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653A - 냉장고용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저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1653A KR20190021653A KR1020170106660A KR20170106660A KR20190021653A KR 20190021653 A KR20190021653 A KR 20190021653A KR 1020170106660 A KR1020170106660 A KR 1020170106660A KR 20170106660 A KR20170106660 A KR 20170106660A KR 20190021653 A KR20190021653 A KR 201900216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over
- closing member
- shaft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 B65D43/167—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일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면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홀더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 중 일측의 개폐부재는 구속이 해제되도록 회전되고, 타측의 개폐부재는 구속된 상태에서 구속된 개폐부재를 축으로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상기 개구된 면 전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실시 예는 냉장고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내부에 수납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는 내부에 식품이 밀폐된 상태에서 저장될 수 있도록 본체와 커버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김치를 비롯한 밀폐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이 수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냉장고는 내부의 냉기의 순환에 의해 식품을 냉각 저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가 밀폐되지 않는 경우 다른 식품의 냄새가 베거나 식품의 저장상태가 나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2344호에는 개폐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커버가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용기 내부를 기밀하도록 구성되는 김치통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김치통에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커버에 제공되는 개폐수단 전체를 완전히 개방한 후에 커버를 분리하여 상기 김치통을 개방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반드시 김치통을 바닥에 내려놓고 두손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김치통의 개폐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에 제공되는 다수의 개폐수단 전체를 개방하고 닫는 작업을 하여야 하며, 이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5260호에는 커버에 보조 개폐수단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전체 커버의 개폐 없이, 상기 보조 개폐수단의 개폐에 의해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김치 냉장고의 김치통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보조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영역으로만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김치통 전체 공간을 개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조 개폐수단의 추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전체 개방 조작이 용이한 냉장고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손으로 커버 전체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회동 조작 가능한 냉장고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관이 개선되며, 동시에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저장용기는, 일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면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홀더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 중 일측의 개폐부재는 구속이 해제되도록 회전되고, 타측의 개폐부재는 구속된 상태에서 구속된 개폐부재를 축으로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상기 개구된 면 전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샤프트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더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회전시 상기 커버의 회전축이 되는 제 2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가 관통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샤프트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따라서 돌출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는 상기 샤프트 장착부의 사이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하면에서 함몰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될 때 상기 제 1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걸림 홈과, 상기 홀더의 상면에 함몰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제 2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 홈의 전방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의 회전시 간섭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림 홈과 상기 지지 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지지 홈은 상기 걸림 홈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프는 상기 걸림 홈과 상기 지지 홈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시 상기 홀더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된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의 하면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한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와; 상기 하방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연장된 단부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샤프트 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 둘레와 접하며, 상기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회전 가능하여 결합되는 샤프트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둘레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데코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는, 상면이 개구된 통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홀더가 형성되는 홀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 프레임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홀더가 돌출되는 프레임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구속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외측면 및 상기 커버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 프레임과 개폐부재 및 커버의 둘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 프레임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와; 이웃하는 상기 모서리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의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에서 상기 모서리부의 함몰된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함몰부를 형성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홀더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출 성형된 후 상기 홀더 프레임의 두께에 맞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용 저장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되는 개폐부재 중 일측의 개폐부재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커버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완전한 개방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용기의 개폐 및 식품의 수납을 위한 조작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커버의 자유로은 개폐회전이 가능하면서 일측의 개폐부재는 구속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커버 전체의 분리 조작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저장용기의 전체 개방시에도 상기 커버가 본체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를 분리하는 작업, 커버를 보관하는 작업 등을 하지 않아도 되며, 커버의 분실 또는 다수의 커버가 분리된 경우 