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600A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패널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73600A KR20200073600A KR1020180161944A KR20180161944A KR20200073600A KR 20200073600 A KR20200073600 A KR 20200073600A KR 1020180161944 A KR1020180161944 A KR 1020180161944A KR 20180161944 A KR20180161944 A KR 20180161944A KR 20200073600 A KR20200073600 A KR 202000736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module
- frame portion
- panel display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TWRSWRBSVXQPI-UHFFFAOYSA-N alumanylidynearsane;gallanylidynearsane Chemical compound [As]#[Al].[As]#[Ga] FTWRSWRBSVXQ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BRZTFJDHDCESZ-UHFFFAOYSA-N AsGa Chemical compound [As]#[Ga] JBRZTFJDHDCE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MASRVWKEDWRBT-UHFFFAOYSA-N Gall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Ga]#N JMASRVWKEDWR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ZXMRANICFIONG-UHFFFAOYSA-N gallium phosphide Chemical compound [Ga]#P HZXMRANICFION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연결된 다중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조정 및 회전이 가능한 고정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으로 각각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 그리고 제 1 및 제 2 프레임부 사이로 모듈플레이트가 제 1 및 제 2 조립모듈을 통해 조립 및 체결되는 고정유닛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손쉽게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고정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평면상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하며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으로 각각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 그리고 제 1 및 제 2 프레임부 사이로 모듈플레이트가 제 1 및 제 2 조립모듈을 통해 조립 및 체결되는 고정유닛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손쉽게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고정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평면상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하며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연결된 다중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조정 및 회전이 가능한 고정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디스플레이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발광효율이 보다 높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μ-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칩 크기가 5μm ~ 100μm 수준인 초소형 발광다이오드를 다수의 화소 각각에 배치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적은 전력 소모, 긴 사용 수명, 낮은 원가, 높은 밝기, 넓은 시야각, 그리고 가시 거리가 멀다는 장점을 인하여 각종 다양한 응용 분야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어,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고, 발전도 가장 빠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이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라 함)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디오월(video wall)과 같이 하나의 이미지를 대화면(대략 100인치)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를 조합한 이른바 "Tiled" 형태의 다중패널 표시장치(multi-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다중패널 표시장치는 다수개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하나씩 거치 및 고정시킴으로써 형성하는데, 각각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시켜 하나의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기 위해서 현재로서는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배면으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가하게 된다.
또한, 다수개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를 각각 하나씩 벽면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로서는 이러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들의 위치에 대한 조정 또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서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공정 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중패널 표시장치에서 각각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에 따른 미스얼라인에 의하여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들 사이 경계영역의 심(seam)이 인식되어,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위치 조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명확하게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한 체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 간의 부딪힘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결국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파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패널 디스플레이장치를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또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각각의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장치의 위치 또한 조정할 수 있는 고정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지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용이하게 거치 및 고정시킬수 있으면서도, 위치 및 경사각도가 미세 조정되도록 하여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지 않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웃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충돌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되는 구조물과, 상기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구조물과 조립 및 체결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고정되어 개구부를 갖는 사각테 형상의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조물과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 2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제 1 가장자리 사이로 위치하는 제 1 모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면적 보다 작아,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 사이로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 사이로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2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제 1-1 조립모듈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1 방향으로 상기 제 1 간격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 1-1 조립모듈의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고정되며, 상기 제 1-1 조립모듈에는 제 1 레일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모듈레일이 상기 제 1 레일홈에 대응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에는 가장자리에 레일마운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 사이에는 상기 레일마운팅부에 의한 모듈부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상기 모듈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부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레일마운팅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프레임부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개구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제 2-1 조립모듈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의 일단은 상기 제 2 프레임부와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의 타단은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와 조립 및 체결된다.
