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322A -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322A
KR20190019322A KR1020170104059A KR20170104059A KR20190019322A KR 20190019322 A KR20190019322 A KR 20190019322A KR 1020170104059 A KR1020170104059 A KR 1020170104059A KR 20170104059 A KR20170104059 A KR 20170104059A KR 20190019322 A KR20190019322 A KR 20190019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screen
content
unit
condition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736B1 (ko
Inventor
김상조
김병재
박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0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73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은 제 1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단계,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 및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MAIN PAGE OF CONTENTS PROVIDING SERVICE}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 편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1단계(100)에서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고, 2단계(102)에서 등록 버튼을 선택하여 콘텐츠 매핑을 위한 페이지를 생성하고, 3단계(104)에서 홈 화면에 편성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조회하고, 4단계(106)에서 홈 화면에 편성하고자 하는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등록하고, 5단계(108)에서 등록된 하나의 콘텐츠를 확인하고, 6단계(110)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홈 화면에 편성하는 과정으로 홈 화면을 생성해 왔다. 이러한 종래의 홈 화면 편성 방법에 따르면 N 개의 콘텐츠를 홈 화면에 편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절차를 N 번 반복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신규 콘텐츠가 많이 제작됨에 따라 홈 화면 상에서의 콘텐츠의 편성을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하기 때문에 홈 화면을 업데이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선행 기술인 일본공개특허 제2002-140364호에는 주어진 검색 조건(게재용 콘텐츠의 카테고리, 복수의 검색 키와 소정의 조건식과의 조합)에 기초하여 게재용 콘텐츠를 검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될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고,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함된 카테고리를 선택받고자 한다. 또한, 입력받은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에 따라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를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은 제 1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단계;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는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홈 화면 유닛 생성부;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조건 입력부;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카테고리 선택부;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콘텐츠 매핑부; 및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홈 화면 편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될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고,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함된 카테고리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받은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에 따라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콘텐츠를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여 홈 화면을 편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홈 화면을 편성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편성자의 의도에 맞게 홈 화면에 자동으로 콘텐츠를 편성할 수 있고, 편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 편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2b는 콘텐츠 카테고리의 사용 용도 및 홈 화면에 편성된 홈 화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 편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 유닛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성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따라 자동으로 선정되는 홈 화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터 이미지로부터 스틸컷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콘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에 미달된 경우, 수동으로 콘텐츠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횟수에 기초하여 홈 화면 유닛의 순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에 부합하여 추출되는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내지 2b는 기존의 콘텐츠 카테고리의 사용 용도 및 홈 화면에 편성된 홈 화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및 모바일 TV에서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컨텐츠를 카테고리 구조로 편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최상단 카테고리(제 1 최상단 카테고리(201) 및 제 2 최상단 카테고리(203))는 콘텐츠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복수의 상단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단 카테고리 각각은 복수의 하단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1 최상단 카테고리(201)는 "영화", 제 2 최상단 카테고리(203)는 "TV 다시보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최상단 카테고리(201)가 "영화" 카테고리인 경우, 제 1 최상단 카테고리(201)는 한국 영화에 해당하는 제 1 상단 카테고리(205), 외국 영화에 해당하는 제 2 상단 카테고리(207), 어린이 영화에 해당하는 제 3 상단 카테고리(209)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복수의 상단 카테고리 각각은 복수의 하단 카테고리로 세분화되거나, 복수의 상단 카테고리 각각에 복수의 단편 콘텐츠 또는 시리즈로 이루어진 컨텐츠가 곧바로 편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콘텐츠 카테고리는 일반적으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함이 목적이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 편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모바일 TV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콘텐츠 카테고리와는 별개로 홈 화면 유닛별로 콘텐츠를 다시 매핑하여 편성해야만 했다.
