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308A -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Google Patents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308A
KR20190014308A KR1020170097941A KR20170097941A KR20190014308A KR 20190014308 A KR20190014308 A KR 20190014308A KR 1020170097941 A KR1020170097941 A KR 1020170097941A KR 20170097941 A KR20170097941 A KR 20170097941A KR 20190014308 A KR20190014308 A KR 20190014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depth
compressing operation
sensing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9218B1 (en
Inventor
윤정아
조은숙
노영미
이은화
유선착
Original Assignee
윤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아 filed Critical 윤정아
Priority to KR102017009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2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14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2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vided is the mannequin, which comprises: a chest corresponding part for reproducing a chest reaction of an emergency patient in response to a chest compressing action of a user who practices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first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hest compressing action; a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action;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est compressing action is valid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and a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blood flow movement of the emergency patient correspon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action.

Description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0001]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0002]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시각/청각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nequin for CPR training to provide visual / auditory feedback in response to chest compression.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도 혈액을 순환시켜,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 환자의 생존율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조사된바 있다. 모든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배운 후 응급상황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시행한다면 수많은 심장마비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a first-aid treatment that artificially circulates blood and assists in breathing when a heart attack occur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a crucial factor in circulating blood even when the heart is paralyzed, delaying brain damage and restoring the heart from paralysis. It is reported that if a person who witnessed a heart attack immediately undergo CPR, the probability of saving lives for a heart attack patient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without CPR. In addit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as been found to be 3 times as likely as cardiac arrest survival in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It is expected that everybody will learn CPR, and if it is done effectively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will save lives of many heart attack patients.

심박동 정지 동안에, 심장은 비공조 심장 수축(세동: fibrillation) 또는 완전 정지의 상태에 있으며, 이는 혈액이 뇌 또는 심장 그 자체를 포함하는 기타 생체 기관으로 흐르는 것을 방해한다. 미국에서만 1년에 300,000명이 넘게 심박동 정지로 사망한다. 환자의 심박동이 회복될 수 있을 때까지, 혈액과 산소가 심장과 뇌로 흐르는 것을 유지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심폐 소생(CPR)의 목적이다. CPR의 가장 단순한 형태, 즉 수동식 CPR은 2 회의 환기 다음에, 분당 100 회 압박의 속도로 15 회의 깊이 3.75 내지 5 cm의 수동식 흉부 압박이 이어지는 시행 사이클을 포함한다.During cardiac arrest, the heart is in a state of non-airtight cardiac contraction (fibrillation) or complete arrest, which prevents blood from flowing into the brain or other vital organs, including the heart itself. In the United States alone, over 300,000 deaths occur per heartbeat per year. It is the purpose of CPR to prevent blood and oxygen from flowing into the heart and brain to prevent damage until the patient's heart rate can be restored. The simplest form of CPR, i.e., manual CPR, involves two cycles of ventilation, followed by a manual cycle of chest compressions of 15.75 to 5 cm depth at a rate of 100 compressions per minute.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심폐소생술을 연습하기 위한 마네킹은 단순히 압박만을 실시하기 위해 소정 탄성력을 지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기도 확보 연습을 위해 머리 부분과 몸체 부분이 단순히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Generally, a mannequin for practicing such a CP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simply perform compression, or a head portion and a body portion are simp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actice airway assurance.

한국등록특허 제10-1679237호Korean Patent No. 10-1679237 한국등록특허 제10-1606096호Korean Patent No. 10-1606096