또한, 상기 레일마운팅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에는 상기 레일돌기가 끼움 삽입되는 제 2 레일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 2-1 조립모듈은 상기 레일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간격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의 타단에는 각각 고정홀이 구비된 한쌍의 고정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홀에 끼움 삽입되는 돌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체결부를 통해 서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 2 가장자리에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고정되는 제 1-2 조립모듈과, 상기 1-2 조립모듈과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 모듈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모듈플레이트가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2 조립모듈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프레임부는 상기 제 2 모듈플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 2-2 조립모듈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수직한 제 3 가장자리에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고정되는 제 1-3 조립모듈과, 상기 1-3 조립모듈과 조립 및 체결되는 제 3 모듈플레이트와, 상기 제 3 모듈플레이트가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3 조립모듈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부는 상기 제 3 모듈플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 2-3 조립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구조물에는 월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에는 상기 월브라켓과 조립 및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면의 원주를 따라 위치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본체로 끼움 삽입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을 다라 배치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으로 고정유닛을 위치시키고, 벽면에 고정유닛의 결합부와 조립체결되는 월브라켓을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손쉽게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어, 공정 시간 단축 및 별도의 고정기구물 삭제를 통해 공정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고정유닛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미스 얼라인(mis-align)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들 사이 경계영역의 심(seam)이 인식되어,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얼라인 공정에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얼라인 공정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함에도 틸트 공차에 의해 정렬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을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평면상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확하게 제 위치에서 정렬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평면도.
도 3a ~ 3b는 고정시스템의 벽면에 위치하는 월브라켓에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 5b는 제 1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a ~ 6b는 제 2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7a ~ 7b는 제 1 및 제 2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모두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4a의 평면도.
도 9a는 틸트 공차에 의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렬되지 않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확하게 정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평면도.
도 3a ~ 3b는 고정시스템의 벽면에 위치하는 월브라켓에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 5b는 제 1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a ~ 6b는 제 2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7a ~ 7b는 제 1 및 제 2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모두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4a의 평면도.
도 9a는 틸트 공차에 의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렬되지 않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확하게 정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110)가 하나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11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패널(12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또는 마이크로LED(μ-LED) 디스플레이패널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저전력화,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패널은 칩 크기가 5μm ~ 100μm 수준인 초소형 발광다이오드를 다수의 화소 각각에 배치하여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광원인 마이크로LED는 적(red), 녹(green), 청(blue) 삼원색 요소에 따라 다양한 기판에서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갈륨비소(GaAs), 사파이어(sapphire), 또는 실리콘(Si) 기판 위에 발광 컬러에 따라 질화갈륨(GaN), 인화갈륨(GaP), 알루미늄 갈륨비소(AlGaAs) 등의 무기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의 하부로 백커버와 같은 하우징이 위치하는데, 하우징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하우징 상에 안착되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을 보호함과 동시에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 전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광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은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한 상태에서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고 내부에 장착된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계조건에 따라 단일 몸체 또는 다수의 몸체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유닛과,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하기 위한 구동보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건물의 내/외벽면 등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벽면(W)에 하나씩 고정됨으로써 "Tiled" 형태로 배치되어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를 이루게 되는데,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비디오월(video wall)과 같이 하나의 이미지를 대략 100인치 이상의 대화면으로 구현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10) 각각이 별도의 서로 다른 영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손쉽게 벽면(W)에 고정 및 거치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시스템(200, 도 2 참조)에 의한 것으로, 고정시스템(200, 도 2 참조)은 각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10, 도 2 참조)과, 고정유닛(210, 도 2 참조)과 조립 및 체결되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고정 및 거치시키기 위한 월브라켓(250, 도 3a참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100)는 이러한 고정시스템(200, 도 2 참조)을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벽면(W)에 거치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각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위치 및 회전 조정 또한 가능하다.
- 제 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평면도이며, 도 3a ~ 3b는 고정시스템의 벽면에 위치하는 월브라켓에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이 조립 체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 즉,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도 1b의 111)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배면에 고정유닛(200)이 위치하는데, 고정유닛(200)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부(210)와, 제 1 프레임부(210)와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 프레임부(220) 그리고 제 2 프레임부(220)와 조립 및 체결되며 벽면(W)에 고정되는 제 3 프레임부(230)로 나뉘어 정의된다.
