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286B1 - 박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박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286B1
KR100653286B1 KR1020047019891A KR20047019891A KR100653286B1 KR 100653286 B1 KR100653286 B1 KR 100653286B1 KR 1020047019891 A KR1020047019891 A KR 1020047019891A KR 20047019891 A KR20047019891 A KR 20047019891A KR 100653286 B1 KR100653286 B1 KR 100653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rotation
thin display
stand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970A (ko
Inventor
시미즈마사끼
요시이다까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701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2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16M11/10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he horizontal axis being the roll axis, e.g. for creating a landscape-portrait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Angular and linear video display screen suppor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부의 가로로 긴 상태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에의 천이를 한 동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표시부의 대략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박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박형의 표시부(1)와, 상기 표시부(1)를 지지하는 스탠드부(2)와, 상기 표시부(1)의 배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1)를 상기 스탠드부(2)에 대해 적어도 90°회전 가능하도록 보유 지지하는 수평 회전축(3)을 구비한 박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수평 회전축(3)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1)를 상하 방향으로 병진 동작시키는 병진 동작 수단(21, 22, 23)을 마련한 것이다.
박형 표시 장치, 스탠드부, 캠부, 수평 회전축, 표시부

Description

박형 표시 장치{THIN-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박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화면의 종횡 상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 박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화면을 가로로 길게 한 상태로부터 세로로 길게 한 상태로 절환하는 기구가 각종 제안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338363호 공보에는 표시부를 회전시키는 동작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조합한 동작을 행하는 기구에 의해, 표시부의 회전 기구와 상하 이동 기구를 개별로 갖지 않는 간단한 구조의 화면 종횡 절환 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부와 스탠드 사이에 링크 막대라 불리우는 막대형의 접속용 부재를 배치하여 링크의 상단부[회전축부(A)]를 스탠드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그 회전각을 유지 가능하게 부착하고, 링크의 하단부[회전축부(B)]를 표시부의 화면 중심으로부터 치우쳐 개재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그 회전각을 유지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표시 화면을 가로로 길게 한 상태에서, 우선 처음에 표시부를 회전축부(B)를 중심으로 하여 각도(α)만큼 회전시킨 후, 계속해서 회전축부(A)를 중심으로 하여 각도(β)만큼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화면을 세로로 긴 상태로 절환하 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박형 표시 장치의 화면 종횡 절환 기구에 있어서는, 회전축부(A, B)에 의한 2종류의 회전 운동을 경유하여 표시 화면의 종횡을 절환하고 있으므로, 절환 동작이 한 동작으로 완결되지 않고, 특히 대화면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표시 화면의 종횡 절환에 수고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회전 중심이 화면 중심부 부근이 아니므로, 이 때의 표시부의 회전 모멘트가 표시부의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한 회전 모멘트보다도 커져 회전 용이가 손상될 가능성도 있다. 그 결과, 표시 화면의 종횡 절환 동작의 프로세스가 매우 불안정해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부의 가로로 긴 상태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에의 천이를 한 동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표시부의 대략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의 회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박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박형의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표시부의 배면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대해 적어도 90°회전 가능하도록 보유 지지하는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박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진 동작시키는 병진 동작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이 상기 스탠드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이 상기 수평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직 승강축과, 상기 수직 승강축에 접촉하고,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승강축에 상기 캠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 또는 상기 수평 회전축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승강축을 상하 이동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의 회전 동작에 부하를 부여하는 압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이 상기 수평 회전축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수평 회전축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 또는 상기 수평 회전축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이 상기 표시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이 상기 표시부 배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와, 상기 수평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직 승강축과, 상기 스탠드부에 마련되어 상기 표시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상기 돌기부의 궤적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수직 승강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레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가 직선 형상 또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와 결합하는 파형 형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기부가 상기 레일부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 혹은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에 상기 돌 기부의 상기 레일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 혹은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에 상기 레일부와 상기 돌기부의 마찰을 억제하기 위한 천소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수직 승강축의 급격한 상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 혹은 상기 돌기부에 상기 돌기부의 급격한 회전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압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1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캠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2의 (a)는 정면도, 도2의 (b)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3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 도3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4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4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캠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5의 (a)는 정면도, 도5의 (b)는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6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 도6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의 (a)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7의 (b)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캠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8의 (a)는 정면도, 도8의 (b)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9의 (a)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 도9의 (b)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0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10의 (b)는 상태 천이 도중을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10의 (c)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레일부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a)에 있어서의 B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2의 (a)는 주요 부 정면도, 도12의 (b)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3 모두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1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캠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2의 (a)는 정면도, 도2의 (b)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3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 도3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박형의 표시부(1)와, 상기 표시부(1)를 지지하는 스탠드부(2)와, 상기 표시부(1)의 배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1)를 상기 스탠드부(2)에 대해 적어도 90°회전 가능하도록 보유 지지하는 수평 회전축(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탠드부(2)에는 상기 수평 회전축(3)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1)를 상하 방향으로 병진 동작시키는 병진 동작 수단으로서, 상기 수평 회전축(3)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직 승강축(21)과, 상기 수직 승강축(21)의 상단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3)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22)와, 상기 수직 승강축(21)의 하단부면을 상방[캠부(22)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 등의 압박부(23)와, 수평 회전축(3)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캠부(22)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동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직 승강축(21), 캠부(22), 압박부(23)의 각각은 스탠드부(2)의 스탠드 외피부(25)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수평 회전축(3)은 표시부(1)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여 수직 승강축(21)에 대해서는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캠부(22)의 회전 운동은 연동부(24)를 거쳐서 이 수평 회전축(3)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캠부(2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승강축(21)의 상단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221)와, 외주면에 마련된 볼록부(222)와, 연동부(24)를 거쳐서 수평 회전축(3)과 연동하기 위한 회전축(2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3)은 스탠드 외피부(25)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 외피부(25)에 부착되어 있다.
