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80271A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80271A1
WO2023080271A1 PCT/KR2021/015887 KR2021015887W WO2023080271A1 WO 2023080271 A1 WO2023080271 A1 WO 2023080271A1 KR 2021015887 W KR2021015887 W KR 2021015887W WO 2023080271 A1 WO2023080271 A1 WO 20230802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ear
stan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8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철기
김태곤
전재형
소원영
최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158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80271A1/ko
Publication of WO20230802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802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otating a screen horizontally or vertically.
  • PDP plasma display panel
  •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 electroluminescence device
  • a liquid crystal panel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layer, a TF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facing each other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an display an image using light provided from a backlight unit.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self-emitting devices, they do not have a backlight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have advantages i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etc., and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displays.
  • the display device can be used by connecting to other terminals by wire or wirelessly, so that the small scree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enlarged and appreciated.
  • general mobile terminals have optimized screen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when synchronizing mobile screens, a vertically arranged screen is output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scree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not utilized.
  • a vertical screen is more convenient for viewing documents when connected to a computer such as a monitor, so there are cases in which a horizontal orientation is useful and a vertical orientation is useful depending on the usa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changing the screen direc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an image
  • a rotation drive unit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 a pair of stands oblique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drive unit, wherein the rotation drive unit simultaneously adjusts an angle of the stand when the display module rotates.
  • the rotation drive unit includes a body gear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A reversing gear that rotates in mesh with the main gear; a first stand gear that rotates in mesh with the reversing gear; And a second stand gear engaged with the first stand gear to rotate, wherein the pair of stands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tand gear and the second stand gear to rotate.
  • the reverse gear may be larger than the main gear.
  • the reverse gear may have a gear ratio of 3:1 to the main gear.
  • the first stand gear and the second stand gear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ody gear may form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a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first stand gear and the second stand gear.
  • It may be located within a rotation radius of the st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tand gear and the second stand gear and rotates.
  • It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located lower than the second stand gear.
  • the stand may include a leg part extending outwardl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rotary driving part and a base part extending from the leg part in a front direction.
  • the leg portion may be inclined and extended in a rear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 the pair of stands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inserted into the base, and the rubber may include a fixed rubb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pair of stands and a rotating rubb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tands.
  • control modul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back cover cover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module.
  •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it is easy to change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output screen.
  • the height of the stand is automatically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creen can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height, so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adjust the stand.
  • the height of the stand increases so that the display module can rotate stably without hitting the floor.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portion where the stand and the display module are coupl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stably mounted.
  • FIG.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are front and sid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rotating part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ubber of th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deo display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example, an intelligent video display device in which a computer support function is added to a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nd an Internet function is added while being faithful to th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 a more user-friendly interface such as a space remote control may be provided.
  • functions such as e-mail, web browsing, banking, or game can be performed.
  • a standardized universal OS can be used for these various functions.
  • the video display device may be, for example, a network TV, HBBTV, smart TV, or the like, and may also be applied to a smart phone in some cases.
  •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broadcast reception unit 110,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 network interface unit 172,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an inpu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80. , a display 150, an audio output unit 160, and/or a power supply unit 190.
  • the broadcast receiver 110 may include a tuner 111 and a demodulator 112 .
  •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only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71 and the network interface 172 among the broadcast receiver 11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71, and the network interface 172. It is also possible to do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may not include the broadcast receiver 110.
  • the tuner unit 111 may select a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or a cable (not shown).
  • the tuner unit 111 may convert the selected broadcasting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 the tuner unit 111 may convert it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ing signal, it may be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unit 111 may process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ing signal.
  •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1 may be directly input to the controller 180.
  • the tuner unit 111 may sequentially select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among received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 them int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s or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s.
  • the tuner unit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tuners in order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of a plurality of channels. Alternatively, a single tuner that simultaneously receives broadcast signals of multiple channels is also possible.
  • the demodulation unit 112 may perform a demodulation operation by receiving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unit 111 .
  • the demodulator 112 may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12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80 .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150 and output audio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60 .
  • the sensing unit 120 refers to a device that senses a change in the display device 100 or an external change.
  •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for example , camera), a voice sensor (eg, a microphone), a battery gauge, and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hygrometer, a thermometer, etc.).
  • the control unit 180 may check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00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and, when a problem occurs, notify the user or adjust the display device 100 to maintain the best state.
  • the input unit 1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touch pad or a physical button.
