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866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866A
KR20190016866A KR1020170101340A KR20170101340A KR20190016866A KR 20190016866 A KR20190016866 A KR 20190016866A KR 1020170101340 A KR1020170101340 A KR 1020170101340A KR 20170101340 A KR20170101340 A KR 20170101340A KR 20190016866 A KR20190016866 A KR 2019001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drum
circumferential surface
induction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766B1 (ko
Inventor
김범준
박비오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01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766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1319129.5A priority patent/CN114045641B/zh
Priority to AU2017316101A priority patent/AU2017316101B2/en
Priority to RU2019108097A priority patent/RU2704898C1/ru
Priority to CN201780065177.1A priority patent/CN109844211B/zh
Priority to PCT/KR2017/009341 priority patent/WO2018038580A1/ko
Priority to US16/328,100 priority patent/US10941511B2/en
Priority to EP22201834.3A priority patent/EP4155453A1/en
Priority to EP17844000.4A priority patent/EP3505674B1/en
Priority to EP22201833.5A priority patent/EP4155452A1/en
Priority to CN202111319107.9A priority patent/CN114045640B/zh
Priority to US16/059,302 priority patent/US11060231B2/en
Priority to EP18188256.4A priority patent/EP34415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1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66A/ko
Priority to US17/170,134 priority patent/US11421369B2/en
Priority to US17/373,150 priority patent/US11920282B2/en
Priority to KR1020220087035A priority patent/KR102598859B1/ko
Publication of KR10242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7/870,290 priority patent/US11828016B2/en
Priority to US18/382,297 priority patent/US20240044067A1/en
Priority to KR1020230148967A priority patent/KR20230154160A/ko
Priority to US18/440,386 priority patent/US2024018309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05B6/102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the metal pieces being rotated while induction he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브 및 인덕션 모듈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모듈장착부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장착부는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드럼을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도 가열을 통해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브 및 인덕션모듈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의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시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의류처리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일례로 세탁 겸 건조기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가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 두 개의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동시에 2 장치에서 세탁이 수행되거나, 동시에 세탁과 건조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상기 캐비닛(100)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00) 및 상기 터브(2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200)는 거치부재와 댐퍼(800)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는 상기 터브(20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500) 및 상기 터브(200)에서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기 드럼(300)으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캐비닛(100)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회동 가능한 도어(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의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세탁물의 살균처리 및 건조를 위해서 세탁물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세탁과정에서 외부의 급수원에서 온수를 직접 공급받거나, 별도의 전기 히터를 구비하여 세탁수 및 세탁물의 온도를 높였다.
전기 히터는 세탁수에 잠겨 있고 세탁수에는 이물질이나 세제가 포함된다. 따라서, 전기 히터 자체에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은 전기 히터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의 가열은 공기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덕트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공기의 가열을 위해서 전기 히터나 가스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기 가열 방식의 효율은 높지 않다.
최근에는, 히트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를 응축 및 가열하여 다시 터브로 공급하거나, 터브 외부의 공기를 응축 및 가열하여 터브로 공급하고 터브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히트 펌프 건조기는 구성들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는 각각의 장정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요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건셉들(일본등록특허 JP2001070689, 한국등록특허 KR10-922986)이 제공된 바 있다.
유도 가열은 전자기유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가열하는 방법으로 원리적으로는 변압기의 2차 코일 대신 피가열 재료를 사용하여 전자기유도에 의해 유도된 2차전류가 피가열 재료를 흐르는 경우에 발생하는 줄열(joule's heat)을 이용한다.
다만, 종래에는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기본 컨셉들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유도 가열 모듈 구성들,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 연결 및 작용 관계, 그리고 효율을 향상과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내지는 구성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유도 가열 원리를 적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 사상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유도 가열을 통한 의류처리장치의 가열 효율을 향상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을 통하여, 인덕션모듈의 배치 코일과 드럼의 간격을 줄여 가열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통하여, 인덕션모듈이 보다 안정적으로 터브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인덕션모듈의 배치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을 확대하여 가열 효율 높이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모듈장착부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장착부는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함몰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횡방향 단면에서 기준 반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원통형의 터브이면, 횡단면에서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반경을 갖고, 내주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준 반경을 갖는다.
