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02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021A
KR20190019021A KR1020180093698A KR20180093698A KR20190019021A KR 20190019021 A KR20190019021 A KR 20190019021A KR 1020180093698 A KR1020180093698 A KR 1020180093698A KR 20180093698 A KR20180093698 A KR 20180093698A KR 20190019021 A KR20190019021 A KR 2019001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ssembly
boss
rotation
hold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148B1 (ko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46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77023A4/en
Priority to PCT/KR2018/009416 priority patent/WO2019035667A1/en
Priority to US15/998,544 priority patent/US10655778B2/en
Publication of KR2019001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021A/ko
Priority to US16/863,200 priority patent/US1117498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202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for rolling, i.e.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8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sideward adjustment, i.e. left-right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지지되는 장착장치를 포함한다. 장착장치는 거치보스가 마련되는 거치대와, 거치보스에 대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마련되는 레일과, 거치보스에 대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회전하도록, 레일의 단부에 배치되는 회전가이드로서, 거치보스가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스탠드등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대략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이를 세우거나 지지하는 스탠드등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키 또는 사용환경이 다르고, 또한 사용자들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형태나 사용목적이 다르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치와 높이등을 달리하면서 이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장착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치형태를 달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지지되는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장치는, 거치보스가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보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마련되는 레일; 상기 거치보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회전하도록, 상기 레일의 단부에 배치되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거치대가 지지되는 설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레일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편심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가로세로 길이의 중심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무게중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가이드에 의한 회전에 의해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로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로모드와 상기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드로 회전 할 때,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거치대가 지지되는 설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거치보스가 삽입되는 보스삽입부를 형성하는 보스홀더; 상기 보스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고정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보스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보스홀더는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보스홀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홀더몸체; 상기 레일과 상기 보스삽입부사이를 연결하는 보스패스를 형성하는 패스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과 상기 보스삽입부사이가 상기 홀더몸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절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제 1 거리 편심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가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상기 제 1 거리와 다른 제 2 거리 편심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방향이동은 수평이동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이동을 상기 수평이동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거치보스의 상하부를 구속하며, 상기 수평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장치는, 거치보스를 갖고 설치면에 지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보스가 장착되되, 상기 거치보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배면에 배치되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거치보스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어느하나의 모드에서 다른 하나의 모드로 회전할 때,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이드로 연장되며, 상기 거치보스가 위치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거치보스가 삽입되는 보스홀더; 상기 보스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고정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보스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보스홀더는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레일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직선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거치보스가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장치는, 거치보스가 마련되며, 설치면에 지지되는 거치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좌우방향 중심으로부터 편향되게 배치되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이격거리를 달리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그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이 좌우방향과 상하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착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착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사용목적에 따라 배치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구성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 7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장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따른 도면.
도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로모드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로모드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
도 16, 17,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
도 19,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
도 22 내지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6 내지 3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31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41,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43,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이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례로 설명하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고정 곡률(curvature)인 화면을 가지는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입력에 의해 현재 화면의 곡률을 변경가능한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장착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디스플레이 패널(12)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외관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섀시(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길게 배치되는 가로모드(B)와, 세로길이가 가로길이보다 길게 배치되는 세로모드(A)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형태에 따라 가로모드(B)와 세로모드(A)간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장착장치(3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장착장치(3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장치(30)는 거치대(40)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마련되는 회전가이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4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치하는 설치면(20)에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거치대(40)는 바닥면 또는 테이블에 안착되는 스탠드형 거치대일 수도 있고, 천장에 고정되는 천장형 거치대일 수도 있다. 또한 벽면에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벽걸이용 거치대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거치대(40)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스탠드형 거치대인 것을 예로 든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 일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거치대(40)는 거치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보스(42)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마련되는 이후 설명하는 회전가이드(50) 또는 레일(8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거치보스(42)는 거치대(40)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거치보스(42)는 이후 설명하는 레일(80)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82) 사이에 위치하는 보스몸체(43)와, 보스몸체(43)와 거치대(40)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보스(4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장치(30)는 이동롤러(4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롤러(48)는 거치대(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사용자는 이동롤러(48)를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장착된 장착장치(30)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회전가이드(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가이드(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회전하여 가로모드(B)와 세로모드(A)간에 변환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중심을 어셈블리중심(C, 도 3 참고)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B)일 때, 어셈블리중심(C)을 지나는 가로방향 중심선을 제 1 중심선(L1), 어셈블리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제 2 중심선(L2)이라 칭할 수 있다. 어셈블리중심(C)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중심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무게중심일 수도 있다.
