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290A - 차량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290A
KR20190021290A KR1020190020040A KR20190020040A KR20190021290A KR 20190021290 A KR20190021290 A KR 20190021290A KR 1020190020040 A KR1020190020040 A KR 1020190020040A KR 20190020040 A KR20190020040 A KR 20190020040A KR 20190021290 A KR20190021290 A KR 20190021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ehicle
kiosk
charging
kios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두
윤현근
정승현
김형준
서동기
신세명
김보배
Original Assignee
(주)모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던텍 filed Critical (주)모던텍
Priority to KR102019002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1290A/ko
Publication of KR2019002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02T10/724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는 차량에 직접 입력되는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 상기 차량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전력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키오스크; 상기 전력 모듈에 마련되고, 각 키오스크에 상기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충전 장치{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로 움직이는 차량을 충전하는 차량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차량(EV : Electronic Vehicle)에는 EV 배터리가 설치되며, 배터리 제어 시스템으로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가 설치된다.
현재, 녹색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서 전기 차량에 관한 연구는 물론 전기 차량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기 차량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발 진행 단계에 불과하여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문제는 물론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부합되는 충전 시스템이 보급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75147호에는 발전기 제어 신호와 발전기 상태 신호를 동일 전송선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충전 서비스를 달성하는 구체적인 실현 수단, 예를 들어 주유기에 해당하는 충전기 등에 대한 구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275147호
본 발명은 충전을 기다리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는 차량의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 상기 차량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이 마련되고 상기 전력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키오스크; 상기 전력 모듈에 마련되고, 각 키오스크에 상기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오스크는 복수의 상기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에 각 차량의 주차 위치에 맞춰 이격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키오스크에 상기 충전 전력이 제공되면, 나머지 키오스크에는 상기 충전 전력이 미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는 복수의 차량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키오스크를 포함하고, 복수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하는 대신 특정 차량부터 순차적으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에 대해 충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충전 제어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을 진행 중인 차량에 대한 전기 공급이 다른 차량에 의해 영향받지 않으므로, 충전 개시 전에 키오스크를 통해 제시된 충전 예상 시간과 실제의 충전 시간이 항상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충전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충전 방식으로 인해 각 키오스크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간소한 구성을 갖는 키오스크는 주차장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된 키오스크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을 주차시켜 놓은 상태에서 자신의 순번을 기다리면 된다.
또한, 다음 순번을 갖는 차량은 충전이 완료된 차량이 떠난 자리를 찾아가지 않더라도 현재의 주차 위치에 마련된 키오스크를 통해 충전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오스크가 마련된 자리에 차량을 주차시키고, 키오스크에 차량을 연결하기만 하면 자신의 순번을 마냥 기다릴 필요없이 차량을 떠나서 쇼핑 등을 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는 주차장이 마련된 대형 마트, 민원 센터 등과 같은 시설물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비교 실시예의 차량 충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충전 장치는 전력 모듈(110), 키오스크(130),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모듈(110)은 차량(90)에 직접 입력되는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키오스크(130)에는 차량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190)이 마련될 수 있다. 키오스크(130)는 전력 모듈(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전력 모듈(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각 키오스크(130)에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형적으로 전력 모듈(110)과 키오스크(130)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전력 모듈(110)에는 복수의 키오스크(130)가 연결될 수 있다. 전력 모듈(110)에 마련된 제어부(150)는 각 키오스크(130)에 제공되는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제어부(150)의 순차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전력 모듈(110)에 연결되는 키오스크(130)가 추가되더라도 별다른 무리없이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각 키오스크(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추가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키오스크(130)는 복수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에 각 차량의 주차 위치에 맞춰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에 의해 어느 하나의 키오스크(130)에 전력 모듈(110)의 충전 전력이 제공되면, 나머지 키오스크(130)에는 충전 전력이 미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보다 많은 개수의 키오스크(130)가 요구되면 빈 자리에 키오스크(130)를 추가하고 전기적으로 전력 모듈(110)에 연결시키면 충분하다.