여기서, 모듈장착부는 기준 반경보다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횡단면에서 모듈장착부 부분은 다른 부분과는 작은 반경을 갖게 된다. 따라서, 모듈장착부에서의 드럼과의 거리는 모듈장착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서의 드럼과의 거리보다 작게 된다.
상기 터브의 내주면 중 상기 모듈장착부와 마주하는 부분은,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모듈장착부의 위치가 상기 터브의 최상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의류처리장치가 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의 경우 위치가 상부 하부에 한정될 필요가 없다.
드럼의 외주면과 터브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 거리가 유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드럼이 회전하고 진동할 때 터브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드럼에 세탁물 등 부하가 공급되면 드럼은 하중 증가에 의해 하부로 쳐질 수 있다. 그러면, 드럼 하부의 외주면과 터브 하부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작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드럼과 터브 사이의 이격 거리를 고려하면 터브의 하부가 아닌 터브의 상부에 인덕션 모듈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브의 상부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의 장착 용이 그리고 인덕션 모듈에 결선을 하는 제조 용이 등을 고려하더라도 터브의 상부에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터브의 전후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터브의 전후 길이 중심에서 전방으로 더욱 치우친 위치에 모듈장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터브 후벽의 두께를 고려하면 터브의 후단과 드럼 후단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큰 이격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드럼의 중앙 부분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터브의 전후 길이 중심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인덕션 모듈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수직한 단면상에서 직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횡단면 상에서 직선 구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선은 횡단면 상에서 기준 반경의 일지점에 형성되는 가상의 접선과 상기 직선 구간이 평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 구간은 상기 가상의 접선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선 구간은 터브의 전후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로 연장된 직선 구간은 장방형의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장착부는 장방형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직선구간은 상기 장방형의 면의 원주방향 너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모듈장착부의 형상이 장방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 마름모, 비스듬한 사각형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직선 구간의 폭은 터브의 전후로 이동됨에 따라 변동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모듈장작부의 직선구간은 양단에 상기 터브의 원주와 연결되는 연결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구간은 곡률을 이루거나 직선일 수 있다. 상기 연결구간 역시 기준 반경을 가지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의 중심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듈장착부는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은 곡률을 이루거나 직선의 연결구간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은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의 길이가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인덕션모듈의 원주방향 양단이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덕션모듈의 중심부는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을 연결하는 연결구간의 중심부와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은 전기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드럼에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은 상기 터브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왕복하여 적어도 1회 이상 감기도록 안내되며, 상기 모듈장착부 또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감겨 상기 모듈장착부 또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평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터브의 외주면 또는 상기 모듈장착부와 나란한 형상상으로 체결되는 베이스하우징에 의해서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일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또는 내부로 함몰된 홈에 의해서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직접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상기 드럼의 축방향 길이가 더 길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의 축방향 길이는 가열 가능한 드럼길이보다 대략 40mm 정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은 가열 가능한 드럼부분 전후에서 대략 10~20mm 정도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모듈장착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정방형의 베이스하우징 전후방의 원주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하우징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코일이 권선되지 않는 중앙부나 각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의 전방을 감싸는 전방터브; 상기 드럼의 후방을 감싸는 후방터브; 및 상기 전방터브와 후방터브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전방터브 및 상기 후방터브에 걸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하우징 하부면과 간격을 보상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결합부가 돌출되어 맞물리는 부분을 제외하고 방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 하부에 구비되는 부분은 상기 전방터브 또는 후방터브 중 어느 하나의 말단 부근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전방터브 또는 후방터브 중 다른 하나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리브; 및 상기 전방터브 또는 후방터브 중 다른 하나의 말단 인근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리브의 반경방향 외측면과 상기 제2 결합리브의 반경방향 외측면은 동일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리브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며 상기 제2 결합리브와 맞닿을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400) 