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69A -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369A
KR20190016369A KR1020170100522A KR20170100522A KR20190016369A KR 20190016369 A KR20190016369 A KR 20190016369A KR 1020170100522 A KR1020170100522 A KR 1020170100522A KR 20170100522 A KR20170100522 A KR 20170100522A KR 20190016369 A KR20190016369 A KR 20190016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eme
racing
floor
play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가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가온
Priority to KR102017010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6369A/ko
Publication of KR2019001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1/00Race-courses; Race-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KRACING; RIDING SPORTS;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A63K3/00Equipment or accessories for racing or riding s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은, 제1 바닥과 상기 제1 바닥을 둘러싼 제1 측벽 및 제1 천장에 의해 형성된 레이싱층;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기 제1 측벽을 따라 설치된 공간구분층과 상기 공간구분층을 둘러싼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천장에 의해 형성된 테마놀이방층; 상기 레이싱층과 상기 테마놀이방층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상기 공간구분층을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레이싱층에 설치된 메인신호등; 상기 레이싱층에서 운행하는 놀이용자동차; 및 상기 메인신호등은 상기 놀이용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출력하는 광의 색상이 달라지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themed nursery having racing level and themed nursery level of Duplex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층에 레이싱층을 구비하고 상층에 테마 공간이 구성된 테마 놀이방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부모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지고, 저 출산으로 인해 나타난 자녀에 대한 관심도의 증가에 따라 아이들에게 적절한 놀이 환경과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자녀와 함께 여가를 보내며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기존의 아이들만을 위한 놀이 공간이었던 실내놀이터를 대체하는 새로운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놀이와 여가 그리고 교육 등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가진 키즈카페가 등장하여 두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기존의 실내 놀이터는 아이에게만 초점을 두어서 부모들을 위한 공간이 없거나 협소하였고, 놀이기능 이외에는 다른 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부모들은 아이들이 노는 동안 적절한 여가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였다. 그러나 키즈카페는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들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기능 역시 기존의 실내놀이터보다 향상 된 것에 그 차이가 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부터 실내 놀이 공간 외에 카페 혹은 레스토랑과 교육프로그램 및 파티의 제공 기능까지 더해지면서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복합문화놀이시설의 성격을 띤 테마카페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KR 10-1490293 B1 KR 10-1687264 B1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한 놀이 환경을 제공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놀이용자동차의 운행 영역과 놀이방 층을 복층 구조로 분리하여 보다 안전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층 내의 하층에서의 놀이용자동차의 운행과 상층에서의 테마 놀이방에서의 활동을 서로 분리하여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질서 정연한 놀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의 보호자가 유아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유아가 안전하에 활동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유아가 집중된 공간, 정글짐이나 볼풀과 같은 테마 공간에서의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로 인한 공기질의 상태가 악화 염려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공조시설을 가동함으로써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은, 제1 바닥과 상기 제1 바닥을 둘러싼 제1 측벽 및 제1 천장에 의해 형성된 레이싱층;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기 제1 측벽을 따라 설치된 공간구분층과 상기 공간구분층을 둘러싼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천장에 의해 형성된 테마놀이방층; 상기 레이싱층과 상기 테마놀이방층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상기 공간구분층을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레이싱층에 설치된 메인신호등; 상기 레이싱층에서 운행하는 놀이용자동차; 및 상기 메인신호등은 상기 놀이용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출력하는 광의 색상이 달라지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2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투명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상기 레이싱층은 상기 놀이용자동차가 대기하는 제1 영역, 상기 놀이용자동차가 운행하는 제2 영역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둘러싼 제3 영역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을 가로질러 제1 영역에서 상기 제3 영역을 잇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신호등은 상기 제4 영역에 설치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영역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된 가이드턱;을 더 포함하는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착용하는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 상기 제1 및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감지기; 및 상기 제1 천장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들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로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위치감지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조명과 상기 보호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조명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조명들 사이의 조명을 제어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은 상기 위치감지기의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제1 천장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환풍장치와 에어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위치감지기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별로 상기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운행중인 놀이용자동차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로 상기 놀이용자동차의 예약 현황 정보를 전송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전한 놀이 환경을 제공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놀이용자동차의 운행 영역과 놀이방 층을 복층 구조로 분리하여 보다 안전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층 내의 하층에서의 놀이용자동차의 운행과 상층에서의 테마 놀이방에서의 활동을 서로 분리하여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질서 정연한 놀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아의 보호자가 유아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고 유아가 안전하에 활동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유아가 집중되는 공간이나 영유아가 뛰노는 공간에서의 공기질 상태 악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의 일 측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의 타 측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의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에서 제1 서브측벽의 일부가 삭제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메인신호등을 중심으로 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메인신호등을 중심으로 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내지 제3 위치감지기의 설치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테마 놀이방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8은 조명부의 동작 순서에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공조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놀이용자동차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메인신호등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웨어러블디아비스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조명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공조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의 일 측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의 타 측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의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에서 제1 서브측벽의 일부가 삭제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은 제1 층과 복층 구조의 제2 층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마 놀이방(10)은 이중층의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복층 구조의 아래 층인 제1 층은 레이싱층(11)으로 정의하고, 복층 구조의 상부 층인 제2 층을 테마놀이방층(12)으로 정의한다.
