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203A -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203A
KR20190022203A KR1020170108202A KR20170108202A KR20190022203A KR 20190022203 A KR20190022203 A KR 20190022203A KR 1020170108202 A KR1020170108202 A KR 1020170108202A KR 20170108202 A KR20170108202 A KR 20170108202A KR 20190022203 A KR20190022203 A KR 20190022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voltage
filter
converter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근
진용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씨텍
Priority to KR1020170108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2203A/ko
Priority to PCT/KR2017/009435 priority patent/WO2019039638A1/ko
Publication of KR20190022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3Converters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H02M2001/0064
    • H02M2001/009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3Full-bridge at prim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에 따르면,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병렬 운전을 하는 PWM 제어방식의 전력변환기의 개수가 2개 이상으로 증가하더라도, 출력을 필터링 하는 필터의 개수를 1대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전력변환기의 부피 및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철도 차량 전력 계통의 DC-DC 컨버터 제품 중 일부 제품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DC-DC 컨버터로 철도 차량 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Parallel Operation System for Minimizing Filter}
본 발명은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철도 차량 전력 계통의 DC-DC 컨버터 제품 중 일부 제품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DC-DC 컨버터로 철도 차량 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전철 혹은 전동차의 모터 블록(추진 인버터)의 경우 전력변환장치 및 모터는 냉각팬을 통해 열을 방출 하는데, 전차선 내 전압이 없는(사구간) 곳을 통과 할 때 냉각 인버터의 전원 공급이 중단 되어 시스템의 정지를 야기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구간 통과 시 회생 제동 동작할 때 발생하는 회생에너지를 냉각 인버터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해 DC-DC 컨버터를 사용한다.
신뢰성이 높이 요구 되는 철도 차량의 전장품의 경우 DC-DC 컨버터가 고장이 발생하면, 운행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를 병렬운전을 실시해야 한다.
기존의 PWM 제어방식의 DC-DC 컨버터는 출력을 필터링 하는 L-C필터를 사용하고,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병렬 운전을 하게 되면, DC-DC 컨버터의 개수가 N대일 때, 이에 따른 L-C 필터도 N대 만큼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439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병렬 운전을 하는 PWM 제어방식의 전력변환기의 개수가 2개 이상으로 증가하더라도, 출력을 필터링 하는 필터의 개수를 1대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전력변환기의 부피 및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철도 차량 전력 계통의 DC-DC 컨버터 제품 중 일부 제품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DC-DC 컨버터로 철도 차량 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은, DC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입력필터,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DC/AC 컨버터, 제1DC/AC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제1변압기 및 제1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DC-DC컨버터부 및 제1DC-DC컨버터부와 병렬로 구비되는 것으로 DC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입력필터,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DC/AC 컨버터, 제2DC/AC 컨버터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제2변압기 및 제2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DC-DC컨버터부가 구성되어 각각 서로 다른 위상에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1정류기 및 제2정류기의 출력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변환된 DC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1개의 공통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DC-DC컨버터부와 제2DC-DC컨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은 180도 위상차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제1DC-DC컨버터부의 제1정류부 및 제2DC-DC컨버터부의 제2정류부를 통해 각각 출력되는 전류 값은 공통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 값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DC-DC컨버터부 또는 제2DC-DC컨버터부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어 작동이 중단될 경우, 서로 연결된 신호선에 의해 고장이 발생한 DC-DC컨버터부가 검지되고, 고장나지 않은 DC-DC컨버터부의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는 고장이 발생한 DC-DC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될 전류가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고장난 DC-DC컨버터부가 고장에서 복귀하여 다시 작동이 되면, 상기 제1DC-DC컨버터부의 제1정류부 및 제2DC-DC컨버터부의 제2정류부를 통해 각각 출력되는 전류는 공통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 값의 절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에 따르면, DC-DC 컨버터를 이용하여 인터리브드 방식으로 병렬 운전을 하는 PWM 제어방식의 전력변환기의 개수가 2개 이상으로 증가하더라도, 출력을 필터링 하는 필터의 개수를 1대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전력변환기의 부피 및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철도 차량 전력 계통의 DC-DC 컨버터 제품 중 일부 제품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DC-DC 컨버터로 철도 차량 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을 통한 PWM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에서 고장 발생 시 단독 운전 및 재기동 후 병렬 운전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병렬로 연결이 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PWM 동기화 수행을 하는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DC-DC컨버터부 2대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며, 병렬 운전에 따른 인터리브드(interleaved) 방식에 따라 스위칭 시점을 2대일 경우 180도, 3대일 경우 120도, 4대일 경우 90도, N대 일 때 360도/N 으로 스위칭 시점을 맞춰 DC-DC컨버터부의 대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DC-DC컨버터부(100)는 DC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입력필터(110), 제1입력필터(110)를 통하여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DC/AC컨버터(130), 제1DC/AC컨버터(130)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제1변압기(150) 및 제1변압기(150)의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정류기(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DC-DC컨버터부(300)는 제1DC-DC컨버터부(100)와 마찬가지로, DC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입력필터(310), 제2입력필터(310)를 통하여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DC/AC컨버터(330), 제2DC/AC컨버터(330)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제2변압기(350) 및 제2변압기(350)의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정류기(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는 각각 서로 다른 위상에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제1DC-DC컨버터부(100)와 제2DC-DC컨버터부(300)의 스위칭 동작은 180도 위상차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정류기(170) 및 제2정류기(370)의 출력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변환된 DC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1개의 공통필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통필터(500)는 L-C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DC-DC컨버터부(100)와 제2DC-DC컨버터부(300)에서 PWM 동기방법은 마스터에 해당하는 제1DC-DC컨버터부(100)를 기준으로 하나의 삼각파에서 기준 값을 비교하여 PWM 파형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제1DC-DC컨버터부(100)를 기준으로 제2DC-DC컨버터부(300)는 180도 위상차의 삼각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기준 값과 비교하여 제1DC-DC컨버터부(100)와 제2DC-DC컨버터부(300)의 PWM 파형은 180도 위상차를 갖게 된다.
