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547A -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547A
KR20190022547A KR1020187037094A KR20187037094A KR20190022547A KR 20190022547 A KR20190022547 A KR 20190022547A KR 1020187037094 A KR1020187037094 A KR 1020187037094A KR 20187037094 A KR20187037094 A KR 20187037094A KR 20190022547 A KR20190022547 A KR 2019002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coil
lens driving
lens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0214B1 (ko
Inventor
신스케 고누마
도모유키 무라카미
쇼타 구도
요헤이 엔타
Original Assignee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제1 코일부(112)와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핀트 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제2 코일부(231)와 상기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1)이며, 상기 마그넷부(122)는,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4변 중의 대향하는 2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122A, 122C)과 다른 1 변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122B)을 가지며, 상기 제2 마그넷(122B)이 대향하는 변은,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는 마그넷 비(非)배치부(R)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본 발명은,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핀트 맞추기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이하 「AF」라고 약칭함) 기능, 및 촬영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광학적으로 보정하는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ation:이하 「OIS」라고 약칭함) 기능을 가지는 렌즈 구동장치가 적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는, 마그넷과 코일로 구성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해, AF기능 및 OIS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특개 2013-210550호 공보 [특허 문헌 2]특개 2012-177753호 공보
그런데, 최근, 듀얼 카메라와 같이, 복수의 렌즈 구동장치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의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듀얼 카메라는, 촛점거리가 다른 두 장의 화상을 동시에 촬상(撮像)할 수 있거나, 정지화상과 동화상(動畵像)을 동시에 촬상할 수 있거나 하는 등, 이용 씬에 따라 여러가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듀얼 카메라에 있어서는, 두 개의 렌즈 구동장치가 인접하여 배치된다. 그 때문에, 각각에, 상기한 AF기능이나 OIS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마그넷이나 코일을 설치했을 경우, 한쪽 렌즈 구동장치의 마그넷으로부터의 자기(磁氣) 간섭에 의해, 다른쪽 렌즈 구동장치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의 렌즈 구동장치에서는, 해당 렌즈 구동장치의 외주(外周) 부분에 마그넷이 배치되어 있어, 해당 마그넷이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서, 다른 렌즈 구동장치의 코일에 자계를 작용시켜서, AF시나 OIS시의 동작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두 개의 렌즈 구동장치끼리를 자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까지 이간(離間)시켰을 경우,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저해되어 제품화하는데 있어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접하는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듀얼 카메라의 용도에 매우 적합한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주된 본 발명은, 렌즈부를 보지(保持)하는 렌즈 홀더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와, 상기 제1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코일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핀트 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상기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제2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마그넷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이며, 상기 마그넷부는, 평면시(平面視)에서, 거의 직사각형(矩形) 모양의 4변(四邊) 중의 대향하는 2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다른 1 변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을 가지며, 상기 제2 마그넷이 대향하는 변은,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는 마그넷 비(非)배치부로 되어 있는 렌즈 구동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 의하면, 인접하는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磁氣)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도1A, 도1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OIS 가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AF용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10A, 도10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상측 탄성 지지 부재의 평면도
도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OIS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OIS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13A, 도13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마그넷의 배치 위치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
도14A, 도14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5A, 도15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6A, 도16B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7A, 도17B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8A, 도18B는,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19A, 도19B는,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0A, 도20B, 도20C는,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21A, 도21B는,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제1 실시형태)
이하, 도1~도13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 및 해당 렌즈 구동장치(1)를 탑재하는 카메라 모듈(A)의 구성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1A, 도1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A)을 탑재하는 스마트 폰(M)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A는 스마트 폰(M)의 정면도이고, 도1B는 스마트 폰(M)의 배면도이다.
스마트 폰(M)은, 두 개의 인접하는 배면 카메라(OC1, OC2)로 되어있는 듀얼 카메라를 가진다. 적어도 한쪽의 배면 카메라(OC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A)이 적용된다. 카메라 모듈(A)은, 상기한 AF기능 및 OIS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른쪽의 배면 카메라(OC2)는, 배면 카메라(OC1)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A)과 동일한 구성이 적용되어도 좋고, 보이스 코일 모터를 가지는 다른 구성이 적용되어도 좋다.
도2는, 카메라 모듈(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3, 도4는, 카메라 모듈(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상방(上方) 사시도이며, 도4는 하방(下方) 사시도이다.
도2~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도 공통의 직교좌표계(X, Y, Z)로 나타내고 있다.
카메라 모듈(A)은, 스마트 폰(M)으로 실제로 촬영이 행해지는 경우에, X방향이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 Y방향이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 Z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탑재된다. 즉, Z방향이 광축 방향이고, 도면 중 상측이 광축 방향 수광측(「매크로 위치측)이라고도 함), 하측이 광축 방향 결상측(「무한원 위치측」이라고도 말함)이 된다. 또, Z축에 직교하는 X방향 및 Y방향을 「광축 직교 방향」이라고 칭한다.
카메라 모듈(A)은, AF기능 및 OIS 기능을 실현하는 렌즈 구동장치(1), 원통 형상의 렌즈 배럴에 렌즈가 수용되어서 이루어지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 렌즈부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도면표시 생략), 및 전체를 덮는 커버(2) 등을 구비한다.
커버(2)는, 광축 방향에서 본 평면시(平面視)에서 정사각형 모양의 유개(有蓋) 사각통체이며, 상면에 원형의 개구(開口)(2a)를 가진다. 이 개구(2a)로부터 렌즈부(도면표시 생략)가 외부로 임한다. 커버(2)는, 렌즈 구동장치(1)의 OIS 고정부(20)의 베이스(21)(도11, 도12 참조)에 고정된다.
촬상부(도면표시 생략)는,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를 가지고, 렌즈 구동장치(1)의 광축 방향 결상측에 배치된다.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는, 예를 들면 CCD(charge-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촬상 소자(도면표시 생략)는, 렌즈부(도면표시 생략)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상을 촬상한다.
도5, 도6은, 렌즈 구동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상방 사시도이며, 도6은 하방 사시도이다. 도5, 도6에 나타내는 것처럼, 렌즈 구동장치(1)는, OIS 가동부(10), OIS 고정부(20), 및 OIS용 지지 부재(30) 등을 구비한다.
OIS 가동부(10)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OIS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떨림 보정시에 XY평면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다. OIS 고정부(20)는,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OIS용 코일부(231)를 가지고, OIS용 지지 부재(30)를 경유하여 OIS 가동부(1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의 OIS용 구동부에는, 무빙 마그넷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OIS 가동부(10)는, AF용 구동부(AF가동부11 및 AF고정부12, 도7, 도8 참조)를 포함한다.
OIS 가동부(10)는, OIS 고정부(20)에 대해서 광축 방향 수광측에 이간해서 배치되어, OIS용 지지 부재(30)에 의해서 OIS 고정부(2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OIS용 지지 부재(30)는, Z방향을 따라서 연재(延在:한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 있는 것)하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로 구성된다(이하「서스펜션 와이어(30)」라고 칭함).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일단(一端)(상단(上端))은 OIS 가동부(10)(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도7, 도8 참조)에 고정되고, 타단(他端)(하단(下端))은 OIS 고정부(20)(코일 기판23, 도11, 도12 참조)에 고정된다. OIS 가동부(10)는, 서스펜션 와이어(30)에 의해서, XY평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 중, 서스펜션 와이어(31A, 31B)는 제어 IC(161)(도9 참조)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 경로로서 사용되고, 서스펜션 와이어(32A, 32B)는 제어 IC(161)의 급전경로로서 사용된다(이하 「신호용 서스펜션 와이어31A, 31B」, 「급전용 서스펜션 와이어32A, 32B」라고 칭한다).
도7, 도8은, OIS 가동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상방 사시도이고, 도8은 하방 사시도이다.
도7, 도8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가동부(10)는, AF가동부(11), AF고정부(12), AF용 지지 부재(13, 14),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 등을 구비한다.
AF가동부(11)는,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성하는 AF용 코일부(112)를 가지고, 핀트 맞추기시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AF고정부(12)는, 마그넷부(122)(AF용 마그넷부)를 가지고, AF용 지지 부재(13, 14)를 경유하여 AF가동부(11)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렌즈 구동장치(1)의 AF용 구동부에는, 무빙 코일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AF가동부(11)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지름 방향 안쪽에 이간해서 배치되어, AF용 지지 부재(13, 14)에 의해서 AF고정부(12)와 연결된다. AF용 지지 부재(13)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가동부(11)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이며(이하「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라고 칭함), AF용 지지 부재(14)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가동부(11)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측 탄성 지지 부재이다(이하 「하측 탄성 지지 부재14」라고 칭함).