또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10)은 제1 바닥(41), 제1 천장(51) 및 상기 제1 바닥(41)과 상기 제1 천장(51)을 연결하는 제1 측벽(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바닥(41)으로부터 제1 높이(h1)로 상기 제1 바닥(41)의 가장자리의 일 영역을 따라 설치된 공간구분층(30)과 상기 공간구분층(30)과 상기 제1 천장(51)을 연결하는 제2 측벽(70)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바닥(41), 제1 천장(51) 및 제1 측벽(60)은 제1 공간(a)을 형성하고, 공간구분층(30)과 제1 천장(51) 및 제2 측벽(70)은 상기 제1 공간(a) 내의 제2 공간(b)을 형성한다.
제1 공간(a)에 레이싱층(11)이 형성되고, 제2 공간(b)에 테마놀이방층(12)이 형성된다.
제1 바닥(41)으로부터 제1 천장(51)까지의 수직 거리는 제1 높이(h1)라고 정의하면, 공간구분층(30)으로부터 제2 천장(52)까지의 수직 거리는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가 된다.
또한, 공간구분층(30)은 상부면이고 제1 천장(51)과 마주하는 제2 바닥(42)과, 공간구분층(30)의 배면이고 제1 바닥(41)의 가장자리의 일 영역과 마주하는 제2 천장(52)을 정의하면, 제1 바닥(41)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제2 천장(52)까지의 수직 높이는 제2 높이(h2)가 되고, 제1 바닥(41)으로부터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둘러싼 영역으로부터 제1 천장(51)까지의 수직 높이는 제1 높이(h1)가 된다.
또한, 제1 바닥(41)은 제2 바닥(4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제1 천장(51)은 제2 천장(5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다. 즉, 제2 바닥(42)을 하측의 제1 바닥(41) 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투영하면 제1 바닥(41)의 가장자리에 제2 바닥(42)이 투영되고, 제2 천장(52)을 상층의 제1 천장(51) 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투영하면 제1 천장(51)의 가장자리에 제2 천장(52)이 투영되며, 제1 바닥(41)에 투영되는 제2 바닥(42)의 면적과 제1 천장(51)에 투영되는 제2 천장(52)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제1 바닥(41)이 직사각형 형상이라고 가정하면, 제1 측벽(60)은 직사각형 형상의 제1 바닥(4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바닥(41)과 함께 제1 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벽(60)은 서로 이어지는 4개의 제1 내지 제4 서브측벽(61, 62, 63, 64)으로 이루어지고, 공간구분층(30)은 제1 측벽(60) 중 어느 하나의 제1 서브측벽(61)의 일 측에서부터 제1 서브측벽(61)과 이어지는 제2 서브측벽(62) 그리고 제2 서브측벽(62)과 이어지는 제3 서브측벽(63)의 일측까지 이어지면서 제1 측벽(60)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공간구분층(30)은 제1 서브측벽(61)의 일측과 제2 서브측벽(62)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그리고 제3 서브측벽(63)의 일측까지 일체로 이어지며, 서브측벽들의 제1 바닥(41)으로부터 제1 높이(h1) 지점에서 서브측벽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바닥(42) 또는 제2 천장(52)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측벽(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창문 영역으로 이루어져, 내부로부터 외부가 시인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1 측벽(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될 수고 있고, 각종 콘텐츠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층은 놀이용자동차(100)가 대기하는 자동차대기영역인 제1 영역(81), 상기 제1 영역(81)을 둘러싸고 상기 놀이용자동차(100)가 운행하는 자동차운행영역인 제2 영역(82), 상기 제2 영역(82)을 둘러싼 자동차미운행영역인 제3 영역(8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바닥(41)은 제1 영역(81), 제2 영역(82) 그리고 제3 영역(8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81)은 전체적으로 8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영역(82)은 전체적으로 8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8자 형상의 제1 영역(81)을 포함하는 8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81)은 제1 바닥(41)의 중앙 영역이 될 수 있고, 제2 영역(82)은 제1 영역(81)을 포함하는 제1 바닥(41)의 중앙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제3 영역(83)은 제1 바닥(41)의 제1 및 제2 영역(82)을 제외한 제1 바닥(41)의 가장자리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82)은 제1 영역(81)과 제2 영역(82)을 잇는 횡단보도영역인 제4 영역(8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81)에는 복수의 놀이용자동차(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82)에는 사용자가 탑승한 놀이용자동차(100)가 운행될 수 있다.
