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88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0887A KR20230080887A KR1020210168422A KR20210168422A KR20230080887A KR 20230080887 A KR20230080887 A KR 20230080887A KR 1020210168422 A KR1020210168422 A KR 1020210168422A KR 20210168422 A KR20210168422 A KR 20210168422A KR 20230080887 A KR20230080887 A KR 202300808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induction module
- tub
- outer circumferential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을 유도전류로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이 최적위치와 길이, 너비를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세탁은 물과 세제를 투입해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옷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하며, 건조는 젖어 있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효율을 높이거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 의류 또는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터브에 직접 히터가 투입되어 물을 가열하거나,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의류와 물을 가열하였다.
그러나, 히터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히터가 항상 물에 잠겨있어야 하는 필수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물이 없을때는 의류를 가열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은 열풍이 순환되거나 공급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서 공기를 별도로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등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드럼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을때는 열풍으로 의류 또는 물을 가열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근자에는 금속재질의 드럼을 유도전류를 통하여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9-0016866호 참조)
도1은 드럼을 유도전류를 통해 직접가열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금속재질의 드럼을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T)와,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덕선 모듈(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유도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에 와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드럼에 발생된 와전류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상기 드럼 자체를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이 물에 잠겨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필요에 따라 상기 드럼을 가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하거나 물을 가열할 수 있었다.
상기 인덕션모듈(I)는 상기 터브(T)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드럼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브(T)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었다. 상기 터브(T)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 모듈(I)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상기 드럼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인덕션모듈(I)은 크게 구비되면 구비될수록 마주하는 드럼과의 면적이 확장되기 때문에 드럼의 가열성능을 증가시킬 수있다. 그러나, 상기 인덕션모듈(I)은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므로, 무리하게 커지면 다른 금속재질의 구성을 가열하거나 전자기장을 가하게되어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모듈(I)는 상기 터브(T)에 수용된 드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럼은 터브(T)에 수용된 특성상 상기 터브(T)의 길이보다는 작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모듈(I)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터브(T)의 전체길이보다는 작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T) 내부에서 회전하기 문에, 상기 인덕션모듈(I)의 원주방향 너비는 상기 드럼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 및 너비를 상기 터브(T)의 전체 길이 대비 너무 작게 설치하여, 상기 드럼을 효과적으로 가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인덕션모듈(I)이 상기 드럼 외주면 중 일부만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드럼의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최적의 길이와 너비를 갖춘 상기 인덕션모듈(I)의 설계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터브에 수용된 금속재질의 드럼을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최소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인덕션의 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터브에 수용된 금속재질의 드럼을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최대성능을 보장하면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인덕션의 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가열하면서도 다른 구성을 가열하거나 전자기장을 가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인덕션의 최대길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 중에서도 드럼에 수용된 의류 또는 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구성만을 가열할 수 있는 인덕션의 길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인덕션모듈이 물과 드럼을 수용할 수 있는 터브의 전후방향의 길이보다는 작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의 전단은 터브의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인덕션모듈의 후단은 터브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덕션모듈이 드럼의 전방면보다는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인덕션모듈의 전단은 드럼의 전방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인덕션모듈의 후단은 드럼의 후방면에서 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인덕션모듈은 최대길이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터브와 드럼의 길이 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전후방에 배치된 다른 구성은 가열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드럼의 후방에서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스파이더 보다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의 전방에 구비되어 진동을 감쇠시키는 밸런서 보다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드럼의 전방과 후방에서 일정길이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의 전방 보다 10mm~40mm 정도 이격될 수 있고, 상기 드럼의 후방보다 10mm~40mm 정도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의 전단은 상기 밸런서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은 상기 드럼전방부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드럼전방부와 상기 드럼외주면이 결합되는 부분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는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고정부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부와 중첩 가능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인덕션모듈과 가열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인덕션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부와 중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의 후단은 상기 중앙부의 전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은 입력패널과 안전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터브의 전방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급수밸브와 간섭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터브의 후방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덕션모듈은 전술한 최대 길이 이내에서 더 작은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의 가열효율과 코일의 필수권선수에 따라 드럼 외주면 기준으로 65/100 보다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길이의 인덕션 모듈이 터브에 설치될 수 있도록, 터브는 다양한 길이의 인덕션 모듈이 모두 설치될 수 있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터브는 상기 제1길이를 구비하는 인덕션 모듈이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제2길이를 구비하는 인덕션 모듈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 전체길이의 65/100 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전체길이의 99/100 사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중심에서 전후방으로 같은 