회전가이드(5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편심거리(d)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편향된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구성의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도 1 내지 4와 함께 설명한다.
장착장치(30)는 레일(8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50)와 레일(80)을 가이드장치라 칭할 수 있다.
레일(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레일(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직선방향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대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세로모드(A)에 위치하고, 레일(80)을 통해 세로길이방향 또는 제 2 중심선(L2)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에 위치하고 레일(80)을 통해 가로길이방향 또는 제 1 중심선(L1)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일(80)은 어셈블리중심(C)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레일(80)은 어셈블리중심(C)을 지나며 제 2 중심선(L2)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80)은 그 일단에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이격되는 회전가이드(50)가 배치되며, 그 타단에 어셈블리중심(C)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B) 또는 세로모드(A)일 때, 어셈블리 중심과 거치보스(42)가 동일한 중심선상에 배치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레일(80)의 타단에는 거치보스(42)가 레일(8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보스스토퍼(86)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80)은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이동을 직선이동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레일(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이동을 수평방향 이동으로 제한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레일(8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82)은 거치보스(42)의 일측과 타측을 구속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직선이동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레일(82)은 거치보스(42)의 상부와 하부를 구속하며, 수평이동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레일(82)은 거치보스(42)의 상하부를 구속하며, 제 2 중심선(L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레일(80)은 거치보스(42)에 대해 수평방향이동만 가능하게 되므로, 레일(8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도 수평방향이동만 가능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레일(8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레일(80)은 이탈방지후크(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후크(84)는 거치보스(42)가 한 쌍의 가이드레일(8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탈방지후크(84)는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이탈방지후크(84)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82)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서, 한 쌍의 가이드레일(82) 사이에 위치한 거치보스(42)가 레일(8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후크(84)는 레일(80)에 위치한 거치보스(42)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보스(42)는 이탈방지후크(84)에 대응되게 보스몸체(43)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돌기(4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 위치할 때 직선방향이동을 할 수 있으며, 거치보스(42)가 회전가이드(50)에 위치할 때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직선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과, 회전운동을 위한 구성을 분리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지지하기 위한 장착장치(30)의 구성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배치모드(가로모드(B), 세로모드(A))를 변환하는 경우에도, 장착장치(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가이드(50)는 레일(80)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50)는 보스홀더(60)와, 회전홀더(7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홀더(60)는 거치보스(42)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스홀더(60)는 거치보스(42)가 삽입되는 삽입공간(65)을 형성하는 보스삽입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보스(42)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수평이동을 통해 보스삽입부(64)로 삽입될 수 있다.
보스삽입부(64)에 삽입된 거치보스(42)는 레일(80)로부터 이탈되어 레일(80)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이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회전홀더(70)는 보스홀더(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고정된다. 즉, 회전홀더(7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와 함께 이동 및 회전하게 된다. 보스홀더(60)는 회전홀더(70) 내에 위치하며, 보스홀더(60)가 회전홀더(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회전홀더(70)는 보스홀더(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나,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보스홀더(60)는 회전홀더(70)가 보스홀더(60)의 외측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보스홀더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홀더몸체(62)상에는 앞서 언급한 보스삽입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홀더(70)는 보스홀더(6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홀더몸체(72)와, 레일(80)과 보스삽입부(64)사이를 연결하는 보스패스(75)를 형성하는 패스형성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패스형성부(74)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이동으로 인해,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서 보스삽입부(64)로 이동할 때, 거치보스(42)가 지나는 통로인 보스패스(75)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회전홀더(7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회전에 의해 레일(80)과 보스삽입부(64) 사이를 선택적으로 단절시킬 수 있다.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 위치할 때는 보스삽입부(64)와 레일(80)사이에 보스패스(75)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거치보스(42)가 보스삽입부(64)에 삽입되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와 함께 회전한 회전홀더(70)는 홀더몸체(72)로 레일(80)과 보스삽입부(64) 사이를 단절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거치보스(42)는 보스삽입부(64)에 구속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직선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회전가이드(50)와 레일(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다양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6, 7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따른 도면, 도 11,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로모드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가로모드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6, 7, 8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A)로 위치한다. 거치보스(42)는 레일(80)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A)로 동작하게 된다.
