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13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130B1
KR102669130B1 KR1020180093385A KR20180093385A KR102669130B1 KR 102669130 B1 KR102669130 B1 KR 102669130B1 KR 1020180093385 A KR1020180093385 A KR 1020180093385A KR 20180093385 A KR20180093385 A KR 20180093385A KR 102669130 B1 KR102669130 B1 KR 10266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body
coil
tub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878A (ko
Inventor
이영주
홍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130B1/ko
Priority to PCT/KR2019/009805 priority patent/WO2020032542A1/en
Priority to EP19190497.8A priority patent/EP3608468A1/en
Priority to CN202210670060.9A priority patent/CN115029897A/zh
Priority to US16/537,156 priority patent/US11155956B2/en
Priority to CN201910734759.5A priority patent/CN110820252B/zh
Publication of KR2020001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78A/ko
Priority to US17/492,266 priority patent/US1190564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및 자기장을 통해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와이어가 권선되어 형성되며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 및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을 고정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 공간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 리브에 권선된 후, 다시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 공간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가열수단으로는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유도 가열 방식은 와이어가 권선된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것이 기본 원리이며, 드럼의 균일가열을 위해서 전류 인가 시 드럼이 회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코일은 드럼의 원주면과 인접한 터브의 일부분에 고정되는데, 상기 코일이 터브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는 터브에 장착되어 코일을 수용하는 구조체가 필요하다.
다만, 다양한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쉬 행정에서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터브로 진동이 전달되면, 상기 구조체에서 코일이 들뜨거나 심한 경우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체와 코일의 양단이 연결된 제어기 간에는 진동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구조체가 코일 표면에 지속적인 마찰을 가해 피로파괴에 의한 단선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가열을 위한 코일이 터브에 견고하게 고정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가열을 위한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외주면에서 진동이 가장 미약한 부분을 통해 터브에 고정된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제어부에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가열을 위한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와이어가 권선되어 형성되는 코일; 및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을 고정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으로 인입되어 상기 고정 리브에 권선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고정 리브의 최외각 또는 최외각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를 지나 상기 제1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고정 리브에 권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는 제1관통홀을 형성하는 제1내벽;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면과 상기 제1내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하부 경사면; 및 상기 제1내벽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1상부 경사면;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고정 리브 내측에 구비되는 제2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2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를 지나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부는 제2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내벽;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과 상기 제2내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상부 경사면; 및 상기 제2내벽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면을 연결하는 제2하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상면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터브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를 결선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환형의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복수의 삽입부 슬릿이 형성된 와이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홀더 바디와 상기 터브의 상면을 연결하며, 와이어의 유동에 따라 절곡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홀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단을 지나는 와이어의 좌우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에서 인입되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제1와이어 수용홈을 구비한 제1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를 수용하는 제2와이어 수용홈을 구비한 제2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부 공간을 지나는 와이어를 상기 베이스 바디에 고정하는 와이어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코일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상부에 위치한 영구자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과 밀착되는 영구자석 장착부를 포함하는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유도가열을 위한 코일이 터브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유도가열을 위한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외주면에서 진동이 가장 미약한 부분을 통해 터브에 고정된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제어부에 연결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유도가열을 위한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인덕션 모듈과 터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인덕션 모듈의 베이스 하우징이 장착된 터브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코일 홀더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 중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베이스 하우징의 하면 중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의 Section B-B'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Section C-C'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영구자석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Section D-D'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먼저, 본 발명 세탁장지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상기 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 구비되어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이 출입되는 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환형의 도어프레임(121)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된 투시창(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하 설명될 의류처리장치의 세부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방향을 정의하자면, 상기 