간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터브에 수용된 금속재질의 드럼을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최소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하는 터브에 수용된 금속재질의 드럼을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최대성능을 보장하면서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을 가열하면서도 다른 구성을 가열하거나 전자기장을 가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 중에서도 드럼에 수용된 의류 또는 물을 가열하는데 필요한 구성만을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인덕션 모듈에 코일이 권선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인덕션 모듈에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상기 인덕션 모듈의 코일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인덕션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이 최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다른 크기의 인덕션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터브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인덕션 모듈에 코일이 권선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인덕션 모듈에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상기 인덕션 모듈의 코일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 인덕션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이 최소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다른 크기의 인덕션 모듈을 설치할 수 있는 터브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이 출입되는 개구부(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개구부(17)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는 환형의 도어프레임(161)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된 투시창(1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17)에 연통하도록 전방에 터브 투입구(27)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20)는 지지부(7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터브(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댐퍼(71)와, 상기 터브(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스프링(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터브(2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수용하며, 전방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7)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구부, 터브 투입구(27) 및 드럼 투입구(31)를 통해 상기 드럼(30)의 내부공간에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30) 내부 공간으로부터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외주면(32)과, 상기 드럼의 후방에 구비되어 구동부(40)와 결합되는 드럼배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외주면(32)은 다수의 관통홀(321)을 포함한다. 이는 터브(20)에 저장된 물이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에서 배출된 물이 터브(20) 내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의 회전 시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 내부의 편심을 보상하는 밸런서(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서(35) 내부에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질량을 구비하는 복수의 볼 또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터브(2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터브(20)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4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2), 터브(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배면(33)과 로터(42)를 연결하는 회전축(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드럼배면(33)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스파이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4)는 상기 회전축(43)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일면이 상기 드럼배면(33)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43)을 통해 상기 로터(4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외부급수원과 연통하는 급수밸브(51)와, 상기 급수밸브(51)에서 연장되어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52)과, 상기 급수관(52)에서 물을 공급받고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박스(53)와, 상기 세제박스(53)와 상기 터브(20)를 연결하여 물과 세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터브(20)로 공급하는 공급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53)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급수관(52)로부터 유입된 물에 희석되어 공급관(53)을 통해 상기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53)는 상기 터브(20)의 상부와 캐비닛(10) 사이 공간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0)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0)는 상기 터브(20)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61)과, 상기 배수관(61)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62)와, 상기 배수펌프(62)에서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관(53)을 포함할 수 있다.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터브(20)의 물이 더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펌프(62)와 상기 배수관(61)은 상기 터브(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부와 터브 투입구(27) 사이에는 가스켓(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8)은 터브(20) 내부의 물이 캐비닛(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28)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20)의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패널(1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할 수 있는 세탁코스,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널(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전등과 같은 표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 가열,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 건조 및 리프레쉬(스팀처리)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30)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세탁, 건조 및 리프레쉬(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터브(20)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전선이 권선되어 형성되는 코일(6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코일(600)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0)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덕션모듈(I)이 드럼(30)을 가열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드럼(30) 원주면 외측에 있는 코일(600)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600)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 교류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 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여기서 투자율이란,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자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때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0)에는 와전류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와전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을 타고 흐르다가 드럼(30)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열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30) 내벽이 직접 가열되게 된다.
드럼(30)의 내벽이 직접 가열되면 드럼(30) 내부의 공기온도와 드럼(30)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의류의 온도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류의 직접가열이 가능하므로 간접 가열방식인 열풍 건조방식이나, 저온 제습 건조방식만을 사용하는 건조 장치에 비해 더 빠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 뿐만 아니라 세탁기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별도의 상기 터브(20) 내부에 노출된 열선과 유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되고, 물은 드럼(30) 내외벽에 계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브(20) 하부에 별도의 히터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더 빠른 물 가열이 가능하다.
