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356A -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 Google Patents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356A
KR20190023356A KR1020170108950A KR20170108950A KR20190023356A KR 20190023356 A KR20190023356 A KR 20190023356A KR 1020170108950 A KR1020170108950 A KR 1020170108950A KR 20170108950 A KR20170108950 A KR 20170108950A KR 20190023356 A KR20190023356 A KR 2019002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dicine
liquid
sealing
medic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004B1 (ko
Inventor
김은자
김슬기
Original Assignee
김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자 filed Critical 김은자
Priority to KR1020170108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04B1/ko
Priority to PCT/KR2018/009933 priority patent/WO2019045423A1/ko
Publication of KR2019002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62Containers with provisions for hanging, e.g. integral adaptations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2Venting means for internal ve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는, 약제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약제 저장부; 상기 약제 저장부 상부에 설치되어 공간을 밀폐하며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약제 저장부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하여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약제 저장부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약제 저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부를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MEDICINE CONTAINER AND INFUSION SOLUTION CONTAINER COUPLED WITH MEDICINE CONTAINER}
이하의 설명은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질병에 대한 치료방법에 있어서, 의사가 처방한 분말 또는 액상의 약제를 정맥 내에 투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맥 내 투약은 수액이 들어 있는 용기 안에, 처방된 약제를 주입하여 약제 및 수액이 중력에 의해 환자의 정맥 안으로 투약되도록 한다.
수액은 혈액과 삼투압이 같도록 만들어진 액체로서, 정맥 내에 주사되어, 체내의 나트륨 이온 농도와 칼륨 이온 농도를 적절히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수액 저장 용기로는, 플라스틱을 중공성형(blow molding)하여 만든 플라스틱 용기, 합성수지 필름을 열융착해서 만든 파우치(pouch)로 구성된 수액 백(infusion bag)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수액 용기에 약제를 주입하여 투약하는 종래의 투약방식은, 주사기로 약병에서 약물을 뽑아낸 다음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수액 용기의 포트에 꽂아 수액 용기 안으로 약제를 주입하기 때문에, 간호사가 조금만 부주의해도 주사바늘에 찔릴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약병에서 약물을 뽑아낸 후 수액 용기에 약물을 주입하므로, 여러 환자에게 투여할 다양한 종류의 약제를 동시에 주입하는 경우, 처방되지 않은 약제가 환자에게 주입되는 약화사고(medicine accident)가 발생하거나, 약제를 수액 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외부의 오염물질이나 병원균 등에 노출되어 야기되는 감염의 염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환자에게 약제 및 수액을 투여하는 경우, 환자가 실수로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주사 외의 방식으로 약제가 주입되고, 약화사고 방지할 수 있는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는, 약제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약제 저장부; 상기 약제 저장부 상부에 설치되어 공간을 밀폐하며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약제 저장부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하여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약제 저장부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약제 저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부를 덮는 상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약제 용기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걸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저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밀폐부를 덮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제1밀폐부 측에 살균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약제 저장부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약제 저장부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부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의 상기 제1밀폐부 측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는, 약제 용기; 수액 용기로서, 수액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액 저장부와, 상기 수액 저장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액 저장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입부와, 상기 수액 저장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하는 수액 용기; 및 상기 약제 용기와 상기 수액 용기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약제 용기의 약제 저장부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수액 용기의 유입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용기는 주입되는 약제의 용량 별로 서로 상이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약제 용기 중 하나를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수액 용기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용기와 상기 수액 용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약제 용기의 상기 제1밀폐부와 상기 수액 용기의 상기 제2밀폐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약제 용기의 개방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액 용기는 상기 수액의 유입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밀폐부를 덮는 수액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액 커버의 상기 제2밀폐부 측에 살균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가 실수로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도록 주사 외의 방식으로 약제가 주입되고, 처방된 약제가 포함된 약제 용기가 수액 용기 주변에 배치되거나 수액 용기와 결합되어 약화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 하부 커버, 및 중 수액 커버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약제 용기 및/또는 수액 용기의 내부에 오염물질이나 병원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공지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상기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닌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특정 부분이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상기 특정 부분은 상기 특정 구성 외의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30)의 단면도이다.