접촉부(221)는 캠부(22)의 회전각에 따라서 수직 승강축(21)과의 접촉 위치가 상하로 변동하는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따라서 표시부(1)의 회전각에 수반하여 수직 승강축(2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캠부(22)의 외주면의 볼록부(22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승강축(21)의 상단부면에 마련된 오목부(가이드부)(211)에 결합함으로써 수평 회전축(3)과 캠부(22)의 회전축(223)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일련의 회전 운동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이 가이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캠부(22)와 수직 승강축(21)의 요철 관계는 적절하게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캠부(22)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캠부(22)의 외주면의 볼록부(222)가 결합하는 오목부(가이드부)를, 예를 들어 스탠드 외피부(25)의 측면 등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요철 관계는 적절하게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연동부(24)는 수평 회전축(3)과 캠부(22)의 회전 운동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발휘한다. 예를 들어 링형상의 고무 소재를 채용하여 늘어짐이 생기지 않도록 서로의 축을 구속한다. 여기서, 신축 가능한 고무 소재를 채용하는 것은 회전 운동에 의한 서로의 축의 거리가 변동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압박부(23)는 수직 승강축(21) 중 적어도 상측 혹은 하측에 배치한다. 이에 의해, 상기 표시부(1)의 회전 동작에 적절한 부하를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스탠드부(2)의 내부에 있는 상하 방향의 놀이의 공간을 폐지할 수 있다.
또한, 캠부(22)의 접촉부(221)가 수직 승강축(21)을 밀어 내리는 힘이나 수직 승강축(21)의 중력 등의 각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응력 사이에서 밸런스를 적당하게 취함으로써 수직 승강축(21)의 높이 위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압박부(23)를 수직 승강축(21)의 상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동시에 표시부(1)를 들어올리는 때에 있어서, 스탠드 외피부(25) 등과의 충돌 방지의 역할도 발휘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의 회전각이 필요 이상의 각도 영역보다 커지지 않도록 캠부(22)에는 계지 부재(224)를 설치하고 있고, 소정의 회전각에서 스탠드부(2)의 회전 규제부(251)와 계지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표시부(1)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이 계지 부재는 회전 부재[표시부(1), 수평 회전축(3) 등]와 회전 운동을 하지 않는 부재[수직 승강축(21), 스탠드 외피부(25) 등] 사이이면, 특별히 설치하는 부위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도1의 (a)의 표시 화면을 가로로 길게 한 상태로부터 도1의 (b)의 표시 화면을 세로로 길게 한 상태로 절환하는 경우, 표시부(1)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표시부(1)의 배면 중심부에 고정 설치된 수평 회전축(3)이 회전하고, 연동부(24)에 의해 수평 회전축(3)에 연결되어 있는 캠부(22)도 연동하여 회전한다.