도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터브(20)의 원주면에 장착되며, 전선이 권선된 코일(600)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0)의 원주면을 가열한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상기 코일(600)을 터브(20)의 상면에 설치하는 베이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은 터브(20)의 원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축(75)을 통과하며 지면과 나란한 수평면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방 길이가 상기 터브(20)의 원주방향과 대응되는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는 안착면(120)과, 상기 베이스바디(120)의 하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바닥면(130)과, 상기 베이스바디(110)를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결합시키는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안착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일(6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기 드럼(30)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안착면(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안착리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스크류 방식과 같이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일(600)이 안착되거나 삽입되는 설치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상기 코일(60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상기 캐비닛(10)이 아닌 상기 드럼(30)을 향하여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막대자석인 영구자석(310)과, 상기 영구자석(310)을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자석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코일(600)이 권선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상기 코일(6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600)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코일과 외부에 배치된 코일의 상부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커버(320)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하우징바디(321), 상기 하우징바디(321)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310)이 안착되는 자석설치부(322) 및 상기 하우징바디(3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자석설치부(322)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위치한 공기 유동홀(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영구자석(310)이 수용되고 설치되는 공간을 확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자석커버(320)를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코일(6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이스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400)는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되는 커버바디(410), 상기 커버바디(4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대류에 의해 열기(공기)가 유동하거나 송풍팬(500)이 안착되는 공기배출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400)에는 상기 베이스(100) 상기 인덕션모듈(I)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500)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0)은 상기 인덕션모듈(I)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인덕션모듈(I)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배출홀(420)을 통해서 베이스커버(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 내부에는 베이스 커버(400)와 자석결합부(300) 및 베이스(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유동홀(323) 등에 의해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바디(110)에는 관통부(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내부 공간에서 코일(600)을 냉각시키고 관통부(111)를 통해서 인덕션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커버(320)과 상기 베이스 커버(400)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있어, 영구자석(310)의 상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이로써, 영구자석(310)이 과열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커버(320)과 상기 베이스 커버(400)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있어, 영구자석(310)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여 영구자석(310)을 쉽게 교환할 수 있고, 영구자석(310)을 고정하는 부품이 폐쇄면을 가지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사출제작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베이스(100), 자석커버(320) 및 베이스 커버(400)를 상기 터브(20)에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나사가 삽입되는 고정홀(141)이 형성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에는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하는 중공을 구비한 결합부 (25)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커버(320)는 상기 하우징바디(321)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하여 나사가 삽입되는 자석고정홀(321)이 형성된 자석고정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석고정부(330)는 상기 하우징바디(321)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커버(400)에는 커버바디(410)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하는 커버고정홀(431)이 형성된 커버고정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나사가 상기 커버고정홀(431)- 자석고정홀(331)- 고정홀(141)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부(25)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4은 상기 인덕션모듈의 베이스(100)를 도시한 것이다.
인덕션 모듈(I)은 코일(600)을 터브(20)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역할을 하며, 터브(20)가 진동하더라도 코일(60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a)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상면에 상기 코일(600)이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안착면(120)과, 상기 안착면(120)에서 돌출되어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어 고정되는 안착리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관통부(111)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관통부(111)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안착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안착면(120)의 둘레를 따라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때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안착리브(200)들 사이에 상기 코일(60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안착면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경이 점점 커지는 원, 타원 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트랙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트랙형상이란 직선부와 곡선부가 혼합된 형상으로 상기 안착면(120)에 코일(600)이 안착되는 면적을 원이나 타원 형상 보다 최대화 할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잇다.
상기 안착리브(200)가 상기 안착면(120)에서 연장되는 형상에 따라 상기 코일(600)이 권선된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안착면(120)에서 상부로 돌출되거나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높이는 상기 코일(600)의 두께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권선된 코일(600)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시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리브(200)에 권선된 코일(600)에 별도의 절연막을 입힐 필요가 없거나 절연막의 두께를 최소로 할 수 있어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들은 상기 코일(600)가 억지 끼움이 되도록 상기 코일(600)의 선경보다 폭이 좁은 슬롯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230)의 폭은 코일(600)의 선경의 93% 내지 97%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600)가 상기 설치공간(230)에 억지 끼움되면, 터브(20)의 진동이 상기 코일(600)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코일(600)이 설치공간(230)에 고정되는 것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600)이 설치공간(2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며, 유동자체가 억제되기 때문에 유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상기 코일(600)가 삽입된 후 절곡되어 상기 코일(6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절곡되거나 열화처리 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상기 코일(600)을 고정하는 고정후크(221)를 형성할 수 있다.
