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332A -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332A
KR20190017332A KR1020170102010A KR20170102010A KR20190017332A KR 20190017332 A KR20190017332 A KR 20190017332A KR 1020170102010 A KR1020170102010 A KR 1020170102010A KR 20170102010 A KR20170102010 A KR 20170102010A KR 20190017332 A KR20190017332 A KR 20190017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food
pouch
assembly
liqui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팩
Priority to KR102017010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332A/ko
Publication of KR2019001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2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파인애플과 같은 액상물이 포함된 식품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파우치에 자동 포장할때 액상물이 주변에 낙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AUTO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김치, 파인애플과 같은 액상물이 포함된 식품을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파우치에 자동 포장할때 액상물이 주변에 낙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pouch)와 같은 포장봉지 내에 고형의 내용물이 포장봉지 안에 투입될 경우 호퍼의 출구측에서의 정체 또는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출구측 직경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탄성 확장가능하고, 탄성 확장가능한 복수의 호퍼판들 사이에 고형의 내용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예의 포장용 김치의 자동공급장치가 도 1에 도시되고, 한국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7-00038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김치공급통(1)의 일측하부에 김치토출구(2)가 형성되고 상기 김치공급통(2)내에는 김치이송스크류(3)가 설치되며 상기 김치토출구(2) 하부에는 스크류(3)에 의해 밀려나오는 김치를 소정량씩 절단하는 절단장치(4)를 갖는다.
또한, 김치공급통(1)의 바닥면이 토출구(2)의 반대쪽으로 소정각도(x)만큼 하향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면(10)과, 상기 경사면(10)의 직상부에 설치되며 김치의 건더기와 국물을 분리시켜 주기 위한 망(11)과, 상기 경사면(10)의 일측단에 연통상태로 형성되는 김치국물배출구(12)와, 상기 김치국물 배출구(12)와 연통상태로 형성되는 김치국물저장통(13) 및 김치국물공급구(14)를 각각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토출구(2)로는 김치건더기만 나오게 되고 김치국물은 여과망(11)을 통해 경사면(10)을 따라 김치국물저장통(13')에 저장되며, 토출구(2)로 나오는 김치는 하부에 놓인 김치수납용기(20)에 담기면서 소정량이 담기게 되면 계량기(21)가 이를 감지하여 절단장치(4)을 동작시켜 김치건더기를 절단하게 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김치수납용기(20)가 김치국물저장통(13)의 김치국물공급구(14)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정량의 김치국물을 공급받은 다음 포장용 팩으로 공급하며 포장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김치건더기가 수용된 김치수납용기(20)를 김치국물공급구(14)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빈 김치수납용기(20)를 토출구(2) 하부로 공급하는 동안 토출구(2)로부터 김치국물이 낙하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김치건더기가 토출구(2)에 적층되어 막히는 현상이 있어서 연속적인 김치포장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포장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7-00038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액상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파우치에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공정중에 액상의 내용물이 낙하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형의 내용물 투입과정 중 호퍼 출구측에서의 정체 또는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출구측 직경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탄성 확장가능한 복수의 호퍼판을 구비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확장가능한 복수의 호퍼판들 사이에 고형의 내용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파우치의 양측 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쌍의 그립퍼들이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며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그립퍼를 오므려서 상기 파우치의 입구를 개봉시키는 파우치개봉부와, 상기 개봉된 파우치에 액상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와, 상기 식품이 충전된 파우치의 상단부를 실링하는 실링부와, 실링된 파우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 공급부는 상기 개봉된 파우치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품이 공급되는 투입구와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통형 구조의 호퍼조립체와,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호퍼조립체로부터 낙하되는 액상물을 수용하는 액상물받이와, 상기 턴테이블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호퍼조립체로부터 상기 파우치에 식품을 투입하는 동안 상기 액상물받이를 상기 식품의 투입방향으로부터 이탈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와, 상기 이동실린더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받이는 바닥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받이에 수용된 액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연한 호스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조립체는;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며 출구측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훅크가 형성된 통형의 호퍼몸체와, 상단부에 상기 각 훅크에 걸어지는 조립공이 형성되고 각 조립공 부분을 힌지지점으로 하여 각각의 하단부가 상호 벌어지거나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퍼몸체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호퍼판과, 상기 각 호퍼판의 상단부 외면을 동시에 감싸서 상기 각 호퍼판의 하단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몸체는 절두원추(截頭圓錐)형의 통형이며,
상기 각 호퍼판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각 호퍼판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호퍼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호퍼몸체의 외면과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된 측의 각 호퍼판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인접한 다른 호퍼판의 타측 가장자리와 겹쳐지는 날개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공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훅크는 상기 조립공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의 상단이 안착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호퍼몸체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호퍼판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턱과,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호퍼몸체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호퍼판의 가장자리로부터 말아져 형성된 컬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 장치는 턴테이블(50)이 회전되는 동안 호퍼조립체(100)에 잔류하는 액상물(예컨대, 김치국물)이 액상물받이(150)로 낙하되어 수집되게 함으로써, 액상물 낙하에 따른 장치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액상물받이(150)에 수집된 액상물은 호스(180)를 통하여 호퍼조립체(100)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실 식품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둘째, 날개부(122)들에 의해서 인접하는 호퍼판(120)의 가장자리들이 겹쳐지게 함으로써, 고형의 내용물(김치 건데기)들이 호퍼몸체(110)를 통하여 호퍼판(120) 측으로 안내되어 낙하될때 고형의 내용물들이 호퍼판(120)과 호퍼판(12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하여 포장공정의 연속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세째, 각 호퍼판(120)의 날개부(124)가 돌기(121)(122)들에 의해서 호퍼몸체(110)로부터 들뜨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날개부(124)가 인접 호퍼판(120) 가장자리와 이격되게 되어 고형의 내용물이 끼이는 현상을 보다 더 줄일 수 있게 한다.