캠부(22)의 회전에 수반하여 접촉부(221)의 캠 형상에 따라서 수직 승강축(21)이 상하 승강 운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수직 승강축(21)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 회전축(3)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수평 회전축(3)이 고정 설치된 표시부(1)는 화면 상태 절환 동작 중에 설치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태 절환 전후에서 하단부면이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회전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부(1)의 가로로 긴 상태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에의 천이가 한 동작만으로 가능해지고, 또한 표시부(1)의 대략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1)의 회전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중력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회전 동작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4 내지 도6 모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4는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4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4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캠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5의 (a)는 정면도, 도5의 (b)는 측면도이다. 도6의 (a) 및 도6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6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 도6의 (b)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는, 도4의 (a) 및 도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부(2)의 스탠드 외피부(25) 내부에 상부로부터 차례로 압박부(23), 수직 승강축(21), 캠부(22)의 각각을 배치하고 있고, 도1의 (a) 및 도1의 (b) 모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는 반대 배치의 관계에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평 회전축(3)과 캠부(22)의 회전축(223)은 연동부(24)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캠부(22)의 각종 기능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을 대부분 원용할 수 있지만, 여기서는 회전축(223)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탠드 외피부(25)에 부착되어 있다. 즉, 접촉부(221)에 의한 접촉 부위를 수직 승강축(21)과 스탠드부(2)의 2군데에 마련함으로써, 수직 승강축(21)의 상하 변동 영역은 1군데 접촉 시의 변동 영역에 대해 두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압박부(23)는 수직 승강축(21)의 상방[캠부(22)와 반대측]에 설치하고, 스탠드 외피부(25)의 천정면에 적당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표시부(1)를 작용점으로 하여 급격히 들어 올려진 경우의 수직 승강축(21)과 스탠드 외피부(25)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발휘하거나, 압박부(23)의 적절한 압박력에 의해 진동시의 캠부(22)나 수직 상승축(21)과 스탠드 외피부(25) 사이의 진동음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 도6에 있어서, 캠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볼록부(222)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직 승강축(21)의 오목부(가이드부)(211)에 결합하는 동시에, 스탠드부(2)의 오목부(가이드부)(26)에도 결합함으로써 캠부(22)의 회전 동작을 안정화하고 있다. 또한, 캠부(22)의 외주면에 설치된 계지 부재(224)가 스탠드부(2)의 오목부(26) 내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27)와 접촉함으로써 캠부(22)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탠드부(2)에 병진 동작 수단[수직 승강축(21), 캠부(22), 압박부(23)]을 마련함으로써 표시부(1)에 특별한 설계를 더하는 일 없이 표시부(1)의 회전 동작에 따라서 수평 회전축(3)의 높이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화면 상태 절환 동작 중에 표시부(1)가 설치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태 절환 전후에서 표시부(1)의 하단부면이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표시부(1)를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표시부(1)의 가로로 긴 상태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에의 천이가 한 동작만으로 가능하고, 또한 표시부(1)의 대략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1)의 회전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중력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7 내지 도9 모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7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7의 (a)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7의 (b)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캠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8의 (a)는 정면도, 도8의 (b)는 측면도이다. 도9는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9의 (a)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 도9의 (b)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는 달리 병진 동작 수단으로서 수평 회전축(3)에 캠부(31)를 설치하고, 표시부(1)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1)의 배면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평 회전축(3) 및 캠부(31)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8, 도9에 있어서, 캠부(31)에는 스탠드부(2)의 상단부면에 접촉하는 접촉 부(311)와, 외주면에 마련된 볼록부(312)와, 스탠드부(2)에 계지하여 캠부(31)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계지 부재(313)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311)는 항상 스탠드부(2)와 접촉하고 있고, 캠부(31)의 회전각에 따라서 접촉하는 높이 위치가 변화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1)의 회전에 수반하여 수평 회전축(3) 및 캠부(31)가 회전하고, 이 캠부(31)의 접촉부(311)의 캠 형상에 따라서 수평 회전축(3)이 상하 방향으로 변동한다. 