본 발명은 흉부 압박 동작시 발광부재가 점등 됨으로서, 연습 사용자가 흉부 압박 동작에 의한 압박 깊이에 대응하는 혈류 흐름을 시각적으로 이해 시킬 수 있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mannequin that allows a practitioner to visually understand the flow of blood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depth by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by light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during chest compressing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흉부 압박 동작시 압박 위치, 압박 깊이, 압박 속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벗어나면 연습 사용자에 알리는 알림부재를 포함하여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nequin for CPR training which enables effective training including a notification member informing an exercise user when a pressing position, a pressing depth, and a pressing speed in a chest compression operation are out of a preset value do.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은, 흉부 압박 동작을 감지하고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시각/청각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심폐소생술 연습 사용자의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응급자의 흉부 반응을 재현하는 흉부 대응부; 흉부 압박 동작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부;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를 감지하는 제2 위치 감지부; 제1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제2 위치 감지부에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흉부 압박 동작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는 응급자의 혈류 이동을 재현하는 재현부를 포함한다. A mannequin for CPR exercise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PR mannequin configured to sense a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nd provide visual / auditory feedback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 chest compliant portion for reproducing the chest reaction of the emergency responder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A first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a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depth of a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valid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And a recreation unit for reproducing the blood flow movement of the emergency correspon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이때, 흉부 대응부는,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해 상기 흉부 반응에 대응하는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 인가부재; 하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내측에 상기 탄성 인가부재를 수용하는 덮개부재; 및 덮개부재 양측에 구비되고 수직 승강을 가이드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est correspondence section includes an elastic applying member for providing a repuls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chest reaction in response to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 cover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applying member on the inner side in the form of a cylinder whose lower side is opened; And a frame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member and guiding the vertical lift.

또한, 제1 위치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로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의 흉부측을 이루는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배치되고, 제2 위치 감지부는 근접 센서로서 프레임부재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may be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at the thoracic side pressing point of the inner cover forming the thoracic side of the CPR exercise manikin,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may be formed inside the frame member as a proximity sensor.

한편, 재현부는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심장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는 제1 발광부재;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의 이마에 이르는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는 제2 발광부재; 및 이마로부터 출발하여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는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는 제3 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urrence par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est side pressing point of the inner lid to reproduce the blood flow of the heart; A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which starts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est side pressing point of the inner lid and reproduces blood flow of the blood vessel reaching the forehead of the CPR training practice mannequin; And a third light emitting member for reproducing the blood flow of the blood vessel starting from the forehead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oracic compression point of the inner cover.

이때, 제어부는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1 깊이인 0cm 이상 2.5cm 미만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발광부재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2 깊이인 2.5cm 이상 4.5 미만에 해당하면 제2 발광부재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3 깊이인 4.5cm 이상 5.5cm 미만에 해당하면 제3 발광부재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위치가 제1 위치 감지부로부터 2cm 이상 벗어나면 제1 신호를 발생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제3 깊이 이상이면 제2 신호를 발생하고, N회차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부재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N+1회차 흉부 압박 동작 수행시(N은 1이상의 자연수) 제3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수행 회차를 카운트 하는 제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light emitting member to be turned on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0 cm and equal to or less than 2.5 cm, which is a predetermined first depth.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2.5 cm or more And controls the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to be turned on if it is less than 4.5 and controls the third light emitting member to be turned on if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falls within a range of 4.5 cm to 5.5 cm, Generating a first signal when the position is displaced by 2 cm or more from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and generating a second signal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is not less than the third depth,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in performing the N + 1 th chest compressing operation before returning to the position, and generating a fourth signal for coun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There.

또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은,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를 더 구비하고,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는 패드 및 음성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ikin for CPR exercise further comprises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and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includes a Quick Response Code (QR) code for providing a pad and a voice scenario, QR Code).

또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은, 재현부가 구동할시 투과가 가능한 재질의 외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압박점이 표시되어 있는 가슴압박 흉곽 가이드; 가슴압박 흉곽 가이드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압박점이 표시되어 있는 가슴압박 손모양 가이드; 및 사용자의 자세 확인 및 자가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자세교정용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ikin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ov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transmitted when the recreation part is driven, a chest compression thorax guid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able from the outer cover and showing a pressing point; Chest pressure hand guide with removable chest tight chest guide and pressure point; And posture correcting mirrors that enable the user's attitude verification and self-calibr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mannequin for CPR train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연습 사용자는 흉부 압박 동작에 의한 압박 깊이에 대응하는 혈류 흐름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First, the practitioner can visually understand the flow of blood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depth due to the chest compressions.