제2 영역(82)은 놀이용자동차(100)가 진행하는 일 방향인 순방향과 그의 역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놀이용자동차(100)는 제2 영역(82)의 형상에 대응하여 8자 형상을 그리면서 순방향으로 운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은 제3 영역(83)과 테마놀이방층(12)을 연결하는 계단(90)을 포함한다. 그리고 계단(90)은 제1 계단(91)과 제2 계단(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단(91)의 좌측은 제1 서브측벽(61)이 난간 역할을 하고, 우측에 별도의 난간이 설치될 수 있고, 제2 계단(92)의 우측은 제1 서브측벽(61)이 난간 역할을 하고, 좌측에 별도의 난간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계단(91) 또는 제2 계단(92)을 이용하여 레이싱층(11)에서 테마놀이방층(12)으로 또는 테마놀이방층(12)에서 레이싱층(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계단(92)은 공간구분층(30)이 제1 바닥(4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도록 공간구분층(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10)은 공간구분층(30)을 지지하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바(1)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바(1)는 공간구분층(30)을 지상으로부터 제1 높이(h1)로 지지하기 위한 강성을 가진 철재 재질 또는 목재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지지바(1)는 외부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커버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지지바(1)는 공간구분층(30)의 배면과 제1 바닥(41)의 제1 영역(81)을 서로 연결하여 제1 바닥(41)으로부터 공간구분층(30)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1 지지바(1)와 상기 공간구분층(30)의 배면과 제1 바닥(41)의 제3 영역(83)을 서로 연결하여 제1 바닥(41)으로부터 공간구분층(30)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2 지지바(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10)은 제1 영역(81)과 제2 영역(82)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된 제1 가이드턱(2)과 제2 영역(82)과 제3 영역(83)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된 제2 가이드턱(3)을 포함할 수 있다.
놀이용자동차(100)는 제1 가이드턱(2)과 제2 가이드턱(3) 사이의 제2 영역(82)에서 운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트턱과 제2 가이드턱(3)은 놀이용자동차(100)가 운행 중 제2 영역(82)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10)은 제1 영역(81)과 제2 영역(82)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된 제1 안전펜스(4)와 제2 영역(82)과 제3 영역(83)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된 제2 안전펜스(5)를 포함할 수 있다.
테마 놀이방인 제2 층의 제2 측벽(70)은 제1 측벽(60)과 접촉하는 제2-1 측벽(71)과 상기 제2-1 측벽(71)과 마주하는 제2-2 측벽(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측벽(71)은 공간구분층(30)의 가장자리 일측으로부터 제1 천장(51)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천장(51)에 접촉할 수 있다.
