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511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511B1 KR101705511B1 KR1020150141283A KR20150141283A KR101705511B1 KR 101705511 B1 KR101705511 B1 KR 101705511B1 KR 1020150141283 A KR1020150141283 A KR 1020150141283A KR 20150141283 A KR20150141283 A KR 20150141283A KR 101705511 B1 KR101705511 B1 KR 1017055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 panel
- housing
- gear
- 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판 형상에 배열되는 영상패널과, 영상패널과 마주하는 위치에 영상패널이 고정되기 위한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부 및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좌우 양측에는 체결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구비하는 스탠다드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영상패널이 설치된 프레임 사이의 체결과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내의 전시장 또는 공연무대 등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시청자에게 영상으로 표현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화면 형태로 영상을 표현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이용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CRT, LCD를 이용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주로 LED 모듈이 장착된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연결하여 이용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 대형무대, 빅 이벤트, 콘서트, 브랜드 프레젠테이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적 정보전달 장치로써 갈수록 그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옥내외 전광판과 같은 고정설치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 공연장, 이벤트 행사 등에서 필요에 따라 소정 크기와 형태를 갖는 대화면으로 설치 및 해체를 반복하는 렌털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복수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웃한 프레임 사이의 체결과 각도조절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17429호(2013.10.28 공개, 발명의 명칭: 메시형 엘이디 표시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영상패널이 설치된 프레임 사이의 체결과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판 형상에 배열되는 영상패널과, 영상패널과 마주하는 위치에 영상패널이 고정되기 위한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부 및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좌우 양측에는 체결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구비하는 스탠다드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탠다드프레임부는, 사각틀 형상의 뼈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삽입공을 구비하며 체결되는 부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틸팅부 및 제1틸팅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한 제1틸팅부에 결합되며 체결되는 부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틸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틸팅부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삽입공을 구비하는 제1이동패널을 구비하는 제1이동부와,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이 완료된 제1이동부의 측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제1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부재 및 제1락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락부재의 잠금이 완료된 후 제1락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락부재의 풀림을 구속하는 제2락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하우징은, 제1이동부를 관통하는 제1지지돌기와, 제1지지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이동부의 외측에 걸려서 제1이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돌기 및 제1가이드돌기와 단차를 이루며 제1이동부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1고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동부는, 제1이동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연장패널 및 제1연장패널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1이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락부재는, 제1이동기어와 마주하는 제1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락몸체 및 제1락몸체의 측면을 따라 기어를 형성하며 제1락몸체의 회전으로 제1이동기어와 제1고정기어에 맞물리는 제1락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락부재는, 제1락몸체와 마주하는 제1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락몸체 및 제2락몸체의 측면에 캠 형상으로 돌출되며 제2락몸체의 회전으로 제1락몸체에 접하면서 제1락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틸팅부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구멍이 형성된 제2이동패널을 구비하는 제2이동부와, 제2이동패널에 장착되어 제2이동부와 함께 회전되며 연결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연결체결부와, 제2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이 완료된 제2이동부의 측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제2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3락부재 및 제3락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락부재의 잠금이 완료된 후 제3락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3락부재의 풀림을 구속하는 제4락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하우징은, 제2이동부를 관통하는 제2지지돌기와, 제2지지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2이동부의 외측에 걸려서 제2이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돌기 및 제2가이드돌기와 단차를 이루며 제2이동부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2고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이동부는, 제2이동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장패널 및 제2연장패널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2이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틸팅부의 고정돌기가 이웃한 제1틸팅부의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이웃한 스탠다드프레임부 사이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틸팅부와 제2틸팅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회전시켜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제어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서 영상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패널이 제1서비스공간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제어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장착연결부가 회전되어 제2서비스공간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제2서비스공간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마주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돌기몸체가 연결공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구슬이 제2연결몸체의 내측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레버가 회전되어 제1연결몸체를 제2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틸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내측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어링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투어링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투어링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스탠다드프레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과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스탠다드프레임부와 투어링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제어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서 영상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패널이 제1서비스공간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제어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장착연결부가 회전되어 제2서비스공간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제2서비스공간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마주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돌기몸체가 연결공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구슬이 제2연결몸체의 내측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레버가 회전되어 제1연결몸체를 제2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틸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내측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어링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투어링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투어링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스탠다드프레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과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스탠다드프레임부와 투어링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우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로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양측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제어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서 영상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패널이 제1서비스공간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제어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장착연결부가 회전되어 제2서비스공간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제2서비스공간부를 통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마주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돌기몸체가 연결공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구슬이 제2연결몸체의 내측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레버가 회전되어 제1연결몸체를 제2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서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돌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틸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의 내측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어링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투어링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투어링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스탠다드프레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1과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에 영상패널과 스탠다드프레임부와 투어링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5, 도 10, 도 22, 도 27 및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영상패널(10), 제어모듈(20), 제1연결부(90), 제2연결부(100), 베이스프레임부(50), 스탠다드프레임부(112) 및 투어링프레임(200)을 포함하며, 각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도 5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패널(10)은 복수의 발광소자(12)가 판 형상에 배열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발광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패널(10)은 발광소자(12)와 패널몸체(14)와 패널단자(16)와 파지손잡이(17)와 패널고정부(19)를 포함한다.
영상패널(10)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력에 의해 베이스프레임부(50)와 결합된다. 영상패널(1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부(50)의 일측(도 10 기준 우측)에 연이어 설치된다.
발광소자(12)는 LED를 사용하며, 이 외에도 색상을 구현하는 다른 발광부재도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12)로 사용될 수 있다.