도 2b를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 서비스 화면에서 콘텐츠가 매핑되어 있는 창을 홈 화면 유닛이라 일컬으며, 각 홈 화면 유닛에는 복수개의 콘텐츠가 매핑된다. 콘텐츠 제공 서비스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상단메뉴(211) 마다 복수의 홈 화면 유닛이 편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 메뉴(211) 중 제 1 메뉴(213)에는 제 1 홈 화면 유닛(215) 및 제 2 홈 화면 유닛(217)이 편성되고, 각 홈 화면 유닛(215, 217)마다 기설정된 카테고리(예컨대, 최신 영화 카테고리, 극장동시 상영관 카테고리, 인기 TOP 카테고리 등)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가 매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 편성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 화면 편성 장치(300)는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 조건 입력부(320), 카테고리 선택부(330), 콘텐츠 추출부(340), 콘텐츠 매핑부(350), 홈 화면 편성부(360), 홈 화면 갱신부(370) 및 포스트 이미지 변경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홈 화면 편성 장치(3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과 함께 도 4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정보(예컨대, 콘텐츠의 이미지, 제목 등)를 포스팅하기 위한 멀티 화면 영역 플랫폼일 수 있다.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예를 들어,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잠시 도 4를 참조하면, 홈 화면 유닛은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정보를 세로형 포스트 이미지 형식으로 출력시키는 포스트형 홈 화면 유닛(401)과, 콘텐츠의 정보를 가로형 방송 스틸컷 이미지 형식으로 출력시키는 스틸컷 홈 화면 유닛(403) 및 콘텐츠에 랭킹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순위형 홈 화면 유닛(40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오면, 조건 입력부(320)는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입력부(320)는 콘텐츠를 최신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제 1 정렬 조건, 콘텐츠를 인기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제 2 정렬 조건 및 콘텐츠를 가나다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제 3 정렬 조건을 포함하는 콘텐츠의 정렬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조건 입력부(320)는 콘텐츠의 복수의 정렬 조건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선택 입력받을 수 있다. 조건 입력부(320)는 콘텐츠 편성자가 홈 화면에 편성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시리즈 콘텐츠에 해당하는 경우, 시리즈 명을 출력할 것인지 또는 최신 회차의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리즈 출력 조건을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선택 입력받을 수 있다.
카테고리 선택부(330)는 홈 화면에 편성할 콘텐츠가 매핑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에서 하나의 카테고리를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고리 선택부(330)는 콘텐츠 편성자에 의해 선택된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을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는 카테고리명(카테고리 ID), 카테고리 타입, 매핑된 콘텐츠의 정보(예컨대, 콘텐츠명 및 콘텐츠의 수 등) 및 콘텐츠 시청 나이 등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카테고리 타입은 예를 들면, 순위형 카테고리 타입, 포스트형 카테고리 타입, 스틸컷 카테고리 타입 및 하위형 카테고리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콘텐츠 편성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홈 화면 유닛의 생성 당시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입력받은 홈 화면 유닛의 유형에 따라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잠시 도 5를 참조하면,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선택된 카테고리의 카테고리 타입 및 콘텐츠 수에 따라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포스트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3개 이하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1 홈 화면 유닛(501)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포스트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6개 이하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2 홈 화면 유닛(503)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포스트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7개 초과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3 홈 화면 유닛(505)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스틸컷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3개 이하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4 홈 화면 유닛(507)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스틸컷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6개 이하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5 홈 화면 유닛(509)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스틸컷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7개 초과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6 홈 화면 유닛(511)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순위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3개 이하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7 홈 화면 유닛(513)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순위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6개 이하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8 홈 화면 유닛(515)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고리 타입이 순위형 카테고리 타입이고, 홈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의 수가 7개 초과로 출력되는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제 9 홈 화면 유닛(517)을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최적의 홈 화면 유닛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오면,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는 콘텐츠 편성자에 의해 선택된 제 1 홈 화면 유닛(예컨대, 가로형의 스틸컷형 홈 화면 유닛)이 추출된 콘텐츠를 편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제 1 홈 화면 유닛을 제 2 홈 화면 유닛(예컨대, 세로형 포스트형 홈 화면 유닛)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홈 화면 유닛이 선택된 콘텐츠를 편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포스터 이미지의 사이즈가 제 1 홈 화면 유닛의 콘텐츠 정보 출력 영역의 사이즈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포스트 이미지 변경부(380)는 선택된 홈 화면 유닛의 유형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포스트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스트 이미지 변경부(380)는 콘텐츠 편성자에 의해 선택된 제 1 홈 화면 유닛(예컨대, 가로형의 스틸컷형 홈 화면 유닛)이 추출된 콘텐츠를 편성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도 6과 같이,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포스트 이미지(601)를 가로형 스틸컷 이미지(603)로 가공하여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형 스틸컷 이미지(603)는 포스트 이미지(601)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가로형으로 추출하여 가공한 이미지일 수 있다.
