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86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6863A KR20190016863A KR1020170101336A KR20170101336A KR20190016863A KR 20190016863 A KR20190016863 A KR 20190016863A KR 1020170101336 A KR1020170101336 A KR 1020170101336A KR 20170101336 A KR20170101336 A KR 20170101336A KR 20190016863 A KR20190016863 A KR 201900168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er
- drum
- circumferential surface
- induction modul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효율을 증진시키고 안전성을 높인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리프터의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리프터의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효율을 증진시키고 안전성을 높인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의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의류처리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일례로 세탁 겸 건조기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가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 두 개의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동시에 2 장치에서 세탁이 수행되거나, 동시에 세탁과 건조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수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일반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탁수의 가열은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 세제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오염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세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공기의 가열은 젖은 의류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수의 가열은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에 장착된 전기 히터를 통해서 수행된다. 전기 히터는 세탁수에 잠겨 있고 세탁수에는 이물질이나 세제가 포함된다. 따라서, 전기 히터 자체에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은 전기 히터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의 가열은 공기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덕트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공기의 가열을 위해서 전기 히터나 가스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기 가열 방식의 효율은 높지 않다.
최근에는 히트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 에어컨에서 실내 공기를 낮추기 위해서 실내기에 응축기가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히트 펌프 건조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 펌프 건조기는 구성들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컨셉들(일본등록특허 JP2001070689, 한국등록특허 KR10-922986)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선행 기술들은 세탁기에서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기본 컨셉들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뿐 구체적인 유도 가열 모듈 구성들,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의 연결 및 작용 관계, 그리고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내지는 구성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유도 가열 원리를 적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 사상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유도 가열을 이용하면서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인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에 구비되는 리프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리프터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뿐만 아니라 리프터에도 가열이 수행되도록 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리프터 부분의 가열 온도를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은 드럼 부분 보다 낮게 하여 리프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리프터를 통한 열전달을 허용하여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의 드럼과 리프터의 형상과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면서도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리프터의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보다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더욱 내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가 형성하는 대향면과 상기 인덕션 모듈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드럼의 원주면이 배제되거나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즉, 원통 형상의 드럼 원주면에서 리프터의 대향면은 드럼의 원주면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되고, 대향면과 인덕션 모듈 사이에는 드럼 원주면 부분이 생략되거나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대향면과 상기 인덕션 모듈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리프터와 드럼은 단일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판재에서 리프터에 대응되는 부분을 포밍한 후 둥글게 말아서 원통 형상의 드럼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둥굴게 만 후 반경 방향 내측으로 포밍하여 리프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리프터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이너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에 의해서 이너 리프터가 가열되며, 이너 리프터는 의류와 직접 접촉하여 열을 의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이너 리프터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아우터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와 상기 드럼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아우터 리프터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리프터는 내열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리프터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프터가 장착되는 리프터 장착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을 통해서 리프터가 드럼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리프터의 결합 리브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하는 리브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리프터를 상기 드럼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에는 상기 리프터 내부와 상기 드럼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터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원주면에는 상기 리프터 내부와 상기 드럼 외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리프터 장착부에 드럼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통부는 상기 아우터 리프터에 의해 덮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럼 연통부 단면적은 상기 복수 개의 리프터 연통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 연통부는 리프터에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터에 덮히고 리프터가 드럼에 충분히 결합될 수 있는 정도를 제외하고 드럼의 원주면 부분이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는, 상기 이너 리프터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이너 리프터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의 외각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삽입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리프터의 접촉부에는 상기 삽입 리브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삽입 리브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의 접촉부에는 복수 개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드럼의 원주면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후크홀과 삽입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드럼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에 구비되는 리프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프터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뿐만 아니라 리프터에도 가열이 수행되도록 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프터 부분을 가열 온도를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은 드럼 부분 보다 낮게 하여 리프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의 드럼과 리프터의 형상과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면서도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에 인덕션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일반적인 드럼에 리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과 리프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터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터의 분해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에 인덕션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일반적인 드럼에 리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과 리프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프터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프터의 분해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 유도 가열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은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인덕션 모듈(400)이 장착되어 드럼(300)을 직접 가열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인덕션 모듈(400)은 가열 수단이므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 사용되는 다른 가열 수단들이 인덕션 모듈(400)로 대체되거나 병행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400)은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420)은 와이어가 권선되어 형성되며, 와이어의 권선 방향, 즉 감기는 방향은 가열 대상이 되는 드럼(30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와 드럼(300)의 외주면 사이의 대향 면적이 가능 크도록 와이어가 권선되고 이러한 코일(420)이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일(420)의 감김 방향, 위치 그리고 장착 위치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유도 가열 원리를 통해서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코일(420)에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코일(420)의 감김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한다. 즉, 코일(420)의 중심축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코일(420)에 전류의 위상차가 달라지는 교류 전류를 인가하면, 자기장의 방향이 변경되는 교류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교류자기장은 인접한 도체에 상기 교류자기장과 반대 방향의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유도 자기장의 변화는 상기 도체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킨다.