이러한 고정유닛(20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유닛(200)의 제 1 프레임부(210)는 제 1 개구부(212)를 갖는 사각테 형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하우징의 배면에 완전히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 1 프레임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 1 체결부(213)가 위치하여, 제 1 체결부(213)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하우징과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제 1 프레임부(210)의 제 1 개구부(212)에는 제 2 개구부(222)를 갖는 사각테 형상의 제 2 프레임부(220)가 위치하는데, 제 2 프레임부(220)는 제 1 개구부(212)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프레임부(220)와 제 1 프레임부(210) 사이에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제 1 간격(G1)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프레임부(210)와 제 2 프레임부(220)는 제 2 체결부(223)를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데, 제 2 체결부(223)는 제 2 프레임부(220)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221a, 221b)를 따라 각각 적어도 1개가 구비된다.
이때 제 2 체결부(223)는 일단이 제 1 프레임부(210)와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어 위치하며, 제 2 체결부(223)의 타단에는 제 1 레일홈(225)이 구비되며, 제 2 프레임부(220)에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221a, 2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레일홈(225)에 끼움 삽입되는 제 1 레일돌기(227)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제 2 체결부(223)의 제 1 레일홈(225)에 제 2 프레임부(220)의 제 1 레일돌기(227)가 끼움 삽입되면, 제 2 프레임부(220)는 제 1 레일돌기(2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 1 개구부(212) 내에서 제 1 간격(G1)에 대응하여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2 프레임부(220)의 제 2 개구부(222) 내에는 판(plate) 형상의 제 3 프레임부(230)가 위치하는데, 제 3 프레임부(230) 역시 제 2 개구부(222)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프레임부(220)와 제 3 프레임부(230) 사이에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제 2 간격(G2)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프레임부(220)와 제 3 프레임부(230)는 제 3 체결부(233)를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데, 제 3 체결부(233)는 제 2 프레임부(220)의 서로 마주보는 제 3 및 제 4 가장자리(221c, 221d)를 따라 각각 적어도 1개가 구비된다.
이때, 제 3 체결부(233)는 일단이 제 2 프레임부(220)의 제 3 및 제 4 가장자리(221c, 221d)와 각각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어 위치하며, 제 3 체결부(233)의 타단에는 제 2 레일홈(235)이 구비되며, 제 3 프레임부(230)에는 제 3 및 제 4 가장자리(231c, 231d)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2 레일홈(235)에 끼움 삽입되는 제 2 레일돌기(237)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제 3 체결부(233)의 제 2 레일홈(235)에 제 3 프레임부(230)의 제 2 레일돌기(237)가 끼움 삽입되면, 제 3 프레임부(230)는 제 2 레일돌기(237)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 2 개구부(222) 내에서 제 2 간격(G2)에 대응하여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 3 프레임부(230)의 네 모서리에는 결합부(240)가 위치하는데, 결합부(240)는 벽면(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250)과 조립 체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고정 및 거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 3a ~ 3b를 참조하여 결합부(240)와 월브라켓(250)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 모습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결합부(240)는 원통의 실린더형상의 본체(241)와, 본체(241)의 내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24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벽면(W)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월브라켓(250)은 결합부(240)의 본체(241)에 끼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가이드(251)와, 가이드(251)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고정돌기(253)로 구성된다.
고정돌기(253)는 가이드(25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볼(ball) 형상으로 가이드(25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부(240)의 본체(241) 내부로 월브라켓(250)의 가이드(251)가 끼움 삽입되면, 결합부(240)의 결합홈(243)에 결합되어, 결합부(240)와 월브라켓(25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스토퍼(stopper)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240)의 본체(241)의 원통형 내측 공간의 지름은 월브라켓(250)의 가이드부(251)의 외측 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결합부(240)와 월브라켓(250)의 결합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부(240)의 본체(241)가 원통의 실린더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각형의 실린더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본체(241)에 삽입되는 월브라켓(250)의 가이드(251) 역시 결합부(240)의 본체(241)와 마찬가지로 다각형의 실린더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는,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별도의 기구물 예를 들면 손잡이가 구비된 실리콘패드로 이루어지는 흡착기구 등을 통해 고정한 상태로, 벽면(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250)의 가이드(251)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00)의 결합부(240)의 본체(241)에 끼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고정 및 거치시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면(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250)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00)의 결합부(240)의 단순 끼움 삽입 공정만으로도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를 구현할 수 있어, 공정 시간 단축 및 별도의 고정기구물 삭제를 통해 공정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W)에 고정 및 거치하고 난 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제 2 프레임부(22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게 되며, 또한 제 3 프레임부(23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미스 얼라인(mis-align)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10)들 사이 경계영역의 심(seam)이 인식되어,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얼라인 공정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진행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얼라인 공정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200)의 결합부(240)는 자력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가 구비된 자력기구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각각 고정하여,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잡이가 구비된 자력기구를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부(240)와 자력에 의해 부착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10)와 손잡이가 구비된 자력기구가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를 구현하는 것이다.