콘텐츠 추출부(34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입력받은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추출부(340)는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으로서, 최신순 정렬 조건이 입력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매핑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가장 최근에 출시된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추출부(340)는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으로서, 인기순 정렬 조건이 입력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매핑된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기설정된 점수 이상의 인기 점수를 갖는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추출부(340)는 콘텐츠 자동 추출 조건으로서, 가나다순 정렬 조건이 입력되면, 콘텐츠를 가나다 순으로 추출할 수 있다.
콘텐츠 매핑부(35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매핑된 복수의 콘텐츠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된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매핑부(350)는 시리즈 콘텐츠의 경우, 최신 회차의 콘텐츠를 선택된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할 수 있다.
콘텐츠 매핑부(35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매핑된 복수의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콘텐츠의 개수가 선택된 홈 화면 유닛에 편성될 콘텐츠의 개수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되는 개수 만큼의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경고 메시지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을 참조하면, 제 2 홈 화면 유닛(701)에 편성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콘텐츠가 기준 개수 이하인 경우, 콘텐츠 매핑부(350)는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추가적으로 콘텐츠를 입력받고, 입력된 콘텐츠(703)를 제 2 홈 화면 유닛(701)에 매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콘텐츠 매핑부(350)는 제 2 홈 화면 유닛(701)에 편성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콘텐츠가 기준 개수 이하인 경우, 추출된 콘텐츠와 유사한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제 2 홈 화면 유닛(701)에 매핑할 수 있다.
만일, 해당 카테고리에 신규 콘텐츠가 입수될 경우, 콘텐츠 편성자에 의해 추가 선택된 콘텐츠(703)를 후 순위로 제 2 홈 화면 유닛(701)에 편성할 수 있고, 신규 콘텐츠를 제 2 홈 화면 유닛(701)에 선 순위로 편성할 수 있다.
홈 화면 편성부(360)는 선택된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할 수 있다.
조건 입력부(320)는 편성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을 콘텐츠 편성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은 특정 시간(예컨대, 0시)마다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시간 조건 및 특정 콘텐츠(예컨대, 인기가 높은 콘텐츠)의 방영 후에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콘텐츠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 갱신부(370)는 입력된 홈 화면의 갱신 조건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일 마다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설정된 경우, 홈 화면 갱신부(370)는 홈 화면의 편성 파일(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카테고리의 콘텐츠 리스트)을 신규 콘텐츠들로 매일 업데이트하여 홈 화면에 반영할 수 있다.