도4(a)를 참조하면, 코일(600)은 상기 설치공간(230)에 억지끼움된 후, 안착리브(200)는 상면이 가압되면서 용융될 수 있다. 그러면, 용융된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양쪽으로 퍼져 양측 코일(6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코일(600)을 설치공간(23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시키고 안착리브(200)의 상단을 녹임 처리함으로써, 코일(600)가 이탈할 수 있는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고, 코일(600)의 유동을 방지하여 터브(20)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며, 부품 간 유격이 없어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는 코일(600)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코일(600)이 베이스(100)의 하면에 구비되도록 안착리브(200)가 베이스(100) 하부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도4(b)는 베이스(10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면(130)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3(b)을 보면 베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지지바(131)가 구비될 수 잇다.
상기 지지바(131)는 터브(20) 외주면과 베이스(100)의 밀착력을 강화하고 상기 베이스(1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지 않는 상기 안착면(120)의 중심에 관통홀(11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터브(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1)는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11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가 상기 터브(20)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부(25)에 고정되면, 지지바(131)에 의해 터브(20) 외주면이 가압된다. 이로써, 베이스(100) 하면 전체가 터브(20) 외주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더 강한 압력으로 상기 터브(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20)가 진동하더라도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 외주면에서 쉽게 이동하거나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5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코일(600)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안착면(120)의 최외곽에 인접한 위치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코일(600)이 상기 안착리브(200) 사이에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Section A-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일(600)을 형성하는 전선은 상기 안착리브(200) 사이에 면접촉되어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일(600)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의 양단은 상기 컨트롤패널(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의 일단은 상기 안착면(120)의 중심에 구비된 관통홀(321)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면(120)에서 상기 안착리브(200)의 최외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은 상기 컨트롤패널(15)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바닥면(130)을 통해 상기 안착면(120)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착리브(200)에 권선된 후, 상기 컨트롤패널(15)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리브(200)에 권선된 코일은 다시 상기 바닥면(130)으로 연장된 후 상기 컨트롤패널(15)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진동변위가 가장 작은 지점인 바닥면을 통해 코일(600)이 상기 베이스(10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81a)를 따라 형성되는 진동 위상차를 감소시켜 단선 및 탈거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코일(600)의 양단은 상기 터브(2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5)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의 후방이 구동부(40)와 더 가까우므로 진폭이 작은 것을 고려한 것이다.
도6는 자석커버(32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설치공간(230)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100)과 결합하는 자석커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커버(320)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코일(600) 및 영구자석(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321) 의 하면은 베이스(100)의 안착리브(20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커버(32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석설치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상기 영구자석(31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안착리브(320)의 상단에 밀착하여 더 강한 압력으로 상기 안착리브(320)를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터브(2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유격에 의한 소음이나 코일(600) 이탈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코일(6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6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전체를 가압하지 않고도 코일 전체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하우징바디(321)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석커버(320)가 베이스(10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코일(60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코일(600)을 가압하는 수단이나 단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영구자석(31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커버(320)에 영구자석(310)이 고정되면, 자석커버(320)가 베이스 하우징(100)에 결합됨에 따라 영구자석은 코일(600)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영구자석(310)은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드럼(30)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코일(600) 상면의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영구자석(310)이 터브(20)의 진동에 따라 유동하게 되면 소음 문제뿐만 아니라,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자석설치부(322)는 자석커버(3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자석설치부(322)에 장착된 영구자석(310)의 하면이 코일(600)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는 하부가 개방되는 개방면(3221)이 구비될 수 잇다.