  •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various user command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ransmit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commands to the controller 180 .
  • the number of display devices 100 in which the physical button-type input unit 130 exposed to the outside is minimized is increasing. Instead, a minimum physical button is located on the rear or side surface, and a user input can be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a touch pad or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to be described later.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each signal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store signal-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s.
  •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pplication program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various tasks processable by the control unit 180, and upon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180, selectively selects some of the stored application programs. can provide
  •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 the storage unit 14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video, audio, or data signal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redetermined broadcasting channel through a channel storage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 FIG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180.
  • the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eg, DRAM, SRAM, SDRAM, etc.),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rive (Solid-state drive, etc.) state drive; SSD), etc.).
  • volatile memory eg, DRAM, SRAM, SDRAM, etc.
  • non-volatile memory eg,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HDD)
  • solid state drive Solid-state drive, etc.
  • SSD solid-state drive
  • the display 150 may generate a driving signal by converting a video signal, a data signal, an OSD signal, a control signal, or a video signal, data signal, or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171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there is.
  • the display 15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81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 sub-pixels.
  • the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W sub-pixels.
  • the display 150 may generate driving signals for a plurality of pixels by converting image signals, data signals, OSD signals, and control signals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
  • the display 150 may be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or the like, and may also have a 3D display. there is.
  • the 3D display 150 may be divided into a non-glasses type and a glasses type.
  •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module that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area and a case that covers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and packages the display module.
  • the display device 100 is a display module 150 that can be bent such as LED (Light Emitting Diodes, Light Emitting Diodes) or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 order to implement a curved screen by going beyond a flat surface. is available.
  • LED Light Emitting Diodes, Light Emitting Diodes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the backlight unit is a device that uniformly supplies a light source and light supplied from the light source to a liquid crystal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 the backlight unit became thinner, it was possible to implement a thin LCD,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backlight unit with a bendable material, and when the backlight unit is ben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supply light to the liquid crystal, resulting in a problem in tha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changes.
  •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pixel since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pixel emits light on its own, it can be implemented curved without using a backlight unit. In addition, since each element emits light itself, even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elements is changed, its own brightness is not affected. Therefore, the display module 150 that bends can be implemented using LED or OLED.
  •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uses three types of phosphor organic compounds, red, green, and blue, which have self-luminous function, and electrons and positively charged particles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anode are Since it is a light-emitting display product using a phenomenon that emits light by itself by combining within organic materials, there is no need for a backlight (halo device) that deteriorates color.
  • An LED (Light Emitting Diode) panel is a technology that uses one LED element as one pixel, and can implement a flexible display module 150 because the size of the LED elemen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 a device called an LED TV uses LED as a light source for a backlight unit that supplies light to an LCD, but the LED itself did not constitute a screen.
  •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 display panel, a coupling magnet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irst power supply unit, and a first signal module.
  •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 a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may be formed in each region where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intersect.
  •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may be arranged or arranged in a matrix form.
  •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include a red ('R') sub-pixel, a green ('G') sub-pixel, and a blue ('B') sub-pixel.
  • the plurality of pixels R, G, and B may further include a white ('W') sub-pixel.
  • a side displaying a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side or a front side.
  • the side on which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may be referred to as a rear side or a rear side.
  • the display 15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 the audio output unit 160 receives the audio-processed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80 and outputs it as audio.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wireless method using an antenna as well as a wire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cable.
  • the interface unit 170 include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 port),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 port),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 An example of the wireless method may include the broadcast receiver 110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not only broadcast signals but also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ignals, wireless Internet signals, and the like.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can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ray, game devices, cameras, camcorders, computers (laptops), set-top boxes, etc. through wired/wireless connections. It can als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external devices.
  • DVD Digital Versatile Disk
  • Blu-ray Blu-ray
  • game devices cameras
  • camcorders computers
  • computers laptops
  • set-top boxes etc.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various remote control devices 200 to receive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display device 10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i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can exchange data with an adjacent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may receive device information, running appl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image, and the like from the mobile terminal in the mirroring mode.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network.
  •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and / or network interface unit 172 is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BLE), Zigbee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long-term evolution (LTE), LTE Advance (LTE-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WiBro ( A communication module for cellular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broadband) may be included.
  • Wi-Fi Wireless Fidelity
  • Bluetooth Bluetooth
  • Bluetooth Low Energy Bluetooth Low Energy
  • BLE Zigbee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LTE long-term evolution
  • LTE-A LTE Advance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CDMA wideband CDMA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WiBro A communication module for cellular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broadband
  •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may transmi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80 or transmit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80 to the user.