이후 도 9, 10과 같이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서 보스홀더(60)의 보스삽입부(64)내로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수평이동시킨다. 도 10은 도 9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홀더(70)의 보스패스(75)가 레일(80)과 보스삽입부(64)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서, 거치보스(42)는 레일(80)에서 보스삽입부(64)로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 12는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10에서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세로모드(A)에서 제 1 가로모드(B1)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13, 14은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14은 도 13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10에서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세로모드(A)에서 제 2 가로모드(B2)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가로모드(B1, B2)는 회전가이드(50)의 편심거리(d)의 두 배만큼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1 가로모드(B1)에서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제 2 가로모드(B2)에서의 높이를 h2라 할 때, h1+2d=h2 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제 1, 2 가로모드(B1, B2) 중 어느 하나의 가로모드를 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보스(42)는 보스홀더(60)의 보스삽입부(64)에 지지됨으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거치대(40)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거치보스(42)에서의 상면과, 보스삽입부(64)의 내면, 보스홀더(60)의 외면등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하중을 면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가로모드에서는 회전홀더(70)의 홀더몸체(72)에 의해 레일(80)과 보스삽입부(64)사이가 단절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임의로 직선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치대(40)에 의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장착장치(30)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원공급장치는 거치보스(42)에 마련되는 보스단자(92, 93)와, 보스단자(92, 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결합부(94, 9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보스단자(92, 93)는 거치보스(42)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며, 한 쌍의 단자결합부(94, 95)는 보스스토퍼(86)와, 보스삽입부(64)에 각각 하나가 마련된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세로모드(A)일 때는, 거치보스(42)의 보스단자(93)는 보스스토퍼(86)에 위치한 단자결합부(95)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전기를 공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B)일 때는, 거치보스(42)의 보스단자(92)가 보스삽입부(64)에 위치한 단자결합부(94)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전기를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B), 세로모드(A)일 때, 보스단자(92, 93)가 단자결합부(94, 95)에 결합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 때 거치보스(42)의 위치구간을 공급구간(97)이라 할 수 있다. 레일(80)은 앞서 언급한 공급구간(97)과 공급단절구간(9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와 세로모드간을 변환하는 과정에서, 거치보스(42)가 레일(80)상에 위치하게 되면, 보스단자(92, 93)와 단자결합부(94, 95)는 이격되는 공급단절구간(96)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가로모드(B)와 세로모드(A)에 위치한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장착장치(30)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경우에만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17,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 도 19,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
전원공급장치(90)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원공급장치(90)는 거치보스(42)에 마련되는 보스단자(92a, 93a)와, 보스단자(92a, 9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결합부(94a, 95a)와, 보스단자(92a, 93a)와 단자결합부(94a, 95a)를 연결하는 단자연결부(98a, 98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단자(92a, 93a)는 거치보스(42)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6, 17과 같이 단자결합부(95a)는 보스스토퍼(86)에 마련되어, 거치보스(42)에 마련되는 보스단자(93a)와 단자연결부(98a)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9, 20과 같이 단자결합부(94a)는 보스삽입부(64)에 마련되어, 거치보스(42)에 마련되는 보스단자(92a)와 단자연결부(98b)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자연결부(98a, 98b)는 보스단자(92a, 93a)와 단자결합부(94a, 95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수평이동 또는 회전동작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단절없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치를 보다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98a, 98b)는 도 18과 같이 레일(80)의 일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단자연결부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내부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전원공급장치(90)는 지지막대(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막대(99)는 단자연결부가 꼬임없이 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지지막대(99)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98c)는 지지막대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이동에 따라 보스단자(92a)와 단자결합부(94a)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경우에도, 단자연결부(98c)는 꼬임없이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22 내지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2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가로모드(B)로 위치한다.