제2-2 측벽(72)은 공간구분층(30)의 가장자리 타측으로부터 제1 천장(51)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천장(51)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2 측벽(72)의 높이는 제2-1 측벽(7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2 측벽(72)은 측벽프레임(73)과 칸막이(74)로 구성될 수 있다. 측벽프레임(73)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칸막이(74)를 둘러싼 프레임으로써, 복수의 칸막이(74)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칸막이(74) 각각은 제2 공간(b) 내부가 시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 예컨대 강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공간(b)은 테마별로 복수의 공간으로 분류될 수 있고, 복수의 칸막이(74) 별로 제2 공간(b)의 테마별 복수의 공간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칸막이(74)들 각각에서 시인되는 제2 공간(b) 내부는 서로 다른 테마의 공간으로 시인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측면에서, 도 3b를 참조하면, 제2 공간(b)은 제1 테마공간(42a), 제2 테마공간(42b), 제3 테마공간(43c), 제4 테마공간(43d), 제5 테마공간(43e) 및 제6 테마공간(43f)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테마공간(42a)은 제1 계단(91)을 통해 제1 공간(a)으로 이어지고, 제6 테마공간(43f)은 제2 계단(92)을 통해 제1 공간(a)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테마공간(42a), 제2 테마공간(42b), 제3 테마공간(43c), 제4 테마공간(43d), 제5 테마공간(43e) 및 제6 테마공간(43f)은 서로 순서대로 이어지며 하나의 제2 공간(b)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 테마공간(42a), 제2 테마공간(42b), 제3 테마공간(43c), 제4 테마공간(43d), 제5 테마공간(43e) 및 제6 테마공간(43f)들 각각은 슈퍼마켓놀이방, 장난감놀이방, 볼풀놀이방, 바운스방, 독서방, 모아방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공간(b)을 복수의 칸막이(74)별로 구분하면, 제2 공간(b)의 제2 바닥(42)과 제1 천장(51) 그리고 제2 측벽(70)의 재질과 색체를 구분된 각각의 공간마다 차이가 나도록 형성하여 놀이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테마별로 공간이 구분된 효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2 측벽(72)의 일 측은 제1 계단(91)에 연결되고, 타 측은 제2 계단(9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메인신호등을 중심으로 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마 놀이방 시스템의 메인신호등을 중심으로 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7은 제1 내지 제3 위치감지기의 설치 위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테마 놀이방의 일측 사시도이고, 도 8은 조명부의 동작 순서에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9는 공조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10은 놀이용자동차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11은 메인신호등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12는 웨어러블디아비스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고, 도 13은 조명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14는 공조장치의 구성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마 놀이방 시스템(20)은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10), 놀이용자동차(100), 메인신호등(200), 보조신호등(290), 위치감지기(400), 웨어러블디바이스(300), 단말기(500), 모니터링서버(900), 프로젝터(600), 조명장치(800), 공조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프로젝터(600)는 제1 천장(51)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놀이용자동차(100)는 제1 영역(81)에 배치되고, 제2 영역(82) 상에서 운행될 수 있다.
놀이용자동차(100)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운행하거나, 단말기(500)의 제어 하에 원격으로 운행될 수 있다.
놀이용자동차(100)의 운행을 위하여, 조향장치(110), 모터(120), 제어장치(130), 제2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유아가 탑승하여 수동으로 또는 단말기(500)에 의해 원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하여 놀이용자동차(100)의 운행개시전원을 활성화(놀이용자동차(100)에 마련된 키박스와 키박스에 전용키를 삽입하는 형태로 운행개시 전원을 활성화하거나, 놀이용자동차(100)에 마련된 버튼을 푸쉬하는 형태로 운행개시 전원을 활성화 등)하면 제어장치(130)는 제2 통신부(140)를 통해 운행개시정보를 모니터링서버(900)로 전송하여, 모니터링서버(900)에서 운행중인 놀이용자동차(100)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서버(900)는 놀이용자동차(100)로부터 운행개시정보를 수신하면, 운행개시정보에 포함된 놀이용자동차(100) 고유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놀이용자동차(100), 단말기(500) 중 적어도 하나로 미리 정해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허용 시간이 10분으로 정해진 경우 모니터링서버(900)는 운행개시정보를 수신하고 10분 후 모니터링서버(900) 상에서 운행 허용 시간이 10분이 되었다는 메시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단말기(500) 상에서 해당 정보가 표시되도록 단말기(500)로 해당 메시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81)과 제2 영역(82)의 경계 영역과 제2 영역(82)과 제3 영역(83)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 영역 상에서 제2 영역(82)을 따라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위치감지기(400)는 기 설정된 범위에 위치한 놀이용자동차(100)들 각각과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감지기(400)는 감지된 놀이용자동차(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서버(900)로 전송할 수 있고, 모니터링서버(900)는 수신된 놀이용자동차(1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역(82)에서 운행 중인 놀이용자동차(100)의 운행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82)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에서 이동하는 놀이용자동차(100)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운행 중인 놀이용자동차(100)의 운행 