  • user input signals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and screen setting may be transmitted/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local keys (not shown) such as power keys, channel keys, volume keys, and set values may be used.
  •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18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or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sensing a user's gestur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or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18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8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nsor unit.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processor included in the processor.
  • the processor may be a general processor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the processor may be a dedicated device such as an ASIC or other hardware-based processor.
  • the control unit 180 demultiplexes streams input through the tuner unit 111, the demodulation unit 112,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or the network interface unit 172, or processes the demultiplexed signals,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can be generated and output.
  •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input to the display 15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mage signal. Also,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80 may be output as sound to the audio output unit 160 . Also, the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8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71 .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demultiplexer, an image processor, and the lik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overall operations within the display device 100 .
  •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tuner unit 111 to select (tuning) a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or an internal program. Meanwhile,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isplay 150 to display an image.
  •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5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2D object within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50 .
  • the object may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an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pictures, and text.
  •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 the controller 180 may modulate and/or demodulate a signal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 ASK Amplitude Shift Keying
  • the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may refer to a method of modulating a signal by varying the amplitude of a carrier wave according to a data value or restoring an analog signal to a digital data value according to the amplitude of a carrier wave.
  • control unit 180 may modulate the video signal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and transmit the video sig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 ASK amplitude shift keying
  • the controller 180 may demodulate and process an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an amplitude shift keying (ASK) method.
  • ASK amplitude shift keying
  • the display device 100 can easi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other image display devices disposed adjacent to it without using a unique identifier such as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r a complex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CP/IP.
  • a unique identifier such as a MAC address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or a complex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TCP/IP.
  •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unit (not shown).
  • the photographing unit may photograph the user.
  •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implemented with one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ameras. Meanwhile,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bove the display 150 or disposed separately.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80 .
  •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device 1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the x-axis coordinate and the y-axis coordinate within the display 15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detect a user's gesture based on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or each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unit,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power supply 190 may supply corresponding power throughout the display device 100 .
  •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180, which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e display 150 for displaying images, and the audio output unit 160 for outputting audio.
  • SOC system on chip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AC power into DC power and a DC/Dc converter (not shown) that converts the level of the DC power.
  • the power supply unit 190 serves to distribute power to each componen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use a method of supplying AC power by directl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90 in a form that can be charged and used by including a battery.
  • the charging holder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r a built-in battery may be charged when approached using a wireless method.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a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use Bluetooth,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Infrared Radiation (IR) communication, Ultra-wideband (UWB), ZigBee, or the like.
  •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a video, audio, or data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73, and display or output it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ing.
  • the block diagram of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is only a block diagram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is integra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may be added or omitted.
  •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 or devic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opposite to the first long side (LS1), a first long side (LS1) and It may have a rectangular body including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te to the first short side (SS1). .
  • the first short side area SS1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 the second short side area SS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rea facing the first side area.
  • One long side area LS1 is referred to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areas
  • the second long side area It is possible to refer to (LS2) as a fourth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facing the third side area. do.
  •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 case in which the length of LS2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may also be possible.
  •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side (Long Side, LS1, LS2) of the display device 100
  • the second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is the display device 100
  •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or the second direction (DR2).
  • the sid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displays a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or front side.
  • the side on which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may be referred to as the rear or rear side.
  • the side of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an upper side or upper side.
  • the side of the second long side LS2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ide.
  • the side of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the right or right side
  • the side of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or left side.
  • first long side LS1 , the second long side LS2 , the first short side SS1 ,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edges of the display device 100 .
  •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 the second long side LS2 , the first short side SS1 ,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each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corner.
  • the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the first corner C1
  • the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is the second corner C2.
  • the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and the second long side LS 2 meet is the third corner C3
  • the point where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the fourth corner C4.
  • a direction from the first short side SS1 to the second short side SS2 or from the second short side SS2 to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LR.
  • a direction from the first long side LS1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r from the second long side LS2 to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UD.
  • the stand 310 supporting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base part 312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main body 100' including the large screen display module 150, and the base part 312 and the main body. (100 ') may include a leg portion 311 located between.
  • the legs may be spre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legs can be balanced using two stands 310 exte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
  • the base portion 312 in contact with the bearing surface may extend in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leg portion 311 to prevent inclina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leg portion 311 of the stand 310 may extend with an inclination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toward the rear surfac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100' from tilting in the front direction by extending the base part 312 from the lower end of the leg part to the front direction.
