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629A -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 Google Patents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629A
KR20190019629A KR1020170104812A KR20170104812A KR20190019629A KR 20190019629 A KR20190019629 A KR 20190019629A KR 1020170104812 A KR1020170104812 A KR 1020170104812A KR 20170104812 A KR20170104812 A KR 20170104812A KR 20190019629 A KR20190019629 A KR 2019001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leeve
inner sleeve
joi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9629A/ko
Publication of KR2019001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16L13/0218Welded joints having an inner or outer ring
    • F16L13/0227Welded joints having an inner or outer ring having an inner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18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 F16L58/185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specially adapted for pipe fittings for joints with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더블 슬리브에서 안쪽 슬리브 부분과 슬리브 조인트의 일면에 링 요입부와 그 옆에 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링 요입부에 링을 고정시켜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에 링을 위치시킴으로써 용접부분으로 유체가 침입하는 것을 막아 더블 슬리브상에 부식 포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에 링을 위치시킴으로써 유체의 이탈을 방지하고 오염물이 유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Double sleeve with corrosion protection}
본 발명은 기존의 더블 슬리브를 사용할 경우 더블 슬리브에 바른 도료나 후처리가 불에 타서 그 부분이 부식 포인트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블 슬리브 내부에 링을 끼우고 도료를 최대한 보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슬리브란 파이프와 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할 때에 사용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 부재를 말한다. 또한 더블 슬리브란 기존의 슬리브가 파이프-슬리브-파이프 형태로 결합될 때에 슬리브와 파이프를 직접 용접하게 되어 도료나 후처리 했던 부분이 벗겨지는 현상을 막기 위해 파이프와 슬리브를 미리 결합한 형태를 접합부로 하여 그 위에 슬리브를 추가하여 파이프에는 열 전달이 최대한 안 되도록 하는 연결 방법 또는 연결 부재를 말한다. 기존의 더블 슬리브의 구성을 <도 1>에 나타내었다.
그러나 기존의 더블 슬리브를 사용한다고 해도 더블 슬리브에 바른 도료나 후처리가 불에 타서 그 부분은 여전히 부식 포인트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즉,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의 부분이 부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바, 이러한 부식으로 인해 파이프 내의 유체가 밖으로 새어 나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부식된 부분에 유체가 닿아 유체가 오염될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블 슬리브에서 용접 이후 취약해지는 부분을 링을 사용하여 유체의 침입을 막아 더블 슬리브상에 부식 포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더블 슬리브에서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의 부분(13)의 부식을 막음과 동시에, 링을 사용하여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 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이 유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더블 슬리브에서 안쪽 슬리브의 외측면과 슬리브 조인트의 내측면에 링 요입부를 구비하고, 안쪽 슬리브의 링 요입부 옆에 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며, 링 요입부에 링을 고정시켜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에 링을 위치시킴으로써 용접부분으로 유체가 침입하는 것을 막아 더블 슬리브상에 부식 포인트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본원발명은 용접작업에 특히 적합한 바, 본원발명의 링은 내열, 내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링은 슬리브 조인트와 안쪽 슬리브에 끼워지기 위한 것인 바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은 슬리브 조인트의 내측면에는 링이 인입되는 통로에 경사진 구성을 포함하여 링을 인입시켜 결착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안쪽 슬리브의 돌출부의 형태 또는 구성에 변화를 줌으로써 링의 인입 및 결착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원발명은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에 링을 위치시킴으로써 유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의 용접부(13)로부터 오염물이 유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원 발명은, 링을 사용하여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더블 슬리브에서 용접부(13)에 유체가 침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더블 슬리브상에 부식 포인트가 생기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링을 