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865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865A
KR20190016865A KR1020170101339A KR20170101339A KR20190016865A KR 20190016865 A KR20190016865 A KR 20190016865A KR 1020170101339 A KR1020170101339 A KR 1020170101339A KR 20170101339 A KR20170101339 A KR 20170101339A KR 20190016865 A KR20190016865 A KR 20190016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mobile terminal
less
infrare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607B1 (ko
Inventor
김종필
이동진
김학해
주성범
홍재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607B1/ko
Priority to US16/039,264 priority patent/US10823940B2/en
Publication of KR2019001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8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designed fo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1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6Wavelength selective element, sheet or layer, e.g. filter or gr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광학계의 밝기를 개선하여 F number를 낮게하고, T number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하나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모듈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렌즈를 포함하는 5개 이상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렌즈는, 0.3mm 이상의 두께를 갖고, 유효경이 1.5mm 이상 8.0mm 이하이고, 굴절률은 1.6 미만이고, 아베수는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광학계를 구성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광학계의 밝기가 밝을수록 이미지의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밝기의 광학계가 요구된다. 또한 높은 밝기의 광학계에서는 정확한 노출 제어가 가능하고,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조절 또는 광학 줌의 조절 등 물리적 운동을 최소화 할 수 잇다는 점에서 기계적 소음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밝은 광학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센서가 크거나, 광학계 렌즈군의 F number가 낮거나(이는 조리개의 지름이 큰 것과 대응될 수 있다.), 투과율(T number)이 높을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센서의 화소 사이즈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F number를 낮추기 위해 대구경 렌즈를 구비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많은 숫자의 렌즈가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많은 숫자의 렌즈를 사용하여 광학계를 구성하는 경우 투과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투과율 저하는 렌즈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더더욱 심해지게 된다.
특히 모바일 이동 단말기에 구현되는 광학계는 실장 공간이 협소하여 조리개 값을 극대화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투과율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광학계의 밝기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모듈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렌즈를 포함하는 5개 이상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렌즈는, 0.3mm 이상의 두께를 갖고, 유효경이 1.5mm 이상 8.0mm 이하이고, 굴절률은 1.6 미만이고, 아베수는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학계의 T-넘버는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일 면은 비구면 형상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글래스 렌즈는 상기 렌즈군 중 빛의 입사면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빛의 입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2 렌즈 및 제3 렌즈는 굴절률 값이 1.6 이상인 플라스틱 렌즈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학 모듈의 렌즈군은 6개의 굴절 렌즈이고, 상기 6개의 굴절 렌즈는, 빛의 입사면에 가장 가깝고 양의 굴절능을 갖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음의 굴절능을 갖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음의 굴절능을 갖는 제3 렌즈, 상기 제3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양의 굴절능을 갖는 제4 렌즈, 상기 제4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양의 굴절능을 갖는 제5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음의 굴절능을 갖는 제6 렌즈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1.0 초과 1.5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5 초과 1.0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 초과 0.5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4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 초과 0.5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5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5 초과 1.0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6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5 초과 1.0 이하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렌즈군의 광학경로 이후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군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어 적외선 컷 코팅 및 반사 방지 코팅이 된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 상기 렌즈군의 광학경로 이전에 구비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측면은 적외선 컷 코팅이 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 컷 필름은 0.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 컷 필터의 상기 적외선 컷 코팅 및 상기 반사 방지 코팅은 상기 적외선 컷 필터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측면은 내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410~6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98% 이상, 700~100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22% 이하, 940nm 파장대의 최대 투과율은 8% 이하, 930~9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6% 이하인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F number가 낮고 동시에 T number가 높은 밝은 광학계를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학계의 두께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플래어(Flare) 현상의 문제 발생 여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학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상기 표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여섯 매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의 수차도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광학 모듈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파장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윈도우의 파장별 투과율 결과 값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 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 내 정보, 이동 단말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틱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광학계 또는 광학 모듈에 대한 특징은 상기 제1카메라(121a)에도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2카메라(121b)에도 적용될 수 있다. 광학계는 제1카메라(121a) 또는 제2카메라(121b)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윈도우 및 전자적 연결 구성까지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고, 광학 모듈은 커버 윈도우를 제외하고 메인기판에 실장되는 하나의 부품 단위로서 설명될 수 있다.