여기서는 수평 회전축(3)이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스탠드 외피부(25)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캠부(31)의 볼록부(312)는 스탠드부(2)의 오목부(가이드부)(211)에 결합함으로서 회전 동작시의 회전축 변동의 방지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캠부(31)의 계지 부재(313)는 스탠드부(2)의 스탠드 외피부(25)에 설치된 회전 규제부(251)와의 접촉 위치에서 캠부(31)의 회전 동작을 정지하여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회전축(3)에 캠부(31)를 설치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표시부(1)에 새로운 설계를 더하는 일 없이 표시부(1)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수평 회전축(3)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부(1)를 그 회전각에 따라서 적당한 높이 위치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화면 상태 절환 동작 중에 표시부(1)가 설치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태 절환 전후에서 표시부(1)의 하단부면이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표시부(1)를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표시부(1)의 가로로 긴 상 태와 세로로 긴 상태의 상호의 천이가 한 동작만으로 가능하고, 또한 표시부(1)의 대략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1)의 회전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중력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의 것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고, 비용의 삭감도 기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10 내지 도12 모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10은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0의 (a)는 가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10의 (b)는 상태 천이 도중을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 도10의 (c)는 세로로 긴 화면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레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a)에 있어서의 B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12의 (a)는 주요부 정면도, 도12의 (b)는 주요부측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진 동작 수단으로서 표시부(1)의 적당한 위치에 돌기부(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스탠드부(2)에 표시부(1)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이 돌기부(11)를 유도하기 위한 레일부(28)와, 표시부(1)의 배면 중심부에 고정 설치된 수평 회전축(3)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수직 승강축(21)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이유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수직 승강축(21)의 상방 혹은 하방에 압박부를 설치해도 좋고, 여기서는 수직 승강축(21)의 하방에 압박부(2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직 승강축(21), 압박부(23)는 스탠드 외피부(25)에 수납되어 있고, 레일부(28)는 이 스탠드 외피부(25)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표시부(1)의 회전 동작 과정에서 돌기부(11)가 레일부(28)와의 사이에서 서로 미치는 힘을 이용하여 수직 승강축(21)을 상하 방향으로 변동시키고, 돌기부(11)가 레일 내주부(281)와 접촉하면서 레일 상을 이동해 간다. 혹은 반대로, 표시부(1)를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레일 내주부(281)와 돌기부(11)가 접촉하여 서로 힘을 미치면서 회전 동작을 하고, 돌기부(11)가 레일 내주부(281)와 접촉하면서 레일 상을 이동해 간다. 이 기구를 효율적으로 기능시키기 위해, 또한 이하와 같은 각종 구성을 설치하고 있다.
레일부(28)는 돌기부(11)와 접촉하는 내주부(281)를 갖고 있지만, 이 레일 내주부(281)의 형상은 직선 형상 또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종래의 단순한 회전 동작에서는 회전 중심 부분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정 포인트로 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10의 (a)와 마찬가지로 돌기부(11)가 배면으로부터 보아 좌측 하방에 위치하면 회전 동작에 의해 이 돌기부(11)가 그리는 궤적은 하부 볼록형의 원호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레일부(28)를 직선 형상 또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표시부(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본래 하부 볼록 형상을 그리는 돌기부(11)의 궤적은 레일부(28)에 의해 강제적으로 직선 형상 또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교정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수직 승강축(21)에 의해 상하 방향만 가동 영역을 갖는 수평 회전축(3)은 수평 회전축(3)이 돌기부(11)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므로, 상승하여 최고 위치를 통과하고 하강하는 궤적을 그린다.
즉, 도10의 (a)의 상태로부터 도10의 (b)의 상태로, 혹은 도10의 (b)의 상태로부터 도10의 (a)의 상태로의 이동에는 표시부 전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어느 정도의 위치 에너지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반대로 도10의 (a)의 상태 및 도10의 (b)의 상태를 각각 의도하지 않은 편리한 회전 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 상태로서 보유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레일 내주부(281)의 형상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레일 내주면을 파형 형상으로 함으로써, 돌기부(11)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여 회전 동작시의 제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레일 내주부(281)의 단면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오목 형상을 갖는 돌기부(11)와의 접촉부(282) 및 돌기부(11)의 이동을 안내하는 단면 볼록 형상의 가이드부(283)를 설치해도 좋다. 혹은, 돌기부(11)에는 레일 진행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111)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돌기부(11) 자체에 회전 가능한 회전체(111)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돌기부(11)는 레일부(28)의 내주면 상에서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한, 레일 내주부(281) 혹은 회전체(111)의 외주부에는, 예를 들어 펠트와 같은 방음천 소재를 이용한 방음층(284, 112)을 설치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레일부(28)와 돌기부(11) 사이의 마모를 방지하여 돌기부(11)의 회전체(111)의 회전 동작시에 생기는 접촉음을 저감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탠드부(2)의 수직 승강축(21)의 하방에 설치한 압박부(23) 외에 레일부(28)의 양단부에도 스프링 부재 등의 압박부(285, 286)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압박부(23)는 수직 승강축(21)에, 압박부(285, 286)는 돌기부(11)에 각각 접촉하여 상하 방향의 병진 이동과 회전 동작의 과정에서의 급격한 이동에 대한 충격 흡수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압박부(285, 286)는 돌기부(11)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압박부(23)를 수직 승강축(21)의 상방 및 하방의 양측에 더욱 배치하면 수직 승강축(21)의 동작 안정성은 더욱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부(1)와 스탠드부(2)의 양쪽에 병진 동작 수단을 마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평 회전축(3)과 돌기부(1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므로, 표시부(1)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돌기부(11)가 레일부(28) 상을 이동하고, 그 결과, 수직 승강축(21)이 상하 방향으로 변동하여 수직 승강축(21)에 설치된 수평 회전축(3)도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의 회전 동작에 따라서 표시부(1)의 높이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면 상태 절환 동작 중에 표시부(1)가 설치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또한 상태 절환 전후에서 표시부(1)의 하단부면이 대략 동일 높이가 되도록 표시부(1)를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표시부(1)의 가로로 긴 상태로부터 세로로 긴 상태에의 천이가 한 동작만으로 가능하고, 또한 표시부(1)의 대략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시부(1)의 회전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중력에 의한 회전 모멘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회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표시부(1)가 자신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는 동작을 기구에 의해 실현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회전 동작과 병진 이동 동작을 연동시키는 수단으로서, 기구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이용한 전동식 제어에 의해 실현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가동 범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박형 표시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표시 화면의 가로로 긴 상태와 세로로 긴 상태의 상호의 천이가 한 동작만으로 가능해진다. 