사용하여 공간을 분리시킴으로써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의 용접부(13)에 부식 등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지 않게 함과 동시에, 만약에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의 용접부(13)에 오염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링에 의하여 상기 오염원이 파이프 내의 유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의 링 요입부에 링을 끼워 고정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링이 슬리브 조인트를 고정하여 용접 작업시 슬리브 조인트가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 작업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인 더블 슬리브의 방식으로 파이프를 용접한 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방식으로 파이프를 용접한 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슬리브 조인트 내관에 링을 끼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슬리브 조인트에 링이 끼워진 상태에서 링을 안쪽 슬리브의 링 요입부에 끼우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링이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의 링 요입부에 인입하여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안쪽 슬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슬리브 조인트와 링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슬리브란 파이프와 파이프를 용접으로 연결할 때에 사용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연결 부재를 말하는 바, 본원발명은 슬리브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 또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단일의 슬리브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법이 이용되었으나, 상기 방법은 파이프-슬리브-파이프의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슬리브와 파이프를 직접 용접하게 되어 파이프상의 도료나 후처리했던 부분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파이프 위에 미리 용접 또는 접합이 된 안쪽 슬리브(inner sleeve)를 대고 안쪽 슬리브 위에 슬리브 조인트를 대어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에 용접을 하는 더블 슬리브의 형태로 용접작업을 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더블 슬리브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단일의 슬리브를 이용하는 방법과 같이 파이프가 직접적인 손상을 입는 문제점은 해결되었으나, 안쪽 슬리브와 슬리브 조인트 사이의 용접부(13)에 파이프 내에 흐르는 유체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용접부(13)의 부식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용접부(13)에 유체가 지속적으로 닿게 됨으로써 용접부(13)에 존재하던 오염 물질이 유체 내에 지속적으로 퍼지게 되어 유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성을 고안한 바, 본원발명은 파이프(40), 안쪽 슬리브(20), 슬리브 조인트(10), 링(30)을 그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인 바, 안쪽 슬리브(20)와 슬리브 조인트(10) 사이에 링(30)이 결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파이프(40)는 파이프(40) 내에서 유체를 이동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용접 작업시에는 파이프(40) 외부에 칠해진 도료 또는 후처리 상태, 또는 파이프(40)의 형태가 열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용접 부분에 존재하는 오염물이 파이프(4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파이프(40)의 외측면에는 안쪽 슬리브(20)가 이미 결합된 상태이다.
안쪽 슬리브(20)는 연결되어야 할 파이프(40)의 바깥쪽 면에 접촉되어 존재하며, 더블 슬리브에서는 안쪽 슬리브(20)와 파이프(40)가 이미 연결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안쪽 슬리브(20)와 파이프(40) 사이의 접촉면의 부식 등의 문제가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본원발명의 구성에서 안쪽 슬리브(20)는 슬리브 조인트(10)가 연결될 장소를 제공한다. 한편, 본원발명의 안쪽 슬리브(20)는 그 바깥면에 링 요입부(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링 요입부(21)에 링(30)이 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안쪽 슬리브(20)의 바깥면을 따라서 링(30)이 이동하게 될 것인 바, 안쪽 슬리브(20)의 바깥면은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반지름의 차이가 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안쪽 슬리브(20) 중에서 링(30)이 들어가기 시작하는 안쪽 슬리브(20)의 바깥면(25)이 링 요입부(21)를 기준으로 돌출부(22)와 반대 방향으로 존재하는 안쪽 슬리브(20)의 바깥면(24)보다 반지름이 더 작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30)은 안쪽 슬리브(20)에서 바깥면의 반지름이 더 작은 쪽으로 들어가기 시작하여 돌출부(22)를 지나 링 요입부(21)에 인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 4>는 안쪽 슬리브(20)의 바깥면에 형성된 상기 링 요입부(21)의 일측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22)에서 링(30)이 링 요입부(21)로 들어올 때 먼저 닿게 되는 면이 경사면으로서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경사면의 존재로 인하여 링(30)의 인입이 