이 경우 상기 양측벽에 의해 영구자석(310)의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으며, 개방면(3221)는 영구자석(310)이 코일(600)의 상면과 더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구자석(310)이 코일(600)에 더 근접하여 구비될수록 자기장은 드럼(30) 방향으로 더 집중적으로 안내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드럼(30)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상기 영구자석(310)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내부로 돌출되는 멈춤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커버(320)는 양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후크(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인덕션 모듈(I)에 설치된 코일(600)과 영구자석(310)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코일(600)은 터브(20) 외주면 상에서 동심원, 타원, 트랙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자기장 전달의 차단부재 역할을 하여 드럼(30) 외에 주변의 다른 구성이 가열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코일(600)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드럼(30) 방향으로 집중시켜 가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막대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6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6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코일과 외부코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동일한 크기의 막대자석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310)은 코일(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만 영구자석(310)이 배치되는 경우 드럼(30)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드럼(30) 원주면의 각 부분마다 달라져 균일 가열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일(60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드럼(30)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가 코일(6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같은 개수의 영구자석(310)이 있다면 코일(600)에서 터브(20)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6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직선부(610)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곡선부(620)와,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제2직선부(63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부(610)는 상기 드럼(30)의 길이와 대응하여 상기 제2직선부(630)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제1직선부(610) 보다 곡선부(620)와 제2직선부(630)에 더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코일(600)의 면적이 작은 영역에 더 많은 자기장이 방사되도록 하여 드럼(3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8은 상기 인덕션 모듈이 설치될 수 있는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드럼(30)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30)에 수용된 물 또는 의류를 가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면적이나 길이가 크면 크게 구비될수록 상기 드럼(30)을 가열하는 가열성능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는 상기 터브외주면(21)의 길이에 해당하는 터브길이(T1)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덕션 모듈(I)이 상기 터브길이(T1)와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30)외에 다른 구성을 가열할 수도 있고, 입력패널(11)이나 급수밸브(51)등 다른 전자제품에 불필요한 자기장 간섭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인덕션모듈(I)은 상기 드럼(30) 외의 구성을 가열하는 것이 방지되는 길이 또는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입력패널(11)과 안전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터브외주면(21)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급수밸브(51) 보다 간섭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터브외주면(32)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간섭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전거리는 상기 입력패널(11)에서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방에 해당하는 길이일 수 있고, 상기 간섭거리는 상기 급수밸브(51)에서 상기 드럼외주면(32)의 후방에 해당하는 길이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터브외주면(21)의 전방과 후방에서 중앙부분을 향하여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드럼(30) 외에 구성을 가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드럼(30) 내부에서도 상기 의류와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영역만 가열하면 충분히 가열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외주면(32)과, 상기 구동부(40)와 결합되어 상기 드럼외주면(32)을 회전시키는 드럼배면(33)과,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외주면(32) 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드럼투입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외주면(32)이 상기 의류를 수용하며 의류와 접촉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드럼외주면(32)을 가열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투입구(31)와 상기 드럼배면(33)은 가열하지 않도록 구비되면, 가장 에너지효율이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외주면(32)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고, 원판형상의 드럼배면(33)과 튜브형상의 드럼투입구(31)가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양단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상기 드럼외주면(32)와 상기 드럼배면(33)이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드럼투입구(31)와 상기 드럼외주면(32)이 결합되는 부분은 가열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에너지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30) 중에 의류를 가열할 수 있는 최적의 가열영역은 상기 드럼외주면(32)에 해당할 수 있고, 이를 유효가열면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단과 후단에서 상기 드럼투입구(31)와 상기 드럼배면(33)이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을 유효가열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인덕션모듈(I)는 상기 유효가열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인덕션모듈(I)의 최대길이는 상기 유효가열면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단에서 후단까지의 길이 드럼길이(D1)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배면(33)는 상기 회전축(43)이 연장되는 스파이더(44)가 결합된다. 상기 스파이더(44)는 상기 회전축(43)이 연장되는 중앙부(441)와 상기 중앙부(44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고정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41)는 상기 회전축(43)이 연장되고 가장 많은 하중과 부하를 받는 곳이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442) 보다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42)는 상기 중앙부(441)에 전달된 동력을 상기 드럼(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중앙부(441)에서 상기 드럼외주면(32)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441) 중 상기 회전축(43) 연장되지 않는 배면은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회전축(43)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중앙부(441)는 상기 중앙부(44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세탁용적이 중앙부(441)로 인해 불필요하게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33)은 상기 스파이더(44)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상기 스파이더(44)를 일부 수용하며 면접촉하도록 전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파이더(44)가 상기 드럼배면(33)에 결합되면, 상기 스파이터(4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중앙부(441)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후단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441)의 적어도 일부도 상기 드럼외주면(32)의 