하부에 구비되는 부분은 고무패킹이 삽입될 수 있는 범위 내로 한정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400)하부에 있지 않는 부분은 상기 제1결합리브 및 제2 결합리브 끝단에서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방터브와 후방터브를 고정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부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이 삽입될 수 있는 부분 및 상기 전방터브와 후방터브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부분이 적층되어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 하부에 구비되는 부분은 고무패킹이 삽입될 수 있는 부분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 하부에 구비되는 부분은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위치되며,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터브의 전방에서 후방을 왕복하여 적어도 1회 이상 감겨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한 면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과 평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평면을 포함하고 이를 코일의 평면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 장착부는 상기 코일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모듈 장착부의 평면이라 할 수 있다. 양자는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코일의 평면과 모듈 장착부의 평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최소화될 수 있다. 만약 어느 하나가 곡면인 경우 전체적으로 양자의 이격 거리는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모듈 장착부와 코일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되면, 결과적으로 코일과 드럼 외주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을 통하여, 자기장을 발생하는 배치 코일과 드럼의 간격을 줄여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인덕션모듈을 터브 외주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인덕션모듈의 배치 코일이 차지하는 면적을 확대하여 가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인덕션모듈이 설치된 의류처리장치의 단면;
도 2은 모듈장착부가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 중심부에 인덕션모듈이 설치된 터브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
도 3은 도 2의 터브의 단면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모듈장착부가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에 걸쳐 인덕션 모듈이 설치된 터브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
도 5는 도 4의 터브의 단면 및 부분 확대도;
도 6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인덕션모듈을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 및
도 7는 인덕션모듈이 설치된 터브의 결합부 단면; 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드럼(300)을 유도 가열하는 건조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0)을 직접 가열하기 위해,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에 인덕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400)은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420)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420)이 1회 이상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코일에 의해서 상기 드럼이 유도 가열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상기 코일(420)을 원형태로 감은 후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420)의 중심을 통과한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코일(420)에 전류의 위상차가 달라지는 교류전류가 통과하면 시간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는 교류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교류자기장은 인접한 도체에 상기 교류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유도자기장이 발생되며, 상기 유도자기장의 변화는 상기 도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유도전류 및 유도자기장은 전기장 및 자기장의 변화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0)이 금속의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드럼(300)은 상기 코일(420)에서 발생된 유도자기장으로 인해 유도전류의 일종인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맴돌이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금속 재질의 드럼(300)의 저항에 의해 상기 와전류의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고, 상기 드럼(300) 자체가 가열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일(420)과 상기 드럼(300)사이의 간격을 줄여 유도 가열 효율을 증가하기 위해, 상기 인덕션모듈(400)이 설치되는 모듈장착부(210)의 구조를 설명한다.
인덕션모듈(400)은 원통형의 터브(200) 외주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터브(20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경우 뜨거운 수증기나 세탁수 의해 인덕션모듈(400)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드럼(300)과 직접 출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상기 인덕션모듈(400)가 설치되는 모듈장착부(210)는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모듈장착부(210)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함몰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듈장착부(210)과 드럼(300)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면, 인덕션모듈(400)에 의한 가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인덕션모듈(400)에 일정한 교류전류가 흐른다면 코일(420)에 의해서 발생되는 교류자기장의 변화 크기는 일정하다. 다만, 모듈장착부(210)와 드럼(300)간의 간격이 줄어든다면 교류자기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자기장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상기 드럼(300)에 강한 유도전류가 흘러 유도 가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드럼 세탁기인 경우, 상기 모듈장착부(210)는 상기 터브(200)의 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덕션모듈(400) 자체의 무게를 고려하여 상기 터브(20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0)의 회전구조를 고려했을 때 드럼(300) 자체 무게에 의해 하부로 기울어지는바 상기 모듈장착부가 상기 터브(200)의 상부에 위치한다면 상기 드럼(300)의 충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의류처리장치가 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의 경우 위치가 상부 하부로 한정될 필요가 없다.