더 용이해지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돌출부(22)는 단일의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6>과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돌출부(22)가 단일의 원형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유체의 유출을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고, <도 6>과 같은 형태의 돌출부(22)를 가지는 경우에는 링(30)이 링 요입부(21)로 인입될 때 마찰력을 적게 받을 것인 바, 링(30)의 인입이 더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22)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선택적인 사항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링 요입부(21)의 안쪽은 링(30)이 미끄러져 들어와 홈에 안정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약간의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슬리브 조인트(10)는 연결되어야 할 파이프(40)의 바깥쪽에 접촉된 안쪽 슬리브(20)를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 조인트(10)를 사용하여 더블 슬리브의 형태로 파이프(40)를 연결하는 경우, 파이프(40) 상에서 직접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 안쪽 슬리브(20)와 슬리브 조인트(10)간에 용접작업을 하므로 파이프(40)가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의 슬리브 조인트(10)에는 <도 3>과 같이 안쪽 면에 링 요입부(11)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링 요입부(11)에 링(30)이 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슬리브 조인트(10)에 형성되는 상기 링 요입부(11)에는 <도 3>과 같이 링(30)이 인입되는 방향에 경사진 경사부(12)를 포함함으로써 링(30)을 슬리브 조인트(10)에 끼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링(30)은 상기 안쪽 슬리브의 링 요입부(21)와 슬리브 조인트(10)의 링 요입부(11)에 끼워져 위치하게 된다. 링(30)의 바깥쪽 면은 <도 3>과 같은 방향으로 슬리브 조인트(10)의 링 요입부(11)에 끼워지게 되고, 이후 <도 4>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쪽 슬리브(20)의 링 요입부(21)에 끼워지게 되는 바, 링(30)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원발명은 용접작업에 사용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바, 상기 링(30)의 재질은 열에 손상받지 않는 내열, 내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30)은 용접 부위와 파이프 내의 유체가 존재하는 공간을 분리시키는 바, 상기 링(30)으로 인해 유체가 용접부(13)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용접부(13)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부(13)에서 이물이 발생한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링(30)의 존재로 인하여 해당 이물이 파이프(40) 내의 유체로 유입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링(30)에 의하여 슬리브 조인트(10)의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는 바, 용접작업시 슬리브 조인트(10)가 원하는 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해주어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본원발명의 더블슬리브 부재는 일체형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7>과 같이 본원발명 구성 중 슬리브 조인트(10)와 링(30)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도 가능하다. 슬리브 조인트(10)와 링(30)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링(30)을 슬리브 조인트(10)에 끼우는 과정 없이 슬리브 조인트(10)와 링(30)이 결합된 구성을 안쪽 슬리브(20)의 링 요입부(21)에 밀어 넣어 끼우는 형식으로 슬리브 조인트(10)의 고정이 가능할 것인 바, 작업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더블슬리브 부재는 안쪽 슬리브(20)와 슬리브 조인트(10)의 링 요입부(11, 21)가 복수 개로 구성된 경우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설명한 본원발명의 구성과 같으며, 유체가 새나가는 것을 더욱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링(30)과 슬리브 조인트(10), 안쪽 슬리브(20)가 결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고하여 링(30)을 슬리브 조인트(10)의 링 요입부(11)에 끼우는 과정을 설명한다. 링(30)의 외측면의 지름이 슬리브 조인트(10)의 내측면의 지름보다 더 큰 바, 링(30)이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가져야 링(30)을 슬리브 조인트(10)의 링 요입부(11)에 끼우는 것이 용이하다. 먼저, <도 3>과 같이 링(30)을 기울인 상태로 슬리브 조인트(10)의 관의 끝 부분으로부터 넣기 시작한다. <도 3>을 기준으로 링(30)의 상부가 들어가는 과정을 먼저 설명하자면, 링(30)의 상부는 슬리브 조인트(10)의 화살표 방향으로 내관을 따라서 들어가다가 슬리브조인트(10) 내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경사면을 지나고, 이후 링 요입부(11)에 링(30)의 상부가 걸리게 되는 바 링(30)의 상부는 더 이상 슬리브 조인트(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3>을 기준으로 링(30)의 하부는 링(30)의 상부에 뒤쳐진 상태로 슬리브 조인트(10)의 내관을 따라서 이동하고, 링(30)의 상부가 슬리브 조인트(10)의 내측면 상측에 마련된 링 요입부(11)에 걸린 상태에서 링(30)의 하부가 마저 이동하여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슬리브 조인트(11)의 내측면 하측에 마련된 링 요입부(11)에 걸려 들어가게 된다.