- 제 2 실시예 -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이루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다른 고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 ~ 5b는 제 1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6a ~ 6b는 제 2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a ~ 7b는 제 1 및 제 2 프레임부와 모듈플레이트가 모두 조립 및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a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a는 틸트 공차에 의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렬되지 않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의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정확하게 정렬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앞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제 2 실시예에서 전술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내용만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도 4a ~ 4b와 도 5a ~ 5b, 도 6a ~ 6b, 도 7a ~ 7b 그리고 도 8에서 정의된 배면이란, 고정유닛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우징과 마주보지 않는 그 반대측 면으로, 디스플레이장치를 벽면에 고정할 때 고정유닛이 벽면과 마주보는 일면을 의미한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의 배면으로 백커버와 같은 하우징(113)이 위치하며, 하우징(113)의 배면으로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캐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와 같은 연결부재(116)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8)이 젖혀져 밀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은 인쇄회로기판(118)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소자들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 받게 된다.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 즉,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을 수용하는 하우징(113)의 배면에 고정유닛(300)이 위치하는데, 고정유닛(300)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하우징(113)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부(310)와, 제 1 프레임부(310)와 조립 및 체결되어, 벽면(도 3b의 W)에 고정되는 제 2 프레임부(320)로 나뉘어 정의된다.
이러한 고정유닛(300)의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유닛(300)의 제 1 프레임부(310)는 개구부(313)를 갖는 사각테 형상으로 제 1 내지 제 4 가장자리(311a, 311b, 311c, 311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1 프레임부(31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하우징(113)의 배면에 완전히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 1 프레임부(31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체결부(317)가 위치하여, 체결부(317)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하우징(113)과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제 1 프레임부(310)의 개구부(313)에는 판(plate) 형상의 제 2 프레임부(320)가 위치하는데, 제 2 프레임부(320)는 개구부(313) 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 2 프레임부(320)와 제 1 프레임부(310) 사이에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제 1 간격(G1)이 존재하게 되며, 또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는 제 2 간격(G2)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1 내지 제 3 가장자리(311a, 311b, 311c)에는 개구부(313)로부터 연장되는 개구홀(315)이 각각 구비되며, 개구부(313)에 위치하는 제 2 프레임부(320)의 제 1 내지 제 3 가장자리(321a, 321b, 321c)에는 각각의 개구홀(315)에 대응하는 레일마운팅부(323)가 각각 구비된다.
레일마운팅부(323)에 의해 제 2 프레임부(320)의 제 1 내지 제 3 가장자리(321a, 321b, 321c)는 레일마운팅부(323)의 일측으로 일부가 떼어져 나간 챔퍼(chamfer) 형상을 이루게 되므로,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1 내지 제 3 가장자리(311a, 311b, 311c)와 2 프레임부(320)의 제 1 내지 제 3 가장자리(321a, 321b, 321c) 사이에는 모듈부(A)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 2 프레임부(320)의 네 모서리에는 결합부(330)가 위치하는데, 결합부(330)는 벽면(도 3b의 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도 3a의 250)과 조립 체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부(310)와 제 2 프레임부(320) 사이에서, 제 2 프레임부(320)에 구비된 레일마운팅부(323)에 의해 정의되는 모듈부(A)에는 제 1 프레임부(310)와 제 2 프레임부(320)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311a, 311b, 311c, 321a, 321b, 321c)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을 갖는 바(bar) 형상의 모듈플레이트(325)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모듈플레이트(325)는 각각 제 1 조립모듈(319)을 통해 제 1 프레임부(310)와 서로 조립 및 체결되며, 또한 모듈플레이트(325)는 각각 제 2 조립모듈(329)을 통해 제 2 프레임부(320)와 서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된다.
