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488A - 선박의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488A
KR20190020488A KR1020170105519A KR20170105519A KR20190020488A KR 20190020488 A KR20190020488 A KR 20190020488A KR 1020170105519 A KR1020170105519 A KR 1020170105519A KR 20170105519 A KR20170105519 A KR 20170105519A KR 20190020488 A KR20190020488 A KR 2019002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line
drainage system
siphon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7723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7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10/00Siph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선박의 배수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굴곡진 바닥부를 가져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이 발생하는 드레인탱크;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서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최저 물 고임 영역(L)에 잔류하는 유체를 흡인하는 석션파이프; 및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서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에 존재하는 잔류 유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이송하는 사이펀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내의 잔류 유체를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를 이용하여 흡인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배수 시스템 {DRAIN SYSTEM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이중 스케그(Twin Skeg) 선형을 갖는 선박에서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드레인 탱크 내의 잔수를 한 곳에 모아 배출함으로써, 드레인 탱크의 배출 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한 선박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C(LNG carrier)와 같은 상선 선종에는 프로펠러가 두 개 적용되는 이중 스케그(Twin Skeg) 추진 시스템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이중 스케그 선박에 구비되는 빌지 홀딩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선박의 뒤에서 바라본 빌지 홀딩 탱크의 형상을, (b)는 선박의 위에서 바라본 빌지 홀딩 탱크의 형상을, (c)는 선박의 옆에서 바라본 빌지 홀딩 탱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중 스케그 선박은 두 개의 프로펠러를 적용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형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때, 엔진 룸의 바닥은 일반적으로 드레인 탱크(Drain Tank) 들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빌지 홀딩 탱크(Bilge Water Holding Tank, 10)의 경우에는 선주의 요청 또는 선급에 따라 크기가 정해지는데, 보통 선종에 따라 100 m3를 내외하는 크기로 매우 크게 구성된다.
빌지 홀딩 탱크(10)는 배 바닥의 큰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이중 스케그 선박에서는 탱크의 바닥이 선박의 선형에 따라 함께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런데 빌지 홀딩 탱크(10)가 상기와 같이 이중 스케그 선박의 선형을 따라 굴곡진 바닥을 갖는 경우, 도 1의 (b) 및 (c)에 도시된 A 영역과 같이 두 개의 물 고임 영역(A)을 가질 수 있으며, 선체의 형상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A)이 발생할 수도 있다.
빌지 홀딩 탱크(10)에서 물 고임 영역(A)에는 빌지워터(Bilge Water)가 고이게 되며, 이를 언제든지 배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도 2는 종래의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의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빌지 홀딩 탱크(10)로부터 빌지워터를 흡인하여 배출시키는 석션파이프(11, 13); 각각의 석션파이프(11, 13)에 설치되는 석션밸브(12, 14); 및 석션파이프(11, 13)를 통해 빌지워터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제공하는 펌프(15);를 포함한다.
이때, 빌지 홀딩 탱크(10)는 굴곡진 바닥을 갖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A)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영역으로부터 빌지워터를 흡인(Suction)하기 위한 석션파이프(11, 13)가 두 개 이상 설치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설치되어야 하는 석션밸브(12, 14)의 개수도 늘어난다.
또한, 펌프(15)는 각각의 물 고임 영역(A)에서 빌지워터를 흡인하는 석션파이프(11, 13) 모두에 흡인력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펌프(15)와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부터 제공되는 석션파이프(11)는 라인이 길게 구성되어야 한다.
빌지워터를 흡인하는 석션파이프(11, 13)는 펌프(15)의 흡인력에 맞추어 대형관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대형관을 두 개 이상 발생하는 물 고임 영역(A)의 개수에 맞춰 구비하고, 또 파이프의 라인을 길게 구성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기관실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션밸브(12, 14)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펌프(15) 가동시마다 각각의 석션밸브(12, 14)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빌지워터가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A) 중 어느 영역에 잔류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펀 효과를 활용하여 빌지 홀딩 탱크 내부에 잔류하는 빌지워터를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만을 사용하여 흡인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굴곡진 바닥부를 가져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이 발생하는 드레인탱크;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서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최저 물 고임 영역(L)에 잔류하는 유체를 흡인하는 석션파이프; 및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서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에 존재하는 잔류 유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이송하는 사이펀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내의 잔류 유체를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를 이용하여 흡인한다.