상기 터브(200)의 내주면 중 상기 모듈장착부(210)와 마주하는 부분은,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 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이 내측방향으로 들어오면 해당 부분의 상기 터브(200)의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 간격이 얇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부분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는바, 상기 터브(200)의 내주면 중 상기 모듈장착부(210)와 마주하는 부분은,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 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브의 내주면 및 외주면 사이 간격을 일정거리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브(200)의 내주면 중 모듈장착부(210)와 마주하는 부분은 회전하는 드럼(300)의 외주면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모듈장착부(210)에 해당되는 터브의 원주면 두께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작아지도록 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듈장착부(210)에 해당되는 부분에서의 터브 내주면과 외주면은 다른 부분에서의 터브 내주면과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즉,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모듈장착부(210) 전체가 함몰된 형태일 수 있으며, 모듈장착부의 일부분만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듈장착부(210)에서 코일과 대향되는 부분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장착부(210)는 상기 터브의 전방에서 후방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모듈장착부가 상기 터브의 전후 길이 보다 짧은 너비를 갖는다면, 상기 터브의 전후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이 중앙부에 위치함이 드럼에 열이 고루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3를 참조하여 상기 인덕션모듈(400)이 설치되는 모듈장착부(210)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듈장착부(210)에 상기 인덕션모듈(400)이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모듈장착부(210)는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기 위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과 수직한 단면상에서 직선구간(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원통형의 터브(200)와 원통형의 드럼(300)에 대한 횡단면(도 2 에서의 A-A' 단면)에서 터브와 드럼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터브의 원형 단면은 원주 전체에서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드럼의 원형 단면은 원주 전체에서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드럼(300)은 회전할 때 최소한의 부피를 요구하면서 최대의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터브(200) 역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게 되면, 터브(200)의 외주면과 드럼(300)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형성된다.
다만, 모듈장착부(210)가 직선구간(211)구간을 포함한고 이러한 직선구간(211)과 터브 중심 사이의 거리는 기준 반경을 갖는 터브(200)의 외주면과 드럼(300)의 간격보다 적은 범위에서 가변 될 수 있다.
모듈장착부(210)는 장방형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직선구간(211)이 상기 장방형의 면의 원주방향 너비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모듈장착부(210)의 형상이 장방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 마름모, 비스듬한 사격형등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모듈장착부가(210)가 장방형의 면을 형성한다면, 상기 모듈장착부 상게 설치되는 인덕션모듈(400)의 형상제작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방형의 면은 원주방향의 너비보다 축방향의 너비가 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원주방향의 너비는 드럼(300)과의 간격을 고려하여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축방향 너비를 길게 하여 인덕션모듈(400)이 장착될 수 있는 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장착부(210)의 직선구간은 양단에서 상기 터브(200)의 원주와 연결되는 연결구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간(212)은 곡률을 이루거나 직선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구간(212) 역시 기준 반경을 가지는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드럼(300) 외주면과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드럼(300)과의 간격을 고려하여 직선구간(211)의 길이가 한정될 수 있고, 인덕션모듈(400)의 원주방향 너비가 직선구간(211)을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직선구간(211) 양단에 터브(200)의 원주와 연결되는 연결구간(212)을 포함하여 모듈장착부(210)의 면적을 크게 하면서 드럼(300)과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인덕션모듈(420)의 코일(420)이 상기 모듈장착부(210)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드럼(300)과의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션모듈(420)은 전기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420)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420)은 상기 모듈장착부(210)와 일정간격를 형성하며, 적어도 1회 이상 감기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420)과 유도전류가 흐르는 드럼(300)과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인덕션모듈(400)은 상기 직선구간(211)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400)의 코일(420)의 중심부가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211)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상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덕션모듈(400)의 코일(420)은 중심부에서 드럼(300)과 가장 근접하게 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드럼(300)과 멀어지도록 상기 모듈장착부(210)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직선구간(211)의 중심에서 상기 드럼(300)과의 거리가 최소가 되고, 직선구간(211)의 양측으로 갈수록 드럼(300)간의 간격이 멀어진다. 이 경우, 상기 터브(200)의 원주방향으로 권선되는 코일(42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상기 드럼(300)에 강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직선구간(211)은 모듈장착부(210)의 좌우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직선구간(211)에 대응되는 부분에 코일을 더욱 집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상기 인덕션모듈(400)이 설치되는 모듈장착부(210)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모듈장착부(210)에 상기 인덕션모듈(400)이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모듈장착부(210)는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기 위해, 상기 드럼(300)의 회전축과 수직한 단면상에서 제1 직선구간(211a) 및 제2 직선구간(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직선구간과 제2 직선구간은 터브의 기준 반경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직선구간(211a) 및 제2 직선구간(211b)는 연결구간(21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간(212)은 곡률을 형성하거나 직선을 형성할 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구간(211a) 및 제2 직선구간(211b)는 각각 모듈장착부(210)가 포함하는 장방형의 면의 원주방향 너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장방형의 면은 인덕션모듈(400)을 형성하고 설치하기 용이하기 위함으로, 장방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모듈장착부(210)는 적어도 두 개의 장방향의 면이 연결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양쪽의 두 개의 직선구간은 중앙의 곡선구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직선구간들과 곡선구간의 조합에 의해서 모듈장착부(210)가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직선구간(211)은 드럼(300)과 터브(200)의 간격을 고려하여 일정 길이 이상 형성될 수 없다. 