둘째, 연습 사용자는 흉부 압박 동작시 압박 위치, 압박 깊이 과다, 압박 이완 부족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얻음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Second, the practitioner can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more effectively by obtaining feedback information on the compression position, compression depth, and compression relaxation shortage in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셋째, 패드 및 음성시나리오를 제공하는 QR코드를(Quick Response Code, QR Code) 포함하는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사용 방법을 보다 정확하게 숙지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Third,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including a QR code (Quick Response Code) for providing a pad and a voice scenario is further provided so that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ntents of education that can more accurately understand the usag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흉부 대응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흉부 대응부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서 재현부의 배치 위치를 설명한다.
도 5는 재현부의 실물 사진이다.
도 6은 제어부에서 수행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
도 7a는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의 실물 사진이다.
도 7b는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패드의 실물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곽 가이드의 실물 사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모양 가이드의 실물 사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흉곽 가이드가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부착된 실물 사진이다.
도 11은 발광부재 또는 알림부재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의 실물 사진이다.
도 12a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수용하는 가방의 내부 실물 사진이다.
도 12b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수용하는 가방의 실습시 펼쳐진 모양의 실물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사용하여 실습을 수행하는 사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annequin for CPR exerci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hest;
3 is a photograph of a real part of the chest corresponding part.
FIG. 4 illustrates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recreation part in the CPR exercise mannequ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of a real part of the reproduction part.
6 is a flowchart of an algorithm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7A is a photograph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7B is an actual photograph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pad.
8 is a photograph of a ches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hotograph of a hand-shaped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hotographic image of a chest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manikin for CPR training.
11 is a photograph of an on-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or the notifying member.
12A is a photograph of the inside of a bag accommodating a CPR exercise mannequin.
FIG. 12B is a photograph of the shape of the bag that is deployed during the practice of the bag accommodating the CPR training mannequin.
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ercise performed using the mannequin for CP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연습 사용자'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하고, 본 발명에서 '응급자'는 환자로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을 의미한다.The 'practitione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user using the CPR 10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CPR' means a CPR manning 1000 as a patient.

일반적인 심폐소생술의 동작 과정은 흉부를 압박하면 흉골과 척추사이의 가장 큰 기관인 심장이 압박되고, 이로인해 실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그 압력에 의해 혈액순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은 이와 같은 원리를 연습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흉부 대응부(100)의 압박에 따라 발광하는 재현부(500)를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내부에 구비한다. 이러한 재현부(500)를 발광시키기 위해,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은 상기 흉부 대응부(100)를 통해 가압되는 압력을 제어부(400)에 전달하는 구성을 갖는다.In general CPR operation, when the chest is pressed, the heart, which is the largest organ between the sternum and the vertebra, is pressed,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room, and the blood circulates through the pressure. Therefore, the mannequin 1000 for CPR training manages the recreation part 500 which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chest support part 100 in order to visually recognize the principle to the practitioner, into the inside of the manikin 1000 for CPR training Respectively. The mannequin 1000 for CP resuscitation training has a configuration for delivering pressure to the control unit 400 through the chest supporting unit 100 to emit light at the recreation unit 50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annequin 1000 for CPR exerci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은 흉부 대응부(100), 제1 위치 감지부(200), 제2 위치 감지부(300), 제어부(400), 재현부(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annequin 1000 for CPR exerci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est support 100, a first position sensing unit 200, a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300, a controller 400, 500).

마네킹(100)은 실제 인체의 외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실제 피부의 탄성과 유사한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의 외부 커버(1020)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외부 커버(1020)는 재현부(500)가 구동할 시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mannequin 100 is configured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actual human body. It may be covered with an outer cover 1020 made of a silicone or urethane material similar to the elasticity of actual skin. The outer cover 1020 may be formed as a material that can be transmitted when the reproducing unit 500 is driven.

도 2는 흉부 대응부(100)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3은 흉부 대응부의 실물 사진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chest compliant portion 100, and Fig. 3 is a photograph of a real part of the chest compliant por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흉부 대응부(100)는 탄성 재질로서 형성되는 탄성 인가부재(110), 하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내측에 탄성 인가부재를 수용하는 덮개부재(120) 및 덮개부재 양측에 구비되고 수직 승강을 가이드하는 프레임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thoracic portion 100 includes an elastic applying member 110 formed as an elastic material, a lid member 120 accommodating an elastic applying member inwardly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lower side, And a frame member 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ember and guiding vertical lift.