즉, 제 1 프레임부(310)와 제 2 프레임부(320)는 모듈플레이트(325)를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모듈플레이트(325)는 각각 바(bar) 형상으로 배면에는 모듈레일(325a)이 돌출 구비되는데, 모듈레일(325a)은 각각의 모듈플레이트(325)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면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듈플레이트(325)의 길이방향의 일단(B)에는 배면과, 배면에 대응하는 상면에 각각 원기둥 형상의 돌출돌기(325b)가 돌출 구비된다.
이러한 모듈플레이트(325)는 제 1 조립모듈(319)을 통해 제 1 프레임부(310)와 조립 및 체결되는데, 여기서,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제 1 프레임부(310)와 모듈플레이트(325)의 각각의 조립 및 체결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프레임부(310)와 모듈플레이트(325)를 각각 조립 및 체결하는 제 1 조립모듈(319)은 제 1 프레임부(310)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1a, 311b)와,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1a, 311b)에 수직한 제 3 가장자리(311c) 내측 배면으로 각각 적어도 1개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조립모듈(319)의 일단은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1 내지 제 3 가장자리(311a, 311b, 311c) 내측 배면에 각각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러한 제 1 조립모듈(319)에는 제 1 레일홈(319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플레이트(325)의 각각의 배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모듈레일(325a)은 제 1 조립모듈(319)의 제 1 레일홈(319a)에 각각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모듈플레이트(325)의 모듈레일(325a)이 제 1 조립모듈(319)의 제 1 레일홈(319a)으로 끼움 삽입되면, 제 1 프레임부(310)는 모듈플레이트(325)의 각 모듈레일(325a)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상하 또는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2 프레임부(320)의 레일마운팅부(323)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는 바(bar) 형상의 제 1 및 제 2 모듈플레이트(325-1, 325-2)는 제 1 프레임부(310)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1a, 311b)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위치함에 따라, 제 1 및 제 2 모듈플레이트(325-1, 325-2)와 조립 체결되는 제 1-1 및 제 1-2 조립모듈(319-1, 319-2)이 고정된 제 1 프레임부(310)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제 1 및 제 2 모듈플레이트(325-1, 32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3 가장자리(311c)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길이방향을 갖도록 위치하는 제 3 모듈플레이트(325-3)와 조립 체결되는 제 1-3 조립모듈(319-3)이 고정된 제 1 프레임부(310)는 또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제 3 모듈플레이트(3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듈레일(325a)의 외측으로는 레일볼(미도시)이 구비되어, 모듈레일(325a)과 제 1 레일홈(319a)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레일볼(미도시)에 의해 제 1 프레임부(310)가 모듈플레이트(325)의 모듈레일(32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조립모듈(319)의 제 1 레일홈(319a)을 통해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듈레일(325a)과 제 1 레일홈(319a)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a ~ 6b를 참조하여 제 2 프레임부(320)와 모듈플레이트(325)가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 구조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2 프레임부(320)와 모듈플레이트(325)는 각각 배면으로 위치하는 제 2 조립모듈(329)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는데, 제 2 조립모듈(329)의 일단은 제 2 프레임부(320)의 각 레일마운팅부(323)의 배면에, 제 2 프레임부(320)의 가장자리(321a, 321b, 321c)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 2 조립모듈(329)에는 제 2 레일홈(329a)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 2 프레임부(320)의 레일마운팅부(323)에는 레일마운팅부(3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돌기(327)가 돌출 구비되어 있어, 레일돌기(327)가 제 2 레일홈(329a)에 끼움 삽입되면, 제 2 조립모듈(329)은 각각 레일돌기(3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과 X축 방향으로 상하 또는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2 프레임부(320)의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21a, 321b)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레일마운팅부(323-1, 323-2)에 각각 고정되는 제 2-1 및 제 2-2 조립모듈(329-1, 329-2)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레일돌기(3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제 2 프레임부(320)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21a, 321b)와 수직한 제 3 가장자리(321c)에 구비되는 제 3 레일마운팅부(323-3)에 고정되는 제 2-3 조립모듈(329-3)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레일돌기(3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레일돌기(327)의 외측으로는 레일볼(미도시)이 구비되어, 레일돌기(327)와 제 2 레일홈(329a)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레일볼(미도시)에 의해 제 2-1 내지 제 2-3 조립모듈(329-1, 329-2, 329-3)이 레일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돌기(327)와 제 2 레일홈(329a)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 2 조립모듈(329)의 타단에는 한쌍의 고정홀더(329b)가 구비되며, 한쌍의 고정홀더(329b)에는 각각 고정홀(329c)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한쌍의 고정홀더(329b)에 모듈플레이트(325)의 일단(B)이 끼움 삽입되는데, 각각의 모듈플레이트(325)는 배면과 상면이 각각 고정홀더(329b)와 대면하도록 일단이 한쌍의 고정홀더(329b)에 끼움 삽입된다.
