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450A - 파일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450A
KR20080070450A KR1020070008595A KR20070008595A KR20080070450A KR 20080070450 A KR20080070450 A KR 20080070450A KR 1020070008595 A KR1020070008595 A KR 1020070008595A KR 20070008595 A KR20070008595 A KR 20070008595A KR 20080070450 A KR20080070450 A KR 20080070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oupling
coupling member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106B1 (ko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filed Critical (주) 포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0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1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7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다수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파일 간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가 개시된다. 파일 결합장치는 상기 파일의 끝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결합부재와, 상기 파일이 적층되어 상하로 맞대어지는 상기 끝단 결합부재의 측면을 동시에 감싸며, 측면에 상기 끝단 결합공과 결합하도록 측면 결합공이 형성된 측면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일 간 결합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공기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파일 결합

Description

파일 결합장치{PILE JOI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일 결합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파일 결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끝단 돌출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측면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측면 결합부재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끝단 돌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제 5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Ⅹ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ⅩⅠ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파일 결합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 도
도 15는 도 14의 파일 결합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파일
100a, 100b, 2100, 4100: 끝단 결합부재
110, 2110, 4110: 엔드 플레이트
120, 2120: 끝단 돌출부
121, 2121, 4121: 끝단 결합공
200, 2200, 3200, 4200: 측면 결합부재
210, 2210, 3210, 4210: 측면 결합공
본 발명은 파일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기초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파일 사이를 간단하게 연결시켜 주는 파일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약지반을 기초로 하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문제에 대한 대책 중 흔히 사용되는 성토하중을 지지층에 도달하는 공법(PILE이용 공법)은, 공장에서 미리 생산된 강, PHC, PC, RC 등의 기성 파일을 타입공법(타격, 진동)이나 매입공법 등의 방법으로 시공하는 것이다.
특히, PHC파일(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은 원심력을 응용하여 콘크리트를 압축강도가 78.5N/㎟(800Kgf/㎠) 이상으로 압축하고, 콘크리트 내부에 프리텐션을 가한 고강도 말뚝이다. PHC파일은 콘크리트의 허용압축응력이 대단히 크므로 종래의 PC 파일보다 더 큰 축방향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며, 압축강도가 800Kgf/㎠ 이상인 콘크리트로 성형한 단면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균일하게 도입하여 타격 내력에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타 시 발생하는 반사파에 의한 인장응력을 완전히 흡수하기 때문에 균열이 없고, 종래의 PC 파일로는 항타가 곤란한 중간의 단단한 층도 용이하게 관입이 이루어지기에 더욱 깊고 단단한 지층에 관입이 가능하며, 콘크리트의 휨인장응력이 크므로 축력과 수평력을 동시에 받는 내진 설계시 가장 적합한 파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파일의 깊이가 깊어질 경우, 상부파일과 하부파일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부파일을 하부파일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중기를 이용하여 상부파일의 하단을 하부 파일의 상단에 접하도록 한다. 상하부 파일의 끝단에는 금속 재질의 캡 혹은 슈가 장착되어 있으며, 용접사가 상부파일의 하단에 장착된 캡 또는 슈와, 하부 파일의 상단에 장착된 캡 또는 슈를 용접하여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용접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짐으로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좌우되는 용접부의 강도 불균형으로 연결이 용이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용접사들이 항시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공기가 늦어질 뿐만 아니라, 공사에 많은 인건비 및 장비 대여료가 소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파일 간 결합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공기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일 결합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파일 간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끝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결합부재; 및 상기 파일이 적층되어 상하로 맞대어지는 상기 끝단 결합부재의 측면을 동시에 감싸며, 측면에 상기 끝단 결합공과 결합하도록 측면 결합공이 형성된 측면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파일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파일 간 결합을 볼트 결합으로 간단히 할 수 있으며, 공기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끝단 결합부재는, 상기 파일의 끝단면에 결합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끝단 돌출부는, 상기 파일 몸체 측을 향해서 돌출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끝단 돌출부는, 상기 파일의 반대 측을 향해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끝단 돌출부는, 원주 방향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끝단 결합부재는, 상기 파일의 끝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파일의 측면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끝단 결합공은 상기 파일의 측면의 일부를 감싼 끝단 결합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결합부재는, 상기 끝단 결합부재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의 상기 측면 결합공이 형성된 부위에, 결합을 위한 볼트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헤드 수용홈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볼트의 헤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수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파일 간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끝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결합부재; 및 상기 끝단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측면 결합공이 형성되며, 끝단 결합부가 결합되는 상기 파일과 결합되는 파일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파일 결합장치를 제시한다. 따라서, 강관 파이프와 PHC 파일 간의 결합도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는 파일(10a, 10b)의 끝단에 결합되는 끝단 결합부재(100a, 100b)와, 파일(10a, 10b)이 적층되어 상하로 맞대어지는 끝단 결합부재(100a, 100b)의 측면을 동시에 감싸서 결합하는 측면 결합부재(200)를 포함한다.