AF가동부(11)는, 렌즈 홀더(111), AF용 코일부(112), 및 위치 검출용 자석(15A, 15B)을 가진다.
렌즈 홀더(111)는, 통 모양의 렌즈 수용부(111a), 및 렌즈 수용부(111a)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평면시에서 거의 팔각형상의 플랜지부(111b, 111c)를 가진다. 플랜지부(111b, 111c)에 끼인 부분(이하 「코일 권선(卷線)부」라고 칭함)에, AF용 코일부(112)가 권선된다. 플랜지부(111b)의 상면은,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피계지부(被係止部/*係止:서로 끼워짐)가 된다.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상부 외주(外周)에 있어서, X방향 및 Y방향(이하「십자 방향」이라고 칭함)을 45°회전한 방향(이하 「대각방향」이라고 칭함)과 교차하는 4개의 부분에,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를 고정하기 위한 상(上)용수철 고정부(111d)를 가진다. 렌즈 홀더(111)는, 렌즈 수용부(111a)의 외주를 따라서, 제1의 스토퍼부(111h)를 가진다. 제1의 스토퍼부(111h)의 하면(下面)이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피계지부가 된다.
렌즈 홀더(111)는, 4개의 상용수철 고정부(111d) 중의 대각에 위치하는 2개의 상용수철 고정부(111d)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결부(111e)를 가진다. 렌즈 홀더(111)는, 연결부(111e)가 배치되지 않은 2개의 상용수철 고정부(111d)에, 위치 검출용 자석(15A, 15B)을 수용하는 자석 수용부(111f)를 가진다. 또, 렌즈 홀더(111)는, 플랜지부(111c)의 하면에 있어서, 십자 방향과 교차하는 4개의 부분에, 하측 탄성 지지 부재(14)를 고정하기 위한 하(下)용수철 고정부(111g)를 가진다.
AF용 코일부(112)는, 핀트 맞추기시에 통전되는 공심코일이며, 렌즈 홀더(111)의 코일 권선부의 외주면에 권선된다. AF용 코일부(112)의 양단은, 렌즈 홀더(111)의 연결부(111e, 111e)에 연결된다.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는 제어 IC(161)(도9 참조)에 의해서 제어된다.
위치 검출용 자석(15A, 15B)은, 렌즈 홀더(111)의 자석 수용부(111f)에 배치된다. AF용 제어부에 대응하는 측에 배치되는 위치 검출용 자석(15A)(이하「 제1의 위치 검출용 자석15A」라고 칭함)이, 실제로 AF가동부(11)의 위치 검출에 이용된다. 다른쪽의 위치 검출용 자석(15B)(이하「제2의 위치 검출용 자석15B」라고 칭함)은, AF가동부(11)의 위치 검출에는 이용되지 않는 더미(dummy) 자석이다. 제2의 위치 검출용 자석(15B)은, AF가동부(11)에 작용하는 자력을 밸런스(balance)시켜, AF가동부(11)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배치된다. 즉, 제2의 위치 검출용 자석(15B)을 배치하지 않는 경우, 마그넷부(122)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서 AF가동부(11)에 치우친 자력이 작용하여, AF가동부(11)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므로, 제2의 위치 검출용 자석(15B)을 배치함으로써, 이것을 방지하고 있다.
AF고정부(12)는, 마그넷 홀더(121), 마그넷부(122), 및 AF용 제어부(16)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121)는, 정사각형 모양의 상부 틀(frame)(121a), 및 상부 틀(121a)의 네 귀퉁이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각부(脚部)(121b)를 가진다. 4개의 각부(121b)는, 각각, 상부 틀(121a)의 4변을 따라서 마그넷부(122)를 보지하는 마그넷 보지부(121c)를 가진다. 또, 각부(121b)는, 각각, 지름 방향 안쪽에 원호(圓弧)형상으로 옴폭(凹)한 와이어 삽통(揷通)부(121d)를 가진다. 와이어 삽통부(121d)에, 서스펜션 와이어(30)가 배치된다(도 5, 도 6 참조). 와이어 삽통부(121d)를 설치함으로써, OIS 가동부(10)가 요동할 때에, 서스펜션 와이어(30)와 마그넷 홀더(121)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마그넷 홀더(121)는, 상부에, 지름 방향 안쪽으로 튀어나오는 제2의 스토퍼(stopper)부(121e)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121)는, 렌즈 홀더(111)의 렌즈 수용부(111a), 상 용수철 고정부(111d), 연결부(111e), 제1의 스토퍼부(111h)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결(切缺:잘라낸 부분)된 개구를 가진다. AF가동부(11)는, 마그넷 홀더(121)의 상면보다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AF가동부(11)가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 이동할 때에, 렌즈 홀더(111)의 플랜지부(111b)에 제2의 스토퍼부(121e)가 당접함으로써, AF가동부(11)의 광축 방향 수광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제2의 스토퍼부(121e)의 상면에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의 암(arm)부(131c, 131f, 132c, 132f)(도10 참조)가 재치(載置/얹어둠)된다. 제2의 스토퍼부(121e)에는, 댐퍼 수용부(121j)가 배치된다.
마그넷 홀더(121)는, 각부(121b)의 하면에, 하측 탄성 지지 부재(14)를 고정하기 위한 하용수철 고정부(121f)를 가진다. 마그넷 홀더(121)는, 상부의 네 귀퉁이에,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를 고정하기 위한 상용수철 고정부(121h)를 가진다.
상 용수철 고정부(121h)의 각부(121i)는, 마그넷 홀더(121)의 상면(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이 장착되는 면) 보다 하측에 옴폭하게 형성되어,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를 장착했을 때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이하「댐퍼 배치부(121i)」라고 칭함). 댐퍼 배치부(121i)의 꼭지각부는 외측으로 튀어나와, 원호형상으로 절결(切缺)되어 있다. 댐퍼 배치부(121i)의 원호형상으로 절결되어 있는 부분은, 와이어 삽통부(121d)에 연통(連通)된다.
또, 마그넷 홀더(121)는, 1개의 각부(脚部)(121b)에, AF용 제어부(16)를 수용하기 위한 IC수용부(121g)를 가진다.
마그넷부(122)는, 3개의 직방체 모양의 마그넷(122A~122C)을 가진다. 마그넷(122A~122C)은, 마그넷 홀더(121)의 마그넷 보지부(121c)에,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마그넷(122A~122C)은, AF용 코일부(112)에 지름 방향으로 횡단하는 자계가 형성되도록 착자(着磁)된다. 예를 들면, 마그넷(122A~122C)은, 내주측이 N극, 외주측이 S극으로 착자된 영구자석이다.
마그넷부(122) 및 AF용 코일부(112)에 의해서,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부(122)는, AF용 마그넷부와 OIS용 마그넷부를 겸용한다.
도 9는, AF용 제어부(16)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AF용 제어부(16)는, 마그넷 홀더(121)의 IC수용부(121g)에 배치된다.
AF용 제어부(16)는, 제어 IC(161), 제어 IC(161)가 실장되는 AF용 회로 기판(162), 및 콘덴서(부호 생략)를 가진다.
제어 IC(161)는, 홀 효과를 이용해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홀 소자(도면표시 생략)를 내장하고, Z위치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제어 IC(161)는, 홀 소자(도면표시 생략)의 검출 방향이 광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제어 IC(161)는, 주로 제1의 위치 검출용 자석(15A)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AF가동부(11)의 위치가 검출된다.
또, 제어 IC(161)는,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하는 코일 제어부(도면표시 생략)를 가진다. 제어 IC(161)는, AF용 코일부(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용 서스펜션 와이어(31A, 31B) 및 신호 라인(173, 174)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제어 신호 및 홀 소자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를 제어한다.
AF용 회로 기판(162)은, 전원 출력 단자(162a, 162f), 전원 입력 단자(162b, 162e), 및 신호 입력 단자(162c, 162d)를 가진다. 전원 출력 단자(162a, 162f)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상측 판용수철 131, 132)에 접속되고, 전원 입력 단자(162b, 162e)는 AF용 전원 라인(171, 172)에 접속되고, 신호 입력 단자(162c, 162d)는 신호 라인(173, 174)에 접속된다.