즉, 상기 유도 전류 및 유도 자기장은 전기장 및 자기장의 변화로 인덕션 모듈(400)에서 인근 도체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0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300)에는 상기 코일(420)에서 발생된 유도 자기장으로 인해 유도 전류의 일종인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맴돌이 전류가 발생된다.
유도 전류의 변화에 대한 저항 즉 관성에 의해서 전기 에너지는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즉, 드럼(300) 자체가 가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에 의해서 인덕션 모듈(400)에서 이격된 드럼(300)이 직접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인덕션 모듈(400)에서의 에너지는 드럼과 인덕션 모듈(40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수록 그리고 드럼과 인덕션 모듈(400)의 대향 면적이 커질수록 더욱 효과적으로 드럼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단위 면적이 인덕션 모듈(400)에 가까울수록 그리고 인덕션 모듈(400)과 평행할수록 효율이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덕션 모듈(400)은 터브(2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터브(200)의 내주면에 설치하여 인덕션 모듈(400)과 드럼 사이의 간격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회전하고 진동하는 드럼(200)이 인덕션 모듈(400)과 충돌하는 문제 그리고 터브(200)의 내부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인덕션 모듈(400)의 손상 문제 등을 고려하면, 인덕션 모듈(400)은 터브(2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20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00) 내부에 장착되고, 터브(200) 내부에 드럼(30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터브(200)의 배면에는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70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700)의 구동에 의해서 드럼이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터브는 캐비닛(100)에 대해서 댐퍼나 스프링과 같은 지지수단(80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수단은 터브(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터브의 하부에는 배수펌프(9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 모듈(400)은 터브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터브(200)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400)은 터브의 상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터브(2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수단(800)이나 배수펌프(900) 등과 같은 구성들에 의해서 인덕션 모듈(400)의 장착 공간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인덕션 모듈(400)은 정지 상태의 드럼 외주면의 일부분과 대향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400)에 전류가 인가되면 드럼 외주면의 일부분만 실질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인덕션 모듈(400)이 작동할 때 드럼(300)이 회전하는 경우 드럼 외주면 전체는 골고루 가열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400)의 가열 효율을 고려하면 드럼(300)의 최전방과 최후방은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질적으로 의류는 드럼의 전후 중심 부분에 모여서 처리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된 드럼은 드럼 내부의 의류에 열을 전달해야 하는데, 드럼(300)의 최전방과 최후방에는 의류로 열을 전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가열하는 것은 효율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400)은 터브(200)의 전후 중심부분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300)의 내부에는 의류를 드럼 내부에서 교반하는 리프터(50)가 장착될 수 있다. 리프터(50)는 드럼(300)이 회전함에 따라 의류를 들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프터(50)에 의해서 들어 올려진 의류는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터(50)에 의해서 세탁 성능이나 건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리프터(50)는 일반적으로 드럼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필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드럼 자체의 엠보싱들과는 다르다. 즉, 드럼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엠보싱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그리고 드럼의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는 것이 상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50)는 드럼의 전후 중심에서 전후로 연장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50)의 위치는 인덕션 모듈(400)이 장착 위치와 유사하다. 즉, 리프터(50)의 많은 부분이 인덕션 모듈(400)과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가 구비되는 드럼의 외주면은 인덕션 모듈(400)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터(50)가 구비되는 드럼의 외주면은 직접적으로 드럼 내부의 의류와 접촉하는 부분이 아니다. 즉, 리프터(50)가 의류와 접촉하므로, 드럼의 외주면에 발행되는 열은 의류가 아닌 리프터(50)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리프터(50)의 과열이 문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프터(50)와 접하는 드럼 원주면에서의 과열이 문제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드럼(20)에서 리프터(30)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드럼(20)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은 생략한 드럼 센터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30)는 일반적으로 드럼 센터에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프터(30)는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장착되는 데, 3개 장착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드럼의 원주면은 리프터가 장착되는 리프터 장착부(23)와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는 리프터 배제부(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통형의 드럼(20)은 금속 판재를 둥굴게 말아서 시밍부(26)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시밍부(26)는 금속 판재의 