  • the display module 150 can be stably support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pair of inclined stands 310, and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module 150 and the stand form a triangle to form a main body ( 100')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out tilting in the rear direction.
  • the leg part 311 may support the display device 100 so that it does not fall in the rear direction
  • the base part 312 may support the display device 100 so that it does not fall in the front direction.
  • the leg portion 311 may protrude further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module 150 for stable support, and as shown in FIG. slipping can be prevented.
  • the leg part 311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 FIGS. 3 and 4 are front and side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It can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n (a) and the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c).
  • the display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module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he height of the stand 310 changes at the same time, and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stably support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50. ) is provided.
  • the stand 310 increases and the center of the display module 150 increases.
  • the stand 310 also rotates so that the angle of the legs 311 becomes more vertical, so that the center of the display module 150 can increase its height from the ground.
  •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of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
  • the control module may also include a battery 190 charged to be used wirelessly. Since the front bezel of the display module 150 includes only a minimum space, there is insufficient space for the audio output unit 160 to be disposed. Therefore, as shown in FIG. 5 , the audio output unit 160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
  • a controller 180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a controller 180, a battery 190, an audio output unit 160, and a rotation drive unit 300 may be disposed, and to cover the par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50.
  • a back cover may be further included. The back cover and the parts stored therein may be located inside the back cover without rotating when the display module 150 rotates.
  • control unit 180 The arrangement of the control unit 180, the battery, the audio output unit, etc. shown in FIG. 5 is exemplar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heavy parts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in consideration of weight distribution.
  •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includes a gear of the main body 100' synchronized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00' including the display module 150.
  • the reverse gear 301 that rotates in mesh with the body gear 301 may rotat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dy gear 301 .
  • first stand gear 303a that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reverse gear 301 and a second stand gear 303b that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first stand gear 303a.
  • the first stand gear 303a and the second stand gear 303b are connected to a pair of stands 310, and the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first stand gear 303a and the second stand gear 303b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do. Accordingly, the pair of stands 310 may move in a left-right direction or converge in the cent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tand gear 303 .
  • the display module 150 When the display module 150 is rotated 90 degrees, when the pair of stands 310 are rotated 90 degrees, respectively, the display module 150 is completely disposed in a left-right direction or gathered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module 150 . In order to function as a stand 310, it must be placed under the display module 150 at a predetermined angle, so whether the orientation of the display module 150 is horizontal or vertical, it must be located below the display module 150.
  •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gear 301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stand gear 303 have a predetermined ratio, that is, the gear ratio is changed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tand gear 303 is small compared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gear 301. can do.
  • the pair of stands 310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angle of 120 degrees and form an angle of 60 degrees when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ear ratio can be configured to be 1:3. If the rotation angle of the stand 310 is 27, the number of gears of the body gear 301 and the reverse gear 301 may be adjusted to have a gear ratio of 3:10.
  • the gear ratio of the reverse gear 301 and the main gear 301 is 1: 1 and the gear ratio of the reverse gear 301 and the stand gear 303 can be adjusted as 1: 3, and the main gear 301 and the reverse
  • the gear ratio of the gear 301 may be 1:2, and the gear ratio of the reverse gear 301 and the stand gear 303 may be configured as 1:1.5.
  •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of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is viewed from the rear direction, the rotation dire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direction viewed from the rear direction.
  • the reverse gear 301 meshed with the body gear 30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stand gear 303a ) may rotate clockwise, and the second stand gear 303b may rotate counterclockwise.
  • the stands 310 rotat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the angle between the stands 310h widens, and the display module can be converted to a horizontal arrangement 150h as shown in FIG. 6 .
  • the body gear 301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rotates the display module 150 counterclockwise by 90°. can be rotated
  • the reverse gear 301 rotates clockwise
  • the first stand gear 303a rotates counterclockwise
  • the second stand gear 303b rotates clockwise.
  • the stand 31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each other, that i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angle between them, and can be switched to the arrangement 310v shown in FIG. 7 .
  • the display module 150 When switching the screen horizontally or vertically, it must be rotated in the specified direction. If the display module 1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stead of clockwise as shown in FIG. 6 to convert the screen to a horizontal direction, the angle between the stands 310 becomes narrower and the display device 100 may fal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trict rotation of the display module in a direction other than a designated direction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 rotation of the display module 150 may be restricted so that it cannot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a stopper (not show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gear modu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ir of stands 310 from widening further in a horizontal state or narrowing further in a vertical state.