패널몸체(14)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패널몸체(14)의 전방에 복수의 발광소자(12)가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부(50)와 마주하는 패널몸체(14)의 측면에는 패널단자(16)가 구비된다. 패널단자(16)는 베이스프레임부(50)에 구비된 출력단자(67)에 결합되어 영상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다. 발광소자(12)가 설치되지 않은 패널몸체(14)의 측면에는 파지손잡이(1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영상패널(10)을 운반하거나 설치할 때는 파지손잡이(17)를 잡고 영상패널(1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패널(10)의 내측(도 5기준 우측)에는 패널고정부(19)가 설치된다. 패널고정부(19)는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며, 베이스프레임부(50)에 구비된 구멍에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베이스프레임부(50)에서 영상패널(10)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고정부(19)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후술할 제2연결부(100)의 구성 및 동작상태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은 베이스프레임부(50)를 매개로 영상패널(10)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제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20)은, 베이스프레임부(50)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어몸체(22)와, 제어몸체(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단자(24) 및 베이스프레임부(50)에 구비된 고정단자(76)에 연결되어 영상패널(10)로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연결단자(24)는 전원 및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외부의 케이블과 연결되며, 고정단자(76)와 마주하는 제어몸체(22)의 측면에는 입력단자가 구비되어 고정단자(76)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부의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영상신호는 연결단자(24)를 통해 제어몸체(22)로 전달되며, 제어몸체(22)에서 나온 신호와 전원은 베이스프레임부(50)의 고정단자(76)를 거쳐 영상패널(10)의 패널단자(16)로 전달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30)는 베이스프레임부(50)에 고정되며 자력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30)는 제1연결하우징(32)과 제1접합부재(34)와 제1걸림부(36)를 포함한다.
제1연결하우징(32)은 베이스프레임부(50)에 고정된다. 영상패널(10)과 마주하는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방에 제1연결부재(30)가 복수로 구비되며, 제1연결하우징(32)은 베이스프레임부(50)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하우징(32)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접합부재(34)는 제1연결하우징(32)에 고정되며 자력을 구비한다. 제1접합부재(34)는 영구자석을 사용하며, 제1연결하우징(32)의 가운데에 고정된다.
제1걸림부(36)는 제1접합부재(34)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제2연결부재(40)에 걸려서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부(36)는, 제1연결하우징(32)의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제1경계부재(37)와, 제1경계부재(37)와 이격되며 제1연결하우징(3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형상의 제1후크부재(38)를 포함한다.
제1경계부재(37)와 제1후크부재(38)는 제1접합부재(34)의 외주연을 따라 제1연결하우징(32)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경계부재(37)와 제1후크부재(38)는 제1연결하우징(32)과 일체로 성형되며, 제1경계부재(37)와 제1후크부재(38)는 제1연결하우징(32)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된다.
제1경계부재(37)와 제1후크부재(38)는 서로 번갈아가며 제1접합부재(34)의 외측을 따라 원호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경계부재(37)와 제1후크부재(38)의 내측에는 제1연결부재(30)에 걸리기 위한 후크 형상이 구비된다.
제2연결부재(40)는 제1연결부재(30)와 마주하는 영상패널(10)에 고정되며, 자력에 의해 제1연결부재(30)에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재(40)는, 제2연결하우징(42)과 제2접합부재(44)와 제2걸림부(46)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부(50)와 마주하는 영상패널(10)의 일측에 제2연결부재(40)가 복수로 구비되며, 제2연결하우징(42)은 영상패널(10)의 일측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하우징(42)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접합부재(44)는 제2연결하우징(42)에 고정되며 철 또는 자석을 재료로 성형된다. 제2접합부재(44)는 영구자석을 사용하거나 제1접합부재(34)에 접합되는 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접합부재(34)와 마주하는 제2연결하우징(42)의 가운데에 고정된다.
제2걸림부(46)는 제2접합부재(44)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제1걸림부(36)에 걸려서 고정되는 제2걸림부(4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부(46)는, 제2연결하우징(42)의 외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며 제1후크부재(38)가 측면에 걸리는 제2경계부재(47) 및 제2경계부재(47)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접합부재(44)를 파지하는 제2후크부재(48)를 포함한다.
제2경계부재(47)는 제2접합부재(44)의 외주연을 따라 제2연결하우징(42)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경계부재(47)는 제2연결하우징(42)과 일체로 성형된다. 제2경계부재(47)의 외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1걸림부(36)의 제1후크부재(38)가 걸리는 홈부가 형성된다. 제2경계부재(47)의 일단에는 제2후크부재(48)가 연결되며, 제2후크부재(48)는 제2접합부재(44)를 파지하기 위하여 제2접합부재(44)의 일단에 걸리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영상패널(10)이 베이스프레임부(50)에 고정될 때, 제1연결부재(30)의 제1접합부재(34)와 제2연결부재(40)의 제2접합부재(44)가 자력에 의해 1차 고정되며, 제1걸림부(36)가 제2걸림부(46)의 외측에 걸리므로 구조적 걸림에 의해 2차 고정된다. 따라서 영상패널(10)의 설치와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인건비를 절감하며,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5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부(50)는 영상패널(10)이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모듈(20)이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영상패널(10)과 마주하는 위치에 영상패널(10)이 고정되기 위한 틀인 베이스프레임부(5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부(50)는, 베이스몸체(60)와 탈착장착부(61)와 내측연결부(62)와 제1서비스공간부(68)와 제2서비스공간부(69)와 체결부(70)와 체결돌기부(80)와 제1연결부(90)와 제2연결부(100)를 포함한다.
베이스몸체(60)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몸체(60)는 사각형 형상의 틀을 형성하며 베이스프레임부(50)의 뼈대를 형성한다.