AF용 회로 기판(162)은, 전원 출력 단자(162a, 162f), 전원 입력 단자(162b, 162e), 및 신호 입력 단자(162c, 162d)를 가진다. 전원 출력 단자(162a, 162f)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상측 판용수철 131, 132)에 접속되고, 전원 입력 단자(162b, 162e)는 AF용 전원 라인(171, 172)에 접속되고, 신호 입력 단자(162c, 162d)는 신호 라인(173, 174)에 접속된다.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은,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으로 형성된다.
도10은,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A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을 AF가동부(11) 및 AF고정부(12)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10B는,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AF용 전원 라인(171, 172), 신호 라인(173, 174)은, 전체로서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 즉 마그넷 홀더(121)의 상부 틀(121a)과 동등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 틀(121a) 상에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선된다.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는, 마그넷 홀더(121)와 렌즈 홀더(111)를 연결하기 위하여,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의 안쪽에 배치된다. 상측 판용수철(131, 132),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은, 예를 들면 한 장의 금속판을 에칭 가공함에 의해 형성된다.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는, AF고정부(12)에 대해서 AF가동부(11)를 탄성 지지하는 상측 판용수철(131, 132)이다. 상측 판용수철(131, 132)은, AF용 코일부(112)에 급전하기 위한 코일용 전원 라인으로서 기능한다. AF용 전원 라인(171, 172)은, 급전용 서스펜션 와이어(32B, 32A)에 접속되어, AF용 제어부(16)(제어 IC161)에 급전한다. 신호 라인(173, 174)은, 신호용 서스펜션 와이어(31B, 31A)에 접속되어, AF용 제어부(16)(제어 IC161)에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상측 판용수철(131)은, 2개의 용수철부(131A, 131B)를 가진다. 용수철부(131A)는,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31a), 마그넷 홀더(121)에 고정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31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를 연결하는 암부(131c)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용수철부(131B)는, 렌즈 홀더 고정부(131d),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e), 및 암부(131f)를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31a, 131d)는, 렌즈 홀더(111)의 렌즈 수용부(111a)를 따라서 연결되어 있다.
렌즈 홀더 고정부(131a, 131d)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이, 렌즈 홀더(111)의 상용수철 고정부(111d)의 위치결정 보스(부호 생략)에 삽감됨으로써(揷嵌:꽂히다), 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상측 판용수철(131)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 131e)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이, 마그넷 홀더(121) 상용수철 고정부(121e)의 위치결정 보스(부호 생략)에 삽감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상측 판용수철(131)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암부(131c, 131f)는, 만곡(彎曲) 형상을 가지고, AF가동부(11)가 이동할 때에 탄성변형 한다. 상측 판용수철(131)은, 암부(131c, 131f)의 각각으로부터 분기하여 연재(延在)하는 댐퍼 고정부(131j, 131k)를 가진다. 댐퍼 고정부(131j, 131k)는, 마그넷 홀더(121)의 댐퍼 수용부(121j)에 배치되어 댐퍼재에 의해서 파묻힌다.
상측 판용수철(131)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b)로부터 X방향을 따르는 한쪽의 주연(周緣)을 향하여 연재(延在)하는 보조 고정부(131g)를 가진다. 보조 고정부(131g)는, 마그넷 홀더(121)의 상면에 배치되어, 마그넷 홀더(121)에 대한 상측 판용수철(131)의 고정 상태를 보강한다.
상측 판용수철(131)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1e)로부터 AF용 회로 기판(162)을 향하여 연재(延在)하는 단자 접속부(131h)를 가진다. 단자 접속부(131h)는, AF용 제어부(16)의 전원 출력 단자(162a)에 접속된다. 상측 판용수철(131)은, 렌즈 홀더 고정부(131a, 131d)의 연결 부분에서 분기하여 연재(延在)하는 코일 접속부(131i)를 가진다. 코일 접속부(131i)의 선단부(先端部)는, U자형 모양을 가진다. 코일 접속부(131i)는, AF용 코일부(112)의 일단(一端)부와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즉, AF용 제어부(16)와 AF용 코일부(112)는, 상측 판용수철(131)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측 판용수철(132)은, 기본적인 구조는 상측 판용수철(131)과 동일하다. 즉, 상측 판용수철(132)은, 2개의 용수철부(132A, 132B)를 가진다. 용수철부(132A, 132B)는, 렌즈 홀더 고정부(132a, 132d),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b, 132e), 및 암부(132c, 132f)를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32a, 132d)는, 렌즈 홀더(111)의 렌즈 수용부(111a)를 따라서 연결되어 있다.
렌즈 홀더 고정부(132a, 132d)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이, 렌즈 홀더(111)의 상용수철 고정부(111d)의 위치결정 보스(부호 생략)에 삽감됨으로써, 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상측 판용수철(132)이 위치결정 되어 고정된다. 또,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b, 132e)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이, 마그넷 홀더(121)의 상용수철 고정부(121e)의 위치결정 보스(부호 생략)에 삽감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상측 판용수철(132)이 위치결정 되어 고정된다.
암부(132c, 132f)는, 만곡 형상을 가지고, AF가동부(11)가 이동할 때에 탄성변형 한다. 상측 판용수철(132)은, 암부(132c, 132f)의 각각으로부터 분기하여 연재(延在)하는 댐퍼 고정부(132j, 132k)를 가진다. 댐퍼 고정부(132j, 132k)는, 마그넷 홀더(121)의 댐퍼 수용부(121j)에 배치되어, 댐퍼재에 의해서 파묻힌다.
상측 판용수철(132)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b)로부터 X방향을 따르는 한쪽의 주연(周緣)을 형성하면서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e)를 향하여 연재(延在)하는 보조 고정부(132g)를 가진다. 보조 고정부(132g)는, 마그넷 홀더(121)의 상면에 배치되어, 마그넷 홀더(121)에 대한 상측 판용수철(132)의 고정 상태를 보강한다.
상측 판용수철(132)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32e)로부터 AF용 회로 기판(162)을 향하여 연재(延在)하는 단자 접속부(132h)를 가진다. 단자 접속부(132h)는, AF용 제어부(16)의 전원 출력 단자(162f)에 접속된다. 상측 판용수철(132)은, 렌즈 홀더 고정부(132a, 132d)의 연결 부분에서 분기하여 연재(延在)하는 코일 접속부(132i)를 가진다. 코일 접속부(132i)의 선단부는, U자형 모양을 가진다. 코일 접속부(132i)는, AF용 코일부(112)의 타단부와,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즉, AF용 제어부(16)와 AF용 코일부(112)는, 상측 판용수철(132)을 경유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F용 전원 라인(171, 172)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71a, 172a), 와이어 접속부(171c, 172c), 및 단자 접속부(171d, 172d)를 가진다.
AF용 전원 라인(171, 172)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71a, 172a)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이 마그넷 홀더(121)의 상용수철 고정부(121h)의 위치결정 보스(부호 생략)에 삽감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위치결정 되어 고정된다.
와이어 접속부(171c, 172c)는, 급전용 서스펜션 와이어(32B, 32A)(도5, 도6 참조)에 접속된다. 와이어 접속부(171c, 172c)는, 링크부(171b, 172b)에 의해서 마그넷 홀더 고정부(171a)와 연결된다. 단자 접속부(171d, 172d)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71a, 172a)로부터 AF용 회로 기판(162)을 향하여 연재(延在)하여, AF용 제어부(16)의 전원 입력 단자(162b, 162e)에 접속된다.
신호 라인(173, 174)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73a, 174a), 와이어 접속부(173c, 174c), 및 단자 접속부(173d, 174d)를 가진다.
신호 라인(173, 174)은, 마그넷 홀더 고정부(173a)의 고정 구멍(부호 생략)이 마그넷 홀더(121)의 상용수철 고정부(121h)의 위치결정 보스(부호 생략)에 삽감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위치결정 되어 고정된다.
