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359A -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359A
KR20190014359A KR1020170098059A KR20170098059A KR20190014359A KR 20190014359 A KR20190014359 A KR 20190014359A KR 1020170098059 A KR1020170098059 A KR 1020170098059A KR 20170098059 A KR20170098059 A KR 20170098059A KR 20190014359 A KR20190014359 A KR 20190014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burr
roll
un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698B1 (ko
Inventor
황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8Monitoring or detecting vibration, chatter or chatter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B17/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21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는 사이드 트리머에 의해서 강판 절단 시 발생되는 버(BURR)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버를 가압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가압부의 진동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사이드 트리머의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INSPECTION APPARATUS FOR CUTTING SURFACE OF STEEL PLATE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트리머를 통해 절단된 강판의 절단면 검사에 적용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은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통해 제조된다. 그리고 강판은 제조사의 요구폭에 맞춰 양측면이 사이드 트리머(SIDE TRIMER)를 통해 절단된다. 사이드 트리머는 강판을 양측면을 절단하는 장치로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로 이루어진다. 즉, 사이드 트리머는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가 상호 맞물려 강판의 양측면을 절단한다. 이때, 사이드 트리머는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마모도에 따라 강판의 절단면 품질이 좌우되어,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주기적인 마모 상태의 관리를 요하게 된다.
그러나 사이드 트리머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설비이므로 운전 중 육안으로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마모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에 마모가 발생 시에는 강판의 절단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10-2004-003546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이드 트리머에서 절단된 강판의 절단면에 발생된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따라 사이드 트리머의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강판 절단면의 절단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는 사이드 트리머에 의해서 강판 절단 시 발생되는 버(BURR)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버를 가압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가압부의 진동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사이드 트리머의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강판의 양측 절단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에 접촉되어 회전 하는 가압롤; 상기 강판의 절단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롤과 마주 보며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이 상기 버에 접촉되어 회전 시 상기 가압롤을 지지하는 백업롤; 상기 가압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롤이 상기 버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롤을 지지하는 지지 본체; 및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상기 버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롤을 상기 버에 접촉 시키는 이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본체는 일단이 상기 이동 실린더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의 이동에 의해서 회동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바; 및 상기 롤러바와 이동 실린더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실린더와 상기 롤러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바에는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실린더는 상기 강판의 절단폭에 맞춰 상기 가압부를 이동 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 상기 이동 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강판의 절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 스크류; 상기 회전 스크류를 회전 시켜, 상기 이동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 로드를 통해 상기 이동 실린더를 상기 강판의 절단폭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하면에 연결되는 하우징; 일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가압롤과 접촉되어 가압롤의 진동을 전달하는 전달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전달핀에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핀에는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 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핀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롤과 접촉되는 접촉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접촉 블록은 상기 가압롤에 접촉 시 가압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가압부의 진동 신호와 상기 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 신호가 상기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초과하면,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은 사이드 트리머를 통해 강판의 양단을 절단하는 강판 절단 단계; 상기 사이드 트리머에서 절단된 상기 강판의 절단폭에 맞춰 가압부를 위치시키며 상기 가압부에 센서부를 접촉 시키는 가압부 위치조절 단계; 상기 강판의 절단폭에 맞춰 위치된 가압부를 통해서 버를 가압하는 버 가압 단계; 및 상기 버 가압 단계에서 상기 발생하는 진동을 검출하여 상기 사이드 트리머의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가압부의 진동 신호와 상기 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 신호가 상기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초과하면,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정보를 제어부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정보를 전달 받아, 연마석을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로 접촉되게 이동 시켜 상기 연마석을 통해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제거하는 결함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함 제거 단계에서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제거 후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가압부의 진동 신호와 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재 비교하여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재 판단하는 결함 재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 트리머에 의해 절단된 강판의 절단면을 실시간을 검사하여 절단면의 상태에 따라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이 발생되며, 사이드 트리머의 작동 중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실시간으로 제거하여 강판의 절단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는 지속적으로 결함이 관리되어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가압부와 이동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2에서 센서부와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의 가압부와 이동부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2에서 센서부와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트리머(2)는 열간압연 혹은 냉간압연과 같은 압연공정을 거쳐 제조된 강판(S)의 양측면을 절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이드 트리머(2)는 양측에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가 서로 맞물려 배치되며, 강판(S)의 양측면을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1)는 사이드 트리머(2)에서 절단된 강판(S)의 절단면을 실시간을 검사하여 강판(S)의 절단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0), 이동부(20), 센서부(30), 판단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가압부(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트리머(2)에 의해서 강판(S) 절단 시 발생되는 버(B)를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다.