탈착장착부(61)는 베이스몸체(60)와 이격된 베이스몸체(6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어모듈(20)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탈착장착부(6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락킹레버(7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탈착장착부(61)에는 제어모듈(20)과 연결되기 위한 고정단자(76)가 구비된다. 제어모듈(20)이 고정단자(76)와 연결된 상태에서 탈착장착부(61)에 접촉되면, 본체락킹레버(77)를 회전시켜 제어모듈(20)의 측면에 걸리므로 제어모듈(20)이 탈착장착부(61)에 고정된다.
내측연결부(62)는 탈착장착부(61)와 베이스몸체(60)를 연결하며 베이스몸체(60)의 내측에 탈착장착부(61)를 고정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연결부(62)는 탈착장착부(61)의 상하(도 12기준) 양측과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몸체(60)에 연결되며, 제1서비스공간부(68)는 베이스프레임부(50)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탈착장착부(61)를 중심으로 4개의 내측연결부(62)가 설치되므로 베이스몸체(60)의 내측에는 4개의 제1서비스공간부(68)가 형성된다.
제1서비스공간부(68)는 영상패널(10)이 이동되는 공간이며,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방에 설치된 영상패널(10)을 제1서비스공간부(68)를 통해 베이스프레임부(50)의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제1서비스공간부(68)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몸체(60)와 탈착장착부(61)와 내측연결부(62)로 형성된 공간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영상패널(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연결부(62)는, 베이스몸체(60)와 탈착장착부(61)에 양측이 고정되는 제1장착연결부(63) 및 일측은 베이스몸체(6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탈착장착부(61)에 체결되는 제2장착연결부(64)를 포함한다.
제1장착연결부(63)는 탈착장착부(61)의 좌우 양측과 하측에 연결되며, 제2장착연결부(64)는 탈착장착부(61)의 상측에 연결된다. 제2장착연결부(64)의 상측은 힌지연결부(66)가 구비되어 베이스몸체(60)에 힌지 연결되며, 제2장착연결부(64)의 하측은 탈착장착부(61)에 고정된다. 탈착장착부(61)를 관통하는 체결볼트(65)는 제2장착연결부(64)의 하측에 체결되므로 제2장착연결부(64)는 탈착장착부(61)에 고정된다. 필요에 따라 제어모듈(20)을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방으로 인출할 경우, 체결볼트(65)의 체결을 해제하고 제2장착연결부(64)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2서비스공간부(69)가 형성된다.
즉, 제2장착연결부(64)가 탈착장착부(61)와 분리되어 베이스몸체(6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어모듈(20)이 이동되는 제2서비스공간부(69)를 형성한다. 제2서비스공간부(69)는 제2장착연결부(64)를 회전시켜 탈착장착부(61)와 이격시키는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제2서비스공간부(69)는, 탈착장착부(61)와 탈착장착부(61)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제1장착연결부(63) 및 제2장착연결부(64)가 연결된 베이스몸체(60)에 의해 형성된 베이스몸체(60)의 내측 공간이다. 한편 제2장착연결부(64)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제2장착연결부(64)의 파지 및 회전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방(도 10 기준 우측)에는 영상패널(10)에 연결되는 출력단자(67)가 구비된다. 출력단자(67)는 내측연결부(62)의 전방에 설치되며, 탈착장착부(61)에 구비된 고정단자(7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출력단자(67)와 마주하는 영상패널(10)에는 패널단자(16)가 구비되어 출력단자(67)에 끼움식으로 연결된다.
출력단자(67)와 패널단자(16)는 영상패널(1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성형되며, 패널단자(16)와 출력단자(67)가 서로 결합되므로 제어모듈(20)에서 발신되는 영상신호와 전원이 베이스프레임부(50)를 통해 영상패널(10)로 용이하게 전달되므로 별도의 배선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인건비와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
내측연결부(62)와 베이스몸체(60)의 사이에 형성된 제1서비스공간부(68)로 영상패널(10)이 이동되며, 제2장착연결부(64)가 회전되며 형성된 제2서비스공간부(69)로 제어모듈(20)이 이동될 수 있다.
체결부(70)는 베이스몸체(60)의 상하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며 체결공(75)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70)는 베이스몸체(60)의 하측 중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 체결부(70)는 베이스몸체(6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측에는 체결공(75)이 구비된다.
도 12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부(80)는 베이스몸체(60)에서 체결부(70)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베이스몸체(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한 베이스프레임부(50)의 체결부(70)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70)는 체결돌기몸체(81)와 걸림구슬(82)구 내측이동부재(83)와 내측복귀부재(85)와 체결레버(86)와 지지연결축(87)과 장착프레임(88)과 조작부재(89)를 포함한다.
체결돌기몸체(81)의 내측에는 작동공간을 구비하며 일측(도 21 기준 상측)은 체결공(75)으로 삽입된다. 체결돌기몸체(81)는 베이스몸체(60)의 상측에 연결된 장착프레임(88)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걸림구슬(82)은 체결돌기몸체(81)의 일측에 위치하며, 체결돌기몸체(81)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측이동부재(83)는 체결돌기몸체(81)의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구슬(82)이 안착되는 내측홈부(84)를 구비한다. 걸림구슬(82)이 내측홈부(84)에 걸리는 경우에는 걸림구슬(82)이 체결돌기몸체(81)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내측홈부(84)에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체결돌기몸체(8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내측이동부재(83)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는 조작부재(89)를 일측에 구비한다. 조작부재(89)는 내측이동부재(83) 보다 직경이 크며, 체결돌기몸체(81)의 외측에 위치한다.
내측복귀부재(85)는 내측이동부재(83)와 체결돌기몸체(81)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이동부재(83)의 조작부재(89)를 걸림구슬(8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복귀부재(85)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체결레버(86)는 체결돌기몸체(8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에 캠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체결돌기몸체(81)를 지지하는 장착프레임(88)에 접하면서 체결돌기몸체(81)를 후방(도 21기준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체결돌기몸체(81)는 내측이동부재(83)의 외측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내측복귀부재(85)의 외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두 부재는 끼움식으로 결합된다.