와이어 접속부(173c, 174c)는, 신호용 서스펜션 와이어(31B, 31A)(도5, 도6 참조)에 접속된다. 와이어 접속부(173c, 174c)는, 링크부(173b, 174b)에 의해서 마그넷 홀더 고정부(173a)와 연결된다. 단자 접속부(173d, 174d)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73a, 174a)로부터 AF용 회로 기판(162)을 향하여 연재(延在)하여, AF용 제어부(16)의 신호 입력 단자(162c, 162d)에 접속된다.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에 있어서, 링크부(171b, 172b, 173b, 174b)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71a, 172a, 173a, 174a)로부터 각부를 향하여 연재(延在)하는 2개의 제1 링크(부호 생략)와, 제1 링크의 합류 부분에서 안쪽으로 굴곡하는 제2 링크(부호 생략)를 가진다. 제2 링크의 선단에, 와이어 접속부(171c, 172c, 173c, 174c)가 배치된다. 즉, 마그넷 홀더 고정부(171a, 172a, 173a, 174a)와 와이어 접속부(171c, 172c, 173c, 174c)의 사이에 개재하는 링크부(171b, 172b, 173b, 174b)는, 링크 길이를 확보하면서 다관절화(多關節化)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떨림 보정을 행할 때에 링크부(171b, 172b, 173b, 174b)에 발생하는 응력이 완화되기 때문에, 틸트 특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낙하 등의 충격에 대한 내성이 향상한다.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에 있어서, 상측 판용수철(131, 132)의 댐퍼 고정부(131j, 131k, 132j, 132k)는, 마그넷 홀더(121)의 댐퍼 수용부(121j)에 배치되어, 댐퍼재에 의해서 파묻힌다. 또,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에 있어서, 와이어 접속부(171c, 172c, 173c, 174c)와, 마그넷 홀더(121)의 댐퍼 배치부(121i)의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이 틈새에는 서스펜션 와이어(30)를 둘러싸듯이 댐퍼재가 배치된다. 댐퍼재가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와 마그넷 홀더(121)의 사이에 개재하게 된다.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와 마그넷 홀더(121)의 사이에 댐퍼재(도면표시 생략)를 개재시킴으로써, 불요 공진(고차의 공진 모드)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댐퍼재는, 디스펜서를 사용해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댐퍼재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성의 실리콘 겔을 적용할 수 있다.
하측 탄성 지지 부재(14)는,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베릴륨동, 니켈동, 스텐레스 등으로 되어있는 판용수철이며(이하「하측 판용수철 14」라고 칭함), 전체로서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을 가진다. 하측 판용수철(14)은,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121)와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를 탄성적으로 접속한다. 하측 판용수철(14)은, 에칭 가공에 의해 성형된다.
하측 판용수철(14)(하측 탄성 지지 부재)은, 4개의 용수철부(141~144)를 가진다. 용수철부(141)는, 렌즈 홀더(111)에 고정되는 렌즈 홀더 고정부(141a), 렌즈 홀더 고정부(141a)에서 90о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마그넷 홀더(121)에 고정되는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 및 렌즈 홀더 고정부(141a)와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를 연결하는 암부(141c)를 가진다. 용수철부(142~144)도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41a~144a)는, 서로 이웃하는 렌즈 홀더 고정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고, 전체로서, 렌즈 홀더(111)의 하용수철 고정부(111g)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렌즈 홀더 고정부(141a~144a)의 고정 구멍이, 렌즈 홀더(111)의 하용수철 고정부(111g)의 위치결정 보스에 삽감됨으로써, 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하측 판용수철(14)이 위치결정 되어, 고정된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144b)는, 마그넷 홀더(121)의 하용수철 고정부(121f)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마그넷 홀더 고정부(141b~144b)의 고정 구멍이, 하용수철 고정부(121e)의 위치결정 보스에 삽감됨으로써, 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하측 판용수철(14)이 위치결정 되어, 고정된다.
OIS 가동부(10)에 있어서, 마그넷 홀더(121)에는, AF용 제어부(16)(제어 IC161 및 AF용 회로 기판162),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이 장착된다.
이 때, 상측 판용수철(131, 132)의 단자 접속부(131h, 132h)는, AF용 회로 기판(162)의 전원 출력 단자(162a, 162f)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F용 전원 라인(171, 172)의 단자 접속부(171d, 172d)는, AF용 회로 기판(162)의 전원 입력 단자(162b, 162e)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 라인(173, 174)의 단자 접속부(173d, 174d)는, AF용 회로 기판(162)의 신호 입력 단자(162c, 162d)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렌즈 홀더(111)에는, AF용 코일부(112), 위치 검출용 자석(15A, 15B), 및 하측 판용수철(14)이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렌즈 홀더(111)가 광축 방향 결상측으로부터 마그넷 홀더(121)에 삽감된다. 즉, 렌즈 홀더(111)는, AF용 코일부(112)가 마그넷부(122)와 대향하도록, 마그넷 홀더(121)의 안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 판용수철(131, 132)이 렌즈 홀더(111)에 장착되고, 하측 판용수철(14)이 마그넷 홀더(121)에 장착된다. 또, 마그넷 홀더(121)에, 마그넷부(122)가 장착된다.
이 때, 상측 판용수철(131)의 코일 접속부(131i)는, 렌즈 홀더(111)의 한쪽 연결부(111e)에 연결된 AF용 코일부(112)의 일단부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상측 판용수철(132)의 코일 접속부(132i)는, 렌즈 홀더(111)의 다른쪽의 연결부(111e)에 연결된 AF용 코일부(112)의 타단부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11, 도12는, OIS 고정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상방 사시도이고, 도12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11, 도12에 나타내는 것처럼, OIS 고정부(20)는, 베이스(21), 센서 기판(22), 코일 기판(23), 및 XY위치 검출부(24) 등을 구비한다.
베이스(21)는,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의 부재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1a)를 가진다. 베이스(21)는, 개구(21a)의 주연부(周緣部)에 있어서, 코일 기판(23)의 위치결정 구멍(23c) 및 센서 기판(22)의 위치결정 구멍(22b)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 보스(21b)를 가진다.
베이스(21)는, 주연부에 있어서, 센서 기판(22)의 제어 단자(22c)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凹)부(21c)를 가진다. 오목부(21c)는, 하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확대되는 테이퍼드 형상을 가진다. 또, 베이스(21)는, 개구(210a)의 주연부에 있어서, 홀 소자(24A, 24B)를 수용하는 홀 소자 수용부(21d), 센서 기판(22)의 전원 단자(22d)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1e)를 가진다.
코일 기판(23)은, 베이스(21)와 마찬가지로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의 기판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3a)를 가진다. 코일 기판(23)은, 네 귀퉁이에, 절결(切缺)부(23b)를 가진다. 또, 코일 기판(23)은, 개구(23a)의 주연부에 있어서, 대각 방향과 교차하는 2군데에, 위치결정 구멍(23c)를 가진다.
코일 기판(23)은, 광축 방향에 있어서 마그넷부(122)와 대향하는 위치에 OIS용 코일부(231)를 가진다. OIS용 코일부(231)는, 마그넷(122A~122C)에 대응하는 3개의 OIS 코일부(231A~231C)를 가진다. OIS 코일부(231A~231C)의 각각의 장변(長邊) 부분을, 마그넷(122A~122C)의 저면으로부터 방사되는 자계가 Z방향으로 횡단하도록, OIS 코일(231A~231C) 및 마그넷(122A~122C)의 크기나 배치가 설정된다. 마그넷부(122)와 OIS용 코일부(231)로,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가 구성된다.
센서 기판(22)은, 베이스(21)와 마찬가지로, 평면시에서 정사각형 모양의 기판이며, 중앙에 원형의 개구(22a)를 가진다. 센서 기판(22)은, 개구(22a)의 주연부에 있어서, 코일 기판(23)의 위치결정 구멍(23c)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 구멍(22b)을 가진다. 센서 기판(22)은, Y방향을 따르는 2변에, 각각 아래쪽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단자(22c)를 가진다. 단자(22c)는, 촬상부(도면표시 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센서 기판(22)은, 개구(22a)의 내(內)주연부의 대각방향과 교차하는 2군데에, OIS용 코일부(231)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단자(22d)를 가진다. 센서 기판(22)은, 네 귀퉁이에,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타단(하단)이 삽입되는 와이어 고정 구멍(22e)을 가진다.
또, 센서 기판(22)은, OIS 가동부(10)(AF용 제어부16) 및 OIS용 코일부(231)에 급전하기 위한 전원 라인(도면표시 생략), XY위치 검출부(24A, 24B)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용의 신호 라인(도면표시 생략), OIS 가동부(10)에 있어서의 오토 포커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용의 신호 라인(도면표시 생략)을 포함한 배선 패턴을 가진다. 센서 기판(22)의 이면에는, XY평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검출하는 XY위치 검출부(24A, 24B)가 배치된다.
