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790A -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790A
KR20190019790A KR1020170105447A KR20170105447A KR20190019790A KR 20190019790 A KR20190019790 A KR 20190019790A KR 1020170105447 A KR1020170105447 A KR 1020170105447A KR 20170105447 A KR20170105447 A KR 20170105447A KR 20190019790 A KR20190019790 A KR 2019001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horizontal
screen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629B1 (ko
Inventor
호성수
Original Assignee
호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성수 filed Critical 호성수
Priority to KR1020170105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 프레임(1)의 전측휠(2)이 장착되는 수직부재(5)들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홀더(10)와, 일측의 홀더(10)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로서의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내에 탄성적으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40), 타측의 홀더(10)의 상단에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21),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를 사용위치에서 수평으로 유지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40)을 그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0과 수평지지부(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격된 수평받침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테이블로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린을 그 저면에서 수평받침부들에 의해 지지되고 경사지지부재에 의해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를 각각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스크린 위에 물푸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휠체어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지않고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A SIMPLIFIED TABLE FOR WHEEL CHAIRS}
본 발명은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체어 팔걸이에 부착되는 간이 테이블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간이 테이블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휠체어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고 테이블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테이블의 불안정성을 개선한 휠체어용 간이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이 불편한 환자나 연로한 사람들의 이동 편의를 위하여 휠체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휠체어에는 이용자가 필요시 간편식을 먹거나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과 같은 테이블이 없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247959호(등록일자 2013년03월21일)에는 테이블판 밑면에 축편을 형성하고, 바구니대에 수납포를 결합하여 수납 바구니를 구성하고, 바구니대를 테이블판의 축편에 축결합하고, 바구니대의 양측면에는 외측방으로 개구되어 휠체어의 팔걸이부에 끼워지는 홀더를 구성하고, 바구니대는 고정부에 작동부가 탄지 작동되게 결합되어 사이즈가 가변가능하게 구성됨으로서, 휠체어에 탈부착하기가 용이하고, 다양한 물건들을 수납하도록 된 휠체어용 보조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특허의 휠체어용 보조기구는 테이블판을 별도로 구비하여 휠체어에 거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러한 테이블판을 팔걸이부에 탈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의 상승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893호(2004년12월23일 등록)에는, 휠체어의 일측 팔걸이 선단측에 끼움 체결되는 체결부가 외측 일단면에 구비되고, 내측부에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지지축과 제2지지축이 돌설되며 길이방향으로 인출입홈이 통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에 구비된 마주보는 2개의 제1지지축에 양측단이 끼워져 권취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인출입홈의 외측으로 인출되며 끝단측면에 걸림구가 끼워진 선반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부에 구비된 마주보는 2개의 제2지지축에 양측단이 끼워져 권취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인출입홈으로부터 인출된 선반부의 끝단 하부에 핀결합된 스파이럴스프링과, 상기 선반부의 끝단측면에 끼움구성된 걸림구가 걸어지는 고정부가 외측상단에 구비되고 일단면에 상기 휠체어의 타측 팔걸이 선단측에 끼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갖는 보조하우징과; 그리고, 상기 휠체의 양측 팔걸이 선단측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 보조하우징의 일단면에 구비된 체결부가 체결되는 체결홈부재가 각각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탈착식 선반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고안의 탈착식 선반은 양측에 팔걸이 선단측에 하우징을 장착하고 그 속에 권취된 선반부가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선반부가 시트부재와 다수개의 조각판재로 구성된 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지지력을 갖기 위해서 비교적 두껴운 조각판재들로 된 선반부를 권취하는 하우징의 크기가 커서 팔걸이의 사용을 불편하게 하거나 환자가 시트에 앉을 때 걸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그러한 조각판재들을 제조하고 서로 결합하여 하우징에서 용이하게 인출 및 권취되게 하기 위해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47959호(등록일자 2013년03월21일)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893호(2004년12월23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휠체어 프레임의 일측의 수직부재에 간편하게 수용위치와 사용위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에 권취되어 인출가능한 간이 테이블로서의 스크린의 타단이 타측의 수직부재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에 간편하게 걸어서 유지되고, 스크린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지지부재들 사이에서 양단을 거치시키도록 개선된 구조의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은, 휠체어 프레임의 전측 휠이 장착되는 수직부재들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홀더와, 일측의 홀더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로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에 탄성적으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 타측의 홀더의 상단에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 상기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를 사용위치에서 수평으로 유지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을 그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수평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격된 수평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들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에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이 하우징과 수평지지부에 배치되는 경사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지지부재들에는 길이를 신장시키도록 각각 관형의 연장부들이 인출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들의 상단에는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게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절개된 형태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기 홀에 대응하여 측부에 핀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간이 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해 하우징에서 인출된 스크린을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들 사이에 두개의 수평받침부가 제공되고, 상기 수평받침부들중 하나는 하우징에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대향측 수평받침부에 형성된 지지턱에서 지지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수평받침부는 일단이 수평지지부에서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단은 대향측의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턱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스크린이 토션스프링으로 내부에 권취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에는 스크린 폭 보다 더 긴 걸림로드가 제공되고, 스크린이 인출된 상태에서 유지되게 수평지지부에 스크린 폭에 대응된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로드를 걸쳐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은 테이블로서 사용하기 위한 스크린을 그 저면에서 수평받침부들에 의해 지지되고 경사지지부재에 의해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를 각각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스크린 위에 물푸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휠체어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지않고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간이테이블이 장착된 휠체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간이테이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간이테이블이 조립된 상태에서 스크린을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하우징과 수평지지부 사이에 수평받침부가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간이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본 발명에 의한 간이테이블의 하우징과 수평지지부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간이테이블의 하우징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토션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간이테이블을 휠체어에서 펼친 사용상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은 휠체어 프레임(1)의 전측 휠이 장착되는 수직부재(5)들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홀더(10)와, 일측의 홀더(10)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로서의 하우징(20) 및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게 인출가능한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이 권취된 수평지지부로서의 하우징(20), 타측의 홀더(10)의 상단에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21)들 각각을 사용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지지수단은 홀더(10) 하단에서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양측의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들을 지지하는 경사지지부재(25,26)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위에 배치되는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40)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이격된 수평받침부(30)가 제공된다.
