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6309A -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6309A
KR20190016309A KR1020170100380A KR20170100380A KR20190016309A KR 20190016309 A KR20190016309 A KR 20190016309A KR 1020170100380 A KR1020170100380 A KR 1020170100380A KR 20170100380 A KR20170100380 A KR 20170100380A KR 20190016309 A KR20190016309 A KR 2019001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late
hole
height
loa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188B1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1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서 지반의 토대를 보강하기 위해 지하에 박아 넣는 콘크리트 파일들을 연결하는 콘크리트 파일의 연결구조에 대한 것으로,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1 내측연결링, 상기 제1 내측연결링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의 주변 상부에는 확장된 제1 볼트머리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의 제1 하중지지판 및 인접한 상기 제1 하중지지판 사이에 일정한 높이로 위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제1 연결편이 결합된 하측체결판;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2 내측연결링, 상기 제2 내측연결링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의 주변 하부에는 확장된 제2 볼트머리 삽입공이 형성된 다수의 제2 하중지지판 및 인접한 상기 제2 하중지지판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편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높이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제2 연결편이 결합된 상측체결판; 및 수직볼트에 의해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에 각각 결합된 상기 하측체결판과 상측체결판이 상하로 결합되어 측방에서 삽입된 수평볼트;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An easy assemblable strong PHC pil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토목공사나 건축공사에서 지반의 토대를 보강하기 위해 지하에 박아 넣는 PHC 파일들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파일의 단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도 상부파일의 항타력이 하부파일로 온전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PHC 파일의 연결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 저층의 건물을 지을 때에는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고 콘크리트로 기초를 만든 후 그 기초 위에 벽체를 세우는 방식으로 건물들을 많이 지었으나, 건축 후에 수년이 경과하면 지반의 변화로 인해 건물이 기울어 보강공사를 해야만 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였고, 근래에는 건물의 규모가 커져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하는 경우에 지반의 보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땅속에 파일을 박고 그 위에 기초공사와 건축공사를 한다.
지반 보강을 위해 땅속에 박는 파일은 보통 PHC(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이라고 하고, 벤딩(bending)이나 인장력(引張力)에 약하다고 하는 콘크리트의 결점이 보완된 파일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파일은 일반적으로 5m에서 10m 정도이며, 긴 것은 15m에 이르는 것이 보통이며, 길이가 긴 파일은 운반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어 현장으로 반입되어 파일 시공 위치에 따라 2개 이상의 파일을 현장에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어서 박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PHC 파일의 연결방법은 용접(Welding)방식과 무용접(Non Welding)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용접 이음 방식은 철물이 부착된 특수파일을 용접으로 잇는 방식이다. 용접방식은 용접환경, 용접공의 숙련도, 날씨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고, 안전성, 환경 및 제반 규정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용접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려 시공시간과 시공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무용접방식은 하부 파일과 상부 파일 사이에 미리 준비된 연결장치를 맞춘 다음 볼트로 상하파일을 고정시켜 연결하는 방법이다. 무용접방식은 용접방식에 비해 작업자의 숙련도, 기후조건 등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우수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부파일과 하부파일 사이의 지지력이 약하고, 상하파일간의 일체성이 떨어져 항타작업시 모서리가 깨지거나 휘는 등 지지력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그만큼 더 소요되고, 연결장치의 구조상 볼트를 고정하는 공간이 협소하여 연결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결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 연결장치의 높이를 키우면 항타작업시 지중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강테로 연결장치를 감싸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0859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강봉결합공과 관통공을 다수 개 형성한 상부슈와 상기 상부슈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로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인입된 수밀박스를 형성한 상