양단을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드럼의 원주면에는 다양한 엠보싱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고 리프터 장착을 위해 복수 개의 관통홀(24)과 리프터 연통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프터 배제부(22)에는 다양한 엠보싱 패턴들이 형성되고, 리프터 장착부(23)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과 리프터 연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장착부(23)는 드럼의 원주면 일부분이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과 세탁수의 통과를 위한 최소한의 홀들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피어싱 등을 통해서 형성되는 홀들이 많아질수록 불필요한 제조비 상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23)에는 장착되는 리프터(30)의 외각 형상에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이러한 관통홀(24)을 통해서 리프터(30)가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터 장착부(23)의 중앙 부분에는 드럼 외부에서 리프터 내부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리프터 연통홀(25)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터 장착부(23)에는 필요한 홀(24, 25)만 형성되어 있을 뿐 드럼의 외주면의 많은 부분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리프터 장착부(23)의 총 면적에서 홀(24, 25)들이 형성하는 총 면적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23)에서 홀들의 면적을 제외한 많은 면적이 직접적으로 인덕션 모듈(400)과 대향될 수 있다. 즉, 리프터 장착부(23) 자체가 인덕션 모듈(400)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리프터 장착부(23)에는 드럼(3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리프터(30)가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23) 자체는 드럼 내부의 의류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리프터 자체가 드럼과 접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리프터(3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리프터(30)는 리프터 장착부(23)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리프터 장착부(23)에서 발생되는 열이 리프터(3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리프터(30)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접촉하는 의류로 전달되는 열량이 매우 적게 된다. 왜냐하면, 리프터(30) 자체의 플라스틱 재질은 열전달 특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에 접하는 리프터의 일부분만 고온에 노출되고, 이러한 열은 리프터 전체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리프터 장착부에서의 온도는 섭씨 160도까지 상승할 수 있고, 반면에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온도는 섭씨 140도까지 상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리프터 장착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의류로 전달될 수 없는 것에 기인하는 것을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30)는 과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리프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 장착부(23)에서 발생되는 열을 의류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과 리프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드럼의 제작 방법이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일반적인 드럼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리프터 장착부(323)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 배제부(322)는 일반적인 드럼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리프터 배제부(322)와는 달리 드럼의 원주면이 배재거나 생략될 수 있다. 즉, 드럼의 원주면 중 리프터의 면적과 유사한 만큼의 면적이 생략되거나 배재될 수 있다. 전술한 리프터의 장착이나 세탁수 통과를 위한 홀들에 의한 생략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의 면적이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터 장착부(323)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25)는 드럼 원주면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드럼 원주면 일부분이 드럼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는 전자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후자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장착되는 리프터(50)의 형상에 대응되어 복수 개의 관통홀(324, 3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24, 326)은 리프터(50)의 외각 형상에 대응되어 리프터의 외각(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리프터가 트랙 형상인 경우 상기 관통홀들은 트랙의 외각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관통홀들은 드럼의 원주면 일부분에 구멍을 뚫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프터 장착부(323)의 중앙 부분에는 드럼 원주면 부분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인덕션 모듈(400)과 대향되는 면적이 생략될 수 있다. 즉, 관통홀(324, 326)들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전체가 절개되어 절개된 형태의 함몰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25)는 리프터의 내측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리프터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절개 형태의 함몰부는 드럼 내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드럼 외측에서는 리프터 장착부(323)에 장착된 리프터의 중앙 부분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리프터 장착부(323)에 의해서 리프터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드럼 원주면과 인덕션 모듈(400)이 대향되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모두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323)에서 발생되는 열이 매우 작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형태의 리프터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왜냐하면, 리프터 장착부 전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매우 작기 때문에 리프터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리프터가 