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89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890A
KR20230080890A KR1020210168425A KR20210168425A KR20230080890A KR 20230080890 A KR20230080890 A KR 20230080890A KR 1020210168425 A KR1020210168425 A KR 1020210168425A KR 20210168425 A KR20210168425 A KR 20210168425A KR 20230080890 A KR20230080890 A KR 2023008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curved
straight
tub
sea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훈
최동길
김현중
김우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0890A/ko
Priority to PCT/KR2022/019252 priority patent/WO2023101432A1/en
Publication of KR2023008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에 결합되어 드럼을 유도전류를 통해 가열하는 인덕션모듈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간격을 곡면에서도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세탁은 물과 세제를 투입해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옷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하며, 건조는 젖어 있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효율을 높이거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서 의류 또는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되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터브에 직접 히터가 투입되어 물을 가열하거나,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의류와 물을 가열하였다.
그러나, 히터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은 히터가 항상 물에 잠겨있어야 하는 필수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물이 없을때는 의류를 가열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또한,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는 방식은 열풍이 순환되거나 공급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에서 공기를 별도로 가열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등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드럼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을때는 열풍으로 의류 또는 물을 가열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근자에는 금속재질의 드럼을 유도전류를 통하여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3276호 참조)
도1은 드럼을 유도전류를 통해 직접가열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금속재질의 드럼을 드럼(30)을 수용하는 터브(20)와,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인덕션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70)은 유도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에 와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드럼에 발생된 와전류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상기 드럼 자체를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이 물에 잠겨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필요에 따라 상기 드럼을 가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하거나 물을 가열할 수 있었다.
상기 인덕션모듈(70)는 상기 터브(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었다. 상기 터브(2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인덕션 모듈(I)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상기 드럼으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었다.
도1(b)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인덕션모듈(70)에서 코일이 권선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모듈(70)은 상기 터브(20)에 결합되는 베이스(741)와, 상기 베이스(741)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리브(742)와, 상기 베이스(741)를 상기 터브(20)에 결합하는 결합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70)은 상기 리브(742)에만 코일이 권선되고, 상기 리브(742)의 외부에 배치되는 베이스(741) 영역에는 코일이 권선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리브(742)는 코일이 터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는 제1직선부(7421)과, 코일이 터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는 제2직선부(7422)와, 제1직선부와 제2직선부를 연결하기 위한 곡선부(74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곡선부(742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증가한다. 예를들어, 복수의 곡선부(7423)가 내측곡선부(a), 중간곡선부(b), 외측곡선부(c)로 이격되어 형성된 경우에, 외측곡선부(C)의 곡률반경(R3)은 중간곡선부(b)의 곡률반경(R2)보다 크고, 중각곡선부(b)의 곡률반경(R2)은 내측곡선부(c)의 곡률반경(R1) 보다 크다.
이에 따라, 내측곡선부(a), 중간곡선부(b), 외측곡선부(c)에 각각 권선된 코일의 곡률반경도 달라지게 되어, 곡선부(7423) 전체에서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말해, 내측곡선부(a), 중간곡선부(b), 외측곡선부(c)에 권선된 코일(60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단위면적당 곡선을 형성하는 코일(600)의 면적도 내측곡선부(a), 중간곡선부(b), 외측곡선부(c)로 갈수록 더 길어지게 되어, 곡선부(7423)에서 내측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상기 드럼(30)에서 상기 곡선부(7423)와 마주하는 영역은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제1직선부(7421)과 상기 제2직선부(7422)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직선부(7421)과 상기 제2직선부(7422)에 권선된 코일도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직선부(7421)과 상기 제2직선부(7422)에 권선된 코일(600)은 단위면적당 동일한 양의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직선부(7421)과 상기 제2직선부(74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드럼(30)은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직선부(7421)과 상기 제2직선부(7422)를 연결하는 곡선부(7423)은 곡률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곡선부(742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직선부(7421)과 상기 제2직선부(7422)의 연장선 내측에 배치되는 베이스(741)의 모서리 영역에는 자기장이 발생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741)의 모서리 영역과 대응되는 드럼(30)은 자기장이 전달되지 못하여 충분하게 가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1(d)와 같이 외측곡선부(c)를 더 베이스(741)의 모서리 영역을 더 많이 커버하기 위해, 베이스(741)의 모서리 방향으로 치우치게 배치하는 경우, 상기 외측곡선부(c)와 상기 중간곡선부(b)의 간격(L2)가 상기 내측곡선부(a)와 상기 중간곡선부(b)의 간격(L1)과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일(600)의 직경이 균일한 상태에서 곡선부(7423)가 더 베이스(741)의 모서리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확장되게 되면, 상기 곡선부(7423)의 간격이 불균형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코일(600)의 간격이 불균형하여 곡선부(7423)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이 불균형하여 드럼(30)을 균일하게 가열하지 못하거나, 상기 코일(600)이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거나 진동하게 되는 등 인덕션모듈(70)의 안정성이 급감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으로 드럼을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곡선영역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곡선영역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길이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곡선영역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밀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에 권선되는 코일의 곡선부분이 내측과 외측이 서로 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의 곡선부분이 내측과 외측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인덕션 모듈에서 코일의 곡선부분 전체에서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의 곡선부분이 권선되는 곡선리브의 외측면의 곡률반경과 내측면의 곡률반경이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선리비의 외측면의 곡률반경이 내측면의 곡률반경 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는 곡률반경을 보상하여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곡선리브들의 두께는 코일의 직선부분이 권선되는 직선리브의 두께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직선리브와, 드럼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직선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두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 보다 두께가 더 큰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 및 상기 제2직선리브와 연결된 부분 보다 가운데 부분이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 에서 상기 제2직선리브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다가 