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810A -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 Google Patents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810A
KR20190020810A KR1020197002378A KR20197002378A KR20190020810A KR 20190020810 A KR20190020810 A KR 20190020810A KR 1020197002378 A KR1020197002378 A KR 1020197002378A KR 20197002378 A KR20197002378 A KR 20197002378A KR 20190020810 A KR20190020810 A KR 2019002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in
contact surface
power supply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663B1 (ko
Inventor
페이페이 리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2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인터페이스(100),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를 제공한다.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회로판(160)에 연결되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데이터 핀(120); 및 본체부(110)에 연결되고 데이터 핀(120)으로부터 이격되며,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131)과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132)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전원 핀(130)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2 접촉면(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3)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특히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 및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수많은 기능적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전화를 받거나 전화 걸기와 같은 전통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웹 브라우징, 이미지 전송, 게임 등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가 업무 처리에 사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사용 빈도 증가로 인해 이동 단말기 배터리의 전력이 크게 소모됨으로써, 배터리를 자주 충전해야 하며, 삶의 속도의 가속화, 특히 비상 사태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에 대해 고전류 충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기술적 과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신뢰성이 있는 연결, 고속 충전의 이점을 구비하는 전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원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는, 회로판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데이터 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핀으로부터 이격되며,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과 절연 러버 코팅부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전원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접촉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는, 절연 러버 코팅부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절연 러버 코팅부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는, 상기 전원 어댑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는, 절연 러버 코팅부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는, 회로판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데이터 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핀으로부터 이격되며,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과 도전성 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전원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접촉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는, 도전성 부재에 접촉되지 않는 제2 접촉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설치하여,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부분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전원 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전원 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전원 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의 전원 핀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길이”, "폭”, "두께”, "상부”, "하부”, "전”, "후”, "좌”, "우”, "저부”, "내부”, "외부”, "원주 방향” 등의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 요소는 특정 방향으로 특정 방위, 구성 및 작동을 지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 밖에,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기술특징의 개수를 명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해당 특징을 포함함을 명시하거나 암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복수”라는 표현은 다른 구체적인 한정이 없는 한 적어도 2개, 예를 들면 2개, 3개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설치”, "서로 연결”, "연결”, "고정” 등과 같은 용어는 명확하게 규정 및 정의되지 않는 한, 광범위하게 이해되어야 하고,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계적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이거나 또는 서로 통신할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두 요소의 내부 연통 또는 두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상기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경우에 따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1 ~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또는 기타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대응되는 전원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통신 연결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본체부(110), 데이터 핀(120) 및 전원 핀(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회로판(160)에 연결되고, 데이터 핀(120)은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며 본체부(110)에 연결된다. 전원 핀(130)은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고 본체부(110)에 연결된다. 전원 핀(130)과 데이터 핀(120)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원 핀(130)은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131)과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132)을 포함하고,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접촉면(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3)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132)에 돌기부(133)를 설치하여,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면(131)은 하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원 핀(130)에는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표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 핀(130)의 다른 표면은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진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을 진행할 경우, 돌기부(133)를 구비하는 전원 핀(130)은 비교적 큰 충전 전류를 베어링할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을 진행할 경우, 전원 핀(130)의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전원 핀(130)이 전원 어댑터의 대응되는 핀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상이한 전원 어댑터에 적용되도록 한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을 진행할 경우,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대응되는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을 진행할 경우,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대응되는 일반 전원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돌기부(133)와 전원 어댑터의 대응되는 핀을 효과적으로 이격시켜 돌기부(133)가 전원 어댑터의 핀에 충전 간섭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 전원 어댑터에 대한 어댑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고속 충전은 충전 전류가 2.5 A보다 크거나 같은 충전 상태 또는 정격 출력이 15 W보다 작지 않은 충전 상태를 가리킬 수 있고; 일반 충전은 충전 전류가 2.5 A보다 작은 충전 상태 또는 정격 출력이 15 W보다 작은 충전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면(131)은 두 개이고 전원 핀(130)의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전원 핀(130)에는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 핀(130)의 다른 표면은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진다.