후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4)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금속재질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 모듈(I)이 상기 드럼외주면(32)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스파이더(44)와 마주하면,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스파이더(44)를 불필요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이더(44)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43) 및 로터(42)까지 가열되어 구동부(40)가 손상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인덕션모듈(44)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후단에서 상기 스파이터(44)와는 이격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파이더(44)의 고정부(442)는 상기 드럼배면(33)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외주면(32)에 가깝게 연장되므로, 상기 인덕션모듈(I)의 후단(I2)은 상기 고정부(441) 보다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파이더(44) 중 중앙부(44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부(442) 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모듈(I)이 상기 고정부(442)와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441)와는 마주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중앙부(441)를 가열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44)의 후단(I2)는 상기 중앙부(441)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중앙부(441)는 상기 고정부(442) 보다 상기 인덕션모듈(I)에서 드럼배면의 반지름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유도자기장은 이격된 길이의 제곱 이상으로 감소되므로, 상기 인덕션모듈(I)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상기 중앙부(441)에 도달하기 어렵거나 미량만 도달하여 상기 중앙부(441)를 가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I)의 후단(I2)은 상기 중앙부(441)와 중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I)의 후단(I2)은 터브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부(442)의 전방면(d) 보다는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441)의 전방면(c) 보다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앙부(441)의 양측에 배치되는 드럼외주면(32)도 가열할 필요성이 있고, 상기 중앙부(441)는 상기 인덕션모듈(I)이 가열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인덕션모듈(I)의 후단(I2)은 상기 중앙부(441)의 전방면(C)과 상기 고정부(442)의 전방면(d)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부(441)와 중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드럼외주면(32)에 내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리프터(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34)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길이보다는 짧게 구비되어 상기 리프터(34)의 전단 및 후단과 상기 드럼(30) 사이의 공간으로 의류가 통과하면서 교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리프터(34)와는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프터(34)의 길이보다는 더 길게 구비될 수 도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드럼투입구(331) 또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의 편심을 보상하는 밸런서(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배면(33)은 상기 구동부(40)와 연결된 스파이더(34)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투입구(331)는 자유단으로 구비되어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서(35)는 상기 드럼투입구(331)의 외주면 또는 상기 드럼외주면(32)에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드럼(30) 전체의 편심진동을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런서(35)는 내부에 진동을 보상할 수 있는 유체가 수용될 수도 있고, 하중을 구비하는 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덕션모듈(I)이 상기 드럼투입구(331) 또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이 가열되어 상기 밸런서(35)가 가열되거나, 상기 밸런서(35)가 상기 인덕션모듈(I)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면 상기 밸런서(35)가 손상되거나 가열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I)의 전단(I1)은 상기 밸런서의 전방면(a)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밸런서(34)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밸런서의 후방면(b) 보다도 더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밸런서(34)를 가열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모듈(I)의 전단(I1)은 드럼투입구(331)에 해당하는 드럼전방부(331) 보다도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투입구(331)를 가열하여 상기 가스켓(28)이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션모듈(I)의 전단(l1)은 상기 드럼전방부(331)와 상기 드럼외주면(32)이 결합되는 영역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전방부(331)가 가열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는 터브길이(T1) 보다는 작게 구비되고, 드럼길이(D1) 보다도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전단(I1)이 상기 드럼외주면의 전단 또는 밸런서(34)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후단(l2)이 상기 드럼외주면의 후단 또는 스파이터(44)의 고정부(441)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최대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I)은 터브의 전방과 후방뿐만 아니라 드럼의 전방과 후방에서 일정길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의 최대길이는 드럼외주면의 길이와 100퍼센트 일치되지 않고 약간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L1)는 상기 드럼외주면의 길이인 드럼길이(D1)의 99퍼센트에 해당하는 길이가 최대일 수 있다.
한편, 인덕션 모듈(I)은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외주면(32) 중심에서 전후방으로 같은 간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방과 후방에 동일한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어느 한쪽이 과열되거나 부족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9는 인덕션 모듈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모듈(I)은 상기 베이스(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전후방향길이(L1)는 인덕션모듈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0)의 너비방향의 길이(L2)는 인덕셤모듈의 너비와 대응될 수 있다. 너비방향의 길이는 상기 터브외주면(21)의 둘레방향길이 또는 원주방향의 길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안착면(120)에는 코일(600)이 권선되어 구비되므로, 상기 베이스(100)의 면적은 상기 코일(600)의 면적과 대응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전단이 상기 밸런서(34) 또는 상기 드럼외주면의 전단 보다는 후방에 배치되고, 후단이 상기 고정부(442)의 전방보다는 전방에 배치되는 길이(L1)가 최대길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너비방향길이(L2)는 상기 터브(20)의 상부면에 다른 구성에 간섭되지 않는 최대 너비 또는 코일부(600)의 권선횟수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600)에 권선되는 코일(600)의 직경은 기설정되어 있고,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는 횟수와 면적은 상기 드럼(30)을 가열하여 온수세탁이나 건조행정을 완료할 수 있는 최소값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00)의 너비방향의 길이(L2)는 고정값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가 최대면적으로 구비될 때에는 길이(L1)가 너비(L2)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전후방향의 길이(L1)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체길이의 99/100 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전후방향의 길이(L1)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체길이에서 65/100 보다는 커야 상기 드럼(30)을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가열성능을 최소한으로 달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베이스(100)의 전후방향길이(L1)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체길이에서 65/100 보다 작게 구비되는 경우, 상기 드럼(30)에 수용된 의류를 전체적으로 건조하거나, 상기 드럼(30)을 전방부터 후방 전체영역을 가열할 수 없어, 온수세탁이나 건조행정이 완료될 수 없다.