얇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면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안착면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내측면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면 외측면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내측면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외측면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면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외측면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 내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길이와 상기 안착면 외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길이는 서로 대응(동일)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 내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형상과 상기 안착면 외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의 일단의 연장선은 제1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의 타단의 연장선은 상기 제1직선과 나란한 제2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과 상기 제2직선의 간격은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일정비율로 균일하게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자기장으로 드럼을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곡선영역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곡선영역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길이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곡선영역에서 권선되는 코일의 밀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의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위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상기 인덕션 모듈에 코일이 권선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상기 인덕션 모듈에 영구자석을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상기 인덕션 모듈의 코일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의 곡면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권선된 코일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이 출입되는 개구부(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개구부(17)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6)는 환형의 도어프레임(161)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된 투시창(1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17)에 연통하도록 전방에 터브 투입구(27)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20)는 지지부(7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70)는 상기 터브(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댐퍼(71)와, 상기 터브(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스프링(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터브(20)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수용하며, 전방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27)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구부, 터브 투입구(27) 및 드럼 투입구(31)를 통해 상기 드럼(30)의 내부공간에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30) 내부 공간으로부터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외주면(32)과, 상기 드럼의 후방에 구비되어 구동부(40)와 결합되는 드럼배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외주면(32)은 다수의 관통홀(321)을 포함한다. 이는 터브(20)에 저장된 물이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에서 배출된 물이 터브(20) 내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의 회전 시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드럼외주면(32)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 내부의 편심을 보상하는 밸런서(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서(35) 내부에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질량을 구비하는 복수의 볼 또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터브(2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터브(20)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4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2), 터브(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배면(33)과 로터(42)를 연결하는 회전축(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드럼배면(33)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스파이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4)는 상기 회전축(43)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일면이 상기 드럼배면(33)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43)을 통해 상기 로터(4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5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어 외부급수원과 연통하는 급수밸브(51)와, 상기 급수밸브(51)에서 연장되어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52)과, 상기 급수관(52)에서 물을 공급받고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박스(53)와, 상기 세제박스(53)와 상기 터브(20)를 연결하여 물과 세제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터브(20)로 공급하는 공급관(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53)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급수관(52)로부터 유입된 물에 희석되어 공급관(53)을 통해 상기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53)는 상기 터브(20)의 상부와 캐비닛(10) 사이 공간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제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0)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0)는 상기 터브(20)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61)과, 상기 배수관(61)에 연결되어 상기 물을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62)와, 상기 배수펌프(62)에서 상기 캐비닛(10)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관(53)을 포함할 수 있다.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터브(20)의 물이 더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펌프(62)와 상기 배수관(61)은 상기 터브(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부와 터브 투입구(27) 사이에는 가스켓(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8)은 터브(20) 내부의 물이 캐비닛(10)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28)은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20)의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전방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패널(1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할 수 있는 세탁코스,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패널(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전등과 같은 표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물 가열, 의류(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 건조 및 리프레쉬(스팀처리)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드럼(30)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세탁, 건조 및 리프레쉬(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때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터브(20)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전선이 권선되어 형성되는 코일(6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코일(600)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0)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덕션모듈(I)이 드럼(30)을 가열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드럼(30) 원주면 외측에 있는 코일(600)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600)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 교류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 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여기서 투자율이란,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자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때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0)에는 와전류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와전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을 타고 흐르다가 드럼(30)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열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30) 내벽이 직접 가열되게 된다.