현황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900)는 놀이용자동차(100)의 고유 식별 정보로부터 해당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한 유아를 식별하고(이 경우, 유아의 정보와 유아가 탑승한 놀이용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는 모니터링서버(900)에 미리 등록될 수 있다), 식별된 유아 정보로부터 해당 유아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500)로 운행 현황 정보를 송출하여 보호자의 단말기(500) 상에서 자녀들의 놀이용자동차(100) 탑승 정보 및 놀이용자동차(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신호등(200)은 제1 영역(81)에 배치된 제1 메인신호등(210)과 제2 영역(82)에 배치된 제2 메인신호등(220)과 상기 제1 메인신호등(210)과 상기 제2 메인신호등(220)을 서로 연결하며 제4 영역(84)을 가로지르는 신호등연결바(2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신호등(200)은 광원부(201), 제어부(202), 제1 통신부(203), 촬영부(204) 그리고 스크린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2)는 광원부(201)의 구동을 제어하여 광원부(201)가 미리 설정된 시간 별로 녹색광, 황색광 및 적색광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제1 통신부(203)로부터 수신되는 광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광원부(201)의 구동 및 광원부(201)에서 출력되는 광의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제1 통신부(203)로부터 수신되는 식별 정보 및 위치감지기(400)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부(204)를 제어할 수 있고, 촬영부(204)는 메인신호등(200)의 인접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위치감지기(400)는 레이싱층(11)과 테마놀이방층(1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위치감지기(400)는 제1 내지 제3 위치감지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감지기(410)는 제2 영역(82)을 따라 제1 영역(81)과 제2 영역(82)의 경계 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1 위치감지기(4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2 영역(82)을 따라 제2 영역(82)과 제3 영역(83)의 경계 영역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제1 위치감지기(4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2 영역(82)을 따라 제1 영역(81)과 제2 영역(82)의 경계 영역 및 제2 영역(82)과 제3 영역(83)의 경계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위치감지기(420)는 제1 및 제2 계단(92)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위치감지기(4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테마놀이방층(12)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3 위치감지기(430)는 복수의 프레임에 의해 구분된 공간들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웨어러블디바이스(30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시계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웨어러블디바이스(300)는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 및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는 유아가 착용할 수 있고,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는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를 착용한 유아의 보호자가 착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디바이스(300)는 주기적으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요청신호에는 웨어러블디바이스(300)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디바이스(300)와 인접한 위치감지기(400)가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응답요청신호에 포함된 웨어러블디바이스(300) 고유 식별 정보와 자신의 위치감지기 고유 식별 정보를 메인신호등(200)의 제1 통신부(203), 모니터링서버(900), 단말기(5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놀이용자동차(100)의 제어장치(130)는 모터(120)의 구동가 구동할 때, 운행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용자동차(100)에 사용자가 탑승하고, 놀이용자동차(100)가 제2 영역(82) 상에서 순방향으로 이동할 때, 놀이용자동차(100)의 제2 통신부(140)로부터 운행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놀이용자동차(100)와 인접한 제1 위치감지기(410)가 운행신호를 수신하면 운행신호의 수신 시점 전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미 수신 시 운행신호의 수신 시점 후로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시 구간 동안 제1 위치감지기(410)가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응답요청신호에 포함된 웨어러블디바이스 고유 식별 정보와 자신의 위치감지기 고유 식별 정보를 메인신호등(200)의 제1 통신부(203), 모니터링서버(900), 단말기(5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메인신호등(200)과 최인접한 제1 위치감지기(410)가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놀이용자동차(100)의 제2 통신부(140)로부터 운행신호를 수신하면, 운행신호의 수신시점의 전 후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순방향으로 이동 중인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한 사용자의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1 위치감지기(410)는 촬영요청신호는 메인신호등(200)의 제1 통신부(2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신호등(200)의 제어부(202)는 제1 통신부(203)로부터 촬영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촬영부(204)를 구동하여 순방향으로 이동하는 놀이용자동차(100)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감지기(410)를 메인신호등(200)으로부터 제2 영역(82)의 역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함으로써, 놀이용자동차(100)가 순방향으로 이동 시 제1 위치감지기(410)와 메인신호등(200)을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한다. 