다른 커버가 장착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를 모두 구속해제하여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회동 및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조작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기 저장용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구성들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을 한층 더 고급스럽고, 위생적인 저장과 향상된 저장성능을 가지는 이미지를 도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빈번한 접촉과 하중이 가해지는 샤프트 서포터와 개폐부재, 그리고 홀더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 외관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홀더 프레임을 금속소재로 성형할 수 있으며, 홀더 프레임은 모서리부와 연결부 및 홀더의 결합 구조로 구성되도록 하여 용이한 가공 및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용 저장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와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본체의 홀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버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커버의 개폐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의 상기 개폐부재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커버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13-13'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와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본체의 홀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상기 커버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커버의 개폐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의 상기 개폐부재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커버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13-13'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용 저장용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저장용기의 본체와 커버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용 저장용기(1)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식품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용 저장용기(1)는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이 보다 신선하게 저장되는 것과 같은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1) 자체가 보다 튼튼하고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1)의 상면은 상기 커버(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용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20)의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1) 내부를 가시화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용기(1)에는 한쌍의 개폐부재(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커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구비되는 홀더(1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개폐부재(26)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홀더(15)와 상기 개폐부재(26)가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결합시켜 상기 저장용기(1)를 닫거나,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분리시켜 상기 저장용기(1)를 열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저장용기(1)의 둘레 4개의 면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개폐부재(26) 중 어느 일측은 열리도록 회전되고, 다른 일측은 닫히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20)가 닫혀진 상기 개폐부재(26)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저장용기(1)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양측의 개폐부재(26) 중 일측의 개폐부재(26)만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를 회전시켜 상기 저장용기(1)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저장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용기(1)는 전체적으로 상기 본체(10)와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통형상의 수용부(11)와 상기 수용부(11)의 상단에 구비되는 홀더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는 상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용기(1)의 수용공간 전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는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용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수용부(1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외측에 금속 또는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질 수 있는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의 개구된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수용부 플렌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에 상기 홀더 프레임(12)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는 연장된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절곡된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상기 본체(10)의 상단 둘레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둘레는 상기 커버(20)의 둘레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부재(26)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함몰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는 상기 개폐부재(26)와 대응하는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개폐부재(26)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26)와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외측면 및 상기 커버(20)의 둘레면이 모두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 프레임(12)과 상기 개폐부재(26) 및 상기 커버(20)의 둘레 또한 동일한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내측에는 홀더(15)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15)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26)는 선택적인 구속이 가능하며, 동시에 상기 커버(20)의 회전시 상기 커버(20)의 회전축 지지가 모두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버(20)는 저장용기(1)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2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를 지지하는 커버 프레임(22) 그리고 상기 커버 프레임(22)에 장착되는 상기 개폐부재(26),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하면에 구비되는 가스켓(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는 상기 커버(20)의 상면 및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용기(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는 투명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1)의 내측 즉, 상기 수용부(11)의 내부를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투시하여 볼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2)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커버(2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중앙은 개구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를 통해 상기 수용부(11) 내부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홀더 프레임(12)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22)과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사이에 상기 가스켓(24)이 배치되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커버(20) 사이를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하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커버 프레임(2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20)를 닫게 될 때 상기 수용부(11)의 상단 또는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상면에 