흉부 대응부(100)는 흉부측 압박점에 배치되고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바디(B)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흉부측 압박점은 두 가슴 유두선과 가슴 중앙이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소정 지름을 가지는 원 형태일 수 있다.The thoracic counterpart 100 may be disposed at the thoracic compression point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B of the CPR training maneuver 1000 in various forms. The thoracic compression point may be in the form of a circ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two chest papillae and the center of the chest meet.

흉부 압박 동작시 탄성 인가부재(110)를 실린더 형태로 내측에 수용하는 덮개부재(120)는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프레임부재(130)에 가이드 되며 하강 운동을 하고, 흉부 압박 동작에 의한 일정한 압박 깊이에 도달하면 탄성 인가부재(110)의 반발력에 의해 덮개부재(120)는 좌우 흔들림을 방지 하는 프레임부재(130)에 가이드 되며 상승 운동을 한다.The lid member 120, which receives the elastic applying member 110 in the form of a cylinder in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is guided by the frame member 130 for preventing the left / right shake and moves downward. When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lid member 120 is guided by the frame member 130 for preventing the left / right rocking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applying member 110, and moves upward.

탄성 인가부재(120)는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제공하는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고 마네킹(1000) 흉부 압박점에 대응되는 바디(B)에 다양한 형태로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120) 및 프레임부재(130)는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부재(130)는 탄성 인가부재(110)를 가이드 하기 위해 탄성 인가부재(110) 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바디(B)에 볼트와 너트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서 결합될 수 있다. The elastic applying member 1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B correspon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point of the manikin 1000 in various forms. The cover member 120 and the frame member 13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luminum and the frame member 13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side of the elastic applying member 110 to guide the elastic applying member 110 And may be coupled to the body (B) in various forms such as bolts and nuts.

제1 위치 감지부(200)는 초음파 센서로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흉부측을 이루는 내부 덮개(1010)의 흉부측 압박점에 배치되고, 제2 위치 감지부(300)는 근접 센서로서 프레임부재(300) 내부에 배치된다.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200 is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at the thoracic side pressing point of the inner lid 1010 forming the thoracic side of the CPR manning 1000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300 is a proximity sensor And is disposed inside the frame member 30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에서 재현부(500)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고, 도 5는 재현부의 실물 사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cement portion 500 of the mannequin 1000 for CP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hotograph of a real part of the reconstruction por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재현부(500)는 제1 발광부재(510), 제2 발광부재(520) 및 제3 발광부재(530)를 포함하고 LED램프로서 구현될 수 있다. 4 and 5, the reproducing unit 50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member 510, a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520, and a third light emitting member 530, and may be embodied as an LED lamp.

제1 발광부재(510)는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탄성 인가부재(110)의 밑쪽 바디(B) 또는 내부 덮개(1010)에 배치될 수 있고, 하트 모양의 심장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할 수 있다. 제2 발광부재(520)는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이마에 이르는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고, 제3 발광부재(530)은 이마로부터 출발하여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는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 emitting member 51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oracic side pressing point and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body B of the elastic applying member 110 or the inner lid 1010, The blood flow can be reproduced. The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520 reproduces the blood flow of the blood vessel reaching the forehead of the CPR exercise maneuver 1000 starting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hest side pressing point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member 530 starts from the forehead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blood flow of the blood vessel reachi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oracic compression point.

연습 사용자는 투과가 가능한 재질의 외부 커버(1020)를 통해 재현부(500)의 발광 효과를 인지할 수 있고,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는 혈류 흐름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The practitioner can recognize the luminous effect of the reproducer 500 through the permeable outer cover 1020 and can effectively recognize the flow of blood correspon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도 6은 제어부에서 수행하는 알고리즘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of an algorithm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습 사용자는 팔을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깍지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로 마네킹(1000)의 몸체와 수직이 되도록 하여 흉부 압박점 위에 올려 놓아 흉부 압박 동작을 준비한다. 흉부측 압박점에서 2cm 이상 벗어난 곳에서 흉부 압박 동작시 갈비뼈가 손상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to 6, the practitioner prepares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by placing the palm heel perpendicular to the body of the mannequin 1000 on the chest compression point in a state where the arm is not bent, and the palm heel of the palms of two hands. It may cause side effects that ribs are damaged during chest compressions at a distance of 2 cm or more from the thoracic compression point.