이때 각각의 모듈플레이트(325)의 일단(B)에 돌출 구비된 한쌍의 돌출돌기(325b)는 한쌍의 고정홀더(329b)에 각각 구비된 고정홀(329c)로 각각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어, 각각의 모듈플레이트(325)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상에서 Z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프레임부(310)와 모듈플레이트(325)가 제 1 조립모듈(319)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고, 제 2 프레임부(320) 또한 모듈플레이트(325)와 제 2 조립모듈(329)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됨으로써, 제 1 프레임부(310)와 제 2 프레임부(320) 또한 서로 조립 및 체결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a ~ 7b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제 1 프레임부(310)와 고정된 제 1 조립모듈(319)의 제 1 레일홈(319a)에 모듈플레이트(325)의 모듈레일(325a)이 끼움 삽입되도록 하고, 일단이 제 2 프레임부(320)와 고정된 제 2 조립모듈(329)의 한쌍의 고정홀더(329b)에 모듈플레이트(325)의 일단(B)에 구비된 돌출돌기(325b)가 고정홀더(329b)의 각 고정홀(329c)에 끼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 1 프레임부(310)와 제 2 프레임부(320)는 서로 일체로 조립 및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모듈플레이트(325)의 모듈돌기(325a)가 제 1 조립모듈(319)의 제 1 레일홈(319a)에 끼움 삽입됨에 따라 모듈플레이트(3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조립모듈(319)이 고정된 제 1 프레임부(310)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며, 또한 일단이 제 2 프레임부(320)에 고정된 제 2 조립모듈(329)이 제 2 프레임부(320)의 레일마운팅부(323)에 구비된 레일돌기(327)에 끼움 삽입되어, 레일돌기(3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 2 조립모듈(329)이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 2 조립모듈(329)과 조립 체결된 모듈플레이트(325) 또한 함께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며, 결국 모듈플레이트(325)와 제 1 조립모듈(319)을 통해 조립 및 체결된 제 1 프레임부(310)가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및 제 2 프레임부(310, 320)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300)을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장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는,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별도의 기구물 예를 들면 손잡이가 구비된 실리콘패드로 이루어지는 흡착기구 등을 통해 고정한 상태로, 벽면(도 3b의 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도 3a의 250)의 가이드(도 3b의 251)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00)의 제 2 프레임부(320)에 구비된 결합부(330)의 본체(미도시)에 끼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시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면(도 3b의 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도 3a의 250)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00)의 결합부(330)의 단순 끼움 삽입 공정만으로도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를 구현할 수 있어, 공정 시간 단축 및 별도의 고정기구물 삭제를 통해 공정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하고 난 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데, 모듈플레이트(325)의 모듈돌기(325a)가 제 1 조립모듈(319)의 제 1 레일홈(319a)에 끼움 삽입됨에 따라 모듈플레이트(3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조립모듈(319)이 고정된 제 1 프레임부(310)는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일단이 제 2 프레임부(320)에 고정된 제 2 조립모듈(329)이 제 2 프레임부(320)의 레일마운팅부(323)에 구비된 레일돌기(327)에 끼움 삽입되어, 레일돌기(327)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미스 얼라인(mis-align)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10)들 사이 경계영역의 심(seam)이 인식되어,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얼라인 공정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진행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얼라인 공정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부(310)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1a, 311b)에 각각 구비된 제 1-1 및 제 1-2 조립모듈(319-1, 319-2)과 제 1-1 및 제 1-2 조립모듈(319-1, 319-2)과 조립 및 체결된 제 1 및 제 2 모듈플레이트(325-1, 325-2)를 통해 실질적으로 도면상으로 정의한 Y축 방향으로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며, 또한, 제 1 및 제 2 모듈플레이트(325-1, 325-2)와 조립 및 체결된 제 2-1 및 제 2-2 조립모듈(329-1, 329-2)을 통해 실질적으로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3 가장자리(311c)에 구비된 제 1-3 조립모듈(319-3)과 제 2-3 조립모듈(329-3) 그리고 제 3 모듈플레이트(325-3)는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1a, 311b)에 구비된 제 1-1 및 제 1-2 조립모듈(319-1, 319-2)과 제 1 및 제 2 모듈플레이트(325-1, 325-2)의 상하 또는 좌우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 1 프레임부(310)의 제 3 가장자리(311c)에 구비되는 제 1-3 및 제 2-3 조립모듈(319-3, 329-3)과 제 3 모듈플레이트(325-3)는 실질적으로 생략 가능하다.