캐비닛(1)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이 전방(Front)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를 향하는 방향의 정반대 방향이 후방(Rear)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우측(Right) 및 좌측(Left) 방향은 위에서 정의된 전후방 방향에 종속하여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도록 전방에 터브 개구부(21)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2)는 지지바(13a)와 상기 지지바(13a)에 연결된 댐퍼(13b)를 포함하는 하부지지부(13)에 의해 상기 캐비닛(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드럼(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터브(2)에 발생되는 진동이 감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2)의 상면에는 상기 캐비닛(1)의 상면에 고정된 탄성지지부(14)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상기 터브(2)에서 발생되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럼(3)은 길이방향 축이 상기 캐비닛 하면과 나란하거나 0~30°를 유지하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수용하며, 전방에는 상기 터브 개구부(21)에 연통하는 드럼 개구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 터브 개구부(21) 및 드럼 개구부(31)를 통해 상기 드럼(3)의 내부공간에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3) 내부 공간으로부터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드럼(3)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33)을 포함한다. 이는 터브(2)에 저장된 물이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에서 배출된 물이 터브(2) 내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드럼의 회전 시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3)은 터브(2)의 후방에 구비된 구동부(7)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7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73),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73)를 연결하는 회전축(7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71)는 상기 터브(2) 배면에 구비된 베어링 하우징(76)의 후방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73)는 상기 스테이터와 회전 축의 법선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로터자석(732) 및 상기 로터자석(732)과 회전축(75)을 연결하는 로터하우징(7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76)에는 내부에는 회전축(75)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베어링(78)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의 배면에는 로터(73)의 회전력을 드럼(3)에 용이하게 전달시키는 암(7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암(77)에는 상기 로터(73)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회전축(75)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호스(5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51)는 세제공급부(55)에 연결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제는 상기 급수호스(51)로부터 유입된 물에 희석되어 급수관(53)을 통해 상기 터브(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부(55)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벽에 고정된 세제박스(551)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세제박스(551)에 삽탈되는 세제박스 드로워(5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투입구와 터브 개구부(21) 사이에는 가스켓(4)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켓(4)은 터브(2) 내부의 물이 캐비닛(1)으로 누출되는 문제와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켓(4)은 상기 캐비닛(1)에서 상기 투입구를 형성하는 부분과 상기 터브(2)에서 상기 터브 개구부(21)를 형성하는 부분을 잇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는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이 이동하는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배수관(62) 및 상기 배수관(62)을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배수관(62) 내부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는 배수펌프(6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배수관(62)은 상기 터브(2)의 하면과 상기 배수펌프(6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621) 및 일단이 상기 배수펌프(61)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관(6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세탁수 가열, 세탁물(or 건조대상물 or 리프레쉬대상물) 건조 및 리프레쉬(스팀처리)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8)은 세탁, 건조 및 리프레쉬(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인덕션 모듈(8)과 상기 인덕션 모듈(8)을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인덕션 모듈(8)은 터브(2)의 원주면에 장착되며, 와이어(81a)가 권선된 코일(81, 도 3참조)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의 원주면을 가열한다.
보다 상세하게, 코일(81)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81)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교류자기장이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쪽으로 집중되면,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에는 와전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3)에 흐르는 와전류는 드럼(3)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열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3) 내벽이 직접 가열되게 된다.
상기 코일(81)을 터브(2)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베이스 하우징(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터브(2)의 원주면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축(75)을 통과하며 지면과 나란한 수평면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방 길이가 상기 터브(2)의 전후방 길이보다 짧게 구비되고, 상기 드럼(3)의 상측에 위치한 베이스 바디(8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821)는 코일(8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상기 드럼(3)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터브(2) 또는 드럼(3)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코일이 권선되는 고정 리브(82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리브(823)는 코일을 형성하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코일슬롯(822)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리브 및 코일 슬롯에 관한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인덕션 모듈(8)은 상기 코일(81)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상기 드럼(3)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의 상측에 구비되며 막대자석인 영구자석(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83)은 코일(8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82)에 고정된 코일(81)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81)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코일과 외부코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영구자석(83)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인덕션 모듈(8)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의 상측에 결합되는 영구자석 하우징(8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8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에 구비된 다수의 영구자석 장착부(842)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다수의 영구자석 장착부(842) 사이에 위치한 공기 유동홀(84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842)는 