흉부 압박점의 제1 위치 감지부(200) 위에 손을 올려 놓으면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송신하고 그 음파가 연습 사용자 손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이때, 측정되는 거리 값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의 크기가 문턱값(Threshold level)보다 처음으로 크게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계산한다. 그 측정 값이 제어부(400)로 송신되고, 제어부(400)는 흉부 압박 동작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 감지부(200)로부터 2cm 이상 벗어나면 상기 제1 신호를 발생한다. 제1 신호는 경보음, 점등, 점멸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고, 연습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흉부측 압박점 위치를 교육할 수 있다.When the hand is placed on the first position sensing part 200 of the chest compression point, the ultrasonic sensor transmits the ultrasonic wave and receives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by the user's hands. In this case, the measured distance value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ime from when the reflected wave reflected from the obstacle becomes larger than the threshold level for the first time.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the first signal when the position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displaced by 2 cm or more from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200. The first signal may appear in various forms, such as an audible alarm, a light, a blink, etc.,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ain the pressure point of the thoracic side to the practitioner.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는 프레임부재(130) 내부에 형성되고 근접 센서로서 구성되는 상기 제2 위치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되고, 근접 센서는 자성금속 물질의 검출 물체가 접근하면 유도전류가 흘러 검출코일에서 발생하는 발진 진폭의 감쇠되는 변화량을 이용하여 검출 물체의 유무를 판별하는 고추파 발진형 근접 센서 또는 전계가 생긴 극판에 물체가 접근하면 정전유도의 원인으로 분극현상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일 수 있다.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sensed by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300 formed inside the frame member 130 and configured as a proximity sensor, and when the proximity sensor approaches the sensing object of the magnetic metal material, A change in capacitance caused by a polarization phenomenon caused by an electrostatic induction when an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a chopped wave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which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to be detected by using a change amount of the oscillation amplitude generated in the detection coil And may be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제어부(400)는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1 깊이인 0cm 이상 2.5cm 미만에 해당하면 제1 발광부재(51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2 깊이인 2.5cm 이상 4.5cm 미만에 해당하면 제2 발광부재(52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3 깊이인 4.5cm 이상 5.5cm 미만에 해당하면 제3 발광부재(530)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5.5cm 이상에 해당하면 제2 신호를 발생하고, N회차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덮개부재(12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N+1회차 흉부 압박 동작 수행시(N은 1이상의 자연수) 제3 신호를 발생한다.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first light emitting member 510 to be turned on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0 cm and equal to or less than 2.5 cm which is a predetermined first depth, The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520 is turned on when the depth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530 is equal to or more than 2.5 cm and less than 4.5 cm, And a second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5.5 cm. In response to the N-th chest compressing operation, before the lid member 120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generates a third signal when performing the pressing operation (N is a natural number of 1 or more).

제2 신호 및 제3 신호는 경보음, 점등, 점멸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제2 신호는 연습 사용자에게 흉부 압박 동작시 과다 압박 깊이에 의한 갈비뼈 손상의 위험을 알리고, 제3 신호는 연습 사용자에게 N회차 압박후 N+1회차 압박시 심장에 공급되는 혈류가 충분히 채워질 정도로 이완 됐는지 알리는 의미이다. (N은 1이상의 자연수) 이를 통해 연습 사용자에게 흉부 압박 동작시 효과적인 압박 깊이, 압박 깊이에 대응하는 혈관의 혈류 흐름 및 압박 속도를 교육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may appear in various forms such as an alarm sound, a light, a blink, and the like. The second signal informs the practitioner of the risk of rib injury due to the excessive pressure depth during the chest compressive action and the third signal is relaxed to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blood supplied to the heart is sufficiently filled in the N + It means to let you know.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1). This allows the practitioner to educate the practitioner about effective compression depth during compression of the chest, blood flow velocity and compression speed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depth.

또한, 제어부(400)는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제1 깊이에 해당하면, 흉부 압박 동작의 수행 회차를 카운트 하는 제4 신호를 발생한다. 제4 신호는 소리음, 메트로놈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연습 사용자에게 흉부 압박 동작시 효과적인 흉부 압박 속도 및 흉부 압박 동작 사이클을 교육할 수 있다. 흉부 압박 동작 사이클은 주기별 횟수를 설정할 수 있고, 연습 사용자는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depth, the control unit 400 generates a fourth signal for coun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The fourth signal may be of various forms, such as a tone, a metronome, etc., which may provide the practitioner with effective chest compressions and chest compressions during the chest compressions. The chest compression action cycle can be set to the number of cycles, and the exercise user can set the cycle.