약제 용기(100)는 약제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약제 저장부(10), 제1밀폐부(11), 신축부(20), 및 상부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저장부(10)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와 같은 소재를 포함하며, 약제를 저장하기 위하여 적어도 일단부가 개방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약제는 상기 중공의 내부에 수용되어 약제 저장부(10)에 저장될 수 있다. 약제 저장부(10)가 약제를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후술할 제1밀폐부(11)는 약제 저장부(1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저장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도면 기준)의 외주면 상에 후술할 상부 커버(40)가 결합될 수 있는 나선 홈을, 하단부(도면 기준)의 외주면 상에 후술할 하부 커버(40)가 결합될 수 있는 나선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약제 저장부(10)는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약제 저장부(10)는 그 내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돌출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부(10)의 내벽으로부터 약제 저장부(10) 내측을 향해 반원 모양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돌출부(12)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약제 저장부(10)의 내벽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라면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12)는 후술할 개방부(30)가 약제 저장부(10)의 내벽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개방부(30)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제1밀폐부(11)는 약제 저장부(10)의 하부를 밀폐하여 약제가 약제 저장부(10) 하부로 유출되거나, 약제 저장부(10)의 하부를 통해 오염물질 또는 병원균 등이 약제 저장공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밀폐부(11)는 수지필름 또는 알루미늄 등 화학적이나 열적으로 안정적인 물질로 코팅된 필름 등과 같이 약제가 통과할 수 없으나 가압을 통하여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밀폐부(11)는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약제 저장부(10)의 하부를 밀폐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개방부(30)는 가압을 통해 제1밀폐부(11)의 일부를 파단시켜 개방할 수 있어 약제 저장부(10)에 저장된 약제를 쉽게 수액 용기에 전달할 수 있다.
신축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부(10)의 상부(도면 기준)에 설치되어 약제 저장부(10)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밀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신축부(20)는 고무와 같이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신축부(20)는 약제 저장부(10)의 상부와 후술할 개방부(30)의 상부에 밀착하여 약제 저장부(10)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20)는 약제 저장부(10)의 상부를 통해 오염물질 또는 병원균 등이 약제 저장공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축부(20)의 제조 방법으로, 약제 저장부(10) 및 후술할 개방부(30)를 1차적으로 사출 성형한 후, 신축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부(10) 및 개방부(30)의 상단부에 2차적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개방부(30)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와 같은 소재를 포함하며, 신축부(20)로부터 약제 저장부(10)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개방부(30)의 제1밀폐부(11) 측 단부(이하 하부라고 한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30)의 하부는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신축부(20)가 눌러짐에 따라 개방부(30)가 제1밀폐부(11)를 가압하면 쉽게 제1밀폐부(11)를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개방부(30)의 하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방부(30)가 제1밀폐부(11)를 찢었다 해도 제1밀폐부(11)의 일부는 여전히 약제 저장부(10)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방부(30)는 찢겨진 제1밀폐부(11)가 약제를 전달 받은 수액 용기로 이동하여 치료상 또는 위생상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부(3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1)이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홈(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0)의 일부가 내측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반원 모양의 홈일 수 있다. 다만, 가이드 홈(31)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술한 가이드 돌출부(12)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30)가 약제 저장부(10)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12)를 상기 가이드 홈(31)에 들어 맞게 배치된 경우, 신축부(20)를 제1밀폐부(11) 측으로 가압하면, 개방부(30)는 가이드 돌출부(12)를 따라 약제 저장부(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1밀폐부(11)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출부(12)와 가이드 홈(31)의 구성은, 개방부(30)가 제1밀폐부(11)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약제 저장부(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방부(30)는 제1밀폐부(11)를 파단시키지 못하거나 불충분하게 파단시켜 약제 저장부(10) 내부의 약제가 충분히 수액 용기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커버(40)는 약제 저장부(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신축부(20)를 덮을 수 있다. 상부 커버(4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부(20)를 포함하여 약제 저장부(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커버(40)는 약제 저장부(10)와 결합되기 위해 약제 저장부(10)와의 접촉면 상에 나선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40)는 약제 저장부(10)의 상부에서 돌려짐으로써 약제 저장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부 커버(40)가 약제 저장부(10)와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40)는 외력이 가해져도 그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신축성이 없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40)가 신축부(20)를 덮고 있는 경우, 예기치 않게 약제 용기(100)의 상부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힘은 상부 커버(40)에 가로막혀 신축부(20)에 전달될 수 없으므로, 사고 또는 제3자의 임의에 따라 개방부(30)가 하강하여 약제가 누출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40)는 약제 