제1DC-DC컨버터부(100)에서는 DC 입력전압인 삼각파(도 1의 (a))는 제1입력필터(110)로 입력되어 고주파 성분이 필터링되고, 제1입력필터(110)를 통하여 고주파 성분이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은 제1DC/AC컨버터(130)로 입력되어 구형파 형태의 AC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구형파 형태의 AC 전압은 제1변압기(150)로 입력되어 상대적으로 저전압인 구형파 형태의 전압으로 변환되고, 구형파 형태의 전압은 제1정류기(170)로 입력되어 펄스 형태의 전압인 DC 전압(도 1의 (b))으로 변환된다.
제2DC-DC컨버터부(300)에서 발생된 DC 입력전압인 삼각파(도 1의 (c))는 제1DC-DC컨버터부(100)보다 180도 위상차를 가지면서 제2입력필터(310)로 입력되어 고주파 성분이 필터링되고, 제2입력필터(310)를 통하여 고주파 성분이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은 제2DC/AC컨버터(330)로 입력되어 구형파 형태의 AC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구형파 형태의 AC 전압은 제2변압기(350)로 입력되어 저전압인 구형파 형태로 변환되고, 구형파 형태의 전압은 제2정류기(370)로 입력되어 펄스 형태의 전압인 DC 전압(도 1의 (d))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제1정류기(17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DC 전압과 제2정류기(37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DC 전압은 공통필터(500)로 입력되어 DC 전압의 고주파 성분이 필터링되어 DC 전압으로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병렬 운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병렬 제어이기 때문에 제1DC-DC컨버터부(100)가 출력전압 제어를 위해 전압/전류 제어를 실시하고, 제2DC-DC컨버터부(300)는 전류 제어로 맞춰놓으면,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간의 평형 제어가 가능하다.
이때 평형을 맞추기 위해 CAN 통신을 통한 duty정보를 통해 평형 제어를 실시한다.
즉,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는 병렬운전의 평형을 맞춰야하기 때문에,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 각각 1/2의 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각각 1/2 전류 제어(예를 들어, 52kW를 26kW씩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의 duty를 동일하게 전류의 평형과 맞추려고 CAN통신으로 서로 duty 정보를 받아 평균값으로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1DC-DC컨버터부(100)의 duty는 결국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이다.
일반적인 병렬제어 시 마스터슬레이브 기능으로 제어할 경우, 위와 같이 마스터인 제1DC-DC컨버터부(100)는 전압/전류 제어, 슬레이브인 제2DC-DC컨버터부(300)는 전류 제어하여 평형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병렬제어 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통필터(500)를 통해 출력되는 최종 출력 전류(예를 들어 78A)는 제1DC-DC컨버터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예를 들어 39A) 및 제2DC-DC컨버터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류(예를 들어 39A)를 합친 전류 값이 된다.
한편, 병렬제어 동작 중 제1DC-DC컨버터부(100) 또는 제2DC-DC컨버터부(300)의 고장이 발생 될 경우, 제1DC-DC컨버터부(100)와 제2DC-DC컨버터부(300)간에 연결된 신호선에 따라 고장을 검지하여, 서로 고장이 검지가 되는지 확인한다.
이어서, 제1DC-DC컨버터부(10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마스터였던 제1DC-DC컨버터부(100)가 제2DC-DC컨버터부(300)로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제2DC-DC컨버터부(300)가 마스터가 되어 전압/전류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단독 운전이 수행된다.
따라서 제2DC-DC컨버터부(300)는 최종 출력 전류를 2배 높여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제2DC-DC컨버터부(30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제1DC-DC컨버터부(100)는 마찬가지로 최종 출력 전류를 2배 높여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고장난 DC-DC컨버터부가 고장에서 복귀하여 재기동 하였을 때, 다시 병렬 평형 제어를 실시하게 되고,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는 최종 출력 전류가 각각 1/2씩(예를 들어 39A) 제어하게 된다.