이 경우 터브의 기준 반경 외측에 구비되는 구간은 터브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구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확장된 구간은 인덕션 모듈의 베이스 하우징(410)의 장착을 위한 부분에 불과할 수 있다. 즉, 확장된 구간에는 코일이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베이스 하우징(410)의 내부에 코일(71)이 위치되어 베이스 하우징(410)의 테두리가 상기 코일(420)을 감싸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코일(420)과 베이스 하우징(410)의 최외각 사이에는 이격 간격이 구비되며, 이러한 이격 간격은 상기 확장된 구간에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구간(211a) 및 제2 직선구간(211b)의 길이는 일치함이 바람직하다. 직선구간(211)의 길이는 드럼(300)과의 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길이가 짧으면 드럼(300)과의 간격이 멀어지게 된다. 즉, 양자가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인덕션 모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인덕션 모듈을 모듈장착부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인덕션모듈(400)은 상기 제1 직선구간(211a) 및 제2 직선구간(211b)에 걸쳐 상기 모듈장착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션모듈(400)의 원주방향 양단이 제1 직선구간(211a) 및 제2 직선구간(211b) 중앙에 위치하고, 인덕션모듈(400)의 중심부는 상기 제1 직선구간(211a)과 제2 직선구간(211b)이 연결되는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인덕션모듈(400)의 배치 코일(420) 상기 연결구간(212)을 중심으로 터브(2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왕복하여 감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치 코일(420)이 모듈장착부(420)에 평행하게 감긴다면, 은 원주방향 양단에서 드럼(300)과 가장 근접하게 되고,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드럼(300)과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브(200)의 축방향으로 권선되는 코일(42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상기 드럼(300)에 강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인덕션모듈(400)의 구조 특히 베이스 하우징(410)의 체결부(411)의 구조 및 위치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덕션모듈은(400)은 드럼(30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덕션모듈(400)이 설치되는 모듈장착부(210)의 직선구간을 늘리는데 한계가 있으며, 드럼(300)의 회전방향을 고려해서 최소한의 면적으로 드럼(30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420)의 축방향 길이는 가열 가능한 드럼(300)길이보다 40mm정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420)은 가열 가능한 드럼부분 전후에서 10~20mm 정도 떨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하우징(410)은 원주방향 양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부(743)를 통해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 또는 모듈장착부(2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411)는 베이스 하우징(410) 전후방의 원주방향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체결부(411)이 베이스하우징(410)의 전방과 후방에 위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체결부(411)의 위치는 베이스하우징(410)이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베이스하우징(410)이 터브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411)가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방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시킨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즉, 체결부(411)에 의해서 베이스하우징(410)이 터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길이를 더욱 증가시킨 일례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하우징(410) 및 모듈장착부(210)는 터브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하우징(410)의 베이스를 원주 방향으로 확장하지 않고 체결부(411)만 확장함으로써, 더욱 견고히 베이스하우징(410)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베이스 하우징의 양쪽 측방의 전단과 후단에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전방과 후방의 양단에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보다, 보다 견고한 베이스하우징의 고정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의 위치로 인해, 베이스하우징(410) 내부에 코일(420)이 배열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베이스하우징(410)을 축방향으로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하우징(410)을 원통형 터브(200)에 밀착시켜 상기 드럼(300)과의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조하여, 터브(200)의 결합부(240)와 베이스하우징(410)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240)는 전방 터브(220)와 후방 터브(21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가장 크게 돌출될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즉, 전방 터브(220)와 후방 터브(210)가 결합되는 부분이므로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부(240)는 터브의 원주 방향으로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의 외주면에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인덕션 모듈과 연결부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섭을 회피하려 하는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이 상기 연결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에 구비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과 드럼 사이의 이격 간격이 증가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상기 인덕션 모듈(400)이 결합부(240)에 의해서 이격되는 길이를 줄여 유도 가열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보색될 필요가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00)은, 상기 베이스하우징(41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브(200)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하우징(410) 하부면과 간격을 보상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240)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240)의 돌출길이와 보강리브의 돌출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상기 결합부(240)와 만나지 않는 부분은 보강리브에 의해서 사이 터브(200)의 외주면과 간격을 보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결합부(240)와 만나지 않는 부분에서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하우징(4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부(240)는 베이스하우징(410)의 베이스 하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결합부(240)가 마치 보강리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240)를 통해서도 베이스하우징(410)이 터브(200)에 보다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40)는 제1 결합리브(211)과 제2 결합리브(2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양자가 서로 결합되어 결합부(240)를 이룰 수 있다. 제1 결합리브(211)는 전방 터브(2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결합리브(221)는 후방 터브(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일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 결합리브(211)가 후방 터브 (210)에 형성되고 제2 결합리브(221)가 전방 터브(220)에 형성된 예로 하여 결합부(240)를 설명한다.