지지연결축(87)은 체결레버(86)와 체결돌기몸체(81)와 내측이동부재(8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체결돌기부(80)가 체결부(70)에 결합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체결돌기몸체(81)를 체결부(70)의 체결공(75)으로 삽입한 후, 조작부재(89)를 상측으로 가압하면 걸림구슬(82)의 걸림에서 해제된 내측이동부재(83)가 내측복귀부재(85)의 탄성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내측복귀부재(85)의 이동으로 걸림구슬(82)이 체결돌기몸체(8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체결부(70)의 내측에 걸리므로 체결돌기부(80)가 체결부(70)에 결합된다.
그리고, 체결레버(86)를 회전시키면, 지지연결축(87)에 연결된 체결레버(86)의 몸체가 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체결레버(86)가 회전하면서 장착프레임(88)에 밀려서 하측으로 이동된다. 체결레버(86)와 함께 지지연결축(87)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지지연결축(87)과 함께 체결돌기몸체(81)와 걸림구슬(82)도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걸림구슬(82)이 체결부(70)에 결하되는 힘이 높아져서 체결돌기부(80)와 체결부(7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12 및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90)는 베이스몸체(60)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연결공(91)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90)는 제1연결몸체(92)와 제1내측이동부재(93)와 제1내측복귀부재(95)와 제1연결이동부재(96)와 제1체결레버(97)와 제1지지연결축(98)을 포함한다.
제1연결몸체(92)는 연결공(91)과 연통되는 작동공간을 구비하며 양측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내측이동부재(93)는 제1연결몸체(92)의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구슬 형상이 안착되는 측면홀부(94)를 구비한다. 제1내측이동부재(93)는 제1내측부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사용자가 누름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제1연결이동부재(96)를 포함한다.
제1내측복귀부재(95)는 제1내측이동부재(93)의 제1연결이동부재(96)를 연결공(9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제1지지연결축(98)은 제1체결레버(97)와 제1연결몸체(92)와 제1연결이동부재(96)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1연결부(90)에 제2연결부(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체결레버(97)를 회전시키면, 제1지지연결축(98)에 연결된 제1체결레버(97)의 몸체가 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체결레버(97)가 회전하면서 제1연결부(90)를 지지하는 베이스몸체(60)에 밀려서 제2연결부(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체결레버(97)와 함께 제1지지연결축(98)이 이동되며, 제1지지연결축(98)과 함께 제1연결몸체(92)도 이동하므로 제1연결부(90)와 제2연결부(100)를 연결하는 제2걸림구슬(102)의 구속력이 향상된다.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00)는 제1연결부(90)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베이스몸체(6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한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제1연결부(90)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100)는 제2체결돌기몸체(101)와 제2걸림구슬(102)과 제2내측이동부재(103)와 제2내측복귀부재(105)와 제2체결레버(106)와 제2지지연결축(107)과 제2장착프레임(108)과 제2연결이동부재(109)와 제2연결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제2체결돌기몸체(101)는 내측에 작동공간을 구비하며 일측(도 17 기준 우측)은 제1연결몸체(9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2체결돌기몸체(101)는 베이스몸체(60)의 좌측(도 12기준)에 연결된 제2장착프레임(108)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제2걸림구슬(102)은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걸림구슬(102)은 제1연결부(90)의 연결공(91)으로 삽입되어 제1연결몸체(92)의 내측에 구비된 턱 부분에 걸린다.
제2내측이동부재(103)는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걸림구슬(102)이 안착되는 제2내측홈부(104)를 구비한다. 제2내측이동부재(103)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걸림구슬(102)이 제2내측홈부(104)에 걸리는 경우에는 제2걸림구슬(102)이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제2내측홈부(104)에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내측이동부재(103)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는 제2연결이동부재(109)를 일측에 구비한다. 제2연결이동부재(109)는 제2내측이동부재(103) 보다 직경이 크며,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2내측복귀부재(105)는 제2내측이동부재(103)와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2내측이동부재(103)의 제2연결이동부재(109)를 제2걸림구슬(10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내측복귀부재(105)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
제2체결돌기몸체(101)는 제2연결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제2연결하우징(110)은 제2체결돌기의 몸체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연결하우징(110)은 제2체결레버(106)와 제2지지연결축(107)과 제2연결이동부재(109)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체결레버(106)는 제2체결돌기몸체(10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에 캠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한다. 제2체결레버(106)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제2체결돌기몸체(101)를 지지하는 제2장착프레임(108)에 접하면서 제2체결돌기몸체(101)를 후방(도 17기준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체결돌기몸체(101)는 제2내측이동부재(103)의 외측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부분과, 제2내측복귀부재(105)의 외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두 부재는 끼움식으로 결합된다.
제2지지연결축(107)은 제2체결레버(106)와 제2체결돌기몸체(101)와 제2내측이동부재(10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다드프레임부(112)는 베이스프레임부(50)에 결합되며, 좌우 양측에는 체결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120)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프레임부(112)는 지지프레임(115)과 틸팅부(120)와 제1틸팅부(130)와 제2틸팅부(150)와 상하락킹부(170)와 스탠다드연결부(18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15)은 사각틀 형상의 뼈대를 형성하며, 지지프레임(115)에 틸팅부(120)가 설치되어 이웃한 스탠다드프레임부(112)에 결합되는 동시에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부(120)는 제1틸팅부(130)와 제2틸팅부(150)를 포함한다.