광학계의 밝기가 밝을수록 이미지의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밝기의 광학계가 요구된다. 또한 높은 밝기의 광학계에서는 정확한 노출 제어가 가능하고,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조절 또는 광학 줌의 조절 등 물리적 운동을 최소화 할 수 잇다는 점에서 기계적 소음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밝은 광학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센서가 크거나, 광학계 렌즈군의 F number가 낮거나(이는 조리개의 지름이 큰 것과 대응될 수 있다.), 투과율(T number)이 높을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센서의 화소 사이즈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F number를 낮추기 위해 대구경 렌즈를 구비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많은 숫자의 렌즈가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많은 숫자의 렌즈를 사용하여 광학계를 구성하는 경우 투과율이 떨어지게 되고, 이러한 투과율 저하는 렌즈가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더더욱 심해지게 된다.
특히 모바일 이동 단말기에 구현되는 광학계는 실장 공간이 협소하여 조리개 값을 극대화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투과율을 높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조건들을 만족하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하나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범위 내에서 광학계와 광학 모듈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광학계(200)를 도시한 것이다.
광학 모듈(200)의 단일의 렌즈군(220)은 5개 이상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5개 이상의 굴절 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렌즈 및 플라스틱(Plastic)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5개 이상의 굴절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F number를 적정 값 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글래스 렌즈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렌즈에 비해 빛 투과율(Transmittance)이 높아 플라스틱 렌즈만으로 구성된 경우 대비 광학계(200)의 투과율(T number)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글래스 렌즈는 강성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글래스 렌즈의 두께는 0.3mm 이상이 될 수 있다.
글래스 렌즈의 유효경은 1.5mm 이상 8.0mm 이하인 것이 적절하다. 또한 글래스 렌즈의 굴절률은 1.6 미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글래스 렌즈의 아베수는 60 이상인 것이 적절하다. 분산값이 높을수록 색수차가 낮아지므로 아베수 60 이상의 글래스 렌즈는 광학계(200)의 색수차를 낮추는 데에도 효과를 가진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글래스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200)의 투과율 T number는 1.8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렌즈군(220)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일 면은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광학계(200)의 렌즈군(220) 중 플라스틱 렌즈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글래스 렌즈는 코어 금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특징을 포함하는 6매의 굴절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계(2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광학계(200)는 빛이 입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조리개(211), 제1 렌즈(221), 제2 렌즈(222), 제3 렌즈(223), 제4 렌즈(224), 제5 렌즈(225), 제6 렌즈(226) 및 이미지 센서(241) 순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렌즈(221) 내지 제6 렌즈(226)를 렌즈군(220)으로 정의한다.
조리개(211)를 빛이 입사되는 방향, 즉 피사체에 가장 가까이 위치시킴으로써 입사되는 빛의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조리개(211)의 전방에는 커버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커버 윈도우가 조리개(211)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6 렌즈(226)와 이미지 센서(241) 사이에는 적외선 컷 필터(IR cut Filter, 23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적외선 컷 필터(231)는 렌즈군(220)과 이미지 센서(24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와 적외선 컷 필터(231)에 관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글래스 렌즈는 렌즈군(220) 중 빛의 입사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인 제1 렌즈(221)로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굴절 렌즈 중 투과율이 가장 높은 글래스 렌즈를 입사면에 가까이 위치시켜 실질적인 집광이 가장 많이 될 수 있도록 하고, 투과율에 의한 손실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글래스 렌즈는 제2 렌즈 내지 제6 렌즈(222~226)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표 1의 광학계(200)의 설계는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글래스 렌즈의 특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특징들을 갖는 광학계의 설계 일 실시 예는 다음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제1 렌즈(221)는 양의 굴절능을, 제2 렌즈(222)는 음의 굴절능을, 제3 렌즈(223)는 음의 굴절능을, 제4 렌즈(224)는 양의 굴절능을, 제5 렌즈(225)는 양의 굴절능을, 제6 렌즈(226)는 음의 굴절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굴절능은 1/초점거리의 값을 뜻한다.
제1 렌즈(221), 제2 렌즈(222), 제3 렌즈(223), 제4 렌즈(224), 제5 렌즈(225) 및 제6 렌즈(226)의 굴절능을 각각 K1, K2, K3, K4, K5, K6라고 하고, 렌즈군(200) 전체의 굴절능을 Kt라고 할 때,
렌즈군(200)의 굴절능에 대한 제1 렌즈(221)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K1/Kt|로 표현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K1/Kt| 값은 1.0 초과 1.5 미만이 될 수 있다. 또한 0.5<|K2/Kt|<1.0, 0<|K3/Kt|<0.5, 0<|K4/Kt|<0.5, 0.5<|K5/Kt|<1.0, 0.5<|K6/Kt|<1.0 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표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여섯 매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의 수차도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보는 바와 같이 본 표 1의 설계와 같은 광학계는 적절한 설계라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광학 모듈(200)의 종단면 개략도이다.