회전가이드(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셈블리중심(C)을 지나는 가로방향 중심선을 제 1 중심선(L1), 어셈블리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제 2 중심선(L2)이라 칭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5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편심거리(d)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가이드(50)는 편심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가이드(5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제 1 중심선(L1)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2에서 거치보스(42)는 레일(80)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가로모드(B)로 동작하게 된다.
이후 도 23와 같이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서 보스홀더(60)의 보스삽입부(64)내로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수평이동시킨다.
도 24는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가로모드(B)에서 제 1 세로모드(A1)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5은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가로모드(B)에서 제 2 세로모드(A2)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세로모드(A1, A2)는 회전가이드(50)의 편심거리(d)의 두 배만큼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1 세로모드(A1)에서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제 2 세로모드(A2)에서의 높이를 h2라 할 때, h1+2d=h2 가 될 수 있다.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제 1, 2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세로모드를 택할 수 있어서,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26 내지 3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장착장치(130)는 회전가이드(151, 152)와 레일(18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151,152)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B)일 때, 어셈블리중심(C)을 지나는 가로방향 중심선을 제 1 중심선(L1), 어셈블리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제 2 중심선(L2)이라 칭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151, 152)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각각 편심거리(d1, d2)를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151, 152)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제 1 거리(d1) 편심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가이드(151)와,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제 2 거리(d2) 편심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가이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거리(d1, d2)는 상호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 1 거리(d1)는 제 2 거리(d2)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2 회전가이드(50)는 제 2 중심선(L2)상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레일(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직선방향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대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레일(80)을 통해 제 2 중심선(L2)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레일(80)은 제 1, 2 회전가이드(151, 15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A)로 위치한다. 거치보스(42)는 레일(80)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A)로 동작하게 된다.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서 제 1 회전가이드(151)에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수평이동시킨 후, 도 27과 같이 제 1 회전가이드(151)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세로모드(A)에서 제 1 가로모드(B1)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제 1 회전가이드(151)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세로모드(A)에서 제 2 가로모드(B2)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6으로부터 거치보스(42)가 레일(80)에서 제 2 회전가이드(152)에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수평이동시킨후, 도 29과 같이 제 2 회전가이드(152)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세로모드(A)에서 제 3 가로모드(B3)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도 30은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세로모드(A)에서 제 4 가로모드(B4)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가로모드(B1, B2)는 제 1 회전가이드(151)에 의한 회전에 의해 동작하며, 제 3, 4 가로모드(B3, B4)는 제 2 회전가이드(152)에 의한 회전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거리(d1)는 제 2 거리(d2)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제 1, 2 가로모드(B1, B2)간의 높이차는 제 3, 4 가로모드(B3, B4)간의 높이차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2 회전가이드(151, 152)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편심되는 편심거리(d)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제 1, 2 회전가이드(151, 152) 중 어느 하나의 회전가이드로부터 이를 선택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거치대(40)가 설치되는 설치면(20)을 바닥면이라 할 때,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제 4 가로모드(B4), 제 2 가로모드(B2), 제 1 가로모드(B1), 제 3 가로모드(B3) 순으로 낮아지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31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32, 34, 36, 38, 40은 각각 도 31, 33, 35, 37, 39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장착장치(30)는 회전가이드(250)와, 레일(28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2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가이드(25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제 1 중심선(L1)와 제 2 중심선(L2)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홀더(270)는 보스홀더(6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홀더몸체(272)와, 레일(280)과 보스삽입부(64)사이를 연결하는 보스패스(275a, 275b)를 형성하는 패스형성부(274a, 274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패스(275a, 275b)는 제 1 보스패스(275a)와, 제 2 보스패스(275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2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레일(280)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직선방향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에 대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레일(280)을 통해 제 1, 2 중심선(L1, L2)과 나란하게 이동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1에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A)로 위치한다. 거치보스(42)는 레일(280)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가 된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A)로 동작하게 된다.