그리하여 놀이용자동차(100)의 전방과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링서버(900) 또는 단말기(5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될 수 있고, 특히 여기서의 단말기(500)는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한 유아의 보호자가 소지한 단말기(500)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촬영요청신호는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신호등(200)의 제어부(202)는 제1 통신부(203)를 통해 수신한 촬영요청신호에 포함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촬영 영상을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보호자의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 및/또는 모니터링서버(90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 및/또는 모니터링서버(900)는 수신된 촬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메인신호등(200)으로부터 제2 영역(82)의 역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위치감지기(410)는 순방향으로 진행하는 놀이용자동차(100)의 제2 통신부(140)로부터 운행신호를 수신하면, 운행신호의 수신시점의 전 후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순방향으로 이동중인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한 사용자의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제1 위치감지기(410)는 수신된 응답요청신호에 포함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의 고유 식별 정보와 동일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 응답요청신호의 이전 수신 시점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동일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보행자횡단요청신호를 메인신호등(200)의 제1 통신부(2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신호등(200)의 제어부(202)는 제1 통신부(203)를 통해 보행자횡단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광원부(201)를 제어하여 광원부(201)가 소정의 시간동안 황색광을 출력하도록 하고 이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적색광을 출력하도록 광원부(201)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2)는 프로젝터로 프로젝터(600)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된 영상이 스크린부(205)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스크린부(205)는 제1 메인신호등(210)과 제2 메인신호등(2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메인신호등(210) 상단과 제2 메인신호등(220) 상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부(205) 높이와 사이즈는 제1 및 제2 메인신호등(220) 사이로 통과하는 놀이용자동차(100)가 스크린부(205)의 최하단에 걸리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다.
놀이용자동차(100)에 탑승한 사용자는 스크린부(205)로부터 표시되는 가상의 사람이 횡단하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신호등과 횡단보도의 개념을 학습하고 더욱 실감나는 자동차 운행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스크린부(205)에 출력되는 영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람이 제4 영역(84)을 횡단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스크린부(205)에 출력되는 영상 내의 사람의 얼굴 이미지는 미리 등록된 놀이용자동차(100)의 사용자의 보호자의 얼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2)는 보행자횡단요청신호에 포함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서버(900)로 전송하고, 모니터링서버(900)는 이에 응답하여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를 착용하는 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미리 등록된 얼굴 이미지를 프로젝터(6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600)는 수신한 얼굴 이미지와 출력 영상 내의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서로 합성하여 출력 영상 내의 사람의 얼굴 이미지가 사용자의 보호자의 얼굴 이미지로 대체된 영상을 스크린부(205)에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놀이용자동차(100)를 이용하는 유아는 보호자 얼굴 이미지가 삽입되어 제4 영역(84)을 횡단하는 영상을 통해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와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 각각은 표시부(301), 프로세서(302), 제3 통신부(303), 입력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900)는 위치감지기(400)로부터 수신된 위치감지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 및/또는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사용자의 보호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와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 정보를 모니터링서버(900)에 등록하고, 위치감지기(4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해 미리 등록된 위치감지기(400)의 위치를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감지기(4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의 고유 식별 정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모니터링서버(900)는 놀이용자동차(100)로부터 수신되는 운행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운행중인 놀이용자동차(100)의 개수를 확인하고, 운행 중인 놀이용자동차(100)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미리 등록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 및/또는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로 자동차사용가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보호자는 자신의 웨어러블디바이스(300)의 입력부(304)를 통해 놀이용자동차(100) 이용 예약을 진행하고, 이용 예약이 되면, 웨어러블디바이스(300)는 예약 신호는 모니터링서버(900)로 전송되며, 모니터링서버(900)는 수신된 예약 신호와 예약 신호는 발송한 웨어러블디바이스(3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서버(900)는 놀이용자동차(100)로부터 수신되는 운행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운행중인 놀이용자동차(100)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예약 신호를 가장 먼저 보내온 웨어러블디바이스(300)로 