도 7a는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600)의 실물 사진이고, 도 7b는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패드(610)의 실물 사진이다.7A is an actual photograph of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600, and FIG. 7B is an actual photograph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pad 610. FIG.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600)는 패드(610) 및 음성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620)를 포함한다. 7A and 7B,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600 includes a pad 610 and a QR code 620 for providing a voice scenario do.

연습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음성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620)를 인식하면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음성 시나리오가 스마트폰에서 출력된다. 이를 통해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의 사용 방법을 보다 정확하게 숙지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Practice When a user recognizes a QR code (QR code) 620 that provides a voice scenario with a smartphone, a voice scenario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s output from the smartphone. This can provide training content to better understand how to use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흉곽 가이드(CG)의 실물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모양 가이드(HG)의 실물 사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흉곽 가이드가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부착된 실물 사진이다.FIG. 8 is a photograph of a chest guide C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hotograph of a hand guide H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ross- The chest gu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manikin for CPR training.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흉곽 가이드(CG)는 외부 커버(1020)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압박점이 표시되어 있으며, 손모양 가이드(HG)는 흉곽 가이드(CG)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압박점이 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연습 사용자는 흉부 압박 동작시 정확한 압박점을 인식할 수 있다.7 to 9, the chest guide CG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outer cover 1020 and a pressing point is displayed. The hand guide HG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hest guide CG, Is displayed. This allows the practitioner to recognize the correct pressure point during the chest compressions.

도시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에는 자세교정용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교정용 거울은 조립 분해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연습 사용자가 상기 흉부 압박 동작시 자세 확인 및 자가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Although not shown, the mannequin 1000 for CP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sture correcting mirror. The posture correcting mirror can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and allows the practitioner to perform posture confirmation and self-calibration at the time of pressing the chest.

도 11은 발광부재 또는 알림부재를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의 실물 사진이다.11 is a photograph of an on-off switch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or the notifying member.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바디(B)에 형성되고, 예비군 교육 현장 또는 학교 교육 현장과 같은 장소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시에 다수의 연습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의 발광부재 또는 알림부재가 동시에 작동되면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발광부재 또는 알림부재를 제어하여 이러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Off switch is formed on the body B of the CPR training mannequin 1000 and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CPR training mannequins by a plurality of exercise users at the time of CPR training such as a reserve training field or a school education place 1000 may cause confusion if they are operated simultaneously. Referring to Fig.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such confusion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or the notification member through the on / off switch.

도 12a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을 수용하는 가방의 실물 사진이고, 도 12b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수용하는 가방의 실습시 펼쳐진 모양의 실물 사진이다.FIG. 12A is a photograph of a bag accommodating the mannequin 1000 for CPR exercise, and FIG. 12B is a photograph of an actual shape of a bag when the bag for accommodating the CPR exercise mannequin is opened.

실습시 펼쳐진 모양의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을 수용하는 가방은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을 휴대가 가능하게 하고, 실습시 마네킹(1000)의 위치, 연습 사용자의 무릎 위치 및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6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쿠션 매트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bag accommodating the CPR exercising mannequin 1000 in a practically deployed shape enables the CPR exercising mannequin 1000 to be carried and enables the position of the mannequin 1000 in practice and the knee position of the practicing user and the automatic cardio- A cushion ma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600 may be attached.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1000)을 사용하여 실습을 수행하는 사진이다.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ercise performed using the mannequin 1000 for CP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00 :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010 : 내부 덮개
1020 : 외부 커버
100 : 흉부 대응부 110 : 탄성 인가부재
120 : 덮개부재 130 : 프레임부재
200 : 제1 위치 감지부 300 : 제2 위치 감지부
400 : 제어부
500 : 재현부 510 : 제1 발광부재
520 : 제2 발광부재 530 : 제3 발광부재
600 :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
610 : 패드
620 :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
CG : 흉곽 가이드 HG : 손모양 가이드
1000: CPR training mannequin 1010: Inner cover
1020: outer cover
100: chest correspondence part 110: elastic applying member
120: lid member 130: frame member
200: first position sensing unit 300: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400:
500: reproducing portion 510: first light emitting member
520: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530: third light emitting member
600: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610: Pad
620: Quick Response Code (QR Code)
CG: Thoracic guide HG: Hand guide