위치 검출부(24A, 24B)는, 예를 들면 홀 효과를 이용해 자계를 검출하는 홀 소자이다(이하「홀 소자(24A, 24B)」라고 칭함). 홀 소자(24A, 24B)는, 센서 기판(22)의 하면의 인접하는 2변에 있어서, 각각의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마그넷부(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계를, 홀 소자(24A, 24B)로 검출함으로써, XY평면에 있어서의 OIS 가동부(1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부(122)와는 별도로, 위치 검출용 자석을 OIS 가동부(10)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OIS 고정부(20)에 있어서, 코일 기판(23)과 센서 기판(22)은, 납땜에 의해 접착된다. 이것에 의해, OIS용 코일부(231)와 센서 기판(22)의 전원 라인(도면표시 생략)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베이스(21)의 위치결정 보스(21b)에 OIS용 코일 기판(23)의 위치결정 구멍(23c) 및 센서 기판(22)의 위치결정 구멍(22b)이 삽감되어, OIS용 코일 기판(23) 및 센서 기판(22)가 베이스(21)에 재치된다. 센서 기판(22)의 단자(22c)가 베이스(21)의 오목부(21c)에 계합(係合:걸어맞춤) 됨으로써, OIS용 코일 기판(23) 및 센서 기판(22)가 베이스(21)에 고정된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는, 신호용 서스펜션 와이어(31A, 31B)의 일단이, 각각, 신호 라인(174, 173)의 와이어 접속부(174c, 173c)에 삽통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급전용 서스펜션 와이어(32A, 32B)의 일단이, 각각, AF용 전원 라인(172, 171)의 와이어 접속부(172c, 171c)에 삽통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30)와, AF용 전원 라인(171, 172) 및 신호 라인(173, 174)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서스펜션 와이어(30)의 타단(하단)은, 센서 기판(22)의 와이어 고정 구멍(22e)에 삽통되어, 납땜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서스펜션 와이어(30)와 센서 기판(22)의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서스펜션 와이어(30)와 상측 탄성 지지 부재(13)를 경유하여, AF용 제어부(16)로의 급전 및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마그넷부(122)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3A, 도13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마그넷부(122)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3A는 렌즈 구동장치(1)의 평면도, 도13B는 렌즈 구동장치(1)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단, 도13A의 OC2는, 인접하는 배면 카메라의 다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마그넷(122A~122C)은, 마그넷 홀더(121)의 직사각형 모양의 외연부(外緣部)의 4변 중, 다른 렌즈 구동장치와 인접하는 한 변 이외의 3변에 배치된다. 다시말하면, 마그넷 홀더(121)는, 외연부의 4변 중의 3변을 마그넷 배치부(Q)로 하고, 다른 렌즈 구동장치와 인접하는 1 변에 대해서는, 마그넷(122)이 배치되지 않는 마그넷 비(非)배치부(R)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인접하는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13A, 도13B중에서는, 마그넷 홀더(121)의 외연부의 X방향으로 대향하는 2변 중 +X방향이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응하고, -X방향이 마그넷 배치부(Q)에 대응한다. 또, 마그넷 홀더(121)의 외연부의 Y방향으로 대향하는 2변이 마그넷 배치부(Q)에 대응한다. 다시말하면, 마그넷(122B)은,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향하는 변에 배치되고, 마그넷(122A, 122C)은, 마그넷 비배치부(R)에 인접하는 2변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넷(122A~122C)은,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의 영구자석이 적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구동장치(1) 전체를 소형화하기 위해, 마그넷(122A~122C)은, AF용 및 OIS용으로 공용되고 있으며, AF용 코일부(112)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횡단하는 자계, 및 OIS용 코일부(231A~231C)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횡단하는 자계를 형성한다.
<렌즈 구동장치의 동작>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떨림 보정을 행할 경우에는, OIS용 코일부(231)로의 통전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OIS용 구동부에서는, 카메라 모듈(A)의 떨림이 상쇄되도록, 떨림 검출부(도면표시 생략, 예를 들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OIS용 코일부(231)의 통전 전류가 제어된다. 이 때, XY위치 검출부(24A, 24B)의 검출 결과를 피드백함으로써, OIS 가동부(10)의 요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OIS용 코일부(231)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2)의 자계와 OIS용 코일부(231)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OIS용 코일부(231)에 로렌트력이 생긴다(플레밍의 왼손 법칙). 로렌트력의 방향은, OIS용 코일부(231)의 장변 부분에 있어서의 자계의 방향(Z방향)과 전류의 방향(X방향 또는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Y방향 또는 X방향)이다. OIS용 코일부(231)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그넷부(122)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OIS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마그넷부(122)를 가지는 OIS 가동부(10)가 XY평면내에서 요동하여, 떨림 보정이 행해진다.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 자동 핀트 맞추기를 행하는 경우에는, AF용 코일부(112)로의 통전이 행해진다. AF용 코일부(112)에 있어서의 통전 전류는, AF용 제어부(16)(제어 IC161)에 의해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IC(161)는, 서스펜션 와이어(31A, 31B) 및 신호 라인(174, 173)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제어 신호 및 제어 IC(161)에 내장되어 있는 홀 소자(도면표시 생략)에 의한 검출 결과를 기초로, AF용 코일부(112)로의 통전 전류를 제어한다.
AF용 코일부(112)에 통전하면, 마그넷부(122)의 자계와 AF용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에 로렌트력이 생긴다. 로렌트력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X방향 또는 Y방향)과 AF용 코일부(11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Y방향 또는 X방향)에 직교하는 방향(Z방향)이다. 마그넷부(122)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AF용 코일부(112)에 반력이 작용한다. 이 반력이 AF용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이 되어, AF용 코일부(112)를 가지는 AF가동부(1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핀트 맞추기가 행해진다.
렌즈 구동장치(1)의 AF용 제어부(16)에 있어서는, 제어 IC(161)에 내장되는 홀 소자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클로즈드 루프 제어가 행해진다. 클로즈드 루프 제어 방식에 의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또 AF가동부(11)의 위치가 안정된 것을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 상면(像面) 검출 방식의 자동 핀트 맞추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응답 성능이 높고, 자동 핀트 맞추기 동작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핀트 맞추기를 행하지 않는 무통전시(無通電時)에는, AF가동부(11)는, 상측 판용수철(131, 132) 및 하측 판용수철(14)에 의해서, 무한원 위치와 매크로 위치와의 사이에 매달린 상태(이하 「기준 상태」라고 칭함)가 된다. 즉, OIS 가동부(10)에 있어서,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는, 상측 판용수철(131, 132) 및 하측 판용수철(14)에 의해서, AF고정부(12)(마그넷 홀더121)에 대해서 위치결정된 상태로, Z방향 양쪽으로 변위 가능하게 탄성 지지된다.
핀트 맞추기를 행할 때는, AF가동부(11)를 기준 상태로부터 매크로 위치 쪽으로 이동시키는지, 무한원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는지에 따라, 전류의 방향이 제어된다. 또, AF가동부(11)의 이동거리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제어된다.