자동차사용가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사용가능신호를 수신한 웨어러블디바이스(300)에는 자동차 사용 가능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조명장치(800)는 제1 천장(51)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조명부(801), 조명부(801)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조명제어부(802), 제4 통신부(80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에 마련된 입력부(304)를 통해 보호자 위치 확인 명령 신호를 입력하면,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는 보호자 위치 확인 명령 신호를 모니터링서버(9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모니터링서버(900)는 보호자 위치 확인 명령 신호를 전송한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로부터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위치감지기(400)로부터 위치감지기(4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보호자가 착용한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로부터 응답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위치감지기(400)로부터 위치감지기(4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서버(900)는 두 개의 위치감지기들 각각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서버(900)는 수신된 위치감지기들의 고유 식별 정보를 조명장치(800)의 제4 통신부(803)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800)는 제4 통신부(803)로 수신된 위치감지기들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감지기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조명부(811)와 보호자가 인접한 위치감지기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조명부(812)를 확인하고, 제1 조명부(811)와 제2 조명부(812) 그리고 제1 조명부(811)와 제2 조명부(812)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응하는 조명부들 또는 미리 결정된 보행 경로 상에 대응하는 조명부들의 조명 밝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하거나, 조명부의 턴온/턴오프를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기 설정시간 동안 반복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조명부(811)로부터 제2 조명부(812) 방향으로 해당 경로 상의 조명부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보호자의 위치를 조명부의 광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10)에서 영유아가 주로 사용하는 공간의 경우, 예를 들어 정글짐이나 볼풀을 테마로 하는 공간이나 영유아가 집중된 공간에서는 이산화탄소 및/또는 포름알데히드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들이 시설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외부 압력으로 인해 시설물에 내재되어 있는 유해 물질이 추가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질의 관리가 집중적으로 요구되는 공간을 파악하여 해당 공간의 실내 공기질을 즉각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조장치(700)는 제1 천장(51)에 서로 이격되어 매립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환풍장치(710), 복수개의 에어컨트롤장치(72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공조제어장치(730) 및 제5 통신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에어컨트롤장치(720)는 난방장치, 냉방장치, 냉난장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900)는 위치감지기(400)들로부터 수신되는 웨어러블디바이스(3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들의 위치 분포 현황을 표시할 수 있고, 센싱되는 영역 별 사용자의 수에 기초하여 공조장치(7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많이 몰려있는 경우 공조집중가동신호와 해당 영역 정보를 공조장치(7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공조장치(700)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환풍장치(710) 및/또는 에어컨트롤장치(7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적은 경우 공조집중해지신호와 해당 영역 정보를 공조장치(7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공조장치(700)는 해당 영역에 설치된 환풍장치(710) 및/또는 에어컨트롤장치(72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10)
테마 놀이방 시스템(20)
레이싱층(11), 1층, 하층(11)
테마놀이방층, 2층, 상층(12)
공간구분층(30)
제1 공간(a)
제2 공간(b)
제1 바닥(41)
제2 바닥(42)
제1 천장(51)
제2 천장(52)
제1 측벽(60)
제1 서브측벽(61)
제2 서브측벽(62)
제3 서브측벽(63)
제4 서브측벽(64)
제2 측벽(70)
제2-1 측벽(71)
제2-2 측벽((72)
측벽프레임(73)
칸막이(74)
제1 높이(h1)
제2 높이(h2)
자동차대기영역, 제1 영역(81)
자동차운행영역, 제2 영역 (82)
자동차미운행영역, 제3 영역(83)
횡단보도영역, 제4 영역(84)
계단(90)
제1 계단(91)
제2 계단(92)
지지바(1)
제1 가이드턱(2)
제2 가이드턱(3)
제1 안전펜스(4)
제2 안전펜스(5)
놀이용자동차(100)
조향장치(110)
모터(120)
제어장치(130)
제2 통신부(140)
보조신호등(290)
메인신호등(200)
제1 메인신호등(210)
제2 메인신호등(220)
광원부(201)
제어부(202)
제1 통신부(203)
촬영부(204)
스크린부(205)
신호등연결바(230)
웨어러블디바이스(300)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310)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320)
표시부(301)
프로세서(302)
제3 통신부(303)
입력부(304)
위치감지기(400)
제1 위치감지기(410)
제2 위치감지기(420)
제3 위치감지기(430)
단말기(500)
프로젝터(600)
공조장치(700)
환풍장치(710)
에어컨트롤장치(720)
공조제어장치(730)
제5 통신부(740)
조명장치(800)
조명부(801)
제1 조명부(811)
제2 조명부(812)
조명제어부(802)
제4 통신부(803)
모니터링서버(900)

Claims (7)

  1. 제1 바닥과 상기 제1 바닥을 둘러싼 제1 측벽 및 제1 천장에 의해 형성된 레이싱층;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상기 제1 측벽을 따라 설치된 공간구분층과 상기 공간구분층을 둘러싼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천장에 의해 형성된 테마놀이방층;
    상기 레이싱층과 상기 테마놀이방층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상기 공간구분층을 상기 제1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레이싱층에 설치된 메인신호등;