상기 사이펀라인은, 상기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상기 사이펀라인의 작동 초기에 상기 사이펀라인의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이펀라인에 유체를 공급하는 필링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상기 석션파이프에 의해 흡인된 상기 드레인탱크 내부의 잔류 유체를 선외 또는 별도의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라인; 및 상기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석션파이프로 상기 잔류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제공하는 이송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링라인은,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이송펌프의 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사이펀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라인 및 상기 필링라인은, 상기 석션파이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관경을 갖는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라인 및 상기 필링라인은 튜브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링라인에는 컨트롤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밸브는 상기 사이펀라인의 작동초기에만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밸브는 자동밸브로 구성되어, 타임 딜레이(Time Delay)를 두는 방식으로 자동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상기 이송펌프의 및 상기 컨트롤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상기 드레인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탱크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벤트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선박의 선형에 따라 굴곡진 바닥부를 갖는 드레인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에 잔류하는 유체를,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그 중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를 이용하여 흡인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 발생하는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 중,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상기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잔류 유체의 이송은, 사이펀라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펀라인에서, 상기 최저 물 고임 영역(L) 측에서 이송된 유체를 유출하는 유출구는, 상기 나머지 물 고임 영역(R) 측에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펀라인의 작동 초기에, 필링라인에 의해 상기 사이펀라인에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사이펀라인의 초기 펌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펀라인 및 상기 필링라인은 튜브 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펀 효과를 활용하여 빌지 홀딩 탱크 내부에 잔류하는 빌지워터를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만을 사용하여 흡인 및 배출하므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형관의 개수를 줄이므로 매우 효율적이고, 기관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석션파이프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석션밸브의 개수도 줄어들어, 종래에 빌지워터의 흡인 작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각각의 석션파이프에 설치된 석션밸브마다 조작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더불어, 종래에 빌지워터가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잔류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빌지 홀딩 탱크 내의 최저 물 고임 영역(L)만 확인하면 되므로 작업의 수고를 덜 수 있다.
도 1은 이중 스케그 선박에 구비되는 드레인 탱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선박의 뒤에서 바라본 드레인 탱크의 형상을, (b)는 선박의 위에서 바라본 드레인 탱크의 형상을, (c)는 선박의 옆에서 바라본 드레인 탱크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는 이중 스케그 선박에 구비되는 빌지 홀딩 탱크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선종의 선박에 구비되며 굴곡진 바닥부를 가짐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이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드레인 탱크(Drain Tank)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선박에 구비되는 빌지 홀딩 탱크(100); 빌지 홀딩 탱크(100) 내에서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최저 물 고임 영역(L)의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석션파이프(110); 석션파이프(110)로부터 흡인한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라인(120); 이송라인(120) 상에 설치되어 석션파이프(110)으로 빌지워터(잔류 유체)가 흡인되는 흡인력을 제공하는 이송펌프(130); 빌지 홀딩 탱크(100)에서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이송하는 사이펀라인(140); 및 이송라인(120)에서 펌프(130)의 후단에서 분기되어 사이펀라인(140)에 초기 유체를 공급하는 필링라인(150);을 포함한다.
물 고임 영역이란 탱크 내에 유입된 다량의 물이 배출된 후, 선박의 구조적 형상에 의해 물 고임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빌지 홀딩 탱크(100)는 이중 스케그 선박의 선형을 따라 굴곡진 바닥을 가지므로,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물 고임 영역을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을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석션파이프(110)은 최저 물 고임 영역(L)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최저 물 고임 영역(L)에 고여있는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흡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110)은 빌지 홀딩 탱크(100) 내에 발생하는 물 고임 영역의 개수에 상관없이, 최저 물 고임 영역(L)에 하나만 설치되면 충분하다.
이송펌프(130)의 전단의 석션파이프(110) 상에는 석션밸브(111)가 설치되어 석션파이프(110)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이송라인(120)은 석션파이프(110)로부터 흡인된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외부로 이송한다. 여기서 외부로 이송한다는 것은 선외 배출을 의미할 수도 있고, 빌지워터 세퍼레이터(Bilge Water Separator)와 같은 장비 또는 별도의 탱크로의 이송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송펌프(130)는 이송라인(120) 상에 설치되어 석션파이프(110)로 빌지워터(잔류 유체)가 흡인되는 흡인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석션파이프(110)가 하나만 설치되므로, 이송펌프(130)는 빌지 홀딩 탱크(100)에 석션파이프(110)가 투입되는 부근에 바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관으로 구성되는 석션파이프(110)의 길이를 종래에 비해 짧게 구비할 수 있다.