드럼(30)의 내벽이 직접 가열되면 드럼(30) 내부의 공기온도와 드럼(30)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의류의 온도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류의 직접가열이 가능하므로 간접 가열방식인 열풍 건조방식이나, 저온 제습 건조방식만을 사용하는 건조 장치에 비해 더 빠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 뿐만 아니라 세탁기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별도의 상기 터브(20) 내부에 노출된 열선과 유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되고, 물은 드럼(30) 내외벽에 계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브(20) 하부에 별도의 히터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더 빠른 물 가열이 가능하다.
도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I)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터브(20)의 원주면에 장착되며, 전선이 권선된 코일(600)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0)의 원주면을 가열한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상기 코일(600)을 터브(20)의 상면에 설치하는 베이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은 터브(20)의 원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축(75)을 통과하며 지면과 나란한 수평면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방 길이가 상기 터브(20)의 원주방향과 대응되는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는 안착면(120)과, 상기 베이스바디(120)의 하면에 구비되어 터브(2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바닥면(130)과, 상기 베이스바디(110)를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결합시키는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안착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코일(6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기 드럼(30)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단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안착면(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안착리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스크류 방식과 같이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일(600)이 안착되거나 삽입되는 설치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상기 코일(600)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상기 캐비닛(10)이 아닌 상기 드럼(30)을 향하여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막대자석인 영구자석(310)과, 상기 영구자석(310)을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자석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코일(600)이 권선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상기 코일(6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600)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배치된 코일과 외부에 배치된 코일의 상부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커버(320)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하우징바디(321), 상기 하우징바디(321)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310)이 안착되는 자석설치부(322) 및 상기 하우징바디(3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자석설치부(322)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위치한 공기 유동홀(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영구자석(310)이 수용되고 설치되는 공간을 확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모듈(I)은 상기 자석커버(320)를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코일(6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이스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400)는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되는 커버바디(410), 상기 커버바디(4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대류에 의해 열기(공기)가 유동하거나 송풍팬(500)이 안착되는 공기배출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400)에는 상기 베이스(100) 상기 인덕션모듈(I)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500)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00)은 상기 인덕션모듈(I)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인덕션모듈(I)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배출홀(420)을 통해서 베이스커버(4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 내부에는 베이스 커버(400)와 자석결합부(300) 및 베이스(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유동홀(323) 등에 의해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바디(110)에는 관통부(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내부 공간에서 코일(600)을 냉각시키고 관통부(111)를 통해서 인덕션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커버(320)과 상기 베이스 커버(400)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있어, 영구자석(310)의 상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이로써, 영구자석(310)이 과열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커버(320)과 상기 베이스 커버(400)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있어, 영구자석(310)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여 영구자석(310)을 쉽게 교환할 수 있고, 영구자석(310)을 고정하는 부품이 폐쇄면을 가지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사출제작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베이스(100), 자석커버(320) 및 베이스 커버(400)를 상기 터브(20)에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나사가 삽입되는 고정홀(141)이 형성된 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에는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하는 중공을 구비한 결합부 (25)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커버(320)는 상기 하우징바디(321)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하여 나사가 삽입되는 자석고정홀(321)이 형성된 자석고정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석고정부(330)는 상기 하우징바디(321)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커버(400)에는 커버바디(410)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고정홀(141)과 연통하는 커버고정홀(431)이 형성된 커버고정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나사가 상기 커버고정홀(431)- 자석고정홀(331)- 고정홀(141)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결합부(25)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4은 상기 인덕션모듈의 베이스(100)를 도시한 것이다.