이동 단말기의 광학 모듈(200)은 실장 공간의 제약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얇은 두께의 일환으로 렌즈군(220)의 내측단과 이미지 센서(241) 사이의 공간에 대한 고려가 있다. 이 공간은 Flange Back Length(이하 FBL이라 한다.)으로 정의된다. FBL은 AF 또는 OIS 구동 및 구동을 위한 구조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과 적외선 컷 필터(231)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FBL 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적외선 컷 필터(231)의 두께 최소화가 고려되고 있다. 기존 글래스(Glass) 재질을 이용한 적외선 컷 필터(231)의 경우 최소 0.21mm 의 두께가 필요하였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231)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250)의 단면 개략도이다.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250)에는 필름(251) 면에 적외선 컷 코팅(252) 및 반사 방지 코팅(253)이 될 수 있다. 적외선 컷 코팅(252)은 적외선 컷 필터(250) 필름(251)의 일면에, 반사 방지 코팅(253)은 적외선 컷 필터(250) 필름(251)의 타면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적외선 컷 코팅(252)은 빛의 입사면 방향에 위치한 일 면에, 반사 방지 코팅(253)은 이미지 센서(241, 도 4참조)가 구비된 방향에 위치한 타 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250)는 0.1mm 로 구현될 수 있어 글래스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 대비 0.1mm의 두께 감소가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250)의 적용으로 인해 700nm 이상의 파장대 영역에서 실제 가시광선 영역의 이미지의 상과 일치하지 않는 이미지가 맺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보라빛의 빛 번짐 현상과 같은 현상이라 하여 플래어(Flare) 현상이라고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커버 윈도우(131)에 추가적으로 적외선 컷 코팅(261)이 입혀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31)는 광학 모듈(200)이 구비되는 이동 단말기(100, 도 1c참조)의 외관 케이스(101, 102, 103)에 구비되어 광학적으로 투명한 부재로서 광학 모듈(2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외선 컷 코팅(261)은 커버 윈도우(131)의 내측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파장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파장의 투과율은 그래프와 같다. 410~6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98% 이상, 700~100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22% 이하, 940nm 파장대의 최대 투과율은 8% 이하, 930~9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6% 이하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를 통해 전술한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의 적용으로 인한 플래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얇은 두께의 광학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버 윈도우의 파장별 투과율 결과 값을 도시한 것이다.
보는 바와 같이, 커버 윈도우에 적외선 컷 코팅을 구현함으로써 종래의 커버 윈도우의 파장별 투과율과 달리, 근 적외선(NIR) 영역에 대한 파장 투과율이 20% 이하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121a, 121b: 카메라
131: 커버 윈도우
200: 광학 모듈, 광학계
211: 조리개
220: 렌즈군
221: 제1 렌즈
222: 제2 렌즈
223: 제3 렌즈
224: 제4 렌즈
225: 제5 렌즈
226: 제6 렌즈
231: 적외선 컷 필터
241: 이미지 센서
250: 필름형 적외선 컷 필터
251: 필름
252: 적외선 컷 코팅
253: 반사 방지 코팅
261: 적외선 컷 코팅

Claims (15)

  1. 하나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모듈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렌즈를 포함하는 5개 이상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글래스 렌즈는,
    0.3mm 이상의 두께를 갖고,
    유효경이 1.5mm 이상 8.0mm 이하이고,
    굴절률은 1.6 미만이고,
    아베수는 6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계의 T-넘버는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일 면은 비구면 형상인 이동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렌즈는 상기 렌즈군 중 빛의 입사면에 가장 가까운 제1 렌즈인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빛의 입사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2 렌즈 및 제3 렌즈는 굴절률 값이 1.6 이상인 플라스틱 렌즈인 이동 단말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렌즈군은 6개의 굴절 렌즈이고,
    상기 6개의 굴절 렌즈는,
    빛의 입사면에 가장 가깝고 양의 굴절능을 갖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음의 굴절능을 갖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음의 굴절능을 갖는 제3 렌즈;
    상기 제3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양의 굴절능을 갖는 제4 렌즈;
    상기 제4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양의 굴절능을 갖는 제5 렌즈; 및
    상기 제5 렌즈의 광학경로 후방에 위치하여 음의 굴절능을 갖는 제6 렌즈인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1.0 초과 1.5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2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5 초과 1.0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3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 초과 0.5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4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 초과 0.5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5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5 초과 1.0 이하,
    상기 렌즈군의 굴절능에 대한 상기 제6 렌즈의 굴절능 비의 절대값은 0.5 초과 1.0 이하인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군의 광학경로 이후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군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어 적외선 컷 코팅 및 반사 방지 코팅이 된 필름 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
    상기 렌즈군의 광학경로 이전에 구비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측면은 적외선 컷 코팅이 된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컷 필름은 0.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컷 필터의 상기 적외선 컷 코팅 및 상기 반사 방지 코팅은 상기 적외선 컷 필터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측면은 내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410~6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98% 이상, 700~100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22% 이하, 940nm 파장대의 최대 투과율은 8% 이하, 930~9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6% 이하인 이동 단말기.