이후 도 33, 34, 35, 36와 같이 거치보스(42)가 레일(280) 중 제 1 레일(280a)과 제 2 레일(280b)를 거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이동시킨다. 거치보스(42)는 보스홀더(60)의 보스삽입부(64)내로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제 1, 2 레일(280a, 280b)를 따라 수직이동과 수평이동시킨다. 회전홀더(270)의 보스패스(275a)는 제 2 레일(280b)과 보스삽입부(64)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거치보스(42)는 제 2 레일(280b)에서 보스삽입부(64)로 삽입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7, 38은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이후 도 39, 40과 같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수평이동시키면, 거치보스(42) 또한 보스패스(275b)를 통해 보스삽입부(64)로부터 이탈하여 제 3 레일(280c)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회전이 제한되며, 제 1 가로모드(B1)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가이드(50)가 어셈블리중심(C)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회전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41,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회전가이드(3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회전가이드(3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3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회전하여 가로모드(B)와 세로모드(A)간에 변환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가이드(35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중심을 어셈블리중심(C)이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가 가로모드(B)일 때, 어셈블리중심(C)을 지나는 가로방향 중심선을 제 1 중심선(L1), 어셈블리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 중심선을 제 2 중심선(L2)이라 칭할 수 있다. 어셈블리중심(C)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의 중심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무게중심일 수도 있다.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회전가이드(50)는 레일(8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80)을 생략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회전가이드(350)는 회전보스(360)와, 회전홀더(37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보스(360)는 회전홀더(370)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홀더(370)에는 회전보스(360)가 배치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홀더(370)는 거치대(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보스(36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홀더(370)는 회전보스(36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고정된다. 즉, 회전홀더(370)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배면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보스(360)는 회전홀더(370) 내에 위치하며, 회전보스(360)가 회전홀더(3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회전홀더(37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가로길이방향 또는 제 1 중심선(L1)을 따라 이격되거나, 세로길이방향 또는 제 2 중심선(L2)을 따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홀더(370)는 어셈블리중심(C)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모드(B1, B2)로 위치하는 것을 예로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로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2 가로모드(B1, B2)는 회전홀더(370)와 어셈블리중심(C) 사이의 편심거리(d)의 두 배만큼 높이차이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 1 가로모드(B1)에서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제 2 가로모드(B2)에서의 높이를 h2라 할 때, h1+2*d=h2 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제 1, 2 가로모드(B1, B2) 중 어느 하나의 가로모드를 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을 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가로모드(B1, B2)는 회전각도를 달리하거나, 회전방향을 달리함으로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로모드와 제 2 가로모드는 180도의 회전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의 회전과 편심거리(d)의 관계는 높이(h)의 변화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어셈블리중심(C)의 변화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43,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1, 42에서의 실시예와 달리, 회전홀더(370)는 어셈블리중심(C)으로부터 가로길이방향 또는 제 1 중심선(L1)을 따라 이격되고, 세로길이방향 또는 제 2 중심선(L2)을 따라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홀더(370)는 어셈블리중심(C)에 대해 대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모드(B1, B2)로 위치하는 것을 예로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는 세로모드로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2 가로모드(B1, B2)는 회전홀더(70)와 어셈블리중심(C)사이의 편심거리(d1, d2)의 두 배만큼 높이조절 및 좌우거리 조절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전홀더(70)의 높이방향 편심은 d1이며, 좌우방향 편심은 d2일 수 있다. 제 1 가로모드(B1)에서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제 2 가로모드(B2)에서의 높이를 h2라 할 때, h1+2*d1=h2 가 될 수 있다. 또한 . 제 1 가로모드(B1)에서의 어셈블리중심(C)을 C1, 제 2 가로모드(B2)에서의 어셈블리중심(C)을 C2라 할 때, C1과 C2의 거리는 2*d2가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어셈블리(10)를 제 1, 2 가로모드(B1, B2) 중 어느 하나의 가로모드를 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 및 좌우편심정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제 1, 2 가로모드(B1, B2)는 회전각도를 달리하거나, 회전방향을 달리함으로서 변경할 수 있다. 제 1 가로모드와 제 2 가로모드는 180도의 회전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 :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30 : 장착장치 40 : 거치대
42 : 거치보스 50 : 회전가이드
60 : 보스홀더 70 : 회전홀더
80 : 레일 90 : 전원공급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지지되는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장치는,
    거치보스가 마련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보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마련되는 레일;