네째, 훅크(130)의 상면부에 경사면(134)을 형성함으로써, 호퍼판(120)의 조립공(123) 상단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각 호퍼판(120)들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회동될때 조립공(123)의 하단부가 상기 훅크(130)와 간섭없이 원할하게 회동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김치 포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자동포장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식품공급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액상물받이의 작동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액상물받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호퍼몸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호퍼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8a는 호퍼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b는 호퍼판들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c는 호퍼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자동포장 장치는 액상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파우치에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공정중에 액상의 내용물이 낙하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고형의 내용물이 포장봉지 안에 투입될 경우 호퍼 출구측에서의 정체 또는 막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출구측 직경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탄성 확장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탄성 확장가능한 복수의 호퍼판들 사이에 고형의 내용물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복수쌍의 그립퍼(51)(52)들이 동일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는 턴테이블(50)과, 파우치 피더부(60)로부터 파우치(40)를 공급받는 수급부(70)와, 상기 한쌍의 그립퍼(51)(52)를 오므려서 상기 파우치(40)의 입구를 개봉시키는 파우치개봉부(80)와, 상기 파우치(40)의 개봉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90)와, 상기 개봉된 파우치(40)에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1000)와, 상기 식품이 충전된 파우치(40)의 상단부를 실링하는 실링부(200)와, 상기 실링부(200)를 냉각하는 냉각부(300) 및 포장된 파우치(40)를 배출하는 배출부(400)를 구비한다.
상기 턴테이블(50)의 회전구동부, 그립퍼(51)(52)들의 벌림 및 오무림 동작부, 파우치 수급부(70)의 구동부, 파우치 개봉부(80), 검사부(90), 실링부(200), 냉각부(300) 및 배출부(400)의 구성은 본원 출원인이 선등록한 특허에 설명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식품 공급부(1000)는 상기 개봉된 파우치(4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품이 공급되는 투입구와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통형 구조의 호퍼조립체(100)와,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턴테이블(50)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호퍼조립체(100)로부터 낙하되는 액상물을 수용하는 액상물받이(150)와, 상기 턴테이블(5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호퍼조립체(100)로부터 상기 파우치(40)에 식품을 투입하는 동안 상기 액상물받이(150)를 상기 식품의 투입방향으로부터 이탈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160)와, 상기 이동실린더(16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7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실린더(160) 및 액상물받이(150)는 상기 지지대(170)를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호퍼조립체(100)의 크기에 따라서 적정한 위치에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하였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액상물받이(150)는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상기 호퍼조립체(100)로부터 낙하되는 액상물이 일측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액상물받이(150)는 상기 이동실린더(160)에 의해서 이동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A)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액상물이 일측으로 수월하게 모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액상물받이(150)에는 수용된 액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연한 호스(180)가 연결되며, 호스(180)를 통하여 액상물을 상기 호퍼조립체(100)로 재공급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호퍼 조립체(100)는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며 출구측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훅크(130)가 형성된 절두원추(截頭圓錐)형의 통형 호퍼몸체(110)와; 상단부에 상기 각 훅크(130)에 걸어지는 조립공(123)이 형성되고 각 조립공(123) 부분을 힌지지점으로 하여 각각의 하단부가 상호 벌어지거나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퍼몸체(110)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호퍼판(120)과; 상기 각 호퍼판(120)의 상단부 외면을 동시에 감싸서 상기 각 호퍼판(120)의 하단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0);를 구비한다.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각 호퍼판(120)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각 호퍼판(120)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호퍼몸체(1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호퍼몸체(110)의 외면과 접촉되는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된 측의 각 호퍼판(1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인접한 다른 호퍼판의 타측 가장자리를 덮는 날개부(124)가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돌기(122)는 상기 호퍼판(120)의 가장자리로부터 말아져서 형성된다.