도 22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틸팅부(130)는 지지프레임(115)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삽입공(140)을 구비하며 체결되는 부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틸팅부(130)는 제1하우징(132)과 제1이동부(138)와 제1락부재(144)와 제2락부재(147)를 포함한다.
제1하우징(132)은 지지프레임(115)의 내측에 제1공간(133)을 형성한다. 제1공간(133)에서 제1이동부(138)의 제1연장패널(141)이 이동되며, 제1락부재(144)의 제1락기어(146)도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우징(132)은, 제1이동부(138)를 관통하는 제1지지돌기(134)와, 제1지지돌기(134)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이동부(138)의 외측에 걸려서 제1이동부(138)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돌기(135) 및 제1가이드돌기(135)와 단차를 이루며 제1이동부(138)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1고정기어(136)를 포함한다.
제1공간(133)은 지지프레임(115)의 수평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제1공간(133)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지지돌기(134)가 구비된다. 제1지지돌기(134)는 제1이동부(138)의 제1연장패널(141)에 구비된 곡선 형상의 장공의 내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제1이동부(138)가 제1하우징(132)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35)는 제1공간(133)과 마주하는 제1하우징(13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레일이며, 제1연장패널(141)에 구비된 단차 형상의 턱부에 걸려서 제1연장패널(141)과 함께 제1이동부(138)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1고정기어(136)는 제1가이드돌기(135)와 함께 제1하우징(13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기어이다.
제1이동부(138)는 제1하우징(132)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삽입공(140)을 구비하는 제1이동패널(139)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동부(138)는 제1이동패널(139)과 제1연장패널(141)과 제1이동기어(142)를 포함한다.
제1이동패널(139)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제1이동패널(139)에 삽입공(140)이 구비된다. 제1연장패널(141)은 제1이동패널(139)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하우징(13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1연장패널(141)에는 원호 형상의 홈부가 구비되며, 원호 형상의 홈부 외측에는 제1가이드돌기(135)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된다.
제1이동기어(142)는 제1연장패널(141)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며, 제1이동기어(142)의 상하측에는 제1고정기어(136)가 위치한다.
제1락부재(144)는 제1하우징(1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이 완료된 제1이동부(138)의 측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제1이동부(138)의 이동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락부재(144)는, 제1이동기어(142)와 마주하는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락몸체(145) 및 제1락몸체(145)의 측면을 따라 기어를 형성하며 제1락몸체(145)의 회전으로 제1이동기어(142)와 제1고정기어(136)에 맞물리는 제1락기어(146)를 포함한다. 제1락기어(146)는 제1이동기어(142)와 제1고정기어(136)에 동시에 걸리므로 제1이동부(138)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제2락부재(147)는 제1락부재(144)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락부재(144)의 잠금이 완료된 후 제1락부재(144)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락부재(144)의 풀림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락부재(147)는, 제1락몸체(145)와 마주하는 제1하우징(13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락몸체(148) 및 제2락몸체(148)의 측면에 캠 형상으로 돌출되며 제2락몸체(148)의 회전으로 제1락몸체(145)에 접하면서 제1락몸체(145)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돌기부재(149)를 포함한다. 제1락부재(144)가 회전되어 제1이동부(138)의 회전을 구속한 상태에서, 제2락부재(147)가 회전되어 제1락부재(144)의 측면을 캠 형상의 제2락부재(147)가 접하면서 제1락부재(144)를 밀며 회전되므로, 제1락부재(144)의 회전이 구속된다.
도 22 내지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틸팅부(150)는 제1틸팅부(130)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지프레임(11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한 제1틸팅부(130)에 결합된 후 체결되는 부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틸팅부(150)는, 제2하우징(151), 제2이동부(156), 연결체결부(161), 제3락부재(163) 및 제4락부재(164)를 포함한다.
제2하우징(151)은 지지프레임(115)의 내측에 제2공간(152)을 형성한다. 제2공간(152)에서 제2이동부(156)의 제2연장패널(159)이 이동되며, 제2락부재(147)의 제2락기어도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하우징(151)은, 제2이동부(156)를 관통하는 제2지지돌기(153)와, 제2지지돌기(153)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2이동부(156)의 외측에 걸려서 제2이동부(156)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돌기(154) 및 제2가이드돌기(154)와 단차를 이루며 제2이동부(156)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2고정기어(155)를 포함한다.
제2공간(152)은 지지프레임(115)의 수평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며, 제2공간(152)의 내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제2지지돌기(153)가 구비된다. 제2지지돌기(153)는 제2이동부(156)의 제2연장패널(159)에 구비된 곡선 형상의 장공의 내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제2이동부(156)가 제2하우징(151)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154)는 제2공간(152)과 마주하는 제2하우징(1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돌출된 레일이며, 제2연장패널(159)에 구비된 단차 형상의 턱부에 걸려서 제2연장패널(159)과 함께 제2이동부(156)의 회전을 안내한다.
제2고정기어(155)는 제2가이드돌기(154)와 함께 제2하우징(1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기어이다.
제2이동부(156)는 제2하우징(151)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구멍(158)이 형성된 제2이동패널(157)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부(156)는 제2이동패널(157)과 제2연장패널(159)과 제2이동기어(160)를 포함한다.
제2이동패널(157)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제2이동패널(157)에 연결구멍(158)이 구비된다. 제2연장패널(159)은 제2이동패널(157)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하우징(15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2연장패널(159)에는 원호 형상의 홈부가 구비되며, 원호 형상의 홈부 외측에는 제2가이드돌기(154)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된다.
제2이동기어(160)는 제2연장패널(159)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며, 제2이동기어(160)의 상하측에는 제2고정기어(155)가 위치한다.