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제어부(150)는 복수의 키오스크(130)에 차량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1 키오스크(130)에만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키오스크(130)에 연결된 제1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나머지 키오스크(130)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키오스크(130)에만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일시점에서 하나의 키오스크(130)로만 충전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량의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제2 차량이 제2 키오스크(130)에 연결되더라도, 제2 차량과 제2 키오스크(130)의 연결은 제1 차량의 충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 차량은 예정된 시간에 충전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제1 차량 사용자의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제2 차량은 제1 차량을 충전 중인 제1 키오스크(130)의 자리가 빌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제2 키오스크(130)가 마련된 다른 자리에 주차될 수 있다. 이후, 제2 키오스크(130)의 전력 라인(190)이 제2 차량에 연결된 상태이면, 제어부(150)가 알아서 제1 차량의 충전 완료 후에 제2 차량의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량 사용자는 제2 차량의 충전을 기다릴 필요없이 다른 볼일을 보러 가도 무방하므로, 제2 차량 사용자의 만족도 역시 개선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키오스크(130)의 개수는 많을수록 유리하다. 가장 이상적인 예는 주차장 내의 모든 주차 자리에 각각 키오스크(130)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100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의 경우, 100대의 키오스크(130)가 각 주차 자리마다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직접 입력되는 충전 전력이 전력 모듈(1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모듈(110)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교류 전력을 차량에서 요구하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부(111)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은 곧바로 차량으로 입력되는 충전 전력에 해당할 수 있다.
변환부(111)가 전력 모듈(110)에 마련되므로, 키오스크(130)에는 차량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190), 충전 전력을 중계하는 수단 정도만 구비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키오스크(130)는 낮은 생산비를 이용해서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다. 저가의 소형의 키오스크(130)는 각 주차 자리마다 용이하게 설비될 수 있다.
비교 실시예로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기(50)가 본 발명의 키오스크(130)에 해당하는 충전대(30)에 마련된 경우를 가정한다.
도 2는 비교 실시예의 차량 충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충전대(30)에는 교류 전력을 차량에서 요구하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기(50)가 마련되므로, 충전대(30)는 외부 전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변환기(50)의 설치로 인해 충전대(30)의 부피와 무게, 생산 원가가 증가하고, 외부 전원에서 허용하는 부하로 인해 외부 전력을 무한대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충전대(30)의 설치 개수는 소수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제한된 개수로 설치된 하나의 충전대(30)를 이용하기 위해 복수의 차량은 순서대로 줄을 설수밖에 없다. 이때, 대기 중인 차량의 사용자는 앞 차량이 언제 빠질지 모르므로 항상 차량 내부에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차량 충전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전기차의 보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장의 주차 대수만큼 용이하게 키오스크(130)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충전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차량이 줄을 서지 않고 각자 주차 자리에 주차하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어떤 차량부터 충전을 수행할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키오스크(130)에 연결된 순서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키오스크(130)는 전력 라인(190)에 차량이 연결된 시각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키오스크(130)로부터 입수된 시각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가장 빠른 시각 정보를 제공한 선순위 키오스크(130)로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선순위 키오스크(130)의 전력 라인(190)이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면 선순위 키오스크(130) 다음으로 빠른 시각 정보를 제공한 차순위 키오스크(130)로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차량 중 가장 먼저 키오스크(130)의 전력 라인(190)에 연결된 차량부터 충전이 시작되고, 해당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그 다음으로 빨리 전력 라인(190)에 연결된 차량이 충전될 수 있다.
키오스크(130)와 전력 모듈(1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키오스크(130)와 전력 모듈(110)을 연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에는 공급 라인(180)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급 라인(180)은 키오스크(130)와 전력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공급 라인(180)에 의해 복수의 키오스크(130)는 전력 모듈(1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차량이 각각 주차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30)와 전력 모듈(110) 간의 전기적 연결 여부는 키오스크(130), 공급 라인(180), 전력 모듈(110) 중 전력 모듈(110)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이 진행 중인 차량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키오스크(130) 및 공급 라인(180)으로만 전력이 공급되고, 나머지 키오스크(130) 및 나머지 공급 라인(180)에는 전력이 전혀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키오스크(130) 및 공급 라인(180)에서 소모되는 대기 전력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충전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키오스크(130)와 전력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공급 라인(180)은 키오스크(130)의 개수에 맞춰 전력 모듈(110)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모듈(110)에는 변환부(111), 릴레이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변환부(111)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차량에서 요구하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차량을 단시간에 충전시키는 급속 충전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류가 요구되며, 대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변환부(111)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변환부(111)의 동작 상태는 제어부(150)에 의해 감시될 수 있다.