결합부(240) 중 일부분은 인덕션 모듈(400) 하부에 위치된다. 즉, 터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결부 중 일정 각도에 해당되는 부분은 인덕션 모듈 하부에 위치된다. 이 부분 또한 모듈 장착부라 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211)는 후방 터브(21)의 말단(전단) 근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결합리브(221)는 전방 터브의 말단(후단) 근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리브(211)는 상기 후방 터브(210)의 말단과 함께 삽입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전방 터브(220)의 말단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 내부에는 고무 패킹과 같은 실링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터브(220)의 말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실링 부재가 압축되어 실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결합리브(211)의 말단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리브(211)는 상기 제1결합리브(211)와 맞닿을 수 있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리브(211)와 제2 결합리브(221)의 형상에 의해서 결합부(240)에서의 결합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즉, 반경 방향 확장부에 의해서 결합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연결부의 돌출 길이가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코일(420)과 드럼(20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상기 베이스하우징(410)에는 상기 결합부(240)가 삽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부에 결합부(240)가 삽입되어 베이스하우징(410)이 고정됨으로써, 코일은 터브의 외주면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코일은 연결부의 반경 방향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함으로써, 코일과 터브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부에서의 베이스하우징 베이스는 생략되고, 코일 슬롯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에도 코일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연결부의 반경 방향 외측면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 결합리브(211)과 제2 결합리브(221)의 반경 방향 외측면은 동일 반경을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반경방향 외측면과 상기 제2 결합리브(221)의 반경방향 외측면은 동일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연결부의 반경 방향 확장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b에서는 결합부(240)의 돌출 높이를 줄인 형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부(240)에서의 반경 방향 결합면적이 줄어든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부(240)는 터브의 원주 방향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모듈 장착부에 대응되는 연결부 부분에서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부분에서의 연결부는 도 7a에서의 연결부와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덕션 모듈은 터브의 외주면에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터브의 원주 길이 전체에서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원주 길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부에 위치하는 결합부(240)에서는 반경 방향 확장부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의 결합부(240)에서는 반경 방향 확장부를 생략하고, 고무패킹이 삽입될 수 있는 부분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방 터브(220)와 후방 터브(210)의 결합력은 볼트나 스크류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240)에서 볼트나 스크류를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조이면, 양자는 서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나 스크류의 체결 위치는 터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 장착부에 위치하는
결합부(240)에는 이러한 볼트나 스크류 체결이 생략될 수 있고, 아울러, 이러한 체결을 위한 구조도 생략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체결을 위한 구조에 의해서 결합부(240)는 반경 방향으로 더욱 확장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듈 장착부에 대응되는 결합부(240)에서는 전방 터브와 후방 터브의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의 특성 그리고 하중과의 관계에서, 터브의 상부는 터브의 하부보다 결합 안전 계수가 낮게 된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의 원주 방향 폭과 터브의 원주 길이를 감안하고, 인덕션 모듈이 터브 상측에 위치됨을 감안하면, 이러한 연결부(25)의 구성은 충분히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도 베이스하우징(410)에 관통부를 형성하고, 연결부가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보다 더욱 인덕션 모듈과 드럼 사이의 이격 간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모듈장착부의 형상 그리고 모듈장착부에 위치되는 연결부의 구조 및 베이스 하우징과의 연결 구조에 의해서, 코일과 드럼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현저히 줄여 매우 높은 효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캐비닛 200: 터브
210: 모듈장착부 211: 직선구간
240: 결합부 300: 드럼
400: 인덕션모듈 410: 베이스하우징
420: 코일 411: 체결부

Claims (18)