관련 기술에서, 전원 인터페이스의 핀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두 열의 핀을 포함하는데, 각 열의 핀은 복수 개의 이격된 핀을 포함하고, 상부 열에 위치하는 핀과 하부 열에 위치하는 핀은 대향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에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상하 대향되는 두 개의 전원 핀을 하나의 전원 핀(130)으로 설계하고, 상기 전원 핀(130)의 두 개의 측벽면을 전원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 연결면으로 구성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전원 핀(130)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인터페이스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고,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33)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전원 핀(130)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전원 핀(130)과 절연 러버 코팅부(140)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절연 러버 코팅부(140)와 전원 핀(130) 사이의 부착력을 증대시켜,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플러깅(plugging)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피로 파손을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부(133)는 동일한 제2 접촉면(132)에 위치한다. 복수 개의 돌기부(133)의 위치 배치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면(132)은 두 개이며 전원 핀(130)의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에 위치하고, 돌기부(133)는 두 개이며 각각 두 개의 제2 접촉면(132)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핀(130)의 단면적은 S이고, S ≥ 0.09805 mm2이다. S ≥ 0.09805 mm2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적어도 10 A이기에,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S = 0.13125 mm2 또는 S = 0.175mm2 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12 A이상이므로, 이로써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추가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핀(130)의 폭 방향(도 5, 도 8에 도시된 좌우 방향)에서, 제1 접촉면(131)의 폭은 W이고, 상기 W 는 0.24 mm ≤ W ≤ 0.32 mm을 만족한다. 0.24 mm ≤ W ≤ 0.32 mm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적어도10 A이기에,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W = 0.25 mm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12 A이거나 12 A 이상이므로, 이로써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추가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핀(130)의 두께는 D이고, D는 D ≤ 0.7 mm을 만족하며, 여기서 "두께”는 전원 핀(130)의 도 5, 도 8에 도시된 상하 방향의 폭을 가리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구조는 소정의 설계 표준을 만족해야 하는데,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설계 표준에서,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최대 두께가 h이면, 전원 핀(130)을 설계할 경우, 전원 핀(130)의 두께D는 h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고, D ≤ h를 만족하는 조건하에 전원 핀(130)의 두께D가 클수록 전원 핀(130)이 베어링할 수 있는 전류 부하량이 크며,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충전 효율이 높다. 예컨대, USB Type-C 인터페이스인 경우를 예로 들면, USB Type-C 인터페이스의 두께의 설계 표준이 h = 0.7 mm이면 전원 인터페이스(100)를 설계할 때, D ≤ 0.7 mm이여야 한다. 이로써,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범용성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전원 핀(130)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절연 열전도 재료로 제조된 방열 러버 코팅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제1 러버 코팅부(141)와 제2 러버 코팅부(14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러버 코팅부(142)는 제1 러버 코팅부(141)에 끼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핀(130) 중 일부는 VBUS이고, 전원 핀(130) 중 일부는 GND이다.
이하, 도 1 ~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1
설명의 편의상,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Type-C인 경우를 예로 든다. Type-C인터페이스의 정식 명칭은 USB Type-C인터페이스이고, 이는 인터페이스 형식이며, USB 표준화 기구에서 USB인터페이스의 장기간 물리적 인터페이스 규격의 불일치, 전력이 단일 방향으로만 전송되는 등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정한 새로운 데이터, 동영상, 전력 전송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Type-C는 표준적인 기기가 모두 인터페이스 규격의 CC 핀에 의해 연결의 다른 쪽을 향해 VBUS를 차지할 의지(즉, 전통적인 USB 양극 단자 연결선)를 요구할 수 있고, 더 강한 의지를 지닌 쪽이 결국 VBUS에 전압 및 전류를 출력하며, 다른 쪽은 VBUS 버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여전히 전원 공급을 거부하지만 전송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 버스 정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Type-C인터페이스 칩 (예컨대, LDR6013)은 일반적으로 장치를 DFP(Downstream Facing Port), Strong DRP(Dual Role Port), DRP 및 UFP(Upstream Facing Port)의 네 가지 역할로 나뉜다. VBUS 버스를 점유하기 위한 이 네 가지 역할의 의지는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여기서, DFP는 어댑터에 해당되고, VBUS에 전압을 지속적으로 출력하고자 하며, Strong DRP는 이동 전원에 해당되고, 어댑터를 만날 경우에만, VBUS 출력을 포기한다. DRP는 휴대폰에 해당되고, 정상 상황에서, 상대방이 전원을 공급할 것을 기대하지만, 자신보다 약한 기기를 만날 경우, 상대방에 출력할 수 밖에 없게 되며, UFP는 외부로 전력을 출력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약한 배터리 기기이거나 배터리가 없는 기기이며, 예컨대, 블루투스 헤드셋이다. USB Type-C는 정방향 및 역방향 삽입을 모두 지원하고, 정면 및 후면 양면에 4 그룹의 전원 및 접지가 구비되므로 전력 지원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에 적용될 수 있고, 일반 전원 어댑터에도 적용될 수 있는 USB Type-C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고속 충전은 충전 전류가 2.5 A보다 큰 충전 상태 또는 정격 출력이 15 W보다 작지 않은 충전 상태를 가리킬 수 있고; 일반 충전은 충전 전류가 2.5 A보다 작거나 같은 충전 상태 또는 정격 출력이 15 W보다 작은 충전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에 의해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충전될 경우, 충전 전류는 2.5 A보다 크거나 같거나, 정격 출력이 15 W보다 작지 않으며; 일반 충전에 의해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충전 될 경우, 충전 전류가 2.5 A보다 작거나 정격 출력이 15 W보다 작다.