홈 화면 갱신부(370)는 홈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홈 화면 유닛의 노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을 참조하면, 홈 화면 갱신부(370)는 처음에 제 1 홈 화면 유닛(801)이 홈 화면(80)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 2 홈 화면 유닛(803)이 홈 화면(8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2 홈 화면 유닛(803)에 속한 콘텐츠의 시청 횟수가 제 1 홈 화면 유닛(801)에 속한 콘텐츠의 시청 횟수보다 많은 경우, 제 2 홈 화면 유닛(803)을 홈 화면(80)의 상단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홈 화면 유닛(801)에 편성된 카테고리 및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과 제 2 홈 화면 유닛(803)에 편성된 카테고리 및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은 콘텐츠 편성자에 의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홈 화면 유닛 생성부(310), 조건 입력부(320), 카테고리 선택부(330), 콘텐츠 추출부(340), 콘텐츠 매핑부(350), 홈 화면 편성부(360), 홈 화면 갱신부(370) 및 포스트 이미지 변경부(38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에 부합하여 추출되는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901)을 생성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제 1 홈 화면 유닛(901)에 편성될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903)을 선택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903)은 최신순으로 정렬, 인기순으로 정렬 및 가나다순으로 정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렬 조건 및 시리즈 콘텐츠의 경우, 시리즈 명을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최신 회차의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리즈 출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901)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선택 페이지(905)를 제공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면, 한국 영화 카테고리에 단일 콘텐츠가 편성되고, 외국 영화 카테고리에 시리즈 콘텐츠가 편성되고, 어린이 영화 카테고리에 단일 콘텐츠 및 시리즈 콘텐츠가 모두 편성된 복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입력된 콘텐츠의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903)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907)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907)를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면, 콘텐츠의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으로 시리즈 조건(10)이 선택되면, 시리즈 콘텐츠(12, 14, 16)가 추출되어 제 1 홈 화면 유닛(901)에 매핑될 수 있다. 이 때, 시리즈 콘텐츠의 노출 또는 시리즈 회차 노출 여부는 콘텐츠 노출 정책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기존에는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할 콘텐츠를 콘텐츠 편성자가 수동으로 선택한 후, 홈 화면 유닛에 개별적으로 매핑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편성자가 제 1 홈 화면 유닛(901)에 편성될 콘텐츠가 매핑된 카테고리만 선택하면, 입력된 콘텐츠의 자동 추출 조건(903)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 1 홈 화면 유닛(901)에 편성함으로써 홈 화면 편성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 편성 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 편성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0의 홈 화면 편성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홈 화면 편성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103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계 S1105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단계 S1107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조건(제 1 홈 화면 유닛에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1109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할 수 있다. 단계 S1111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건은 최신순으로 정렬, 인기순으로 정렬 및 가나다순으로 정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렬 조건 및 시리즈 콘텐츠의 경우, 시리즈 명을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최신 회차의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리즈 출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11 이후,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2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고, 제 2 홈 화면 유닛에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2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조건(제 2 홈 화면 유닛에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제 2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11 이후에,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제 2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홈 화면 유닛을 위해 입력된 조건(제 1 홈 화면 유닛에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 및 선택된 카테고리는 제 2 홈 화면 유닛을 위해 입력된 조건(제 2 홈 화면 유닛에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 및 선택된 카테고리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11 이후,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편성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을 입력받고, 편성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은 특정 시간에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시간 조건 및 특정 콘텐츠의 방영 후에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콘텐츠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05 이후,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는 카테고리명, 카테고리 타입 및 콘텐츠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01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09에서,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입력된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에 기초하여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포스트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계 S1111 이후에,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 횟수와 제 2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 횟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홈 화면 편성 장치(200)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제 1 홈 화면 유닛과 제 2 홈 화면 유닛의 노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1 내지 S11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홈 화면 편성 장치
310: 홈 화면 유닛 생성부
320: 조건 입력부
330: 카테고리 선택부
340: 콘텐츠 추출부
350: 콘텐츠 매핑부
360: 홈 화면 편성부
370: 홈 화면 갱신부
380: 포스트 이미지 변경부

Claims (20)