영구자석(83)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83)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83)이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842)에서 상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덕션 모듈(8)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과 결합하는 커버(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85)는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나 장방형으로 구비되는 커버 바디(851), 상기 커버 바디(851)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대류에 의해 열기(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홀(85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과 상기 커버(85)를 분리한 이유는 영구자석(83)의 상면에 공기가 흐르게 하여 영구자석(83)의 냉각을 가속화하고, 영구자석(83)이 간이하게 삽탈되도록 하여 영구자석(83)의 교환을 쉽게하며, 영구자석(83)을 고정하는 부품이 폐쇄면을 가지지 않도록 하여 사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 베이스 하우징(82), 영구자석 하우징(84) 및 커버(85)를 상기 터브(2)에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나사가 삽입되는 제1체결홀(829a)이 형성된 제1체결부(829)를 구비할 수 있으다. 상기 제1체결부(829)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에는 상기 제1체결홀(829a)과 연통하는 중공을 구비한 하우징 고정부(22)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에도 역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의 모서리에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홀(829a)과 연통하여 나사가 삽입되는 제2체결홀(849a)이 형성된 제3체결부(84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849)는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의 전단 및 후단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85)에는 커버 바디(851)의 전단 및 후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체결홀(849a)과 연통하는 제3체결홀(859a)이 형성된 제3체결부(85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나사가 상기 제3체결홀(859a)- 제2체결홀(849a)- 제1체결홀(829a)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하우징 고정부(2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제3체결부(859)는 상기 커버 바디(851)의 전후단에 구비되되, 좌측 또는 우측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바디(851)의 하면에는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에 형성된 후크체결홀(841a)에 삽입되는 삽입후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탁이나 건조 또는 리프레쉬 과정에서 드럼(3)이 회전하게 되면 터브(2)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고, 터브(2)에 장착된 구조들 역시 같이 진동하게 되므로 터브(2)에 장착된 부품들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가스켓(4)의 외측에는 상기 터브(2)의 전방면에는 드럼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감쇠시키는 웨이트 밸런서(9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웨이트 밸런서(15)는 상기 터브(2)의 좌우 폭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밸런서(151) 및 제2밸런서(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웨이트 밸런서(93)는 상기 터브(2)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만 있을 뿐이며, 터브(2)에는 여전히 미세진동이 존재하게 되므로, 코일(81)이 베이스 하우징(82)에서 탈거되거나 베이스 하우징(82)과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단선이 될 우려가 있다.
도 3은 코일(81)이 권선된 베이스 하우징(82)의 상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코일(81)을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고정 리브(823)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면의 최외곽에 인접한 위치에서 중앙부로 와이어(81a)가 권선되어 코일(81)이 형성되도록 코일슬롯(8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Section A-A'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와이어(81a)가 상기 억지끼움 되도록 상기 코일슬롯(822)은 와이어(81a)의 선경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리브(823)의 상단은 와이어(81a)가 삽입된 후 용융되어 상기 와이어(81a)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 바디와 나란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코일(81)을 이루는 와이어(81a)의 양단은 전류 공급을 조절하여 상기 인덕션 모듈(8)을 제어하는 제어부(9)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9)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2)에 고정된 베이스 하우징(82)과 상기 제어부(9) 간에는 소정의 진동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와이어(81a)는 베이스 하우징(82) 및 상기 제어부(9)와의 마찰로 인해 단선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81)은 와이어(81a)가 상기 제어부(9)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후방 공간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바디(821)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리브(823)에 권선된 후, 다시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후방 공간을 통해 상기 제어부(9)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터브(2)의 외주면 진동변위가 가장 작은 지점인 후방을 통해 와이어(81a)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81a)를 따라 형성되는 진동 위상차를 감소시켜 단선 및 탈거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왜냐하면, 드럼(3)의 회전축(75)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터브(2)로 전달되는 지점이 상기 터브(2)의 후벽이므로, 상기 터브(2)의 전방으로 갈수록 진동 변위가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바디(821) 후방에는 후크 형상의 와이어 홀더(86)가 구비되어 와이어(81a)에 발생되는 진동을 중간에 완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홀더(86)는 상기 터브(2)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두 가닥의 와이어(81a)를 홀딩시킴으로써 와이어(81a) 무게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는 베이스 하우징(82)과 제어부(9)의 중간에서 진동 변위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와이어 홀더(86)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와이어 홀더(86)는 환형의 홀더 바디(861), 상기 홀더 바디(861)의 내주면에 연결된 와이어 삽입부(862) 및, 상기 와이어 삽입부(86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삽입부 슬릿(86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삽입부(862)는 와이어(81a)의 삽입에 따라 휘어지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홀더(86)는 상기 홀더 바디(861)와 상기 터브(2)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막대형상의 홀더 연결부(8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홀더(86)는 절곡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와이어(81a)의 유동에 따라 휘어지면서 진동을 완충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와이어(81a)를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에 고정하기 하기 위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고정 리브(823)는 와이어(81a)가 꼭짓점이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권선되도록 형성된 외측리브(823a)와, 상기 외측리브(823a)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길이방향(Q-Q', 도 3참조) 중심의 후방에 위치한 내측리브(8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리브(823b)는 꼭짓점이 둥근 반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너비방향(K-K', 도 3참조) 중심과 수직하며 지면과 편행한 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면으로 연장된 와이어(81a)는 상기 외측리브(823a)와 내측리브(823b)에 순차적으로 권선된 후,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바디(821)의 후방 공간으로 연장되게 된다. 