상기 조립공(123)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훅크(130)의 길이는 상기 조립공(123)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훅크(130)는 상기 조립공(123)의 상단이 안착되는 안착면(131)과, 상기 안착면(131)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호퍼몸체(11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호퍼판(12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턱(132)과, 상기 탄성부재(140)가 결합되는 결합홈(133)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호퍼몸체(1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4)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훅크(130) 구성으로 인하여, 도 7에서와 같이 호퍼판(120)의 조립공(123) 상단부를 힌지점으로 하여 각 호퍼판(120)들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회동될때 조립공(123)의 하단부가 상기 훅크(130)의 경사면(134)과 간섭없이 원할하게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호퍼 조립체(100)는 상기 호퍼몸체(110) 입구를 통해 투입된 고형의 내용물(예컨대, 김치의 건데기)이 상기 복수의 호퍼판(120)들에 의해 형성된 출구를 거쳐 파우치(40)로 투입될 경우, 상기 각각의 호퍼판(2)들은 고형의 내용물의 투입 관성에 의해 도 7와 같이 일시적으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탄성확장되어 벌어졌다가 내용물이 통과하고 난 뒤 상기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으로 내용물의 공급전의 직경으로 복귀한다.
한편, 상기 날개부(122)들에 의해서 인접하는 호퍼판(120)의 가장자리들이 겹쳐짐으로써, 고형의 내용물들이 호퍼몸체(110)를 통하여 호퍼판(120) 측으로 안내되어 낙하될때 고형의 내용물들이 호퍼판(120)과 호퍼판(120)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각 호퍼판(120)의 날개부(124)가 상기 돌기(122)들에 의해서 호퍼몸체(110)로부터 들뜨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날개부(124)가 인접 호퍼판(120) 가장자리와 이격되게 되어 고형의 내용물이 끼이는 현상을 보다 더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식품 자동포장 장치는 도 2를 참조하면, 수급부(70)의 그립퍼(51)(52)에 파우치 피더부(60)로부터 파우치(40)가 공급되고, 턴테이블(50)이 반시계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그립퍼(51)(52)는 상기 파우치(40)의 상측 양단부를 파지하게 된다.
상기 파우치개봉부(80)에서는 상기 한쌍의 그립퍼(51)(52)들이 상호 근접되도록 회전되면서 파우치(40)를 개봉하게 된다. 이때 파우치(40)의 상부에서는 에어를 토출하여 파우치(40)의 개봉이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90)에서는 상기 파우치(40)의 개봉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식품 공급부(1000)에서는 김치 또는 절단된 파인애플과 같은 액상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파우치(40)에 투입한다.
상기 개봉된 파우치(40)가 상기 식품공급부(1000)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이동실린더(160)의 작동으로 상기 액상물받이(150)가 상기 호퍼조립체(100)의 하부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액상물받이(150)가 상기 호퍼조립체(100)의 하부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상기 호퍼몸체(110)를 통하여 식품을 공급하여 파우치(40)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날개부(122)들에 의해서 인접하는 호퍼판(120)의 가장자리들이 겹쳐짐으로써, 고형의 내용물(김치 건데기)들이 호퍼몸체(110)를 통하여 호퍼판(120) 측으로 안내되어 낙하될때 고형의 내용물들이 호퍼판(120)과 호퍼판(120) 사이에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40)에 식품이 담기면, 상기 이동실린더(160)가 작동하여 액상물받이(150)를 상기 호퍼조립체(100)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턴테이블(50)이 한 스텝 회전하여 식품이 담긴 파우치(40)를 파우치(40)의 상단부를 실링하는 실링부(200)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호퍼조립체(100)에 잔류하는 액상물(예컨대, 김치국물)이 상기 액상물받이(150)로 낙하되어 수집된다. 따라서 액상물 낙하에 따른 장치 주변의 오염을 방지한다. 상기 액상물받이(150)에 수집된 액상물은 상기 호스(180)를 통하여 상기 호퍼조립체(100)로 재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00)에서 상단부가 실링된 파우치(40)는 냉각부(300)에서 냉각된 배출부(400)를 통하여 배출된다.