즉, 제 1 프레임부(310)에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가장자리(311a, 311b)를 따라서만 제 1 및 제 2 조립모듈(319, 329)과 모듈플레이트(325)가 위치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반대로 제 3 및 제 4 가장자리(311c, 311d)를 따라서 제 1 및 제 2 조립모듈(319, 329)과 모듈플레이트(325)가 위치하여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는, 고정유닛(300)을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조정하더라도,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틸트(tilt) 공차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정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틸트 공차란 작업자가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공정상 오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백커버와 같은 하우징(113)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패널(111)의 합착시, 미스 얼라인(mis-align)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트 공차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을 경우,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에서 구현되는 대화면의 이미지가 부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0)들 사이 경계영역의 심(seam)이 인식되게 되며, 이미지의 연속성 또한 저하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b의 100)는 고정유닛(300)의 제 2 조립모듈(329)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듈플레이트(325)에 의해, 제 1 프레임부(310)를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상에서 Z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정확하게 제 위치에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3b의 100)는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별도의 기구물 예를 들면 손잡이가 구비된 실리콘패드로 이루어지는 흡착기구 등을 통해 고정한 상태로, 벽면(도 3b의 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도 3a의 250)의 가이드(도 3a의 251)가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00)의 제 2 프레임부(320)에 구비된 결합부(250)의 본체에 끼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시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시킬 수 있어,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므로,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면(도 3b의 W)에 위치하는 월브라켓(도 3a의 250)과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00)의 결합부(330)의 단순 끼움 삽입 공정만으로도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거치 및 고정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다중패널 표시장치(도 1a의 100)를 구현할 수 있어, 공정 시간 단축 및 별도의 고정기구물 삭제를 통해 공정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벽면(도 3b의 W)에 고정 및 거치하고 난 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고정유닛(30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1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거나,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보다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미스 얼라인(mis-align)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10)들 사이 경계영역의 심(seam)이 인식되어, 이미지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얼라인 공정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0)의 정면에서 손쉽게 진행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의 얼라인 공정에 따른 공정의 효율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함에도 틸트 공차에 의해 정렬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유닛(300)을 통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를 평면상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어,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110)가 정확하게 제 위치에서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디스플레이장치(113 : 하우징)
300 : 고정유닛
310 : 제 1 프레임부
320 : 제 2 프레임부
330 : 결합부
300 : 고정유닛
310 : 제 1 프레임부
320 : 제 2 프레임부
330 : 결합부
Claims (16)
-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되는 구조물과;
상기 다수개의 디스플레이장치 배면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구조물과 조립 및 체결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고정되어 개구부를 갖는 사각테 형상의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조물과 조립 및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 2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제 1 가장자리 사이로 위치하는 제 1 모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면적은 상기 개구부의 면적 보다 작아,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 사이로는 제 1 방향으로 제 1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 사이로는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2 간격이 형성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제 1-1 조립모듈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1 방향으로 상기 제 1 간격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조립모듈의 일단은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고정되며, 상기 제 1-1 조립모듈에는 제 1 레일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모듈레일이 상기 제 1 레일홈에 대응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부에는 가장자리에 레일마운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 사이에는 상기 레일마운팅부에 의한 모듈부가 정의되며,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상기 모듈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부의 가장자리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마운팅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프레임부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개구홀이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제 2-1 조립모듈을 통해 서로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의 일단은 상기 제 2 프레임부와 조립 및 체결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의 타단은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와 조립 및 체결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마운팅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돌기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 2-1 조립모듈에는 상기 레일돌기가 끼움 삽입되는 제 2 레일홈이 구비되어, 상기 제 2-1 조립모듈은 상기 레일돌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간격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조립모듈의 타단에는 각각 고정홀이 구비된 한쌍의 고정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홀에 