연결체결부(161)는 제2이동패널(157)에 장착되어 제2이동부(156)와 함께 회전되며, 연결구멍(158)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돌기(162)를 구비한다. 연결체결부(161)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체결돌기부(80)나 제2연결부(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락부재(163)는 제2하우징(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이 완료된 제2이동부(156)의 측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제2이동부(156)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3락부재(163)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제1락부재(144)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락부재(164)는 제3락부재(163)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3락부재(163)의 잠금이 완료된 후 제3락부재(163)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3락부재(163)의 풀림을 구속한다. 제4락부재(164)의 상세 구성과 동작상태는 제2락부재(147)와 동일하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락킹부(170)는 지지프레임(115)의 상측에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부(50)의 체결돌기부(80)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하락킹부(170)가 연결되는 스탠다드연결부(180)도 베이스프레임부(50)의 체결부(70)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상태를 가지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른 투어링프레임(200)은 베이스프레임부(50)에 결합되며 작업자의 손이나 발이 걸쳐지기 위한 지지형상을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투어링프레임(200)은 투어링본체(201)와 파지부재(203)와 제1투어링결합부(210)와 제2투어링결합부(220)를 포함한다.
투어링본체(201)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어링본체(201)의 상측과 하측에는 파지홀을 형성하는 파지부재(203)가 설치된다. 따라서 투어링프레임(200)이 상하로 적층될 경우, 파지부재(203)를 잡고서 올라가거나, 발을 지지하는 장소로 쓰일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어링본체(201)의 양측 중 일측에는 제1투어링결합부(210)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제2투어링결합부(220)가 설치된다. 제1투어링결합부(210)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투어링하우징(212)과, 제1투어링하우징(21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214) 및 조작부재(214)에 연결되며, 제1투어링하우징(212)의 내측에서 회전되어 제1투어링하우징(2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상의 연결고리(216)를 포함한다.
이웃한 투어링프레임(200)에는 제2투어링결합부(220)가 위치하며, 제2투어링하우징(222)의 내측에는 연결고리(216)에 걸리는 핀부재가 내측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패널(10)과 제어모듈(20)이 베이스프레임부(50)에 결합된 모듈이 복수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부(50)에 4개의 영상패널(10)이 부착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부(50)는 이웃한 베이스프레임부(50)와 제1연결부(90)와 제2연결부(100)와 체결돌기부(80) 및 체결부(7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패널(10)을 베이스프레임부(50)의 후방으로 꺼낼 경우, 제1서비스공간부(68)를 통해 영상패널(10)을 이동시킨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20)을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방으로 인출할 경우, 제2장착연결부(64)를 회전시켜 형성된 제2서비스공간부(69)를 통해 제어모듈(20)을 인출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패널(10)은 제1연결부재(30)와 제2연결부재(40)를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부(50)에 고정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패널(10)의 후측에 패널고정부(19)를 별도로 설치하여 영상패널(10)을 베이스프레임부(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90)와 제2연결부(100)를 서로 연결할 경우, 연결공(91)의 전방에 제2체결돌기몸체(101)를 위치시킨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돌기몸체(101)를 제1연결몸체(92)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이동부재(109)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2걸림구슬(102)이 제1연결몸체(92)의 입구부 내측에 구비된 단턱에 걸리므로, 제1연결부(90)와 제2연결부(100)의 가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체결레버(106)를 회전시켜 제2걸림구슬(102)과 함께 제2체결돌기몸체(101)가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제2걸림구슬(102)이 제1연결몸체(92)의 입구부 내측에 구비된 단턱에 걸리는 가압력이 상승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레버(97)도 회전시켜 제1연결몸체(92)도 제2연결몸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제2걸림구슬(102)이 제1연결몸체(92)의 입구부 내측에 구비된 단턱에 걸리는 가압력이 상승되어 제1연결부(90)와 제2연결부(100)의 체결력이 향상된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다드프레임부(112)가 이웃한 스탠다드프레임부(112)에 결합되는 경우, 연결체결부(161)의 고정돌기(162)가 제1이동패널(139)의 삽입공(140)으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제1이동부(138)와 제2이동부(156)가 회전되면서 회전각도가 조절도니 후 제1락부재(144)아 제3락부재(163)를 회전시켜 제1이동부(138)와 제2이동부(156)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패널(10)이 설치된 베이스프레임부(50)에 투어링프레임(200)이 결합되는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패널(10)이 설치된 베이스프레임부(50)에 스탠다드프레임부(112)가 결합되는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31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패널(10)이 설치된 베이스프레임부(50)에 스탠다드프레임부(112)와 투어링프레임(200)가 결합되는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프레임부(50)를 중심으로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방에는 복수의 영상패널(1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부(50)의 후방에도 제어모듈(2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장치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부(50)에 설치된 제1연결부재(30)와 영상패널(10)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40)가 자력과 기계적 구조에 의해 2중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복수의 영상패널(10)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작업시간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부(50)의 내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서비스공간부(68)를 통해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후방으로 영상패널(10)이 용이하게 이동되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2장착연결부(64)를 회전시켜 베이스프레임부(50)의 내측에 제2서비스공간부(69)를 형성하며, 제2서비스공간부(69)를 통해 베이스프레임부(50)의 전후방으로 제어모듈(2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제2틸팅부(150)의 고정돌기(162)가 이웃한 제1틸팅부(130)의 삽입공(140)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이웃한 스탠다드프레임부(112) 사이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틸팅부(130)와 제2틸팅부(15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이동부(138)와 제2이동부(156)를 회전시켜 각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 영상패널 12: 발광소자 14: 패널몸체 16: 패널단자 17: 파지손잡이 19: 패널고정부