상기 각각의 홀더(10)는 휠체어의 수직부재(5)에 끼워져 일체로 고정되며, 그 전면에 홈(13)이 형성되어 있어 간이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을 때, 상기 경사지지부재(25,26)들이 각각 수용된다.
상기 경사지지부재(25,26)들은 원통형으로서 그 자유단부에는 각각 관형의 연장부(27)들이 인출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지지부재(25,26)들의 상단에는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원주 방향으로 40절곡되게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절개된 형태의 홀(28)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7)에는 상기 홀(28)에 대응하여 측부에 걸림부(29)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경사지지부에서 연장부(27)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사지지부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27)의 인출시 상기 걸림부(29)은 경사지지부재(25,26)의 홀(28)을 따라 직선부분이 이동된 다음 연장부를 회전시켜 원주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에 핀이 배치되어 연장부(27)가 경사지지부들에서 인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양측의 홀더(10)들에는 경사지지부재(25,26)들을 지지하도록,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들이 팔걸이에 수평으로 사용위치로 펼쳐질 때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의 저면에는 받침구(22,23)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받침구(22,23)들은 측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ㄱ'자로 형성되어 경사지지부재(25,26)의 연장부(27)들이 인출되어 그 경사진 단부들이 받침구(22,23)들의 내측의 홈 모서리에 배치되어 하우징과 수평지지부는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에는 토션스프링(5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축(51)에 고정되어 회전축이 탄성적으로 복귀, 즉 스크린(40)을 내부에 권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상기 스크린(40)은 일단이 회전축(51)에 권취되고 그 자유단부는 하우징(20) 밖에 배치되며, 상기 자유단부가 하우징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지 못하게 스토퍼 작용을 하도록 스크린 폭 보다 약간 더 길어서 돌기가 형성되게 걸림로드(41)가 스크린의 자유단부에 제공된다. 이로써, 스크린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걸림로드(41)를 당겨 스크린을 인출한 다음, 수평지지부(21)에 스크린 폭에 대응된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4)에 걸림로드(41)를 걸침으로써 스크린(40)이 하우징속으로 복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우징(20)에서 간이 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해 인출된 스크린(40)을 저면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들 사이에 복수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평받침부(30)들이 제공된다. 상기 수평받침부(30)들중 하나는 하우징(20)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대향측 수평받침부(30)에 형성된 지지턱(32)에서 지지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수평받침부(30)는 일단이 수평지지부(21)에서 볼조인트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단은 대향측의 하우징(20)에 형성된 지지턱(33)에서 지지된다. 상기 지지턱(32,33)들은 하우징과 수평받침부 내측면에 오목한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평받침부(30)의 자유단부들을 지지한다.
도 4와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에 제공된 간이 테이블의 사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을 내부에 수용한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30)는 각각 휠체어 프레임(1)의 전측 휠(2)이 장착된 수직부재(5)들의 상부에 제공된 홀더(10)에 각각 상단이 힌지 연결되고 하단은 수직하방으로 늘어뜨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양측의 홀더(10)들에는 경사지지부재(25,26)들이 그 하단이 힌지 연결되고 전면의 홈(13)에 삽입되어 보관된다.
이 상태에서 간이 테이블의 사용시에는, 먼저 하우징(20)을 수평위치로 세우고, 경사지지부(25)에서 연장부(27)를 인출하여 그 단부를 하우징(20) 저면에 제공된 받침구(22)의 내측면에 배치하여 고정하고, 그 대향측의 수평지지부(21)를 세우고 대응된 경사지지부(26)를 세우고 연장부(27)를 인출하여 그 단부를 수평지지부(21) 저면의 받침구(23)에 고정한다.