전원 인터페이스(100), 전원 인터페이스(100)에 어댑팅되는 전원 어댑터를 표준화하기 위해,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사이즈는 표준 인터페이스의 설계 요구를 만족한다. 예컨대, 핀의 개수가 24 개인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설계 요구의 폭(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 도 1에 도시된 좌우 방향)은 a이고,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설계 표준을 만족시키도록,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폭(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 도 1에 도시된 좌우 방향)도 a이다. 전원 핀(130)이 제한된 공간에서 비교적 큰 충전 전류를 베어링할 수 있도록, 24 개의 핀 중 부분적인 핀을 제거할 수 있고, 동시에 전원 핀(130)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비교적 큰 충전 전류를 베어링하여, 고속 충전 기능을 실현하기 쉬우며, 증대된 전원 핀(130) 부분은 생략된 핀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부재의 최적화 레이아웃을 실현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원 핀(130)이 베어링할 수 있는 전류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본체부(110), 6 개의 데이터 핀(120) 및 8 개의 전원 핀(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6 개의 데이터 핀(120)은 각각 A5, A6, A7, B5, B6, B7이고, 8 개의 전원 핀(130)은 각각 A1, A4, A9, A12, B1, B4, B9, B12이며, 8 개의 전원 핀(130) 중 4개는 VBUS이고 다른 4개는 GND이다. 대향되는 두 개의 GND 사이에는 중간 패치(150)가 끼움 설치되고, 설명해야 할 것은,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등)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설치될 수 있고, 외부 전원은 전원 어댑터에 의해 전원 인터페이스(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전원 핀(130)은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131)과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132)을 포함하고,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접촉면(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3)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면(131)은 하나일 수 있고, 돌기부(133)는 하나이며 전원 핀(130)의 우측에 위치하는 벽면에 형성되고, 즉 돌기부(133)는 전원 핀(13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접촉면(132)에 형성된다.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을 진행할 경우, 돌기부(133)를 구비하는 전원 핀(130)은 비교적 큰 충전 전류를 베어링할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을 진행할 경우, 전원 핀(130)의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전원 핀(130)이 전원 어댑터의 대응되는 핀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상이한 전원 어댑터에 적용되도록 한다.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을 진행할 경우,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대응되는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는 전원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을 진행할 경우,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대응되는 일반 전원 어댑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돌기부(133)와 전원 어댑터의 대응되는 핀을 효과적으로 이격시켜 돌기부(133)가 전원 어댑터의 핀에 충전 간섭을 발생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 전원 어댑터에 대한 어댑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일반 충전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핀(130)의 단면적은 S이고, 전원 핀(130)의 폭 방향(도 5, 도 8에 도시된 좌우 방향)에서, 제1 접촉면(131)의 폭은 W이며, S= 0.13125 mm2, W = 0.25 mm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10 A, 12 A, 14 A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기에,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전원 핀(130)의 두께는 D이고, D는 0.1 mm ≤ D ≤ 0.3 mm을 만족한다. 여기서 "두께”는 전원 핀(130)의 도 5, 도 8에 도시된 상하 방향의 폭을 가리킬 수 있다. 0.1 mm ≤D ≤ 0.3 mm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적어도 10 A이기에,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향상시킴으로써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S = 0.13125 mm2, W = 0.25 mm, D = 0.25 mm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10 A, 12 A, 14 A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기에,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추가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러버 코팅부(140)는 절연 열전도 재료로 제조된 방열 러버 코팅부일 수 있고, 제1 러버 코팅부(141)와 제2 러버 코팅부(142)를 포함하며, 제2 러버 코팅부(142)는 제1 러버 코팅부(141)에 끼움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 섹션(132)이 전원 핀(130)상에 배치되어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시예2
도 6 ~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과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면(131)은 두 개이고 전원 핀(130)의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전원 핀(130)에는 전원 어댑터의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면이 구비되고, 상기 전원 핀(130)의 다른 표면은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진다.