고정 리브(823)에 권선되는 와이어(81a)의 일부분을 코일(81)이라고 하고, 그 이외의 부분을 인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바디(821)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를 상하 관통한는 제1관통부(825)와 제2관통부(8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81a)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하부공간을 통해 유출입되도록 하여 상기 코일(8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관통부(825)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에 구비되되, 최외각 외측리브(823a)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모서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관통부(826)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길이방향(Q-Q', 도 3참조) 중심과 상기 내측리브(823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81a)는 “베이스 바디(821) 하부공간-제1관통부(825)-외측리브(823a)-내측리브(823b)- 제2관통부(826)- 베이스 바디(821) 하부공간”을 순차적으로 지나게 된다. 상기 인출선 중 코일(81)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인출선을 외측 인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인출선은 제1 관통부(825)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인출선 중 코일(81)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인출선을 내측 인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인출선은 제2 관통부(826)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후단에는 와이어(81a)의 좌우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보스(824)가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스(824)는 제1보스(8241)와 제2보스(8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8241)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공간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 하부공간으로 연장되는 와이어(81a)를 수용하는 제1와이어 수용홈(824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와이어 수용홈(8241a)에 와이어(81a)의 상기 외측 인출선이 수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보스(8242)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하부공간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후방공간으로 연장되는 와이어(81a)를 수용하는 제2와이어 수용홈(824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어 수용홈(8242a)에 와이어(81a)의 상기 내측 인출선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81a)는 상기 제1보스(8241)를 통해 제1관통부(825)로 연장되며, 제2관통부(826)에서 상기 제2보스(8242)를 통해 베이스 바디(821) 후방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 5의 Section B-B'를 도시한 도 7을 참조하여, 제1관통부(825)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1관통부(825)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를 관통하는 제1관통홀(8251a)을 형성하는 제1내벽(8251)과, 상기 제1내벽(8251)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하면을 잇는 제1경사면(825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사면(8252)은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하면과 상기 제1내벽(8251)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하부 경사면(8252b)과, 상기 제1내벽(8251)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1상부 경사면(825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관통홀(8251a)을 통과하는 와이어(81a)의 표면이 상기 제1경사면(8252)에 부드럽게 절곡되어 밀착되므로, 터브(2)의 진동에 따라 와이어(81a)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관통홀(8251a)의 높이(H1)는 와이어(81a)의 선경의 1.5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관통홀(8251a)을 통과하는 와이어(81a)의 곡률을 증가시켜 와이어(81a)의 꺾임을 방지한다.
이하, 도 5의 Section C-C'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여, 제2관통부(826)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2관통부(826)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를 관통하는 제2관통홀(8261a)을 형성하는 제2내벽(8261)과, 상기 제2내벽(8261)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하면을 잇는 제2경사면(826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경사면(8262)은 상기 제2내벽(8261)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상면을 연결하는 제2상부 경사면(8262a)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하면과 상기 제2내벽(8261)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하부 경사면(826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관통홀(8261a)을 통과하는 와이어(81a)의 표면이 상기 제2경사면(8262)에 부드럽게 절곡되어 밀착되므로, 터브(2)의 진동에 따라 와이어(81a)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관통홀(8261a)의 높이(H2)는 와이어(81a)의 선경의 1.5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통부(826)와 상기 제2보스(8242) 사이에는 와이어 가이더(82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가이더(827)는 와이어(81a)를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하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 가이더(827)는 상기 베이스 바디(82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와이어(81a)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의 좌우 양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베이스 하우징 고정부(8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 고정부(843)의 하단은 후크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의 양단에 구비된 고리 형상의 고정부 수용 루프(828, 도 2 및 3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 돌기(84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돌기(844)는 고정 리브(823)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은 보다 견고하게 베이스 하우징(8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84)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83)을 수용하는 영구자석 장착부 (8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842)는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장착부 측벽(8421)과, 상기 장착부 측벽(8421)에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841)와 나란하도록 돌출되어 영구자석(83)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부리브(84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리브(8422)에는 상기 드럼을 개방된 개방홀(842a)이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83)의 하면 중 일부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이하, 도1의 Section D-D'를 도시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하부 리브(8422)와 상기 고정 리브(823)의 배치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체결력 향상과 안정적인 드럼(3)의 가열을 위해, 상기 하부 리브(8422)의 하면이 상기 고정 리브(823)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81)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82)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함을 물론, 영구자석(83)의 하면이 코일(81)과 더 근접하여 드럼(3)으로 자기장이 보다 집중될 수 있으며, 하부 리브(8422)가 영구자석 하우징(84)과 베이스 하우징(82)의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 1 도어 12 터브 2
드럼 3 가스켓 4 배수부 6
구동부 7 인덕션 모듈 8 코일 81