파일(10a, 10b)은 PHC 파일을 예시로 들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끝단 결합부재(100a, 100b)는 파일(10a, 10b)의 끝단면에 결합하는 엔드 플레이트(110)와, 엔드 플레이트(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측면(122)에 끝단 결합공(121)이 형성된 끝단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끝단 결합부재(100a, 100b)는 PHC 파일(100a, 100b)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나, 파일(100a, 100b)의 제조시 슈의 역할을 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앤드 플레이트(110)가 실질적으로 파일(100a, 100b)의 내부에 있는 강선을 지지하는 슈의 역할을 한다.
끝단 돌출부(120)는 엔드 플레이트(110)의 외주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끝단 돌출부(120)는 육면체로 형성되거나, 측면(122)이 엔드 플레이트(110)의 외주면과 나란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122)에 형성된 끝단 결합공(1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끝단 돌출부(1120a, 1120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측면(1122)의 정면에서 바라본 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상하 끝단 돌출부(1120a, 1120b)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하 파일을 결합할 때, 끝단 돌출부(1120a, 1120b)가 서로 맞물려 정확한 위치로 상하 파일이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측면(1122)에 끝단 결합공(1121)이 형성됨은 도 1과 동일하다.
측면 결합부재(200)는 원호 형상의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된다. 측면 결합부재(200)는 끝단 결합공(121)과 결합하도록 측면 결합공(210)이 형성된다. 측면 결합부재(200)는 착탈의 편의를 위해서 도 1과 같이 2 이상으로 나뉘어 결합된다.
설치방법은 도 2와 같이, 하부 파일(10a)과 상부 파일(10b)을 상하부 끝단 돌출부(120a, 120b)가 서로 교차하도록 서로 맞댄 후, 측면 결합부재(200)를 상하 끝단 돌출부(120a, 120b)에 접하도록 한다. 그 다음 볼트(300)로 측면 결합부재(200)를 상하 끝단 돌출부(120a, 120b)에 체결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상하 파일(10a, 10b)은 측면 결합부재(20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용접하지 않고, 간단히 볼트(300) 체결만으로 상하 파일(10a, 10b)을 연결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공임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는 끝단 돌출부는, 상기 파일 몸체 측을 향해서 돌출된 것에 차이가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의 끝단 결합부재(2100)는 파일(10a, 10b)의 끝단면에 결합하는 엔드 플레이트(2110)와, 엔드 플레이트(2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측면(2122)에 끝단 결합공(2121)이 형성된 끝단 돌출부(2120)를 포함한다. 끝단 결합부재(2100)는 파일(100a, 100b)의 제조시 슈의 역할을 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엔드 플레이트(2110)가 파일의 끝단에 설치되는 슈의 역할을 하며, 끝단 돌출부(2120)는 강선(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끝단 돌출부(2120)는 엔드 플레이트(2110)의 외주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측면(2122)에 형성된 끝단 결합공(21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측면 결합부재(2200)는 원호 형상의 스트립(strip)으로 형성된다. 측면 결합부재(2200)는 끝단 결합공(2121)과 결합하도록 측면 결합공(2210)이 형성된다. 측면 결합공(2210)은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하 2개씩 형성된다. 측면 결합부재(2200)는 착탈의 편의를 위해서 도 3과 같이 2 이상으로 나뉘어져 결합된다.
설치방법은 하부 파일(10a)과 상부 파일(10b)을 서로 맞댄 후, 측면 결합부재(2200)를 상하 끝단 돌출부(2120)에 접하도록 한다. 그 다음 볼트(2300)로 측면 결합부재(2200)를 상하 끝단 돌출부(2120)에 체결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상하 파일(10a, 10b)은 측면 결합부재(220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용접하지 않고, 간단히 볼트(2300) 체결만으로 상하 파일(10a, 10b)을 연결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 공임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는 PHC 파일과 PHC 파일 사이를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를 예시 것이나, 제 3 실시예는 PHC 파일과 일반 강관 파일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제 3 실시예에서 하부 파일(10a)은 PHC파일이며, 상부에는 강관 파일(20)이 배치된다.