인덕션 모듈(I)은 코일(600)을 터브(20)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역할을 하며, 터브(20)가 진동하더라도 코일(60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a)는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3(b)는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상면에 상기 코일(600)이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안착면(120)과, 상기 안착면(120)에서 돌출되어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어 고정되는 안착리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두께방향으로 관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관통부(111)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관통부(111)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안착면(1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안착면(120)의 둘레를 따라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때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안착리브(200)들 사이에 상기 코일(600)이 설치되는 설치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안착면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 직경이 점점 커지는 원, 타원 형상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커지는 트랙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트랙형상이란 직선부와 곡선부가 혼합된 형상으로 상기 안착면(120)에 코일(600)이 안착되는 면적을 원이나 타원 형상 보다 최대화 할 수 있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잇다.
상기 안착리브(200)가 상기 안착면(120)에서 연장되는 형상에 따라 상기 코일(600)이 권선된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안착면(120)에서 상부로 돌출되거나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높이는 상기 코일(600)의 두께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권선된 코일(600)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시켜 합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리브(200)에 권선된 코일(600)에 별도의 절연막을 입힐 필요가 없거나 절연막의 두께를 최소로 할 수 있어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들은 상기 코일(600)가 억지 끼움이 되도록 상기 코일(600)의 선경보다 폭이 좁은 슬롯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230)의 폭은 코일(600)의 선경의 93% 내지 97%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600)가 상기 설치공간(230)에 억지 끼움되면, 터브(20)의 진동이 상기 코일(600)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코일(600)이 설치공간(230)에 고정되는 것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600)이 설치공간(23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며, 유동자체가 억제되기 때문에 유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상기 코일(600)가 삽입된 후 절곡되어 상기 코일(600)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절곡되거나 열화처리 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상기 코일(600)을 고정하는 고정후크(221)를 형성할 수 있다.
도4(a)를 참조하면, 코일(600)은 상기 설치공간(230)에 억지끼움된 후, 안착리브(200)는 상면이 가압되면서 용융될 수 있다. 그러면, 용융된 안착리브(200)의 상단은 양쪽으로 퍼져 양측 코일(6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코일(600)을 설치공간(23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시키고 안착리브(200)의 상단을 녹임 처리함으로써, 코일(600)가 이탈할 수 있는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고, 코일(600)의 유동을 방지하여 터브(20)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며, 부품 간 유격이 없어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에서는 코일(600)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코일(600)이 베이스(100)의 하면에 구비되도록 안착리브(200)가 베이스(100) 하부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다.
도4(b)는 베이스(100)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면(130)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도3(b)을 보면 베이스(110)의 바닥면에는 지지바(131)가 구비될 수 잇다.
상기 지지바(131)는 터브(20) 외주면과 베이스(100)의 밀착력을 강화하고 상기 베이스(1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지 않는 상기 안착면(120)의 중심에 관통홀(112)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터브(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131)는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홀(112)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0)가 상기 터브(20)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부(25)에 고정되면, 지지바(131)에 의해 터브(20) 외주면이 가압된다. 이로써, 베이스(100) 하면 전체가 터브(20) 외주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더 강한 압력으로 상기 터브(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20)가 진동하더라도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 외주면에서 쉽게 이동하거나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5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코일(600)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안착면(120)의 최외곽에 인접한 위치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코일(600)이 상기 안착리브(200) 사이에 권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5의 Section A-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일(600)을 형성하는 전선은 상기 안착리브(200) 사이에 면접촉되어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일(600)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의 양단은 상기 컨트롤패널(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의 일단은 상기 안착면(120)의 중심에 구비된 관통홀(321)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면(120)에서 상기 안착리브(200)의 최외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은 상기 컨트롤패널(15)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110)의 바닥면(130)을 통해 상기 안착면(120)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착리브(200)에 권선된 후, 상기 컨트롤패널(15)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리브(200)에 권선된 코일은 다시 상기 바닥면(130)으로 연장된 후 상기 컨트롤패널(15)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진동변위가 가장 작은 지점인 바닥면을 통해 코일(600)이 상기 베이스(10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81a)를 따라 형성되는 진동 위상차를 감소시켜 단선 및 탈거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코일(600)의 양단은 상기 터브(2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5)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의 후방이 구동부(40)와 더 가까우므로 진폭이 작은 것을 고려한 것이다.