과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플라스틱 리프터를 사용하는 경우 리프터와 리프터 장착부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국부적인 가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는 국부적인 리프터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터 장착부(323)에 대응되는 면적이 인덕션 모듈과 대향될 때 발생되는 열의 양이 최소이나,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이 열 에너지로 변환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프터의 과열 방지와 리프터 장착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 최소화를 모두 충족하는 것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리프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터의 과열에 의한 손상 방지와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50)는 금속 재질의 이너 리프터(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리프터(60)는 타원 또는 트랙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의 내주면에 맞닿는 외각 내지는 프레임(61)의 형상이 타원 또는 트랙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형상에서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에 장착되었을 때 드럼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길이가 폭보다 큰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너 리프터(60)는 외각(61)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이너 리프터(60)의 함몰된 형상은 드럼 내부에서 리프터(5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이너 리프터(60)가 함몰되어 형성됨으로써 리프터(50)가 드럼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60)는 금속 재질이며 외각(61)의 내측 부분들이 함몰됨에 따라 인덕션 모듈(400)과의 이격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너 리퍼트(60)에 대응되는 드럼의 원주면은 제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거된 원주면이 이너 리프터(60)로 대체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거된 원주면이 이너 리프터의 형태로 인덕션 모듈과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너 리프터(60)가 형성하는 대향면은 리프터 배제부의 대향면에 비해서 드럼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더욱 이동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너 리프터(60)의 최대 함몰 길이 내지는 최대 돌출 길이는 드럼 내주면에서 드럼 중심까지 반경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작다. 즉, 증가되는 대향 간격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이너 리프터(60)는 반경 방향으로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외각(61)에서 이너 리프터(60)의 중심까지 수직 형태로 함몰되지 않고 경사면을 갖도록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이너 리프터(60)는 인덕션 모듈(400)에 대해서 이너 리프터(60)의 외각(61)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향면 내지는 투영면(64)을 갖는다. 다만, 함몰 형상 즉 함몰 길이 내지는 돌출 길이가 증가됨에 따른 등고선의 변화로 인해서 대향 간격 내지는 이격 간격은 대향면의 위치에 따라서 가변된다. 즉, 대향면에서의 이격 거리는 외각(61)에서 최소라 할 수 있으며, 이너 리프터(60)의 중심 부분에서 최대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너 리프터(60)의 재질 그리고 이너 리프터(60)의 높이에 의해서 상기 이너 리프터(60)는 인덕션 모듈(400)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60)는 얇은 금속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인덕션 모듈(400)에 의해서 이너 리프터(60)도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물론, 드럼 내주면으로부터 이너 리프터(60)가 함몰되어 인덕션 모듈과의 이격 거리(대향 거리)가 커지지만, 이격 거리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이너 리프터(60)도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이너 리프터(60)는 의류와 직접 접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너 리프터(6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의류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덕션 모듈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의류로 전달할 수 있음으로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 리프터(60)의 중심 부분에는 통공(6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리프터(60) 내부에서 세탁수를 드럼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터 연통홀(62)을 통해서 물줄기가 형성되므로 세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리프터(60)의 외각(61) 내지는 드럼 결합면에는 복수 개의 결합 리브(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63)는 외각(61)을 따라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6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 장착부(323)에 형성되는 관통홀(324, 326)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브 관통홀(326)과 결합될 수 있다.상기 결합 리브(63)는 상기 드럼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 폭보다 두께가 작은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리브(63)가 삽입되는 관통홀 특히 리브 관통홀(326)은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 관통홀(326) 주변의 드럼 원주면에 발생되는 열은 상기 결합 리브(63)를 통해서 이너 리프터(6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함몰부 또는 절개부를 통해서 리프터 장착부(323)에서 드럼 원주면 부분을 생략시켜 이 부분을 가열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부분에서 발생되는 열은 의류로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함몰부 또는 절개부를 통해서 리프터에 금속 대향면을 형성하여, 금속 대향면을 가열함과 동시에 열을 직접 의류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인덕션 모듈과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함몰된 리프터를 통해서 리프터의 과열 방지 및 리프터의 열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너 리프터를 금속 재질 더욱 바람직하게는 드럼과 같은 재질, 일례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이너 리프터가 마치 드럼의 원주면 일부분이 드럼 내부로 돌출된 것과 같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 증진 그리고 가열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50)는 아우터 리프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70)는 상기 이너 리프터(60)와 결합될 수 있다. 