하부 파일(10a)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끝단 결합부재(100b)가 결합된다. 이에 대한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부의 강관 파일(20)의 끝단 측면에 측면 관통공(3210)이 형성된 측면 결합부재(3200)가 결합된다. 측면 결합부재(3200)는 강관 파일(20)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강관 파일(20)에 용접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제 4 실시예의 끝단 결합부재(4100)는 파일(100b)의 끝단면(11)의 적어도 일부와, 파일(10b)의 측면(12)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끝단면(11)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4110)와, 파일(10b)의 측면(12)을 감싸는 측판(4120)으로 구성된다. 파일(10b)의 측면(12)을 감싼 측판(4120)에는 끝단 결합공(4121)이 형성된다.
또한, 끝단 결합부재(4100)는 결합 및 제조의 편의를 위해서 원주 방향으로 2 이상 분할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의 측면 결합부재(4200)는 제 2 실시예의 측면 결합부재와 동일하다. 즉, 상하로 2열의 측판 결합공(4210)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볼트(4300)에 의해 끝단 결합부재(4100)에 결합된다.
도 7은 측면 결합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결합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측판 결합공(5210)이 형성된 부위에, 결합을 위한 볼트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헤드 수용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즉, 측판 결합공(5210)이 형성된 부위가 단차져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의 헤드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끝단 돌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변형된 끝단 돌출부(6120a, 6120b)는 마주보는 끝단 결합부재에 돌출된 끝단 돌출부(6120b, 6120a)와 상호 록킹되도록 록킹부(6123a, 6123b)가 더 돌출된다. 즉, 두개의 파일(10a, 10b)이 서로 마주 보고 결합되었을 때, 상측 파일에 돌출된 끝단 돌출부(6120a)에는 록킹부(6123a)가 하측 파일(10b)에 돌출된 끝단 돌출부(6120b)를 향해 돌출되며, 하측 파일(10b)의 록킹부(6123b)는 상측 파일(10a)에 돌출된 끝단 돌출부(6120a)를 향해 돌출된다.
끝단 결합공(6121a, 6121b)은 각각의 끝단 돌출부(6120a, 6120b)의 측면(6122a, 6122b)에 형성된다. 끝단 결합공(6121a, 6121b)의 내주면에 볼트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록킹부를 구비함으로써, 파일(10a, 10b) 간의 인장력의 대부분을 록킹부(6123a, 6123b)가 지지하므로, 측면 결합부재(6200)에 결합되는 볼트(300)의 수와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록킹부로 인해서 측면 결합부재(6200)에 형성된 측면 결합공(6210)과, 끝단 결합공(6121a, 6121b)과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9는 제 5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제 5 실시예의 파일 결합장치는 파일(10a, 10b)의 끝단에 결합되는 엔드 플 레이트(7110)와, 파일의 일단에 결합된 엔드 플레이트(7110)에 돌출된 외측 끝단 돌출부(7120a)와, 파일의 타단에 결합된 엔드 플레이트(7110)에 돌출된 내측 끝단 돌출부(7120b)를 포함한다.
내측 끝단 돌출부(7120b)는 외측 끝단 돌출부(7120a)에 대해서 엔드 플레이트(7110)의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즉, 외측 끝단 돌출부(7120a)가 내측 끝단 돌출부(7120b)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내측 끝단 돌출부(7120b) 및 외측 끝단 돌출부(7120a)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내측 끝단 결합공(7121b) 및 외측 끝단 결합공(7121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외측 끝단 돌출부(7120a) 및 내측 끝단 돌출부(7120a)에는 상호 결합시 반경방향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가이드 돌기(7125a, 7125b)가 형성된다. 즉, 외측 끝단 돌출부(7120a)의 내주면에 가이드 돌기(7125a)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끝단 돌출부(7120a)의 외주면에 가이드 돌기(7125b)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들 가이드 돌기(7125a, 7125b)는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내측 끝단 결합공(7121b) 및 외측 끝단 결합공(7121a)는 이들 가이드 돌기(7125a, 7125b)가 서로 교차하여 끼워졌을 때,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7125a, 7125b)를 교차하도록 삽입하면, 결합공(7121a, 7121b)이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끝단 돌출부의 끝단면(7126a)과 내측 끝단 돌출부를 향하는 면(7127a)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7128a)가 모따기 된다. 그 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끝단 돌출부(7125b)의 끝단면(7126b)과 상기 외측 끝단 돌출부를 향하는 면(7127b)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7128b)가 모따기된다. 따라서, 삽입시에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있어도 모따기된 모서리가 정확한 위치로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실시예는 끝단 결합부재의 끝단 돌출부(8120a, 8120b)와 측면 결합부재(8220)가 파일의 길이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턱(8220, 8120a, 8120b)이 상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끝단 돌출부(8120a, 8120b)의 하부 엔드 플레이트(8110b)에 접하는 면에 끝단 돌출부 측 걸림턱(8125)가 형성되고, 측면 결합부재(8200)에는 상기 걸림턱(8125)에 끼워질 수 있도록 측면 결합부재측 걸림턱(822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6 실시예에서는 걸림턱 들이 하부 엔드 플레이트(8110b)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부 엔드 플레이트(8110a)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측면 결합부재와 끝단 돌출부가 걸림턱에 의해 록킹됨으로써, 파일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여 준다. 