도 2의 (e)는 DC-DC컨버터부 1대를 이용할 때와, DC-DC컨버터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인터리브드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가 2배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DC-DC컨버터부(100) 및 제2DC-DC컨버터부(300)의 2대의 DC-DC컨버터부에 공통으로 연결된 1개의 공통필터(500)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며, DC-DC컨버터부가 3개 이상으로 증가하더라도, 공통필터(500)는 3개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닌, 1개만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DC-DC컨버터부를 구성하는 부피가 기존에 비해 1.7배 내지 2배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DC-DC컨버터부 총 용량이 예를 들어, 52kW(1대당 26kW, 2대 병렬운전으로 52kW)라면, 기존에는 제동 저항기를 분배하여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저항에 52kW의 손실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DC-DC컨버터부를 사용 할 경우, 52kW의 용량을 사용하여 저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효율(약 90%)을 감안하면 소비 전력량 5.2kW로써 약 10배의 전력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DC-DC컨버터부 110: 제1입력필터
130: 제1DC/AC컨버터 150: 제1변압기
170; 제1정류기 300: 제2DC-DC컨버터부
310: 제2입력필터 330: 제2DC/AC컨버터
350: 제2변압기 370: 제2정류기
500: 공통필터

Claims (5)

  1. DC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1입력필터,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DC/AC컨버터, 제1DC/AC컨버터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제1변압기 및 제1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1DC-DC컨버터부 및 제1DC-DC컨버터부와 병렬로 구비되는 것으로 DC 입력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2입력필터, 필터링된 DC 입력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DC/AC컨버터, 제2DC/AC컨버터의 출력전압을 변환하는 제2변압기 및 제2변압기의 출력전압을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정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2DC-DC컨버터부가 구성되어 각각 서로 다른 위상에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제1정류기 및 제2정류기의 출력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변환된 DC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필터링하는 1개의 공통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DC-DC컨버터부와 제2DC-DC컨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은 180도 위상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DC-DC컨버터부의 제1정류부 및 제2DC-DC컨버터부의 제2정류부를 통해 각각 출력되는 전류 값은 공통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 값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DC-DC컨버터부 또는 제2DC-DC컨버터부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되어 작동이 중단될 경우, 서로 연결된 신호선에 의해 고장난 DC-DC컨버터부가 검지되고, 고장나지 않은 DC-DC컨버터부의 정류부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는 고장난 DC-DC컨버터부로부터 출력될 전류가 합쳐져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장난 DC-DC컨버터부가 고장에서 복귀하여 다시 작동이 되면, 상기 제1DC-DC컨버터부의 제1정류부 및 제2DC-DC컨버터부의 제2정류부를 통해 각각 출력되는 전류는 공통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 값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KR1020170108202A 2017-08-25 2017-08-25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KR201900222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202A KR20190022203A (ko) 2017-08-25 2017-08-25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PCT/KR2017/009435 WO2019039638A1 (ko) 2017-08-25 2017-08-29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202A KR20190022203A (ko) 2017-08-25 2017-08-25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203A true KR20190022203A (ko) 2019-03-06

Family

ID=6543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202A KR20190022203A (ko) 2017-08-25 2017-08-25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22203A (ko)
WO (1) WO2019039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1273B2 (en) * 2020-06-16 2023-03-21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Detection of power supply circuit irregulariti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57A (ko) 2014-06-13 2015-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수의 병렬 피더블유엠 컨버터를 이용하는 급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7600B2 (ja) * 1999-10-28 2010-07-07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定電力出力直流電源装置の制御方式
JP4442145B2 (ja) * 2003-07-10 2010-03-31 ソニー株式会社 電源装置
JP4848216B2 (ja) * 2006-07-21 2011-12-2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昇圧回路、モータ駆動回路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5424804B2 (ja) * 2009-10-09 2014-02-26 新電元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リーブ型スイッチング電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3957A (ko) 2014-06-13 2015-12-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수의 병렬 피더블유엠 컨버터를 이용하는 급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638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6379B2 (en) Aircraft universal power converter
US10434882B2 (en) Track-bound vehicle converter
US8018331B2 (en) Multilevel inverter using cascade configu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836416B2 (en) Multi-output power conversion circuit
JP5377634B2 (ja) 負荷駆動システムの制御装置
WO2016063678A1 (ja) 電力変換装置
TWI660566B (zh) 電力變換裝置
US9960724B2 (en) Driving system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phase of pulse width modulation carrier signal in the same
CN103988409B (zh) 功率转换装置
US6643156B2 (en) Transformerless two-phase inverter
KR20190022203A (ko) 필터를 최소화하는 병렬 운전 시스템
JP200817297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6393643B2 (ja) 車両駆動システム
JP2010220382A (ja) 電力変換装置
US20060262574A1 (en) DC high voltage to DC low voltage converter
JP6085243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AU2016323590B2 (en) Power supply for welding and cutting apparatus
JPH0746846A (ja) 三相整流装置
JPH02101968A (ja) 電圧形多重インバータ
CN110463011B (zh) 电力转换装置
JP2021141773A (ja) 電圧変換装置
CA3220954A1 (en) Pulse width modulation system provided with synchronized control boards
JP2005348573A (ja) 電力変換装置
JP2005094937A (ja) 電力変換装置
JPS63618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