부보강밴드를 일체로 형성한 상부조인트캡 및; 상기 상부조인트캡과 동일한 간격으로 강봉결합공 및 결합너트부가 형성된 하부슈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보강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조인트캡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상부조인트캡과 하부조인트캡을 양단에 각각 형성한 피에이치씨 파일을 구성하고, 서로 이웃하여 접하는 피에이치씨 파일의 상부조인트캡과 하부조인트캡을 서로 접하여, 각 강봉결합공이 일치하고, 관통공을 관통한 볼트가 결합너트부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각 피에이치씨 파일을 연결하는 PHC 파일의 연결구조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PHC 파일의 연결구조는 상부조인트캡의 수밀박스 주변까지 콘크리트가 채워져 있으나 항타의 타격에 의한 상부슈의 진동으로 수밀박스 주변의 콘크리트가 깨져 부스러지기 쉬워 상부파일이 직립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과 수밀박스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볼트를 집어넣고 조이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하부 조인트캡에 각각 보강밴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일반 용접결합에 비해 자재비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1490호에서는 중앙에 통공이 있는 원형 상부판(110)과 하부판(120) 사이에 십자형 지지판(130)이 고정되어 제1, 2 연결재(일종의 볼트)에 의해 상하부 파일과 결합되며, 외측에 덮개판(140)이 씌워지며, 상하부판 사이의 공간에 충진재가 채워지는 구조의 파일 연장을 위한 조인트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조인트는 상하부판과 지지판이 일체로 제작되어 무게가 무거워 두 사람이 들어야만 이동이 가능하고, 파일과 결합시 파일의 결합공에 별도의 기준핀을 꼽고 볼트공 센터정렬을 해야 연결재(볼트)를 체결할 수 있으며, 연결재의 체결공간이 협소하여 체결하기가 어렵고,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를 폭이 좁은 지지판이 연결하고 있어, 항타시 조인트가 튕기며 진동하여 항타력의 전달이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선행기술에 의한 파일연결장치들은 대체적으로 상하부 파일이 일체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항타의 타격에 파일의 단부가 손상을 입기 쉬웠으며,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구의 높이를 높여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고, 항타력을 균등하게 분배하지 못하거나, 지중에서의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하여 연결장치 주변을 감싸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708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111490호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 파일이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지만 하나의 파일처럼 왜곡이나 반발력이 없이 상하파일이 일체화되어 지반에 삽입이 이루어지고, 항타작업에 의한 연결장치의 파괴나 구부러짐을 최소화하며, 연결장치의 현장 조립이 용이하고, 별도의 커버장치가 필요없는 PHC 파일 연결구조를 개발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1 내측연결링(210), 상기 제1 내측연결링(21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30)의 주변 상부에는 확장된 제1 볼트머리 삽입공(250)이 형성된 다수의 제1 하중지지판(220) 및 인접한 상기 제1 하중지지판(220) 사이에 일정한 높이로 위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형성된 제1 연결편(270)이 결합된 하측체결판(200);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2 내측연결링(310), 상기 제2 내측연결링(31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30)의 주변 하부에는 확장된 제2 볼트머리 삽입공(350)이 형성된 다수의 제2 하중지지판(320) 및 인접한 상기 제2 하중지지판(32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편(27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높이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형성된 제2 연결편(370)이 결합된 상측체결판(300); 및 수직볼트(240)에 의해 상부파일(150)과 하부파일(100)에 각각 결합된 상기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이 상하로 결합되어 측방에서 삽입된 수평볼트(45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편(270) 또는 제2 연결편(370) 중 내측에 있는 연결편에 형성된 수평볼트 체결공(4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내측에 있는 연결편의 안쪽 나사결합공의 주변에 너트(470)가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조는 파일 연결장치의 두께가 얇고 판으로 이루어져 상하파일이 일체화되는 효과가 있어 항타작업에 의해 연결장치의 진동현상이 없어 파일의 단부나 연결장치에 손상이 가지 않으며, 체결판의 볼트공이 관통되어 파일의 볼트공이 보이므로 파일결합시 기준핀을 꼽고 센터정렬을 할 필요가 없고, 볼트결합이 측면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 공간에 의한 제약이 없으며, 제1 볼트머리 삽입공과 제2 볼트머리 삽입공의 깊이가 내부에 체결되는 볼트머리의 높이와 같아 결합볼트들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하측체결판의 사이가 벌어져 볼트체결불량을 조립시에 확인할 수 있고, 상하 체결판이 분리되고 체결판 내부에 빈 공간이 많아 무게가 가벼우므로 작업자 혼자 힘으로도 체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3은 하측체결판(200)의 사시도
도 4는 상측체결판(300)의 사시도
도 5는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연결구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에 대한 구성, 특이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이용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도시된 도면으로 도면에 표시된 도면부호는 도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면에 표시된 도면부호와 별개이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연결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하측체결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측체결판의 사시도이며, 도 5는 하측체결판과 상측체결판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은 항타의 충격으로 파일의 모서리가 파괴되거나 연결장치가 휘는 등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상부 파일과 하부 파일의 사이에 판상으로 형성된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으로 구성되어 파일의 단부에 밀착되므로 항타로 인해 모서리가 부스러지거나 연결장치의 부품이 훼손되어 파일이 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었다. 하측체결판과 상측체결판은 대략 그 형태가 유사한 판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하측체결판(200)은 항타용 파일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과 같은 지름으로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1 내측연결링(210)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내측연결링(21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제1 하중지지판(220)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하중지지판(220)의 개수는 도면에서는 9개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결합되는 파일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나사공의 개수와 같다.