  1.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모듈장착부에 구비되며,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장착부는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내주면 중 상기 모듈장착부와 마주하는 부분은, 기준 반경을 갖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보다 반경 반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과 수직한 단면상에 직선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장착부는 장방형의 면을 포함하며, 상기 직선구간은 상기 장방형의 면의 원주방향 너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직선구간 양단에 상기 터브의 원주와 연결되는 연결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구간은 곡률을 이루거나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모듈의 중심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직선구간에 수직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장착부는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은 곡률 또는 직선의 연결구간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인덕션모듈의 원주방향 양단이 상기 제1 직선구간 및 제2 직선구간에 걸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금속 재질의 드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위치되며, 자기장을 형성하여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터브의 전방에서 후방을 왕복하여 적어도 1회 이상 감겨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한 면을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과 평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장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코일이 감기는 몸체가 되고,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나란하게 체결되는 베이스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상기 드럼의 축방향 길이가 더 길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의 양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에 의해서 상기 터브 외주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드럼의 전방을 감싸는 전방터브;
    상기 드럼의 후방을 감싸는 후방터브; 및
    상기 전방터브와 후방터브를 연결하며,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전방터브 및 상기 후방터브에 걸쳐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하우징은,
    하부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터브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하우징 하부면과 간격을 보상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 하부에 구비되는 부분은,
    상기 전방터브 또는 후방터브 중 어느 하나의 말단 부근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전방터브 또는 후방터브 중 다른 하나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결합리브; 및
    상기 전방터브 또는 후방터브 중 다른 하나의 말단 인근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결합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리브의 반경방향 외측면과 상기 제2 결합리브의 반경방향 외측면은 동일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리브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며 상기 제2 결합리브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중 상기 인덕션모듈 하부에 구비되는 부분은 상기 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101340A 2016-08-25 2017-08-09 의류처리장치 KR10242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40A KR102422766B1 (ko) 2017-08-09 2017-08-09 의류처리장치
EP22201833.5A EP4155452A1 (en) 2016-08-25 2017-08-25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induction heater
AU2017316101A AU2017316101B2 (en) 2016-08-25 2017-08-25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780065177.1A CN109844211B (zh) 2016-08-25 2017-08-25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17/009341 WO2018038580A1 (ko) 2016-08-25 2017-08-25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6/328,100 US10941511B2 (en) 2016-08-25 2017-08-25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2201834.3A EP4155453A1 (en) 2016-08-25 2017-08-25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n induction heater
EP17844000.4A EP3505674B1 (en) 2016-08-25 2017-08-25 Laundry treatment apparatus
RU2019108097A RU2704898C1 (ru) 2016-08-25 2017-08-25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CN202111319107.9A CN114045640B (zh) 2016-08-25 2017-08-25 衣物处理装置
CN202111319129.5A CN114045641B (zh) 2016-08-25 2017-08-25 衣物处理装置
EP18188256.4A EP3441513B1 (en) 2017-08-09 2018-08-0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6/059,302 US11060231B2 (en) 2017-08-09 2018-08-0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7/170,134 US11421369B2 (en) 2016-08-25 2021-02-08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7/373,150 US11920282B2 (en) 2017-08-09 2021-07-1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0220087035A KR102598859B1 (ko) 2017-08-09 2022-07-14 의류처리장치
US17/870,290 US11828016B2 (en) 2016-08-25 2022-07-2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8/382,297 US20240044067A1 (en) 2016-08-25 2023-10-20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230148967A KR20230154160A (ko) 2017-08-09 2023-11-01 의류처리장치
US18/440,386 US20240183099A1 (en) 2017-08-09 2024-02-1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40A KR102422766B1 (ko) 2017-08-09 2017-08-09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35A Division KR102598859B1 (ko) 2017-08-09 2022-07-1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66A true KR20190016866A (ko) 2019-02-19
KR102422766B1 KR102422766B1 (ko) 2022-07-19

Family