  • the aforemention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s may be revers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reverse gear 301 .
  • the center of gravity moves upward and the display device 100 may fall ov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non-rotating display module 150 is not rotated to be located at the lower side as much as possible.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180 that do not move is located in the lower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 a weight 309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place a weighty part such as a speaker or a battery in the lower part and further arrange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since the weight should be located lower than the center of gravity as much as possible, the hinge driving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18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ck cover that is mounted and does not rotate.
  • the stand 310 must always be configured so that the display module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o the rotation radius of the stand 310 is great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display module 150. To configure the length of the stand 310.
  • Both sides of the stand 310 may move simultaneously on the supporting surface, but when the display module 150 changes direction, the display device 100 may fall over.
  • the first stand 310a may be fixed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and 310b may be changed.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ubber of the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ubber 315 coupled to the base part 312 of the first stand 310a is configured as a fixed rubber 315a
  • the rubber 315 of the second stand 310b is a rotatable rubber. (315b).
  • the fixed rubber 315a is configured so as not to slip on the mounting surface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rst stand 310a does not change, and the second stand 310b coupled with the rotating rubber 315b provides control when the display module 150 rotates.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one stand 310a, and the rotatable rubber 315b can assist the movement of the first stand 310a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stand 310a.
  • the rubber 315 may have a ring shape fitted to the base portion 312 of the stand 310, the fixed rubber 315a may have an angular shape by specifying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and the rotational rubber 315b ) can also be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outer surface.
  • the display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150, the display module 150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output screen.
  • the height of the stand 310 is automatically chang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creen can be changed to an appropriate height, so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adjust the stand 310.
  • the height of the stand 310 increases so that the display module 150 can rotate stably without hitting the floor.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located lower than the part where the stand 310 and the display module 150 are join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st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서 하부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한 쌍의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 시 상기 스탠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손쉽게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출력되는 화면의 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환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본 발명은 화면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모바일 장치의 작은 화면을 확대하여 감상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는 세로방향으로 화면이 최적화되어 있어, 모바일 화면을 동기화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운데 부분에 세로로 배치된 화면이 출력되고 좌우 방향의 화면은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모니터와 같이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시 문서를 보기 위해서는 세로 화면이 더 편리한 경우가 있어, 사용 태양에 따라 가로방향이 유용한 경우와 세로방향이 유용한 경우가 있다.
다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화면 방향이 고정되어 있거나 수직, 수평방향으로 전환시 스탠드를 조정이 용이하지 않아 가로형과 세로형을 손쉽게 교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손쉽게 화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서 하부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한 쌍의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 시 상기 스탠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회전하는 본체기어; 상기 본체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반전기어; 상기 반전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스탠드 기어; 및 상기 제1 스탠드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스탠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탠드는 상기 제1 스탠드 기어 및 상기 제2 스탠드 기어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반전기어는 상기 본체기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반전기어는 상기 본체기어의 기어비는 3:1 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탠드 기어와 상기 제2 스탠드 기어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기어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 스탠드 기어와 상기 제2 스탠드 기어의 접하는 위치와 수직방향으로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제1 스탠드 기어 및 상기 제2 스탠드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스탠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탠드 기어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회전 구동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탠드는 베이스부에 끼워진 러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러버는 상기 한 쌍의 스탠드의 일측에 끼워진 고정러버와 상기 한 쌍의 스탠드의 타측에 끼워진 회전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어모듈을 커버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손쉽게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출력되는 화면의 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환이 용이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하면 스탠드의 높이도 자동으로 변화하여 적정높이로 화면의 위치가 변환 가능한 바, 스탠드를 조절을 추가로 수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 회전 시 스탠드의 높이가 높아져 디스플레이 모듈이 바닥에 부딪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향이 전환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무게중심이 스탠드와 디스플레이 모듈이 결합하는 부분 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을 도시한 전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는 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탠드의 러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 입력부(130), 제어부(180), 디스플레이(150), 오디오 출력부(160)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부(111) 및 복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1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 중,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부(11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튜너부(111)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1)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12)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여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음성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습도계, 온도계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20)에서 수집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태를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시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자체적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80)에 제공되는 영상의 컨텐츠, 화질, 사이즈 등을 센싱부에서 감지한 시청자나, 주변의 조도 등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여 최적의 시청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TV가 진보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탑재된 기능이 많아지고 센싱부(20) 또한 그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베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자체에 외부로 노출된 물리적 형태의 버튼 형태의 입력부(130)는 최소화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많아지고 있다. 