또한, 수평 회전축을 표시부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회전 모멘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회전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부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표시 화면의 세로로 긴 상태와 가로 긴 상태로 표시부를 가장 적절한 높이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직사각형의 표시면을 갖는 박형의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표시부의 배면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상기 스탠드부에 대해 적어도 90°회전 가능하도록 보유 지지하는 수평 회전축을 구비한 박형 표시 장치이며,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부를 상하 방향으로 병진 동작시키는 병진 동작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은 상기 스탠드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은 상기 수평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직 승강축과,
    상기 수직 승강축에 접촉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승강축에 상기 캠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 또는 상기 수평 회전축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의 내부에 상기 수직 승강축을 상하 이동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표시부의 회전 동작에 부하를 부여하는 압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은 상기 수평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부에 접촉하고, 상기 수평 회전축으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캠부 또는 상기 수평 회전축의 일부와 접촉하여 상기 수평 회전축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 동작 수단은 상기 표시부 배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와,
    상기 수평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직 승강축과,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상기 돌기부의 궤적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수직 승강축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는 레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직선 형상 또는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와 결합하는 파형 형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레일부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레일부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마련하고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의 내주면 혹은 상기 돌기부의 외주면에 상기 레일부와 상기 돌기부의 마찰을 억제하기 위한 천소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수직 승강축의 급격한 상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 혹은 상기 돌기부에 상기 돌기부의 급격한 회전 동작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압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표시 장치.
KR1020047019891A 2002-08-22 2003-08-08 박형 표시 장치 KR100653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9891A KR100653286B1 (ko) 2002-08-22 2003-08-08 박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41571 2002-08-22
KR1020047019891A KR100653286B1 (ko) 2002-08-22 2003-08-08 박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970A KR20050020970A (ko) 2005-03-04
KR100653286B1 true KR100653286B1 (ko) 2006-12-05

Family

ID=4175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91A KR100653286B1 (ko) 2002-08-22 2003-08-08 박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2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021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73600A (ko) * 2018-12-14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021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0148B1 (ko) * 2017-08-16 2024-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73600A (ko) * 2018-12-14 2020-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608319B1 (ko) 2018-12-14 2023-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패널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970A (ko) 200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5547B2 (ja) 薄型表示装置
JP4741846B2 (ja) 薄型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00553972B1 (ko) 디스플레이의 승강조정장치
US20060175512A1 (en) Adjustable lift support apparatus
KR20060016235A (ko) 평판형 모니터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KR100653286B1 (ko) 박형 표시 장치
JP2004302491A (ja) 液晶表示装置
JPH11239986A (ja) 昇降作業台
CN110113999B (zh) 浮动机构及超声诊断仪
JP200615601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CN220186434U (zh) 一种用于医疗设备的升降机构及医疗设备
KR200356157Y1 (ko) 박막형 디스플레이장치의 힌지구조
KR20030070414A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받침대 어셈블리
CN115921753B (zh) 一种旋铆压头机构及触点旋铆装置
JPH10108741A (ja) 昇降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昇降ユニット
KR102495126B1 (ko) 태양광 추적 시스템
KR200411003Y1 (ko) 의료용 진료대
JP2016131640A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KR940002565Y1 (ko) T.v 수상기의 틸트장치
JPS61162495A (ja) 上下動装置
JP2005036440A (ja) 軌道分岐装置の接続装置
KR0122981Y1 (ko) 전자기기의 화면 각도조절장치
JPH0960699A (ja) 駆動機構
CN116246539A (zh) 柔性屏折叠组件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