변환부(111)와 상용 전원 사이에는 RCD(Residual current device)(116)가 마련될 수 있다. RCD는 AC 부하에 사용하여, 상용 전원과 전력 모듈(110)을 연결하는 제1 소스 라인(170)과 NEUTRAL 사이의 잔류 전류가 검지되면 제1 소스 라인(170)을 차단하는 보호시스템일 수 있다.
릴레이부(113)는 공급 라인(180)과 변환부(111)의 사이에 개재되고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릴레이부(113)에는 각 공급 라인(180)과 변환부(111) 사이에 개재되는 릴레이가 공급 라인(180)의 개수에 맞춰 마련될 수 있다.
릴레이(relay)는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 신호를 비롯하여 온도, 빛 등 여러 가지 입력 신호에 따라서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거나 하는 구실을 하는 기기이다. 입력 신호를 회로의 개폐로 변환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물리 현상에 따라서 전자 계전기와 같은 접점 계전기와, 반도체 계전기(트랜지스터 릴레이, SCR릴레이)와 같은 무접점 계전기로 대별되며, 또 기능이나 구조에 따라서 원형 계전기, 평형 계전기, 리드 스위치, 와이어 스프링 릴레이 등으로 분류된다.
복수의 릴레이 중 제어부(150)에 의해 선택된 제1 릴레이만 변환부(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온(on)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릴레이는 변환부(111)에 전기적으로 단절되게 오프(off)될 수 있다. 변환부(111)로부터 출력된 직류 전력은 키오스크(130)를 통해 제1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차량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머지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량은 제1 차량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나머지 릴레이의 오프(off)에 의해 변환부(111)와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될 수 있다.
제어부(150)와 각 릴레이는 제어 라인(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어 라인(70)을 통해 각 릴레이롤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해 전력 모듈(110)에는 MCCB(117) 및 SMPS(118)가 마련될 수 있다.
MCCB(Mold Case Current Breaker)는 배선용 차단기로 NFB(No Fuse Breaker)라고도 하며, 과전류, 단락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이다.
MCCB는 개폐기구, 트립장치 등을 절연물 용기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으로 통전상태의 전로를 수동 또는 전기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으며, 과부하 및 단로 등의 이상 상태시 자동적으로 전류를 차단하는 기구를 말함. 배선용차단기는 교류 600V 이하, 또는 직류 250V 이하의 저압 옥내전로의 보호에 사용되는 mold case 차단기를 말하며 일반으로 NFB의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소형이며 조작이 안전하고 퓨우즈를 끼우는 등의 수고가 없기 때문에 종래의 나이프 스위치와 퓨우즈를 결합한 것에 대신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트립장치에는 열동형(바이메탈이 차단기를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가열되어 만곡되므로 트립동작을 하는 것), 코일에 전류를 통하여 과전류에 의하여 철편을 흡인하여 동작하는 것, 양자를 결합한 열동전자식 및 전자식 등이 있다. 트립 특성은 정격전류의 100%를 연속통전하여도 트립동작하지 않고 정격전류의 125%, 200%의 전류에 대한 동작시간이 별도로 정해져 있다.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는 전원 공급 장치로, 스위칭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on-off) 시간 비율을 제어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로, 고효율,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대부분의 전자기기 및 장비 등에 널리 사용된다.
전원의 품질에 따라 전자회로 동작의 안정성이나 정밀도가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및 상용 AC 전원으로부터 안정적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방식에는 크게 선형 제어(series regulator) 방식과 스위치 모드(switched mode) 방식이 있다. TV 수상기나 CRT 모니터 등에 사용되는 선형제어 방식은 주위 회로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열 발생이 많고 전원 효율이 낮으며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스위칭 모드 방식은 가격이 비싸고 회로가 복잡하며 고주파 스위칭에 의한 출력 노이즈와 전자파 발생이 많다는 단점이 있지만, 열 발생이 거의 없고 전력 효율이 높으며 부피가 작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어부(150)의 동작을 위해 직류 전력이 요구된다. SMPS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220V 등의 교류 전력을 직류로 변환해서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 변환부(111)로 입력되는 외부 전력은 380V 교류 전력일 수 있으며, SMPS는 변환부(111)로 제공되는 외부 전력과 구별되는 다른 외부 전력(220V 교류 전력 제공)에 제2 소스 라인(8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SMPS와 제2 소스 라인(80)의 사이에는 MCCB가 개재될 수 있다.