사이펀라인(140)은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이송하는 관으로서, 사이펀(Siphon)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사이펀의 원리란 높이가 다른 두 곳의 액체가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게 되는 원리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최저 물 고임 영역(L)이 나머지 물 고임 영역(R)보다 낮은 바닥부를 가지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에 고여 있는 빌지워터(잔류 유체)가 사이펀 관(140)을 통해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사이펀라인(140)은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빌지워터(잔류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41)와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빌지워터(잔류 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142)를 포함한다. 이때, 유출구(142)는 유입구(141)보다 낮게 위치해야 한다.
사이펀라인(140)은 빌지 홀딩 탱크(100)에 발생하는 각각의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향하도록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직접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최상위 레벨의 물 고임 영역에 존재하는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차상위 레벨의 물 고임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보냄으로써, 최종적으로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사이펀라인(140)은 튜브 배관과 같은 소형관으로 구비되면 충분하다. 즉, 사이펀라인(140)은 대형관으로 구비되는 석션파이프(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작은 관경을 가진다.
튜브 배관은 구리 튜빙(copper tubing)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튜빙(stainless steel tubing)일 수 있으며, 이러한 튜브 배관은 파이프보다 훨씬 가볍고 설치가 쉬우며, 롤(roll) 형식으로 공급되어 중간 커넥션(connection) 없이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석션파이프(110)는 통상적으로 65 ~ 80 mm의 관경을 가진 배관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관경의 석션파이프(110)를 기준으로 사이펀라인(140)의 배관 관경은 10 ~ 25 mm로 구비된다. 즉, 사이펀라인(140)의 관경은 석션파이프(110)의 관경의 약 0.15배 내지 0.3배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링라인(150)은 이송라인(120)에서 펌프(130)의 후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사이펀라인(140)에 초기 유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사이펀이란 원래 유체가 관 내에 차있는 상태에서 한번의 펌핑이 발생해야, 그 후 대기압으로 인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유체가 자동으로 이송되는 원리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필링라인(150)을 통해 사이펀라인(140)에 초기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사이펀라인(140)의 작동 초기에 안정적인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필링라인(150)도 사이펀라인(140)과 마찬가지로 튜브 배관과 같은 소형관으로 구비되면 충분하다. 사이펀라인(140)과 필링라인(150)을 튜브 배관으로 작게 구성하면 기관실의 배관 배치가 매우 용이해진다.
필링라인(150)은 구리 튜빙(copper tubing)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튜빙(stainless steel tubing)의 튜브 배관일 수 있다.
필링라인(150)은 상기에서 서술한 사이펀라인(140)의 관경보다도 더 작은 관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필링라인(150)은 이송펌프(130)의 후단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6 ~ 10 mm의 관경으로 구비되면 충분하다.
필링라인(150)에는 컨트롤밸브(15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밸브(151)는 사이펀라인(140)으로 초기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사이펀라인(140)의 작동 초기에만 개방하고, 그 후에는 닫은 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컨트롤밸브(151)는 후술할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자동밸브로 마련되어, 타임 딜레이(Time Delay)를 두는 방식으로 자동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빌지 홀딩 탱크(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이펀을 일으키기 위해 빌지 홀딩 탱크(100)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벤트라인(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스케그 선박의 배수 시스템은, 석션밸브(111), 이송펌프(130) 및 컨트롤밸브(15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펀 효과를 활용하여 빌지 홀딩 탱크(100) 내부에 잔류하는 빌지워터(잔류 유체)를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110)만을 사용하여 흡인 및 배출하므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형관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기관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석션파이프(110)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석션밸브(110)의 개수도 줄어들어, 종래에 빌지워터(잔류 유체)의 흡인 작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각각의 석션파이프(100)에 설치된 석션밸브(110)마다 조작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하였다.