가압부(10)는 가압롤(11), 백업롤(12),지지 본체(13) 및 이동 실린더(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압부(10)는 강판(S)의 양측 절단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가압롤(11)은 버(B)에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다. 백업롤(12)은 강판(S)의 절단폭 방향을 따라 가압롤(11)과 마주 보며 배치되어 가압롤(11)이 버(B)에 접촉되어 회전 시 가압롤(1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본체(13)는 가압롤(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압롤(11)이 버(B)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가압롤(11)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 본체(13)는 연결바(13a), 롤러바(13b) 및 가이드 바(13d)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13a)는 일단이 이동 실린더(14)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13a)는 이동 실린더(14)의 이동에 의해서 회동될 수 있다.
롤러바(13b)는 연결바(13a)의 타단에 형성되어, 가압롤(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바(13d)는 롤러바(13b)와 이동 실린더(14)를 연결하며 연결바(13a)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롤러바(13b)에는 센서부(30)를 지지하는 지지바(13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실린더(14)는 연결바(13a)와 연결되어 지지 본체(13)를 버(B) 측으로 이동시켜, 가압롤(11)을 버(B)에 접촉 시킬 수 있다. 이동 실린더(14)는 버(B)의 공급 방향에 대하여 정 방향 및 역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롤(11)을 버(B)에서 접촉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 실린더(14)가 버(B)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역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연결바(13a)는 이동 실린더(14)로 측으로 이동 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바(13a)는 이동 실린더(14)에 힌지 결합되어 버(B)에 가압롤(11)이 접촉되도록 강판(S) 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바(13d)는 연결바(13a)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반면에, 이동 실린더(14)가 버(B)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정 방향으로 이동시에는 연결바(13a)는 이동 실린더(14)측에서 버(B)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바(13a)는 이동 실린더(14)에 힌지 결합되어 버(B)에서 가압롤(11)이 분리되도록 강판(S) 측에서 분리되게 회동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바(13d)는 연결바(13a)의 회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동부(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실린더(14)에 배치되어, 강판(S)의 절단폭에 맞춰 가압부(1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동부(20)는 고객사의 요구된 폭에 맞춰 사이드 트리머(2)를 통해 절단된 강판(S)의 절단면에 발생한 버(B)를 제거하기 위해 강판(S)의 절단폭에 맞춰 가압부(1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부(20)는 가이드 로드(21), 회전 스크류(22) 및 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1)는 이동 실린더(14)와 연결되어 이동 실린더(1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로드(21)는 이동 실린더(14)의 상부에 배치되며, 강판(S)의 절단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 스크류(22)는 이동 실린더(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강판(S)의 절단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회전 스크류(22)는 강판(S)의 양측에 배치되어 이동 실린더(14)가 사이드 트리머(2)에 의해 절단된 강판(S)의 절단폭에 맞춰 이동 될 수 있게 강판(S)의 절단폭 방향을 따라 한 쌍이 상호 간섭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23)는 가이드 로드(21)에 고정되며, 회전 스크류(22)를 회전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23)는 회전 스크류(22)를 회전 시켜, 이동 실린더(14)가 가이드 로드(21)를 통해 이동 실린더(14)를 상기 강판(S)의 절단폭 방향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센서부(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10)가 버(B)를 가압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부(30)는 이동 실린더(14)와 롤러바(1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30)는 가압롤(11)에 접촉되고 가압롤(11)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30)는 하우징(32), 전달핀(33), 감지 센서(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2)은 이동 실린더(14)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32)은 결합 블록(31)을 통해서 이동 실린더(14)와 연결될 있다. 