도10은 상기 인덕션모듈(I)의 최소한으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는 상기 인덕션모듈의 너비(L2)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는 있다. 그러나,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는 상기 인덕션모듈의 너비(L2)보다는 작게 구비될 수 없다. 이는 상기 인덕션모듈의 너비(L2)는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중심부(121)의 직경이 결정되면, 상기 코일(600)의 권선수에 의해 자동적으로 확정되는 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의 길이는 상기 인덕션모듈의 너비(L2)와 동일할 정도까지 최대로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모듈(I) 또는 상기 코일부(600)의 최소형상은 정육면체에 해당될 수 있다.
도11은 상기 인덕션모듈의 다양한 형상을 결합할 수 있는 터브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모듈(I)의 길이(L1)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길이 또는 유효가열면의 길이의 99/100 보다는 작고 65/ 100 보다는 큰 영역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모듈(I)의 길이(L1)는 상기 드럼외주면의 전단 또는 밸런서(34)의 후방과 상기 고정부(442)의 전방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인덕션모듈(I)의 너비(L2) 보다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L1)가 상기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면 가열성능은 보장될 수 있으므로, 전략과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인덕션모듈(I)의 길이(L1)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터브(20)이 결합부(25)의 위치를 다르게 제작하는 경우, 상기 터브(20)를 제작하는 비용이 과다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L1)를 구비한 인덕션모듈(I)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25)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5)는 상기 터브 외주면(21)에 상기 인덕션모듈(I)이 제1길이로 구비될 때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251)는 상기 제1길이로 구비되는 상기 인덕션모듈(I)과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결합부(251)는 제1길이로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100)의 4모서리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는 상기 터브 외주면(21)에서 상기 인덕션모듈(I)이 제1길이보다 더 긴 제2길이로 구비될 때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52)는 상기 제2길이로 구비되는 상기 인덕션모듈(I)과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결합부(252)는 제2길이로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100)의 4모서리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터브(20)는 전방터브바디(211)와 후방터브바디(212)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방터브바디(211)에 구비된 제1결합부(251)보다 전방터브바디(211)에 구비된 제2결합부(252)가 더 전방에 배치되어 투입구(27)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후방터브바디(212)에 구비된 제1결합부(251)보다 후방터브바디(211)에 구비된 제2결합부(252)가 더 후방에 배치되어 구동부(4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결합부(252) 사이에 제1결합부(25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길이로 구비되는 베이스(100)의 너비와 제2길이로 구비되는 베이스(100)의 너비는 코일(600)의 직경 및 권선수에 따라 확정되므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251)와 상기 제2결합부(252)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터브(20)에 두종류 이상의 인덕션모듈(I)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1 입력패널
12 일측면패널 13 타측면패널
14 배면패널 15 컨트롤패널
16 도어 17 개구부
20 터브 21 터브바디 211 제1터브바디 212 제2터브바디
22 장착면 23 둘레면
24 확장면 25 결합부
251 제1결합부 252 제2결합부
27 투입구 28 가스켓
30 드럼 31 드럼투입구
32 드럼외주면 321 관통홀
33 드럼배면 34 리프터
35 밸런서
40 구동부 41 스테이터
42 로터 43 회전축
44 스파이더 441 중앙부
442 고정부
50 급수부 51 급수밸브 52 급수관 53 세제박스 54 공급관
60 배수부 61 배수관 62 배수펌프
70 지지부 71 댐퍼 72 스프링
80 센서 81 제어선
90 숨구멍 91 방지관
I 인덕션 모듈 0 모듈중심
100 베이스 110 베이스바디 111 관통부 112 관통홀
120 안착면 130 바닥면 131 지지바
140 고정부 141 고정홀
200 안착리브 221 고정후크
300 자석결합부
310 영구자석 320 자석커버
321 하우징바디(321)
322 자석설치부 3221 개방면
323 공기유동홀 324 착탈후크
330 자석고정부
400 베이스 커버 410 커버바디
420 공기배출홀 430 커버고정부
440 팬장착부
500 환풍팬 600 코일
610 제1직선부 620 제2직선부 630 곡선부
12 일측면패널 13 타측면패널
14 배면패널 15 컨트롤패널
16 도어 17 개구부
20 터브 21 터브바디 211 제1터브바디 212 제2터브바디
22 장착면 23 둘레면
24 확장면 25 결합부
251 제1결합부 252 제2결합부
27 투입구 28 가스켓
30 드럼 31 드럼투입구
32 드럼외주면 321 관통홀
33 드럼배면 34 리프터
35 밸런서
40 구동부 41 스테이터
42 로터 43 회전축
44 스파이더 441 중앙부
442 고정부
50 급수부 51 급수밸브 52 급수관 53 세제박스 54 공급관
60 배수부 61 배수관 62 배수펌프
70 지지부 71 댐퍼 72 스프링
80 센서 81 제어선
90 숨구멍 91 방지관
I 인덕션 모듈 0 모듈중심
100 베이스 110 베이스바디 111 관통부 112 관통홀
120 안착면 130 바닥면 131 지지바
140 고정부 141 고정홀
200 안착리브 221 고정후크
300 자석결합부
310 영구자석 320 자석커버
321 하우징바디(321)
322 자석설치부 3221 개방면
323 공기유동홀 324 착탈후크
330 자석고정부
400 베이스 커버 410 커버바디
420 공기배출홀 430 커버고정부
440 팬장착부
500 환풍팬 600 코일
610 제1직선부 620 제2직선부 630 곡선부
Claims (13)
-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수용되어 도체로 구비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상기 드럼에 결합시키는 스파이더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이더는