제1 하중지지판(220)에는 하부파일(100)의 상부 단면에 형성된 볼트공(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원형 볼트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의 주변 상부에는 일정한 깊이로 확장된 제1 볼트머리 삽입공(250)이 형성된다. 볼트공(230)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은 각종 파일들과 호환성과 파일 개체에 따른 구멍 위치의 변동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제1 볼트머리 삽입공(250)은 하부파일(100)과 결합되는 수직볼트(240)의 머리 높이만큼의 깊이로 형성되고, 삽입공의 폭은 공구를 이용해 볼트를 원활하게 조이고 풀 수 있을 만큼이면 충분하나 너무 넓게 형성하면 항타력을 하부파일로 전달하는 부분이 좁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인접한 제1 하중지지판(220) 사이에는 후술하는 제2 하중지지판(320) 두께의 높이로 위로 돌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형성된 제1 연결편(270)이 결합된다. 제1 연결편(270)의 돌출 높이가 제2 하중지지판(320)의 두께로 한 것은 상하체결판이 결합되었을 때 상측체결판(300)의 상부와 수평을 이루어 항타력을 하부파일(100)로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이어서, 상측체결판(300)은 하측체결판(200) 위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측체결판(200)과 대략 대칭이 되는 형상이다.
상측체결판(300)은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2 내측연결링(310)이 내부에 형성되고, 그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하중지지판(220)과 동수의 제2 하중지지판(320)이 결합되고, 제2 하중지지판(320)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타원형의 볼트공(230)이 형성되고, 볼트공(230)의 주변 하부에는 수직볼트(240) 머리만큼의 깊이로 확장된 제2 볼트머리 삽입공(350)이 형성된다. 상측체결판(300)의 볼트공(230)과 제2 볼트머리 삽입공(350)은 하측체결판(200)과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접한 제2 하중지지판(320) 사이에는 상하측체결판(200)이 결합될 때 상기 제1 연결편(27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되고, 일정한 길이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며,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형성된 제2 연결편(370)이 결합된다. 일정한 길이는 하측체결판(200)의 하부와 수평을 이루는 길이를 말하며, 제2 편결편이 항타력을 하부파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연결편(270)과 제2 연결편(370)은 상하측체결판이 결합되었을 때 각각의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일치되어야 하고, 인접한 하중지지판을 결합시키는 작용, 상하측체결판을 고정하는 작용과 항타력을 하부파일로 전달하는 작용을 수행하며, 하중지지판 사이에 공간을 두어 상하측체결판의 무게를 줄여 작업자가 혼자서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2 연결편(370)의 하부 양측 모서리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나 모깎기에 의해 일정 폭으로 깎여 하측체결판(200)에 상측체결판(300)을 결합될 때 상측체결판이 미끄러져 내려가 자동으로 센터링이 이루어져, 각각에 형성된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일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모따기나 모깎기가 제1 연결편(270)에 형성되고 제2 연결편(370)에는 생략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볼트머리 삽입공(250)과 제2 볼트머리 삽입공(350)이 형성된 공간의 높이는 내부에 삽입된 상부파일(150)과 하부파일(100)에 체결된 수직볼트 머리의 높이와 같아 결합된 볼트들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으면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 사이가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상하측체결판 사이가 벌어진 경우에는 볼트체결이 부실한 것이므로 볼트체결을 다시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볼트(240)에 의해 상부파일(150)과 하부파일(100)에 각각 결합된 상기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이 상하로 결합되면, 측방에서 수평볼트(450)를 상기 수평볼트 체결공(400)에 끼워 고정한다. 수평볼트(45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연결편(270) 또는 제2 연결편(370) 중 내측에 있는 연결편에 형성된 수평볼트 체결공(4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내측에 있는 연결편의 안쪽 나사결합공의 단부에 너트(470)가 고정되어 수평볼트(450)를 단단히 조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PHC 파일 연결구조의 결합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공현장에 PHC 파일과 PHC 파일 연결 구성을 준비하고, 지정된 위치에 하부파일(100)을 지면에 박은 다음, 하부파일의 상단에 하측체결판(200)을 하부파일의 볼트공(230)에 맞춰 수직볼트(240)로 고정한다. 이때 상하측체결판에 형성된 볼트공(230)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파일들 간의 볼트공 위치의 차이를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수직볼트 체결작업을 방해하는 제약이 없어 수직방향으로 원활하게 체결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판의 볼트공이 관통되어 체결판을 통해 파일의 볼트공이 직접 보이므로 파일결합시 별도의 기준핀을 꼽고 볼트공 센터정렬을 할 필요가 없다.