대신에 배면이나 측면에 최소의 물리적 버튼이 위치하고 터치패드나 후술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을 통해 원격 제어장치(20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8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8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인터페이스부(17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8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5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 측면 등을 커버하며 디스플레이 모듈을 패키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평면에서 더 나아가 곡면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 주로 이용되던 LCD는 LCD가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어려워 백라이트 유닛을 통해 빛을 공급받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광원에서 공급된 빛을 균일하게 전면에 위치하는 액정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이 점점 얇아지면선 박형의 LCD를 구현할 수 있었으나, 백라이트 유닛을 휘어지는 소재로 구현이 어렵고 백라이트 유닛이 휘어지는 경우 액정에 균일한 빛의 공급이 어려워져 화면의 밝기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LED나 OLED의 경우 픽셀을 이루는 소자가 각각 자체적으로 발광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을 이용하지 않아 휘어지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자가 자체발광 하므로 이웃하는 소자와의 위치관계가 달라지더라도 자체 밝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LED나 OLED를 이용하여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은 2010년 중반에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LCD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OLED는 형광성 유기활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 속도가 LCD에 비해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OLED는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 없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패널은 LED소자 하나를 하나의 픽셀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종래에 비해 LED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에 LED TV라 불리우던 장치는 LED를 LCD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이지 LED자체가 화면을 구성하지 못했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배면에 위치하는 결합마그넷, 제1 전원 공급부 및 제1 신호모듈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픽셀들(R,G,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 또는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적색(Red, 이하 'R') 서브 픽셀, 녹색(Green, 'G') 서브 픽셀 및 청색 (Blue, 'B')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픽셀들(R,G,B)은 화이트(White, 이하 'W')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는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유선방식뿐만 아니라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방식의 일 예로 전술한 방송수신부(1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뿐만 아니라 이동통신신호 근거리 통신신호, 무선인터넷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 직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와 같은 셀룰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부(111), 복조부(112),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72)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튜너부(111)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진폭 편이 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modulation) 및/또는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여기서,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은, 데이터 값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을 다르게 하여 신호를 변조하거나, 반송파의 진폭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값으로 복원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하여,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을 이용하여 복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같은 고유 식별자나, TCP/IP와 같은 복잡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영상표시장치와 간편하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50) 상부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8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5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5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원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과 직접연결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배터리를 포함하여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유선의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며 이동이 어렵거나 이동 범위가 제한된다. 후자의 경우 이동이 자유로우나 배터리만큼의 무게가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충전을 위해 일정시간 전원케이블과 직접 연결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거치부(미도시)와 결합해야 한다.
충전거치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있고, 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근접하면 내장된 배터리가 충전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73)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본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 영역(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2 단변 영역(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1 장변 영역(LS1)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 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2 장변 영 역(LS2)을 제1 측면영역 및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1 측면영역과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3 측면 영역에 대향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 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 란한 방향이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1 방향(DR1) 및/또는 제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 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 (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 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본체(100')를 지지하는 스탠드(310)는 대화면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는 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해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312)와 베이스부(312)와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는 다리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2)의 넓이가 넓을수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베이스부(312)가 넓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전체적으로 둔탁한 디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얇은 데 상대적으로 두꺼운 스탠드(310)는 디자인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아. 얇으면서도 안정적인 디자인의 스탠드(310)에 대한 니즈가 있다.
얇은 디자인의 스탠드를 구성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로 연장된 2개의 스탠드(310)를 이용하여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다리가 좌우방향으로 벌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치면에 접하는 베이스부(312)는 다리부(311)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310)의 다리부(311)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312)를 다리부의 하단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하여 본체(100')가 전면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기울어진 형태의 스탠드(310)의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0)과 스탠드가 삼각형을 이루어 본체(100')가 배면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리부(31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배면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베이스부(312)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전면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다리부(311)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에서 더 앞쪽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이 큰 소재를 포함하는 러버(315)를 이용하여 바닥면에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리부(311)는 스탠드(310)의 각도가 달라지더라도 거치면과 접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도시한 전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a)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다가 (c)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스탠드(310)와 디스플레이 모듈(150) 사이에 회전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본체(100')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도 있으나 가로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다시 수직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수직방향 길이가 달라지므로 스탠드(310)의 높이도 조정해야 한다.