와이어 81a 베이스 하우징 82 베이스 바디 821
고정리브 823 보스 824 제1관통부 825
제2관통부 826 와이어 가이더 827 영구자석 83
영구자석 하우징 84 커버 85 와이어 홀더 86
제어부 9

Claims (23)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 드럼;
    상기 터브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의 원주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는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고정 리브에 감겨진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측을 통해 상기 터브의 후방부로 연장되는 인출선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은:
    상기 코일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인출선; 및
    상기 코일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코일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인출선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인출선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형성된 제1 관통부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출선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형성된 제2 관통부를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출선은,
    상기 코일의 좌우 중심선을 따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1 관통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타단은 상기 제2 관통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외측 인출선은:
    상기 코일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관통부를 관통하는 제1 파트;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단에서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터브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트; 및
    상기 제2 파트로부터 상기 터브의 후방부로 연장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전류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공급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되,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코일의 최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코일의 최내측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 관통부 각각은,
    상기 인출선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내벽;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면과 상기 내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경사면; 및
    상기 내벽의 상단과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을 연결하는 상부 경사면;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원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홀더는:
    환형의 홀더 바디;
    상기 홀더 바디의 내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복수의 삽입부 슬릿이 형성된 와이어 삽입부; 및
    상기 홀더 바디와 상기 터브의 상면을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의 유동에 따라라 절곡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홀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단을 지나는 와이어의 좌우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스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외측 인출선을 수용하는 제1와이어 수용홈을 구비한 제1보스;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내측 인출선을 수용하는 제2와이어 수용홈을 구비한 제2보스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베이스 바디에 고정하는 와이어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선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리브에 감겨지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부와 제2 관통부 각각의 높이는 상기 와이어의 지름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스는 상기 코일의 좌우 중심선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보스는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보스의 사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상기 외측 인출선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저면을 따라 상기 제1 관통부로부터 상기 제1 보스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직사각형 형태의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는 반원 형상의 둥근 꼭짓점과 직선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둥근 꼭짓점의 원주 길이는 서로 동일한 의류처리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리브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코일 슬롯을 형성하며,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코일의 상부에 위치한 영구자석;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영구자석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고정 리브의 상단과 밀착되는 영구자석 장착부를 포함하는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80093385A 2018-08-09 2018-08-09 의류처리장치 KR102669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85A KR102669130B1 (ko) 2018-08-09 의류처리장치
PCT/KR2019/009805 WO2020032542A1 (en) 2018-08-09 2019-08-06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9190497.8A EP3608468A1 (en) 2018-08-09 2019-08-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induction heater
CN202210670060.9A CN115029897A (zh) 2018-08-09 2019-08-09 衣物处理装置
US16/537,156 US11155956B2 (en) 2018-08-09 2019-08-0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910734759.5A CN110820252B (zh) 2018-08-09 2019-08-09 衣物处理装置
US17/492,266 US11905642B2 (en) 2018-08-09 2021-10-0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85A KR102669130B1 (ko) 2018-08-0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78A KR20200017878A (ko) 2020-02-19
KR102669130B1 true KR102669130B1 (ko) 2024-05-23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6845A (zh) * 2017-03-14 2017-12-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磁灶用线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6845A (zh) * 2017-03-14 2017-12-0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磁灶用线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5956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536845B1 (en) Laundry apparatus
KR102592397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820253B (zh) 衣物处理设备
US8800325B2 (en) Washing machine
KR10266166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98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6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1409B1 (ko) 세탁기
KR10266913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29094A (ko) 클램프
KR20120029095A (ko) 클램프
KR2023008089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8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8088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09739A (ko) 모터 및 그를 가지는 세탁기
KR2023008088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37448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20145492A (ko) 모터 및 이를 갖는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