상부파일에도 같은 방법으로 상측체결판(300)을 고정한 다음 상부파일을 들어올려 하측체결판(200)위에 올려 놓으면 모따기나 모깍기가 형성된 제2 연결편(370)의 작용으로 볼트공 맞춤과 같은 별도의 작업이 없이 상하측체결판이 자동으로 결합되어 수평체결 볼트공(230)의 센터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제1, 2 볼트머리 삽입공은 결합시 하나의 공간을 이루어 상하부 파일에 삽입되는 수직볼트의 머리에 꼭 맞는 크기로, 만약 결합 후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 사이가 일부 벌어져 있다면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에 체결된 수직볼트(240) 중 일부의 체결이 완전하지 않은 것으로 항타 전에 사전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항타시에 항타의 충격으로 상하 수직볼트가 풀리지 않도록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이 들뜨지 않고 잘 결합되면, 측방에서 수평볼트(450)를 수평볼트 체결공(400)에 끼워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제2 연결편 중 내측에 있는 연결편에 형성된 수평볼트 체결공(400)에 너트(470)가 결합되어 수평볼트(450)를 단단히 조이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을 방해하는 공간의 제약이 없어 용이하게 체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PHC 파일 연결구조는 상하측체결판의 두께가 두껍지 않고 측면이 절반 정도 막혀있어 별도의 보강테나 조인트캡과 같은 구성이 필요없어 재료비가 그만큼 절감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상업적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나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하부파일 150 : 상부파일
200 : 하측체결판 210 : 제1 내측연결링
220 : 제1 하중지지판 230 : 볼트공
240 : 수직볼트 250 : 제1 볼트머리 삽입공
270 : 제1 연결편 300 : 상측체결판
310 : 제2 내측연결링 320 : 제2 하중지지판
350 : 제2 볼트머리 삽입공 370 : 제2 연결편
400 : 수평볼트 체결공 450 : 수평볼트
470 : 너트

Claims (4)

  1.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1 내측연결링(210),
    상기 제1 내측연결링(21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30)의 주변 상부에는 확장된 제1 볼트머리 삽입공(250)이 형성된 다수의 제1 하중지지판(220) 및
    인접한 상기 제1 하중지지판(220) 사이에 일정한 높이로 위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형성된 제1 연결편(270)이 결합된 하측체결판(200);
    일정한 두께와 높이를 가진 통형상의 제2 내측연결링(310),
    상기 제2 내측연결링(310)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볼트공(230)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30)의 주변 하부에는 확장된 제2 볼트머리 삽입공(350)이 형성된 다수의 제2 하중지지판(320) 및
    인접한 상기 제2 하중지지판(320) 사이에 상기 제1 연결편(27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삽입되도록 일정한 높이로 아래로 돌출 형성되고, 중심부에 수평볼트 체결공(400)이 형성된 제2 연결편(370)이 결합된 상측체결판(300); 및
    수직볼트(240)에 의해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에 각각 결합된 상기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이 상하로 결합되어 측방에서 삽입된 수평볼트(45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270) 또는 제2 연결편(370) 중 내측에 있는 연결편에 형성된 수평볼트 체결공(4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내측에 있는 연결편의 안쪽 나사결합공의 주변에 너트(470)가 결합된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편(270)의 상부 또는 제2 연결편(370)의 하부 양측 모서리가 일정 폭으로 깎여 하측체결판(200)와 상측체결판(3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제1 연결편(270)과 제2 연결편(370)에 형성된 수평볼트 체결공(400)의 센터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머리 삽입공(250)과 제2 볼트머리 삽입공(350)이 형성된 공간의 높이는 내부에 삽입된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에 체결된 수직볼트(240) 머리의 높이와 같아 결합볼트들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으면 하측체결판(200)과 상측체결판(300) 사이가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1020170100380A 2017-08-08 2017-08-08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102031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80A KR102031188B1 (ko) 2017-08-08 2017-08-08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0380A KR102031188B1 (ko) 2017-08-08 2017-08-08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6309A true KR20190016309A (ko) 2019-02-18