결합 블록(31)은 볼트(BO) 결합을 통해 이동 실린더(14)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32)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중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달핀(33)은 일단이 하우징(32)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타단은 하우징(32) 외부에서 가압롤(11)과 접촉되어 가압롤(11)의 진동을 하우징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전달핀(33)의 타단은 지지바(13c)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센서(34)는 하우징(32) 내부에 배치되어 전달핀(33)에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감지 센서(34)는 전달핀(3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핀(33)에는 탄성체(35)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탄성체(35)는 탄성 변형을 통해서 전달핀(33)을 하우징(32) 내부에서 승강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달핀(33)의 일단에는 탄성체(3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 방지턱(33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체(35)는 하우징(32)의 하면과 이탈 방지턱(33b)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변형을 통해 전달핀(33)의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전달핀(33)의 타단에는 가압롤(11)과 접촉되는 접촉 블록(36)이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33a)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촉 블록(36)은 나사산(33a)에 나사 결합되며, 가압롤(11)에 접촉 시 가압롤(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우징(32)의 외측면에는 하우징(32) 내부로 공기(A)를 주입 및 배출 시키는 승강부(32a)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에에서 승강부(32a)는 하우징(32) 내부에 배치된 감지 센서(34)의 위치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32a)는 하우징(32) 내부로 공기를 공급 및 배출 시켜 하우징 (32)내부에서 탄성체(35)를 탄성 변형 시켜, 전달핀(33)을 가압롤(11)과 접촉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32) 내부에 승강부(32a)를 통해 공기(A)가 주입되면, 탄성체(35)는 공기압을 통해서 하우징(32) 내부에서 압축되어 전달핀(33)을 가압롤(11) 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반면에, 하우징(32) 내부에 주입된 공기(A)가 승강부(32a)를 통해 배출되면, 탄성체(35)는 하우징(32) 내부에서 복원되어, 전달핀(33)을 가압롤(11) 측에서 상승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승강부(32a)는 이동 실린더(14)가 버(B)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역 방향으로 이동 시 전달핀(33)이 가압롤(11)에 접촉될 수 있게 하우징(32) 내부로 공기(A)를 주입할 수 있다. 반면에, 승강부(32a)는 이동 실린더(14)가 버(B)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정 방향으로 이동시 전달핀(33)이 가압롤(11)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하우징(32) 내부로 주입된 공기(A)를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부(30)는 가압부(10)와 연동되어 작동하며, 가압롤(11)이 강판(S)의 버(B)를 가압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판단부(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에서 감지된 가압부(10)의 진동 신호를 수신 받아 사이드 트리머(2)의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판단부(40)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가압부(10)의 진동 신호와 버(B)를 교정하기 위하여 버(B)를 가압하는 가압부(10)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40)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진동 신호가 가압부(10)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초과하면,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단부(40)에서 판단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에 인접되게 배치된 연마석(5)의 위치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마석(5)은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가 연마석(5)에 의해 연마되게, 연마석(5)을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에 접촉되게 승강 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1)의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1)의 검사 방법은 강판 절단 단계(S1), 가압부 위치조절 단계(S2), 버 가압 단계(S3) 및 판단 단계(S4), 결함 제거 단계(S5) 및 결함 재 판단 단계(S6)를 포함한다. 강판 절단 단계(S1)는 사이드 트리머(2)를 통해 강판(S)의 양단을 절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강판 절단 단계(S1)는 사이드 트리머(2)의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를 통해 강판(S)의 양단을 절단할 수 있다.
가압부 위치 조절 단계(S2)는 사이드 트리머(2)에서 절단된 강판(S)의 절단폭에 맞춰 가압부(10)를 위치시키며, 가압부(10)에 센서부(30)를 접촉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압부 위치 조절 단계(S2)는 이동부(20)의 구동을 통해서 가압부(10)를 강판(S)에 절단폭에 맞춰 위치시킬 수 있다.
가압부 위치 조절 단계(S2)에서 가압롤(11)은 이동 실린더(14)가 버(B)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역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압롤(11)이 버(B)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32a)는 하우징(32) 내부로 공기(A)가 주입하여, 센서부(30)가 가압롤(11) 측으로 하강하여 가압롤(11)에 접촉될 수 있다.