양자의 결합에 의해서 리프터(50)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리프터(60)만 있는 경우 드럼과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이너 리프터와 드럼 사이가 견고히 결합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리프터의 얇은 두께로 인해서 이너 리프터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즉, 외부 충격에 의해서 이너 리프터가 쉽게 찌그러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리프터(50)는 플라스틱 재질의 아우터 리프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70)를 통해서, 상기 리프터(50)가 드럼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우터 리프터(70)와 드럼 사이의 접촉은 필요할 수 있다. 즉,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더라도 아우터 리프터(70)와 드럼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는 접촉 면적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리프터(70)는 내열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70)와 이너 리프터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리프터는 실질적으로 리프터(50)의 바닥면만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리프터(50)의 외부 면적 중 이너 리프터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리프터 전체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매우 경제적이다. 그리고, 이너 리프터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므로, 열을 의류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금속 재질의 이너 리프터(60)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아우터 리프터(70)의 결합을 통해서 리프터(50)를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아우터 리프터(70)는 바닥면 또는 외각(71)을 갖고, 상기 외각(71)은 리프터 전체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드럼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외각(71)은 폭이 좁게 형성된다. 즉, 속이 비어 있는 타원이나 트랙 형상으로 외각(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아우터 리프터(70)의 테두리 또는 프레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의 외각(71)에는 이너 리프터의 결합 리브(63)가 관통되는 관통홀 내지는 삽입홀(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63)는 관통홀(73)을 관통한 후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리프터(70)가 접촉하는 드럼 외주면에서 발생되는 열은 플라스틱 재질인 아우터 리프터의 외각보다는 금속 재질인 결합 리브(63)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 특히 아우터 리프터(70)를 드럼과 더욱 견고히 결합하기 위해서 후크(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77)는 아우터 리프터의 외각(71) 내지는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럼의 리프터 장착부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리프터(70)는 외각(71)을 제외하고 상기 이너 리프터(6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이너 리프터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70)의 프레임(71) 내부, 즉 이너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아우터 리프터 부분, 즉 삽입부(72)에는 다양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72)는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부(72)를 제외하고 외각(71)만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외각(71)을 삽입부(72)와 구분하기 위하여 접촉부라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72)에는아우터 리프터(70) 자체의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76)가 폭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76)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 리프터(70)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로 프레임(71)과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프터의 폭 방향은 리프터(50)에 가해지는 외력 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즉, 의류와 접촉하여 의류를 들어 올리는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보강 리브(75)는 리프터(50)의 길이 방향이 아닌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우터 리프터(70)를 드럼에 더욱 견고히 결합하기 위한 보스(7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스에는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대응되어 드럼에는 스크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리프터(70)에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300) 외부에서 리프터 내부로 세탁수를 유입하기 위한 관통부(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들의 면적은 리프터(50)의 통공(62)의 면적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프터 외부와 내부 사이의 압력 차이에 의해서 물줄기가 더욱 거세게 통공(62)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리프터(70)의 프레임(71)은 드럼의 내주면과 직접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폭은 드럼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이러한 빈 공간에 대응되어 드럼의 원주면에도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절개부 내지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 내지는 함몰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 면적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레임(71) 내부에 위치되는 드럼의 원주면은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1)의 내부에는 최대한 많은 부분의 드럼 원주면이 제거되며 이를 함몰부, 절개부 내지는 드럼 연통부(325)라 할 수 있다.