50...턴테이블 51,52...그립퍼
110...호퍼몸체 120...호퍼판
121,122...돌기 124...날개부
130...훅크 140...탄성부재
150...액상물받이 160...이동실린더

Claims (7)

  1. 파우치의 양측 단부를 파지하는 복수쌍의 그립퍼들이 일정간격으로 마련되며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그립퍼를 오므려서 상기 파우치의 입구를 개봉시키는 파우치개봉부와, 상기 개봉된 파우치에 액상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공급하는 식품 공급부와, 상기 식품이 충전된 파우치의 상단부를 실링하는 실링부와, 실링된 파우치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품 공급부(100)는 상기 개봉된 파우치(4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품이 공급되는 투입구와 식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통형 구조의 호퍼조립체(100)와,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턴테이블(50)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호퍼조립체(100)로부터 낙하되는 액상물을 수용하는 액상물받이(150)와,
    상기 턴테이블(5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호퍼조립체(100)로부터 상기 파우치(40)에 식품을 투입하는 동안 상기 액상물받이(150)를 상기 식품의 투입방향으로부터 이탈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160)와,
    상기 이동실린더(160)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7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받이(150)는 바닥면이 일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받이(150)에 수용된 액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연한 호스(18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조립체(100)는;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좁아지며 출구측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훅크(130)가 형성된 통형의 호퍼몸체(110)와,
    상단부에 상기 각 훅크(130)에 걸어지는 조립공(123)이 형성되고 각 조립공(123) 부분을 힌지지점으로 하여 각각의 하단부가 상호 벌어지거나 근접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호퍼몸체(110)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복수의 호퍼판(120)과,
    상기 각 호퍼판(120)의 상단부 외면을 동시에 감싸서 상기 각 호퍼판(120)의 하단부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호퍼몸체(110)는 절두원추(截頭圓錐)형의 통형이며,
    상기 각 호퍼판(120)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의 판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각 호퍼판(120)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호퍼몸체(11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호퍼몸체(110)의 외면과 접촉되는 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22)가 형성된 측의 각 호퍼판(1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인접한 다른 호퍼판의 타측 가장자리와 겹쳐지는 날개부(124)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립공(123)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훅크(130)는 상기 조립공(123)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23)의 상단이 안착되는 안착면(131)과, 상기 안착면(131)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호퍼몸체(11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호퍼판(12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턱(132)과, 상기 탄성부재(140)가 결합되는 결합홈(133)이 형성된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로부터 상기 호퍼몸체(1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34)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기(122)는 상기 호퍼판(120)의 가장자리로부터 말아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KR1020170102010A 2017-08-11 2017-08-11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KR20190017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010A KR20190017332A (ko) 2017-08-11 2017-08-11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010A KR20190017332A (ko) 2017-08-11 2017-08-11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32A true KR20190017332A (ko) 2019-02-20

Family

ID=6556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010A KR20190017332A (ko) 2017-08-11 2017-08-11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2004A (zh) * 2019-12-07 2020-03-24 湖南思博睿智能装备有限公司 电池壳装箱生产线
KR102275184B1 (ko) * 2020-11-30 2021-07-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 투입 장치 및 식품 투입 방법
KR102346953B1 (ko) * 2021-09-28 2022-01-04 한경준 알콜스왑 제조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59U (ko) 1995-07-26 1997-02-19 낚시대용 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859U (ko) 1995-07-26 1997-02-19 낚시대용 릴 고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2004A (zh) * 2019-12-07 2020-03-24 湖南思博睿智能装备有限公司 电池壳装箱生产线
CN110902004B (zh) * 2019-12-07 2021-04-13 湖南思博睿智能装备有限公司 电池壳装箱生产线
KR102275184B1 (ko) * 2020-11-30 2021-07-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 투입 장치 및 식품 투입 방법
WO2022114432A1 (ko) * 2020-11-30 2022-06-0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 투입 장치 및 식품 투입 방법
KR102346953B1 (ko) * 2021-09-28 2022-01-04 한경준 알콜스왑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4507A (en) Bag filling machine for powdery material
US74308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lling foil bags with food
KR20190017332A (ko)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장치
US38799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particulate material
RU2694402C2 (ru) Поддающаяся повтор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и упаковка с ручкой, а также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их упаковок
CN1902100A (zh) 可重新封闭的包装封闭件
CA2833002C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3771645A (en) Package for dispensing thermoplastic bags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CA2644323A1 (en) Pouch container and method
WO2015134698A1 (en) Dispensing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11422388A (zh) 一种包装机及包装方法
EP2049399B1 (en) An apparatu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elongate foodstuff products
EP2707295B1 (en) Assembling apparatus, assembling method and packaging combination
JP2001219903A (ja) 充填包装装置
KR20230107732A (ko) 액상물받이를 구비한 로터리형 식품 자동포장 장치
JP4300039B2 (ja) 製袋充填包装装置
US20130341364A1 (en) Container for Powder
CA3020775A1 (en) Automatic bagging machine having rollstock support spool
RU2787141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акетов, снабженных системой повторного закрывания
KR102347619B1 (ko) 쌀 진공 포장방법
CN213921714U (zh) 一种用于检测零件的自动打包机
CN203450405U (zh) 一种袋装内膜包装机
JPH05112303A (ja) 袋の箱詰め装置
CA1058583A (en) Bag filling machine for powdery material
JPS61406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