가압 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 프레임(22)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2)이 사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둘레에는 프레임 데코(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데코(23)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20)의 둘레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데코(23)는 상기 홀더 프레임(12)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데코(23)는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로된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데코(23)는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된 높이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1)와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1)의 장착시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는 상기 커버 프레임(22)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 데코(23)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21)의 둘레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1)는 상기 프레임 데코(23)의 내측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커버 프레임(22) 중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와 대응하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재(26)의 크기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크기와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26)의 하단은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개구된 하단을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재(26)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부재(26)의 동작을 위한 구조 중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본체의 홀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홀더 프레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4개의 모서리부(13)와, 각 모서리부(13) 사이를 연결하는 4개의 연결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홀더 프레임(12)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이들 구성의 결합에 의해서 홀더 프레임(12)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금속 소재로 성형되는 특성상, 각각의 모서리부(13) 및 연결부(14)가 압출에 의해 성형된 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서리부(13)와 연결부(14)는 압출에 의해 연속 가공된 후 각각 설정된 두께만큼 절단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적어도 일부는 압출 성형되고, 다른 일부는 절단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서리부(13)는 크기와 모양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연결부(1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홀더 프레임(12)이 전체적인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내측면이 상기 본체(10)의 수용부(11) 상단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부(13)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외측면과 내측면의 모서리의 곡률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의 절곡된 단부가 수용되는 플렌지 홈(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프레임(12) 내측의 개구는 상기 수용부(11)의 외측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조립시 상기 수용부(11)는 하단이 상기 홀더 프레임(12)을 통과하도록 상방에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상기 수용부(11) 외측면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까지 이동될 수 있다.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에 의해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의 외측단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렌지 홈(122)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상기 수용부(11)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구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홀더 프레임(12)이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주로 잡게 되는 상기 커버(20) 또는 상기 본체(10) 상부를 잡고 상기 저장용기(1)를 들어올리게 되더라도, 상기 홀더 프레임(12)은 상기 수용부 플렌지(111)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서리부(13)의 양단에는 각각 이웃하는 연결부(14)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단(131)과 제 2 연결단(13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단(131)과 제 2 연결단(132)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는 상기 모서리부(13)의 단부의 두께 및 높이와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모서리부(13)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4개의 상기 연결부(14)들은 상기 수용부(11)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연결부(14)는 한쌍의 가로 연결부(141)와, 상대적으로 짧은 한쌍의 세로 연결부(1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연결부(141)는 제 1 연결부(141) 세로 연결부(142)는 제 2 연결부(142)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141)와 제 2 연결부(142)의 길이는 상기 저장용기(1)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연결부(141)는 상기 모서리부(13)의 단부 중 상기 제 1 연결부(141)와 마주보는 제 1 연결단(1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부(141)의 단부와 상기 제 1 연결단(131)의 단부는 용접, 접착, 융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141)의 외측면은 상기 모서리부(13)의 외측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모서리부(13)를 지나 상기 제 1 연결부(141)를 따라 이어지는 외측면은 돌출 또는 함몰되는 면이 없이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연결부(142)는 상기 모서리부(13)의 단부 중 상기 제 2 연결부(142)와 마주보는 제 2 연결단(1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단(132)은 상기 제 1 연결단(131)과 수직한 방향에서 돌출되며, 상기 모서리부(13)의 일단에서 단차진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연결단(132)은 상기 제 2 연결부(142)의 양단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단(132)의 두께와 폭은 상기 제 2 연결부(14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142) 양단에 한쌍의 상기 모서리부(13)가 배치되면, 상기 한쌍의 상기 모서리부(13)의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모서리부(13)와 연결부(14)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 프레임(12)에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142)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영역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연결부(142)의 외측에는 홀더(15)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5)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홀더(15)의 배치에 따른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연결부(141)의 두께보다는 다소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연결부(142)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깊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15)는 별도 성형되어 상기 제 2 연결부(142)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절삭 가공을 통해서 상기 제 2 연결부(142)의 성형시 함께 성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15)는 상기 개폐부재(26)가 걸림 구속되어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일측의 상기 개폐부재(26)가 개방된 경우 닫혀진 타측의 개폐부재(26)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0)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홀더(15)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26)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와 상기 커버(20)의 