도 4에는 드럼 연통부(523)가 리프터(5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나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리프터에 대응되는 드럼 원주면의 면적을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드럼 연통부(523)는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커다란 드럼 연통부(523)가 복수 개로 구획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구획을 위해서는 드럼 원주면 일부분이 남겨져 있어야 하므로, 이 부분의 가열은 에너지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드럼 내부에서 의류와 접촉하는 리프터를 드럼과 별도로 제작하여 드럼에 장착하였다. 특히, 드럼과 접촉하는 부분인 리프터의 대향면을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대향면과 인덕션 모듈 사이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리프터가 장착되는 드럼의 원주면을 마치 드럼의 회전축 중심 방향으로 함몰시켜 대향면을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리프터를 드럼과 별도로 제작하여 드럼에 장착하지 않고, 드럼 자체에 리프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드럼의 원주면 일부를 드럼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시켜 리프터(50)를 형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드럼의 내부에서는 드럼의 일부분이 드럼 내측으로 함몰되어 리프터(50)가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드럼의 외부에서는 드럼 외주면 일부가 드럼 내측으로 함몰된 빈 공간을 갖는 함몰부(325)가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공기가 채워진다. 따라서, 리프터(50)가 형성하는 대향면은 드럼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대향면은 인덕션 모듈과의 이격 거리가 더욱 증가되는 방향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대향면은 인덕션 모듈에 의해서 가열되고, 리프터(50)는 의류와 접촉하므로 의류로 열을 쉽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드럼 전체, 특히 리프터에서도 열 에너지로 전환되고, 리프터를 포함하는 드럼 내주면에서 의류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들 모두에서 플라스틱 재질의 리프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리프터의 손상과 에너지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터 부분에서도 열을 의류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가열 성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의류에 열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 건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00 : 드럼
322 : 리프터 배제부
323: 리프터 장착부 325 : 함몰부(절개부)
50 : 리프터 60 : 이너 리프터
70 : 아우터 리프터
323: 리프터 장착부 325 : 함몰부(절개부)
50 : 리프터 60 : 이너 리프터
70 : 아우터 리프터
Claims (20)
-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리프터의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마주보는 대향면을 갖고, 상기 대향면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보다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으로 더욱 내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과 상기 인덕션 모듈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 중 일부분이 상기 드럼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이너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이너 리프터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아우터 리프터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리프터와 상기 드럼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아우터 리프터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리프터는 내열성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리프터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리프터의 결합 리브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하는 리브 관통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리프터를 상기 드럼에 스크류를 통해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 관통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프터에는 상기 리프터 내부와 상기 드럼 내부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터 연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원주면에는 상기 리프터 내부와 상기 드럼 외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연통부는 상기 아우터 리프터에 의해 덮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드럼 연통부 단면적은 상기 복수 개의 리프터 연통홀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리프터는,
상기 이너 리프터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이너 리프터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프터의 외각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 개의 삽입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리프터의 접촉부에는 상기 삽입 리브가 삽입되기 위한 복수 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삽입 리브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리프터의 접촉부에는 복수 개의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기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후크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드럼의 원주면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 개의 후크홀과 삽입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드럼 절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336A KR20190016863A (ko) | 2017-08-09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AU2018316057A AU2018316057B2 (en) | 2017-08-09 | 2018-08-09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RU2020109681A RU2732557C1 (ru) | 2017-08-09 | 2018-08-09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