핀트 맞추기시에 AF가동부(11)가 무한원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 홀더(111)의 제1의 스토퍼부(111h)의 하면이 마그넷부(122)의 상면으로 가까워져, 최종적으로 당접한다. 즉, 렌즈 홀더(111)의 제1의 스토퍼부(111h)의 하면과 마그넷부(122)의 상면에 의해서, 무한원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핀트 맞추기시에 AF가동부(11)가 매크로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렌즈 홀더(111)의 플랜지부(111b)의 상면이 마그넷 홀더(121)의 제2의 스토퍼부(121e)의 하면으로 가까워져, 최종적으로 당접한다. 즉, 렌즈 홀더(111)의 플랜지부(111b)의 상면과 마그넷 홀더(121)의 제2의 스토퍼부(121e)의 하면에 의해서, 매크로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마그넷부(122)의 배치 위치를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4변 중3변에 대해서는 마그넷 배치부(Q)로 하고, 한 변에 대해서는 마그넷 비배치부(R)로 함으로써, 마그넷 비배치부(R)측에 인접해서 배치된 다른 렌즈 구동장치로의 자기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14A, 도14B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14A, 도14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A는 평면도, 도14B는 도14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렌즈 홀더(111)가 마그넷 홀더(121)의 마그넷 비배치부(R) 쪽으로 편위(偏位:치우침)한 위치에서 지지되고 있는 점, 및, 마그넷(122B)이 마그넷(122A, 122C)에 비교해 사이즈가 큰 형상을 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相違)하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이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4A, 도14B중에서는, OIS 고정부(20)는 생략하고 있다. 단, OIS 고정부(20)의 각 OIS용 코일부(231A~231C)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각 마그넷(122A~122C)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이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마그넷 비배치부(R)를 설치했을 경우, OIS 가동부(10)(마그넷 홀더121 및 렌즈 홀더111)는, XY평면에 있어서의 4변 중에서의 중량 밸런스(balance)가 붕괴되기 때문에, 떨림 보정 시에, 불필요한 공진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OIS 가동부(10)는, 복수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공진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더하여, OIS 가동부(10)를 X방향으로 구동할 때에는, 마그넷(122B)만의 자계를 이용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X방향으로의 떨림 보정의 구동력도 작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상기 구성에 의해, 이러한 상태를 해소한다. 즉, 렌즈 홀더(111)가 마그넷 홀더(121)의 마그넷 비배치부(R) 쪽으로 편위한 위치에서 지지됨으로써, OIS 가동부(10) 전체로서의 중량 밸런스를 4변 중에서 균등하게 하여, OIS 가동부(10)의 이동 상태를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더하여, 마그넷(122B)은, 렌즈 홀더(111)가 마그넷 홀더(121)의 마그넷 비배치부(R) 쪽으로 편위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수반하여 형성된 스페이스를 이용해, 상기의 중량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사이즈를 크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해당 마그넷(122B)으로부터 작용시키는 OIS용 코일부(231B)로의 자계를 증강시켜, X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마그넷(122B)으로부터 작용시키는 AF용 코일부(112)로의 자계를 증강시켜, 광축 방향으로의 구동력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마그넷(122B)의 사이즈를 크게 한다는 것은, OIS용 코일부(231B)에 작용시키는 X방향의 자계가 증강하도록, 자계를 발생하는 면적을 크게 하거나, 착자 영역을 크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함과 동시에, 더욱, 떨림 보정 시에, OIS 가동부(10)의 이동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더하여, 그 때에, 마그넷(122B)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마그넷 비배치부(R)가 존재하는 X방향의 구동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15A, 도15B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15A, 도15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A는 평면도, 도15B는 도15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AF용 코일부(112) 및 마그넷(122A~122C)이, AF용 코일부(112)에 전류를 흘렸을 때에, 각 방향으로부터 AF용 코일부(112)에 발생하는 구동력의 합력(合力)의 벡터가 광축 방향에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마그넷 비배치부(R)를 설치했을 경우, AF용 코일부(112)에 전류를 흘렸을 때에, AF용 코일부(112)의 +X방향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AF용 코일부(112) 전체에 발생하는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는, 광축 방향으로부터 +X방향으로 경사한 방향으로 될 우려가 있다(이하, 「AF틸트」라고 칭한다). AF틸트가 발생하면, 오토 포커스가 곤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AF틸트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2변의 Y방향측의 마그넷(122A, 122C)은, 모두, 렌즈 홀더(111)의 중심에 대해서 마그넷 비배치부(R) 쪽으로 편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AF용 코일부(112)는,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향하는 X방향측의 마그넷(122B)과 대향하는 영역이 작아지는 듯한 형상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AF용 코일부(112)는, 평면시에서, 직사각형 모양으로부터 마그넷(122B) 측으로 볼록(凸)하게 변형한 육각형 형상을 나타낸다. 다시말하면, AF용 코일부(112)는, 마그넷(122B)에 대해서 대향하는 영역, 및 마그넷(122A, 122C)에 대해서 대향하는 영역이 거의 동일한 길이가 되는 형상을 띠고 있다.
해당 구성으로 함으로써,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와 마그넷(122A)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구동력,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와 마그넷(122B)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구동력, 및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와 마그넷(122C)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구동력을 밸런스시켜,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에 대한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를 광축에 일치시킬 수 있다. 다시말하면, AF용 코일부(112)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지워지게 된다.
단, 마그넷(122A, 122C)이 발생하는 자력을 강하게 하는 등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의 통전 전류와 마그넷(122A, 122B, 122C)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구동력을 밸런스시킬 수만 있다면, AF용 코일부(112)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함과 동시에, 더욱, 오토 포커스 시의 AF틸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도16A, 도16B를 참조하여,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16A, 도16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A는 평면도, 도16B는 도16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마그넷 비배치부(R)에 비자성 재료의 밸런스 웨이트(123)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그넷 비배치부(R)를 설치했을 경우, OIS 가동부(10)(마그넷 홀더121 및 렌즈 홀더111)는, 4변 중에서의 중량 밸런스가 붕괴되기 때문에, 떨림 보정시, 불필요한 공진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상기 구성에 의해, 떨림 보정시의 불필요한 공진 현상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밸런스 웨이트(123)는, 다른 3변의 마그넷(122A~122C)과의 중량 밸런스를 위해 설치되며, 마그넷 비배치부(R)에 배치된다. 밸런스 웨이트(123)로서는, 예를 들면, 마그넷부(122)와 거의 동일한 중량 및 형상의 비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OIS 가동부(10) 전체로서의 중량 밸런스를 4변 중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하면서, 더욱, 떨림 보정 시에, OIS 가동부(10)의 이동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도17A, 도17B를 참조하여,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17A, 도17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A는 평면도, 도17B는 도17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향하는 변의 마그넷(122B)으로서,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착자 영역이 광축 방향과 지름 방향 각각으로 2분할되어, 인접하는 착자 영역끼리가 서로 다른 자극으로 착자된 양면 4극 마그넷이 채용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상기 구성에 의해서, AF틸트를 방지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마그넷(122B)은, 거의 직방체인 XZ단면에 있어서의 착자 영역이, X방향과 Z방향 각각으로 2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넷(122B)의 +X측의 착자 영역에는 하방 측으로부터 차례로 S극, N극으로 착자되고, -X측의 착자 영역에는 하방 측으로부터 차례로 N극, S극으로 착자되고 있다.
그리고, 마그넷(122B)은, AF용 코일부(112)와 대향하는 영역이 Z방향으로 분할한 착자 영역의 중앙 부근이 되고, 그러면서 또, OIS용 코일부(231B)의 +Y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과 -Y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이 다른 자극(磁極)의 착자 영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에 대한 마그넷(122B)로부터의 자계의 작용이 저감된다. 이것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에는, 오토 포커스 시, 주로 마그넷(122A) 및 마그넷(122C)이 생성하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서 구동력이 발생한다. 즉,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작용하는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가 광축에 일치하므로, AF틸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함과 동시에, 더욱, 오토 포커스때의 AF틸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도18A, 도18B를 참조하여,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18A, 도18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8A는 평면도, 도18B는 도18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향하는 위치의 마그넷(122B)과 AF용 코일부(112)의 사이에, 요크(124)를 개재시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해당 구성에 의해서, AF틸트를 방지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요크(124)는, 마그넷 홀더(121)에 있어서, 마그넷(122B)과 AF용 코일부(112)의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요크(124)는, 자성 재료이며, 마그넷(122B)으로부터 AF용 코일부(112)에 작용하는 자계를 차단한다.