  12. 하나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모듈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광학 모듈의 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글래스(Glass) 렌즈를 포함하는 5개 이상의 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군의 광학경로 이후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렌즈군 및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어 적외선 컷 코팅 및 반사 방지 코팅이 된 필름재질의 적외선 컷 필터; 및
    상기 렌즈군의 광학경로 이전에 구비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측면은 적외선 컷 코팅이 된 이동 단말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컷 필름은 0.1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컷 필터의 상기 적외선 컷 코팅 및 상기 반사 방지 코팅은 상기 적외선 컷 필터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측면은 내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410~6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98% 이상, 700~100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22% 이하, 940nm 파장대의 최대 투과율은 8% 이하, 930~950nm 파장대의 투과율 평균은 6% 이하인 이동 단말기.
KR1020170101339A 2017-08-09 2017-08-09 이동 단말기 KR10202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39A KR102024607B1 (ko) 2017-08-09 2017-08-09 이동 단말기
US16/039,264 US10823940B2 (en) 2017-08-09 2018-07-18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339A KR102024607B1 (ko) 2017-08-09 2017-08-09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865A true KR20190016865A (ko) 2019-02-19
KR102024607B1 KR102024607B1 (ko) 2019-09-24

Family

ID=6527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339A KR102024607B1 (ko) 2017-08-09 2017-08-09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23940B2 (ko)
KR (1) KR102024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9427B (zh) * 2019-06-30 2021-08-1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TWI831649B (zh) * 2023-03-03 2024-02-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相機模組與電子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671B1 (ko) * 2005-01-27 2006-09-26 (주)디바이스 온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778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선명 촬상 광학계
KR100962999B1 (ko) * 2008-06-27 2010-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30030067A (ko) * 2011-09-16 2013-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
KR20160088092A (ko) * 2015-01-15 2016-07-25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용 광학 렌즈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5574B2 (en) * 2004-02-23 2010-09-14 Xenonics, Inc. Low-light viewing device for displaying image based on visible and near infrared light
US8693089B2 (en) * 2010-06-18 2014-04-08 Daishinku Corporation IR cut filter
JP6327842B2 (ja) * 2013-12-06 2018-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5118152A (ja) * 2013-12-17 2015-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6208003B2 (ja) * 2013-12-25 2017-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6376561B2 (ja) * 2014-10-29 2018-08-22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像レンズ
TWI629534B (zh) * 2016-03-04 2018-07-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671B1 (ko) * 2005-01-27 2006-09-26 (주)디바이스 온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778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선명 촬상 광학계
KR100962999B1 (ko) * 2008-06-27 2010-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촬상 렌즈
KR20130030067A (ko) * 2011-09-16 2013-03-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가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
KR20160088092A (ko) * 2015-01-15 2016-07-25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용 광학 렌즈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607B1 (ko) 2019-09-24
US20190049697A1 (en) 2019-02-14
US10823940B2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260B1 (ko) 카메라 모듈
KR101645495B1 (ko) 컬러센서 모듈 및 이동 단말기
US11307448B2 (en) Mobile terminal
US10791274B2 (en) Camera module capable of wide-angle shooting normal-angle shoot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971175B2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2560669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14305A (ko) 렌즈 조립체
KR20160016153A (ko) 이동 단말기
KR101951677B1 (ko) 커넥터 방수 하우징 및 이동 단말기
KR2018010596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98871A (ko)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10823940B2 (en) Mobile terminal
KR201600384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82179A (ko) 금속질감 필름 및 금속질감 케이스
US20210063681A1 (en) Optic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same
KR20160036230A (ko)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2127396B1 (ko) 이미지 획득 장치
KR20190127161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36312A (ko) 렌즈 조립체
KR102192820B1 (ko) 이동 단말기
KR102317046B1 (ko) 카메라 모듈
KR102592652B1 (ko) 이동 단말기
US11431832B2 (en) Mobile terminal
KR1015625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4463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