관련 기술에서, 전원 인터페이스의 핀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두 열의 핀을 포함하는데, 각 열의 핀은 복수 개의 이격된 핀을 포함하고, 상부 열에 위치하는 핀과 하부 열에 위치하는 핀은 대향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원 인터페이스(100)에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의 상하 대향되는 두 개의 전원 핀을 하나의 전원 핀(130)으로 설계하고, 상기 전원 핀(130)의 두 개의 측벽면을 전원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 연결면으로 구성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로써, 전원 핀(130)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원 인터페이스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고,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핀(130)의 횡단면의 외부 윤곽선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두 개의 제1 접촉면(131)과 두 개의 제2 접촉면(132)을 포함하며, 두 개의 제1 접촉면(131)은 각각 전원 핀(130)의 대향되는 두 개의 벽면에 위치하고, 두 개의 제2 접촉면(132)은 두 개의 제1 접촉면(131) 사이에 위치하며, 돌기부(133)는 하나이고 제2 접촉면(132) 중 하나에 위치한다.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핀(130)의 단면적은 S이고, 전원 핀(130)의 두께는 D이며, 전원 핀(130)의 단면적은 S이고, 전원 핀(130)의 폭 방향(도 5, 도 8에 도시된 좌우 방향)에서, 제1 접촉면(131)의 폭은 W이며, S = 0.175 mm2、W = 0.25 mm、D ≤ 0.7 mm일 경우,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은 10 A, 12 A, 14 A 또는 그 이상일 수 있기에,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구조는 소정의 설계 표준을 만족해야 하는데, 예컨대,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설계 표준에서,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최대 두께가 h이면, 전원 핀(130)을 설계할 경우, 전원 핀(130)의 두께D는 h보다 작거나 같아야 하고, D ≤ h를 만족하는 조건하에 전원 핀(130)의 두께D가 클수록 전원 핀(130)이 베어링할 수 있는 전류 부하량이 크며, 전원 인터페이스(100)의 충전 효율이 높다. 예컨대, USB Type-C 인터페이스인 경우를 예로 들면, USB Type-C 인터페이스의 두께의 설계 표준이 h = 0.7 mm이면 전원 인터페이스(100)를 설계할 때, D ≤ 0.7 mm이여야 한다. 이로써,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범용성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기술과 비교하여, 전원 핀(130)의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3
도 6 ~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와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33)는 두 개이고 각각 두 개의 제2 접촉면(132)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실시예4
도 6 ~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3과 상이한 점은,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133)는 두 개이고, 상기 두 개의 돌기부(133)는 모두 동일한 제2 접촉면(132)에 위치하고, 상기 두 개의 돌기부(133)는 이격되어 분포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인터페이스(1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전원 인터페이스(100)에 의해 전기 신호, 데이터 신호의 전달을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는 전원 인터페이스(100)에 의해 전원 어댑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데이터 전송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132)에 돌기부(133)를 설치하여,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원 인터페이스(100)를 구비한다. 이동 단말기는 전원 인터페이스(100)에 의해 전기 신호, 데이터 신호의 전달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어댑터는, 절연 러버 코팅부(140)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132)에 돌기부(133)를 설치하여,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회로판(160)에 연결되는 본체부(110), 복수 개의 이격되는 데이터 핀(120) 및 복수 개의 이격되는 전원 핀(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핀(120)은 본체부(110)에 연결되고, 전원 핀(130)은 본체부(110)에 연결되며, 전원 핀(130)은 데이터 핀(120)과 이격되고, 전원 핀(130)은,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131)과 도전성 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제2 접촉면(132)을 포함하고,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접촉면(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100)는, 도전성 부재에 접촉되지 않는 제2 접촉면(132)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33)를 설치하여, 전원 핀(130)의 전류 부하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전류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원 인터페이스(100)가 고속 충전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며, 배터리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부분적인 실시예”, "예”, "구체적인 예” 또는 "부분적인 예” 등의 설명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를 결부하여 설명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예시적인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에 대한 것이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에서 적당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밖에, 서로 모순되지 않는 전제하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를 변형, 수정, 대체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원 인터페이스: 100, 본체부: 110,
데이터 핀: 120, 전원 핀: 130,