Claims (12)

심폐소생술 연습 사용자의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응급자의 흉부 반응을 재현하는 흉부 대응부;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위치 감지부;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를 감지하는 제2 위치 감지부;
상기 제1 위치 감지부 및 상기 제2 위치 감지부에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하여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응급자의 혈류 이동을 재현하는 재현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A chest responding part for reproducing a chest reaction of an emergency responder in response to a user's chest compressing action;
A first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valid based on information sensed by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and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And
And a replica portion for reproducing blood flow movement of the emergency corresponding to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흉부 대응부는,
상기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해 상기 흉부 반응에 대응하는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 인가부재;
하측이 개방된 실린더 형태로 내측에 상기 탄성 인가부재를 수용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 양측에 구비되고 수직 승강을 가이드하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est-
An elastic applying member for providing a repuls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chest reaction corresponding to the chest compression operation;
A cover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elastic applying member on the inner side in the form of a cylinder whose lower side is opened; And
And a frame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id member and guiding vertical li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감지부는,
초음파 센서로서,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의 흉부측을 이루는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ultrasound sensor is disposed at a thoracic compression point of the inner cover forming the thoracic side of the CPR training manik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감지부는,
근접 센서로서, 상기 프레임부재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position sens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is formed inside the frame memb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현부는,
상기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심장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는 제1 발광부재;
상기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의 이마에 이르는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는 제2 발광부재; 및
상기 이마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내부 덮개의 흉부측 압박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는 혈관의 혈류 흐름을 재현하는 제3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4,
The reproducing unit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hest side pressing point of the inner lid to reproduce blood flow of the heart;
A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that starts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hest side pressing point of the inner cover and reproduces a blood flow of a blood vessel reaching the forehead of the CPR training practice mannequin; And
And a third light emitting member for reproducing blood flow of the blood vessel starting from the forehea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hest compression point of the inner cov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1 깊이에 해당하면, 상기 제1 발광부재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2 깊이에 해당하면, 상기 제2 발광부재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미리 설정된 제3 깊이에 해당하면, 제3 발광부재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first depth, the first light emitting member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controlling the second light emitting member to be turned on if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econd depth,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ird light emitting member to be turned on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corresponds to a third depth set in advan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깊이는, 0cm 이상 2.5cm 미만 이고,
상기 제2 깊이는, 2.5cm 이상 4.5cm 미만 이고,
상기 제3 깊이는, 4.5cm 이상 5.5cm 미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depth is at least 0 cm and less than 2.5 cm,
The second depth is at least 2.5 cm and less than 4.5 cm,
Wherein the third depth is less than 4.5 cm and less than 5.5 c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이 미리 설정된 값을 벗어나면 상기 연습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재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a notification member informing the exercise user i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out of a preset valu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위치가 제1 위치 감지부로부터 2cm 이상 벗어나면 제1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깊이가 제3 깊이 이상이면 제2 신호를 발생하고,
N회차 흉부 압박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부재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N+1회차 흉부 압박 동작 수행시(N은 1이상의 자연수) 제3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firs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position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deviates by 2 cm or more from the first position sensing unit,
Generating a second signal when the depth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ird depth,
Wherein the third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N + 1th chest com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N is a natural number equal to or greater than 1) before the lid member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in response to the N-th chest compressing opera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흉부 압박 동작의 수행 회차를 카운트 하는 제4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d generates a fourth signal for counting the execution time of the chest compressing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은,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자동심장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부는 패드 및 음성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QR C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PR exercise mannequin,
Wherein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unit further comprises a Quick Response Code (QR Code) for providing a pad and a voice scenario Features a resuscitation manikin for CP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현부가 구동할시 투과가 가능한 재질의 외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커버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압박점이 표시되어 있는 가슴압박 흉곽 가이드;
상기 가슴압박 흉곽 가이드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압박점이 표시되어 있는 가슴압박 손모양 가이드; 및
사용자의 자세 확인 및 자가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자세교정용 거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er cov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when the reproducing unit is driven,
A chest pressure chest guide capable of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cover and having a pressing point displayed;
A chest-compressed hand guide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hest-pressure chest guide and having a pressing point; And
And a posture correcting mirror for enabling the posture confirmation and self-calibration of the user.
KR1020170097941A 2017-08-02 2017-08-02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2039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41A KR102039218B1 (en) 2017-08-02 2017-08-02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41A KR102039218B1 (en) 2017-08-02 2017-08-02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308A true KR20190014308A (en) 2019-02-12
KR102039218B1 KR102039218B1 (en) 2019-10-31