<도 4>를 참고하여 링(30)이 슬리브 조인트(10)의 링 요입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링(30)을 안쪽 슬리브(20)의 링 요입부(21)에 끼우는 과정을 설명한다. 안쪽 슬리브(20)의 외측면 중 반지름이 더 작은 부분(25) 쪽으로부터 링(30)을 도면에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안쪽 슬리브(20)의 링 요입부(21)에 끼우는 구성이다. 안쪽 슬리브(20)의 링 요입부(21)의 옆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된 바, 링(30)은 안쪽 슬리브(20)의 외측면 중 지름이 더 작은 부분(25)를 지나 돌출부(22)를 거쳐서 링 요입부(21)로 안착되는 것이다. 한편, 돌출부(22) 중 링(30)이 끼워지는 과정에서 돌출부(22)와 먼저 만나는 면에는 링(30)이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경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링(30)은 안쪽 슬리브(20)의 외측면 중 지름이 작은 부분(25)을 지난 후, 안쪽 슬리브(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22)를 지나서 안쪽 슬리브(20)의 링 요입부(21) 내로 걸려 들어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더블슬리브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여러 효과가 발생하는 바, 이하 정리한다. 첫째로, 용접부(13)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로, 용접부(13)의 오염 물질이 파이프(40) 내의 유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셋째로, 링(30)에 의하여 슬리브 조인트(10)의 위치를 고정하는 바, 슬리브 조인트(10)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여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환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특정한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발명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기재될 발명에 대한 모든 변환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에 다른 요소를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고 할 것이다.
10- 슬리브 조인트
11- 링 요입부
12- 경사부
20- 안쪽 슬리브
21- 링 요입부
22- 돌출부
23- 경사부
30- 링
40- 파이프

Claims (4)

  1. 파이프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용접형 파이프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측에 결합되는 안쪽 슬리브;
    상기 안쪽 슬리브를 연결하는 슬리브 조인트; 및 상기 안쪽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조인트 사이에 위치하는 부식 방지용 링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부재.
  2. 청구항 제 1항의 파이프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조인트의 내측면과 안쪽 슬리브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링이 끼워지는 링 요입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부재.
  3. 청구항 제 2항의 파이프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안쪽 슬리브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상기 링 요입부의 일측에는 상기 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부재.
  4. 청구항 제 3항의 파이프 연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조인트의 상기 링 요입부의 일면 및 상기 안쪽 슬리브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링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부재.
















KR1020170104812A 2017-08-18 2017-08-18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KR20190019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812A KR20190019629A (ko) 2017-08-18 2017-08-18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812A KR20190019629A (ko) 2017-08-18 2017-08-18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629A true KR20190019629A (ko) 2019-02-27

Family

ID=6556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812A KR20190019629A (ko) 2017-08-18 2017-08-18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6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479B (zh) 转接联结件
EP2995838B1 (en) Inner ring
RU2768320C2 (ru) Труб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PT2521874T (pt) Conector fixado mecanicamente para utilização num ambiente corrosivo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KR200449405Y1 (ko) 링 조인트 배관 연결구조
US201903460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KR20190019629A (ko) 부식방지 기능을 가진 더블슬리브
CA3023295C (en) Modular push-to-connect assembly
US20160138738A1 (en) Hose and Tubing Connector Devic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KR20110110501A (ko) 강관 특수 이음장치
JP2562781B2 (j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SU1575951A3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JP6515822B2 (ja) 配管用継手
JP2007170658A (ja) 管継手
US20060125236A1 (en) Retainer with inward projections
KR101441531B1 (ko) 강관용 슬리브의 이용 방법
KR102016506B1 (ko) 밀림손상 방지형 이음관 어셈블리용 스토퍼
JP3128762B2 (ja) 継 手
RU2527226C2 (ru) Узел 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JP6898119B2 (ja) 管継手
KR101703720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NL2021211B1 (en) Anti-permeation ring
KR20230160189A (ko) 푸시-피팅
KR20210034606A (ko) 클램프 조립체용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