도6는 자석커버(32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인덕션 모듈(I)은 설치공간(230)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100)과 결합하는 자석커버(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커버(320)는 베이스(10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코일(600) 및 영구자석(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우징바디(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321) 의 하면은 베이스(100)의 안착리브(20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커버(32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자석설치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상기 영구자석(31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안착리브(320)의 상단에 밀착하여 더 강한 압력으로 상기 안착리브(320)를 차폐할 수 있다.
이로써, 터브(2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유격에 의한 소음이나 코일(600) 이탈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코일(6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6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전체를 가압하지 않고도 코일 전체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하우징바디(321)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석커버(320)가 베이스(10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코일(60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코일(600)을 가압하는 수단이나 단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영구자석(31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커버(320)에 영구자석(310)이 고정되면, 자석커버(320)가 베이스 하우징(100)에 결합됨에 따라 영구자석은 코일(600)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영구자석(310)은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드럼(30)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코일(600) 상면의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영구자석(310)이 터브(20)의 진동에 따라 유동하게 되면 소음 문제뿐만 아니라,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자석설치부(322)는 자석커버(3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자석설치부(322)에 장착된 영구자석(310)의 하면이 코일(600)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는 하부가 개방되는 개방면(3221)이 구비될 수 잇다.
이 경우 상기 양측벽에 의해 영구자석(310)의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으며, 개방면(3221)는 영구자석(310)이 코일(600)의 상면과 더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구자석(310)이 코일(600)에 더 근접하여 구비될수록 자기장은 드럼(30) 방향으로 더 집중적으로 안내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드럼(30)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자석설치부(322)는 상기 영구자석(310)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내부로 돌출되는 멈춤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커버(320)는 양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베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후크(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인덕션 모듈(I)에 설치된 코일(600)과 영구자석(310)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코일(600)은 터브(20) 외주면 상에서 동심원, 타원, 트랙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자기장 전달의 차단부재 역할을 하여 드럼(30) 외에 주변의 다른 구성이 가열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코일(600)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드럼(30) 방향으로 집중시켜 가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막대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6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6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코일과 외부코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영구자석(310)은 동일한 크기의 막대자석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310)은 코일(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만 영구자석(310)이 배치되는 경우 드럼(30)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드럼(30) 원주면의 각 부분마다 달라져 균일 가열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일(60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드럼(30)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가 코일(6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같은 개수의 영구자석(310)이 있다면 코일(600)에서 터브(20)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6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직선부(610)와, 상기 직선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곡선부(620)와,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제2직선부(63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부(610)는 상기 드럼(30)의 길이와 대응하여 상기 제2직선부(630)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제1직선부(610) 보다 곡선부(620)와 제2직선부(630)에 더 많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코일(600)의 면적이 작은 영역에 더 많은 자기장이 방사되도록 하여 드럼(30)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인덕션 모듈의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a)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00)는 안착면(120)과 상기 안착면을 관통하는 관통부(111)와, 상기 안착면(120)의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20)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면(120)의 둘레를 따라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리브(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터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가 터브의 원주방향에 대응되는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코일(600)은 길이가 너비 보다 더 큰 원통형 형상의 드럼외주면(32)을 가열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32)과 최대한 많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리브(2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직선리브(201)와, 상기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직선리브(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리브(201)는 상기 드럼외주면(32)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직선리브(201)의 양단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제2직선리브(202)는 상기 드럼의 전방과 후방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직선리브(202)는 상기 드럼외주면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200)는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를 연결하는 곡선리브(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상기 제2직선리브(202)와 상기 곡선리브(203)는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코일(600)이 권선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상기 제2직선리브(202)와 상기 곡선리브(203)는 각각의 영역을 기준으로,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면서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코일(600)이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권선되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상기 제2직선리브(202)가 내측과 외측이 서로 균일한 길이로 구비되면, 상기 곡선리브(203)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더 연장된다. 다시말해, 곡선리브(203)는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와 곡률반경이 점점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되는 코일(600)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점 길어지고 곡률반경이 점점 커지게 된다.