용기(100)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걸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40)의 상단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41)에는 갈고리 등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구부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40)는, 약제 저장부(10)와 결합된 경우, 걸이부(41)를 통해 의료기구인 링겔대와 같이 갈고리가 형성된 물건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부 커버(40)를 포함하는 약제 용기(100)는 수액 용기와 함께 링겔대에 매달려 있다가, 환자에게 수액 및 약제를 함께 투여해야 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수액 용기에 약제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약제 용기(100)는 약제 저장부(10)에 결합되며, 제1밀폐부(11)를 덮는 하부 커버(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저장부(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1밀폐부(11)에 오염물질 또는 병원균 등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커버(50)는 약제 저장부(10)와 결합되기 위해 약제 저장부(10)와의 접촉면 상에 나선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커버(50)는 약제 저장부(10)의 하부에서 돌려짐으로써 약제 저장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하부 커버(50)가 약제 저장부(10)와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저장부(10)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 커버(50)는 약제 용기(100)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1밀폐부(11)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약제 용기(100)에 저장된 약제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 커버(50)는 제1밀폐부(11) 측에 살균부(5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50)의 일단에는 하부 커버(50)와 약제 저장부(1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링부(S)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부(51)는 하부 커버(5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그 주변의 오염물질을 소독하고, 병원균을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부(51)는 알콜스왑과 같은 향균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S)는 고무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약제 저장부(10)의 하단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약제 저장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50)가 약제 저장부(10)와 결합된 경우, 실링부(S)와 인접하는 지점에서 약제 저장부(10)의 외측을 향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실링부(S)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약제 저장부(10)와 하부 커버(50)의 결합을 통한 멸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실링부(S)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링부(S)는 이외의 다양한 위치에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약제 용기(100)는 상부 커버(40)가 약제 저장부(10)와 결합된 경우에도 신축부(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부재(미도시)가 신축부(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부 커버(40)는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부재(미도시)만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미도시)를 특정 환자의 담당 의료인만 휴대하게 하면, 다른 인물이 약제 용기(100)의 신축부(20)를 가압하여 약제를 투여할 필요가 없는 환자에게 약제가 투여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2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2000)의 단면도이다.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2000)는 전술한 약제 용기(100), 수액 용기(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하여 신속하게 약제와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2000)에 포함된 약제 용기(100)는 전술한 약제 용기(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약제 용기(100)에 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약제 용기(100)는 저장 가능한 약제의 용량이 서로 상이한 복수개로 구비되어 후술할 수액 용기(20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2000)는 환자의 연령, 성별, 또는 체질 등의 이유로 환자에게 필요한 약제의 용량이 각양각색인 의료 현장에서 다양한 용량의 약제 용기(100)를 준비시킬 수 있다.
수액 용기(200)는 수액 저장부(60)와, 수액 저장부(60)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수액 저장부(60)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입부(61)와, 수액 저장부(60) 공간을 밀폐하는 제2밀폐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액 저장부(60)는 수액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된 플라스틱 용기나 파우치 등 다양한 형태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저장부(60)의 상측(도면 기준)에는 수액 저장부(60)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입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61)에는 수액 저장부(60)와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61)의 외주면에는 약제 용기(100)와 수액 용기(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약제 저장부(10)와 같은 나선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61)는 후술할 결합부(300)를 통해 약제 용기(100)의 약제 저장부(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밀폐부(62)는 유입부(61)에 부착되어 수액 저장부(60)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폐부(62)는 유입부(61)의 외측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밀폐부(62)는 오염물질 또는 병원균 등이 수액 저장공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 제2밀폐부(62)의 소재와 기능 및 효과는 제1밀폐부(1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액 용기(200)는 제2밀폐부(62)를 덮도록 유입부(61)에 결합되는 수액 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액 커버(미도시)는 유입부(61)에 결합되어 제2밀폐부(62)에 오염물질 또는 병원균 등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액 커버(미도시)는 유입부(61)의 나선 홈에 결합될 수 있는 나선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액 커버(미도시)는, 탄성소재를 포함하고, 유입부(61)에 끼워짐으로써 유입부(61)와 탄성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수액 커버(미도시)의 제2밀폐부(62) 측에는 살균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살균부(미도시)는 