키오스크(130)에는 전력 모듈(110)로부터 공급된 충전 전력의 이상을 감시하는 CT(Current Transformer, 계기용 변류기)(133), PT(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압기)(131)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키오스크(130)로 제공된 충전 전력은 키오스크(130)에서 별도로 가공되지 않고 전력 라인(190)을 통해 직접 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오프(off)된 릴레이에 연결된 공급 라인(180) 및 키오스크(130)는 충전 전력을 대기 전력의 소모 조차 없이 미소비할 수 있다.
고전압에 해당하는 충전 전력을 직접 전압계로 측정하는 것은 위험하기도 하고 전압계의 절연으로 보아 대단히 비경제적이다. 때문에 보통 2차측을 100V로 한 변압기를 사용한다. 이 용도에 사용하는 변압기를 PT라고 한다.
CT는 PT와 유사하게 고전류에 해당하는 충전 전력의 전류를 경제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CT와 PT가 배제되면 전력 라인(190)과 공급 라인(180)은 직결될 수 있다.
키오스크(130)에는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130)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충전 전력을 감시하기 위해 제어기(135)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기(135)의 구동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키오스크(130)에는 MCCB(137) 및 SMPS(138)가 마련될 수 있다. 키오스크(130)의 MCCB(137) 및 SMPS(138)은 전력 모듈(110)의 MCCB(117)와 SMPS(118)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기(135)로 직류 전력을 제공하고 이상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키오스크(130)의 MCCB(137)에는 제2 소스 라인(80)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130)를 관리하기 위해 마스터(140)가 마련될 수 있다. 마스터(140)는 관리실 등에 마련된 단말기로 각 키오스크(130)에 마련된 제어기(135)와 통신하며 각 키오스크(13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마스터(140)에는 각 제어기(135)와 통신하며 키오스크(130)를 모니터링하는 감시부, 감시부로 전력을 제공하는 MCCB(147) 및 SMPS(148)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충전대 50...변환기
70...제어 라인 80...제2 소스 라인
90...차량 110...전력 모듈
111...변환부 113...릴레이부
116...RCD 117, 137, 147...MCCB
118, 138, 148...SMPS 130...키오스크
131...PT 133...CT
135...제어기 140...마스터
150...제어부 170...제1 소스 라인
180...공급 라인 190...전력 라인

Claims (5)

  1. 차량에 직접 입력되는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모듈;
    상기 차량에 연결되는 전력 라인이 마련되고,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전력 모듈에 연결되는 복수의 키오스크;
    상기 전력 모듈에 마련되고, 각 키오스크에 상기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제어부;
    상기 전력 모듈에 마련되고, 교류 전력을 상기 충전 전력에 해당하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전력 모듈에 마련되고, 상기 공급 라인과 상기 변환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라인이 상기 키오스크의 개수에 맞춰 상기 전력 모듈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릴레이부에는 각 공급 라인과 상기 변환부 사이에 개재되는 릴레이가 상기 공급 라인의 개수에 맞춰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릴레이 중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선택된 제1 릴레이만 상기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온(on)되고, 나머지 릴레이는 상기 변환부에 전기적으로 단절되게 오프(off)되며,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직류 전력은 상기 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제1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차량으로 제공되며,
    상기 나머지 릴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차량은 상기 제1 차량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나머지 릴레이의 오프(off)에 의해 상기 변환부와의 전기적 연결이 단절되고,
    상기 공급 라인에 의해 복수의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전력 모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차량이 각각 주차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키오스크와 상기 전력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 여부는 상기 키오스크, 상기 공급 라인, 상기 전력 모듈 중 상기 전력 모듈에서 결정되는 차량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오스크는 복수의 상기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에 각 차량의 주차 위치에 맞춰 이격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키오스크에 상기 충전 전력이 제공되면, 나머지 키오스크에는 상기 충전 전력이 미제공되는 차량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키오스크에 상기 차량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1 키오스크에만 상기 충전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오스크에 연결된 상기 제1 차량의 충전이 완료되면 나머지 키오스크 중 선택된 하나의 제2 키오스크에만 상기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차량 충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전력 라인에 상기 차량이 연결된 시각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입수된 상기 시각 정보를 취합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장 빠른 시각 정보를 제공한 선순위 키오스크로 상기 충전 전력을 제공하고, 상기 선순위 키오스크의 전력 라인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선순위 키오스크 다음으로 빠른 시각 정보를 제공한 차순위 키오스크로 상기 충전 전력을 제공하는 차량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에는 상기 전력 모듈로부터 공급된 상기 충전 전력의 이상을 감시하는 CT(Current Transformer), PT(Potential Transformer)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며,
    오프(off)된 릴레이에 연결된 공급 라인 및 키오스크는 상기 충전 전력을 미소비하는 차량 충전 장치.