더불어, 종래에 빌지워터(잔류 유체)가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잔류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빌지 홀딩 탱크(100) 내의 최저 물 고임 영역(L)만 확인하면 되므로 작업의 수고를 덜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빌지 홀딩 탱크 110 : 석션파이프
111 : 석션밸브 120 : 이송라인
130 : 이송펌프 140 : 사이펀라인
141 : 유입구 142 : 유출구
150 : 필링라인 151 : 컨트롤밸브
160 : 벤트라인 170 : 제어부

Claims (14)

  1. 선박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굴곡진 바닥부를 가져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이 발생하는 드레인탱크;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서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최저 물 고임 영역(L)에 잔류하는 유체를 흡인하는 석션파이프; 및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서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에 존재하는 잔류 유체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이송하는 사이펀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내의 잔류 유체를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를 이용하여 흡인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라인은,
    상기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보다 낮게 위치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라인의 작동 초기에 상기 사이펀라인의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이펀라인에 유체를 공급하는 필링라인;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석션파이프에 의해 흡인된 상기 드레인탱크 내부의 잔류 유체를 선외 또는 별도의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라인; 및
    상기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석션파이프로 상기 잔류 유체를 흡인하는 흡인력을 제공하는 이송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링라인은, 상기 이송라인에서 상기 이송펌프의 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사이펀라인으로 연결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라인 및 상기 필링라인은, 상기 석션파이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관경을 갖는 배관으로 구성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라인 및 상기 필링라인은 튜브 배관으로 구성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필링라인에는 컨트롤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밸브는 상기 사이펀라인의 작동초기에만 개방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밸브는 자동밸브로 구성되어, 타임 딜레이(Time Delay)를 두는 방식으로 자동 제어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의 및 상기 컨트롤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탱크 내부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벤트라인;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11. 선박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선박의 선형에 따라 굴곡진 바닥부를 갖는 드레인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에 잔류하는 유체를,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그 중 가장 낮은 바닥부를 갖는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한데 모아, 하나의 석션파이프를 이용하여 흡인하여 상기 드레인탱크 외부로 배출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탱크 내에 발생하는 두 개 이상의 물 고임 영역 중, 최저 물 고임 영역(L)을 제외한 나머지 물 고임 영역(R)으로부터 상기 최저 물 고임 영역(L)으로 잔류 유체의 이송은, 사이펀라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펀라인에서, 상기 최저 물 고임 영역(L) 측에서 이송된 유체를 유출하는 유출구는, 상기 나머지 물 고임 영역(R) 측에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라인의 작동 초기에, 필링라인에 의해 상기 사이펀라인에 유체가 공급되어, 상기 사이펀라인의 초기 펌핑력을 발생시키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라인 및 상기 필링라인은 튜브 배관으로 구성되는,
    선박의 배수 시스템.
KR1020170105519A 2017-08-21 2017-08-21 선박의 배수 시스템 KR102397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19A KR102397723B1 (ko) 2017-08-21 2017-08-21 선박의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19A KR102397723B1 (ko) 2017-08-21 2017-08-21 선박의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88A true KR20190020488A (ko) 2019-03-04
KR102397723B1 KR102397723B1 (ko) 2022-05-13

Family

ID=6576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19A KR102397723B1 (ko) 2017-08-21 2017-08-21 선박의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784A (zh) * 2019-08-18 2019-11-19 王建荣 一种飞机油箱防腐蚀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244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수 시스템
KR20170001587U (ko) * 2015-10-28 2017-05-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배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6244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수 시스템
KR20170001587U (ko) * 2015-10-28 2017-05-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빌지 배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6784A (zh) * 2019-08-18 2019-11-19 王建荣 一种飞机油箱防腐蚀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723B1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324B2 (en) Vacuum sewage system
US4246925A (en) Waste water vacuum conveyance method and apparatus
CN105270567A (zh) 一种船舶压载系统的管路布置结构
KR20190020488A (ko) 선박의 배수 시스템
KR20170001587U (ko) 선박의 빌지 배출 시스템
JP2012021483A (ja) 圧力水噴射式ポンプシステム
US10974804B2 (en) Maintenance unit for an inboard marine engine
JP2007090933A (ja) 船舶のオーバーフロー方法及び装置
CN102717871A (zh) 用于货舱压载水的进排水装置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US8739722B2 (en) Tank arrangement adapted for a submersible pump
KR20110096879A (ko) 안티 힐링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WO1984001138A1 (en) Stripping system for a cargo tank
JP2007276622A (ja) 貨物船のバラストタンク注排水装置および貨物タンククリーニング装置
EA007211B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загрязняющей жидкости, содержащейс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одной поперечной секции танков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US20230383505A1 (en) Method for pneumatically draining a water supply system
US20230182882A1 (en) Draining arrangement of a propulsion unit
CN110476014A (zh) 在竖直的强制循环蒸汽发生器中的水冷却
AU2018100097A4 (en) Tank Suction System
CN218348437U (zh) 一种化工离心泵负压输送系统
FI128742B (en) Clean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leaning a vacuum toilet system
CN115520338A (zh) 一种安全分配及输送船舶内海水的处理系统
SU783111A1 (ru) Автономное вакуум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ливки насоса судовой системы
KR101744640B1 (ko) 선박용 친환경 밸러스팅 장치
KR20120042353A (ko)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