상기 드럼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드럼의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고정부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부와 중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후단은 상기 중앙부의 전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편심을 보상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전단은 상기 밸런서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의 투입구와 마주하는 드럼전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전방부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전방부와 상기 드럼외주면이 결합되는 부분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제1길이를 구비하는 인덕션 모듈이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길이 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제2길이를 구비하는 인덕션 모듈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결합부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입력패널과 안전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터브의 전방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터브에 물을 선택적으로 급수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급수밸브와 간섭거리 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터브의 후방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수용되어 도체로 구비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 전체길이의 65/100 에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의 전체길이의 99/100 사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최소너비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 전체길이의 65/10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의 외주면 중심에서 전후방으로 같은 간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422A KR20230080887A (ko) | 2021-11-30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PCT/KR2022/019248 WO2023101431A1 (en) | 2021-11-30 | 2022-11-30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22901789.2A EP4437171A1 (en) | 2021-11-30 | 2022-11-30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202280090491.6A CN118749037A (zh) | 2021-11-30 | 2022-11-30 | 衣物处理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422A KR20230080887A (ko) | 2021-11-30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0887A true KR20230080887A (ko) | 2023-06-07 |
Family
ID=8661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422A KR20230080887A (ko) | 2021-11-30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437171A1 (ko) |
KR (1) | KR20230080887A (ko) |
CN (1) | CN118749037A (ko) |
WO (1) | WO202310143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0659A1 (ko) * | 2014-06-09 | 2015-12-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KR102422766B1 (ko) * | 2017-08-09 | 2022-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669130B1 (ko) * | 2018-08-09 | 2024-05-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695847B1 (ko) * | 2018-12-13 | 2024-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덕션 히터를 갖는 세탁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EP4116480A4 (en) * | 2020-03-02 | 2024-02-28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MANAGEMENT DEVICE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8422A patent/KR20230080887A/ko unknown
-
2022
- 2022-11-30 EP EP22901789.2A patent/EP4437171A1/en active Pending
- 2022-11-30 WO PCT/KR2022/019248 patent/WO2023101431A1/en unknown
- 2022-11-30 CN CN202280090491.6A patent/CN118749037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01431A1 (en) | 2023-06-08 |
EP4437171A1 (en) | 2024-10-02 |
CN118749037A (zh) | 202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08694B2 (en) | Laundry apparatus | |
KR10259239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6156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6166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69130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3441513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EP3767024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10111179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80887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8089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80888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30080889A (ko) | 의류처리장치 | |
EP4123083A1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
KR20220007230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050101771A (ko) |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와이어 고정 장치 | |
KR20050101772A (ko) |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팬모터 리드 와이어 고정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