    상기 레이싱층에서 운행하는 놀이용자동차; 및
    상기 메인신호등은 상기 놀이용자동차의 위치에 따라 출력하는 광의 색상이 달라지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2 측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투명한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싱층은
    상기 놀이용자동차가 대기하는 제1 영역, 상기 놀이용자동차가 운행하는 제2 영역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을 둘러싼 제3 영역 그리고 상기 제2 영역을 가로질러 제1 영역에서 상기 제3 영역을 잇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신호등은 상기 제4 영역에 설치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역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영역의 경계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설치된 가이드턱;을 더 포함하는
    테마 놀이방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가 착용하는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
    상기 제1 및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감지기; 및
    상기 제1 천장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들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로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위치감지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조명과 상기 보호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조명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조명들 사이의 조명을 제어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기의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제1 천장의 복수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환풍장치와 에어컨트롤장치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위치감지기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제1 웨어러블디바이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별로 상기 공조장치를 제어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운행중인 놀이용자동차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웨어러블디바이스로 상기 놀이용자동차의 예약 현황 정보를 전송하는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시스템.
KR1020170100522A 2017-08-08 2017-08-08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KR20190016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22A KR20190016369A (ko) 2017-08-08 2017-08-08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522A KR20190016369A (ko) 2017-08-08 2017-08-08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69A true KR20190016369A (ko) 2019-02-18

Family

ID=6556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522A KR20190016369A (ko) 2017-08-08 2017-08-08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636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293B1 (ko) 2013-07-27 2015-02-04 이창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KR101687264B1 (ko) 2015-09-10 2016-12-28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293B1 (ko) 2013-07-27 2015-02-04 이창호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KR101687264B1 (ko) 2015-09-10 2016-12-28 (주) 릴리펏 실내 키즈카페 테마놀이방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813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наложения текста на дисплей устройства визуализации, а также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US8905852B2 (en) Roadside personalized entertainment system and method
JP6412917B2 (ja) 無軌道車両および無軌道車両の同期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
KR20160113766A (ko) 횡단보도 보행안전 관리시스템 및 그 보행안전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보행안전 관리방법
US20220303607A1 (en) Hardware for entertainment content in vehicles
CN107869670A (zh) 具有用于机动车辆乘客舱的动态照明效果的照明装置
KR101812757B1 (ko) 복층 구조의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CN110882546B (zh) 用于娱乐交通工具外部的玩家的系统和方法
WO1998031444A1 (en) Amusement vehicle
KR20190016369A (ko) 레이싱층과 테마놀이방층이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테마 놀이방 및 테마 놀이방 시스템
JP2017535475A (ja) ロープウェイ設備
JP6186423B2 (ja) 観覧車
JP4178577B2 (ja) 自動ビークル及び自動ビークルの運行システム
KR20180005165A (ko) 역 또는 임의의 다른 공공장소 내의 주변환경을 동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
JPH04193666A (ja) 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警告誘導装置
CN206039941U (zh) 一种模拟逃生教学车的工作电路系统
AU2020274222B2 (en) Event system
KR102117257B1 (ko) 스쿨존 안전시스템
JP4586004B2 (ja) お化け屋敷
CN112897301A (zh) 乘客运输装置
JP2002126359A (ja) 遊技システム
US20220113541A1 (en) Synchronization device for synchronizing head-mounted displays with a virtual world in an amuse-ment ride, amusement ride having a synchronization device of this typ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musement ride of this type
KR20160131746A (ko) 어린이 교통 안전 교육 장치
KR102207860B1 (ko) 셀프 카트 모델링을 이용한 체험형 카트 운행 시스템
CN207517334U (zh) 一种客运索道警示教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