    상기 거치보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회전하도록, 상기 레일의 단부에 배치되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거치대가 지지되는 설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레일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편심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가로세로 길이의 중심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무게중심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게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가이드에 의한 회전에 의해 가로모드 또는 세로모드로 동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로모드와 상기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드로 회전 할 때,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거치대가 지지되는 설치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 거리가 달라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거치보스가 삽입되는 보스삽입부를 형성하는 보스홀더;
    상기 보스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고정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보스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보스홀더는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보스홀더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홀더몸체;
    상기 레일과 상기 보스삽입부사이를 연결하는 보스패스를 형성하는 패스형성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일과 상기 보스삽입부사이가 상기 홀더몸체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절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제 1 거리 편심되게 배치되는 제 1 회전가이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상기 제 1 거리와 다른 제 2 거리 편심되게 배치되는 제 2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방향이동은 수평이동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이동을 상기 수평이동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거치보스의 상하부를 구속하며, 상기 수평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장치는,
    거치보스를 갖고, 설치면에 지지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보스가 장착되되, 상기 거치보스에 대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배면에 배치되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거치보스가 삽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상기 어느하나의 모드에서 다른 하나의 모드로 회전할 때,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설치면으로부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회전가이드로 연장되며, 상기 거치보스가 위치가능하게 마련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거치보스가 삽입되는 보스홀더;
    상기 보스홀더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배면에 고정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보스홀더에 삽입될 때,
    상기 보스홀더는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레일과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보스가 상기 레일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직선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거치보스가 회전가이드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동작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가이드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그 중심으로부터 편향된 회전중심을 갖도록 마련되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의 중심이 좌우방향과 상하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93698A 2017-08-16 2018-08-1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46392.1A EP3677023A4 (en) 2017-08-16 2018-08-16 DISPLAY DEVICE
PCT/KR2018/009416 WO2019035667A1 (en) 2017-08-16 2018-08-16 DISPLAY APPARATUS
US15/998,544 US10655778B2 (en) 2017-08-16 2018-08-16 Display apparatus
US16/863,200 US11174984B2 (en) 2017-08-16 2020-04-30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3619 2017-08-16
KR1020170103619 2017-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021A true KR20190019021A (ko) 2019-02-26
KR102620148B1 KR102620148B1 (ko) 2024-01-03

Family

ID=6556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698A KR102620148B1 (ko) 2017-08-16 2018-08-1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677023A4 (ko)
KR (1) KR102620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271A1 (ko) * 2021-11-04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86B1 (ko) * 2002-08-22 2006-1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박형 표시 장치
KR20120064442A (ko) * 2010-12-09 2012-06-19 오세현 모니터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79B1 (ko) * 2001-10-24 2004-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내장형 lcd모니터 스탠드
JP2007058031A (ja) * 2005-08-26 2007-03-08 Sony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TW200942031A (en) * 2008-03-27 2009-10-01 Jarllytec Co Ltd Plane revolving mechanism for the suppor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286B1 (ko) * 2002-08-22 2006-12-0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박형 표시 장치
KR20120064442A (ko) * 2010-12-09 2012-06-19 오세현 모니터 스탠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271A1 (ko) * 2021-11-04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7023A4 (en) 2021-07-28
KR102620148B1 (ko) 2024-01-03
EP3677023A1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5778B2 (en) Display apparatus
EP3113161B1 (en) Variable led display screen
AU2018325154A1 (en) Display apparatus
US7311434B2 (en) Movable lighting apparatus
CN211502075U (zh) 承载座
KR20130078565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1738926B1 (ko) 멀티비전용 디스플레이 패널 고정장치
AU2013204014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4103991B (zh) 滑轨式传输系统及滑轨式传输装置
KR201900190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21052A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170002879U (ko) 멀티비전의 디스플레이 고정장치
KR102036887B1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CN210691864U (zh) 多功能媒体墙
KR101166713B1 (ko) 모니터 거치대가 구비된 파티션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JP6508799B2 (ja) テーブルシステム
JP6808556B2 (ja) 物品載置棚装置
CN216431160U (zh) 安装架及显示设备
JP2009200901A (ja) 薄型テレビの壁掛け装置、および壁掛け方法
CN218883569U (zh) 一种显示装置
KR101487395B1 (ko) 멀티비전용 패널 거치 구조
KR200601323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KR101053050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CN203517211U (zh) 多功能一体机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