320)의 내측면에는 제1나사산(311)과 결합되는 제2나사산(321)이 형성된다. 너트(320)는 체결볼트(310)와 나사결합되어 체결볼트(310)가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로부터 이탈되는 방지한다.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는 용접(W)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과 같이,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를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돌기(210)와 제1플랜지부(100)의 결합홈부(110)를 통해 결합한 상태에서 용접(W)으로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한 번 더 결합한다. 그 결과,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는 이중결합됨으로써,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볼트결합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을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방식은 변경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는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돌기(210)와 제1플랜지부(100)의 결합홈부(110)를 통해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및 용접을 통해 2차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풍압의 영향에도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1)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1)는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 사이에 연결되는 체결장치를 더 부가함으로써,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가 이중결합되어 풍압에 의해 발생되는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의 최대응력을 저감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2차적으로 결합할 때 제1타워 섹션부(10)와 제2타워 섹션부(20)가 제2플랜지부(200)의 결합돌기(210)와 제1플랜지부(100)의 결합홈부(110)를 통해 1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작업자는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지지하는 별도의 도구가 없이도 용이하게 제1플랜지부(100)와 제2플랜지부(200)를 2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10 : 제1타워 섹션부
20 : 제2타워 섹션부 30 : 블레이드
40 : 나셀 100 : 제1플랜지부
110 : 결합홈부 111 : 걸림턱
120 : 제1체결홀부 200 : 제2플랜지부
210 : 결합돌기 211 : 제1결합돌기
212 : 제2결합돌기 220 : 제2체결홀부
300 : 체결부 310 : 체결볼트
311 : 나사산 320 : 너트
321 : 나사산

Claims (9)

  1. 제1타워 섹션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부; 및
    상기 제1타워 섹션부와 결합되는 제2타워 섹션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제1타워 섹션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부는 상기 제2타워 섹션부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에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부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2플랜지부에서 상기 결합홈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제1결합돌기에서 상기 걸림턱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부를 따라 회전되어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체결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체결홀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2체결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홀부와 상기 제2체결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KR1020170109364A 2017-08-29 2017-08-29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KR20190023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64A KR20190023502A (ko) 2017-08-29 2017-08-29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64A KR20190023502A (ko) 2017-08-29 2017-08-29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02A true KR20190023502A (ko) 2019-03-08

Family

ID=6580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64A KR20190023502A (ko) 2017-08-29 2017-08-29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5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88889A (en) Locking fastener
KR101514397B1 (ko) 캐소드 전극판용 부시 조립체
KR102195927B1 (ko) 에칭장치용 전극판과 플레이트를 결합하기 위한 부시 조립체 및 전극판과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JP2014523829A5 (ko)
JP6096420B2 (ja) ロックナット
JP2011252573A (ja) 緩み止めワッシャ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緩み止め締結具
KR20150108741A (ko) 프로파일 클램프
KR101874773B1 (ko) 그렙너트
KR20190023502A (ko) 풍력발전기의 타워플랜지 장치
KR20140093501A (ko) 체결부재
RU1588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одуля бланкета на вакуумном корпусе термо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CN206190716U (zh) 防松垫圈组件
JP2015014364A (ja) 伝動機構のねじり固有振動数を調節するためのロードカップリング
JP2015227721A (ja) ボルトとナットの緩み止め構造
KR102084898B1 (ko) 질량판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터빈 케이싱 조립체
KR20130023477A (ko) 스프링와셔
KR20120014261A (ko) 풀림방지 너트
JP2012072885A (ja) 座金、ボルト緩み止め構造、および電気機器
JP6212371B2 (ja) 固定手段のキャップ
KR20150080987A (ko) 세트 앵커 볼트
KR101950229B1 (ko) 액슬 스핀들용 결합장치
KR101555593B1 (ko) 원통형 구조물 섹션체결장치
JP2002221213A (ja) ゆるみ防止止めネジ
KR20110135373A (ko) 너트와너트 사이에 스프링와셔를 삽입한 풀림방지 체결공법
WO2016006017A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