즉, 최외각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곡률반경(r2)은 중간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곡률반경(r1) 보다 더 커지게 된다.
곡선리브(203)의 상기 곡률반경이 커지면 커질수록 안착면(120)의 모서리 부근에 코일(600)이 통과하지 않는 제1배제영역(A)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1배제영역의 최대 너비는 최외각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와 안착면(120)의 외면에 해당하는 너비인 제1배제너비(R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제너비(R3)가 크면클수록 해당 영역과 마주하는 드럼외주면(32)은 가열되지 않게되며, 그 결과 드럼(32)의 전방과 후방은 중앙 영역보다 가열되는 것이 약하여, 드럼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인덕션모듈(I)에서 곡선리브(203)의 곡률반경과 길이 중 어느 하나를 내측과 외측에서 유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8(b)를 참조하면, 제1직선리브(201)는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비되며, 제2직선리브(202)는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곡선리브(20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는 양이 축소되거나, 길이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리브(203)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커지는 정도가 감소되거나,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안착면(120) 안착면(120)의 모서리 부근에 코일(600)이 통과하지 않는 제2배제영역(B)의 면적은 점점 축소되어 제1배제영역(A)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배제영역의 최대 너비는 최외각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와 안착면(120)의 외면에 해당하는 너비인 제2배제너비(R4)로 구비되는데, 제2배제너비(R4)는 제1배제너비(R3)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곡선리브(203)에 배치된 코일(600)는 단위면적당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고, 단위면적당 배치된 길이도 최대한 유지될 수 있어, 상기 곡선리브(203)와 마주하는 드럼의 전방과 후방도 더 많은 유도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20)이 전방, 후방, 중앙 모두 더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도9는 곡선리브의 간격이나 곡률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곡선리브(203)에 배치된 영역에서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곡선리브(203)에 배치된 코일(600)의 간격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최대한 일정하고, 단위면적당 상기 코일(600)이 배치된 면적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최대한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도9(a)와 같이 안착면(120)에 내측에 배치되는 곡선리브(203)와 외측에 배치되는 곡선리브의 곡률반경을 유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코일(600)의 직경은 제1직경(r)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1직선리브(201) 사이의 간격은 제1직경(r)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직선리브(202) 사이의 간격은 제2직경(r)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선리브(203)의 곡률반경은 안쪽 원호의 1/4에 해당하는 것처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제1직선리브(201)의 간격와 상기 제2직선리브(202)의 간격을 균일하게 맞추면서 상기 곡선리브(203)의 곡률반경을 맞추도록 상기 곡선리브(203)를 제작하는 경우, 내측에 배치된 제1곡선리브(203)와 외측에 배치된 제2곡선리브(203)의 간격이 제1직경(r) 보다는 더 확장길이(L)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은 상기 곡선리브(203) 사이에서 공간이 남게 되어 진동시 흔들림에 따라 균일한 자기장을 발생시키지 못하거나, 상기 곡선리브(203)에 고정되지 못하여 설치안정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9(b)와 같이 곡선리브(203) 사이의 간격을 코일의 직경인 제1직경(r1)으로 유지하면서 곡률반경을 동일하게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안착면(120) 내측에 배치되는 곡선리브(203)와, 안착면(120) 외측에 배치되는 곡선리브(203) 사이의 간격은 제1직경(r)에 해당되어, 코일(600)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내측 곡선리브(203)에서 연장되는 제1직선리브(201)와 상기 외측 곡선리브(203)에서 연장되는 제1직선리브(201) 사이의 간격은 제1직경(r) 보다 작은 축소길이(d)로 구비되고, 상기 내측 곡선리브(203)에서 연장되는 제2직선리브(202)와 상기 외측 곡선리브(203)에서 연장되는 제2직선리브(202) 사이의 간격은 제2직경(r) 보다 작은 축소길이(d)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직선리브(201) 사이와 제2직선리브(202) 사이에는 제1직경(r)을 구비하는 코일(600) 자체가 형성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곡선리브(203)의 두께를 변화시켜 곡선리브(203)에 코일(600)의 배치가 균일하면서도, 내측과 외측이 코일(600)의 길이도 유지할 수 있는 인덕션모듈(I)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곡선리브(203)는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두께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선리브(203)는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상기 