PCT/KR2018/009133 WO2019031895A1 (en) | 2017-08-09 | 2018-08-09 |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EP18188220.0A EP3441512B1 (en) | 2017-08-09 | 2018-08-09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JP2020507587A JP2020530356A (ja) | 2017-08-09 | 2018-08-09 |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US16/059,115 US11434595B2 (en) | 2017-08-09 | 2018-08-09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N201880051772.4A CN110998018B (zh) | 2017-08-09 | 2018-08-09 |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衣物处理设备的方法 |
US17/529,945 US11926950B2 (en) | 2017-08-09 | 2021-11-18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1336A KR20190016863A (ko) | 2017-08-09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6863A true KR20190016863A (ko) | 2019-02-19 |
Family
ID=6320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1336A KR20190016863A (ko) | 2017-08-09 | 2017-08-09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1434595B2 (ko) |
EP (1) | EP3441512B1 (ko) |
JP (1) | JP2020530356A (ko) |
KR (1) | KR20190016863A (ko) |
CN (1) | CN110998018B (ko) |
AU (1) | AU2018316057B2 (ko) |
RU (1) | RU2732557C1 (ko) |
WO (1) | WO201903189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7872A1 (ko) * | 2020-03-16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7042B1 (ko) * | 2017-08-09 | 202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650116B1 (ko) * | 2018-09-11 | 2024-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 |
TR201904343A2 (tr) * | 2019-03-22 | 2020-10-21 | Arcelik As | Kanat i̇çeren bi̇r çamaşir maki̇nesi̇ |
US11598042B2 (en) | 2019-03-28 | 2023-03-07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duction heat |
BR112021025815A2 (pt) | 2019-06-21 | 2022-02-08 | Electrolux Appliances AB | Aparelho para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e métodos para controlar um aparelho para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
PL4103776T3 (pl) * | 2020-02-10 | 2024-06-24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Pralka do prania |
KR102491392B1 (ko) * | 2020-03-06 | 2023-0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116957A (en) | 1981-01-12 | 1982-07-21 | Toyota Motor Corp | Shifting solenoid control circuit in automatic speed change gear |
JPS6158694A (ja) * | 1984-08-31 | 1986-03-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IT1249885B (it) * | 1991-05-31 | 1995-03-30 |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 Cestello per macchine lavabiancheria |
US5455119A (en) * | 1993-11-08 | 1995-10-03 | Praxair S.T. Technology, Inc. | Coating composition having good corrosion and oxidation resistance |
KR950014358U (ko) * | 1993-11-30 | 1995-06-16 | 드럼식 세탁기의 회전 드럼구조 | |
US5724750A (en) | 1995-11-16 | 1998-03-10 | Burress; Vergel F. | Clothes dryer with Peltier effect heating, infrared heating, and vacuum drying capabilities |
KR100195453B1 (ko) * | 1996-05-11 | 1999-06-15 | 윤종용 | 드럼세탁기의 리프터장치 |
JP3870620B2 (ja) | 1999-09-09 | 2007-0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洗濯機 |
KR100751759B1 (ko) | 2004-08-09 | 2007-08-27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드럼세탁기의 급수장치 |
KR20070119321A (ko) * | 2006-06-15 | 2007-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리프터 일체형 드럼을 구비한 세탁기 및 드럼 성형 방법 |
DE602006012845D1 (de) * | 2006-10-19 | 2010-04-22 | Electrolux Home Prod Corp | Haushaltwaschmaschine mit induktiver Heizung |
KR101353313B1 (ko) | 2008-02-25 | 2014-01-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기조리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유도코일유닛 |