20: 제어모듈 22: 제어몸체 24: 연결단자
30: 제1연결부재 32: 제1연결하우징 34: 제1접합부재 36: 제1걸림부 37: 제1경계부재 38: 제1후크부재
40: 제2연결부재 42: 제2연결하우징 44: 제2접합부재 46: 제2걸림부 47: 제2경계부재 48: 제2후크부재
50: 베이스프레임부 60: 베이스몸체 61: 탈착장착부 62: 내측연결부 63: 제1장착연결부 64: 제2장착연결부 65: 체결볼트 66: 힌지연결부 67: 출력단자 68: 제1서비스공간부 69: 제2서비스공간부
70: 체결부 75: 체결공 76: 고정단자 77: 본체락킹레버
80: 체결돌기부 81: 체결돌기몸체 82: 걸림구슬 83: 내측이동부재 84: 내측홈부 85: 내측복귀부재 86: 체결레버 87: 지지연결축 88: 장착프레임 89: 조작부재
90: 제1연결부 91: 연결공 92: 제1연결몸체 93: 제1내측이동부재 94: 측면홀부 95: 제1내측복귀부재 96: 제1연결이동부재 97: 제1체결레버 98: 제1지지연결축
100: 제2연결부 101: 제2체결돌기몸체 102: 제2걸림구슬 103: 제2내측이동부재 104: 제2내측홈부 105: 제2내측복귀부재 106: 제2체결레버 107: 제2지지연결축 108: 제2장착프레임 109: 제2연결이동부재 110: 제2연결하우징
112: 스탠다드프레임부 115: 지지프레임 120: 틸팅부
130: 제1틸팅부 132: 제1하우징 133: 제1공간 134: 제1지지돌기 135: 제1가이드돌기 136: 제1고정기어 138: 제1이동부 139: 제1이동패널 140: 삽입공 141: 제1연장패널 142: 제1이동기어 144: 제1락부재 145: 제1락몸체 146: 제1락기어 147: 제2락부재 148: 제2락몸체 149: 락돌기부재
150: 제2틸팅부 151: 제2하우징 152: 제2공간 153: 제2지지돌기 154: 제2가이드돌기 155: 제2고정기어 156: 제2이동부 157: 제2이동패널 158: 연결구멍 159: 제2연장패널 160: 제2이동기어 161: 연결체결부 162: 고정돌기 163: 제3락부재 164: 제4락부재 170: 상하락킹부 180: 스탠다드연결부
200: 투어링프레임 201: 투어링본체 203: 파지부재 210: 제1투어링결합부 212: 제1투어링하우징 214: 조작부재 216: 연결고리 220: 제2투어링결합부 222: 제2투어링하우징
10: 영상패널 12: 발광소자 14: 패널몸체 16: 패널단자 17: 파지손잡이 19: 패널고정부
20: 제어모듈 22: 제어몸체 24: 연결단자
30: 제1연결부재 32: 제1연결하우징 34: 제1접합부재 36: 제1걸림부 37: 제1경계부재 38: 제1후크부재
40: 제2연결부재 42: 제2연결하우징 44: 제2접합부재 46: 제2걸림부 47: 제2경계부재 48: 제2후크부재
50: 베이스프레임부 60: 베이스몸체 61: 탈착장착부 62: 내측연결부 63: 제1장착연결부 64: 제2장착연결부 65: 체결볼트 66: 힌지연결부 67: 출력단자 68: 제1서비스공간부 69: 제2서비스공간부
70: 체결부 75: 체결공 76: 고정단자 77: 본체락킹레버
80: 체결돌기부 81: 체결돌기몸체 82: 걸림구슬 83: 내측이동부재 84: 내측홈부 85: 내측복귀부재 86: 체결레버 87: 지지연결축 88: 장착프레임 89: 조작부재
90: 제1연결부 91: 연결공 92: 제1연결몸체 93: 제1내측이동부재 94: 측면홀부 95: 제1내측복귀부재 96: 제1연결이동부재 97: 제1체결레버 98: 제1지지연결축
100: 제2연결부 101: 제2체결돌기몸체 102: 제2걸림구슬 103: 제2내측이동부재 104: 제2내측홈부 105: 제2내측복귀부재 106: 제2체결레버 107: 제2지지연결축 108: 제2장착프레임 109: 제2연결이동부재 110: 제2연결하우징
112: 스탠다드프레임부 115: 지지프레임 120: 틸팅부
130: 제1틸팅부 132: 제1하우징 133: 제1공간 134: 제1지지돌기 135: 제1가이드돌기 136: 제1고정기어 138: 제1이동부 139: 제1이동패널 140: 삽입공 141: 제1연장패널 142: 제1이동기어 144: 제1락부재 145: 제1락몸체 146: 제1락기어 147: 제2락부재 148: 제2락몸체 149: 락돌기부재
150: 제2틸팅부 151: 제2하우징 152: 제2공간 153: 제2지지돌기 154: 제2가이드돌기 155: 제2고정기어 156: 제2이동부 157: 제2이동패널 158: 연결구멍 159: 제2연장패널 160: 제2이동기어 161: 연결체결부 162: 고정돌기 163: 제3락부재 164: 제4락부재 170: 상하락킹부 180: 스탠다드연결부
200: 투어링프레임 201: 투어링본체 203: 파지부재 210: 제1투어링결합부 212: 제1투어링하우징 214: 조작부재 216: 연결고리 220: 제2투어링결합부 222: 제2투어링하우징
Claims (10)
- 복수의 발광소자가 판 형상에 배열되는 영상패널;
상기 영상패널과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영상패널이 고정되기 위한 틀을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부에 결합되며, 좌우 양측에는 체결각도를 조절하는 틸팅부를 구비하는 스탠다드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다드프레임부는, 사각틀 형상의 뼈대를 형성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삽입공을 구비하며 체결되는 부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틸팅부; 및
상기 제1틸팅부와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한 상기 제1틸팅부에 결합되며, 체결되는 부위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틸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틸팅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제1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삽입공을 구비하는 제1이동패널을 구비하는 제1이동부;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이 완료된 상기 제1이동부의 측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제1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1락부재; 및
상기 제1락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락부재의 잠금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락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락부재의 풀림을 구속하는 제2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이동부를 관통하는 제1지지돌기;
상기 제1지지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이동부의 외측에 걸려서 상기 제1이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1가이드돌기와 단차를 이루며 상기 제1이동부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1고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제1이동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연장패널; 및
상기 제1연장패널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1이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락부재는, 상기 제1이동기어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락몸체; 및
상기 제1락몸체의 측면을 따라 기어를 형성하며, 상기 제1락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제1이동기어와 상기 제1고정기어에 맞물리는 제1락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락부재는, 상기 제1락몸체와 마주하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락몸체; 및