구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15)는 상기 제 2 연결부(142)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홀더 바디(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151)는 상기 개폐부재(26)의 샤프트(264,265)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151)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부재(26)의 제 1 샤프트(264)와 걸림 구속되는 걸림 홈(152)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152)의 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26)가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홈(152)의 전방에는 걸림 돌기(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53)는 상기 걸림 홈(152)에 비해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샤프트(264)가 상기 걸림 홈(152)에 배치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샤프트(264)가 구속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53)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개폐부재(26)에 힘을 가해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제 1 샤프트(264)가 상기 걸림 돌기(153)를 넘어 상기 걸림 홈(152)의 내측에 수용되거나 상기 걸림 홈(15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바디(151)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지지 홈(1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홈(154)은 상기 개폐부재(26)의 제 2 샤프트(26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홈(154)은 상기 개폐부재(26)가 개방된 후 상기 커버(20)가 분리되기 전까지 상기 제 2 샤프트(265)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홈(154)의 바닥면은 상기 제 2 샤프트(265)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샤프트(265)가 상기 지지 홈(154)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타측의 상기 개폐부재(26)가 개방되어 상기 커버(20)가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회전축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홈(154)은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샤프트(264)와 걸림 홈(152)은 서로 구속되어 일측의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26)의 개폐 및 상기 커버(20)의 회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 바디(151)의 연장된 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26)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개폐부재(26)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15)의 좌우 양측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서포터 홈(14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홈(142a)은 상기 커버(2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될 때 상기 커버(20)에 구비된 샤프트 서포터(25)의 일부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 홈(142a)은 상기 제 2 연결부(142)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1)의 개폐를 위한 커버(20)의 회동시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와 홀더 프레임(12)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홈(142a)은 상기 홀더(15)가 다수개 형성될 경우 각각의 홀더(15)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폐부재(26)의 동작을 위한 구조 중 상기 커버(20) 및 개폐부재(26)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커버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2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1)와, 상기 커버 프레임(22), 상기 프레임 데코(23), 개폐부재(26), 가스켓(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2)은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1)가 안정적으로 안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하면에는 상기 가스켓(24)이 수용되는 가스켓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 홈(221)은 상기 수용부(11)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 홈(221)에 수용되는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본체(10)의 상단 즉, 상기 수용부(11)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수용부(11)의 내측을 완전히 기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하면에는 상기 샤프트 서포터(25)가 장착되는 장착홈(2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홈(221)과 장착홈(222)의 성형을 위해서 상기 커버 프레임(22)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상기 커버 프레임(22) 둘레는 금속소재의 프레임 데코(23)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전체적인 외관은 금속과 같이 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샤프트 서포터(25)가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상기 개폐부재(26)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커버의 개폐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개폐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와 개폐부재(26)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서포터 홈(142a)에 장착되며, 동일 연장선상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한쌍의 결합부(251)와 상기 한쌍의 결합부(251)를 연결하는 서포터 연결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상기 커버(20)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264,26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1)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252)와 상기 하방 연장부(252)에서 절곡되는 절곡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53)의 단부에 샤프트 홀(255)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재(26)의 제 2 샤프트(265)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한쌍의 결합부(251)에 형성된 상기 샤프트 홀(255)들을 모두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51)는 상기 커버(20)가 닫히게 될 때 상기 서포터 홈(142a)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연결부(254)는 상기 결합부(251)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서포터 홈(142a)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서포터(2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51)는 상기 서포터 홈(142a)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의 강도가 보장된다면, 상기 샤프트 서포터(25)는 상기 커버 프레임(22)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15)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상기 커버(20)의 회동시 회전축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커버(20)의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개폐부재(26)의 외측면은 금속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아웃 플레이트(261)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262)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264,265)가 장착되는 샤프트 장착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는 상기 개폐부재(26)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외측면은 금속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며,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를 차폐하며 상기 홀더 프레임(12) 및 프레임 데코(23)와 동일 평면에서 동일한 외장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는 상기 홀더 프레임(12)을 차폐하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면과는 이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하면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개구된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배면과 이격된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면 