제2밀폐부(62) 주변의 오염물질을 소독하고, 병원균을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부(미도시)는 향균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액 용기(200)는 수액 저장부(60)의 일단부에 수액 저장부(60)에 저장된 수액을 외부로 전달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유출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출부(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61)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서 수액 저장부(6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출부(63)는 환자에게 수액을 전달하는 튜브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출부(63)는 유입부(61)가 형성된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300)는 약제 용기(100)와 수액 용기(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약제 용기(100)로부터 수액 용기(200)로 약제를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부(300)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300)에 결합된 경우, 약제 용기(100)의 약제 저장부(10) 하부는 수액 용기(200)의 유입부(61)와 결합부(300)의 중공 내부에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결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약제 용기(100)의 약제 저장부(10) 하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수액 용기(200)의 유입부(61)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와 결합되는 위치에 약제 저장부(10)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 홈과 유입부(61)에 형성된 나선 홈에 결합될 수 있는 나선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300)는 약제 용기(100)의 하부 및 수액 용기(200)의 유입부(61)에서 돌려짐으로써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300)가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와 결합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변형예에서, 결합부(300)는 약제 저장부(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300)의 하부에 하부 커버(50)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결합부(300)는 수액 용기(100)의 유입부(61)와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300)의 상부에 수액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위 각각의 경우에 하부 커버(50) 또는 수액 커버(미도시)는, 약제 용기(100)와 수액 용기(200)를 결합부(300)를 통해 결합하기 전에 제1밀폐부(11) 또는 제2밀폐부(62)에 오염물질이나 병원균 등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결합부(300)는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와 별도로 구성되어 그 상부 및 하부를 덮어 결합부(300) 내부를 밀폐하는 커버를 통해 상기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0)의 양단에는 결합부(300)와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링부(S)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S)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때, 유입부(61)는 나선 홈의 수액 저장부(60) 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유입부(61)의 외측을 향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61)의 돌출부는 실링부(S)와 함께 설명한 약제 저장부(10)의 돌출부와 기능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가 결합부(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밀폐부(11)와 제2밀폐부(62) 사이의 거리는 약제 용기(100)의 개방부(3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용기(100) 및 수액 용기(200)가 결합부(300)에 결합된 경우, 개방부(30)는 약제 저장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밀폐부(11) 및 제2밀폐부(62)를 찢을 수 있다. 제1밀폐부(11) 및 제2밀폐부(62)가 찢어지면, 약제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던 약제는 수액 용기(200)의 수액 저장부(6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를 이용하여 약제 용기(100)와 수액 용기(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2000)는, 환자에게 수액 및 약제를 함께 투여해야 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수액 용기에 약제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300)는 약제 용기(100)와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므로, 용량 별로 서로 상이하게 구성된 약제 용기(100) 중에서 상황에 따라 필요한 용량의 약제 용기(100)를 수액 용기(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함께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분산되어 실시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실시예 각각에서 설명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들 내지는 특징들도 서로 분산되어 실시되거나 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약제 용기 10: 약제 저장부
11: 제1밀폐부 12: 가이드 돌출부
20: 신축부 30: 개방부
31: 가이드 홈 40: 상부 커버
41: 걸이부 50: 하부 커버
51: 살균부 S: 실링부
2000: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100: 약제 용기
200: 수액 용기 300: 결합부
60: 수액 저장부 61: 유입부
62: 제2밀폐부 63: 유출부

Claims (11)

  1. 수액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약제 용기에 있어서,
    약제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약제 저장부;
    상기 약제 저장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며 플렉서블한 소재를 포함하는 신축부;
    상기 신축부로부터 상기 약제 저장부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하여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약제 저장부의 하부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 및
    상기 약제 저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신축부를 덮는 상부 커버;
    를 포함하는 약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약제 용기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약제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밀폐부를 덮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의 상기 제1밀폐부 측에 살균부가 설치되어 있는, 약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약제 저장부와 상기 하부 커버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약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약제 저장부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돌출부가 연장하여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약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상기 제1밀폐부 측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약제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용기;