제1 접촉면: 131, 제2 접촉면: 132,
돌기부: 133, 절연 러버 코팅부: 140,
제1 러버 코팅부: 141, 제2 러버 코팅부: 142,
중간 패치: 150, 회로판: 160.

Claims (16)

  1. 전원 인터페이스로서,
    회로판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데이터 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핀으로부터 이격되며,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과 절연 러버 코팅부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전원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접촉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은 두 개이고 상기 전원 핀의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돌기부는 동일한 상기 제2 접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면은 두 개이고 상기 전원 핀의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에 위치하며;
    상기 돌기부는 두 개이고 각각 두 개의 상기 제2 접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핀의 단면적은 S이고, 상기 S ≥ 0.09805 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S = 0.13125 mm2 또는 상기 S = 0.175 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핀의 폭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면의 폭은 W이고, 상기 W 는 0.24 mm≤ W ≤ 0.32 m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W = 0.2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핀의 두께는 D이고, 상기 D는 D ≤ 0.7 mm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러버 코팅부는 방열 러버 코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핀 중 일부는 VBUS이고, 상기 전원 핀 중 일부는 G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14. 이동 단말기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전원 어댑터로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어댑터.
  16. 전원 인터페이스로서,
    회로판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격된 데이터 핀; 및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데이터 핀으로부터 이격되며, 도전성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면과 도전성 부재와 접촉되지 않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이격된 전원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핀의 전류 부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접촉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KR1020197002378A 2016-07-27 2017-04-20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KR102181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20806348.4U CN205960264U (zh) 2016-07-27 2016-07-27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201620806348.4 2016-07-27
PCT/CN2017/081265 WO2018018952A1 (zh) 2016-07-27 2017-04-20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810A true KR20190020810A (ko) 2019-03-04
KR102181663B1 KR102181663B1 (ko) 2020-11-24

Family

ID=5797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378A KR102181663B1 (ko) 2016-07-27 2017-04-20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7111B2 (ko)
EP (1) EP3471215B1 (ko)
JP (1) JP6935486B2 (ko)
KR (1) KR102181663B1 (ko)
CN (1) CN205960264U (ko)
WO (1) WO2018018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82228U (zh) * 2016-07-27 2017-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206116685U (zh) * 2016-07-27 2017-04-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205960264U (zh) * 2016-07-27 2017-02-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110444937A (zh) * 2019-08-13 2019-11-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贴片连接器、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6209A1 (en) * 2013-01-24 2014-07-24 Apple Inc. Reversible usb connector
CN104882705A (zh) * 2015-06-05 2015-09-02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TypeC的USB连接器
JP2015228380A (ja) * 2011-11-07 2015-12-1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部接点を有する双配向電子コネクタ
CN204905502U (zh) * 2015-08-14 2015-12-23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可正反插拔的母座连接器
CN105226428A (zh) * 2015-11-03 2016-01-06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2407A (en) * 1977-05-20 1978-04-04 Amerace Corporation Terminal block with encapsulated heat sink
JPH1021984A (ja) * 1996-06-28 1998-01-23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の圧入構造
US6527587B1 (en) * 1999-04-29 2003-03-0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eader assembly for mounting to a circuit substrate and having ground shields therewithin
US7476108B2 (en) * 2004-12-22 2009-01-1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s with cooling features