끼움 삽입되는 돌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모듈플레이트는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한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각각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체결부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 2 가장자리에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고정되는 제 1-2 조립모듈과, 상기 1-2 조립모듈과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 모듈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모듈플레이트가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2 조립모듈이 위치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부는 상기 제 2 모듈플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 2-2 조립모듈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수직한 제 3 가장자리에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고정되는 제 1-3 조립모듈과, 상기 1-3 조립모듈과 조립 및 체결되는 제 3 모듈플레이트와, 상기 제 3 모듈플레이트가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조립 및 체결되는 제 2-3 조립모듈이 위치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부는 상기 제 3 모듈플레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 2-3 조립모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는 월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에는 상기 월브라켓과 조립 및 체결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면의 원주를 따라 위치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월브라켓은 상기 본체로 끼움 삽입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외주면을 다라 배치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다중패널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944A KR102608319B1 (ko) | 2018-12-14 | 2018-12-14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1944A KR102608319B1 (ko) | 2018-12-14 | 2018-12-14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3600A true KR20200073600A (ko) | 2020-06-24 |
KR102608319B1 KR102608319B1 (ko) | 2023-11-29 |
Family
ID=7140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1944A KR102608319B1 (ko) | 2018-12-14 | 2018-12-14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831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86886A1 (ko) * | 2021-07-14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US11645955B2 (en) | 2020-10-13 | 2023-05-09 | Samsung Display Co., Ltd. | Tiling display, display panel alignm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WO2023106561A1 (ko) * | 2021-12-06 | 2023-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
WO2023113156A1 (ko) * | 2021-12-15 | 2023-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686474B1 (ko) * | 2024-03-04 | 2024-07-19 | 주식회사다비전 | 멀티스크린장치에서 외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파손방지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3286B1 (ko) * | 2002-08-22 | 2006-12-05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박형 표시 장치 |
KR20150122511A (ko) * | 2014-04-23 | 2015-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KR101705511B1 (ko) * | 2015-10-08 | 2017-03-31 |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80046711A (ko) * | 2016-10-28 | 2018-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
2018
- 2018-12-14 KR KR1020180161944A patent/KR1026083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3286B1 (ko) * | 2002-08-22 | 2006-12-05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박형 표시 장치 |
KR20150122511A (ko) * | 2014-04-23 | 2015-1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KR101705511B1 (ko) * | 2015-10-08 | 2017-03-31 | 주식회사 에이블테크 |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80046711A (ko) * | 2016-10-28 | 2018-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45955B2 (en) | 2020-10-13 | 2023-05-09 | Samsung Display Co., Ltd. | Tiling display, display panel alignm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WO2023286886A1 (ko) * | 2021-07-14 | 2023-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WO2023106561A1 (ko) * | 2021-12-06 | 2023-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
WO2023113156A1 (ko) * | 2021-12-15 | 2023-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686474B1 (ko) * | 2024-03-04 | 2024-07-19 | 주식회사다비전 | 멀티스크린장치에서 외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파손방지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8319B1 (ko) | 2023-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73600A (ko)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
US10667411B2 (en) | Multi-panel display device | |
EP3343047B1 (en) | Display device | |
US11889638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EP2499537A2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US20200064677A1 (en) | Display apparatus | |
EP3825758B1 (en) | Display device | |
US11961426B2 (en) | Display screen splicing device and spliced display device | |
US11150501B2 (en) | Display device | |
KR2020002318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81173B1 (ko)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
KR100989421B1 (ko)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262773B1 (ko) | 가변형 표시장치 | |
WO2010146935A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 |
US9341768B2 (en) |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 |
KR102692609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US11153997B2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80076200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EP4401067A1 (en) | Display device | |
KR20180080461A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KR20080029122A (ko) | 표시 장치 | |
KR20080049246A (ko) | 표시 장치 | |
KR20080073093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