Family

ID=6536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941A KR102039218B1 (en) 2017-08-02 2017-08-02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21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27B1 (en) * 2019-12-20 2020-12-15 주식회사 테트라시그넘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KR20230046129A (en) * 2021-09-29 2023-04-05 정재은 Tube-type teaching materials for CPR training
KR102531834B1 (en) * 2022-05-09 2023-05-16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Manikin for cpr training
KR20230123125A (en)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Tool for teaching chest compression resuscitation with airtight waterproof ba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727A (en) * 2010-11-18 2012-05-29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Detecting and indicating apparatus for artificial breathings in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using cpr manikin
KR101606096B1 (en) 2014-01-17 2016-03-24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KR20160041434A (en) * 2014-10-07 2016-04-18 김진영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device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JP2016099464A (en) * 2014-11-20 2016-05-30 東洋物産株式会社 AED training device
KR101679237B1 (en) 2015-12-14 2016-12-06 이승영 Apparatus for exerci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20170062408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아이엠랩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727A (en) * 2010-11-18 2012-05-29 경도메디칼시뮬레이션 주식회사 Detecting and indicating apparatus for artificial breathings in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using cpr manikin
KR101606096B1 (en) 2014-01-17 2016-03-24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device
KR20160041434A (en) * 2014-10-07 2016-04-18 김진영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device using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JP2016099464A (en) * 2014-11-20 2016-05-30 東洋物産株式会社 AED training device
KR20170062408A (en)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 아이엠랩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KR101679237B1 (en) 2015-12-14 2016-12-06 이승영 Apparatus for exerci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27B1 (en) * 2019-12-20 2020-12-15 주식회사 테트라시그넘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KR20230046129A (en) * 2021-09-29 2023-04-05 정재은 Tube-type teaching materials for CPR training
KR20230123125A (en)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엠팩플러스 Tool for teaching chest compression resuscitation with airtight waterproof bag
KR102531834B1 (en) * 2022-05-09 2023-05-16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Manikin for cpr training
WO2023219323A1 (en) * 2022-05-09 2023-11-16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218B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917B2 (en) Automated caregiving device with prompting based on caregiver progress
JP6305563B2 (en) CPR training device
US864712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listic medical training
RU2176822C2 (en) Trainer for taking of emergency medical care
KR20190014308A (en)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7993290B2 (en) Display unit for providing feedback in CPR
EP3373275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mannequin
JP2009545361A (en) CPR coaching device that provides tactile feedback
US20180158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medical simulator
KR101445978B1 (en) Education system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P2016508832A (en) Provide feedback for CPR treatment
RU2689756C9 (en) Practical skills training for first aid and auscultation by means of medical simulator
JP5738508B2 (en) Chest compres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KR101798534B1 (en) Chest model device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or comprising the same
RU2684187C1 (en) Method for practical auscultation skill training by means of a medical training equipment
EP1933114B1 (en) Display unit for chest compression signals
RU2124762C1 (en) Training equipment for teaching of methods of urgent traumatologic and resuscitation help
KR20200068365A (en) a dummy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KR20110011791U (en) First aid-education mannequin having multi-functions
US20220304890A1 (en) Real tim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eedback with instructio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WM457266U (en) Auxiliary system for interactive acupoint recognition
KR101359785B1 (en) Aed system for training
EP1932502A1 (en) System for providing feedback on chest compression in CPR
KR20160004836A (en) Education system and Education methods of Self-study CPR
RU2693446C1 (en) Method of training practical skills in providing first aid and auscultation by means of a medical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