DE102006055694B3 (de) * 2006-11-23 2008-03-27 Erni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CN102237592B (zh) * 2010-04-30 2013-03-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12227025A (ja) * 2011-04-20 2012-11-15 Hosiden Corp コネクタ
CN103368010B (zh) * 2012-04-10 2016-03-09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931538B (zh) 2012-09-06 2018-10-02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连接器结构
US8777666B2 (en) * 2012-09-07 2014-07-15 Apple Inc. Plug connector modules
US8747147B2 (en) * 2012-10-25 2014-06-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pins
CN203166148U (zh) * 2013-01-22 2013-08-28 深圳天鹏盛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
CN103166057B (zh) 2013-02-22 2016-03-23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高速连接器
CN203690546U (zh) * 2013-03-22 2014-07-02 诠欣股份有限公司 连接器
CN203445352U (zh) * 2013-06-28 2014-02-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986045B2 (ja) * 2013-07-18 2016-09-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3553401U (zh) * 2013-11-26 2014-04-1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usb接口和插头
CN104810640B (zh) 2014-01-28 2017-07-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Usb接口和移动终端
US20150214684A1 (en) * 2014-01-30 2015-07-30 Ting-Chi CHEN Usb adapter module
WO2015158307A1 (zh) * 2014-04-17 2015-10-22 蔡周贤 双向电连接母座及双向电连接公头及其组合
CN204103125U (zh) * 2014-09-02 2015-01-14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大电流高速传输母端连接器
CN105006668A (zh) * 2015-06-05 2015-10-28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传输大电流的基于TypeC的USB连接器
CN204538336U (zh) 2015-04-28 2015-08-05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设有凹陷槽的USB Type C防水连接器
CN204966736U (zh) 2015-09-23 2016-01-13 东莞泰硕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USB Type C连接器
CN205282692U (zh) 2015-10-15 2016-06-01 东莞市勒姆精密电子有限公司 USB Type-C插座连接器
CN205452703U (zh) * 2015-12-30 2016-08-1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TWM544726U (zh) * 2016-02-04 2017-07-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電連接器
CN107516796B (zh) * 2016-06-15 2019-08-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EP3477780A4 (en) * 2016-07-27 2019-07-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POWER ADAPTER AND INTE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6025616A (zh) 2016-07-27 2016-10-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205882229U (zh) * 2016-07-27 2017-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CN205960264U (zh) 2016-07-27 2017-02-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TWM551357U (zh) * 2017-04-06 2017-11-01 宣德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連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8380A (ja) * 2011-11-07 2015-12-1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部接点を有する双配向電子コネクタ
US20140206209A1 (en) * 2013-01-24 2014-07-24 Apple Inc. Reversible usb connector
CN104882705A (zh) * 2015-06-05 2015-09-02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TypeC的USB连接器
CN204905502U (zh) * 2015-08-14 2015-12-23 宏致电子股份有限公司 可正反插拔的母座连接器
CN105226428A (zh) * 2015-11-03 2016-01-06 昆山全方位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71215B1 (en) 2021-11-24
JP2019523530A (ja) 2019-08-22
US20190267763A1 (en) 2019-08-29
US10897111B2 (en) 2021-01-19
EP3471215A1 (en) 2019-04-17
CN205960264U (zh) 2017-02-15
JP6935486B2 (ja) 2021-09-15
WO2018018952A1 (zh) 2018-02-01
EP3471215A4 (en) 2019-07-10
KR102181663B1 (ko)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663B1 (ko)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US10686275B2 (en) Mobile terminal, power inte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interface
US10581188B2 (en) Power interface, mobile terminal, and power adapter
US20120021629A1 (en) Intelligent electrical connector
US10630014B2 (en) Mobile terminal, power interf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interface
EP2605341B1 (en) Socket connector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90020809A (ko)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KR20190026918A (ko) 전원 인터페이스, 이동 단말기 및 전원 어댑터
EP3477780A1 (en) Mobile terminal, power adaptor, and power inte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