그 결과, 볼트가 부담하여야 하는 인장력이 줄어듬으로써, 볼트의 크기 및 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는 끝단 결합부재의 끝단 돌출부(9120a, 9120b)와 측면 결합부재(9200)가 파일의 길이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턱(9220, 9120a, 9120b)이 상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끝단 돌출부(9120a, 9120b)의 엔드 플레이트(9110a, 9110b)에 접하는 면에 끝단 돌출부 측 걸림턱(9125)이 형성되고, 측면 결합부재(9200)에는 상기 걸림턱(9125)에 끼워질 수 있도록 측면 결합부재측 걸림턱(922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측면 결합부재와 끝단 돌출부가 걸림턱에 의해 록킹됨으로써, 파일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여 준다. 그 결과, 볼트가 부담하여야 하는 인장력이 줄어듬으로써, 볼트의 크기 및 수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볼트 결합에 의해서 상하 파일을 결합하므로, 용접작업이 필요 없다. 그 결과, 시공이 훨씬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끝단 돌출부가 서로 맞물리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결합부에 볼트 헤드가 수용될 수 있는 헤드 수용홈이 요입되어 형성됨으로써, 볼트 헤드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6)

  1. 다수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파일 간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끝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결합부재; 및
    상기 파일이 적층되어 상하로 맞대어지는 상기 끝단 결합부재의 측면을 동시에 감싸며, 측면에 상기 끝단 결합공과 결합하도록 측면 결합공이 형성된 측면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결합부재는,
    상기 파일의 끝단면에 결합하는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돌출부는, 상기 파일 몸체 측을 향해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돌출부는, 상기 파일의 반대 측을 향해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돌출부는, 원주 방향의 단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돌출부는, 마주보는 상기 끝단 결합부재에 돌출된 상기 끝단 돌출부와 상호 록킹되도록 록킹부가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결합부재는,
    상기 파일의 끝단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파일의 측면의 일부를 감싸고, 상기 끝단 결합공은 상기 파일의 측면의 일부를 감싼 끝단 결합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결합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2 이상 분할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단 결합부재와 상기 측면 결합부재는 상기 파일의 길이방향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상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부재는, 상기 끝단 결합부재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면의 상기 측면 결합공이 형성된 부위에, 결합을 위한 볼트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헤드 수 용홈이 요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1. 다수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파일 간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끝단에 결합되며, 측면에 다수의 끝단 결합공이 형성된 끝단 결합부재; 및
    상기 끝단 결합공과 연통되도록 측면 결합공이 형성되며, 끝단 결합부가 결합되는 상기 파일과 결합되는 파일에 결합되는 측면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결합부재는, 상기 측면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기 파일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3. 다수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사용되는 파일 간을 결합하는 파일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끝단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
    상기 파일의 일단에 결합된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돌출된 외측 끝단 돌출부; 및
    상기 파일의 타단에 결합된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 돌출된 내측 끝단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끝단 돌출부는 상기 외측 끝단 돌출부에 대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직경방향으로 내측으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 끝단 돌출부 및 상기 외측 끝단 돌출부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내측 끝단 결합공 및 외측 끝단 결합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끝단 돌출부 및 상기 내측 끝단 돌출부에는 상호 결합시 반경방향의 움직을 제한하도록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끝단 돌출부의 끝단면과 상기 내측 끝단 돌출부를 향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끝단 돌출부의 끝단면과 상기 외측 끝단 돌출부를 향하는 면 사이에 형성된 모서리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결합장치.