스탠드(310)의 길이를 조절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화면 방향을 회전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방향이 바뀌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중심이 달라지는 바 안정적인 지지가 어려운 문제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회전하면 그와 동시에 스탠드(310)의 높이가 변화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방향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제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각도가 회전하면 스탠드(310)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중심이 높아진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회전 시 스탠드(310)도 회전하면서 다리부(311)의 각도가 더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중심이 지면에서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회전 구동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된 배터리(19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면방향 베젤은 최소한의 공간만 포함하므로 오디오 출력부(160)가 배치될 공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부(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에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배면은, 제어부(180), 배터리(190), 오디오 출력부(160) 및 회전 구동부(300)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배면의 부품을 커버하기 위해 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 및 이에 수납된 상기 부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회전시 회전하지 않고 백커버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어부(180), 배터리, 오디오 출력부 등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게의 배분을 고려하여 무거운 부품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는 본체(100')의 회전과 동기화된 본체(100') 기어를 포함한다. 본체기어(301)와 맞물려 회전하는 반전기어(301)는 본체기어(301)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전기어(30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스탠드 기어(303a)와 제1 스탠드 기어(303a)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스탠드 기어(303b)를 포함한다.
제1 스탠드 기어(303a)와 제2 스탠드 기어(303b)는 한 쌍의 스탠드(310)와 연결되며 제1 스탠드 기어(303a)와 제2 스탠드 기어(303b)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한 쌍의 스탠드(310)는 스탠드 기어(30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가운데로 모이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90도 회전시 한 쌍의 스탠드(310)가 각각 90도 회전하면 완전히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하부에 나란히 모이게 된다. 스탠드(310)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하부에 소정각도를 이루며 배치되어야 하는 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방향이 수평이든 수직이든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하부에 위치해야한다.
따라서, 본체기어(301)의 회전각도와 스탠드 기어(303)의 회전각도는 소정 비율을 가지도록 즉, 본체기어(301)의 회전각도 대비 스탠드 기어(303)의 회전 각도가 작도록 기어비를 달리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시 한 쌍의 스탠드(310)는 120도를 이루며 벌어지고, 수직방향으로 배치시 60°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90° 회전시, 스탠드(310) 하나는 30°회전해야 하므로 기어비를 1:3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탠드(310)의 회전각도가 27가 필요하다면, 3:10의 기어비를 가지도록 본체기어(301)와 반전기어(301)의 기어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반전기어(301)와 본체기어(301)의 기어비는 1:1로하고 반전기어(301)와 스탠드 기어(303)의 기어비를 1:3과 같이 조절할 수 있고, 본체기어(301)와 반전기어(301)와 기어비를 1:2로하고, 반전기어(301)와 스탠드 기어(303)의 기어비를 1:1.5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회전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배면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하에서 회전방향은 배면 방향에서 바라본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수직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배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본체기어(301)와 맞물린 반전기어(30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스탠드 기어(303a)는 시계방향으로 제2 스탠드 기어(303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탠드(31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스탠드(310h)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고, 디스플레이 모듈은 도 6과 같은 수평배치(150h)로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본체기어(30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반전기어(301)는 시계 방향, 제1 스탠드 기어(303a)는 반시계방향 그리고 제2 스탠드 기어(303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탠드(31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도 7과 같은 배치(310v)로 전환할 수 있다.
화면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전환 시 지정된 방향으로 회전해야한다. 만약, 화면을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도 6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탠드(310) 사이의 각도가 더 좁아지게 되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방향 전환을 위해서 지정된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수직 방향인 경우 시계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회전할 수 없도록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기어모듈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하여 한 쌍의 스탠드(310)가 수평상태에서 더 벌어지거나 수직상태에서 더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은 반전기어(301)의 배치에 따라 반대로 바뀔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수직방향으로 배치 시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넘어질 수 있어, 회전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무게중심을 가능한 하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하지 않는 회전 구동부(300)와 제어부(180)의 무게중심을 가능한 하측방향에 위치시킨다.