그런 다음,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들에 각각 일단이 고정된 2개의 수평받침부(30)들의 자유단부를 대향된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의 측부에 형성된 대응된 지지턱(32,33)에 걸어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20)에서 스크린(40)을 인출하여 그 단부에 제공된 걸림로드(41)를 수평지지부(30)에 돌출된 걸림돌기(24)에 걸어서 스크린을 고정한다(도 7 참조).
이로써, 스크린(40)은 그 저면이 수평받침부(30)들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린 위에 물건을 올려 놓더라도 저면에서 수평받침부(30)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들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휠체어에 테이블을 간편하게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1 : 휠체어 프레임 5 : 수직부재
10 : 홀더 20 : 하우징
21 ; 수평지지부 25, 26 ; 경사지지부재
30 : 수평받침부 40 : 스크린

Claims (5)

  1. 휠체어 프레임(1)의 전측 휠(2)이 장착되는 수직부재(5)들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홀더(10)와,
    일측의 홀더(10)의 상단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로서의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내에 탄성적으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40),
    타측의 홀더(10)의 상단에서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수평지지부(21),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를 사용위치에서 수평으로 유지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 및
    간이 테이블수단으로서의 스크린(40)을 그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격된 수평받침부(30)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들 각각을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10)에 하단이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이 하우징과 수평지지부에 배치되는 경사지지부재(25,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부재(25,26)들에는 길이를 신장시키도록 각각 관형의 연장부(27)들이 인출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25,26)들의 상단에는 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원주 방향으로 절곡되게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절개된 형태의 홀(28)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7)에는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기 홀(28)에 대응하여 측부에 걸림부(29)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4. 제 1항에 있어서,
    간이 테이블로 사용하기 위해 하우징(20)에서 인출된 스크린(40)을 저면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0)과 수평지지부(21)들 사이에 두개의 수평받침부(30)가 제공되고, 상기 수평받침부(30)들중 하나는 하우징(20)에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대향측 수평받침부(30)에 형성된 지지턱(32)에서 지지되는 한편, 다른 하나의 수평받침부(30)는 일단이 수평지지부(21)에서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단은 대향측의 하우징(20)에 형성된 지지턱(33)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에는 스크린(40)이 토션스프링으로 내부에 권취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에는 스크린 폭 보다 더 긴 걸림로드(41)가 제공되고, 스크린이 인출된 상태에서 유지되게 수평지지부(21)에 스크린 폭에 대응된 간격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4)에 상기 걸림로드(41)를 걸쳐서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KR1020170105447A 2017-08-18 2017-08-18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KR10202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47A KR102024629B1 (ko) 2017-08-18 2017-08-18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447A KR102024629B1 (ko) 2017-08-18 2017-08-18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790A true KR20190019790A (ko) 2019-02-27
KR102024629B1 KR102024629B1 (ko) 2019-09-24

Family

ID=6556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447A KR102024629B1 (ko) 2017-08-18 2017-08-18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6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174U (ko) * 1990-03-05 1991-11-15
KR200371893Y1 (ko) 2004-08-02 2005-01-10 유수연 휠체어용 탈착식 선반
KR101247959B1 (ko) 2010-09-29 2013-04-0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174U (ko) * 1990-03-05 1991-11-15
KR200371893Y1 (ko) 2004-08-02 2005-01-10 유수연 휠체어용 탈착식 선반
KR101247959B1 (ko) 2010-09-29 2013-04-02 강종호 휠체어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29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03773A1 (en) Walker with removable seat
US9339118B2 (en) Infant support with storage compartment
US20100243011A1 (en) Walking aid combined with a toilet seat
US20170303701A1 (en) Mobile Diaper Changing Station
US6009571A (en) Foldable commode
JP2598239Y2 (ja) ベビーカーの保護枠
KR20190019790A (ko) 휠체어용 간이 테이블
US5335971A (en) Foldable chair
JP3199367B2 (ja) 椅子型簡易便器
JP2000316619A (ja) 椅子付キャリーバッグ
JP3204387U (ja) 介護用歩行器の背当て
KR200371893Y1 (ko) 휠체어용 탈착식 선반
KR200195064Y1 (ko) 접철의자가 부설된 낚시가방
JP2001025486A (ja) 車椅子
JP2004215931A (ja) 折り畳み椅子
KR20200071546A (ko) 고정 팩이 부착된 지면에 고정 가능한 캠핑의자
KR20200039158A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KR102270091B1 (ko) 접이식 휠체어
KR102384886B1 (ko) 회전 가능한 관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1327507B1 (ko) 좌우 가변폭 조절 이동식 의자
JP2005027764A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引出し式椅子及び椅子付テーブル
JPS6245721Y2 (ko)
JPH0725823U (ja) 幼児用抱き具
JPH10113311A (ja) 跳ね上げ式簡易ひじ掛け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