이것에 의해, AF용 코일부(112)에 대한 마그넷(122B)으로부터의 자계의 작용을 저감하여, AF용 코일부(112)에는, 오토 포커스 시, 주로 마그넷(122A) 및 마그넷(122C)이 생성하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서 구동력이 발생한다. 다시말하면, AF용 코일부(112)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지워지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작용하는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를 광축에 일치시켜, AF틸트를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함과 동시에, 더욱, 오토 포커스때의 AF틸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다음에, 도19A, 도19B를 참조하여,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19A, 도19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9A는 평면도, 도19B는 도19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마그넷(122B)과 AF용 코일부(112)의 사이에 요크(124)가 배치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해당 구성에 의해서, AF틸트를 방지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요크(124)는, 마그넷(122B)과 AF용 코일부(112)의 사이에 개재함과 동시에, 해당 위치로부터 연재(延在) 하여, 마그넷 비배치부(R)에 인접하는 2변에 배치된 마그넷(122A, 122C)을 외주로부터 둘러싸듯이, 마그넷 홀더(121)의 외연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AF용 코일부(112)에 대한 마그넷(122B)으로부터의 자계의 작용을 저감시켜, AF용 코일부(112)에는, 오토 포커스 시, 주로 마그넷(122A) 및 마그넷(122C)이 생성하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 구동력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작용하는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가, 광축에 일치하므로, AF틸트를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요크(124)로 마그넷(122A, 122C)을 외주로부터 둘러쌈으로써, 마그넷(122A, 122C)으로부터 해당 렌즈 구동장치(1)의 외부로의 자기 실드(磁氣 Shield)를 행함과 동시에, 마그넷 홀더(121)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를 고정하는 부재(상측 탄성 지지 부재13, 코일 기판 23)에 작용하는 하중을 밸런스 시키기 위해, 해당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에 의해서 마그넷 홀더(121)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를 X방향의 +X측의 2 개와 -X측의 2 개에서 비대칭으로 하고 있다. 보다 상세한 것은, +X측의 2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지지 위치가, -X측의 2 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0)의 지지 위치보다 마그넷 홀더(121)의 중심 측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함과 동시에, 더욱, 오토 포커스때의 AF틸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8 실시형태)
다음에, 도20A~도20C를 참조하여,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20A~도20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A는 평면도, 도20B는 도20A의 A-A'축을 따른 단면도, 도20C는 도 20A의 B-B'축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AF용 코일부(112)가 렌즈 홀더(111)의 마그넷(122A, 122C)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코일부(112A, 11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해당 구성에 의해서, AF틸트를 방지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AF용 코일부(112A, 112B)는, 모두, 평면 코일이고, XZ평면내에서 감겨져, X방향과 Z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평판 형상을 띠고 있다. 그리고, AF용 코일부(112A, 112B)는, 각각, 마그넷(122A, 122C)과 대향하도록 렌즈 홀더(111)에 배치된다.
마그넷(122A, 122C)은, 각각, YZ단면에 있어서의 착자 영역이 Y방향과 Z방향 각각으로 2분할되어, 인접하는 착자 영역끼리가 서로 다른 자극으로 착자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마그넷(122A)은, AF용 코일부(112A)의 +Z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과 -Z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이 다른 자극의 착자 영역이 되고, 그러면서 또, OIS용 코일부(231A)의 +Y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과 -Y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이 다른 자극의 착자 영역이 되도록 배치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마그넷(122C)은, AF용 코일부(112B)의 +Z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과 -Z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이 다른 자극의 착자 영역으로 되고, 그러면서 또, OIS용 코일부(231C)의 +Y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과 -Y측의 코일에 대향하는 영역이 다른 자극의 착자 영역이 되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AF용 코일부(112A, 112B)에 대한 마그넷(122B) 으로부터의 자계의 작용을 저감하여, AF용 코일부(112A, 112B)에는, 오토 포커스 시, 주로 마그넷(122A) 및 마그넷(122C)이 생성하는 자계의 작용에 의해서 구동력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AF가동부(11)(렌즈 홀더111)에 대해서 작용하는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가, 광축에 일치하므로, AF틸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억제함과 동시에, 더욱, 오토 포커스때의 AF틸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두 개의 코일부(112A, 112B)에 의해서 오토 포커스를 행할 경우, 렌즈 홀더(111)의 광축 방향의 위치에 따라 구동력이 변화하여, 구동력의 선형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해당 관점에서는, AF용 코일부(112)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렌즈 홀더(111)의 외주면을 권선(卷線)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9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모듈(A)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의 일례로서 스마트 폰을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는, 여러 가지의 정보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휴대형 게임기, 카메라 부착 차재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21A, 도21B는, 카메라 모듈(A)을 차재용 카메라 모듈 VC(Vehicle Camera)에 적용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A는 자동차(V)의 정면도이고,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이, 렌즈부를 주행 방향을 향하여 프런트 글래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21B는 자동차(V)의 후방도이며,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이, 렌즈부를 주행 방향 후방 측을 향하여 차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차재용 카메라 모듈(VC)은, 드라이브 레코더용, 충돌 회피 제어용, 자동 운전 제어용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형 형상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그넷 홀더(121)는,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외형의 것을 이용하는 형태로 했지만, 평면시에서, 육각형이나 팔각형의 외형의 것을 이용해도 좋다. 단, 그 경우도, 인접하는 다른 렌즈 구동장치에 대한 자기 간섭을 저감할 수 있도록, 마그넷부(122)는,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4변 중의 3변을 마그넷이 배치되는 마그넷 배치부(Q)로 하고, 다른 1 변을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는 마그넷 비배치부(R)로 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홀더(111)를 X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OIS용 지지 부재(30)의 일례로서, 서스펜션 와이어를 이용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OIS용 지지 부재(30)는, 서스펜션 와이어 이외의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렌즈 홀더(111)를 X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판용수철과 Y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판용수철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렌즈 홀더(1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AF용 지지 부재(13, 14)의 일례로서, 판용수철을 이용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AF용 지지 부재(13, 14)는, 판용수철 이외의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렌즈 홀더(1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베어링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기술(技術)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하게 된다.
렌즈부를 보지하는 렌즈 홀더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112)와, 상기 제1 코일부(112)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마그넷부(122)와, 상기 마그넷부(122)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고정부(12)에 대해서 상기 제1 코일부(11)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가동부(11)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13, 14)를 가지고, 상기 제1 코일부(112)와 상기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핀트 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상기 마그넷부(122)와, 상기 마그넷부(122)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제2 코일부(231)와, 상기 제2 코일부(231)를 포함한 떨림 보정 고정부(20)에 대해서 상기 마그넷부(122)를 포함한 떨림 보정 가동부(10)를 광축 직교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30)를 가지고, 상기 제2 코일부(231)와 상기 마그넷부(122)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1)이며, 상기 마그넷부(122)는, 평면시에서,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4변 중의 대향하는 2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122A, 122C)과 다른 1변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122B)을 가지고, 상기 제2 마그넷(122B)이 대향하는 변은,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는 마그넷 비배치부(R)로 되어 있는 렌즈 구동장치(1)를 개시한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다른 렌즈 구동장치(1)과 인접시켜 배치하더라도, 해당 다른 렌즈 구동장치(1)과 인접하는 1변에 대해서는 마그넷 비배치부(R)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보지하는 마그넷부(122)가, 다른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서 자기 간섭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홀더(111)는, 상기 마그넷부(122)를 보지하는 마그넷 홀더(121)의 내측 중, 상기 마그넷 비배치부(R) 쪽으로 편위하여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OIS 가동부(10) 전체로서의 중량 밸런스를 4변 중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진의 발생을 방지하여, 떨림 보정시의 이동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마그넷(122B)은, 상기 제1 마그넷(122A, 122C)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떨림 보정 시에는, 마그넷 비배치부(R)가 존재하는 X방향의 구동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마그넷(122A, 122C)은, 상기 마그넷 비배치부(R) 쪽으로 편위하여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오토 포커스 시에, 제1 코일부(112)에 대한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를 렌즈의 광축에 일치시켜, AF틸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코일부(112)는, 상기 제2 마그넷에 대해서 대향하는 영역, 및 상기 제1 마그넷(122A, 122C)에 대해서 대향하는 영역이 거의 동일한 길이가 되는 형상을 띠고 있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오토 포커스 시에, 제1 코일부(112)에 대한 구동력의 합력의 벡터를 렌즈의 광축에 일치시켜, AF틸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대해서는, 상기 마그넷 비배치부(R)에는, 비자성 재료의 밸런스 웨이트가 배치된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OIS 가동부(10)전체로서의 중량 밸런스를 4변 중에서 균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진의 발생을 방지하여, 떨림 보정시의 이동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마그넷(122B)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착자 영역이 광축 방향과 지름 방향 각각으로 2분할되어, 인접하는 착자 영역끼리가 서로 다른 자극으로 착자된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향하는 변의 마그넷(122B)으로서 상기와 같은 마그넷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마그넷(122B)으로부터 AF용 코일부(112)에 대해서 작용하는 자계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AF틸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마그넷(122B)과 상기 제1 코일부(112)의 사이에 개재하는 요크(124)를,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요크(124)에 의해서, 상기 제2 마그넷(122B)으로부터 AF용 코일부(112)에 대해서 작용하는 자계를 제한하여, AF틸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있어서의, 상기 요크(124)는, 상기 제2 마그넷(122B)과 상기 제1 코일부(112)의 사이로부터 연재(延在)하여, 상기 제1 마그넷(122A, 122C)을 외주로부터 둘러싸듯이, 상기 마그넷 홀더(121)의 상기 외연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렌즈 구동장치(1)에 의하면, 요크(124)에 의해서, 마그넷 비배치부(R)에 대향하는 변의 마그넷(122B)으로부터 AF용 코일부(112)에 대해서 작용하는 자계를 제한하여, AF틸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해당 요크(124)에 의해서, 마그넷(122A, 122C)으로부터 해당 렌즈 구동장치(1)의 외부로의 자기 실드를 행함과 동시에, 마그넷 홀더(121)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2016년 6월 24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16-126022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개시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듀얼 카메라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렌즈 구동장치