ID=6320762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40A KR102422766B1 (ko) 2016-08-25 2017-08-09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87035A KR102598859B1 (ko) 2017-08-09 2022-07-14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8967A KR20230154160A (ko) 2017-08-09 2023-11-0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035A KR102598859B1 (ko) 2017-08-09 2022-07-14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48967A KR20230154160A (ko) 2017-08-09 2023-11-0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060231B2 (ko)
EP (1) EP3441513B1 (ko)
KR (3) KR1024227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10A1 (en) * 2021-11-30 2023-06-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101407A1 (en) * 2021-11-30 2023-06-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079B1 (ko) * 2017-08-09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77042B1 (ko) * 2017-08-09 202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704189B2 (en) * 2017-08-25 2020-07-0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having an ultrasonic drying mechanism
KR20200018242A (ko) * 2018-08-09 202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598042B2 (en) 2019-03-28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duction heat
KR20230080887A (ko) * 2021-11-30 202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846A (en) * 1977-10-05 1980-01-01 Cunningham Ronald J Rotary heating apparatus
DE102014208514A1 (de) * 2014-05-07 2015-11-12 BSH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Induktionsheizung
DE102016110859B3 (de) * 2016-05-19 2017-06-22 Miele & Cie. Kg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477A (en) * 1936-02-24 1941-02-04 Robert J Anderson Washing machine
DE4313538A1 (de) * 1993-04-24 1994-10-27 Foron Waschgeraete Gmbh Einrichtung zum Trocknen von Textilgut in Wäschetrommeltrocknern
JP3870620B2 (ja) 1999-09-09 2007-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濯機
JP2004135998A (ja) 2002-10-21 2004-05-13 Nippon Kouatsu Electric Co ドラム式衣類乾燥機
AU2004203022B2 (en) * 2003-07-08 2010-01-28 Lg Electronics Inc. Drum-type washing machine
ATE460525T1 (de) 2006-10-19 2010-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Haushaltwaschmaschine mit induktiver heizung
ES2565241T3 (es) * 2008-03-11 2016-04-01 Whirlpool Corporation Aparato de lavado con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KR100922986B1 (ko) 2009-01-12 2009-10-22 윤태소 건조기
DE102009026646A1 (de) * 2009-06-02 2010-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in einer Waschmaschine mittels einer Induktionsheizung sowie Waschmaschine hierfür
TR201005181A2 (tr) 2010-06-25 2010-12-21 Vestel Beyaz E�Ya Sanay� Ve T�Caret Anon�M ��Rket�@ Bir indüksiyon ısıtma sistem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846A (en) * 1977-10-05 1980-01-01 Cunningham Ronald J Rotary heating apparatus
DE102014208514A1 (de) * 2014-05-07 2015-11-12 BSH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Induktionsheizung
DE102016110859B3 (de) * 2016-05-19 2017-06-22 Miele & Cie. Kg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10A1 (en) * 2021-11-30 2023-06-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23101407A1 (en) * 2021-11-30 2023-06-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60231B2 (en) 2021-07-13
EP3441513A1 (en) 2019-02-13
US11920282B2 (en) 2024-03-05
US20240183099A1 (en) 2024-06-06
KR20230154160A (ko) 2023-11-07
KR20220103904A (ko) 2022-07-25
KR102422766B1 (ko) 2022-07-19
KR102598859B1 (ko) 2023-11-06
US20210340702A1 (en) 2021-11-04
US20190048511A1 (en) 2019-02-14
EP3441513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6866A (ko) 의류처리장치
US11421369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7780163B (zh) 衣物处理装置
KR10259239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16863A (ko) 의류처리장치
EP344151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4045640B (zh) 衣物处理装置
KR102661665B1 (ko) 의류처리장치
EP3162951B1 (en) Blowing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adapted to perform at least a drying cycle, such as a washing/drying machine or a drying machine, and household appliance adapted to perform at least a drying cycle, such as a washing/drying machine or a drying machine, comprising said blowing unit
CN110387696A (zh) 一种洗衣机
EP3162949B1 (en) Support element adapted to connect a drying system of a household appliance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a drying cycle,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uch a support element
CN115369608A (zh) 一种衣物处理装置
CN118632955A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