상기 제2락몸체의 측면에 캠 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락몸체의 회전으로 상기 제1락몸체에 접하면서 상기 제1락몸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락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틸팅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구멍이 형성된 제2이동패널을 구비하는 제2이동부;
상기 제2이동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제2이동부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연결체결부;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이 완료된 상기 제2이동부의 측면에 맞물리는 동작으로 상기 제2이동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3락부재; 및
상기 제3락부재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3락부재의 잠금이 완료된 후 상기 제3락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3락부재의 풀림을 구속하는 제4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2이동부를 관통하는 제2지지돌기;
상기 제2지지돌기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이동부의 외측에 걸려서 상기 제2이동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2가이드돌기와 단차를 이루며 상기 제2이동부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2고정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제2이동패널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연장패널; 및
상기 제2연장패널의 측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기어를 형성하는 제2이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1283A KR101705511B1 (ko) | 2015-10-08 | 2015-10-08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1283A KR101705511B1 (ko) | 2015-10-08 | 2015-10-08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5511B1 true KR101705511B1 (ko) | 2017-03-31 |
Family
ID=5850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1283A KR101705511B1 (ko) | 2015-10-08 | 2015-10-08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551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30512A (zh) * | 2018-12-09 | 2019-04-16 | 深圳市雷凌显示技术有限公司 | 锁具及拼接屏 |
WO2019153421A1 (zh) * | 2018-02-07 | 2019-08-15 |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 弧形锁扣及带该弧形锁扣的led显示屏 |
KR20200073600A (ko) * | 2018-12-14 | 2020-06-2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WO2023113156A1 (ko) * | 2021-12-15 | 2023-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4005309A1 (ko) * | 2022-06-29 | 2024-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0814A (ko) * | 2006-09-01 | 2008-03-06 | 황병선 |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
KR20130008838A (ko) * | 2011-07-13 | 2013-01-23 | (주)경봉 | 듀얼 디스플레이형 버스 탑재 멀티미디어 단말기 |
KR20150011581A (ko) * | 2013-07-23 | 2015-02-02 | (주)디콘 |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
KR20150048358A (ko) * | 2013-10-28 | 2015-05-07 | (주)디콘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
2015
- 2015-10-08 KR KR1020150141283A patent/KR10170551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0814A (ko) * | 2006-09-01 | 2008-03-06 | 황병선 | 멀티비전 설치 시스템 |
KR20130008838A (ko) * | 2011-07-13 | 2013-01-23 | (주)경봉 | 듀얼 디스플레이형 버스 탑재 멀티미디어 단말기 |
KR20150011581A (ko) * | 2013-07-23 | 2015-02-02 | (주)디콘 | 멀티비젼 영상표시장치 |
KR20150048358A (ko) * | 2013-10-28 | 2015-05-07 | (주)디콘 | 멀티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단위 디스플레이 유닛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53421A1 (zh) * | 2018-02-07 | 2019-08-15 |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 弧形锁扣及带该弧形锁扣的led显示屏 |
CN109630512A (zh) * | 2018-12-09 | 2019-04-16 | 深圳市雷凌显示技术有限公司 | 锁具及拼接屏 |
KR20200073600A (ko) * | 2018-12-14 | 2020-06-2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KR102608319B1 (ko) | 2018-12-14 | 2023-11-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WO2023113156A1 (ko) * | 2021-12-15 | 2023-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WO2024005309A1 (ko) * | 2022-06-29 | 2024-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5508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0551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05511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EP3499052B1 (en) | Tiled display device and tiling apparatus therefor | |
KR10170551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0462949Y1 (ko) | 엘이디 표시장치의 연결잠금장치 | |
KR20020053656A (ko) | 디스플레이장치 | |
CN211628613U (zh) | 一种led拼接屏 | |
CN109584730A (zh) | 拼接显示屏 | |
CN104956426B (zh) | 显示装置的安装适配器 | |
US10197836B2 (en) | Spliced display and display system | |
CN210324974U (zh) | 一种多屏幕拼接的无缝显示屏 | |
KR101044700B1 (ko) | 엘이디 표시장치의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 |
KR100940919B1 (ko) | 엘이디 표시장치 | |
JP2012073523A (ja) | プロジェクタ | |
KR100941063B1 (ko) | 프레임 연결장치 | |
CN108010454B (zh) | Led箱体连接锁紧装置及led显示屏 | |
KR100778217B1 (ko) | 영상표시장치의 월 마운트 겸용 스탠드. | |
KR200443184Y1 (ko) | 엘이디 표시패널용 연결지지장치 | |
KR101059089B1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걸이 장치 | |
CN209893064U (zh) | 吊装装置 | |
KR200448025Y1 (ko) | 엘이디 표시장치 | |
KR200469675Y1 (ko) | 모니터 장착 기구 | |
CN217519568U (zh) | 显示装置 | |
JP4159816B2 (ja) | 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