제2직선리브(202) 보다 두께가 더 큰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곡선리브(203)가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연결되는 일단(2031)에서 상기 곡선리브(203)가 상기 제2직선리브(202)와 연결되는 타단(2032)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다가 얇아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곡선리브(203)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선리브(203)는 상기 제1직선리브(201) 및 상기 제2직선리브(202)와 연결된 부분 보다 가운데 부분이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선리브(203)는 외측면(203b)의 곡률반경과 내측면의 곡률반경(203b)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선리브(203)는 상기 외측면(203b)의 곡률반경은 내측면의 곡률반경(203b) 보다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와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형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와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간격도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내측면(203a)과, 상기 안착면(120)의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내측면(203a)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외측면(203b)과, 상기 안착면(120)의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의 외측면(203b)은 동일한 곡률반경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203) 간의 간격이 제1직경(r)으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203)에 안착된 코일(600)이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20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와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이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길이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100)에서 상기 곡선리브(203)가 배치된 영역에서 균일한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고, 코일(600)이 배치되지 않는 배제영역도 최소화할 수 있어 드럼(30)을 보다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10은 도9의 원리가 적용된 곡선리브가 형성되는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곡선리브(203)의 외측면들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곡선리브(201)이 내측면들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곡선리브(203)의 길이 또는 너비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곡선리브(203)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곡선리브(203)가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연결되는 일단(2031)들의 연장선은 제1직선(c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안착면(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곡선리브(203)가 상기 제2직선리브(202)와 연결되는 타단(2032)들의 연장선도 제2직선(c2)을 형성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모듈의 베이스를 상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곡선리브(203)가 내측과 외측이 모두 동일하게 구비되면, 상기 제1직선(c1)과 상기 제2직선(c2)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직선리브(201)의 길이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로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구비되고, 상기 제2직선리브(202)의 길이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짧아지게 구비되더라도, 상기 곡선리브(203)가 설치된 영역의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리브(203)가 설치된 영역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곡선리브(203)의 내측에서 외측 중 어느 영역에서도 균일한 자기장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선리브(201)의 전체 외주면의 형상은 사다리꼴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직선리브(202)의 전체 외주면의 형상은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선리브(203)의 전체 외주면의 형상은 두께가 균일한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1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모듈의 곡선리브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12(a)는 곡선리브의 사시도이며, 도12(b)는 곡선리브의 상면도 이다.
상기 곡선리브(203)는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연결된 일단(2031)과 상기 제2직선리브(202)에 연결된 타단(2032) 및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2033)를 포함한다.