2 커버
10 OIS 가동부
11 AF가동부
111 렌즈 홀더
112 AF용 코일부
12 AF고정부
121 마그넷 홀더
122 마그넷부
13, 14 AF용 지지 부재
15 위치 검출용 자석
16 AF용 제어부
20 OIS 고정부
21 베이스
22 센서 기판
23 코일 기판
231 OIS용 코일부
30 OIS용 지지 부재
A 카메라 모듈
R 마그넷 비배치부
Q 마그넷 배치부

Claims (11)

  1. 렌즈부를 보지하는 렌즈 홀더의 주위에 배치되는 제1 코일부와, 상기 제1 코일부에 대해서 지름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제1 코일부를 포함한 오토 포커스 가동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핀트 맞추기를 행하는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와,
    상기 오토 포커스용 구동부에 배치되는 상기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는 제2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마그넷부를 포함한 떨림 보정 가동부를 광축 직교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2 코일부와 상기 마그넷부로 구성되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떨림 보정을 행하는 떨림 보정용 구동부,
    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이며,
    상기 마그넷부는, 평면시(平面視)에서, 거의 직사각형 모양의 4변 중의 대향하는 2변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과 다른 1변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을 가지고, 상기 제2 마그넷이 대향하는 변은, 마그넷이 배치되지 않는 마그넷 비배치부로 되어 있는,
    렌즈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마그넷부를 보지하는 마그넷 홀더의 내측(內側) 중, 상기 마그넷 비배치부 쪽으로 편위(偏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은, 상기 제1 마그넷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은, 상기 마그넷 비배치부 쪽으로 편위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제1 마그넷 각각에 대해서 대향하는 영역, 및 상기 제2 마그넷에 대해서 대향하는 영역이 거의 동일한 길이가 되는 형상을 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비배치부에는, 비자성 재료의 밸런스 웨이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착자 영역이 광축 방향과 지름 방향 각각으로 2분할되어, 인접하는 착자 영역끼리가 서로 다른 자극(磁極)으로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과 상기 제1 코일부의 사이에 개재하는 요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제2 마그넷과 상기 제1 코일부의 사이로부터 연재하여, 상기 제1 마그넷 각각을 외주로부터 둘러싸듯이, 상기 마그넷 홀더의 상기 외연부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10. 청구항 1에 기재한 렌즈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1. 청구항 10에 기재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0187037094A 2016-06-24 2017-06-14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350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6022 2016-06-24
JP2016126022A JP6643720B2 (ja) 2016-06-24 2016-06-24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CT/JP2017/022000 WO2017221791A1 (ja) 2016-06-24 2017-06-14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47A true KR20190022547A (ko) 2019-03-06
KR102350214B1 KR102350214B1 (ko) 2022-01-17

Family

ID=6078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094A KR102350214B1 (ko) 2016-06-24 2017-06-14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20118B2 (ko)
EP (1) EP3477353B1 (ko)
JP (1) JP6643720B2 (ko)
KR (1) KR102350214B1 (ko)
CN (2) CN109416456B (ko)
TW (1) TWI726120B (ko)
WO (1) WO2017221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3370B2 (en) * 2016-08-24 2022-02-08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EP3582000B1 (en) * 2017-02-10 2022-11-2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CN117826509A (zh) * 2017-03-30 2024-04-05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模块以及光学设备
JP6882675B2 (ja) * 2017-06-19 2021-06-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7057492B2 (ja) * 2017-12-28 2022-04-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532317B1 (ko) * 2018-05-23 2023-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20076029A1 (ko) * 2018-10-08 2020-04-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JP7049482B2 (ja) * 2018-11-21 2022-04-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
US11506862B2 (en) * 2019-02-01 2022-11-22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20220255414A1 (en) * 2019-08-06 2022-08-11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JP2022550026A (ja) * 2019-09-26 2022-11-30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モジュール
JP7376782B2 (ja) * 2019-11-26 2023-11-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272591B1 (ko) * 2019-12-10 2021-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3906249A (zh) * 2020-07-28 2022-01-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摄像装置和可移动平台
US11831969B1 (en) * 2021-01-29 2023-11-28 Apple Inc. Asymmetric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small form factor cameras
CN112994275B (zh) * 2021-03-05 2022-07-08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驱动组件、音圈马达、摄像模组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988A (ko) * 2007-05-31 2008-12-04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카메라 모듈
JP2012177753A (ja)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13210550A (ja)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1389375B1 (ko) * 2013-03-29 2014-04-28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구동 장치
WO2016006239A1 (ja) * 2014-07-11 2016-01-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942A (ja) * 2005-06-15 2006-12-28 Tamron Co Ltd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8197313A (ja) * 2007-02-13 2008-08-28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5430074B2 (ja) * 2008-04-03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CN101542348B (zh) * 2008-10-14 2011-04-20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多致动器镜头致动装置
CN101959012B (zh) * 2009-07-17 2013-08-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
JP5846346B2 (ja) *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5607119B2 (ja) * 2009-11-17 2014-10-15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US9134503B2 (en) * 2012-07-06 2015-09-15 Apple Inc. VCM OIS actuator module
JP6180103B2 (ja) * 2012-11-29 2017-08-1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784988B2 (en) * 2013-03-29 2017-10-10 Jahwa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US9372352B2 (en) * 2013-08-23 2016-06-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15045527A1 (ja) * 2013-09-27 2015-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EP2887514B1 (en) * 2013-12-23 2020-06-24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20160018720A1 (en) * 2014-02-19 2016-01-21 Gil BACHAR Magnetic shielding between voice coil motors in a dual-aperture camera
TWM490692U (en) * 2014-04-30 2014-11-21 Lite-On Electronics (Guangzhou) Ltd Voice coil motor array module
CN105024516B (zh) * 2014-04-30 2017-12-01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音圈马达阵列模块
US9360653B2 (en) * 2014-05-09 2016-06-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JP6666538B2 (ja) * 2014-05-14 2020-03-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10168545B2 (en) * 2014-10-16 2019-01-01 Tdk Taiwan Corp. Optical image stabilizer with improved magnetic disposition
JP2016126022A (ja) 2014-12-26 2016-07-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
US10382698B2 (en) * 2015-09-30 2019-08-13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JP6652734B2 (ja) * 2015-11-20 2020-02-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988A (ko) * 2007-05-31 2008-12-04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카메라 모듈
JP2012177753A (ja) 2011-02-25 2012-09-13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JP2013210550A (ja)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KR101389375B1 (ko) * 2013-03-29 2014-04-28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구동 장치
WO2016006239A1 (ja) * 2014-07-11 2016-01-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6020939A (ja) * 2014-07-11 2016-02-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20170192195A1 (en) * 2014-07-11 2017-07-06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09776A (zh) 2018-03-16
JP2017227850A (ja) 2017-12-28
EP3477353B1 (en) 2022-07-27
US11520118B2 (en) 2022-12-06
CN112946856A (zh) 2021-06-11
TWI726120B (zh) 2021-05-01
EP3477353A4 (en) 2020-02-26
US20190204532A1 (en) 2019-07-04
CN109416456B (zh) 2021-03-09
EP3477353A1 (en) 2019-05-01
JP6643720B2 (ja) 2020-02-12
WO2017221791A1 (ja) 2017-12-28
KR102350214B1 (ko) 2022-01-17
CN109416456A (zh) 2019-03-01
CN112946856B (zh)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2547A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656591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882675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458378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6492653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7038792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537111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20190080760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639380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JP6947969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947968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WO2018021489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6989759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