버 가압 단계(S3)는 강판(S)의 절단폭에 맞춰 위치된 가압부(10)를 통해서 버(B)를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버 가압 단계(S3)는 가압부 위치 조절 단계(S2)에서 버(B)에 접촉된 가압롤(11)이 회전 하면서 버(B)를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다.
판단 단계(S4)는 버 가압 단계(S3)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검출하여 사이드 트리머(2)의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 단계(S4)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가압부(10)의 진동 신호를 수신 받아 사이드 트리머(2)의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판단 단계(S4)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가압부(10)의 진동 신호와 버(B)를 가압하기 위하여 버(B)를 가압하는 가압부(10)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단계(S4)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진동 신호가 가압부(10)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초과하면,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정보를 제어부(50)로 송출할 수 있다.
결함 제거 단계(S5)는 판단 단계(S4)에서 판단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이드 트리머(2)의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함 제거 단계(S5)는 판단 단계(S4)에서 판단된 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서 연마석(5)을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로 접촉되게 이동 시켜 연마석(5)을 통해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결함 재 판단 단계(S6)는 결함 제거 단계에서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제거 후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재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함 재 판단 단계(S6)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가압부(10)의 진동 신호와 버(B)를 가압하기 위하여 버(B)를 가압하는 가압부(10)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재 비교하여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재 판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1)는 사이드 트리머(2)에 의해 절단된 강판(S)의 절단면을 실시간을 검사하여 절단면의 상태에 따라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이 발생되며, 사이드 트리머(2)의 작동 중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결함을 실시간으로 제거하여 강판(S)의 절단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는 지속적으로 결함이 관리되어 상부 나이프(3)와 하부 나이프(4)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2: 사이드 트리머
3: 상부 나이프 4: 하부 나이프
5: 연마석 10: 가압부
11: 가압롤 12: 백업롤
13:지지 본체 13a: 연결바
13b: 롤러바 13c: 지지바
13d: 가이드 바 14: 이동 실린더
20: 이동부 21: 가이드 로드
22: 회전 스크류 23: 모터
30: 센서부 31: 결합 블록
32: 하우징 32a: 승강부
33: 전달핀 33a: 나사산
33b: 이탈 방지턱 34: 감지 센서
35: 탄성체 36: 접촉 블록
40: 판단부 50: 제어부
S: 강판 B: 버
A: 공기 BO: 볼트

Claims (13)

  1. 사이드 트리머에 의해서 강판 절단 시 발생되는 버(BURR)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상기 버를 가압 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가압부의 진동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사이드 트리머의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강판의 양측 절단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버에 접촉되어 회전 하는 가압롤;
    상기 강판의 절단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롤과 마주 보며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이 상기 버에 접촉되어 회전 시 상기 가압롤을 지지하는 백업롤;
    상기 가압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압롤이 상기 버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가압롤을 지지하는 지지 본체; 및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상기 버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압롤을 상기 버에 접촉 시키는 이동 실린더;
    를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일단이 상기 이동 실린더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의 이동에 의해서 회동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가압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바; 및
    상기 롤러바와 이동 실린더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바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실린더와 상기 롤러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에 접촉되고 상기 가압롤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바에는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지지바가 형성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실린더는 상기 강판의 절단폭에 맞춰 상기 가압부를 이동 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 실린더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로드;
    상기 이동 실린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강판의 절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 스크류;
    상기 회전 스크류를 회전 시켜, 상기 이동 실린더가 상기 가이드 로드를 통해 상기 이동 실린더를 상기 강판의 절단폭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이동 실린더의 하면에 연결되는 하우징;
    일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가압롤과 접촉되어 가압롤의 진동을 전달하는 전달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전달핀에서 전달된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핀에는 탄성체가 배치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 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핀의 타단에는 상기 가압롤과 접촉되는 접촉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접촉 블록은 상기 가압롤에 접촉 시 가압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가압부의 진동 신호와 상기 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 신호가 상기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초과하면,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으로 판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10. 사이드 트리머를 통해 강판의 양단을 절단하는 강판 절단 단계;
    상기 사이드 트리머에서 절단된 상기 강판의 절단폭에 맞춰 가압부를 위치시키며 상기 가압부에 센서부를 접촉 시키는 가압부 위치조절 단계;
    상기 강판의 절단폭에 맞춰 위치된 가압부를 통해서 버를 가압하는 버 가압 단계; 및
    상기 버 가압 단계에서 상기 발생하는 진동을 검출하여 상기 사이드 트리머의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가압부의 진동 신호와 상기 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비교하여, 상기 진동 신호가 상기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초과하면,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으로 판단하여 판단된 정보를 제어부로 송출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판단된 정보를 전달 받아, 연마석을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로 접촉되게 이동 시켜 상기 연마석을 통해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제거하는 결함 제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제거 단계에서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제거 후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가압부의 진동 신호와 버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버를 가압하는 가압부의 기 설정된 가압력의 범위 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재 비교하여 상기 상부 나이프와 하부 나이프의 결함을 재 판단하는 결함 재 판단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강판의 절단면 검사 방법.