KR102031188B1 KR102031188B1 (ko) 2019-10-11

Family

ID=6556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380A KR102031188B1 (ko) 2017-08-08 2017-08-08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1960A (zh) * 2021-02-06 2021-06-08 广东三和管桩股份有限公司 支护桩、基坑围护墙、接桩结构、导向架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71Y1 (ko) * 2001-09-13 2001-12-28 이호경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KR20080070450A (ko) * 2007-01-26 2008-07-30 (주) 포유엔지니어링 파일 결합장치
KR100870859B1 (ko) 2008-03-26 2008-11-27 이호경 볼트를 이용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연결 구조
KR20120111490A (ko) 2011-04-01 2012-10-10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파일 연장을 위한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파일연장 방법
KR101630777B1 (ko) * 2014-04-29 2016-06-15 이덕영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871Y1 (ko) * 2001-09-13 2001-12-28 이호경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KR20080070450A (ko) * 2007-01-26 2008-07-30 (주) 포유엔지니어링 파일 결합장치
KR100870859B1 (ko) 2008-03-26 2008-11-27 이호경 볼트를 이용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연결 구조
KR20120111490A (ko) 2011-04-01 2012-10-10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파일 연장을 위한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파일연장 방법
KR101630777B1 (ko) * 2014-04-29 2016-06-15 이덕영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1960A (zh) * 2021-02-06 2021-06-08 广东三和管桩股份有限公司 支护桩、基坑围护墙、接桩结构、导向架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188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623B2 (en) Interlocking, self-aligning and torque transmitting coupler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for connecting, installing, and supporting foundation elements
US11525232B2 (en) Modular foundation support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shafts with interlocking torque transmitting couplings
KR101184226B1 (ko)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 및 철근망 구조물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74273B1 (ko) 콘크리트 말뚝의 이음장치
KR100835777B1 (ko)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KR101714371B1 (ko) 콘크리트 파일 및 강관 이음장치
JP4753426B2 (ja) 鋼管の接合継手
KR20150110336A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KR101418978B1 (ko) 무용접 직결식 수평 볼팅 말뚝 이음 구조
KR20150017079A (ko) 말뚝의 무용접 이음장치
KR100954967B1 (ko) 건축용 파일의 조립식 두부보강장치
KR20190016309A (ko)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20180007292A (ko) Phc 말뚝 연결장치
JP6253630B2 (ja) 合成セグメント、リング及び沈設構造物
KR101577727B1 (ko)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장치 및 그 이음 방법
KR200201561Y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구조
KR101018006B1 (ko) 파일 연결방법
KR20190137196A (ko) 콘크리트 파일 이음구
CN209873786U (zh) 自楔紧式管桩连接器
CN209873785U (zh) 管桩连接器
KR101789249B1 (ko) 방음벽 기초 구조물 접합구조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2560642B1 (ko)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465683B1 (ko) 파일의 무용접 이음장치
JP6545557B2 (ja) セグ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