  1.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단계;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에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을 위해 상기 입력된 조건 및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는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을 위해 상기 입력된 조건 및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 서로 상이한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최신순으로 정렬, 인기순으로 정렬 및 가나다순으로 정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렬 조건 및 시리즈 콘텐츠의 경우, 시리즈 명을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최신 회차의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리즈 출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편성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을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은 특정 시간에 상기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시간 조건 및 특정 콘텐츠의 방영 후에 상기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콘텐츠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는 카테고리명, 카테고리 타입 및 콘텐츠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입력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포스트 이미지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 횟수와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 횟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과 상기 제 2 홈 화면 유닛의 노출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13.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홈 화면 유닛을 생성하는 홈 화면 유닛 생성부;
    콘텐츠를 자동 추출하기 위한 조건을 입력받는 조건 입력부;
    상기 생성된 홈 화면 유닛 중 제 1 홈 화면 유닛에 편성하고자 하는 카테고리를 선택받는 카테고리 선택부;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추출하는 콘텐츠 추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하는 콘텐츠 매핑부; 및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홈 화면을 편성하는 홈 화면 편성부
    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최신순으로 정렬, 인기순으로 정렬 및 가나다순으로 정렬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정렬 조건 및 시리즈 콘텐츠의 경우, 시리즈 명을 출력할 것인지 아니면 최신 회차의 콘텐츠를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한 시리즈 출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입력부는 상기 편성된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을 갱신하는 홈 화면 갱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의 갱신을 위한 조건은 특정 시간에 상기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시간 조건 및 특정 콘텐츠의 방영 후에 상기 홈 화면을 갱신하도록 하는 콘텐츠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홈 화면 유닛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홈 화면 유닛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는 카테고리명, 카테고리 타입 및 콘텐츠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화면 유닛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포스트 이미지를 변경하는 포스트 이미지 변경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화면 갱신부는 복수의 홈 화면 유닛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시청 횟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홈 화면 유닛의 노출 순서를 변경하는 것인, 홈 화면을 편성하는 장치.
KR1020170104059A 2017-08-17 2017-08-17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39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059A KR102039736B1 (ko) 2017-08-17 2017-08-17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059A KR102039736B1 (ko) 2017-08-17 2017-08-17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22A true KR20190019322A (ko) 2019-02-27
KR102039736B1 KR102039736B1 (ko) 2019-11-01

Family

ID=6556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059A KR102039736B1 (ko) 2017-08-17 2017-08-17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221A (ko) * 2020-04-09 2022-09-19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218A (ko) * 2006-01-18 2007-07-24 엔에이치엔(주) 다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콘텐츠 정보를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218A (ko) * 2006-01-18 2007-07-24 엔에이치엔(주) 다수의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콘텐츠 정보를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221A (ko) * 2020-04-09 2022-09-19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736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610B2 (ja) 重要な属性の寄与の強さを示す示標と共に番組推奨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US91790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ally updating applications in a television display environment
JP7019669B2 (ja) 静的ナレッジグラフおよび時間的ナレッジグラフに基づいて用語の曖昧性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562848A (zh) 多个源媒体和目的媒体的发现和管理平台
CN110475140B (zh) 弹幕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US9009604B2 (en) Display processing device, display information distribution device,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CN104145434A (zh) 智能电视的频道切换器
CN102413373A (zh) 一种生成数字电视菜单导航页的方法和装置
JP2018533288A (ja) 複数のチャネルからの番組中のイベント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26223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content
KR20070038499A (ko) 프로그램 선택 지원장치
US7703115B2 (en) Graphical indication of selected cell within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CN109479160A (zh) 用于推荐显示设备的内容的显示设备和方法
CN114051160B (zh) 视频展示方法及装置
US10296169B2 (en) Interactive cloud based content delivery service
US20160269793A1 (en) Interactive content delivery service having favorite program selection capability
JP2010055429A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コンテンツ表示方法
KR20190019322A (ko)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홈 화면을 편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70937A (ko) 광고 배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1551A (ko) 라이브 동영상을 배신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3127764A (zh) 一种数据更新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425689B1 (ko) 티브이의 가상채널 편집방법
CN111726659B (zh) 一种视频的轮播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240295A1 (en) Grid-type content presentation device and method
van Barneveld et al. Involving users in the design of user interfaces for TV recommend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