부품 중 스피커나 배터리와 같이 무게가 있는 부품을 하부에 위치시키고 추가로 더 무게중심을 하측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30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무게추는 가능한 무게중심 보다 하부에 위치해야하므로 힌지 구동부(300)와 제어부(180)가 실장되고 회전하지 않는 백커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방향에 상관 없이 항상 스탠드(310)는 바닥면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이격되도록 구성해야 하므로, 스탠드(310)의 회전반경은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회전반경 보다 더 크도록 스탠드(310)의 길이를 구성해야 한다.
스탠드(310)는 양쪽이 동시에 거치면에서 움직일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방향 전환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넘어질 수 있다. 제1 스탠드(310a)는 고정되고 제2 스탠드(310b)의 위치가 변화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탠드의 러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탠드(310a)의 베이스부(312)에 결합된 러버(315)를 고정형 러버(315a)로 구성하고 제2 스탠드(310b)의 러버(315)를 회전형 러버(315b)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형 러버(315a)는 거치면에서 미끌어지지 않도록 구성하여 제1 스탠드(310a)의 거치 위치가 바뀌지 않고, 회전형 러버(315b)가 결합한 제2 스탠드(310b)는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회전 시 제1 스탠드(310a)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형 러버(315b)는 제1 스탠드(310a)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스탠드(310a)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러버(315)는 스탠드(310)의 베이스부(312)에 끼워지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고정형 러버(315a)는 거치면과 접하는 면을 특정하여 각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회전형 러버(315b)는 외측면도 원형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손쉽게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어 출력되는 화면의 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전환이 용이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회전하면 스탠드(310)의 높이도 자동으로 변화하여 적정높이로 화면의 위치가 변환 가능한 바, 스탠드(310)를 조절을 추가로 수행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 회전 시 스탠드(310)의 높이가 높아져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바닥에 부딪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50)의 방향이 전환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무게중심이 스탠드(310)와 디스플레이 모듈(150)이 결합하는 부분 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서 하부로 비스듬하게 연장된 한 쌍의 스탠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회전 시 상기 스탠드의 각도를 동시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회전하는 본체기어;
    상기 본체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반전기어;
    상기 반전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스탠드 기어; 및
    상기 제1 스탠드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스탠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스탠드는 상기 제1 스탠드 기어 및 상기 제2 스탠드 기어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어는 상기 본체기어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어는 상기 본체기어의 기어비는 3: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탠드 기어와 상기 제2 스탠드 기어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기어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 스탠드 기어와 상기 제2 스탠드 기어의 접하는 위치와 수직방향으로 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제1 스탠드 기어 및 상기 제2 스탠드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기 스탠드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탠드 기어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회전 구동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탠드는 베이스부에 끼워진 러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러버는
    상기 한 쌍의 스탠드의 일측에 끼워진 고정러버와
    상기 한 쌍의 스탠드의 타측에 끼워진 회전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제어모듈을 커버하는 백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21/015887 2021-11-04 2021-11-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8027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887 WO2023080271A1 (ko) 2021-11-04 2021-11-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887 WO2023080271A1 (ko) 2021-11-04 2021-11-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271A1 true WO2023080271A1 (ko) 2023-05-11

Family

ID=8624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887 WO2023080271A1 (ko) 2021-11-04 2021-11-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8027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099A1 (en) * 2004-09-14 2008-03-13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KR100873061B1 (ko) * 2007-07-12 2008-12-11 김창록 파라솔 각도조절장치
KR20160092790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우리측기 측정용 삼각대의 고정지그
KR20190019021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9121B1 (ko) * 2020-08-0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2099A1 (en) * 2004-09-14 2008-03-13 Fujitsu Limited Display device
KR100873061B1 (ko) * 2007-07-12 2008-12-11 김창록 파라솔 각도조절장치
KR20160092790A (ko) * 2015-01-28 2016-08-05 주식회사 우리측기 측정용 삼각대의 고정지그
KR20190019021A (ko) * 2017-08-16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9121B1 (ko) * 2020-08-0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80271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80265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9111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42943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82539A1 (ko) 디스플레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14595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19192A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82544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48316A1 (ko) 음향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24141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WO2024034715A1 (ko) 이동 가능한 tv 및 이동 가능한 tv의 제어 방법
WO202323900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0523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048307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1311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4038919A1 (ko) 케이스에 삽입 가능한 배터리 내장형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158003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177008A1 (ko) 플렉서블 케이블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24043372A1 (ko) 이동 가능한 tv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80270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080294A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325868A2 (en) Movable 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400189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4038925A1 (ko) Tv 및 tv의 제어 방법
WO2024090791A1 (ko) 마이크로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33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