KR20090096949A (ko) * | 2008-03-10 | 2009-09-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DE102008043281A1 (de) * | 2008-10-29 | 2010-05-0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mit einer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izen einer Waschlauge und/oder von Wäschestücken in einer Trommel eines Hausgeräts |
KR100922986B1 (ko) | 2009-01-12 | 2009-10-22 | 윤태소 | 건조기 |
DE102009026646A1 (de) * | 2009-06-02 | 2010-12-09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in einer Waschmaschine mittels einer Induktionsheizung sowie Waschmaschine hierfür |
CN201634918U (zh) * | 2010-03-11 | 2010-11-17 | 上海赛航洗涤设备有限公司 | 一种采用电磁感应加热器的干衣机电加热器 |
TR201005181A2 (tr) * | 2010-06-25 | 2010-12-21 | Vestel Beyaz E�Ya Sanay� Ve T�Caret Anon�M ��Rket�@ | Bir indüksiyon ısıtma sistemi |
KR20130034911A (ko) | 2011-09-29 | 2013-04-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프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
KR101450238B1 (ko) | 2013-08-27 | 2014-10-14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인덕션 가열판 및 그 제조방법 |
JP6158694B2 (ja) | 2013-12-11 | 2017-07-05 | 株式会社Subaru | 回転電機の冷却構造 |
DE102014208514A1 (de) * | 2014-05-07 | 2015-11-12 | BSH Hausgeräte GmbH |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Induktionsheizung |
KR102449509B1 (ko) * | 2016-01-05 | 2022-09-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용 리프터 |
DE102016110859B3 (de) | 2016-05-19 | 2017-06-22 | Miele & Cie. Kg |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
AU2017316101B2 (en) | 2016-08-25 | 2020-02-27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DE102016122744A1 (de) * | 2016-11-25 | 2018-05-30 | Miele & Cie. Kg | Verfahren und Ansteuerschaltung für einen induktionsbeheizten Wäschetrockner |
EP3434822B1 (en) * | 2017-07-24 | 2022-01-05 |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 Garment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
KR102377042B1 (ko) * | 2017-08-09 | 202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7
- 2017-08-09 KR KR1020170101336A patent/KR20190016863A/ko unknown
-
2018
- 2018-08-09 JP JP2020507587A patent/JP2020530356A/ja active Pending
- 2018-08-09 AU AU2018316057A patent/AU2018316057B2/en not_active Ceased
- 2018-08-09 WO PCT/KR2018/009133 patent/WO201903189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8-09 EP EP18188220.0A patent/EP3441512B1/en active Active
- 2018-08-09 US US16/059,115 patent/US11434595B2/en active Active
- 2018-08-09 CN CN201880051772.4A patent/CN110998018B/zh active Active
- 2018-08-09 RU RU2020109681A patent/RU2732557C1/ru active
-
2021
- 2021-11-18 US US17/529,945 patent/US11926950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7872A1 (ko) * | 2020-03-16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732557C1 (ru) | 2020-09-21 |
AU2018316057B2 (en) | 2021-10-21 |
AU2018316057A1 (en) | 2020-02-27 |
US11926950B2 (en) | 2024-03-12 |
CN110998018B (zh) | 2022-03-18 |
JP2020530356A (ja) | 2020-10-22 |
US20220074100A1 (en) | 2022-03-10 |
CN110998018A (zh) | 2020-04-10 |
US11434595B2 (en) | 2022-09-06 |
US20190048512A1 (en) | 2019-02-14 |
EP3441512A1 (en) | 2019-02-13 |
EP3441512B1 (en) | 2021-04-07 |
WO2019031895A1 (en) | 2019-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6863A (ko) | 의류처리장치 | |
US11421369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66166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48706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98859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3441517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EP3505674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EP3441515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EP3441516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101141641B1 (ko) |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응축덕트 구조 | |
CN110998017B (zh) | 衣物处理装置 | |
KR101829833B1 (ko) | 세탁기 | |
KR101033585B1 (ko) | 드럼세탁기 | |
KR100546612B1 (ko) | 드럼 세탁기 | |
KR101053584B1 (ko) | 드럼세탁기 | |
CN118749037A (zh) | 衣物处理设备 | |
CN118632955A (zh) | 衣物处理设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