사이 공간으로 손가락을 넣어 상기 개폐부재(26)를 쥘 수 있으며, 상기 개폐부재(26)를 당기게 될 경우 상기 개폐부재(26)의 상단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샤프트(265)를 축으로 상기 개폐부재(26)가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개폐부재(26)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내측면 대략 중앙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2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6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262)의 돌출 높이는 샤프트 장착부(263)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26)의 회전시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장착부(263)는 상기 샤프트(264,265)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배면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장착부(263)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샤프트(264,265)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양측에 한쌍식 모두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상기 샤프트 장착부(263)의 이격 간격은 상기 샤프트(264,265)의 길이와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장착부(263)에는 상기 제 1 샤프트(264)와 제 2 샤프트(265)가 각각 관통되는 제 1 장착홀(263a)과 제 2 장착홀(26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장착홀(263b)은 상기 제 1 장착홀(263a)보다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상기 제 2 샤프트(265) 보다 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상기 제 1 장착홀(263a)을 관통하며, 상기 제 1 장착홀(263a)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제 2 장착홀(263b)을 관통하며,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의 샤프트 홀(255)을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샤프트(264,265)의 양단은 상기 제 2 장착홀(263b)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 2 샤프트(265)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지지 홈(154)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홀더(15)의 지지에 의해 상기 커버(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샤프트(264)와 제 2 샤프트(265)의 거리는 상기 홀더(15)에 형성되는 걸림 홈(152)과 지지 홈(154)의 사이 거리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상기 제 2 샤프트(265)보다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26)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상기 걸림 홈(152)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지지 홈(154)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26)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상기 걸림 홈(152)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지지 홈(154)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웃 플레이트(261)의 배면 중 홀더(15)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샤프트 장착부(263)의 사이 공간 상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플레이트 홈(2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홈(266)은 상기 개폐부재(26)의 회전시 상기 홀더(15)의 단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 홈(266)은 내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홀더(15)의 단부와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15)의 단부 즉, 상기 지지 홈(154)이 형성된 단부는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지지 홈(154)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커버(20)의 회전 조작시에도 상기 개폐부재(26)가 임의탈거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용기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개폐부재가 닫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20)가 닫힌 상태로 상기 저장용기(1)의 내부를 기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부재(26)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1)의 양측에 구비된 개폐부재(26)는 모두 닫힌 상태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와 견고히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 함몰부(121)를 차폐하여 상기 개폐부재(26)의 아웃 플레이트(261)가 상기 홀더 프레임(12)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샤프트(264)가 상기 걸림 홈(152)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걸림 돌기(153)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지지 홈(154)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20)가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가스켓(24)이 상기 수용부(11)의 상단과 접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양측의 개폐부재(26) 중 일측의 개폐부재(26)만 개방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개폐부재가 열린 상태의 상기 개폐부재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26) 중 일측의 개폐부재(26)가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닫혀진 상기 개폐부재(26)의 하단을 쥐고 상기 개폐부재(2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26)의 회전 조작시 상기 제 2 샤프트(265)를 축으로 상기 개폐부재(26)는 회전하게 되며, 도 11에서와 같이 대략 90˚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26)의 회전시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 샤프트(265)를 축으로 상기 개폐부재(2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상기 걸림 홈(152)을 벗어나 상기 걸림 돌기(153)를 지나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홀더(15)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개폐부재(26)가 상기 홀더(15)로부터 구속 해제된 상태로 상기 커버(20)의 분리 또는 회전에 의한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26)를 도 11과 같이 모두 개방하고 상기 커버(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 1 샤프트(264)와 제 2 샤프트(265)는 모두 상기 걸림 홈(152)과 지지 홈(154)으로부터 간섭되지 않고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홀더(15)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와 분리되어 상기 저장용기(1)의 상면 전체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한쌍의 상기 개폐부재(26) 중 일측의 개폐부재(26)만을 열어서 상기 커버(20)를 회동 개방할 수도 있다.
도 12는 상기 커버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13-13'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양측의 개폐부재(26) 중 일측의 개폐부재(26)는 도 10에서와 같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측의 개폐부재(26)는 도 11에서와 같이 열린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상기 커버를 회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닫혀진 상태의 상기 개폐부재(26)를 축으로 상기 커버(20)가 회전되며, 도 12와 같이 일측의 개폐부재(26)만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를 회전시켜 상기 저장용기(1)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20)가 회전될 때 닫혀진 상태의 상기 개폐부재(26)의 상태를 살펴보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샤프트(264)는 걸림 홈(152)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샤프트(265)는 지지 홈(154)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개폐부재(26)는 상기 홀더(15)에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샤프트 서포터(25)에 의해 상기 제 2 샤프트(265)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본체(10)와 일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로운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커버(20)는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0)가 회전되어 상기 저장용기(1)의 개구된 상면이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며, 상기 커버(20)를 다시 회동하여 닫은 후 상기 개폐부재(26)를 회전시켜 도 10과 같이 상기 홀더(15)와 개폐부재(26)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용기(1)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26) 중 임의의 어느 일측의 개폐부재(26)를 개방하는 경우 반대측의 개폐부재(26)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커버(20)의 회전 조작시 상기 커버(20)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Claims (20)