KR1020070008595A 2007-01-26 2007-01-26 파일 결합장치 KR100854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95A KR100854106B1 (ko) 2007-01-26 2007-01-26 파일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595A KR100854106B1 (ko) 2007-01-26 2007-01-26 파일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450A true KR20080070450A (ko) 2008-07-30
KR100854106B1 KR100854106B1 (ko) 2008-08-26

Family

ID=3982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595A KR100854106B1 (ko) 2007-01-26 2007-01-26 파일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1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405B1 (ko) * 2012-11-02 2013-03-11 (주)전엔지니어링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 파일
KR101300499B1 (ko) * 2013-01-11 2013-08-26 문종화 콘크리트 말뚝 연장 체결장치
KR101318937B1 (ko) * 2013-01-21 2013-10-17 최성희 말뚝연결구
WO2015099433A1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20180127830A (ko) * 2017-05-22 2018-11-30 (주)성심씨앤엠 콘크리트 파일용 분리 조립식 이음장치
KR20190016309A (ko) * 2017-08-08 2019-02-18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20190113056A (ko) * 2018-03-27 2019-10-08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hc 파일의 이음부 무용접 연결장치
KR20200001239A (ko) 2018-06-27 2020-01-06 (주)성심씨앤엠 견실한 결합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514B1 (ko) * 2008-11-13 2011-07-14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분리 가능한 상부 파일이 결합된 기성철근콘크리트 파일
KR101577727B1 (ko) * 2013-07-02 2015-12-16 박철주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장치 및 그 이음 방법
KR101451164B1 (ko) * 2014-03-14 2014-10-15 문종화 콘크리트 말뚝 연장 체결장치
KR101774343B1 (ko) 2015-03-12 2017-09-04 최성희 말뚝연결구
KR101563476B1 (ko) 2015-06-19 2015-10-26 주식회사 태산플랜트 Phc파일용 상하부 분리형 신속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시공방법
KR101930725B1 (ko) 2017-04-18 2018-12-19 디에이치기초건설(주) 건축용 콘크리트 파일 연결장치 키트
KR102172885B1 (ko) * 2018-12-06 2020-11-02 주식회사 클라썸테크 조립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021A (ja) * 1997-10-24 1999-07-13 Housing Tamura:Kk 杭の継手構造
JP2005220742A (ja) * 1999-12-24 2005-08-18 Okamoto Kensetsu Yohin Seisakusho:Kk 鋼管の継手構造
KR200258871Y1 (ko) * 2001-09-13 2001-12-28 이호경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JP3896318B2 (ja) 2002-09-03 2007-03-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管杭接続構造
KR200309950Y1 (ko) * 2002-12-27 2003-04-11 이호경 피에이치씨 파일의 조인트 캡 및 이를 이용한 피에이치씨파일의 조인트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405B1 (ko) * 2012-11-02 2013-03-11 (주)전엔지니어링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 파일
KR101300499B1 (ko) * 2013-01-11 2013-08-26 문종화 콘크리트 말뚝 연장 체결장치
KR101318937B1 (ko) * 2013-01-21 2013-10-17 최성희 말뚝연결구
WO2014112738A1 (ko) * 2013-01-21 2014-07-24 Choi Seong Hee 말뚝연결구
WO2015099433A1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KR20180127830A (ko) * 2017-05-22 2018-11-30 (주)성심씨앤엠 콘크리트 파일용 분리 조립식 이음장치
KR20190016309A (ko) * 2017-08-08 2019-02-18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20190113056A (ko) * 2018-03-27 2019-10-08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Phc 파일의 이음부 무용접 연결장치
KR20200001239A (ko) 2018-06-27 2020-01-06 (주)성심씨앤엠 견실한 결합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106B1 (ko)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106B1 (ko) 파일 결합장치
JP4753426B2 (ja) 鋼管の接合継手
KR101836880B1 (ko) 중공 파일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KR102104021B1 (ko) 강관 연결장치
CN102352624A (zh) 预制桩接桩结构
JP2020117919A (ja) 合成セグメント、リング体及び埋設構造物
KR20130121622A (ko) 지지파일용 연결장치, 이를 구비한 지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지파일 시공방법
KR101770596B1 (ko) 파일 연결 장치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101207138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이음장치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JP5991622B2 (ja) 杭の無溶接継手
JP5321492B2 (ja) セグメント間の継手構造、セグメント及びトンネル覆工体
JP2022516375A (ja) 風力タービンのための支持構造
JP7507676B2 (ja) 土留構造及び土留構造の構築方法
JP2021036115A (ja) 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杭頭接合方法
JP7277403B2 (ja) 六角形セグメントの斜め接合面の接合構造
KR102523170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장치
JP2021134545A (ja) 六角形セグメントの角部集合部における接合構造
KR102092715B1 (ko) 강관 연결장치
JP7339186B2 (ja) 六角形セグメント
KR20190016309A (ko)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20190143204A (ko) 초고강도 콘크리트 파일 조인트
JP7281125B2 (ja) Rcセ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の挿入型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セrcグメントを含むプレキャス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