KR1020190020040A 2019-02-20 2019-02-20 차량 충전 장치 KR20190021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40A KR20190021290A (ko) 2019-02-20 2019-02-20 차량 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40A KR20190021290A (ko) 2019-02-20 2019-02-20 차량 충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402A Division KR20180041965A (ko) 2016-10-17 2016-10-17 차량 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290A true KR20190021290A (ko) 2019-03-05

Family

ID=6576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040A KR20190021290A (ko) 2019-02-20 2019-02-20 차량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12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353A (zh) * 2019-04-02 2019-06-14 睿聚能联能源科技河北有限公司 充电桩充电控制方法及系统
GB2597743A (en) * 2020-07-31 2022-02-09 Siemens Mobility Lt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102491189B1 (ko) * 2022-09-05 2023-01-20 (주) 아하 컨트롤 보드에 통합된 누전 차단기와 적산 전력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8353A (zh) * 2019-04-02 2019-06-14 睿聚能联能源科技河北有限公司 充电桩充电控制方法及系统
GB2597743A (en) * 2020-07-31 2022-02-09 Siemens Mobility Lt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KR102491189B1 (ko) * 2022-09-05 2023-01-20 (주) 아하 컨트롤 보드에 통합된 누전 차단기와 적산 전력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장치
KR102508481B1 (ko) * 2022-09-05 2023-03-09 (주) 아하 컨트롤 보드와 rcd 회로로부터 적산 전력계를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봉인 장치를 구비한 전기차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778B1 (ko) Ess 모듈이 구비된 충전 장치
KR20180041965A (ko) 차량 충전 장치
CA2770629C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s
EP3184352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hase-load distribution when charging electrical vehicles
KR20190021290A (ko) 차량 충전 장치
US7692332B2 (en) Transfer switch
US200200571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load circuit from alternate electric power sources
US8719123B2 (en) Reporting circuit breaker and system
US20050141154A1 (en) Power averaging and power load management system
WO2020008985A1 (ja) 系統連系システム、系統連系ユニット、系統連系方法及び系統連系システムの設置方法
US20080179958A1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Mod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US7280331B2 (en) Power reconnect and voltage control
JP5755191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システム
RU2731874C1 (ru) Пункт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до 1 кВ, совмещенный с пунктом учет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контроля количества и времени отключения напряжения
JP2022107471A (ja) 充放電装置
US9461468B2 (en) Transfer switch with neutral disconnect
US7626839B2 (en) Portable device for generating two phases from a single electrical phase
US5822164A (en) Pre-engineered combination starter for multiple motor sizes
JP2003250230A (ja) 移動電源用連結装置
JP2020010442A (ja) 系統連系システム及び系統連系方法
JP2019122252A (ja) 充放電装置
JP2020010522A (ja) 系統連系システム、系統連系ユニット、系統連系方法及び系統連系システムの設置方法
EP3166192A1 (en) Leakage protection device and leakage protection system
JP3585366B2 (ja) 低圧配電線電源供給切替装置
JP2024006286A (ja) 充電システム、充電装置、充電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