상기 일단(2031)의 두께는 상기 제1직선리브(201)와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타단(2032)의 두께는 상기 제2직선리브(202)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앙부(2033)는 전체영역에서 상기 제1직선리브(201) 및 상기 제2직선리브(2020 보다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부(2033)는 상기 일단(2031)에서 타단(2032)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다가 얇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3은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상기 곡선리브(203)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도 내측과 외측이 전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곡선리브(203)는 어느 하나의 곡선리브와, 상기 곡선리브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와 길이가 똑같이 구비될 수 있고, 형상이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도 내측과 외측이 전부 길이가 똑같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곡선리브(203)는 어느 하나의 곡선리브와, 상기 곡선리브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곡선리브의 내측면(203b)들은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곡선리브의 외측면(203a)들은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의 외측면(203a)의 곡률반경은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의 내측면(203b)의 곡률반경 보다 크게 구비되어 외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는 곡률반경을 보상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곡선리브의 내측면(203b)들은 서로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곡선리브의 외측면(203a)들은 서로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도 내측과 외측이 동일한 곡률반경(R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도 내측과 외측이 동일한 길이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곡선리브(203)에 권선된 코일(600)은 드럼(30)에 균일한 자기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1 입력패널
12 일측면패널 13 타측면패널
14 배면패널 15 컨트롤패널
16 도어 17 개구부
20 터브 21 터브바디 211 제1터브바디 212 제2터브바디
22 장착면 23 둘레면
24 확장면 25 결합부
251 제1결합부 252 제2결합부
27 투입구 28 가스켓
30 드럼 31 드럼투입구
32 드럼외주면 321 관통홀
33 드럼배면 34 리프터
35 밸런서
40 구동부 41 스테이터
42 로터 43 회전축
44 스파이더 441 중앙부
442 고정부
50 급수부 51 급수밸브 52 급수관 53 세제박스 54 공급관
60 배수부 61 배수관 62 배수펌프
70 지지부 71 댐퍼 72 스프링
80 센서 81 제어선
90 숨구멍 91 방지관
I 인덕션 모듈 0 모듈중심
100 베이스 110 베이스바디 111 관통부 112 관통홀
120 안착면 130 바닥면 131 지지바
140 고정부 141 고정홀
200 안착리브 221 고정후크
300 자석결합부
310 영구자석 320 자석커버
321 하우징바디(321)
322 자석설치부 3221 개방면
323 공기유동홀 324 착탈후크
330 자석고정부
400 베이스 커버 410 커버바디
420 공기배출홀 430 커버고정부
440 팬장착부
500 환풍팬 600 코일

Claims (16)

  1.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수용되어 도체로 구비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권선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제1직선리브와,
    상기 안착면에서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제2직선리브와,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를 연결하며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곡선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두께가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 보다 두께가 더 큰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 및 상기 제2직선리브와 연결된 부분 보다 가운데 부분이 더 두껍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제1직선리브 에서 상기 제2직선리브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다가 얇아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 각각은 외측면의 곡률반경과 내측면의 곡률반경이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 각각은 외측면의 곡률반경이 외측면의 곡률반경 보다 더 작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수용되어 도체로 구비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권선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제1직선리브와,
    상기 안착면에서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제2직선리브와,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를 연결하며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곡선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는
    상기 안착면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곡률반경이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곡률반경 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내측면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면 외측면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내측면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내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외측면 곡률반경과, 상기 안착면 외측에 배치된 곡선리브의 외측면 곡률반경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내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길이와 상기 안착면 외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길이는 서로 대응(동일)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내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형상과 상기 안착면 외측에 구비된 곡선리브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의 일단의 연장선은 제1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곡선리브의 타단의 연장선은 상기 제1직선과 나란한 제2직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과 상기 제2직선의 간격은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투입구를 구비하며 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수용되어 도체로 구비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가열하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권선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제1직선리브와,
    상기 안착면에서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제2직선리브와,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를 연결하며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복수의 곡선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선리브와 상기 제2직선리브는 상기 안착면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길이가 일정비율로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68425A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25A KR20230080890A (ko)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9252 WO2023101432A1 (en) 2021-11-30 2022-1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25A KR20230080890A (ko)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890A true KR20230080890A (ko) 2023-06-07

Family

ID=8661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425A KR20230080890A (ko) 2021-11-30 2021-11-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0890A (ko)
WO (1) WO202310143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24006A1 (en) * 2004-06-21 2005-12-29 Lg Electronics Inc. Tilted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puls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190659A1 (ko) * 2014-06-09 2015-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10876247B2 (en) * 2017-08-09 2020-12-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032542A1 (en) * 2018-08-09 2020-02-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4116480A4 (en) * 2020-03-02 2024-02-28 Lg Electronics Inc CLOTHING MANAG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32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567B1 (ko) 의류처리장치
EP3441517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435611B1 (en) Laundry machine
US1192028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99327B1 (ko) 의류처리장치
US11905642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77352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3008089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8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8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6913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07230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