    수액 용기로서, 수액을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액 저장부와, 상기 수액 저장부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액 저장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유입부와, 상기 수액 저장부 공간을 밀폐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하는 수액 용기; 및
    상기 약제 용기와 상기 수액 용기를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일단은 상기 약제 용기의 약제 저장부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단은 상기 수액 용기의 유입부와 결합되는,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는 주입되는 약제의 용량 별로 서로 상이한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약제 용기 중 하나를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수액 용기와 결합하는,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와 상기 수액 용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약제 용기의 상기 제1밀폐부와 상기 수액 용기의 상기 제2밀폐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약제 용기의 개방부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보다 작은,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용기는 상기 수액의 유입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2밀폐부를 덮는 수액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액 커버의 상기 제2밀폐부 측에 살균부가 설치되어 있는,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KR1020170108950A 2017-08-28 2017-08-28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KR10198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50A KR101982004B1 (ko) 2017-08-28 2017-08-28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PCT/KR2018/009933 WO2019045423A1 (ko) 2017-08-28 2018-08-28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950A KR101982004B1 (ko) 2017-08-28 2017-08-28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356A true KR20190023356A (ko) 2019-03-08
KR101982004B1 KR101982004B1 (ko) 2019-05-24

Family

ID=6552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950A KR101982004B1 (ko) 2017-08-28 2017-08-28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2004B1 (ko)
WO (1) WO201904542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683A (ja) * 1994-10-31 1996-05-21 Fujisawa Pharmaceut Co Ltd 輸液用容器
KR200406110Y1 (ko) * 2005-11-01 2006-01-20 이종규 수액용기의 캡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액용기의연결장치
KR101250910B1 (ko) * 2012-12-05 2013-04-05 송근태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646998B1 (ko) * 2014-08-14 2016-08-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1773B2 (ja) * 2000-10-20 2011-06-01 味の素株式会社 薬剤封入容器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278548B2 (ja) * 2009-06-12 2013-09-0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液体連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683A (ja) * 1994-10-31 1996-05-21 Fujisawa Pharmaceut Co Ltd 輸液用容器
KR200406110Y1 (ko) * 2005-11-01 2006-01-20 이종규 수액용기의 캡핑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액용기의연결장치
KR101250910B1 (ko) * 2012-12-05 2013-04-05 송근태 압력식 수간 주입기
KR101646998B1 (ko) * 2014-08-14 2016-08-10 대한약품공업 주식회사 주사액 혼합 제조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423A1 (ko) 2019-03-07
KR101982004B1 (ko)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4757B2 (ja) ロッキング部材を含む、流体の密閉された移送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740238B1 (ko) 분배될 다회 투여분의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 및 다회 투여분의 물질을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저장 및 분배 방법
ES2810903T3 (es) Vástago de émbolo conectable y empaquetado asociado
JP6393755B2 (ja) 流体の閉鎖移送のためのアダプタを有するシステム
ES2806643T3 (es) Métodos y aparato para la desinfección y prevención de reflujo, conjunto de jeringa de lavado
US10016587B2 (en) Caps for needleless connectors
ES2437817T3 (es) Adaptador de transferencia de fluido para utilizar con un cilindro de jeringa
ES2229261T3 (es) Sistema de acoplamientos para canula de seguridad.
CA2990666C (en) Outer cover of a pen needle for a drug delivery pen
JP5600171B2 (ja) 逆方向の送達によるシリンジアセンブリ
BR112015003566B1 (pt) conjunto de seringa de lavagem
CA2878716A1 (en) Insertion mechanisms having vented fluid pathways for drug delivery pumps
DK162480B (da) Injektionssproejte
JP6964630B2 (ja) 薬物移送アセンブリ
KR102663269B1 (ko) 사전-충전 용기를 위한 개방 및 공급 시스템, 각각의 충전 용기, 및 이들의 구현을 위한 방법
KR20180072659A (ko) 재구성 가능 작용제로 미리 충진된 일회용 전달 장치
JP6240317B2 (ja) 医療用容器に結合するためのアダプタとブリスタとを備えるアセンブリ
JP2018537218A (ja) 医薬送達装置
JP2020203088A (ja) 流体が事前充填可能なまたは事前充填された容器ならびに流体が事前充填可能なまたは事前充填された容器のためのカニューレアセンブリおよびクロージャシステム
KR20060118162A (ko) 수액백 및 수액세트의 연결구조물
EP2436411A1 (en) Packaging of delivery device for aseptic filling and distribution
KR102512255B1 (ko) 2가지 성분을 혼합 및 분배하기 위한 용기
KR20160092813A (ko) 바늘용 안전 캡
CA2943070A1 (en) Compact kit for injecting liquid medication
KR101982004B1 (ko) 약제 용기 및 약제 용기 결합형 수액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