KR1020170098059A 2017-08-02 2017-08-02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8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59A KR101998698B1 (ko) 2017-08-02 2017-08-02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59A KR101998698B1 (ko) 2017-08-02 2017-08-02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359A true KR20190014359A (ko) 2019-02-12
KR101998698B1 KR101998698B1 (ko) 2019-07-10

Family

ID=6536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59A KR101998698B1 (ko) 2017-08-02 2017-08-02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9418A (zh) * 2023-02-23 2023-05-09 祝桥金属材料启东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冷轧钢及其制造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4A (ko)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마셔롤 가압력 조절이 가능한 버 마셔
KR20090022237A (ko)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사이드트리머용 굴곡방지장치
KR20120071773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드 트리머 제어장치 및 이에 의한 제어방법
KR20130014791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의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64A (ko)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마셔롤 가압력 조절이 가능한 버 마셔
KR20090022237A (ko) * 2007-08-30 2009-03-04 주식회사 포스코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사이드트리머용 굴곡방지장치
KR20120071773A (ko) * 2010-12-23 2012-07-03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드 트리머 제어장치 및 이에 의한 제어방법
KR20130014791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의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79418A (zh) * 2023-02-23 2023-05-09 祝桥金属材料启东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冷轧钢及其制造方法和装置
CN116079418B (zh) * 2023-02-23 2023-11-28 祝桥金属材料启东有限公司 一种超高强度冷轧钢及其制造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698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24B1 (ko) 기판 세정 장치 및 기판 세정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RU2696116C2 (ru) Радиальный пресс
KR20130119861A (ko) 양두 평면 연삭법 및 양두 평면 연삭반
KR101998698B1 (ko) 강판의 절단면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12223038A (zh) 具备实时张力监测的可控质量双工位砂带机及其控制方法
US7624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material for pulling rolls
US9475242B2 (en) Eyeglass lens processing apparatus
JP2005074553A (ja) 溶接ビードの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JP5331533B2 (ja) 研磨装置
KR101961830B1 (ko) 브러시 롤의 마모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KR200203849Y1 (ko) 압연스탠드의 롤표면 검사장치
JPH06114694A (ja) 切削装置のバイト異常検出装置
KR20200020181A (ko) 버 제거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20576B1 (ko) 지석을 이용한 냉연 코일제품의 표면검사장치
KR101594896B1 (ko) 봉강 절단장치 및 봉강 절단방법
KR101435028B1 (ko) 텐션릴 진단장치
KR100923470B1 (ko) 스트립 그라인더의 빌리롤 틸팅장치
WO2018079526A1 (ja) プレス装置
KR100940686B1 (ko) 지석마크 형성 장치
KR102637652B1 (ko) 압연롤의 자동 연삭유 제거장치
KR200243134Y1 (ko) 강판표면 결함확인장치
JP3734367B2 (ja) 石英ガラス管の切断方法及び装置
TWI684490B (zh) 帶鋸機之鋸帶歪斜檢知裝置及其應用方法
KR102548957B1 (ko) 파이널 폴리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010235A (ko) 사상압연기의 스트립 쏠림 감지장치 및 그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