- 일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면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홀더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양측의 상기 개폐부재 중 일측의 개폐부재는 구속이 해제되도록 회전되고, 타측의 개폐부재는 구속된 상태에서 구속된 개폐부재를 축으로 상기 커버가 회전되어 상기 개구된 면 전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샤프트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홀더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제 1 샤프트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의 회전시 상기 커버의 회전축이 되는 제 2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샤프트의 양 단부가 관통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샤프트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를 따라서 돌출되는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샤프트 장착부의 사이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하면에서 함몰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될 때 상기 제 1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걸림 홈과,
상기 홀더의 상면에 함몰되며,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제 2 샤프트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지지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의 전방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의 회전시 간섭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과 상기 지지 홈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며,
상기 지지 홈은 상기 걸림 홈보다 더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프는 상기 걸림 홈과 상기 지지 홈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시 상기 홀더의 단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함몰된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서포터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2 샤프트가 관통되는 한쌍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 연장부와;
상기 하방 연장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며, 연장된 단부에 상기 제 2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샤프트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서포터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
중앙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 둘레와 접하며, 상기 개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회전 가능하여 결합되는 샤프트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의 둘레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둘레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데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면이 개구된 통 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상단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홀더가 형성되는 홀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프레임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홀더가 돌출되는 프레임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구속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외측면 및 상기 커버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프레임과 개폐부재 및 커버의 둘레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프레임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다수의 모서리부와;
이웃하는 상기 모서리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홀더 프레임의 측면을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와 교차되는 방향에서 상기 모서리부의 함몰된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함몰부를 형성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와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출 성형된 후 상기 홀더 프레임의 두께에 맞도록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저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660A KR102434983B1 (ko) | 2017-08-23 | 2017-08-23 | 냉장고용 저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6660A KR102434983B1 (ko) | 2017-08-23 | 2017-08-23 | 냉장고용 저장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1653A true KR20190021653A (ko) | 2019-03-06 |
KR102434983B1 KR102434983B1 (ko) | 2022-08-22 |
Family
ID=6576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6660A KR102434983B1 (ko) | 2017-08-23 | 2017-08-23 | 냉장고용 저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498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6357A (ja) * | 1993-07-14 | 1995-03-20 | Daiwa Seiko Inc | クーラーボックス等の開閉装置 |
KR200321937Y1 (ko) * | 2003-05-09 | 2003-07-31 | 문기원 | 잠금수단이 형성된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 밀폐용기 |
JP2004238035A (ja) * | 2003-02-06 | 2004-08-26 | Nifco Inc | 保冷箱のラッチ装置 |
JP2015009812A (ja) * | 2013-06-26 | 2015-01-19 | 岩崎工業株式会社 | 蓋体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並びに蓋体の製造方法 |
-
2017
- 2017-08-23 KR KR1020170106660A patent/KR1024349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6357A (ja) * | 1993-07-14 | 1995-03-20 | Daiwa Seiko Inc | クーラーボックス等の開閉装置 |
JP2004238035A (ja) * | 2003-02-06 | 2004-08-26 | Nifco Inc | 保冷箱のラッチ装置 |
KR200321937Y1 (ko) * | 2003-05-09 | 2003-07-31 | 문기원 | 잠금수단이 형성된 플라스틱 뚜껑을 갖는 금속 밀폐용기 |
JP2015009812A (ja) * | 2013-06-26 | 2015-01-19 | 岩崎工業株式会社 | 蓋体及びこれを備えた容器、並びに蓋体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4983B1 (ko) | 202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03466B2 (en) | Storage box | |
US8807370B2 (en) | Preservation container | |
EP2938467B1 (en) | Toolbox | |
KR102709010B1 (ko) | 저장 용기 | |
KR101589086B1 (ko) | 수납용기 | |
KR20190021653A (ko) | 냉장고용 저장용기 | |
KR100738719B1 (ko) | 김치냉장고의 서랍 저장용기 | |
JPH09110061A (ja) | 運搬容器 | |
KR200451988Y1 (ko) |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 |
KR102206253B1 (ko) |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 |
US7380686B1 (en) | Utility case system | |
KR101440990B1 (ko) |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 |
KR101580161B1 (ko) | 식품 보관 용기 | |
KR200398353Y1 (ko) | 보관함 | |
KR20010044334A (ko) | 식품저장용기 | |
JP2000128203A (ja) | 気密化粧料容器 | |
KR200485154Y1 (ko) | 용기용 캡의 구조 | |
CN213677743U (zh) | 收纳箱 | |
JP2012029939A (ja) | 化粧料容器 | |
RU196571U1 (ru) | Чемодан | |
JP2000139553A (ja) | 気密化粧料容器 | |
KR20170036220A (ko) |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
JP3035863U (ja) | 収納ケース | |
JP3236863B2 (ja) | 収納容器用保持体 | |
KR20150111110A (ko) |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